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545A -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545A
KR20070023545A KR1020060079274A KR20060079274A KR20070023545A KR 20070023545 A KR20070023545 A KR 20070023545A KR 1020060079274 A KR1020060079274 A KR 1020060079274A KR 20060079274 A KR20060079274 A KR 20060079274A KR 20070023545 A KR20070023545 A KR 2007002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light
light diffusio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625B1 (ko
Inventor
아키히코 타케다
타카히로 나카자와
토모히로 쿠도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 방지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위해,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적어도 1층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학 시트로서, 상기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갖는 측의 광확산면 및 상기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정마찰계수가 0.15이하이며, 또한 상기 양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이하인 광학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학 시트{OPTICAL SHEET}
도1은, 본 발명의 광학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텔레비젼 등의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어, 표시품위향상, 특히, 시야각특성의 개선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편광판과 액정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주류인 TN모드 TFT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광학보상 필름을 편광판과 액정셀 사이에 삽입하여, 표시품위가 높은 액정표시장치가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액정표시장치에는, 패널의 아래방향의 계조반전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남겨져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광확산수단, 예를 들면 광확산 시트를 시인(視認)측 표면에 설치함으로써 현저하게 표시품위가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광확산 시트로서는, 광의 확산성이 좋은 것, 착색성이 없는 것, 광의 투과성이 우수한 것 등의 성질이 필요로 되고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 시트에는, 광확산성 이외에 광투과성이 높은 것이 요청되 고 있으며,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지지체나 확산층의 재료 및 두께 등이 종래의 광확산 시트와 동일하면서, 광투과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광확산 시트로서, 지지체상에 광확산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와 광확산층 사이에,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의 가교체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층을 갖는 광확산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광확산층중에 투명성 수지 및 합성수지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합성수지 입자 및 상기 투명성 수지의 굴절율보다 높은 굴절율을 갖는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정면방향으로의 출사광을 매우 많게 할 수 있어, 투과율 등이 향상된 광확산성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2 참조).
그러나, 이들 제안에 있어서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것은 아니며, 광확산 시트의 광투과성의 보다 나은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광확산 시트의 광확산층에는, 광확산을 위해서 미립자를 배합하는 일이 많지만, 그것에 의한 착색의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3에는, 입자를 광확산층중에 분산시킨 입자 분산형의 광확산 시트이며, 투과광의 착색을 저감시킨 것으로서, 입경분포 50%이하에서 평균 입경이 다른 입자를 2종류이상 조합해서 이용한 광확산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에서는, 광확산 시트의 도포액에 함유되는 미립자는 침강이 빠르고, 도포시에 침강이 일어나서, 원하는 입자수(량)를 도포할 수 없어, 확산특성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포액에 이용되는 유기용제로서는, 범용되고 있는 톨루엔은, 수지 미 립자, 특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미립자를 용해 내지 팽윤시키므로, 입자직경이 변화되는 일이 있지만,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용제가 없어, 사용되어 온 것이 실정이다. 또한 최근, 톨루엔의 사용이 규제되어, 그것을 대신하는 용제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4 및 5에는, 확산 시트 이외의 광학 시트 및 도광판 등과의 밀착에 의한 간섭무늬의 방지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안에서는,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방지, 및 취급의 용이함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방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고, 보다 나은 개량,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341327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평5-69107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평11-142618호 공보
(특허문헌4) 일본 특허공개 2004-4598호 공보
(특허문헌5) 일본 특허공개 2004-252353호 공보
본 발명은,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 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 방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1>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적어도 1층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학 시트로서,
상기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갖는 측의 광확산면 및 상기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정마찰계수가 0.15이하이며, 또한 상기 양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이다.
<2>광확산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가, 광확산 반대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보다 작은 상기 <1>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3>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바인더 수지와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4> 유기입자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 멜라민 수지입자,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및 실리콘 수지입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3>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5>유기입자의 함유량이 바인더 수지에 대해서 0.5질량%이상인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6>바인더 수지가 (메타)아크릴수지인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7>(메타)아크릴수지가 수계 (메타)아크릴라텍스인 상기 <6>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8>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상기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9>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상기 <8>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10>가교제가 옥사졸린계 가교제인 상기 <8>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11>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백층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12>광확산 시트로서 이용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시트이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적어도 1층의 광확산층을 갖고 이루어지며, 상기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갖는 측의 광확산면 및 상기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정마찰계수가 0.15이하이며, 또한 상기 광확산면 및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이하이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는, 광확산면 뿐만 아니라, 광확산 반대면의 마찰계수를 적정화함으로써,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에 있어서의 손상 방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우수한 시야각특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 방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적어도 1층의 광확산층을 갖고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의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면에 백층을 갖고, 프라이머층, 또한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층을 갖고 이루어진다.
상기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갖는 측의 광확산면 및 상기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정마찰계수는 0.15이하이며, 또한 상기 광확산면 및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이하이다.
상기 광확산면 및 광확산 반대면에 있어서의 정마찰계수가 0.15를 넘고, 또한 상기 광확산면 및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를 넘으면, 액정표시장치의 조립공정에서의 취급성이 떨어지거나, 조립후의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는, 상기 광확산 반대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가, 상기 광확산 반대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보다 크면, 입자량의 밸런스로부터 원하는 광학특성이 얻어지기 어려운 일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마찰계수는, 예를 들면 신토 가가쿠사제 트라이보기아 Type1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마찰계수는, 예를 들면 니혼 덴산 샤제 전동식 횡형 간이시험 스탠드 FGS-50X-L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
상기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취급성의 관점에서 백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으로서의 백층은, 바인더 수지와, 유기입자를 함유하고, 가교제, 또한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해서 이루어진다.
-바인더 수지-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노머의 한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수지,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수지, 부티랄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불화비닐리덴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수지, 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입자를 용해시키거나, 팽윤시킬 우려가 적은 점에서, (메타)아크릴수지가 바람직하고, 수계 (메타)아크릴라텍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 (메타)아크릴라텍스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시판 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셀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세비안 시리즈(예를 들면 46736, 4635, 46583 등), 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쥬리머 시리즈(예를 들면 AT-210, AT-510, AT-613, ET-410 등), 다이니폰잉크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본코트 시리즈(예를 들면 550, 3981, 9422, EC-818, LE-1043, CP-6190, 40-418EF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입자-
상기 유기입자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 멜라민 수지입자,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실리콘 수지입자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유기입자는, 가교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입자의 질량평균 입자지름은, 1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평균 입자지름이 100㎛를 넘으면, 광학특성이 악화되거나, 제조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상기 유기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대해서 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0.5질량% 미만이면 마찰계수가 커져 버려, 취급성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가교제-
상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에폭시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분자내에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3개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환상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방향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상기 분자내에 2개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4-클로로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포로필렌-1,2-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1,2-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2-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4-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주원료로 하고, 이들 3량체,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폴리올과 2관능 이소시 아네이트 화합물의 부가체로서, 다관능으로 한 것, 벤젠이소시아네이트의 포르말린 축합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테르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중합성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합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수소첨가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수소첨가물을 주원료로 하고, 이들 3량체 외에, 트리메티롤프로판과의 부가체로서 다관능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서는, 「폴리우레탄수지 핸드북」(이와타 케이지 편, 닛간고교 신붕샤 발행, 1987년)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도,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과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이 바람직하고,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과 크실릴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크실릴렌-1,3-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부가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바녹 시리즈(예를 들면 DNW-5000, DNW-5010, DNW-5100, DNW-52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수지로서는, 분자중에 적어도 1개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옥틸글리시딜에테르, 데실글리시딜에테르, 아릴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등의 탄소수 2∼20의 알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디글리세롤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류; 2,6-디글리시딜페닐글리시딜에테르, 2,6,2',6'-테트라메틸-4,4'-비페닐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수소첨가형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수소첨가형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S형 에폭시수지, 수소첨가형 비스페놀S형 에폭시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수지, 할로겐화 페놀노볼락형 에폭시수지, 브롬화 에폭시수지 등의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디에폭시아세탈, 지환식 디에폭시아디페이트, 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등의 환식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록시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소르빈산 글리시딜에스테르, 올레인산 글리시딜에스테르, 리놀레인산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불포화산 글리시딜에스테르류; 부틸글리시딜에스테르, 옥틸글리시딜에스테르헥사히드로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알킬카르복실산 글리시딜에스테르류; 안식향산 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디글리시딜p-옥시안식향산, 다이머산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방향족 카르복실산 글리시딜에스테르류;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톨루이딘, 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디글리 시딜트리브롬아닐린, 테트라글리시딜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화합물; 디글리시딜히단토인, 글리시딜글리시드옥시알킬히단토인,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복소환식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페놀노볼락형 에폭시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수지가 바람직하고,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토 카세이제 에포토트 YD128, YD8125,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샤제 에피크론 840S, 850S, 1050, 83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교제로서는, 옥사졸린계 가교제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니혼쇼쿠바이샤제의 에포크로스 시리즈 K-1000, K-2000, WS-500, WS-7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상기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으로서의 백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이상이 바람직하고, 50∼4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30질량부미만이면, 막이 손상되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상기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으로서의 백층은, 지지체상에 상술한 성분을 함유하는 백층 도포액을 도포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도포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스핀코터, 롤코터, 바코터, 커튼코터 등의 통상 사용되는 도포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으로서의 백층의 두께는 0.5∼5.0㎛가 바람직하다.
<지지체>
상기 지지체로서는, 투명하며,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 지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메타크릴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로서는, 지지체로서 통상 채용되는 범위의 두께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0.02∼4.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는, 광확산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방전처리를 해도 좋고, 후술하는 그 밖의 층을 형성해도 좋다.
<광확산층>
상기 광확산층은, 다수의 유기 폴리머 미립자를 바인더로 분산 고정해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유기 폴리머 미립자로서는, 가교 타입의 아크릴수지 및 메타크릴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실리콘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유기 폴리머로 만들어진 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가교 타입의 아크릴수지 또는 메타크릴수지(PMMA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폴리머 미립자의 질량 평균 입자지름은 1∼100㎛가 바람직하고, 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의 바인더로서는, 유기 폴리머 바인더가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 폴리머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노머의 한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수지, 초산비닐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수지, 염화비닐수지,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수지, 부티랄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불화 비닐리덴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수지, 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로진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폴리머 바인더의 굴절율과 유기 폴리머 미립자의 굴절율의 차가 0.20이하가 되도록, 유기 폴리머 바인더와 유기 폴리머 미립자의 재료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폴리머 바인더와 유기 폴리머 미립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은, 일반적으로 양자를 적당한 용제중에 첨가 혼합해서 조제한 도포액을, 지지체 시트상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므로, 도포액의 조제시에 유기 폴리머 미립자가 실질적으로 팽윤 내지 용해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기 폴리머 미립자의 재료는, 도포액에 사용하는 용매에 대하여 팽윤 내지 용해성을 갖지 않는 것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유기 폴리머 미립자가 팽윤 내지 용해되지 않도록 도포액에 사용하는 용제를 선택해도 좋다.
상기 유기 폴리머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바인더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5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00∼4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의 유기 폴리머 바인더로서는, 상기와 같은 (메타)아크릴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이하의 산가를 갖는 (메타)아크릴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을 갖는 부재나 광확산층을 갖는 부재를 설치한 면광원장치를 취급하는 작업중에, 노출되어 있는 광확산층을 갖는 부재의 광확산층의 먼지 등의 더러움을 제거하기 위해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류와 같은 적당한 유기용제로 광확산층의 표면을 세정하는 것이 종종 행해지고 있으며, 5보다 큰 산가를 갖는 (메타)아크릴수지를 바인더로서 함유하는 광확산층은, 알콜류에 의한 세정으로 백화(白化)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광확산 시트가 백화현상을 일으키면, 투과광량이 감소하거나, 광의 균일함이 나빠져, 면광원장치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광확산층의 유기 폴리머 바인더로서, 5이하의 산가를 갖는 (메타)아크릴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알콜류에 의한 세정에 의해 백화현상을 일으키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상기 광확산층으로서, 유기 폴리머 바인더에 무기미립자의 매트제가 분산되어 있는 층을 들 수 있다. 매트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질량 평균 입자지름이 1∼5㎛인 실리카, 탄산칼슘, 알루미나 등의 무기미립자를 들 수 있다. 매트제는 상 기 바인더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0∼60질량%의 범위의 양으로 이용된다.
상기 광확산층은 도포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다. 도포액에 이용되는 유기용제는 2종이상의 유기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용제는 최적의 혼합 비중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도포시의 입자 침강성을 제어하면서, 바인더수지 용해성을 만족시키고, 광 투과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또한 시야각의 개량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포시의 입자 침강성을 제어한다란, 3분간이상 침강이 확인되지 않는 것, 바람직하게는, 5분간이상 침강이 확인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용매-
상기 광확산층 도포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 사용되는 것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최적의 비중을 갖는 관점에서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비중이란 4℃의 물에 대한 비중을 의미한다.
상기 유기용매(이하, 「제1용매」라고 칭하는 일도 있다)로서는, 예를 들면 케톤류, 에테르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다가 알콜 유도체류, 카르복실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의 비중으로서는, 도포시의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하면서, 바인더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고, 또한,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시야각 의존성을 개량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 비중(괄호내에 표시)과 함께 열거하면, 상기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아세톤(0.975), 시클로헥사논(0.945), 메틸시클로헥사논(0.92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1,4-디옥산(1.039), 테트라히드로푸란(0.889)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놀(0.949), 3-펜타놀(1.046), 2-메틸시클로헥사놀(0.92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개미산 이소아밀(0.877), 개미산 이소부틸(0.885), 개미산 에틸(0.917), 개미산 부틸(0.892), 개미산 프로필(0.901), 개미산 헥실(0.990), 개미산 벤질(1.081), 개미산 메틸(0.987), 초산 알릴(0.927), 초산 이소아밀(0.871), 초산 이소부틸(0.873), 초산 이소프로필(0.877), 초산 에틸(0.901), 초산2-에틸헥실(0.872), 초산 시클로헥실(0.97), 초산n-부틸(0.876), 초산s-부틸(0.875), 초산 프로필(0.887), 초산 메틸(0.934), 프로피온산 에틸(0.896), 프로피온산 부틸(0.877), 프로피온산 메틸(0.916)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콜 유도체류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0.975),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0.964),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1.009), 에틸렌글리콜모노메톡시메틸에테르(1.04),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0.898),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0.92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낙산(0.948), 카프론산(1.049)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포후에 건조되기 쉬운 관점에서, 비점 150℃이하의 유기용매가 바람직하고, 시클로헥사논,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거한 유기용매에 혼합해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이하, 「제2용매」라고 칭하는 일도 있다)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콜(0.785), 에탄올(0.791), n-부탄올(0.810), t-부탄올(0.787), 1-프로판올(0.804), 메탄올(0.792) 등의 알콜류, 아세톤(0.791), 디에틸케톤(0.816), 메틸에틸케톤(0.805), 메틸-n-부틸케톤(0.821), 메틸-n-프로필케톤(0.806)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0.788)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의 관점에서 메틸에틸케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1용매와 제2용매의 조합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하게 선택해서 조합할 수 있지만, 도포시의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하면서, 바인더를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고, 또한, 광 투과성을 향상시켜, 시야각 의존성의 개선을 꾀하는 관점에서, 제1용매의 비중과, 제2용매의 비중에 일정한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한다란, 상기 유기입자가, 광확산층 도포액의 도포후 3분간이상, 바람직하게는 5분간이상, 침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일정한 관계로서는, 하기 수식1로 나타내어지는 dave의 값이 0.85이상 1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85∼0.9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dave의 값이 0.85미만이거나, 1이상이면, 도포시의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있다.
<수식1>
dave=d1×w1+d2×w2
단, 상기 수식1중, d1은 제1용매의 비중, w1은 제1용매의 함유량(질량%), d2 는 제2용매의 비중, w2는 제2용매의 함유량(질량%)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상기 유기입자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일 때에는, 도포시의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의 비중과 상기 dave값의 비(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dave)가 1.4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의 비중과 상기 dave값의 비가 1.4를 초과하면, 도포시의 유기입자 침강성을 제어할 수 없는 일이 있다.
상기 제2용매를 사용할 때의, 제1용매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dave의 값이 상기 수치범위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50질량%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은, 광확산층용의 상기 각 성분을 용제에 용해 혹은 분산시켜 도포액으로 하고, 지지체상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에의 도포는, 스핀코터, 롤코터, 바코터, 커튼코터 등의 공지의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공정에서의 온도는 90∼130℃가 바람직하고, 100∼1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시간은 10초간∼5분간이 바람직하고, 1∼2분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도포방식이나 건조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0∼40질량%가 바람직하고, 20∼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층 도포액의 점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도포방식이나 건조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0∼100mPa·s가 바람직하고 20∼50mPa·s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시트에는 그 밖의 층으로서, 예를 들면 지지체와 광확산층을 보다 밀착시키기 위해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의 가교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통상 알려져 있는 수지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반응시키기 쉬운 점에서,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고, 또한 말단에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비닐 화합물과, 수산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그 밖의 비닐 화합물의 혼합물의 수용성 공중합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고, 또한 말단에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4급화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화물,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4급화물,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화물, 메틸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4급화물, 메틸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화물 등을 바람직하 게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디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그 외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2종의 비닐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수용성 공중합체의 합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비닐 화합물의 혼합물을 수성 매체중에서 유화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의 가교체는, 예를 들면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와 열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가교반응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가교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개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에폭 시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2∼4개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열가교성 화합물의,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와 열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에 있어서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3∼30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와 열가교성 화합물의 혼합물에는, 가교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알칼리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민, 폴리아민, 아미드아민, 폴리아미드아민, 이미다졸, 알칼리 금속 탄산염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의 가교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4-22064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가교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와 열가교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필요에 따라 물, 알콜 등으로 희석해서 조제한 프라이머층 도포액을 지지체 시트의 표면상에 도포하고, 60∼130 ℃의 온도로 가열해서 용매를 증발 제거시킴과 아울러,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 및 열가교성 화합물을 상기 이온 도전성 수지가 갖는 수산기에 의해 가교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광 투과성 및 블록킹에 의한 고장방지의 관점에서, 어느 것이나 0.05∼5㎛가 바람직하고, 0.5∼4.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0.05㎛미만이면, 블록킹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있으며, 5㎛를 넘으면, 광 투과성이 나빠지는 일이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켜, 시야각 의존성을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광확산층이 함유하는 유기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입자의 첨가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상기 측쇄에 양이온성 제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이온 도전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250질량부이하가 바람직하고, 0.01∼2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시트의 구조-
상기 광학 시트의 구조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광학 시트(11)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 도1에 나타내는 광학 시트(11)는 지지체(12)의 한쪽 면위에, 프라이머층(13), 광확산층(15)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다른쪽 면위에 백층(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용도-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그 이점에 의해, 휴대전화, PC용 모니터, 텔레비젼, 액정 프로젝터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학 시트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로서 사용되는 에지라이트식 면광원장치의 도광판의 상면에, 광확산층을 위로 해서 설치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시트는 광확산성이 특히 우수하므로, 상술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패널의 전체면을 균일하게 빛나게 할 수 있어,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휘도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광확산 시트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광학 시트의 제작〕
지지체상에 프라이머층, 백층, 및 광확산층의 순으로,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프라이머층의 형성-
지지체로서의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 도포액을, 와이어바 #20으로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건조시켜서, 두께가 1.5㎛인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프라이머층 도포액의 조성>
·메탄올…4165g
·쥬리머 SP-50T(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1495g
·시클로헥사논…339g
·쥬리머 MB-1X(유기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 타입, 질량 평균 입자지름 6.2㎛의 구상 초미립자, 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1.85g
-백층의 형성-
지지체의 프라이머층을 도포한 반대측 면에, 하기 조성의 백층 도포액을, 와이어바 #20으로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건조시켜서, 두께가 2.0㎛인 백층을 형성했다.
<백층 도포액의 조성>
·메틸에틸케톤(MEK)…4,392g
·아크릴수지(다이야날 BR-80,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제) 20질량% 메틸에틸케톤용액…1,514g
·바이론 220(폴리에스테르 수지, 도요보우 가부시키가이샤제)…9.32g
·시클로헥사논…357g
·쥬리머 MB-1X(유기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 타입, 질량 평균 입자지름 6.2㎛의 구상 초미립자, 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2.77g
-광확산층의 형성-
상기에서 제작한 도포물의 프라이머층측에, 하기 조성의 광확산층 도포액 및 하기 조성의 가교제액을 제작하여, 각각의 유량을 광확산층 도포액 100cc에 대해서, 가교제액 10cc가 되도록 펌프로 송액하고, 양자의 액을 스테틱믹서(φ3.4-N60S-523-F; 노리타케 컴퍼니 리미티드사제)로 혼합하고, 직후에 와이어바 #22로 도포하고, 120℃에서 2분간 건조시켜서, 두께 28㎛의 광확산층을 형성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1의 광확산 시트를 제작했다.
<광확산층 도포액의 조성>
·시클로헥사논…825g
·디스파론 PFA-230(입자침강 방지제; 지방산 아미드, 구스모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고형분 농도 20질량%)…25.9g
·아크릴수지(다이야날 BR-117,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제) 20질량% 메틸에틸케톤용액…599g
·쥬리머 MB-20X(유기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 타입, 질량 평균 입자지름 18㎛의 구상 초미립자, 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469g
·F780F(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0질량% 메틸에틸케톤용액…1.25g
<가교제액의 조성>
·메틸에틸케톤(MEK)…40g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타케네이트 D110N, 미츠이 타케다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제)…160g
(실시예2)
실시예1에 있어서, 백층 도포액을 이하와 같이 해서 조제한 백층 도포액으로 바꾼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백층 도포액>
·물…5415g
·본코트 LE-1043(아크릴라텍스,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6질량% 수용액)…857g
·쥬리머 MB-1X(니혼 쥰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2.77g
(실시예3)
실시예2에 있어서, 백층 도포액중에, 물분산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의 바녹 DNW-5000(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00g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4)
실시예2에 있어서, 백층 도포액중에, 옥사졸린계 가교제로서의 에포크로스 WS-700(니혼쇼쿠바이 가부시키가이샤제) 430g을 첨가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1)
실시예1에 있어서, 백층 도포액의 쥬리머 MB-1X를 첨가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2)
실시예1에 있어서, 백층 도포액의 쥬리머 MB-1X의 첨가량을 2.77g으로부터 0.9g으로 바꾼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광학 시트를 제작했다.
<광학적 특성의 평가>
광확산층을 갖는 각 광학 시트의 각각에 대해서, C광원(파장 7105K)에 있어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값, 확산광 투과율, 휘도, 및 반치각을 측정해서 광학적 특성의 평가를 행했다.
<정마찰계수의 측정>
신토 카가쿠사제 트라이보기아 Type10을 이용하여, 질량 200g의 평면 압자에 광학 시트의 비측정면측을 붙이고, 상승판측에 확산 시트의 측정면측이 되도록 세팅하고, 경사를 가해, 샘플이 움직이기 시작한 곳의 경사각도로부터 눈금을 읽어내어, 정마찰계수로 했다.
<동마찰계수의 측정>
니혼 덴산샤제 전동식 횡형 간이시험 스탠드 FGS-50X-L을 이용하여, 테이블측에 광학 시트의 측정면측이 측정면이 되도록 붙이고, 비측정면이 접촉하도록 이동판에 붙인다. 이동판에 400g의 추를 얹어, 속도설정 눈금 3에서 이동판을 잡아당겨 포스 게이지의 값을 읽어내어 동마찰계수로 했다.
<막질의 평가>
각 광학 시트의 광확산 반대면(백층 표면)의 연필경도에 대해서는, JIS K 5600-5-4에 준해서 측정했다.
마찰시험에 대해서는, 동마찰시험기 3K-34B(신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로, 각 광학 시트의 광확산 반대면(백층 표면)을 하부에 고정하고, 광확산면(광확 산층 표면)을 가동부 상부에 부착하여, 가중 150g, 거리 10cm, 6m/분의 속도로 10회 왕복시켜서,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
○:상처 없음
△:상처는 있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
×:손상되어 실용상 문제 있는 레벨
(표1)
Figure 112006059676812-PAT00001
(표2)
Figure 112006059676812-PAT00002
표1 및 표2의 결과로부터, 유기입자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유기입자를 바인더수지에 대해서 0.5질량% 미만 첨가하고, 광확산 반대면의 정마찰계수를 0.15보다 큰 값으로, 동마찰계수를 0.05보다 큰 값으로 조정한 비교예1 및 2와 비교하여, 실시예1∼4는,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가 낮고,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손상되기 어렵고, 취급성이 우수한 광학 시트인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휴대전화, PC용 모니터, 텔레비젼, 액정 프로젝터 등에 사용되어지는 액정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광학 시트는, 광확산성에 특히 우수하므로, 상술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시야각특성을 갖는 광확산 시트로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 시트의 가공시, 액정표시장치에의 조립시 등의 손상 방지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을 꾀할 수 있는 광학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1층이상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학 시트로서,
    상기 광학 시트에 있어서의 광확산층을 갖는 측의 광확산면 및 상기 광확산층을 갖지 않는 측의 광확산 반대면의 각각의 정마찰계수가 0.15이하이며, 또한 상기 양면의 각각의 동마찰계수가 0.0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광확산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가, 광확산 반대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바인더 수지와 유기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유기입자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입자, 멜라민 수지입자,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및 실리콘 수지입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유기입자의 함유량이 바인더 수지에 대해서 0.5질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가 (메타)아크릴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수지가 수계 (메타)아크릴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8. 제3항에 있어서,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에폭시수지 중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옥사졸린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광확산 반대면측의 층이 백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광확산 시트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KR1020060079274A 2005-08-23 2006-08-22 광학 시트 KR101060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1110 2005-08-23
JP2005241110 2005-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545A true KR20070023545A (ko) 2007-02-28
KR101060625B1 KR101060625B1 (ko) 2011-08-31

Family

ID=4365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274A KR101060625B1 (ko) 2005-08-23 2006-08-22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0625B1 (ko)
TW (1) TW2007149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9260A1 (en) * 2013-10-04 2015-04-09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Novel coating composition
WO2018056673A1 (ko) * 2016-09-20 2018-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성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8700680A (zh) * 2016-09-20 2018-10-23 株式会社Lg化学 具有高的滑动特性和优异的阻挡uv光的特性的光学膜及包括其的偏光板
KR20200044059A (ko) * 2017-10-25 2020-04-28 주식회사 다이셀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763B2 (ja) * 2008-03-28 2014-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指向性拡散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指向性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0342A0 (fi) 1997-11-07 1998-02-13 Borealis As Polymerroer och -roerkopplingar
JP2002131514A (ja) 2000-10-26 2002-05-09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012921A (ja) 2002-06-07 2004-01-15 Mitsui Chemicals Inc 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サイド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031340A (ja) 2003-07-11 2005-02-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偏光板およびこの偏光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9260A1 (en) * 2013-10-04 2015-04-09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Novel coating composition
US10030166B2 (en) 2013-10-04 2018-07-24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Coating composition
WO2018056673A1 (ko) * 2016-09-20 2018-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슬립성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N108700680A (zh) * 2016-09-20 2018-10-23 株式会社Lg化学 具有高的滑动特性和优异的阻挡uv光的特性的光学膜及包括其的偏光板
US11040480B2 (en) 2016-09-20 2021-06-22 Lg Chem, Ltd.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4059A (ko) * 2017-10-25 2020-04-28 주식회사 다이셀 촉감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성형체 그리고 손가락 미끄럼성 향상 방법
US11174448B2 (en) 2017-10-25 2021-11-16 Daicel Corporation Tactile film, method of producing same, molded article, and method of improving finger slid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4985A (en) 2007-04-16
KR101060625B1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5800B1 (en)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light-diffusing member manufactured using said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JP4074847B2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6596375B2 (en) Optical shee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TWI328690B (en) Optical film containing organic particles having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KR101060625B1 (ko) 광학 시트
TW200848835A (en) Scratch-resistant optical film having organic particles with highly uniform particle size
TW200937043A (en) Brightness enhancement reflective film
JP4936107B2 (ja) 光拡散フィルム
JP2022046652A (ja) 防眩フィルム
CN106574992B (zh) 防眩膜及图像显示装置
JP2007011317A (ja) 光拡散フィルム
TWI760307B (zh) 防眩膜
JP4924861B2 (ja) 光拡散フィルム
JP2007086730A (ja) 光学補償シート
JP4836518B2 (ja) 光学補償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3329A (ja) 光拡散シート用コーティング材及び光拡散シート
KR101282149B1 (ko) 광학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821552B2 (ja) 光拡散フィルム
JP2007286088A (ja) 光学補償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345177B1 (ko) 광학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유닛
KR101033481B1 (ko)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20052433A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094369A (ja) 光学補償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2459B2 (ja) 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6095980A (ja) 光拡散光学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