KR20180097981A -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981A
KR20180097981A KR1020170024860A KR20170024860A KR20180097981A KR 20180097981 A KR20180097981 A KR 20180097981A KR 1020170024860 A KR1020170024860 A KR 1020170024860A KR 20170024860 A KR20170024860 A KR 20170024860A KR 20180097981 A KR20180097981 A KR 2018009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ehicle
signal
communication modules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광훈
이기석
이장희
조성민
양호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981A/ko
Priority to CN201880013809.4A priority patent/CN110325409B/zh
Priority to PCT/KR2018/001382 priority patent/WO2018155832A1/ko
Priority to US16/487,965 priority patent/US11242031B2/en
Priority to EP18757476.9A priority patent/EP3572291A4/en
Publication of KR2018009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키 인증 방법은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단말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단말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CAR SMART KEY}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차량용 스마트키로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발명입니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 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문의 개폐를 제어하고,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 및 부피를 가지는 스마트키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홈 시스템, 가전제품이나 다른 전자 기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을 차량용 스마트키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의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을 탑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을 조작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키 인증 방법은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키 인증 방법은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가 결정되면,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가 결정되면,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구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및 단말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차량 및 단말에 탑재된 통신 모듈 간의 신호가 송수신 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이 단말을 인증하고,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과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이 복수의 단말을 인증하고,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과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7은 단말 및 차량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차량이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가운데 "제1, " "제2, " "첫째, "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차량용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의 문을 개폐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스마트키가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스마트키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과 측위를 위한 모듈이 각각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로써 100~440MHz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초극단파(ultra high frequency, UHF)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HF 모듈은 자동차용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성이 없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측위를 위한 모듈로써 120~130 KHz에서 통신을 저주파 (low frequency, LF)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의 크기는 파장의 길이에 비례하는데, LF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bluetooth low energy, BLE)에서 사용되는 파장의 길이는 약 20,000배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상기 LF 모듈은 기본적으로 구리선을 여러 번 감아서 제작되므로 부피가 비교적 크다. 그리고 상기 LF 모듈은 거리를 측정하는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성이 없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한편, 최근 홈 시스템, 가전제품, 전자 기기 등을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휴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단말(terminal)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스마트키에 사용되는 UHF 모듈과 LF 모듈을 스마트폰에 탑재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상기 UHF 모듈과 LF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존재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에 탑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부피를 증가시켜서 상기 UHF 모듈과 LF 모듈을 탑재시킨다 하여도,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 및 발열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스마트키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을 구분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10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100)은 문을 개폐할 수 없는 상태 및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차량(100)으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량(100) 및 사용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차량(100)과 사용자의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송수신한 결과에 따라 차량(100)의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제1 영역(110)보다 차량(100)으로부터 사용자가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차량(100)은 문을 개폐할 수 없는 상태 및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은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대략 8m 정도 떨어진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게 되면, 차량(100)은 사용자와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근접 확인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근접 확인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차량(100)에 사용자가 접근하여, 상기 사용자가 도 1의 제2 영역(120)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100)은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영역(120)은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1m 이내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차량(100)으로부터 제2 영역(120) 내에 사용자의 단말이 감지되면, 차량(100)의 문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문을 열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제3 영역(130)인 차량(100)의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100)은 시동을 켤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130)에 존재하는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대로 차량 의자, 핸들의 위치와 같은 차량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0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제1 영역(110)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고, 제2 영역(120) 내에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및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200)에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 이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차량(200)의 양 측면에 두 개씩의 통신 모듈이 탑재된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의 탑재 위치 및 탑재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모듈은 차량의 전면, 후면, 측면 및 상하부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200)에는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 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송수신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200) 및 단말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 또는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을 이용하여 비콘(beacon)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비콘 신호는 접근 확인 신호(advertisement signal)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을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 각각에서 측정된 상기 외부의 다른 단말이 전송한 신호 세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의 위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차량(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신호 벡터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200)을 제어하는 스마트키의 기능을 스마트폰이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차량(2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21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과 같은 다양한 웨어러블(wearable)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210)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통신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단말(210)에 탑재될 수 있는 통신 모듈(24)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210)은 상기 통신 모듈(24)을 이용하여 차량(200)의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 이 전송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210)은 상기 통신 모듈(24)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4)을 통해 전송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200)에서는 상기 차량(200) 및 단말(210) 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200)의 복수개의 통신 모듈(20, 21, 22, 23) 및 상기 단말(210)의 상기 통신 모듈(24)은 BLE 모듈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근거리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및 단말에 탑재된 통신 모듈 간의 신호가 송수신 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인 도 3a 내지 도 3c에 기반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단계 S300에서 전송 신호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신호 전송의 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신호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탑재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모두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차량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단말이 존재한다는 것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치는 하나의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정도로 차량에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신호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장치로 하여금, 상기 단말 및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측위 신호로 명명한다.
단계 S305에서, 상기 단말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위 신호는 인증된 스마트키 식별자에 기반한 신호 구분 필드, 단말의 제조사, 신호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단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에 탑재된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에 대해 인증된 단말인지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상기 측위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신호 전송 종료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측위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을 통해 측위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자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측위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에 탑재된 장치는, 단계 S315에서 BLE 스캔 파라미터 설정 및 스캔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한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장치는 BLE 스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스캔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BLE 스캔을 수행할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신호 전송을 위한 하나의 통신 모듈만 켜져 있는 경우, 상기 장치는 BLE 스캔을 위해 복수의 통신 모듈의 전원을 켤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25에서, 스캔 종료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BLE 스캔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315에서 설정한 BLE 스캔을 수행하는 시간이 도래하기 전이라도, BLE 스캔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장치는 상기 BLE 스캔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30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측위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35에서, 상기 장치는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탑재된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해서 단말이 전송하는 측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각 통신 모듈에서 수신된 상기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차량에 접근한 위치에 따라, 각 통신 모듈에서 수신하는 상기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각 통신 모듈에서 상기 측위 신호가 수신된 수신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각 통신 모듈에서 수신된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에 대한 정보 및 수신 각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차량 및 단말 간의 절대적인 거리를 판단하기보다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상기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340에서, 상기 장치는 측위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측위 모드는 상기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45에서, 상기 장치는 타이머(timer) 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측위 신호의 수신 주기가 지나치게 길거나, 상기 측위 신호가 수신되는 도중에 임계 시간 이상 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상적인 접근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타이머 값을 설정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단말의 측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상기 장치는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이 각각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전력 및 수신 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55에서, 상기 장치는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가 장치 및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수신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 및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60에서, 상기 장치는 타이머 만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타이머 만료 시까지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가 수신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 및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이머 만료 전이라 하더라도, 단계 S365에서, 상기 장치는 측위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차량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장치는 별도의 서버로써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이 수신한 측위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및 단말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별도의 서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차량의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이 단말을 인증하고,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과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차량(400)은 차량 제어 시스템(410)과 N 개의 통신 모듈(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전술한 차량에 탑재된 장치일 수 있다.
단말(440)은 상기 차량(4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최초 등록된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차량(400)을 최초 구입할 때에, 사용자의 단말(440)을 이용하여 스마트키 기능을 수행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통신 모듈 N(430)을 대표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대표 통신 모듈로 결정된 통신 모듈 N(430)을 이용하여 접근 확인 신호(advertisement signal)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는 전술한 기설정된 주기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단계 S450에서는 차량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단말이 존재한다는 것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대표 통신 모듈만을 통해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기설정된 주기로 대표 통신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랜덤하게 대표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55에서, 통신 모듈 N(43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60에서 단말(440)은 암호화된 Adv. 주소(address)를 추출하고 스캔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400)을 제어하도록 등록된 단말(44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440)은 상기 통신 모듈 N(430)이 전송한 접근 확인 신호(adv)를 수신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최대 100m 이내의 장치들로 까지 전송 가능한 신호이므로, 상기 단말(440)은 비교적 원거리에서부터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440)은 등록된 차량(400)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440)은 상기 등록된 차량(400)으로부터 수신된 접근 확인 신호(adv)에 대해서, 어드레스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440)은 기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접근 확인 신호(adv)가 수신되는 경우에 어드레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S465에서, 상기 차량(400) 및 단말(440)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410) 및 단말(440)은 각각 암호화된 Adv.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스캔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는 메시지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암호화되어 전달되므로, 복수개의 어드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7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모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75에서, 단말(440)은 측위 모드의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440)은 기설정된 세기 이상으로 접근 확인 신호(adv)가 수신된 경우, 측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480-1 및 S480-2에서, 상기 단말(440)은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44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BLE 모듈을 이용하여,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440)이 전송한 측위 신호는 차량(400)에 탑재된 복수개의 통신 모듈(420, 430) 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말(440)의 위치, 차량(400)과 단말(440) 간의 거리 등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통신 모듈(420, 430)이 수신하는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 및 수신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485-1 및 S485-2에서, 차량(400)에 탑재된 복수개의 통신 모듈(420, 430) 각각은 차량 제어 시스템(410)으로 수신 신호를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통신 모듈(420, 430) 각각은 수신된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 및 수신 각도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제어 시스템(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440)이 측위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400)은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440)이 전송한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가 근접 확인 모드(proximity check mode)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단말(440)이 차량(400)으로부터 임의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440)이 차량(400)으로부터 제1거리 이내(예를 들면, 8m)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차량(400)의 문을 개폐할 수 없는 상태 및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440)이 차량(400)으로부터 제1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400) 및 단말(440)은 근접 확인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근접 확인 모드에서, 상기 단말(440)이 전송한 측위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400)이 상기 단말(440)이 차량(400)으로부터 제2거리 이내(예를 들면, 1m)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차량(400)의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440)이 차량(4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상기 차량(400)을 시동을 켤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차량(4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단말(440)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410)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대로 차량 의자, 핸들의 위치와 같은 차량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이 단말을 인증하고,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과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차량(500)은 차량 제어 시스템(510)과 통신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통신 모듈(520)을 한 개만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500)은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전술한 차량에 탑재된 장치일 수 있다.
단계 S535에서 차량(500) 및 단말(530)은 초기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초기 인증 절차는 단말(530)이 상기 차량(5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최초로 등록하는 절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차량(500)을 최초 구입할 때에, 사용자의 단말(530)을 이용하여 스마트키 기능을 수행하도록 등록하여, 상기 초기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인증 절차를 통해 단말의 공용키(public key)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45에서, 단말(530)은 인증 절차를 통해 차량의 공용키(public key)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공용키는 전송할 신호를 암호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초기 인증 절차 이후, 대기 모드에 진입한 차량(500)의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단계 S550에서, 통신 모듈(520)을 이용하여 신규 주소를 포함하는 접근 확인 신호(advertisement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520)은 복수 개의 통신 모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접근 확인 신호를 차량(500) 및 단말(530) 간에 퍼블릭하게 알려진 주소인 노미널 어드레스(nominal address)를 이용하여 접근 확인 신호(adv)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에 대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규 주소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차량(500)의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탠바이 어드레스(standby address)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프라이빗 키는 차량의 공용 키를 이용하여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단말(530)은 상기 차량의 공용 키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스탠바이 어드레스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단계 S555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통신 모듈(520)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주소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상기 스탠바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접근 확인 신호(adv)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530)은 암호화된 스탠바이 어드레스를 복호화하였으므로, 상기 스탠바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접근 확인 신호(adv)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차량(500) 및 단말(530)은 대기 모드에서 무선상 전송되는 신호 패킷의 위조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S565에서, 차량(500) 및 단말(530) 간의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7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모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75에서, 단말(530)은 측위 모드의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580에서, 상기 차량(500) 및 단말(530)은 연결을 수립하면서, 일시적인 신규 주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500) 및 단말(530)이 연결을 수립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주소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500) 및 단말(530)은 근접 확인 모드에서 사용되는 일시적인 키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530)은 단말(530)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신규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85에서, 단말(530)은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53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BLE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90에서, 차량(500)에 탑재된 통신 모듈(520)은 차량 제어 시스템(510)으로 수신 신호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차량(500)에 탑재된 통신 모듈(520)은 복수개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520)은 수신된 측위 신호의 수신 전력 및 수신 각도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제어 시스템(5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530)이 측위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500)은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530)이 전송한 측위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가 근접 확인 모드(proximity check mode)일 수 있다.
또한, 도 5는 상기 단계 S50 내지 단계 S590을 한 번씩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510)이 차량(500) 및 단말(530) 간의 거리를 판단하기에 충분하거나,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 S50 내지 단계 S590은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단말(530)이 차량(500)으로부터 어느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5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530)이 차량(500)으로부터 제1거리 이내(예를 들면, 8m)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차량(500)의 문을 개폐할 수 없는 상태 및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530)이 차량(500)으로 점차 접근하여, 상기 단말(530)이 차량(500)으로부터 제2거리 이내(예를 들면, 1m)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차량(500)의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단말(530)이 차량(5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상기 차량(500)을 시동을 켤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차량(5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단말(530)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510)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대로 차량 의자, 핸들의 위치와 같은 차량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이 복수의 단말을 인증하고,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과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하나의 차량(600)에 대해 이용하는 사용자가 여러 명이거나, 한 명의 사용자가 이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600)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차량(600)은 전송하는 키 마다 근접 주소(proximity address)를 다르게 생성하여, 복수의 단말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600)은 랜덤 생성(random generation)을 이용하여 상이한 근접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20-1 내지 S620-4를 통해, 초기 인증 절차 이후, 대기 모드에 진입한 차량(600)은 접근 확인 신호(advertisement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dv. 신호는 상기 차량(6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600)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상기 Adv. 신호는 제1 단말(610) 및 제2 단말(620)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Adv. 신호는 신규 주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600)은 차량(600) 및 단말들(610, 620) 간에 퍼블릭하게 알려진 주소인 노미널 어드레스(nominal address)를 이용하여 접근 확인 신호(adv)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600)은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에 대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신규 주소를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600)은 차량(500)의 프라이빗 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스탠바이 어드레스(standby address)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프라이빗 키는 차량의 공용 키를 이용하여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인증 절차를 수행한 단말들(610, 620)은 상기 차량(600)의 공용키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량(600)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스탠바이 어드레스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1 단말(610) 및 제2 단말(620)은 상기 차량(600)과의 거리 또는 통신 상태 등에 따라, 상기 Adv. 신호의 수신 신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610)은 단계 S620-3에서 전송된 Adv. 신호를 수신하고, 인증 절차를 거쳐 접근 확인 모드 또는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610) 보다 상기 차량(60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통신 상태가 좋지 않은 제2 단말(620)은 단계 S620-4에서 전송된 Adv. 신호를 수신하고, 인증 절차를 거쳐 접근 확인 모드 또는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 S625에서, 차량(600) 및 제1 단말(610)은 제1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600) 및 제1 단말(610)은 연결을 수립하면서, 일시적인 신규 주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600) 및 제1 단말(610)이 연결을 수립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주소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600) 및 제1 단말(610)은 근접 확인 모드 또는 드라이브 모드에서 사용되는 일시적인 키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610)은 제1 단말(610)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신규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30-1 및 S630-2에서, 제1 단말(610)은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말(61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BLE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35에서, 차량(600) 및 제2 단말(620)은 제2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600) 및 제2 단말(620)은 연결을 수립하면서, 일시적인 신규 주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600) 및 제2 단말(620)이 연결을 수립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주소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량(600) 및 제2 단말(620)은 근접 확인 모드 또는 드라이브 모드에서 사용되는 일시적인 키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620)은 제2 단말(620)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신규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620)은 제1 단말(610)이 생성한 신규 주소와 상이한 신규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덤 생성에 따라, 상기 제2 단말(620)은 제1 단말(610)이 생성한 신규 주소와 상이한 신규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40-1 및 S640-2에서, 제2 단말(620)은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62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BLE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일시적인 신규 주소로 암호화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600)이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610) 및 제2 단말(620)의 위치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7은 단말 및 차량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의 차량(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710)이 전송한 측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초기 인증 절차가 수행된 차량(700) 및 단말(710)은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 S715에서, 차량(700)은 대기 모드에서의 신호 전송 인터벌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20에서, 단말(710)은 대기 모드에서의 스캔 구간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700)은 대기 모드에서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715에서, 차량(700)은 상기 Adv. 신호의 전송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단말(710)이 차량(700)으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있더라도 Adv. 신호를 감지하면 바로 인증 절차에 진입할 수 있으므로, 차량(700)은 상기 Adv. 신호를 빈번하게 전송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차량(700)이 신호의 전송 주기를 긴 주기 모드와 짧은 주기 모드로 운영한다고 가정할 때, 차량(700)은 대기 모드에서 상기 Adv. 신호를 긴 주기 모드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비교적 긴 주기에 따라, 차량(700)이 상기 Adv.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700)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단계 S725에서, 차량(700)이 Adv. 신호를 한 번만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차량(700)은 설정된 긴 주기에 따라 Adv. 신호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710)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프 스캔(half scan)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차량(700)이 전송하는 Adv. 신호를 단말(710)이 수신한 경우, 단계 S730에서, 차량(700) 및 단말(710)은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710)이 임계값 이상의 수신 전계 강도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값으로 차량(700)이 전송하는 Adv.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말(710)은 차량(700)과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절차 종료 후에도, 단계 S735에서 차량(700)은 Adv. 신호를 계속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근접 확인 모드에 진입하면, 단계 S740에서, 차량(700)은 근접 확인 모드에서의 스캔 구간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45에서, 단말(710)은 근접 확인 모드에서의 신호 전송 인터벌을 설정할 수 있다.
근접 확인 모드는 단말(710)이 전송한 측위 신호를 차량(700)에 탑재된 복수개의 BLE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단말(710)이 차량(700)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모드이다. 따라서, 차량(700)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보다도, 상기 단말(710)로부터 복수 번 반복하여 측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710)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단계 S740에서 상기 차량(700)은 근접 확인 모드에서 풀 스캔(full scan)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710)도 근접 확인 모드에서 짧은 주기 모드로 운영하여, 신호 전송 인터벌을 비교적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710)은 측위 신호 전송 인터벌을 100ms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S750에서 차량(700) 및 단말(710)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710)은, 설정된 측위 신호 전송 인터벌에 따라, 단계 S755-1 및 S755-2에서, 측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710)로부터 측위 신호 수신 결과에 따라, 단말(710)이 차량(700)에서 매우 근접(예를 들면, 1m 거리 이내)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700)은 단말(710)에 의해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700)의 상태 전환에 따라, 단말(710)은 차량 문을 개폐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량(700)의 문을 열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710)은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차량(7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700)은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차량 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차량 문의 잠금이 해제되고, 단말(710)이 차량(700)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700) 및 단말(710)은 드라이브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 S760에서, 차량(700)은 드라이브 모드에서의 스캔 구간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65에서, 단말(710)은 드라이브 모드에서의 신호 전송 인터벌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모드는 단말(710)이 차량(700)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 모드이므로, 단말(710)의 위치를 차량(700)이 구체적으로 확인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차량(700)은 상기 단말(710)이 계속하여 차량(700)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만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700)은 드라이브 모드에서 하프 스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710)도 드라이브 모드에서 긴 주기 모드로 운영하여, 신호 전송 인터벌을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및 단말은 각 모드에 따라 신호 전송 주기 및 신호 스캔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차량이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는 차량(800)의 대표 통신 모듈만이 활성화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차량(800)은 제1 통신 모듈(801)을 대표 통신 모듈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800)은 대표 통신 모듈로 결정된 제1 통신 모듈(801)을 이용하여 접근 확인 신호(advertisement signal)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는 전술한 기설정된 주기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일 수 있다.
도 8a는 차량(800)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단말(810)이 존재한다는 것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800)은 대표 통신 모듈만을 통해 상기 접근 확인 신호(adv)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800)은 기설정된 주기로 대표 통신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800)은 랜덤하게 대표 통신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800)은 대표 통신 모듈로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향(omni) 방사 패턴을 갖는 통신 모듈이 대표 통신로 상기 차량(8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8b는 단말(810)이 차량(8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진입한 이후에, 차량(800)의 모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차량(800) 및 단말(810)이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근접 확인 모드에 진입한 경우, 차량(800)은 탑재된 모든 통신 모듈(801 내지 805)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모듈(801)이 전방향(omni) 방사 패턴을 갖는 대표 통신 모듈(801)인 경우, 차량(800)은 대표 통신 모듈(801)을 제외한 나머지 측위 통신 모듈(802 내지 805)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제1 통신 모듈(801)이 전방향(omni) 방사 패턴을 갖는 대표 통신 모듈(801)인 경우에도, 제1 내지 제5 통신 모듈(801 내지 805)을 모두 활성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 방안에 따르면,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900)에 탑재된 복수의 통신 모듈이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며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제1 통신 모듈(901)이 활성화되어 차량(900)이 Adv.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1 통신 모듈(901)에 대응하는 영역(910)에서 Adv.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 9b는 제2 통신 모듈(902)이 활성화되어 차량(900)이 Adv.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2 통신 모듈(902)에 대응하는 영역(920)에서 Adv.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도 9c는 제3 통신 모듈(903)이 활성화되어 차량(900)이 Adv.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3 통신 모듈(903)에 대응하는 영역(930)에서 Adv.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d는 제4 통신 모듈(904)이 활성화되어 차량(900)이 Adv.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제4 통신 모듈(904)에 대응하는 영역(940)에서 Adv.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 모듈(901) 내지 제4 통신 모듈(904)은 모두 동일한 식별자의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통신 모듈을 통해 비콘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단말은 어느 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송된 신호이든 모두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e는 단말(950)을 소지한 사용자의 진입 방향에 따라, 임의의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 내지 도 9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 모듈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어 Adv.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이때, 제4 통신 모듈(904)이 전송한 Adv. 신호를 수신한 단말(950)이 감지된 경우, 차량(900)은 상기 단말(950)이 임계 거리 이내로 차량(900)에 근접할 때까지, 제4 통신 모듈(904)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900)은 상기 제4 통신 모듈(904)을 이용하여 Adv. 신호를 단말(950)로 계속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차량(900)은 상기 제4 통신 모듈(904)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4 통신 모듈(904)을 이용하여 단말(950)이 전송하는 측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950)이 차량(900)에 임계거리 이상 근접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900)은 모든 통신 모듈(901 내지 904)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900) 및 단말(950)은 근접 확인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차량(900)은 모든 통신 모듈(901 내지 904)을 이용하여, 단말(950)이 전송하는 측위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말의 위치에 따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차량 외부 및 내부를 측정하는 통신 모듈이 각각 차량에 탑재되거나, 하나의 통신 모듈이라 하더라도 차량 외부 및 내부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10)이 차량(100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0)은 외부의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0)은 통신 모듈(1001 내지 1004)의 외부 측정 기능만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10)이 차량(10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0)은 내부의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0)은 통신 모듈(1001 내지 1004)의 내부 측정 기능만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다만, 차량(1000)에서 단말(1010)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정밀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1000)은 내외부의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0)은 통신 모듈(1001 내지 1004)의 내외부 측정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장치(1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장치(1100)는 송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복수의 통신 모듈은 장치(1100) 내부에 포함될 필요는 없으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탑재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장치(1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20)는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1100)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1100)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주기로,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11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주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임의의 모듈을 번갈아 가며 온(on)하고, 상기 온(on)된 임의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11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온(on)하고, 상기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20)는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모두 온(on)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20)의 동작은 상기 도 11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1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12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1200)은 송수신부(1210) 및 제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220)는 단말(1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어부(1220)는 기설정된 제1주기로,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1200)이 전송한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1200)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는, 상기 단말(1200)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단말(1200)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단말(1200)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220)의 동작은 상기 도 12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단말(1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플래시 메모리나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제어부의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CPU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의 CPU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술한 프로그램들을 RAM으로 복사한 후, 복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등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단말 또는 기지국에 포함된 통신 모듈 등의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 또는 기지국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200: 차량 210: 단말

Claims (20)

  1. 장치의 키 인증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임의의 모듈을 번갈아 가며 온(on)하고, 상기 온(on)된 임의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온(on)하고, 상기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모두 온(on)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단말의 키 인증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각각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임의의 모듈을 번갈아 가며 온(on)하고, 상기 온(on)된 임의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 중에서,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온(on)하고, 상기 통신 모듈만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감지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모두 온(on)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단말에 있어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장치로부터 접근 확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확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1 주기보다 짧은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제어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가능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 모드를 문 개폐 불가능 상태로 변경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시동 가능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70024860A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97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60A KR20180097981A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CN201880013809.4A CN110325409B (zh) 2017-02-24 2018-02-01 用于认证车辆智能钥匙的方法和装置
PCT/KR2018/001382 WO2018155832A1 (ko) 2017-02-24 2018-02-01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US16/487,965 US11242031B2 (en) 2017-02-24 2018-02-01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vehicle smart key
EP18757476.9A EP3572291A4 (en) 2017-02-24 2018-02-01 VEHICLE INTELLIGENT KE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60A KR20180097981A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81A true KR20180097981A (ko) 2018-09-03

Family

ID=6325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860A KR20180097981A (ko) 2017-02-24 2017-02-24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2031B2 (ko)
EP (1) EP3572291A4 (ko)
KR (1) KR20180097981A (ko)
CN (1) CN110325409B (ko)
WO (1) WO2018155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702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2012B2 (ja) * 2018-08-23 2022-06-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通信不正成立防止システム及び通信不正成立防止方法
EP3819174B1 (en) * 2018-09-07 2023-12-13 Huawei Device Co., Ltd. Business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1199597A (zh) * 2018-10-31 2020-05-26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及其娱乐系统的控制方法和系统、车辆钥匙
CN112752238B (zh) * 2019-10-30 2022-11-29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基于使用场景提供信息服务的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1746519A (zh) * 2020-06-05 2020-10-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近距离遥控泊车的安全监控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21434B2 (en) * 2020-07-27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enna detuning prevention for phone-as-a-key vehicle system
KR20220015786A (ko) * 2020-07-31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624228B1 (en) 2020-12-04 2023-04-11 Zoox, Inc. Vehicle door interface system
US11912233B1 (en) * 2020-12-04 2024-02-27 Zoox, Inc. Vehicle door interface system
JP2023058256A (ja) * 2021-10-13 2023-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位置判定システム、位置判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7658B4 (de) * 2003-04-17 2005-08-11 Robert Bosch Gmbh Positionsanzeige und/oder Energieeinsparung bei Berechtigungssystemen
KR20070049436A (ko) * 2005-11-08 200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077011B2 (en) * 2006-02-24 2011-12-1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sequence of vehicle functions
KR100939725B1 (ko) * 2007-08-21 2010-02-01 (주)에이티솔루션 모바일 단말기 인증 방법
KR101442169B1 (ko) 2007-11-27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개키 기반의 블루투스 스마트 키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8284020B2 (en) * 2009-12-22 2012-10-09 Lear Corporatio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US8744482B2 (en) 2011-03-25 2014-06-03 Lea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detection
US8947202B2 (en) 2011-10-20 2015-02-03 Apple Inc. Accessing a vehicle using portable devices
US8868254B2 (en) 2012-06-08 2014-10-21 Apple Inc. Accessory control with geo-fencing
US8736438B1 (en) 2012-08-15 2014-05-27 Google Inc. Computing device as a vehicle key
KR101409124B1 (ko) * 2012-11-21 2014-06-17 현대다이모스(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파워 시트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41235B2 (en) 2013-03-14 2016-01-19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Passive entry cell phone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9428127B2 (en) * 2013-11-22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vehicle configuration based on parameters that are specified by a mobile computing device when outside of a vehicle
JP6342718B2 (ja) * 2014-06-02 2018-06-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通信システム
US20160063786A1 (en) * 2014-08-26 2016-03-03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Smartphone enabled passive entry go system
US9928673B2 (en) 2015-07-16 2018-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PEPS system using directional sensors
CN105398420B (zh) 2015-11-09 2016-11-23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无钥匙进入系统检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702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832A1 (ko) 2018-08-30
CN110325409B (zh) 2022-07-08
EP3572291A1 (en) 2019-11-27
EP3572291A4 (en) 2020-03-04
US20200001822A1 (en) 2020-01-02
CN110325409A (zh) 2019-10-11
US11242031B2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981A (ko)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CN109844822B (zh) 用于车辆的被动进入/被动启动系统以及方法
US10129750B2 (en) Providing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data to climate control system devices
US9717012B2 (en) Internet of things (IOT) automo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JP4047909B2 (ja) 無線機器監視システム
EP2837104B1 (en) Detecting a communication tap via signal monitoring
EP273106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function of input means
CN103959750B (zh) 用于无线对接的配置和控制的方法和装置
CN114501363A (zh) 用于车辆的被动进入/被动启动系统以及方法
US20130298208A1 (en) System for mobile security
EP3158540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JP5886333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2555796B1 (ko) IoT 시스템에서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974228B1 (en) Methods of communi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responsive command via short-range communications, and related devices
JP5195496B2 (ja) 認証対象装置およびキー、並びに無線認証システム
JP2021192472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1028583A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055393B2 (en) Secure access control method with short range and medium or long-range modes of operation
CN105636032B (zh) 设备接入的处理方法、设备接入的处理装置和终端
JP5131203B2 (ja) 認証対象装置およびキー、並びに無線認証システム
JP6696727B2 (ja)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KR20180020382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WO2023169689A1 (en) Improved use of minibar sensors
JP5157937B2 (ja) 認証対象装置およびキー、並びに無線認証システム
CN115314872A (zh) Nfc设备的通信装置、用户设备和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