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436A -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436A
KR20070049436A KR1020050106579A KR20050106579A KR20070049436A KR 20070049436 A KR20070049436 A KR 20070049436A KR 1020050106579 A KR1020050106579 A KR 1020050106579A KR 20050106579 A KR20050106579 A KR 20050106579A KR 20070049436 A KR20070049436 A KR 2007004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key
data
authentic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9436A/ko
Priority to CNA2006101382367A priority patent/CN1964566A/zh
Publication of KR2007004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방송서비스 사용을 위한 단말기 등록 시 상기 단말기로 인증키를 발급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에 대한 인증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접속 시 상기 인증키 및 인증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방송서비스 사용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정상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말기의 인증키의 보유 여부 또는 상기 인증키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서, 무단 복제 또는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 하고, 상기와 같은 이중 인증을 통해 보완이 강화됨으로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방송, 단말기, 인증, DMB, 고유정보, 인증키

Description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broadcasting ser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인증시스템의 인증센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인증키 발급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방송서비스 인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메모리
30: 오디오부 40: 입력부
50: 표시부 60: 데이터 처리부
70: 인증처리부 80: 방송모듈
90: 이동통신 모듈 100: 방송시스템
200: 인증센터 210: 인증 제어부
220: 인증키 생성부 230: 인증부
240: 인증 데이터베이스 250: 통신모듈
BS: 기지국 MS: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급된 인증키 및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키의 무단 복제 또는 해킹을 통한 방송서비스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 또는 방송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송출하여 이동 중에도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방송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는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용 모듈이 구비되는 단말기에서 이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노트북,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차량용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상기 방송수신을 위한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통해 방송서비스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방송서비스는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며, 가입된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유료서비스의 경우에는 등록된 단말기로 인증키를 발급하여 상기 인증키를 통해 방송서비스 사용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급된 인증키가 타 단말기로 무단 복제되거나 상기 인증키가 해킹되는 경우 유료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단말기를 통해 무단으로 유료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송시스템 및 서비스는 상기와 같은 단말기가 방송서비스 특히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발급된 인증키가 상기 단말기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인증이 수행될 뿐 상기 인증키를 보유한 단말기 자체에 대한 별도의 인증은 수행되지 않으므로, 상기 인증키만 정상상태로 존재하면 상기 인증키를 포함하는 어떤 단말기라도 유료서비스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무단 복제나 인증키 해킹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송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인증키와,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하여 고유정보를 통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서, 인증이 이중으로 시행되어 보완이 강화되고, 인증키의 무단 복제 또는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키를 바탕으로 단말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외부로 상기 생성된 인증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은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시스템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기와. 상기 방송시스템 등록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발급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데이터를 등록하여, 상기 인증키 및 상기 인증데이터를 비교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가입된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키를 생성/발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 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키와 함께 저장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시스템의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인증시스템의 인증센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로 데이터를 송출하는 방송시스템(100)과,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방송 서비스 사용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센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시스템(100)은 다수의 방송 컨텐츠 데이터를 방송신호로 송출하여 가입된 다수의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MS))를 통한 방송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송시스템(100)은 다수의 방송 컨텐츠 데이터와, 가입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방송 컨텐츠를 방송신호로 송출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또한, 상기 방송시스템(100)는 상기 방송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방송서버와,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중계하는 중계망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는 방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신호 수신을 위한 방송 모듈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차량용 단말기 또는 방송용 모듈이 구비되는 노트북, PDA,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M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MS)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함을 명시한다.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단말기 즉,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방송서비스에 가입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서비스를 사용 시 인증을 위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 발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는 상기 방송시스템(100) 가입에 따라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발급되는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키 발급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인증키에 대한 키페어(Key pair)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의 고유정보를 암호화 하여, 상기 키페어와 암호화된 고유정보데이터를 상기 인증센터로(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부터 수신되는 키페 어 및 고유정보 데이터를,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데이터로서 상기 인증키와 함께 저장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방송서비스 사용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의 방송서비스 이용시, 인증키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키페어 및 고유정보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MS)와 상기 방송서비스를 이용하고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의 유료 방송서비스 사용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와, 상기 인증키에 대한 인증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정상 가입된 이동통신 단말기(MS)인지 판단함으로서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인증키의 무단 복제 또는 해킹을 통한 비정상 이동통신 단말기(MS)의 유료서비스 사용이 차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 및 상기 인증센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90)과,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모듈(80)과, 상기 인증센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방송서비스 이용에 따른 인증을 시행하는 인증처리부(70)와, 상기 방송모듈(80) 또는 이동통신 모듈(9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는 수행되는 동작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50)와, 키조작에 따른 신호를 인가하여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40)와,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변환하는 오디오부(30)와, 상기 송수신 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 인증을 위한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이동통신 모듈(90) 또는 방송모듈(80)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60)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90) 또는 상기 방송모듈(8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실행하거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여 이동통신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거나 또는 수신된 방송서비스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60)는 재생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오디오신호가 상기 오디오부(30)로부터 변환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방송모듈(80)을 통해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서비스 사용에 따른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방송서비스 이용을 위해 상기 방송시스템(100)에 등록되는 경우, 상기 인증센터(200)로부터 상기 방송서비스 사용에 따른 인증키가 발급된다.
이때,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인증센터(200)로부터 발급되어 수신된 인증키를 바탕으로 공개키 기반의 키페어(Key pair)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키에 대한 상기 키페어와,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고유정보를 인증데이터로서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방송모듈(80)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방송시스템(100) 또는 상기 인증센터(2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인증키 및 인증데이터(키페어, 고유정보)를 호출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방송모듈(80)을 통해 유료 방송서비스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유료서비스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방송시스템(100) 또는 상기 인증센터(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방송시스템(100) 또는 상기 인증센터(200)로부터 인증에 대한 결과가 수신되면,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모듈(8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상기 데이터처리부(60)에 의해 재생 또는 실행되도록 하거나, 인증실패 시 인증데이터가 재전송되도록 하여 인증을 재 시도하거나 또는 방송서비스 수신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인증센터 (200)로부터 인증키가 재 발급되는 경우 그에 따른 키페어를 재 생성하여 인증키 및 인증데이터가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모듈(80) 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9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인증처리부(70)의 인증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처리부(60)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상기 표시부(50) 또는 스피커의 구동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방송모듈(80)을 통해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처리부(7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증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제어부(10)는 상기 생성된 키페어와 암호화된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센터(200)로 전송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데이터가 상기 인증센터(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페어와, 고유정보의 인증데이터가 상기 이동통신 모듈(90)을 통해 상기 인증센터(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인증 실패 시, 상기 방송모듈(80)을 통해 방송서비스가 수신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인증처리부(70)에 의해 재 인증이 수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인증센터(200)와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인증데이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업데이트되도록 상기 인증센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센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시스템(100) 접속을 통해 상기 방송서비스 사용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S) 등록이 시행되는 경우,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키를 발급한다.
이때,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하여 인증키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인증키 생성부(220)와,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30)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인증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증센터(200)는 상기 등록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240)와, 상기 방송시스템(100) 또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키 생성부(2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상기 방송시스템(100)에 가입하여 등록되는 경우,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키 생성부(2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키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에 따라 상기 인증키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 신 단말기(MS)에 대하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MS)인지 판단하여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인증키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발급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부터 상기 인증키에 대한 키페어 또는 고유정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키와 함께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를 통해 상기 방송시스템(100)의 방송서비스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 인증을 요청하고 수신되는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인증키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증키가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인증키와 동일한지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인증키에 대한 인증데이터의 키페어와, 암호화된 고유정보를 비교하고, 실제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정상 등록되어 발급된 인증키를 보유하는지 상기 인증키의 유효성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 키페어 데이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고유정보를 비교하 여 상기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정상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MS)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인증부(230)는 상기 방송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 특히 유료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유료서비스 지역에 진입된 이동통신 단말기(MS)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MS)의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증부(230)는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키페어 데이터 또는 암호화된 고유정보 데이터의 이동통신 단말기(MS)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정상 등록된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방송시스템(100)을 통한 방송서비스의 수신이 불가능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제어부(210)는 상기 인증키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되는 인증키가 이동통신 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로부터 수신되는 인증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인증키와 함께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제어부(210)는 상기 등록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하여 상기 인증부(230) 또는 인증키 생성부(220)를 통해 주기적으로 인증키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인증제어부(210)는 상기 인증부(230)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에 대한 인증 결과를 상기 방송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S)가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접속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인증키 발급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방송서비스 인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함을 명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방송시스템에 가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 발송시스템은 인증센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증키를 요청하게 된다. (M1, M11)
이때,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M21 내지 M23)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가 발급되면 상기 인증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방송서비스 가입 및 인증키 발급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전송된다. (M1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안내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인증키 를 저장한다. (M2)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여 공개키 기반의 키페어(Key Pair)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암호화 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과 같이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 구분되는 고유정보 데이터이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식에 따라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또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키페어와, 압호화된 고유정보 데이터를 상기 인증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로서 상기 키페어 또는 고유정보 데이터를 등록, 저장한다. (M3, M13, M24)
상기와 같이 방송서비스 등록 및 인증키가 발급이 완료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인증키와, 키페어 및 고유정보 등의 인증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M4, M25)
이때,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된 상기 키페어 및 고유정보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 인지 판단하고,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판단되는 경우 인증키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업데이트된 인증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재 발급된 인증키에 대해 키페어를 재 생성하여 상기 인증센터로 전송함으로서 인증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와 같이 방송서비스 사용을 위한 등록 및 인증키 발급 완료 후 상기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송시스템은 연결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인증센터로 인증을 요청한다. (S1, S11, S12)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료서비스 접근을 요청하거나, 유료 서비스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료서비스 가입자 인지 확인하기 위해 인증을 요청한다.
상기 방송시스템의 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증키 및 키페어, 고유정보데이터의 인증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센터는 자체 저장된 인증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데이터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S2, S21,S22,S23)
이때,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정상 발급된 인증키 인지 상기 인증키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상기 인증데이터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판단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 발급된 인증키를 보유하더라도, 상기 인증키 발급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키페어 및 고유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 인지 판단한다.
예를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는 정상 발급된 것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인증키에 대한 키페어의 일치여부, 또는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인증키에 대한 고유정보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 등록 여부를 판단하며, ESN , IP 등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키가 무단 복제되거나 해킹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결과를 상기 방송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정상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판단되어 정상 인증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정상인증 메시지가 상기 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방송시스템은 정상 인증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 (S24, S13, S14)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그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방송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재 인증을 요청하거나 방송서비스 접근 불가에 따른 메시지 및 접근이 차단되도록 한다. (S25, S13, S1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인증결과메시지를 출력하고, 인증완료여부에 따라 인증데이터 불일치 또는 방송서비스 접근 불가에 따른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인증데이터를 재전송하여 재 인증을 시도하거나 연결된 접속을 해제하게 된다. (S3 내지 S5)
또는 상기 방송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송 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실행 또는 재생하여 출력한다. (S6)
따라서, 상기 방송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발급된 인증키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등록여부를 판단함으로서, 정상상태의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키페어 또는 고유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시행함으로서, 무단 복제 또는 해킹으로 인하여 등록되지 않은 비정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발생되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인증키가 발급되고, 방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에 대한 키페어 및 암호화된 고유정보가 인증센터로 전송되어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방송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키의 유효성 판단이외에도 상기 인증키에 대한 단 말기의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서, 무단 복제 또는 해킹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이중으로 인증을 시행하여 보완이 강화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키를 바탕으로 단말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외부로 상기 생성된 인증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부는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여 공개키 기반의 키페어(Key Pair)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부는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암호화 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인증키 및 인증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시스템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기와;
    상기 방송시스템 등록에 따른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발급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데이터를 등록하여, 상기 인증키 및 상기 인증데이터를 비교하여 방송서비스 이용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방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PDA, PMP, 차량용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방송신호 수신이 가능한 방송모듈과;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키에 대하여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증처리부와;
    상기 방송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분석하여 실행 또는 재생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데이터가 상기 인증센터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인증키에 대한 공개키 기판의 키페어(Key Pair)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암호화 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방송시스템에 등록되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와;
    상기 방송시스템의 방송서비스 이용 시, 연결된 단말기가 정상 등록된 단말기 인지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센터는 상기 인증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결과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센터는 등록된 단말기에 대한 인증키 데이터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데이터가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방송시스템의 인증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인증키 보유 여부 및 인증키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방송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인증데이터로부터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가 정상 등록된 단말기 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제어부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 인증키 생성부로부터 인증키가 재 생성되도록 하여 상기 인증키 및 인증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
  14. 가입된 단말기에 대하여 인증키를 생성/발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는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인증데이터를 상기 인증키와 함께 저장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수신된 인증키에 대하여 공개키 기반의 키페이(Key pair)를 생성하고, 단말기의 고유저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단말기의 방송서비스 이용 요청 시, 상기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기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증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인증키를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인증키가 발급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인증데이터를 판독하여, 연결된 단말기 정보와 비교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인증키 검사 결과 및 상기 단말기 정보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연결된 단말기의 정상 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정상 등록된 단말기인 경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된 방송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고, 인증 실패 시 상기 단말기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인증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050106579A 2005-11-08 2005-11-08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49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579A KR20070049436A (ko) 2005-11-08 2005-11-08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A2006101382367A CN1964566A (zh) 2005-11-08 2006-11-08 生成认证数据的移动通信终端和终端认证系统及其动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579A KR20070049436A (ko) 2005-11-08 2005-11-08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436A true KR20070049436A (ko) 2007-05-11

Family

ID=380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579A KR20070049436A (ko) 2005-11-08 2005-11-08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49436A (ko)
CN (1) CN196456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29B1 (ko) * 2007-07-18 2008-10-23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Iptv 셋톱박스의 불법복제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9725B1 (ko) * 2007-08-21 2010-02-01 (주)에이티솔루션 모바일 단말기 인증 방법
KR100978926B1 (ko) * 2008-05-26 2010-08-30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제공 방법
KR101427144B1 (ko) * 2011-10-27 2014-11-04 이준범 해킹방지 방화벽 시스템의 해킹방지 방법
WO2018093060A1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18155832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0961A (zh) * 2012-09-07 2013-01-16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鉴权方法、移动终端、鉴权系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29B1 (ko) * 2007-07-18 2008-10-23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Iptv 셋톱박스의 불법복제 사용 방지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9725B1 (ko) * 2007-08-21 2010-02-01 (주)에이티솔루션 모바일 단말기 인증 방법
KR100978926B1 (ko) * 2008-05-26 2010-08-30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제공 방법
KR101427144B1 (ko) * 2011-10-27 2014-11-04 이준범 해킹방지 방화벽 시스템의 해킹방지 방법
WO2018093060A1 (ko)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0967835B2 (en) 2016-11-15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18155832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CN110325409A (zh) * 2017-02-24 2019-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认证车辆智能钥匙的方法和装置
US11242031B2 (en) 2017-02-24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vehicle smart key
CN110325409B (zh) * 2017-02-24 2022-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认证车辆智能钥匙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4566A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35520B (zh) 设备认证的方法、服务接入控制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1277299B1 (en) Method for securing communications between a terminal and an additional user equipment
US5390252A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using the method
EP3506591B1 (en) Method of registering devices
US8555069B2 (en) Fast-reconnection of negotiable authentication network clients
US7707403B2 (en) Authent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lay apparatus
KR20070049436A (ko)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 인증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3209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message sending method, and program for allowing terminal to execute the method
JP4594753B2 (ja) 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送信装置、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送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利用許可証受信プログラム
JP2019140577A (ja) 電子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10108150A (ko) 보안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복호화를 사용하는 인증 및단일 트랜젝션의 인증을 시행하는 방법
CN105472192A (zh) 实现控制安全授权和分享的智能设备、终端设备及方法
US8831225B2 (en) Security mechanism for wireless video area networks
US20050281406A1 (en) Method and device to guarantee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a set of data
JPH10145354A (ja) 機能遠隔変更方法
JP2002300152A (ja) 通信セキュリティ保持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KR10079652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식별모듈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CN112512048A (zh) 移动网络接入系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050007583A (ko) 인증된 액세스로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및 단자
US20070150731A1 (en) Authenticating device, authenticated device and key updating method
CN111491272B (zh) 一种车辆解锁方法及系统
JP2001352323A (ja) オフライン端末認証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オフライン端末認証方法
CN114785532B (zh) 一种基于双向签名认证的安全芯片通信方法及装置
JPH11232775A (ja) 管理基準作成方法、管理基準作成システム、及び媒体
CN112187808B (zh) 一种交通电子认证平台及认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