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382A -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382A
KR20180020382A KR1020160104606A KR20160104606A KR20180020382A KR 20180020382 A KR20180020382 A KR 20180020382A KR 1020160104606 A KR1020160104606 A KR 1020160104606A KR 20160104606 A KR20160104606 A KR 20160104606A KR 20180020382 A KR20180020382 A KR 2018002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user
door
use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차헌승
Original Assignee
(주)가드텍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드텍, (주)유니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가드텍
Priority to KR1020160104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382A/ko
Publication of KR2018002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07C2009/00642Power supply for the lock by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도어의 개폐에 대한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키와 상기 전자 키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SMART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택, 아파트, 점포, 사무실, 공장 등과 같은 공간의 입구에는 출입문과 같은 도어가 설치되며, 이러한 도어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방범 목적으로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다.
도어락 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고전적인 방법이 아닌 비밀번호의 입력 또는 지문, NFC 카드 등과 같은 인증 수단을 통해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물리적인 열쇠를 사용해야 하는 잠금 장치의 불편함을 해소해줄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여 점차적으로 그 사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이 점차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도어락 장치의 제어 기술은 위치 기반 등의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가 도어 근처에 근접함에 따라 특별한 조건없이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므로, 사용자가 정말로 도어의 개방을 원할때에 도어락 장치를 개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과정은 수반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9208호 (공개: 2007.07.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리 도어락 장치를 개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되, 실제로 도어락 장치를 개방하는 행위 자체는 사용자의 간편하면서도 명시적인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도어락 장치를 개방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도어의 개폐에 대한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키와 상기 전자 키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키패드가 복수의 물리 키로 구현된 경우,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복수의 물리 키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키를 누르는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가 하나 이상의 UI 아이템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UI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접촉 입력 또는 상기 손잡이부를 그립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터치 오픈 기능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때로부터 상기 손잡이부에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터치 오픈 기능은 상기 사용자 접촉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 접촉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을 확인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대한 인증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인증 키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페를 위한 제1 수행 조건을 확인하고, 도어락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인 제2 수행 조건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도어락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도어락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은 이용 형태에 따라서 서버(200) 및 도어락 장치(3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나타낸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이 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예: 프로세서) 및 출력부(예: 터치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는 예시적인 것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는 도어락 장치(300) 또는 서버(200)와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는 이동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모듈), 무선 랜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 모듈은 AP(액세스 포인트, 무선 공유기)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Z-Wave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 서버(200) 또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어,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는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은 도어락 장치(300)의 인증 및 관리를 위해 집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을 앱 스토어(또는, 마켓)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이를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을 실행하여 서버(200)와 접속할 수 있고, 접속된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30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을 실행하여 계정 생성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도어락 장치(300)의 인증 키 또는 도어락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키 또는 도어락 접속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50)을 통해 도어락 장치(30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관리하는 프로그램 또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도어락 장치(3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선택하는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인증 키 및 도어락 접속 정보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인증 키 및 도어락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도어락 장치(300)의 종류가 복수개인 경우, 서버(200)는 각 도어락 장치(300)에 해당하는 인증키 및 도어락 접속 정보를 각 도어락 장치(300)에 대응되도록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계정 생성 절차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특정 도어락 장치(300)의 제어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이 해당 도어락 장치(300)를 제어할 권한이 있는지를 계정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계정 정보는 예컨대, 아이디, 비밀 번호, 개인 식별 정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어락 장치(300)는 사용자의 집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출입문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자식 잠금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300)는 소정 거리내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인식하고, 도어의 개폐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수행 조건 및 제2 수행 조건을 확인한다.
이러한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도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키패드형인 제1 실시예와, 일체형인 제2 실시예로서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2의 구성요소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300)는 도 2의 구성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가지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락 장치(300)는 통신부(310), 구동부(320), 저장부(330), 전원 공급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장치(300)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와 같은 통신부(310), 구동부(320), 저장부(330), 전원 공급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는 하우징(3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 디바이스(즉,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버(200))와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통신부(310)는 WiFi, 블루투스 또는 셀룰러 통신등을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등을 제어부(350)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등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또는 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락 장치(3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모드(동작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의 구동부(320)는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20)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잠금 수단, 이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구동부(320)는 도어를 개방한 후 사용자가 도어를 통과하면 또는 사용자가 도어를 통과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의 저장부(3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330)는 도어락 장치(300)의 개폐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도어락 장치(300)의 개방을 위하여 필요한 비밀번호 및/또는 전자키 등의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등을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저장부(33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의 전원 공급부(340)는 통신부(310), 구동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터치 오픈 기능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때로부터 하우징(30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접촉 입력을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통해 감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도어락 장치(300)의 하우징(301)은 금속과 같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의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도어락 장치(300)의 전원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도어락 장치(3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어락 장치(30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는 후술할 도 4 및 도 5의 키패드 및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스피커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도 4 및 도 5의 키패드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예시도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305).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S310).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에 최초 접속되는 경우,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생성 절차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회원 가입등의 절차를 통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 생성과정에서 아이디/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도어락 장치(300)를 선택하거나 사전에 정의된 도어락 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S31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도어락 장치(300)를 나타내는 UI 아이템 및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선택된 도어락 장치(300)에 대해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0). 이를 위해,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생성과정에서 기록된 사용자 정보 또는 도어락 장치(300)의 식별 번호를 참조할 수 있다.
권한이 없다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해당 권한이 없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진동, 벨 또는 푸시 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권한이 있다면,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락 장치(300)에 대응되는 인증 키 및 도어락 접속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325). 이를 위해, 서버(200)는 도어락 장치(300)의 식별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인증 키 및 도어락 접속 정보를 매핑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키는 특정 도어락 장치(300)의 전자 키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도록 설정된 문자 또는 숫자 등의 텍스트 또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락 접속 정보는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정보, 접속 시간, 인식 횟수 또는 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인증 키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도어락 장치(300)로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셀룰러 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요청은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3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 키를 요청할 수 있다(S335).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암호화된 인증 키를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고(S340), 도어락 장치(100)는 수신된 인증 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S345). 이러한 인증 키의 암호화 과정은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서버(200)에서 미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어락 장치(300)는 저장된 전자 키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키를 비교할 수 있고(S350), 비교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355).
전술한 도어락 장치(300)의 선택과정과 인증 키 비교과정은 도어의 개폐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수행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35)을 통해 특정 도어락 장치(300)를 선택하기만 하면,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에서 도어락 장치(300)의 제어와 관련되어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행 조건이 충족되는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300)는 후술할 제2 수행 조건(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락 장치(300)로 원터치 오픈 기능을 요청할 수 있다(S360). 원터치 오픈 기능은 제1 수행 조건이 충족되는 상태에서 도어락 장치(300)로 하여금 제2 수행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게 하는 기능일 수 있다.
원터치 오픈 기능 요청을 수신한 도어락 장치(300)는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S3650).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원터치 오픈 기능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때로부터 하우징(30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S370),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S375).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300)는 물리적인 버튼 입력을 감지하거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가 개시된다. 이러한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는 키패드(410) 및 프레임(420)을 포함하는 하우징(301_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키패드(410)가 터치형으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키패드(410)는 버튼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키패드는 복수의 물리 키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UI 아이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을 하우징(301_1) 중 적어도 일부 물리적 영역을 접촉할 수 있고,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는 이러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2 수행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는 키패드(530)중 특정 키(5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버튼을 누르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키(530)는 숫자 키뿐 아니라 특수 키(예: * 또는 #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는 상기 키패드(410)에서 특정 키 영역을 제외한 영역(417) 및 프레임(420)에 대한 터치 입력에도 응답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형 도어락 장치(300_1)는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키패드(410)를 통해 입력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도 있다. 통신 장애 또는 기계적 장애에 따라 원터치 오픈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도어락 장치(300_2)가 개시된다. 이러한 통합형 도어락 장치(300_2)는 키패드(510) 및 손잡이부(520)가 구비된 하우징(301_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키패드(510)가 버튼식으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키패드(510)는 터치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와 마찬가지로, 통합형 도어락 장치(300_2)는 제1 수행 조건이 충족되는 상태에서 키패드(510)의 특정 키(511, 515) 및 키패드(510)의 특정 영역(513)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누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수행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통합형 도어락 장치(300_2)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손잡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형 도어락 장치(300_2)는 손잡이부(5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스치거나, 상기 손잡이부(520)를 그립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부(5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2 수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수행 조건이 충족되는 상태에서 키패드 또는 손잡이부를 통해 제2 수행 조건인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 개방 후 도어 개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S380), 사용자 단말(300)은 수신된 도어 개방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버(200)는 도어 개방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에서 전술한 제1 수행 조건 또는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35)을 실행하는 동작은 사용자의 사전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사전 설정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이동 패턴 결정, 주변 AP 검색을 통한 설정,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특별한 제스처(예: 전화기를 흔듦), 비콘 등의 외부 알림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들과 같이,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35)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페를 위한 제1 수행 조건을 확인하고,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인 제2 수행 조건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락 어플리케이션(135)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도어락 장치(300)를 선택하는 동작과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접촉 입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300)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서버 300: 도어락 장치

Claims (10)

  1.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도어의 개폐에 대한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전자 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인증 키와 상기 전자 키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접촉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가 복수의 물리 키로 구현된 경우,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복수의 물리 키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 키를 누르는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가 하나 이상의 UI 아이템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UI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의 손으로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 또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입력은,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한 접촉 입력 또는 상기 손잡이부를 그립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터치 오픈 기능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때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터치 오픈 기능은 상기 사용자 접촉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기능인 것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사용자 접촉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인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도어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도어락 장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계정을 확인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에 대한 인증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인증 키를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20160104606A 2016-08-18 2016-08-18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20180020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06A KR20180020382A (ko) 2016-08-18 2016-08-18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06A KR20180020382A (ko) 2016-08-18 2016-08-18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46A Division KR20180074620A (ko) 2018-05-11 2018-05-11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82A true KR20180020382A (ko) 2018-02-28

Family

ID=6140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06A KR20180020382A (ko) 2016-08-18 2016-08-18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0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2299A (zh) * 2019-01-28 2019-05-03 深圳达实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LoRa通信的智能门锁控制装置、系统及方法
KR20200061843A (ko) * 2018-11-26 2020-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843A (ko) * 2018-11-26 2020-06-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CN109712299A (zh) * 2019-01-28 2019-05-03 深圳达实物联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LoRa通信的智能门锁控制装置、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369B (zh) 配置锁的移动设备的使用
US11968525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2408290B1 (ko) 전자식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및 액세스 제어 방법
TWI491790B (zh) 智慧鎖具及其操作方法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CN105321240A (zh) 智能门锁的控制方法和装置及智能门控系统
US11521450B2 (en)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80097981A (ko) 차량용 스마트키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90045501A (ko) 스마트기기 무선 통신과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한 게이트 자동인증 시스템
KR101861057B1 (ko)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20382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US10169940B1 (en) Electric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US20110003588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an apparatus with a mobile phone
KR20220103090A (ko) 모바일 디지털 잠금 기술
KR20180074620A (ko)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965352B1 (ko) 보안성이 강화된 이동통신 응용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무선연결장치
KR20050015000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JP2006080674A (ja) 無線データ通信装置、無線データ通信方法、及び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15031918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server
KR101536595B1 (ko) 음파 데이터 통신과 otp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 시스템
TWI624580B (zh) Electronic lock, information logi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login accuracy
KR100797123B1 (ko)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6321230B1 (ja) ドア制御装置、及びドア制御方法
Rupavathi et al. Modern Approach of Industrial Equipments Control Using Android Ap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