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828A -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828A
KR20200041828A KR1020197031289A KR20197031289A KR20200041828A KR 20200041828 A KR20200041828 A KR 20200041828A KR 1020197031289 A KR1020197031289 A KR 1020197031289A KR 20197031289 A KR20197031289 A KR 20197031289A KR 20200041828 A KR20200041828 A KR 2020004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ame
cooking
menu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844B1 (ko
Inventor
타카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코 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코 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코 엔터프라이즈
Publication of KR2020004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10/025Coordination of plural reservations, e.g. plural trip segments, transportation combined with accommo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메뉴 내의 요리의 기피식재 정보와 이용자의 기피식재(食材) 정보를 대조하는 작업을 컴퓨터 처리함으로써 합리화하면서 대조 오류를 방지하고, 또한, 변경 후의 메뉴표로부터, 어느 요리가 변경되게 되었는지가 분명해지는 메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메뉴 표시 방법의 메뉴 표시 순서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스텝 S1과,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는 스텝 S2와,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3과,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제1의 요리명을 검색하는 스텝 S4와, 제1의 요리명이 기본 메뉴 정보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5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스텝 S6과,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는 스텝 S7과,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스텝 S8과, 개인 메뉴표 정보를 출력하는 스텝 S9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본 발명은,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음식의 섭취에 의한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음식 알레르기란, 음식에 의해 일어나는 항원 특이적인 면역학적 기서(機序)를 통하여 생체에 있어서 불이익한 증상이 야기되는 현상이다. 음식 알레르기 중에는, 긴급한 대응을 필요로 하는 아나필락시 쇼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에서 제공되는 요리에 관해서는, 알레르기 표시를 포함하는 식품위생법에 규정하는 표시의 의무는 없다. 그러나, 건강 피해 방지를 위해, 외식 시설에서도 음식 알레르기 질환을 갖는 사람에 대한 정보 제공의 충실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텔이나 여관 등에서는, 통상, 단체가 복수회에 걸쳐서 요리의 제공을 받는다. 단체는, 가족, 동료, 아동, 학생, 사회인, 법인, 청년단, 장년단, 부인회, 노인회, 여행회사 수배의 팩 여행의 그룹, 수학여행의 그룹, 정치 단체, 종교 단체, 그 밖의 집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체란, 2명 이상으로 요리의 제공을 받는 사람을 가리키고 있다.
종래, 학교급식 등에서, 복수인에게 같은 요리의 메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요리를 포함하는 복수회수분(複數回數分)의 메뉴를 입안(立案)하고, 입안한 복수회수분의 메뉴를 나타내는 메뉴군을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메뉴 입안 장치에 의한 메뉴 입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뉴 입안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회수분의 메뉴를 표시한 메뉴군의 원안(原案)에 의거하여, 원안의 메뉴군을 구성하는 각 요리에 포함되는 각각의 요리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체요리로 대체(代替)한 메뉴군을 도출하는 스텝과, 각각의 메뉴군에 관해, 요리에 사용되는 식재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식재 테이블 및 요리가 제공되는 각 피제공자에 관해 알레르겐이 되는 식재를 미리 기록하고 있는 알레르겐 테이블을 이용하여, 알레르겐이 되는 식재를 포함하지 않는 메뉴의 회수(回數)를, 피제공자마다 각각 계수하는 스텝과, 각각의 메뉴군에 관해, 각 피제공자에 관해 계수한 회수의 최저치를 도출하는 스텝과, 도출한 회수의 최저치에 의거하여 출력하는 메뉴군을 결정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 특허 제5034564호 공보 참조).
또한, 자치체나 회사의 사원식당에서, 개인의 체질(體質)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식당의 메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메뉴에 사용되는 식재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서버 장치에 개인 정보의 확인을 행하는 기능과, 개인을 식별하는 정보에 대응시켜진 알레르겐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그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식재를 사용한 메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메뉴에 사용되는 식재의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판정하는 기능과, 판정 결과를 단말에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 특개2005-018181호 공보 참조).
또한, 음식점에서 태블릿형의 단말을 이용하여 고객이 스스로 상품을 주문할 때에, 상기 고객이 주의하여야 할 알레르겐이 수신한 상기 알레르겐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고객 단말 표시부에 경고를 표시시키는 주문 등록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 특개2016-038869호 공보 참조).
특허 문헌 1 : 특허 제5034564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5-018181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2016-038869호 공보
특허 문헌 1 기재의 방식은, 이른바 학교급식에서, 전원에게 획일적인 메뉴로 요리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고,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과 음식 알레르기를 갖지 않는 사람에게 요리를 다르게 하여 제공하는 것은 상정하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2 기재의 방식은, 사원이 식당에 주문하기 전에, 메뉴에 사원의 알레르겐 정보에 해당하는 알레르겐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말에 판정을 표시시키는 것이고, 사원이 해당하는 알레르겐이 포함되어 있는 요리를 주문할 때에 식당이 메뉴의 요리를 한 품목 교체하는 등의 이레귤러한 대처에 관해서는 상정하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 기재의 방식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관광지의 호텔이나 여관 등에서는, 통상, 단체는 복수회에 걸쳐서 요리의 제공을 받는다. 한 예로서, 수학여행 등의 단체에는, 일정한 비율로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이 존재하고 있다. 여관 등에서는, 복수의 메뉴가 일자 및 식사구분이 대응시켜진 기본 메뉴표를 작성한다. 메뉴는, 알레르겐을 갖는 식재와 알레르겐을 갖지 않는 식재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알레르겐을 갖지 않는 식재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과 음식 알레르기를 갖지 않는 사람에게서 메뉴 그 자체가 중복되지 않도록 별개의 메뉴로 하는 것은 현실적이 아니다. 그래서, 관광지의 호텔이나 여관 등에서는, 수학여행 등의 단체 책임자로부터 단체를 구성하는 개인 각각의 음식 알레르기 정보를 수취하여,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과 음식 알레르기를 갖지 않는 사람에게서 메뉴 내의 일부의 요리를 다르게 하는 대응이 되고, 일부의 요리를 다르게 한 메뉴가, 음식 알레르기를 갖는 사람에게 제공되게 된다.
메뉴 내의 일부의 요리를 다르게 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변경 후의 메뉴표는, 변경 전의 메뉴표의 내용의 일부가 재기재된 것으로 된다. 여관의 종업원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서 변경 후의 메뉴표에서의 복수의 메뉴 내의 요리가, 수학여행 등의 단체를 구성하는 개인 각각의 음식 알레르기 정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그러나, 복수의 메뉴 내의 요리의 알레르겐 정보와 복수의 고객의 알레르겐 정보를 사람이 대조하는 작업은 번잡하고, 사람이 대조하는 작업에서는 대조 오류를 방지하기 어렵다. 그에 덧붙여, 변경 후의 메뉴표에 이르는 변경 이력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배식(輩膳)하는 사람이나 배식을 받는 사람은, 변경 후의 메뉴표에서, 요리명이 일부 결락(缺落)되어 있는 등의 하자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갖는다. 즉, 종래에는, 해당하는 알레르겐 식재 또는 해당하는 알레르겐 식재를 함유하는 요리명을 지우고, 대체(代替)가 되는 요리명으로 재기재하든지 또는 공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 후의 메뉴표로부터는, 어느 요리가 변경되게 되었는지가 분명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 국제 교류가 번성하고, 지방도시에서도 보더리스화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에는 다양한 인종이 존재하고,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의 이용자 각각이, 음식 알레르기에 더하여, 종교상의 이유나, 질환, 기호상의 이유 등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그때문에,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에서 제공되는 요리는, 알레르겐 대응식(對應食)에 더하여, 베지테리언 대응식, 이슬람교도 대응식(할랄로 처리된 식재), 유대교도 대응식, 위장 질환 대응식(소화가 좋은 식재), 그 밖에 기지(旣知)의 건강상의 이유에 대응한 식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알레르겐 대응식재, 베지테리언 대응식재, 할랄로 처리된 식재, 소화가 좋은 식재, 그 밖에 기지의 건강상의 이유에 대응한 식재를 기피식재(忌避食材)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의 이용자는, 요리의 제공을 받는 사람, 또는 단체를 가리키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메뉴 내의 요리의 기피식재 정보와 이용자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는 작업을 컴퓨터 처리함으로써 합리화하면서 대조 오류를 방지하고, 또한, 변경 후의 메뉴표로부터, 어느 요리가 변경되게 되었는지가 분명해지는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실시 형태로서, 이하에 개시하는 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메뉴 표시 방법은,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食事區分)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料理區分)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컴퓨터에 데이터로서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컴퓨터가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존재하는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고,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존재하는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여,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 메뉴 영역 각각에서의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시켜서,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시키기 때문에, 합리화하면서, 사람의 작업에 의한 대조 오류를 없앨 수 있다. 게다가,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에 의해, 제1의 요리가 금지로 된 것이 분명해진다. 또한,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에 의해, 제1의 요리가 금지가 되어 제2의 요리로 변경된 것이 분명해져서, 고객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이 설정한다. 상기 우선 순위는, 예를 들면, 외식 시설이 잘하는 요리의 순위, 고객에게 평판이 좋은 요리의 순위, 외식 시설에 식재의 스톡이 풍부한 요리의 순위, 외식 시설의 설정 단가에 가까운 요리의 순위, 그 밖에 기지의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상기 개인 메뉴표 정보는, 예를 들면, 컴퓨터와 접속된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컴퓨터와 데이터 링크된 휴대 정보 단말에 데이터 송신되어 당해 휴대 정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된다. 상기 개인 메뉴표 정보는, 예를 들면, 종이 매체로서 인쇄 출력된다. 이에 의하면, 사람이 간편하게 금지 표시를 시인(視認)할 수 있다.
상기 금지 표시는, 문자의 취소선(取り消し線) 표시이고, 상기 문자의 취소선 표시의 근처의 빈 공간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지 표시가 일목요연하고, 종이 매체 등으로 출력한 경우에 금지 표시의 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텔 또는 여관에서, 단체가, 조식과 중식과 석식으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 또는 시간(時間帶)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에서, 복수의 상기 요리구분으로부터 추출된 요리의 제공을 받는 경우에 이용되고, 상기 이용자명은 상기 단체의 단체명이고,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이고,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2의 알레르겐 정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식 시설에서 음식 알레르기 질환을 갖는 사람에 대해, 단순한 대체요리가 아니라,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피해 방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뉴 표시 장치는,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데이터로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의 상기 요리구분에서의 상기 요리명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에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수단과,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메뉴 내의 요리의 기피식재 정보와, 복수의 고객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는 작업을 메뉴 표시 장치의 각 수단이 처리하기 때문에, 합리화하면서, 사람의 작업에 의한 대조 오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요리구분에서의 요리명의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작업과, 제1의 요리명이 금지 표시된 메뉴 영역 각각에 제2의 요리명을 표시하는 작업과,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로서 출력하는 작업을 메뉴 표시 장치의 각 수단이 처리하기 때문에,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에 의해, 제1의 요리가 금지가 되어 제2의 요리로 변경된 것이 분명해져서, 고객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뉴 표시 프로그램은,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데이터로서 입력한 컴퓨터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의 상기 요리구분에서의 상기 요리명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에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순서와,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뉴 표시 프로그램에 의해, 메뉴 영역 각각에서의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고,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작업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합리화하면서, 사람의 작업에 의한 대조 오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에 의해, 제1의 요리가 금지로 된 것이 분명해져서, 고객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 메뉴 영역 각각에서의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시켜서,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시키기 때문에, 합리화하면서, 사람의 작업에 의한 대조 오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에 의해, 제1의 요리가 금지로 된 것이 분명해져서, 고객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외식 시설에서도 음식 알레르기 질환을 갖는 사람이나, 베지테리언이나, 이슬람교도나, 유대교도나, 위장 질환을 갖는 사람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의 충실을 도모할 수 있고, 건강 피해 등의 방지에 크게 도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방법에서의 메뉴 표시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장치를 기능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기본 메뉴표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요리표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이용하는 개인표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해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외식 시설에서 음식 알레르기 질환을 갖는 사람에 대해 요리를 제공하는 경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방법에서의 메뉴 표시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메뉴 표시 순서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스텝 S1과, 알레르겐 정보를 대조하는 스텝 S2와,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겹쳐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3과, 알레르겐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제1의 요리명(205a)을 검색하는 스텝 S4와, 제1의 요리명(205a)이 기본 메뉴표 정보(2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5와, 제1의 요리명(205a)이 존재한 경우에 제2의 요리명(205b)을 추출하는 스텝 S6과, 제1의 요리명(205a)에 금지 표시(501)를 부여하는 스텝 S7과, 제1의 요리명(205a)의 부근에 제2의 요리명(205b)을 배치하는 스텝 S8과, 개인 메뉴표 정보를 출력하는 스텝 S9로 이루어진다. 메뉴 표시 순서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장치(1)를 기능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장치(1)는, 컴퓨터(3)와, 당해 컴퓨터(3)상에서 동작하는 메뉴 표시 프로그램(2)으로 이루어진다. 컴퓨터(3)에는, CPU(4) 및 데이터베이스(5)가 내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7)와 프린터(8)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6)이 컴퓨터(3)에 접속된다. 입력 수단(6)은, 디스플레이 장치(7)의 화면상에 마련된 터치 패널로 하는 경우가 있다. 컴퓨터(3)는, 이른바 개인용의 퍼스널 컴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은, 복수의 셀 행렬을 갖고서 표 형식으로 화면 표시하는 복수의 데이터 시트와, CPU(4)를 통하여 이들의 데이터 시트끼리에서의 데이터의 교환, 및 데이터베이스(5)와의 데이터의 교환 등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한 예로서,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은, USB 메모리나 CD-ROM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격납된다. 한 예로서,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3)에 다운로드되어 인스톨된다.
본 실시 형태의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의 펌웨어로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EXCEL(등록상표)이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ACCESS(등록상표)를 적용할 수 있고, 한 예로서, EXCEL(등록상표)에 부속의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이외에 시판의 표 계산 소프트웨어 및 당해 표 계산 소프트웨어의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적용 가능하다.
(실시례)
본 실시례에서는, 호텔이나 여관 등에서, 단체가 복수회에 걸쳐서 요리의 제공을 받는 경우를 예시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은 기본 메뉴표 정보(2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요리표 정보(3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개인표 정보(4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준비 작업으로서, 호텔이나 여관 등은, 요리 담당 부문이 기안한 메뉴 정보, 식재나 식품 납입 업자 등으로부터의 알레르겐 정보, 단체의 대표자나 여행회사의 담당자 등으로부터의 개인 알레르기 정보, 그 밖에 사전에 입수 가능한 정보에 의거하여, 기본 메뉴표 정보(20), 요리표 정보(30), 및 개인표 정보(40)을 작성한다. 한 예로서, 컴퓨터(3)상에서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을 기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7)에 입력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의 지시대로 데이터 입력한다. 데이터 입력 방법은, 기지의 방법이 적용된다. 한 예로서, 데이터를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한 예로서, 종이 매체를 스캔하여 데이터로서 취입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기본 메뉴표 정보(20)는, 단체명(203)과 1대1로 대응한다. 일자구분(202)은, 월일 등의 일자, 또는 제1일째나 제2일째 등의 일자와 1대1로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식사구분(204)은, 조식과 중식과 석식 등의 식사구분, 또는 시간대 등의 식사구분과 1대1로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메뉴 영역(206)은, 각 일자구분(202) 및 각 식사구분(204)과 1대1로 대응하는 정보 영역을 나타낸다. 각 메뉴 영역(206)에는, 메뉴(201)가 정보로서 들어가든지, 또는 공란이 된다. 메뉴(201)는, 복수의 요리명(205)으로 구성되든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요리명(205)으로 구성된다. 기본 메뉴표 정보(20)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가 가능한 구성이고, 또한, 종이 매체로서 인쇄 출력이 가능한 구성이다. 또한, 일자구분(202)은, 복수의 날(日)로 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단수의 날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요리표 정보(30)는, 요리명(205)을 각각 요리구분(302) 및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대응시킴과 함께, 요리구분(302) 내에서 우선 순위(307)를 붙인 정보이다. 요리구분(302)은, 주식과 주채(主菜)와 부채(副菜)와 디저트 등의 요리구분, 또는 물품목록(品書き)의 항목 등의 요리구분과 1대1로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우선 순위(307)는, 호텔이나 여관 등이 설정한다. 도 4의 예에서는, 번호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다. 또한, 우선 순위(307)의 번호는, 3개 이상 있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2개인 경우가 있다.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는, 알레르겐이 되는 특정 원재료 등이고, 계란, 우유, 소맥, 땅콩, 새우, 메밀, 게, 연어알, 키위 프루츠, 호두, 대두, 바나나, 참마, 캐슈너트, 복숭아, 참깨, 고등어, 연어, 오징어, 닭고기, 사과, 송이버섯, 전복, 오렌지, 쇠고기, 젤라틴, 돼지고기, 그 밖에 기지의 알레르겐 식재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는, 요리명(205) 각각의 당해 알레르겐에 표시를 하는 형식으로 하고 있다. 이 형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요리명(205) 각각의 당해 알레르겐을 열거하는 경우가 있다. 요리표 정보(30)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가 가능한 구성이고, 또한, 종이 매체로서 인쇄 출력이 가능한 구성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개인표 정보(40)은, 단체명(203) 내에서 개인명(405)을 각각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와 대응시킨 정보이다.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는, 알레르겐이 되는 특정 원재료 등이고, 계란, 우유, 소맥, 땅콩, 새우, 메밀, 게, 연어알, 키위 프루츠, 호두, 대두, 바나나, 참마, 캐슈너트, 복숭아, 참깨, 고등어, 연어, 오징어, 닭고기, 사과, 송이버섯, 전복, 오렌지, 쇠고기, 젤라틴, 돼지고기, 그 밖에 기지의 알레르겐 식재의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의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도 5의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는 표시 형식 및 표시하는 특정 원재료명을 일치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를 대조시키기 쉽게 한다. 개인표 정보(40)는,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가 가능한 구성이고, 또한, 종이 매체로서 인쇄 출력이 가능한 구성이다.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의 지시대로 데이터 입력하여 준비 작업이 완료되면, 개인 메뉴표 정보를 출력하는 본 작업이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메뉴 표시 순서에 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컴퓨터(3)상에서 메뉴 표시 프로그램(2)를 기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7)에 입력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메뉴 표시 프로그램(2)의 지시대로 단체명(203)을 입력하고 컴퓨터(3)는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S1). 컴퓨터(3)는, 개인표 정보(40) 내의 개인명(405)에서의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와, 요리표 정보(30) 내의 요리명(205)에서의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를 대조한다(스텝 S2). 그리고, 컴퓨터(3)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겹쳐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한 예로서, 개인명(405)이 [abc02]이고,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계란]인 경우, 요리명(205) 중, [마카로니 샐러드]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에 [계란]이 있기 때문에 알레르겐 정보가 겹쳐진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개인명(405)에서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복수의 알레르겐을 갖는 경우가 있고, 또한, 요리명(205)에서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가 복수의 알레르겐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적어도 하나의 알레르겐이 공통되어 있을 때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겹쳐진다고 판단하여 처리한다.
다음에,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와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가 겹쳐진 경우, 컴퓨터(3)는, 기본 메뉴표 정보(20) 내의 제1의 요리명(205a)을 검색한다(스텝 S4). 그리고, 컴퓨터(3)는, 제1의 요리명(205a)이 기본 메뉴표 정보(2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한 예로서, 제1의 요리명(205a)이 [마카로니 샐러드]인 경우, 기본 메뉴표 정보(20)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컴퓨터(3)는, 요리표 정보(30) 내의 요리구분(302)에서 요리명(205)의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307)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205b)을 추출한다(스텝 S6). 한 예로서,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에 [계란]이 없는 요리명(205)의 우선 순위(307)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205b)으로서 [그린 샐러드]를 추출한다.
여기서, 개인명(405)에서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복수의 알레르겐을 갖는 경우가 있고, 또한, 요리명(205)에서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가 복수의 알레르겐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알레르겐이 하나도 공통되지 않는 때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와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가 겹쳐지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처리한다.
다음에, 컴퓨터(3)는, 제1의 요리명(205a)에 금지 표시(501)를 부여한다(스텝 S7). 한 예로서, 제1의 요리명(205a)으로서의 [마카로니 샐러드]에, 금지 표시(501)로서 [문자의 취소선 표시]를 배치한다. 금지 표시(501)는, 문자의 취소선 표시, 문자의 망(網) 붙임 표시, 문자의 적색 표시의 어느 1종 이상이다. 이에 의해, 사람이 금지 표시(501)를 시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의 요리명(205a)에 금지 표시(501)를 부여하는 가공은, 금지 표시(501)가 배치된 제1의 요리명(205a)을 해당하는 셀에 덮어쓰는 가공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다층 레이어 구조로서, 제1의 요리명(205a)이 배치된 기본 레이어상의 제2레이어에 금지 표시(501)를 부여하는 가공으로 하여도 좋다. 제1의 요리명(205a)에 금지 표시(501)를 부여하는 가공은, 기지의 소프트웨어 기술 또는 기지의 화상 처리 기술이 적용된다.
그리고, 컴퓨터(3)는, 제1의 요리명(205a)에 금지 표시(501)가 배치된 메뉴 영역(206)에 제2의 요리명(205b)을 배치한다(스텝 S8). 한 예로서, 금지 표시(501)로서 [문자의 취소선 표시]가 배치된 제1의 요리명(205a)인 [마카로니 샐러드]의 근처의 빈 공간에, 제2의 요리명(205b)인 [그린 샐러드]를 배치한다. 한 예로서, 제1의 요리명(205a)을 적색계통의 문자로서, 제2의 요리명(205b)을 청색 계통의 문자 또는 녹색 계통의 문자로서 표시색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한 예로서, 제1의 요리명(205a)을 문자의 선폭을 가늘게 하고, 제2의 요리명(205b)을 문자의 선폭을 굵게 하여 선종(線種)을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 S6과 스텝 S7의 순서를 교체하여, 스텝 S7, 스텝 S6, 스텝 S8의 순번대로 처리하여도 지장 없다. 또한, 스텝 S7과 스텝 S8의 순서를 교체하여, 스텝 S6, 스텝 S8, 스텝 S7의 순번대로 처리하여도 지장 없다. 스텝 S6 및 스텝 S8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컴퓨터(3)는, 개인 메뉴표 정보(50)을 출력한다(스텝 S9). 한 예로서, 개인 메뉴표 정보(50)는 종이 매체로서 인쇄 출력된다. 또한, 컴퓨터(3)와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7)에 화면 표시된다.
본 실시례에 의하면, 컴퓨터 처리에 의해, 합리화하면서, 사람의 작업에 의한 대조 오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출력된 개인 메뉴표 정보(50)에 의해, 제1의 요리(205a)가 금지로 된 것이 분명해짐과 함께, 제1의 요리(205a)로부터 제2의 요리(205b)로 변경된 것이 분명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설명에서는, 개인 메뉴표 정보(50)는 컴퓨터(3)와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7)에 화면 표시된다고 하였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컴퓨터(3)와 데이터 링크된 휴대 정보 단말에 데이터 송신되어 상기 휴대 정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화면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의 요리명(205a)이나 제2의 요리명(205b)에, 각각 1대1로 대응하는 요리의 화상 데이터를 배치하고, 요리의 외관이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외식 시설에서 음식 알레르기 질환을 갖는 사람에 대해 요리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의 알레르겐 정보(304)를 제1의 기피식재 정보로 하고, 제2의 알레르겐 정보(404)를 제2의 기피식재 정보로 함으로써,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의 이용자 각각이, 음식 알레르기에 더하여, 종교상의 이유나, 질환, 기호상의 이유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음식점, 호텔, 여관 등 외식 시설에서 제공되는 요리는, 알레르겐 대응식에 더하여, 베지테리언 대응식, 이슬람교도 대응식(할랄로 처리된 식재), 유대교도 대응식, 위장 질환 대응식(소화가 좋은 식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컴퓨터에 데이터로서 입력하고,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컴퓨터가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함과 함께,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존재하는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고,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존재하는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여,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표시는, 문자의 취소선 표시이고, 상기 문자의 취소선 표시의 근처의 빈 공간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텔 또는 여관에서, 단체가, 조식과 중식과 석식으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 또는 시간대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으로, 복수의 상기 요리구분으로부터 추출된 요리의 제공을 받는 경우에 이용되고, 상기 이용자명은 상기 단체의 단체명이고,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이고,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2의 알레르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방법.
  4.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데이터로서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의 상기 요리구분에서의 상기 요리명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1의 요리명에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수단과,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표시는, 문자의 취소선 표시이고, 상기 문자의 취소선 표시의 근처의 빈 공간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호텔 또는 여관에서, 단체가, 조식과 중식과 석식으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 또는 시간대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으로, 복수의 상기 요리구분으로부터 추출된 요리의 제공을 받는 경우에 이용되고, 상기 이용자명은 상기 단체의 단체명이고,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이고,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2의 알레르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장치.
  7. 메뉴를 이용자명 및 식사구분과 대응시킨 기본 메뉴표 정보와, 상기 메뉴를 구성하는 요리명을 각각 요리구분 및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킴과 함께 상기 요리구분 내에서 우선 순위를 매긴 요리표 정보와, 상기 이용자명을 구성하는 개인명을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대응시킨 개인표 정보를 데이터로서 입력한 컴퓨터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개인명에서의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요리명에서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를 대조하여 당해 제2의 기피식재 정보와 당해 제1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진 경우에 있어서의 제1의 요리명을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 내에서 검색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에 당해 제1의 요리명에 금지 표시를 부여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이 상기 기본 메뉴표 정보의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존재한 경우의 상기 요리구분에서의 상기 요리명의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와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가 겹쳐지지 않는 것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2의 요리명을 추출하는 순서와, 상기 제1의 요리명에 상기 금지 표시가 부여된 상기 메뉴 영역 내에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순서와, 상기 개인명과 대응시킨 개인 메뉴표 정보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 표시는, 문자의 취소선 표시이고, 상기 문자의 취소선 표시의 근처의 빈 공간에,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제2의 요리명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프로그램.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호텔 또는 여관에서, 단체가, 조식과 중식과 석식으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 또는 시간대로 이루어지는 식사구분으로, 복수의 상기 요리구분으로부터 추출된 요리의 제공을 받는 경우에 이용되고, 상기 이용자명은 상기 단체의 단체명이고, 상기 제1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1의 알레르겐 정보이고, 상기 제2의 기피식재 정보는 제2의 알레르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표시 프로그램.
KR1020197031289A 2017-09-04 2018-07-03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KR10256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9413 2017-09-04
JP2017169413A JP6328306B1 (ja) 2017-09-04 2017-09-04 献立表示方法、献立表示装置、及び献立表示プログラム
PCT/JP2018/025129 WO2019044159A1 (ja) 2017-09-04 2018-07-03 献立表示方法、献立表示装置、及び献立表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828A true KR20200041828A (ko) 2020-04-22
KR102561844B1 KR102561844B1 (ko) 2023-08-01

Family

ID=6218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289A KR102561844B1 (ko) 2017-09-04 2018-07-03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30038B2 (ko)
EP (1) EP3648048A4 (ko)
JP (1) JP6328306B1 (ko)
KR (1) KR102561844B1 (ko)
CN (1) CN110603598A (ko)
CA (1) CA3059170A1 (ko)
SG (1) SG11201909900TA (ko)
TW (1) TWI690890B (ko)
WO (1) WO2019044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8346B2 (ja) * 2019-07-29 2023-03-29 晋 奥澤 献立メニュー提案システム
MY194390A (en) * 2019-11-27 2022-11-30 Panasonic Ip Man Co Ltd Method, information terminal, program, and storage medium
WO2021176741A1 (ja) * 2020-03-03 2021-09-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4746891A (zh) * 2020-03-03 2022-07-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以及记录介质
MY195730A (en) 2021-03-08 2023-02-08 Panasonic Ip Man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2120A (ja) * 2000-09-12 2002-03-29 Toshiba Corp 調理メニュー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調理メニュー情報提示装置並びに調理メニュー情報配信装置
JP2005018181A (ja) 2003-06-24 2005-01-20 Hitachi Ltd 食材情報確認システム
JP2008027148A (ja) * 2006-07-20 2008-02-07 Fujitsu Fip Corp 栄養管理システム、及び、栄養管理サーバ、栄養管理方法、並びに、栄養管理プログラム
JP2008217610A (ja) * 2007-03-06 2008-09-18 Fujitsu Ltd 献立立案方法、献立立案装置、献立立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61276A (ja) * 2008-09-02 2010-03-1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献立提案装置
KR20160038869A (ko)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JP2017076351A (ja) * 2015-10-16 2017-04-2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564B1 (ko) 1971-05-12 1975-11-10
US5899502A (en) * 1993-07-07 1999-05-04 Del Giorno; Joseph Method of making individualized restaurant menus
JPH0926952A (ja) 1995-07-10 199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献立支援装置
JP2000099578A (ja) * 1998-09-18 2000-04-07 Fujitsu Ltd 給食計画システム
US6859215B1 (en) * 1999-12-17 2005-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pecifying an electronic food menu on a data processing system
TW507145B (en) * 2000-05-22 2002-10-21 Daiichi Foods Co Ltd Outside-hospital foo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2003216738A (ja) 2002-01-25 2003-07-31 Sanyo Electric Co Ltd 医療事務装置、献立管理装置、院内連携システム、及び食事等の配送管理装置
US20030158465A1 (en) * 2002-02-15 2003-08-21 Galli Doreen L.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mpliance with a dietary restriction
TWI389103B (zh) * 2009-05-04 2013-03-11 Quanta Storage Inc 吸入式光碟機防卡裝置
US9053483B2 (en) * 2011-09-30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onal audio/visual system providing allergy awareness
CN102609252B (zh) * 2012-01-16 2016-07-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基于测量仪器的逻辑菜单资源智能配置方法
US20140173602A1 (en) * 2012-12-14 2014-06-19 Microsoft Corporation Matching Opportunity to Context
US9070175B2 (en) * 2013-03-15 2015-06-30 Panera,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on of a food order
US20150079551A1 (en) * 2013-09-16 2015-03-19 Mary Egan System for planning meals
JP6392579B2 (ja) 2014-08-11 2018-09-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注文登録処理装置及び注文登録処理プログラム
TWI718997B (zh) * 2014-09-30 2021-02-21 日商咕嘟媽咪股份有限公司 菜單生成系統
JP5889472B1 (ja) * 2015-06-25 2016-03-22 直輝 鷲田 治療方針決定支援システム
JP2017068792A (ja) * 2015-10-02 2017-04-06 富士通株式会社 商品購入処理方法、商品購入処理装置および商品購入処理プログラム
WO2018148684A1 (en) * 2017-02-13 2018-08-16 Nutrilyze Llc Nutrition scoring system
US20180268503A1 (en) * 2017-03-15 2018-09-20 Manav C. PARIKH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ho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2120A (ja) * 2000-09-12 2002-03-29 Toshiba Corp 調理メニュー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調理メニュー情報提示装置並びに調理メニュー情報配信装置
JP2005018181A (ja) 2003-06-24 2005-01-20 Hitachi Ltd 食材情報確認システム
JP2008027148A (ja) * 2006-07-20 2008-02-07 Fujitsu Fip Corp 栄養管理システム、及び、栄養管理サーバ、栄養管理方法、並びに、栄養管理プログラム
JP2008217610A (ja) * 2007-03-06 2008-09-18 Fujitsu Ltd 献立立案方法、献立立案装置、献立立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61276A (ja) * 2008-09-02 2010-03-18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献立提案装置
KR20160038869A (ko)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JP2017076351A (ja) * 2015-10-16 2017-04-2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28306B1 (ja) 2018-05-23
US20210097592A1 (en) 2021-04-01
EP3648048A1 (en) 2020-05-06
CN110603598A (zh) 2019-12-20
TWI690890B (zh) 2020-04-11
EP3648048A4 (en) 2020-05-06
KR102561844B1 (ko) 2023-08-01
US11430038B2 (en) 2022-08-30
SG11201909900TA (en) 2019-11-28
WO2019044159A1 (ja) 2019-03-07
JP2019046232A (ja) 2019-03-22
TW201913538A (zh) 2019-04-01
CA3059170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844B1 (ko)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장치, 및 메뉴 표시 프로그램
Cullather The foreign policy of the calorie
US20090083327A1 (en) Digital recipe box
Adel et al. Halal strategies on official government tourism websites: An extension and validation study
JP201902382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6790413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メニュー生成方法及びメニュー生成プログラム
Lessel et al. User requirements and design guidelines for digital restaurant menus
CN116416091A (zh) 菜单生成系统
JP2010039586A (ja) 注文端末及び注文端末用プログラム
JP201713474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7148998A (ja) 数量無制限サービスも取り扱う飲食物注文受付システム
Martín Nation building and social change in the United Arab Emirates through the invention of Emirati cuisine
JP7167520B2 (ja) メニュー生成システム及びメニュー生成方法
Cheng The cheapskate highbrow and the dilemma of sustaining Penang Hawker Food
JP2014157593A (ja) 電子メニューシステム
JP4916238B2 (ja) 栄養管理システム、栄養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95704A (ja) 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ielding Currying Flavor: Authenticity, Cultural Capital, and the Rise of Indian Food in the United Kingdom
JP7003739B2 (ja) 献立提供装置、献立提供方法および献立提供プログラム
CN114761988A (zh)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以及记录介质
US202101744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food socio-touristic media with food recognition capabilit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lazy predictor, social media, and incentivized gamification
JP2003067504A (ja) 栄養成分データ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提供装置
JP2005044170A (ja) 嗜好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141337A (ja) 食生活管理システム
Lwin et al. Nutrition Labeling in Health and Risk Messaging in 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