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4059A -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4059A
KR20200044059A KR1020207008183A KR20207008183A KR20200044059A KR 20200044059 A KR20200044059 A KR 20200044059A KR 1020207008183 A KR1020207008183 A KR 1020207008183A KR 20207008183 A KR20207008183 A KR 20207008183A KR 20200044059 A KR20200044059 A KR 2020004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h
acrylate
tacti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007B1 (ko
Inventor
마사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20004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5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2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7/36Polysaccharides, e.g. cellulo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4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4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2Polysaccharides, e.g. cellulose, biopolymers
    • C10M2209/123Polysaccharides, e.g. cellulose, biopolymer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4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 C10M2229/0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 C10M2229/052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containing nitrogen
    • C10M2229/0525Siloxanes with specific structur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hydrogen, oxygen or carbon containing nitrog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14Electric or magn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8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적어도 한쪽 표면이,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6 이하인 마찰 특성으로 조정된 필름을 조제한다. 상기 촉감 필름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또한 최표층에 배치된 촉감층을 포함함과 함께, 이 촉감층의 표면이, 0.01 이상의 기울기 a 및 0.6 이하의 절편 b의 직선으로 나타내지는 마찰 특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필름은, 투명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 상에 촉감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필름은 손가락 미끄럼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가전 제품의 하우징, 건축 재료 등의 각종 성형체의 표면에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이 필름의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PC)나 스마트폰 등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가전 제품의 하우징, 건축 재료 등의 각종 성형체의 표면에는,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나, 닿는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보호층 또는 커버층으로서, 하드 코트 필름을 붙이는 방법이나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하드 코트 필름이나 하드 코트층에는, 손으로 접촉했을 때의 미끄럼이 좋을 것이 요구되는데, 미끄럼성의 향상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실리콘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4281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광학 적층체에 사용되는 하드 코트층이며, 방오염제 및/또는 미끄럼성 부여제로서, 규소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최표면을 XPS 해석한 경우에, 규소 원자의 존재율이 10% 이상이고/이거나 불소 원자의 존재율이 20% 이상인 하드 코트층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WO2008/038714(특허문헌 2)에는, 기재와, 이 기재 상에 형성된 광학 기능층과, 상기 광학 기능층 상에 형성되고, 표면의 원소 비율이 규소 원소(Si)와 탄소 원소(C)의 비 Si/C가 0.25 내지 1이며, 불소 원소(F)와 탄소 원소(C)의 비 F/C가 0.1 내지 1이며, 유동 파라핀 접촉각 및 전락각이 65° 이상 및 15° 이하이고, 흑색 매직 접촉각 및 전락각이 35° 이상 및 15° 이하이고, 또한 동마찰 계수가 0.15 미만인 방오층을 갖는 광학 기능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하드 코트층 및 방오층에서는, 실리콘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에 의해 표면의 동마찰 계수를 저감할 수는 있지만, 실제의 손가락 미끄럼성과의 상관 관계는 보이지 않고, 손가락 미끄럼성은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표면이 발수성이 되기 때문에, 친수성이나 친유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용도가 제한되어버렸다.
또한, 손가락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표면에 경사가 높은 독립한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요철 형상의 경사만으로는, 충분한 손가락 미끄럼성은 얻어지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64281호 공보(청구항 1) WO2008/038714(청구범위 제1항)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이 우수한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이 필름의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필름 표면의 마찰 특성을,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5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15 이하인 마찰 특성으로 조정함으로써,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필름(촉감 필름)은 적어도 한쪽 표면이,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6 이하인 마찰 특성을 갖는다. 상기 필름은,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또한 최표층에 배치된 촉감층을 포함함과 함께, 이 촉감층의 표면이, 0.01 이상의 기울기 a 및 0.6 이하의 절편 b의 직선으로 나타내지는 마찰 특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필름은, 투명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 상에 촉감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는,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표면에 상기 필름을 구비한 성형체도 포함된다. 이 성형체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6 이하인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 형상으로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손가락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표면이 특정한 마찰 특성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성(특히, 손가락 미끄럼성 또는 닿는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촉감층 표면의 이동 속도의 대수와 상대 동마찰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촉감 필름]
본 발명의 필름(촉감 필름)은 적어도 한쪽 표면이,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이 하기 식을 충족한다.
μ=a×log(v)+b
(식 중, a≥0.01, b≤0.6임).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선의 기울기 a 및 절편 b가 상기 범위를 충족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촉감 필름의 표면을 훑었을(문질렀을) 때, 동마찰력이 손가락의 이동 속도에 대하여 단조 증가하는 마찰 특성을 갖기 때문에, 손가락 미끄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손가락 미끄럼성이 향상되는 이유의 상세는 불분명하지만, 일반적으로, 물체를 이동시킬 때에 가장 힘이 필요한 것은, 충격량이 커지는 움직이는 순간인 것에 기인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은, 초기의 동마찰력이 작고, 이동 속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점증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가벼운 힘으로 손가락을 움직이게 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 원활하게(작은 마찰감으로) 손가락을 미끄러뜨릴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a는, 0.01 이상이면 되지만, 예를 들어 0.01 내지 0.15,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특히 0.04 내지 0.08) 정도여도 된다. 기울기 a가 너무 작으면, 절편 b가 클 때에 손가락 미끄럼성이 저하된다. 한편, 기울기 a가 너무 크면, 속도가 클 때에 손가락 미끄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절편 b[log(v)가 0인 때의 μ값]는, 0.6 이하이면 되지만, 예를 들어 0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4(특히 0 내지 0.35) 정도여도 된다. 절편 b가 너무 크면, 미끄럼 초기의 걸림감이 커서, 손가락 미끄럼성이 저하된다.
부언하면,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동마찰력은, 정동 마찰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대 동마찰 계수는, 동일한 하중으로 측정한 필름의 동마찰력을, 유리를 검체로 하여 측정한 동마찰력으로 나눈 값이며,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상대 동마찰 계수는, 안정된 유리 표면의 동마찰력과의 상대값으로서, 필름의 마찰 특성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인공 피부의 경시 변화에 따른 오차를 완화한 신뢰성이 높은 평가이다. 또한, 기울기 a 및 절편 b를 구하기 위한 선형 피팅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소프트웨어 「엑셀」을 사용하여, 직선 근사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은, 적어도 한쪽 표면의 상기 마찰 특성을 갖고 있으면 되고, 필름의 재질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조에 대해서,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한쪽 표면의 마찰 특성이 상기 범위로 조정되어 있는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표면의 마찰 특성이 상기 범위로 조정되어 있는 촉감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여도 된다.
(단층 필름 및 촉감층)
단층 필름 및 촉감층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고, 각종 유기 재료(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등)나 무기 재료(유리, 세라믹스, 금속 등)로부터 선택할 수 있지만, 생산성 등의 점에서,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생산성 등의 점에서, (메트)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가 범용된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투명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광학 용도의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 내지 8 정도의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성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성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2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성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수지 중,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중합체,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에,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반응시켜서, 측쇄에 중합성기(광중합성 불포화기)를 도입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다이셀·올넥스(주)제 「사이클로머 P」)여도 된다.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와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와 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를 조합하는 경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중량부 정도이다.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 정도이다.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경화성 수지에 추가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C2-6 아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 C2-4 아실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C3-4 아실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비율은,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특히 3 내지 5중량부) 정도이다.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경화성 수지에 추가로, 미립자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티타니아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등의 무기 미립자,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스티렌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입자, 가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입자, 가교 스티렌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가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입자 등이 범용된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0.2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정도이다. 미립자의 비율은,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중량부(특히 0.4 내지 1중량부) 정도이다.
부언하면, 본 발명에서는, 경화성 수지[특히,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의 조합]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조합하는 경우,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경화성 수지에 추가로, 관용의 첨가제, 예를 들어, 중합 개시제, 안정제(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충전제, 가교제, 커플링제, 착색제, 난연제, 활제, 왁스, 방부제, 점도 조정제, 증점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이 광경화성 조성물일 경우,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또는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에는, 관용의 광증감제나 광중합 촉진제(예를 들어, 제3급 아민류 등)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비율은, 광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중량부 정도이다.
경화 전의 경화성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케톤류, 에테르류, 탄화수소류, 에스테르류, 물, 알코올류, 셀로솔브류,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 아미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용매는 혼합 용매여도 된다. 이들 용매 중,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톤류와 알코올류(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혼합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매의 비율은, 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중량부 정도이다.
단층 필름 및 촉감층의 평균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특히 5 내지 10㎛) 정도이다. 부언하면,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 범위에 있어서, 단층 필름 및 촉감층의 평균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적층체)
촉감 필름이 적층체일 경우, 상기 촉감층이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적층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성이나 취급성 등의 점에서, 기재층 상에 촉감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기재층과, 이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적층된 촉감층의 적층체)가 바람직하다.
기재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유기 재료(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등)나 무기 재료(유리, 세라믹스, 금속 등)로부터 선택할 수 있지만,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광학 용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투명 재료가 바람직하다.
투명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등의 무기 재료;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등의 유기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이 범용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AC)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C3-4 아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로서는, 비스페놀 A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기계적 특성이나 투명성 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PET나 PEN 등의 폴리 C2-4 알킬렌 C8-12 아릴레이트, 비스페놀 A형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기재층은,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저복굴절률이며, 광학적으로 등방성이 우수한 점에서, 미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층은, 표면 처리(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이나 자외선 조사 처리 등)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 용이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의 평균 두께는 10㎛ 이상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12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정도이다.
(점착층)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은, 상기 범위의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의 이면(단층 필름에 있어서의 촉감 필름의 이면이나, 기재층의 표면 등)의 적어도 일부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촉감 필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점착층은, 관용의 투명한 점착제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올레핀계 점착제(변성 올레핀계 점착제 등),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점착제 중, 광학 특성이나 리워크성 등의 점에서,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평균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특히 25 내지 50㎛) 정도이다.
점착층은, 이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면의 일부(예를 들어, 주연부)에 형성하든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주연부에 형성하는 경우, 접착을 위한 취급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촉감 필름의 주연부에 프레임상 부재(예를 들어, 주연부에 플라스틱 시트를 적층)를 형성하고, 프레임상 부재에 점착층을 형성해도 된다.
[촉감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의 제조 방법은, 표면의 마찰 특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촉감 필름의 재질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표면에 특정한 미세한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해도 된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예를 들어,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미립자를 돌출시켜서 경화하는 방법, 상분리 가능한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상기 수지 성분을 상분리시킨 후에 경화하는 방법 등),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형을 사용하여 전사하는 방법, 절삭 가공에 의해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예를 들어, 레이저 등을 이용한 절삭 가공 등), 연마에 의해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법이나 비즈 샷법 등), 에칭에 의해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표면의 마찰 특성이 상기 범위로 조정된 촉감 필름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지지체(촉감 필름이 적층체일 경우, 촉감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기재층) 상에 액상의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이어도 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관용의 방법, 예를 들어, 롤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로드 코터, 리버스 코터, 바 코터, 콤마 코터, 딥·스퀴즈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 실크스크린 코터 등의 코터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스피너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바 코터법이나 그라비아 코터법 등이 범용된다. 부언하면, 필요한 경우, 도포액은 복수회에 걸쳐 도포해도 된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특히 70 내지 90℃) 정도이다.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0.1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분 정도이다.
경화 방법은, 경화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활성 광선(자외선, 전자선 등)이나 열 등을 부여하는 방법이면 되고, 광경화성 수지의 경우, 광 조사는, 광경화 수지 등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통상, 자외선, 전자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범용적인 노광원은, 통상, 자외선 조사 장치이다.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의 경우에는, Deep UV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레이저 광원(헬륨-카드뮴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의 광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조사광량(조사 에너지)은 도막의 두께에 따라 상이하고, 예를 들어 10 내지 10000mJ/㎠,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0mJ/㎠,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0mJ/㎠ 정도이다. 광 조사는, 필요하면,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행해도 된다.
이러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면의 마찰 특성이 상기 범위로 조정된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경화성 조성물에 미립자를 배합하고, 미립자를 돌출시켜서 경화하는 방법(미립자를 이용하는 방법), 상기 경화성 조성물에 상분리 가능한 수지 성분을 배합하고, 이 수지 성분을 상분리시킨 후에 경화하는 방법(상분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표면으로부터 미립자가 돌출된 상태에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상분리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상분리 가능한 수지 성분 및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액상으로부터, 용매를 건조 등에 의해 증발 또는 제거하는 과정에서, 조성물의 농축에 수반하여, 스피노달 분해(습식 스피노달 분해)에 의한 상분리가 발생하고, 상간 거리가 비교적 규칙적인 표면 요철 구조(상분리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상분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87746,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5195,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67775,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7560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537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상분리 가능한 수지 성분의 조합으로서는,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와,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는 이하와 같으며, 얻어진 촉감 필름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원료]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다이셀·올넥스(주)제 「사이클로머 P」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이스트만사제 「CAP-482-20」, 아세틸화도=2.5%, 프로피오닐화도=46%,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 75000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UA-53H」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다이셀·올넥스(주)제 「EBECRYL1360」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다이셀·올넥스(주)제 「DPH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다이셀·올넥스(주)제 「PETRA」
투광성 실리카 입자: 데구사사제 「OK-500」(평균 입자경 6.3㎛, 굴절률 1.46)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입자: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제 「SMX 시리즈(평균 입자경 3.5㎛, 굴절률 1.56)」
폴리스티렌 입자: 소켄 가가쿠(주)제 「SX-350H(평균 입자경 3.5㎛, 굴절률 1.59)」
광 개시제 A: BASF 재팬(주)제 「이르가큐어184」
광 개시제 B: BASF 재팬(주)제 「이르가큐어907」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미쓰비시 쥬시(주)제 「다이어포일」
폴리카르보네이트(PC) 필름: Sabic사제 「LEXAN」.
[촉감층의 두께]
광학식 막 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임의의 10군데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상대 동마찰 계수]
정동 마찰 측정기((주)트리니티 랩제 「핸디 트라이보마스터 TL201Ts」)를 사용하여, 측정 조건(하중 20g중, 속도 25㎜/초)에서 동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접촉자로서, 5㎜ 두께의 스펀지 시트(세메다인사제 「간극용 테이프 N-1」)에 인공 피부(뷰랙스사제 「바이오스킨」)를 첩부한 접촉자를 사용하고, 접촉자의 이동 속도를 바꾸어서 동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상대 동마찰 계수는, 측정 대상인 필름의 동마찰력을, 유리(소다석회 유리)를 검체로 하여 측정한 동마찰력으로 나눔으로써 구하였다.
[손가락 미끄럼성]
손가락 미끄럼성의 평가는, 25㎛ 두께의 옵티컬 클리어 어드히시브(OCA)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진 촉감 필름의 기재층측을 유리판에 첩부한 것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감각으로 필름상(촉감층)의 표면을 집게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하기 5단계의 기준으로 평가 결과를 청취하였다.
1점: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조작의 도중에도 걸린다
2점: 미끄럼 초기에 걸림이 있고, 미끄러지기 시작한 후의 마찰감이 크다
3점: 미끄럼 초기에 걸림이 있고, 미끄러지기 시작한 후의 마찰감은 작다
4점: 미끄럼 초기에 조금 걸림이 있지만, 조작 중에는 마찰감을 느끼지 않는다
5점: 미끄럼 초기에 걸림이 없고, 조작 중에 마찰감을 느끼지 않는다.
실시예 1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5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4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76중량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광 개시제 A 1중량부, 광 개시제 B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76중량부와 1-부탄올 28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18을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유연한 후, 8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9㎛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62.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5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70중량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광 개시제 A 1중량부, 광 개시제 B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76중량부와 1-부탄올 28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18을 사용하여, PC 필름 상에 유연한 후, 8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9㎛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5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4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8중량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투광성 실리카 입자 10중량부, 광 개시제 B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76중량부와 1-부탄올 28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18을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유연한 후, 8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9㎛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50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11중량부, DPHA 60중량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7중량부, 광 개시제 A 2중량부, 광 개시제 B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222중량부와 1-부탄올 45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16을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유연한 후, 10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6㎛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중합성기를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45중량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4.5중량부, DPHA 46.5중량부, PETRA 31중량부, 광 개시제 A 2중량부, 광 개시제 B 1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7중량부와 1-부탄올 18중량부, 메톡시프로판올 53중량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와이어 바 #14를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유연한 후, 10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8㎛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PETRA 100중량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입자 10중량부, 폴리스티렌 입자 16.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용제로서 톨루엔 133중량부 및 시클로헥사논 57중량부를 배합하여 얻어진 입자 분산 용액을, 와이어 바 #10을 사용하여, PET 필름 상에 유연한 후, 90℃의 오븐 내에서 1분간 방치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두께 약 5㎛의 촉감층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촉감층에,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의 자외선을 약 5초간 조사(적산 광량 약 100mJ/㎠ 조사)하여 UV 경화 처리하여, 촉감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시판하고 있는 스마트폰용 보호 시트인 PM-A15FLGM(ELECOM사제)은 패키지에 「궁극의 손가락 미끄럼 필름」이나 「슈퍼 스무스 필름」이라고 명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미끄럼이 좋은 필름의 비교예로서 채용하였다.
비교예 4
시판하고 있는 스마트폰용 보호 시트인 PM-A15FLST(ELECOM사제)는 패키지에 「손가락 미끄럼 미끌미끌」이나 「슈퍼 스무스 필름」이라고 명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미끄럼이 좋은 필름의 비교예로서 채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촉감 필름의 상대 동마찰 계수 μ와 접촉자의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 log(v)를 구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소프트웨어 「엑셀」을 사용하여, 표 1의 결과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1에 도시한다. 또한, 그래프의 각 플롯에 대하여 선형 피팅을 행하고, 그의 기울기와 절편을 구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촉감 필름에 대하여 손가락 미끄럼성의 평가를 행한 결과도 맞춰서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의 촉감 필름은, 손가락을 슬라이드하기 시작하는 순간에도 걸림을 느낄 일이 없고, 이동 속도를 높여도 원활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어, 손가락 미끄럼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촉감 필름은, 퍼스널 컴퓨터(태블릿 PC 등)나 스마트폰 등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가전 제품의 하우징, 건축 재료 등의 각종 성형체의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표면 보호 또는 커버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손으로 접촉하여 조작하는 개소의 미끄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닿는 느낌을 높이는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적어도 한쪽 표면이,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6 이하인 마찰 특성을 갖는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로 형성되고, 또한 최표층에 배치된 촉감층을 포함함과 함께, 이 촉감층의 표면이, 0.015 이상의 기울기 a 및 0.15 이하의 절편 b의 직선으로 나타내지는 마찰 특성을 갖는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가,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필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필름.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이, 중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필름.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이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수지로 형성된 기재층 상에 촉감층이 적층되어 있는 필름.
  8.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의 제조 방법.
  9. 표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을 구비한 성형체.
  10. 제9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인 성형체.
  11.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접촉자의 이동 속도 v(㎜/s)를 변화시켜서 상대 동마찰 계수 μ를 측정했을 때, 상기 이동 속도의 상용 대수인 log(v)를 횡축, μ를 종축으로 하여 선형 피팅으로 얻어진 직선의 기울기 a가 0.01 이상이며, 또한 절편 b가 0.6 이하인 마찰 특성을 갖는 표면 형상으로 조정함으로써, 필름의 손가락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207008183A 2017-10-25 2018-10-11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KR102371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6411 2017-10-25
JPJP-P-2017-206411 2017-10-25
PCT/JP2018/037832 WO2019082664A1 (ja) 2017-10-25 2018-10-11 触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成形体並びに指滑り性向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059A true KR20200044059A (ko) 2020-04-28
KR102371007B1 KR102371007B1 (ko) 2022-03-07

Family

ID=6624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183A KR102371007B1 (ko) 2017-10-25 2018-10-11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4448B2 (ko)
JP (1) JP6985407B2 (ko)
KR (1) KR102371007B1 (ko)
CN (1) CN111032750B (ko)
TW (1) TWI787370B (ko)
WO (1) WO2019082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0026B (zh) * 2020-10-27 2023-06-20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库的路基横断面边坡措施批量设计方法
TW202233753A (zh) 2021-01-29 2022-09-01 日商尼歐斯股份有限公司 硬化性組成物及包含其硬化層之膜
JPWO2022186184A1 (ko) * 2021-03-02 2022-09-09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545A (ko) * 2005-08-23 2007-02-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시트
JP2007264281A (ja) 2006-03-28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汚染性を付与したハードコート層
KR20080021055A (ko) * 2005-06-29 2008-03-0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그것을 이용한 횡전계 구동식표시 장치용 편광판 및 횡전계 구동식 표시 장치
WO2008038714A1 (fr) 2006-09-29 2008-04-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film optiquement fonctionnel
JP2014085371A (ja) * 2012-10-19 2014-05-12 Daicel Corp 防眩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7578B2 (ja) * 2001-12-17 2009-12-0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949870B1 (ko) 2001-12-17 2010-03-25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부재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5336098B2 (ja) * 2008-03-17 2013-1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物
JP2012000812A (ja) * 2010-06-15 2012-01-05 Daicel Corp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
JP2012219221A (ja) * 2011-04-12 2012-11-12 Daicel Corp 樹脂成形体の化粧料及び化粧フィルム並びに樹脂成形体及び表面改質方法
JP5774954B2 (ja) * 2011-09-30 2015-09-09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シート部材、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5944302B2 (ja) * 2012-04-13 2016-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989033B2 (ja) * 2013-07-10 2016-09-07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ポリ(メタ)アクリルイミドフィルム、その易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055A (ko) * 2005-06-29 2008-03-06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그것을 이용한 횡전계 구동식표시 장치용 편광판 및 횡전계 구동식 표시 장치
KR20070023545A (ko) * 2005-08-23 2007-02-2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시트
JP2007264281A (ja) 2006-03-28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汚染性を付与したハードコート層
WO2008038714A1 (fr) 2006-09-29 2008-04-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film optiquement fonctionnel
KR20090064421A (ko) * 2006-09-29 2009-06-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기능 필름
JP2014085371A (ja) * 2012-10-19 2014-05-12 Daicel Corp 防眩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2750A (zh) 2020-04-17
TWI787370B (zh) 2022-12-21
TW201930414A (zh) 2019-08-01
JPWO2019082664A1 (ja) 2020-04-02
KR102371007B1 (ko) 2022-03-07
US11174448B2 (en) 2021-11-16
WO2019082664A1 (ja) 2019-05-02
US20200140774A1 (en) 2020-05-07
JP6985407B2 (ja) 2021-12-22
CN111032750B (zh)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9116363A1 (ja) 光学用フィルム、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KR20200044059A (ko)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JP2013022843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7095761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JP6790524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KR20190110558A (ko) 터치 패널 펜용 필기성 부재의 선별 방법, 터치 패널 시스템, 터치 패널 펜용 필기성 부재,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TW202014735A (zh) 防眩膜以及其製造方法及用途
KR102377190B1 (ko) 저마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TWI843462B (zh) 低摩擦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成形體
JP6331332B2 (ja) 光学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WO2023037707A1 (ja) 積層体、積層体付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68582A (ko) 적층체, 적층체 부착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9021319A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性部材の選別方法、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性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20240067833A (ko) 적층체, 적층체 부착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2338405A (zh) 抗反射構件、以及使用該抗反射構件之偏光板、影像顯示面板、影像顯示裝置及抗反射性物品、以及抗反射構件之篩選方法
JP2019021188A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性部材の選別方法、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性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