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908A -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908A
KR20200039908A KR1020180119484A KR20180119484A KR20200039908A KR 20200039908 A KR20200039908 A KR 20200039908A KR 1020180119484 A KR1020180119484 A KR 1020180119484A KR 20180119484 A KR20180119484 A KR 20180119484A KR 20200039908 A KR20200039908 A KR 2020003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labs
expansion joint
jointless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8011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908A/ko
Publication of KR2020003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L' 형상의 제1 단차를 가지고 부분 제거되는 제1 슬래브(S1) 위에 거치되어 일측이 거치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10); 제1 슬래브(S1)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차와 대칭되도록 부분 제거되는 제2 슬래브(S2) 위에 거치되어 거동되기 위한 거동부(20); 결합부(10)와 거동부(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결합부(10)/거동부(20)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의 이격공간(SS)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 및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어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과 결속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로 이루어지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Expansion Joints of the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the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식 신축이음장치 등의 종래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시 교체 시공된 신축이음장치에 발생되는 정모멘트에 대한 부모멘트를 조화롭게 제공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향상된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신축량, 활하중의 거더변형에 의한 신축량을 원활하게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신축이음장치는 차륜 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고, 또한 교량의 상부구조와 교대 구조간의 불연속부를 형성시켜 증폭된 충격하중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신축이음장치는 증폭된 충격하중에 직접 노출되어 교량의 수명 동안 수차례에 걸쳐 파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경제적 측면에서 초기 설치비용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파손빈도, 파손시 유지보수에 따른 직·간접비용 등을 고려하여 교체 설치되어져야 한다. 특히 신축을 흡수하는 기능 이외에 불연속으로 발생되는 방수기능 및 통행 제한 시간까지 고려되어 교체 보수되고 있다.
신축이음장치의 교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84729호는 상부키가 형성된 상부지지강재, 하부·중앙지지강재, 신축고무, 상부덮개판, 수평·경사 원형강 및 볼트체결구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보수공법은 신축이음장치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덮개판만을 제거한 후 손상된 신축고무를 제거하고, 신축이음장치의 이물질을 제거한 뒤 신축이음장치를 방식처리한 후 상기 상부덮개판을 볼트로 설치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98652호는 서로 다른 슬래브(slab)의 사이 공간인 유간에 설치되는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고 폭 방향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형태의 개방부가 형성된 레일 구조이며, 상기 유간의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로 다른 슬래브의 마주하는 측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각각 매립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U"자형 단면의 형태로 이루어져 폭 방향의 양단에 외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후크 형태의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고정부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고정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로 상기 유간에 띄워져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신속한 교체 시공을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제176147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커터기 또는 표면 굴삭기를 사용하여 포장면을 제거한 후 브레이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층을 파쇄시켜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철거하는 단계와; 신축이음장치가 철거된 철거 확공부(14)의 양쪽 바닥면에 초속경 몰탈(15)을 타설한 후 동일한 수평면이 나오도록 양쪽으로 레벨링 플레이트(16)(16)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레벨링 플레이트(16)(16)의 상면에 철거 확공부(14)에 수납될 수 있는 단위 크기를 갖고 인장력을 높이고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 보강섬유와 콘크리트로 프리캐스팅 제작된 단위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블럭(20)을 안착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단위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블럭(20)측 폭 방향 양단면에 아웃터 방수형 탄성봉함재(22)(22)를 밀착시켜 놓고, 아웃터 방수형 탄성봉함재(22)(22)와 철거 확공부(14)의 빈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30)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단위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블럭(20)측 탄성바(203)의 양 단부는 무수축 콘크리트(30)층에 매설되어 차량의 통행 제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이웃하는 슬래브들 사이의 신축이음장치의 거동을 위한 공간 상에서 교체된 신축이음장치에 통행하는 차량 등으로 인하여 하중이 집중되어 발생되는 모멘트 때문에 신규 교체된 신축이음장치의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준의 슬래브와의 결속관계가 약하기 때문에 이음 부분에서 파손이 용이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축 팽창에 대한 거동이 유연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 시공된 신축이음장치에 발생되는 정모멘트에 대한 부모멘트를 조화롭게 제공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로 교체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와 결합되는 슬래브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신축 거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L' 형상의 제1 단차를 가지고 부분 제거되는 제1 슬래브(S1) 위에 거치되어 일측이 거치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10); 제1 슬래브(S1)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차와 대칭되도록 부분 제거되는 제2 슬래브(S2) 위에 거치되어 거동되기 위한 거동부(20); 결합부(10)와 거동부(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결합부(10)/거동부(20)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의 이격공간(SS)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 및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어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과 결속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로 이루어지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PC 블럭으로 이루지며, 결근부(40)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는 '∩' 형상의 철근으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일체형의 PC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T'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30)의 일측 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하측단부에 밀착되며, 삽입부(30)의 타측 단부는 제2 슬래브(S2)의 측단부에 대하여 일정 공간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의 상면은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된 상태에서 타설되는 무수축성 콘크리트(50)에 의하여 제1 슬래브(S1)와 일체화되어 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동부(20)의 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단부에 대하여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은 완충재(60)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대향된 제1 및 제2 슬래브(S; S1, S2)로부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신축이음장치(J)가 제거되는 제1 단계; 제1 슬래브(S1)의 일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콘크리트가 'L'형상으로 부분 제거되어 제1 슬래브(S1) 속에 내재되어 있던 철근(R1)이 노출되며, 제1 슬래브(S1)와 대향되는 제2 슬래브(S2)의 일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1 슬래브(S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슬래브(S2)의 콘크리트가 단차를 가지도록 부분 제거되는 제2 단계; 단면이 'T' 형상의 PC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를 가지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의 이격공간(SS)에 중간 부분인 삽가 삽입된 상태로 부분 제거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에 각각 거치되는 제3 단계;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는 제4 단계; 및 무수축성 콘크리트(50)가 제1 슬래브(S1)와 삽입부(30) 상에서 현장 타설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체 시공된 신축이음장치에 발생되는 정모멘트에 대한 부모멘트를 조화롭게 제공하여 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로 교체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와 결합되는 슬래브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 상태에서 신축 거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특허 제1761476호에 따른 무조인트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PC 블럭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PC 블럭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작업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는 대향되는 거더(G)의 양단부에서 부분 제거되는 제1 슬래브(S1) 위에 일측이 거치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10), 제1 슬래브(S1)와 대향된 상태에서 부분 제거되는 제2 슬래브(S2) 위에 거치되어 거동되기 위한 거동부(20), 결합부(10)와 거동부(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결합부(10)/거동부(20)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의 이격공간(SS)에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 및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어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과 결속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에 의하면,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PC 블럭으로 이루지며, 결근부(40)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는 '∩' 형상의 철근으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일체형의 PC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횡단면이 'T'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삽입부(30)의 두께(D3)가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의 두께(D1, D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의 저면과 상면은 각각 평평한 형태를 가지며, 이들의 두께(D1, D2)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삽입부(30)의 일측 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하측단부에 밀착되며, 삽입부(30)의 타측 단부는 제2 슬래브(S2)의 측단부에 대하여 일정 공간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에 삽입된다.
한편, 거동부(20)의 저면은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상면상에서 미끄럼판(SP)을 매개하여 거동된다.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의 상면은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된 상태에서 타설되는 무수축성 콘크리트(50)에 의하여 제1 슬래브(S1)와 일체화되어 거동된다.
이 때, 거동부(20)의 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단부에 대하여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은 완충재(60)가 충진된다. 상기 완충재(60)는 CCJ(Cycle Controle Join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축성 콘크리트(50) 상에는 아스팔트(A)가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먼저 교각(P)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거더(G)의 슬래브(S; S1, S2)로부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신축이음장치(J)를 제거한다.
이 때, 제1 슬래브(S1)의 일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콘크리트가 'L'형상으로 부분 제거되어 제1 슬래브(S1) 속에 내재되어 있던 철근(R1)이 노출된다.
제1 슬래브(S1)와 대향되는 제2 슬래브(S2)의 일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1 슬래브(S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슬래브(S2)의 콘크리트가 단차를 가지도록 부분 제거된다. 제2 슬래브(S2)의 낮은 단차를 가진 부분은 제2 슬래브(S2)에 내재되어 있던 철근(미도시)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평탄화된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부분 제거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상에 각각 거치된다.
이 때, 삽입부(30)의 일측 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하측단부에 밀착되며, 삽입부(30)의 타측 단부는 제2 슬래브(S2)의 측단부에 대하여 일정 공간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거동부(20)의 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단부에 대하여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거동부(20)의 저면은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상면상에서 미끄럼판(SP)을 매개하여 거치되며, 미끄럼판(SP)은 고무판과 그 위에 안착되는 스테인레스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의 상면은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된다.
이와 같이 결근된 상태에서 무수축성 콘크리트(50)가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서 현장 타설되며, 이 때, 노출 철근(R1)이 위치한 제1 슬래브(S1)도 함께 일체적으로 타설된다.
이 과정에서 PC블럭으로 이루어진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상에서 무수축성 콘크리트(50)가 타설되므로 측면을 제외하고는 거푸집이 필요없게 되어 현장 설치 공기가 단축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는 제1 슬래브(S1)와 일체화되어 거동된다.
이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간에 대하여 완충재(60)가 충진된다.
한편, 상기 무수축성 콘크리트(50) 상에는 아스팔트(A)가 포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슬래브(S1, S2)가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이격공간(SS)의 위치에서 제1 슬래브(S1)의 하단 측면부에서 삽입부(30)의 일측면부가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돌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하중에 따른 정모멘트(M1)에 대하여 대향되는 부모멘트(M2)가 균형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장시간 공용 사용에 대한 교체 시공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제1 슬래브(S1)에 대하여 일체화되어 제2 슬래브(S2)에 대하여 거동됨으로써 신축조절 거동에 필요한 거동 간격을 최소화하여 보다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는 현장 타설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삽입부(30)가 결합부(10) 또는 거동부(2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10: 결합부
20: 거동부
30: 삽입부
40: 결근부
50: 무수축성 콘크리트
60: 완충재
A: 아스팔트
G: 거더
J: 기계식 신축이음장치
P: 교각
S, S1, S2: 슬래브
SP: 미끄럼판

Claims (11)

  1. 'L' 형상의 제1 단차를 가지고 부분 제거되는 제1 슬래브(S1) 위에 거치되어 일측이 거치되어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10);
    제1 슬래브(S1)와 대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차와 대칭되도록 부분 제거되는 제2 슬래브(S2) 위에 거치되어 거동되기 위한 거동부(20);
    결합부(10)와 거동부(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결합부(10)/거동부(20)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의 이격공간(SS)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30); 및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어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과 결속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PC 블럭으로 이루지며, 결근부(40)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 상에 노출되는 '∩' 형상의 철근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는 일체형의 PC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T'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30)의 일측 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하측단부에 밀착되며, 삽입부(30)의 타측 단부는 제2 슬래브(S2)의 측단부에 대하여 일정 공간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와 삽입부(30)의 상면은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된 상태에서 타설되는 무수축성 콘크리트(50)에 의하여 제1 슬래브(S1)와 일체화되어 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동부(20)의 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2 슬래브(S2)의 단부에 대하여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은 완충재(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
  7. 대향된 제1 및 제2 슬래브(S; S1, S2)로부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신축이음장치(J)가 제거되는 제1 단계;
    제1 슬래브(S1)의 일단부는 제1 슬래브(S1)의 콘크리트가 'L'형상으로 부분 제거되어 제1 슬래브(S1) 속에 내재되어 있던 철근(R1)이 노출되며,
    제1 슬래브(S1)와 대향되는 제2 슬래브(S2)의 일단부는 부분 제거된 제1 슬래브(S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 슬래브(S2)의 콘크리트가 단차를 가지도록 부분 제거되는 제2 단계;
    단면이 'T' 형상의 PC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제1 슬래브(S1)의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근되기 위한 결근부(40)를 가지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가 대향되는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의 이격공간(SS)에 중간 부분인 삽가 삽입된 상태로 부분 제거된 제1 및 제2 슬래브(S1, S2)에 각각 거치되는 제3 단계;
    결근부(40)가 제1 슬래브(S1)의 일측이 부분 제거되어 노출된 노출 철근(R1)에 대하여 결합철근(R2)에 의하여 결근되는 제4 단계; 및
    무수축성 콘크리트(50)가 제1 슬래브(S1)와 삽입부(30) 상에서 현장 타설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슬래브(S2)의 낮은 단차를 가진 부분은 제2 슬래브(S2)에 내재되어 있던 철근(미도시)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평탄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신축거동에 필요한 공간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간에 대하여 완충재(60)가 충진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는 PC 블럭 대신에 현장 타설되는 무수축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100)는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80119484A 2018-10-08 2018-10-08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39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484A KR20200039908A (ko) 2018-10-08 2018-10-08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484A KR20200039908A (ko) 2018-10-08 2018-10-08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08A true KR20200039908A (ko) 2020-04-17

Family

ID=7046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484A KR20200039908A (ko) 2018-10-08 2018-10-08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9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720A (zh) * 2020-11-23 2022-05-24 韩国建设技术研究院 使用连续板的预制板桥和其构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5720A (zh) * 2020-11-23 2022-05-24 韩国建设技术研究院 使用连续板的预制板桥和其构建方法
KR20220070793A (ko) * 2020-11-23 2022-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291B2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1761476B1 (ko)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KR101817968B1 (ko) 신축조절장치를 구비한 교량의 보수방법
KR101204734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방법
KR102008773B1 (ko) 탄성폼프리캐스트 조인트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 급속 시공방법
KR100798654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40363B1 (ko) 무천공방식의 정착고리철근을 이용한 교대측과 교량측 간의 연결슬래브조인트 시공방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2965B1 (ko) 신축이음부 연속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220544B1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20200039908A (ko) 무조인트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30031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방법
KR100938876B1 (ko) 반단면 피씨 패널
KR102261661B1 (ko)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095459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765846B1 (ko) 강합성라멘교,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31148B1 (ko) 기계식 신축이음장치가 배제되는 교량 보수방법
KR20020034722A (ko) 교량의 조립식 핑거 익스펜션 조인트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100026917A (ko)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 및 시공방법
JP3806681B2 (ja)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KR20200139572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구비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