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843A -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843A
KR20200061843A KR1020180147598A KR20180147598A KR20200061843A KR 20200061843 A KR20200061843 A KR 20200061843A KR 1020180147598 A KR1020180147598 A KR 1020180147598A KR 20180147598 A KR20180147598 A KR 20180147598A KR 20200061843 A KR20200061843 A KR 2020006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borrower
state
storage box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620B1 (ko
Inventor
구민규
김민준
오용석
김영운
염근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6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책을 대여하는 서비스와 보관소를 제공함으로써 직접 만나거나 3자를 이용하지 않고 임대하여 사용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반납할 수 있고, 반납 과정에서 회원 정보를 이용해서 책의 회손 및 미반납 책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은 책을 빌려주거나 기부할 수 있는 대여자와 상기 대여자로부터 책을 빌리는 대출자가 상기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책보관함(200);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접근키를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구성하되, 상기 책보관함(200)은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접근키를 읽어들이는 NFC리더기(230); 상기 NFC리더기(230)에서 읽은 접근키의 권한을 판별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승인된 접근키에 의해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는 잠금장치(210);가 마련되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데이터베이스(320);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 및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행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BOOK SHARING SERVICE USING THE BOOKBOX}
본 발명은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책을 대여하는 서비스와 보관소를 제공함으로써 직접 만나거나 3자를 이용하지 않고 임대하여 사용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반납할 수 있고, 반납 과정에서 회원 정보를 이용해서 책의 회손 및 미반납 책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유경제가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여러 공유서비스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도서 공유서비스 또한 나오게 되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은 거래에 있어서 책을 등록한 사람과 빌리는 사람과의 거래에 있어 여러 종류가 있으며 거래 중개 역할로 도서관을 사용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8200590000], 도서 공유는 아니나 도서 릴레이에서 직접만나서 전해주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8627470000] 등을 꼽을 수 있다.
등록된 도서 공유서비스의 경우 대부분 중개 역할로 공유 책 물류센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자신의 책을 물류센터에 보내고, 도서를 원하는 사람이 있을 시 수수료와 택배비를 받고 도서를 택배로 보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도서를 빌려주는 사람이 물류센터에 책을 보내버리면 그 책을 추후에 볼 수 없으며, 다시 반환을 원할시 자신의 책을 택배비를 주고 다시 받아와야 한다. 또한 반환된 책의 훼손이나 분실할 시 대처 방안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005900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2747000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책을 대여하는 서비스와 보관소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적 및 금전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도서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S 개인 인증을 통해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책의 훼손과 미반납 시 대처가 가능한 도서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웹을 통하여 모든 책 보관함을 관리하고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한 도서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은 책을 빌려주거나 기부할 수 있는 대여자와 상기 대여자로부터 책을 빌리는 대출자가 상기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책보관함(200);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접근키를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구성하되,
상기 책보관함(200)은,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접근키를 읽어들이는 NFC리더기(230);
상기 NFC리더기(230)에서 읽은 접근키의 권한을 판별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승인된 접근키에 의해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는 잠금장치(210);가 마련되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데이터베이스(320);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 및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행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여자의 책 등록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책의 바코드를 카메라로 찍어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책의 제목을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은 책의 상태를,
상기 책을 등록한 상태(None);
상기 책을 대출자가 예약한 상태(State 0);
상기 대여자가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1);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상기 책보관함(200)에 넣어둔 상태(State 2);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서 상기 책을 들고 간 상태(State 3);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의 반납을 위해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4);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넣어둔 상태(State 5);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들고 가고 상기 책상태를 확인한 상태(Complete);의 단계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책을 대여하는 서비스와 보관소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적 및 금전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S 개인 인증을 통해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책의 훼손과 미반납 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웹을 통하여 모든 책 보관함을 관리하고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책보관함(200)의 보안이 증가되어 해킹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책보관함(20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책보관함(200)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회원가입 과정을 나타내는 회원가입 알고리즘이다.
도 6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책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책 등록 알고리즘이다.
도 7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책 상태 단계를 나타내는 책 상태표이다.
도 8은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제공하는 책보관함(200) 접근키 제공 알고리즘이다.
도 9는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는 거래정보이다.
도 10은 서버(300)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생성하는 책보관함(200) 접근키 생성 알고리즘(셔플 알고리즘)이다.
도 11은 서버(300)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생성하는 책보관함(200) 접근키 생성 알고리즘(셔플 알고리즘)의 일실시예이다.
도 12는 책보관함(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공개키(A)와 개인키(B)의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셔플 알고리즘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의 이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서 공유 방법은 하기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먼저, 제1단계(S100)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회원가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회원가입은 SMS인증을 통해 실시된다.
제2단계(S200)는 책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책 등록은 바코드 또는 검색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제3단계(S300)는 예약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등록된 책의 예약여부를 확인한 뒤 상기 책이 예약되어 있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제4단계(S400)는 상기 등록된 책이 보관되는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는 접근키를 획득한다.
제5단계(S500)는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보관한다.
제6단계(S600)는 상기 예약된 책을 예약한 예약자에게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푸쉬(push) 알림한다. 상기 푸쉬(push) 알림은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를 알려주고, 상기 책보관함(200)의 접근키를 알려준다.
아래는 본 발명의 구성인 책보관함(200), 서버(300) 및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책보관함(200)은 책을 빌려주거나 기부할 수 있는 대여자와 상기 대여자로부터 책을 빌리는 대출자가 상기 책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책보관함(200)은, 도 2 내지 도 3은 NFC리더기(230), 제어부(220), 잠금장치(210) 및 손잡이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책보관함(200)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신부가 마련되지 않는다.
상기 NFC리더기(230)는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접근키를 읽어들인다. 상기 NFC리더기(230)는 상기 책보관함(200)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NFC리더기(230)에서 읽은 접근키의 권한을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책보관함(2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NFC리더기(230)의 하단에 마련된다.
상기 잠금장치(210)는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승인된 접근키에 의해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210)는 상기 책보관함(200)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고 특히 상기 NFC리더기(230)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장치(210)는 걸림부(210a)와 수용부(210b)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210a)는 상기 책보관함(200)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210b)는 상기 책보관함(200)의 내부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조절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NFC리더기(230)로 상기 접근키를 읽어들이고 상기 접근키가 올바른 키 값인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220)에서 확인하고, 상기 접근키가 올바른 경우 상기 잠금장치(210)가 오픈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300)는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서버(300)는 거래데이터베이스(320),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 및 실행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자는 상기 거래테이블을 통해 상기 등록된 책 정보,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본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 상기 책의 훼손, 분실 및 상기 책보관함(200)에 책 방치 등을 한눈에 보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거래중이 사용자들의 목록과 책의 훼손, 분실 시 빌린 사람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관리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는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한다. 상기 접근키의 생성 및 제공방법은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행부(330)는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접근키를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회원가입 과정을 나타내는 회원가입 알고리즘이다. 상기 등록된 책은 훼손과 분실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확실한 신원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SMS인증을 통한 인증과 선호 책보관함(200) 장소를 기입하여 회원가입이 진행된다.
먼저, 상기 회원가입은 제1-1단계(S110)로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였는지 휴대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한다.
제1-2단계(S120)는 상기 제1-1단계(S110)에서 회원가입이 안된 경우 SMS를 통하여 인증을 한다.
제1-3단계(S130)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정보를 등록한다.
제1-4단계(S140)는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회원정보를 등록하여 회원가입 한다.
제1-5단계(S150)는 상기 제1-1단계(S110)에서 회원가입이 된 경우와 상기 제1-4단계(S140)에서 회원가입을 완료한 경우 메인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원가입 과정을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을 열 때마다 회원가입 여부를 판단하며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을 경우 SMS 인증을 통하여 회원가입이 진행되고, 한번 회원가입을 한 경우 자동로그인 기능이 마련되어 있어 로그인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메인화면은 대여자 및 대출자 기능으로 분리 설정되고, 상기 대여자인 경우 책 등록 구성, 책 상태 표시 구성 및 상기 접근키 획득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대여자의 책 등록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책의 바코드를 카메라로 찍어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책의 제목을 검색하여 등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책 등록 구성에서 상기 책 등록 방법을 상기 책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제2-1단계(S211) 및 상기 책의 제목으로 검색하는 제2-1단계(S212)로 분리하여 등록한다.
제2-2단계(S220)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책을 확인한다. 상기 책의 제목으로 검색하는 것은 네이버 도서 검색 API를 사용하며 상기 사용자가 잘못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접 책의 제목과 저자를 기입하지 않도록 한다.
제2-3단계(S230)는 상기 확인된 책의 정보 및 사진을 입력한다.
제2-4단계(S240)는 상기 사진의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제2-5단계(S250)는 상기 2-4단계(S240)에서 사진이 등록된 경우 상기 책의 등록 유형을 선택한다. 상기 책의 등록은 대여할 수 있거나 기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6단계(S260)는 상기 책의 내용 및 상태정보는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S261)하고, 상기 책의 사진은 서버(300) 저장부에 먼저 저장한 후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S262)한다.
제2-7단계(S270)는 상기 책의 등록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 및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색깔로 구분하고, 상태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책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먼저, 제3-1단계(S310)는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상기 책을 등록한 상태(None)이다.
제3-2단계(S320)는 상기 책을 대출자가 예약한 상태(State 0)이다.
제3-3단계(S330)는 상기 대여자가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1)이다.
제3-4단계(S340)는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상기 책보관함(200)에 넣어둔 상태(State 2)이다.
제3-5단계(S350)는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서 상기 책을 들고 간 상태(State 3)이다.
제3-6단계(S360)는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의 반납을 위해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4)이다.
제3-7단계(S370)는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넣어둔 상태(State 5)이다.
제3-8단계(S380)는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들고 가고 상기 책상태를 확인한 상태(Complete)로 나타내어 단계별로 제공한다.
또한, State 1 및 State 5는 파란색으로 나타내어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State 2 및 State 4는 주황색으로 나타내어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8은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제공하는 책보관함(200) 접근키 제공 알고리즘이다. 상기 접근키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사용자(대여자 또는 대출자)에게 제공된다.
먼저, 제4-1단계(S410)는 상기 대출자가 도서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거래 아이디(ID)를 부여 받는다. 상기 거래 아이디(ID)는 상기 도서가 등록되면 거래로 지정하고 각 거래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 아이디(ID)이다. 상기 거래 아이디(ID)를 이용하여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의 거래 목록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회원가입 시 사용한 유저 아이디(user ID)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4-2단계(S420)는 상기 거래 아이디(ID)를 수신 받은 상기 서버(300)는 상기 거래 아이디(ID)가 지정한 책의 상태가 책보관함(200)의 접근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 State 1, State 2, State 4 및 State 5 인지 확인한다.
제4-3단계(S430)는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1 및 State 5인 경우,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여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4-4단계(S440)는 상기 4-3단계(S430)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2 및 State 4인지 판단 후 일치하면,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4-5단계(S450)는 상기 4-4단계(S440)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의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300)부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상기 접근키를 제공한다.
도 9는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래 ID, 상기 책 상태(거래 상태), 상기 대여자 아이디(ID), 상기 대출자 아이디(ID),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책보관함 아이디(ID) 및 상기 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규격화(table)하여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상기 책보관함 아이디(ID)는 설치된 여러 책보관함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아이디(ID)로, 이를 통하여 어느 책보관함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지 파악이 용이하며 또한 사용자가 책보관함을 열 킷값을 요청하였을 때 해당 책보관함 아이디(ID)의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상기 접근키를 뽑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는 책보관함 1개당 1개씩을 가지며 상기 각 거래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책보관함 아이디(ID)로 접근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사용자가 책보관함 아이디 3을 열 접근키 값을 요청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책보관함 아이디 3의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개인키(Private-key, 이하 개인키)를 전송해준다. 상기 개인키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책보관함(200)의 보안을 증가시키기 위해 알고리즘을 증가시켰다. 허가 되지 않은 사용자가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시스템을 뚫는 방법과 NFC read/write program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시스템 해킹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책 상태와 대여자 및 대출자의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하여 책 보관함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이는 사용자의 접근키 값 요청에 의해 실행되며,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NFC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가고 권한이 없는 경우 NFC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갈 수 없다. 따라서 서버(300)를 해킹하지 않는 이상 시스템을 뚫을 수 없다고 판단된다.
2) NFC read/write program
상기 NFC 메시지를 보내는 화면으로 가지 않더라도 상기 NFC 메시지를 읽고 쓰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해킹하기 쉽다.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뚫는 방법은 Brute Force Attack을 사용하여 모든 값들을 대입하여 뚫는 방법과 이전에 사용한 킷값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이다.
가) Brute Force Attack
본 발명은 모든 값을 넣는 문제를 막기 위하여 RSA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RSA 암호화의 경우 1024bit 또는 2048bit를 사용하여 키를 생성한다. 따라서 모든 탐색으로 키를 찾기 위해서는
Figure pat00001
또는
Figure pat00002
의 경우의 수이며 이는 일반 컴퓨터로 수십년을 돌려야 킷값을 찾을 수 있는 경우의 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RSA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접근키 생성은 아래와 같다.
책보관함(200)아이디(ID) + 임의 값(Random Value) = 개인키(Private-key), 공개키(Public key)
상기 개인키는 암호화할 때 동일한 키로 암호화를 복호화 하는 것으로, 문자열 A를 보낼 때 대칭키를 통해 암호화 하고 받는 사람도 보낼 때와 같은 대칭키를 통해서 복호화해서 문자열 A를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받는 사람이 문자열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대칭키를 알아야 되고 이 대칭키는 보내는 사람이 받는 사람에게 유출 위험이 없는 통로를 통해서 전달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 유출 당하게 되면 문자열 A를 쉽게 가로챌 수 있는 단점이 있어서 공개키(Public Key, 비대칭키, 이하 공개키)가 요구 된다.
상기 공개키는 암호화를 할 때와 복호화를 할 때의 키가 다른 것으로, 비대칭키라고 하기보다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라고 한다. 누구에게나 공개되는 공개키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비공개키(개인키,비밀키)로 이루어진다. 문자열을 보내기에 앞서 받는 사람은 상기 공개키 및 개인키 두개를 모두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내는 사람에게 상기 공개키를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보내는 사람은 상기 상기 공개키를 통해 암호화를 하고 받는 사람은 상기 개인키를 통해서 복호화를 하게 된다. 상기 공개키로 암호화한 내용은 상기 개인키를 통해서만 복호화 할 수 있다.
상기 RSA는 암호화는 큰 숫자를 소인수 분해하기 어렵다는 것에 기반을 둔 암호로 상기 공개키를 알더라도 상기 개인키를 유추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상기 RSA 암호화를 통한 상기 공개키와 개인키를 설명하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공개키 및 개인키 암호과 2개의 파일로 각각 만들어진다. 하나의 파일로는 암호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지만, 상기 공개키와 개인키의 암호가 만나야만 암호가 완성되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근키 중 하나인 개인키는 상기 서버(300)가 관리하며, 상기 접근키 중 하나인 공개키는 상기 책보관함(200)이 관리하여 전송해준다. 따라서 상기 책보관함(200)이 전송한 상기 공개키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개인키를 합쳤을 때 비밀번호가 맞으면 잠금장치가 열리게 된다.
나) 이전의 접근키 값을 저장하여 사용
이전의 접근키 값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접근키 값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바꾸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적어도 50개의 지정된 사이클(cycle) 값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정된 값을 사용한다.
(2) 상기 지정된 값은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사용한다.
(3)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사이클(cycle)이 끝난 경우 다시 사용할 수 있다.
(4) 상기 사이클이 끝난 경우 셔플 알고리즘에 의해 순서가 바뀐다.
상기 방법을 사용한다면 사물함에 접근하기 위해서 모든 접근키 값(최소50개)를 알아야 하는 경우 외엔 없다. 이전의 접근키 값을 알아도 상기 셔플 알고리즘에 의하여 순서가 매회 바뀌기 때문에 다음 접근키 값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RSA 접근키 값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접근키 값들을 재사용함으로써 모든 접근키 값을 사용했을 때 새로 업데이트해야 하는 유지보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확실한 보안을 원한다면 모두 사용하였을 때 상기 접근키 값을 업데이트 해주면 된다.
상기 셔플 알고리즘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서버(300)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생성한다.
먼저, 제5-1단계(S451)는 상기 접근키에서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5-2단계(S452)는 상기 지정된 값이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접근키 값이 모두 사용되었을 때 1로 초기화시킨다.
제5-3단계(S453)는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 경우 1을 증가시킨다.
제5-4단계(S454)는 상기 5-2단계(S452)에서 상기 지정된 값이 1로 초기화 되었거나 상기 제5-3단계(S453)에서에서 상기 지정된 값을 1로 증가시킨 경우, 상기 접근키는 상기 제5-2단계(S452)의 값 또는 제5-3단계(S453)의 값으로 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셔플 알고리즘은 단순히 순서를 바꾸는 알고리즘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 적용한 셔플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근키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접근키를 여러 개 두고 사용하였으며 상기 접근키의 순서를 기억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매 사이클마다 상기 접근키의 순서를 섞는 상기 셔플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일례로,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2, 3, 4, 5, 6, 7, 8, 9, 10의 접근키 값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이클 당 상기 접근키 값의 갭(gap)을 1씩 증가 하였다. 이는 해당 키(key)의 개수만큼 반복되고 다시 갭(gap)은 1부터 진행한다.
만약, 상기 접근키의 개수가 10개일 때 각 사이클 마다상기 접근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 1 2 3 4 5 6 7 8 9 10
2 : 1 3 5 7 9 2 4 6 8 10
3 : 1 4 7 10 2 5 8 3 6 9
4 : 1 5 9 2 6 10 3 7 4 8
5 : 1 6 2 7 3 8 4 9 5 10
6 : 1 7 2 8 3 9 4 10 5 6
7 : 1 8 2 9 3 10 4 5 6 7
8 : 1 9 2 10 3 4 5 6 7 8
9 : 1 10 2 3 4 5 6 7 8 9
도 11은 서버(300)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사용자에게 책보관함(200) 접근키를 생성하는 책보관함(200) 접근키 생성 알고리즘(셔플 알고리즘)의 일실시예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책을 대여하는 서비스와 보관소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적 및 금전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S 개인 인증을 통해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므로 책의 훼손과 미반납 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웹을 통하여 모든 책 보관함을 관리하고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책보관함(200)의 보안이 증가되어 해킹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어플리케이션
200. 책보관함
210. 잠금장치 (210a. 걸림부, 210b. 수용부)
220. 제어부
230. NFC리더기
240. 손잡이부
300. 서버
310.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
320. 거래데이터베이스
330. 실행부
S100.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회원가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회원가입은 SMS인증을 통해 실시되는 제1단계
S200. 책을 등록하는 단계이다. 상기 책 등록은 바코드 또는 검색을 통해 등록하는 제2단계
S300. 예약등록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S400. 상기 등록된 책이 보관되는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4단계
S500.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보관하는 제5단계
S600. 상기 예약된 책을 예약한 예약자에게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을 통해 푸쉬(push) 알림하는 제6단계
S110. 상기 회원가입은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였는지 휴대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는 제1-1단계
S120. 상기 제1-1단계(S110)에서 회원가입이 안된 경우 SMS를 통하여 인증하는 제1-2단계
S130.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데이터베이스에 회원정보를 등록하는 제1-3단계
S140.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회원정보를 등록하여 회원가입 하는 제1-4단계
S150. 상기 제1-1단계(S110)에서 회원가입이 된 경우와 상기 제1-4단계(S140)에서 회원가입을 완료한 경우 메인화면을 확인하는 제1-5단계
S211, S212. 상기 책 등록 구성에서 상기 책 등록 방법을 상기 책의 바코드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제2-1단계 및 상기 책의 제목으로 검색하는 제2-1단계
S220.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책을 확인하는 제2-2단계
S230. 상기 확인된 책의 정보 및 사진을 입력하는 제2-3단계
S240. 상기 사진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제2-4단계
S250. 상기 2-4단계(S240)에서 사진이 등록된 경우 상기 책의 등록 유형을 선택하는 제2-5단계
S260. 상기 책의 내용 및 상태정보는 상기 서버(300)의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S261)하고, 상기 책의 사진은 서버(300) 저장부에 먼저 저장한 후 상기 거래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S262)하는 제2-6단계
S270. 상기 책의 등록을 완료하는 제2-7단계
S310.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상기 책을 등록한 상태(None)인 제3-1단계
S320. 상기 책을 대출자가 예약한 상태(State 0)인 제3-2단계
S330. 상기 대여자가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1)인 제3-3단계
S340.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상기 책보관함(200)에 넣어둔 상태(State 2)인 제3-4단계
S350.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서 상기 책을 들고 간 상태(State 3)인 제3-5단계
S360.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의 반납을 위해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4)인 제3-6단계
S370.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넣어둔 상태(State 5)인 제3-7단계
S380.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들고 가고 상기 책상태를 확인한 상태(Complete)로 나타내어 단계별로 제공하는 제3-8단계
S410. 상기 대여자 또는 대출자는 거래 아이디(ID)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회원가입 시 사용한 유저 아이디(user ID)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 제4-1단계
S420. 상기 거래 아이디(ID)를 수신 받은 상기 서버(300)는 상기 거래 아이디(ID)가 지정한 책의 상태가 책보관함(200)의 접근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 State 1, State 2, State 4 및 State 5 인지 확인하는 제4-2단계
S430.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1 및 State 5인 경우,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여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4-3단계
S440. 상기 4-3단계(S430)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2 및 State 4인지 판단 후 일치하면,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4-4단계
S450. 상기 4-4단계(S440)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의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300)부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상기 접근키를 제공하는 제4-5단계
S451. 상기 접근키에서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1단계
S452. 상기 지정된 값이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접근키 값이 모두 사용되었을 때 1로 초기화시키는 5-2단계
S453.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 경우 1을 증가시키는 제5-3단계;
S454. 상기 5-2단계(S452)에서 상기 지정된 값이 1로 초기화 되었거나 상기 제5-3단계(S453)에서에서 상기 지정된 값을 1로 증가시킨 경우, 상기 접근키는 상기 제5-2단계(S452)의 값 또는 제5-3단계(S453)의 값으로 지정하는 제5-4단계

Claims (11)

  1. 책을 빌려주거나 기부할 수 있는 대여자와 상기 대여자로부터 책을 빌리는 대출자가 상기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책보관함(200);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서버(300); 및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은 접근키를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구성하되,
    상기 책보관함(200)은,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접근키를 읽어들이는 NFC리더기(230);
    상기 NFC리더기(230)에서 읽은 접근키의 권한을 판별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승인된 접근키에 의해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는 잠금장치(210);가 마련되고,
    상기 서버(300)는,
    상기 대여자가 등록하는 책 정보와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간의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데이터베이스(320);
    상기 대여자와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을 오픈할 수 있도록 접근키를 제공하는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 및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행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자의 책 등록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책의 바코드를 카메라로 찍어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 업로드하거나 상기 책의 제목을 검색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자의 책 등록은 대여하거나 기부 중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은,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 및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색깔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은 책의 상태를,
    상기 책을 등록한 상태(None);
    상기 책을 대출자가 예약한 상태(State 0);
    상기 대여자가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1);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상기 책보관함(200)에 넣어둔 상태(State 2);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서 상기 책을 들고 간 상태(State 3);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의 반납을 위해 책보관함(200)을 선택한 상태(State 4);
    상기 대출자가 상기 책보관함(200)에 상기 책을 넣어둔 상태(State 5);
    상기 대여자가 상기 책을 들고 가고 상기 책상태를 확인한 상태(Complete);의 단계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키는,
    상기 대출자가 도서를 등록하면 생성되는 거래 아이디(ID)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회원가입 시 사용한 유저 아이디(user ID)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는 제4-1단계;
    상기 거래 아이디(ID)를 수신 받은 상기 서버(300)는 상기 거래 아이디(ID)가 지정한 책의 상태가 책보관함(200)의 접근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 State 1, State 2, State 4 및 State 5 인지 확인하는 제4-2단계;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1 및 State 5인 경우,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여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4-3단계;
    상기 4-3단계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책의 상태가 State 2 및 State 4인지 판단 후 일치하면,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대출자가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에서 로그인한 아이디(ID)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4-4단계;
    상기 4-4단계에서 상기 유저 아이디(user ID)와 상기 아이디(ID)의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300)부의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서 상기 사용자어플리케이션(100)으로 상기 접근키를 제공하는 제4-5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키는,
    1024bit 또는 2048bit를 사용하는 RSA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키는,
    상기 대여자 및 대출자가 선택한 상기 책보관함(200)의 위치에 따라 책보관함(200)아이디(ID)를 부여하고 상기 책보관함(200)아이디(ID)에 임의 값(Random Value)을 더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키 중 하나인 개인키(Private-key)는 상기 서버(300)가 관리하며,
    상기 접근키 중 하나인 공개키(Public-key)는 상기 책보관함(200)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키는,
    적어도 50개의 지정된 사이클(cycle) 값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정된 값을 사용하고,
    상기 지정된 값은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사용되며,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사이클(cycle)이 끝난 경우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클이 끝난 경우 셔플 알고리즘에 의해 순서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셔플 알고리즘은,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1단계;
    상기 지정된 값이 상기 스토어키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접근키 값이 모두 사용되었을 때 1로 초기화시키는 5-2단계;
    상기 지정된 값이 사용된 값인 경우 1을 증가시키는 제5-3단계;
    상기 5-2단계에서 상기 지정된 값이 1로 초기화 되었거나 상기 제5-3단계에서에서 상기 지정된 값을 1로 증가시킨 경우, 상기 접근키는 상기 제5-2단계의 값 또는 제5-3단계의 값으로 지정하는 제5-4단계;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KR1020180147598A 2018-11-26 2018-11-26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KR10214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98A KR102144620B1 (ko) 2018-11-26 2018-11-26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98A KR102144620B1 (ko) 2018-11-26 2018-11-26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43A true KR20200061843A (ko) 2020-06-03
KR102144620B1 KR102144620B1 (ko) 2020-08-13

Family

ID=7108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598A KR102144620B1 (ko) 2018-11-26 2018-11-26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4690A (zh) * 2020-06-22 2020-10-09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助借书方法及自助借书装置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1-05-27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335A (ko) 2021-12-13 2023-06-20 (주)누리봄 취향별 도서 및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630B1 (ko) * 2005-07-20 2006-02-13 박명희 휴대폰을 이용한 개인키 보안 처리방법
KR20120102286A (ko) * 2011-03-08 2012-09-18 (주)리베카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도서 대출/반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8381A (ko) * 2012-06-11 2013-12-19 홍순철 스마트 도서관리시스템
KR20150120067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정수글로벌 스마트 무인 도서관 및 무인 도서관 운영 시스템
KR20150121359A (ko) * 2014-04-18 2015-10-29 김도연 공유책장과 바코드를 활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0059B1 (ko) 2016-01-22 2018-01-18 라미랩 주식회사 홈라이브러리앱과 지역 도서관을 이용한 도서 공유 및 유통시스템
KR20180020382A (ko) * 2016-08-18 2018-02-28 (주)가드텍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862747B1 (ko) 2017-03-03 2018-05-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Qr 코드를 이용한 도서 릴레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630B1 (ko) * 2005-07-20 2006-02-13 박명희 휴대폰을 이용한 개인키 보안 처리방법
KR20120102286A (ko) * 2011-03-08 2012-09-18 (주)리베카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도서 대출/반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8381A (ko) * 2012-06-11 2013-12-19 홍순철 스마트 도서관리시스템
KR20150120067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정수글로벌 스마트 무인 도서관 및 무인 도서관 운영 시스템
KR20150121359A (ko) * 2014-04-18 2015-10-29 김도연 공유책장과 바코드를 활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0059B1 (ko) 2016-01-22 2018-01-18 라미랩 주식회사 홈라이브러리앱과 지역 도서관을 이용한 도서 공유 및 유통시스템
KR20180020382A (ko) * 2016-08-18 2018-02-28 (주)가드텍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862747B1 (ko) 2017-03-03 2018-05-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Qr 코드를 이용한 도서 릴레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4690A (zh) * 2020-06-22 2020-10-09 深圳市智莱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助借书方法及自助借书装置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1-05-27 주식회사 브랜드쉐어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620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395B2 (en) Accessing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blockchain metadata
US110822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recovering accounts using dynamic passwords
USRE47313E1 (en) Securing digital content system and method
CN104919775B (zh) 用于密钥链同步的系统和方法
RU2351078C2 (ru) Эффективное управление генерациями криптографических ключей
US11212347B2 (en) Private content storage with public blockchain metadata
FR3079322A1 (fr) Methode et systeme de gestion d'acces a des donnees personnelles au moyen d'un contrat intelligent
US20220060514A1 (en) Data sharing
CN110120869A (zh) 密钥管理系统及密钥服务节点
US20150195254A1 (en) Event-Triggered Release Through Third Party of Pre-Encrypted Digital Data From Data Owner to Data Assignee
CN105103119A (zh) 数据安全服务系统
CN108667605B (zh) 一种数据加密、解密方法和装置
US8793503B2 (en) Managing sequential access to secure content using an encrypted wrap
US10033724B2 (en) System of composite passwords incorporating hints
JP2006523995A (ja) 認可証明書におけるユーザ・アイデンティティのプライバシ
KR102144620B1 (ko)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US20220014371A1 (en) Digital Identity Escrow Methods and Systems
CN103973698B (zh) 一种云存储环境中的用户访问权限回收方法
KR20220039779A (ko) 강화된 보안 암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
WO2019213752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igital assets in a blockchain
EP3455763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anonymous digital content sharing
Awojobi et al. Data Security and Privacy
Kumar Research on encryption and key aggregate searchable decryption methods for data storage in cloud securely
Austria Dea 2 uth: A Decentraliz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Scheme for Secure Private Data Transfer
Shikha Security and Privacy of Identity Information in Cloud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