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225A -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225A
KR20200035225A KR1020190117196A KR20190117196A KR20200035225A KR 20200035225 A KR20200035225 A KR 20200035225A KR 1020190117196 A KR1020190117196 A KR 1020190117196A KR 20190117196 A KR20190117196 A KR 20190117196A KR 20200035225 A KR20200035225 A KR 2020003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regulating
end member
developing cartridg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239B1 (ko
Inventor
마사토 타나베
마사카즈 타츠미
타츠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78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72974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78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7214419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225A/ko
Priority to KR102023011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와; 현상 부재, 현상 프레임, 당해 현상 프레임에 장착된 단부 부재, 당해 단부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현상 카트리지와; 당해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치 본체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과;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부 부재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부에 작용하여,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부로서, 상기 이동 유닛을 제외한 상기 장치 본체의 일부에 제공되어 있는 규제 해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에 사용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및 이들의 복합기(복합기능 프린터)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를 지지하는 현상 유닛과 그 현상 유닛의 긴 길이방향 양단부에 현상 유닛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된 단부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 제2017-173805호 공보). 이 단부 부재는,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장치 본체에 위치 결정된 감광체 드럼에 대해서 현상 유닛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현상 유닛은, 현상 롤러가 감광체 드럼에 접촉하고 있는 접촉 위치와 감광체 드럼에 대해 이간하여 있는 이간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하는 경우에, 단부 부재에 대한 현상 유닛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포함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17-173805호 공보의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대해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단부 부재의 현상 유닛에 대한 회전의 규제가 해제된다.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제1 위치와 화상 형성하기 위한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제1 위치에 있어 단부 부재의 회전 규제가 해제되어 버린다. 단부 부재는, 화상 형성을 행하지 않는 제1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기록재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토너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포함하지 않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현상 부재가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단부 부재로서, 그 요동 축선이 상기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를 포함하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장치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요동 축선 주위로의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 부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단부 부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이동 유닛의 이동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부에 작용하여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해제부로서, 상기 이동 유닛을 제외한 상기 장치 본체의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규제 해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감광체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현상 부재가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한 요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단부 부재로서, 그 요동 축선이 상기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요동을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로 상기 요동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규제 부재; 및 상기 규제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요동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규제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비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1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각각, 실시예와 관련되는 드럼 카트리지의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후방측 정면도와 전방측 정면도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후단부 부재 근방의 단면도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전단부 부재 근방의 단면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각각, 전단부 부재의 규제 부재가 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의 현상 카트리지의 규제 부재 근방의 단면도와 사시도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각각, 전단부 부재의 규제 부재가 비규제 위치에 있는 경우의 현상 카트리지의 규제 부재 근방의 단면도와 사시도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F)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규제 부재 및 압압 부재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장치 본체에 드럼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전단부 부재 및 후단부 부재가 장치 본체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의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의 (A) 및 도 14의 (B)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의 (A) 및 도 15의 (B)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현상 카트리지의 접촉 상태와 이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
(화상 형성 장치)
실시예와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0)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0)는, 장치 본체(100)에 착탈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9)(9Y, 9M, 9C, 9K, 이하 9Y~9K라 한다)와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 이하 4Y~4K라 한다)를 포함한다.
각각의 드럼 카트리지(9)는,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1a, 1b, 1c, 1d, 이하 1a~1d라 한다)을 포함한다. 각각의 드럼 카트리지(9)는, 또한, 대전 롤러(2)(2a, 2b, 2c, 2d, 이하 2a~2d라 한다)와 클리닝 부재(6)(6a, 6b, 6c, 6d, 이하 6a~6d라 한다)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25)(25a, 25b, 25c, 25d, 이하 25a~25d라 한다)와, 클리닝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35)(35a, 35b, 35c, 35d, 이하 35a~35d라 한다)를 포함한다.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것이며, 현상 롤러(25)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한다)에 의해 현상하여 가시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클리닝 부재(6)는, 감광체 드럼(1)에 형성한 토너상을 기록 매체(S)에 전사한 후에 감광체 드럼(1)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것이다.
드럼 카트리지(9)의 장치 본체(100)의 착탈 방향(장착 방향)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현상 카트리지(4)의 장치 본체(100)의 착탈 방향(장착 방향)은,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을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이라 정의한다.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하방에는 스캐너 유닛(3)이 제공되어 있다.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체 드럼(1)에 선택적인 노광을 행하여 감광체 드럼(1)에 잠상을 형성한다.
장치 본체(100)의 내부의 연직 방향 하측에는 기록 매체(S)를 수납하는 카셋트(1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S)에 전사하는 2차 전사 롤러(69)와, 기록 매체(S)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74)를 기록 매체(S)가 통과하여 장치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반송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반송부는 카셋트(17) 내의 기록 매체(S)를 1매씩 분리하면서 급송하는 급송 롤러(54), 급송된 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쌍(76), 기록 매체(S)에 전사하기 위한 토너 화상과 기록 매체(S)와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레지스터 롤러쌍(55)을 포함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연직 방향 상측에는 중간 전사 유닛(5)이 제공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1)(1a, 1b, 1c, 1d)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유닛(5)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유닛(5)은, 구동 롤러(56), 종동 롤러(57), 1차 전사 롤러(58)(58a, 58b, 58c, 58d), 대향 롤러(59)를 포함하고, 이들 롤러에 전사 벨트(14)가 둘러 걸쳐져 있다. 그리고, 4개의 1차 전사 롤러(58a, 58b, 58c, 58d)는, 전사 벨트(14)가 감광체 드럼(1a~1d)에 접촉하도록, 중간 전사체로서의 전사 벨트(14)를 각각이 대응하는 4개의 감광체 드럼(1a~1d)에 대해 압압한다. 그리고, 1차 전사 롤러(5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전사 벨트(14)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1차 전사). 그리고, 2차 전사 롤러(69)에의 전압 인가에 의해, 전사 벨트(14)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S)에 전사한다.
이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감광체 드럼(1)을 회전시키고,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그 후, 감광체 드럼(1)에 스캐너 유닛(3)에 의해 선택적인 노광을 행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의 정전 잠상을 현상 롤러(25)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한다. 이 화상 형성과 동기하여, 레지스터 롤러쌍(55)이, 기록 매체(S)를 대향 롤러(59)와 2차 전사 롤러(69)가 전사 벨트(14)를 개재시켜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부로 반송한다. 또한, 2차 전사 롤러(69)에 전사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사 벨트(14) 상의 각 색 토너상을 기록 매체(S)에 2차 전사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컬러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S)는, 정착부(74)에 의해 가열, 가압되어 토너상이 정착된다. 그 후, 기록 매체(S)는, 배출 롤러(72)에 의해 배출부(75)로 배출된다. 또한, 정착부(74)는, 장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
다음으로,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드럼 카트리지(9)에 대해,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는 드럼 카트리지(9)(9Y~9K)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드럼 카트리지(9)의 주단면도이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9Y~9K)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드럼 카트리지(9) 및 현상 카트리지(4) 각각의 장치 본체(100)에 대한 장착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및 하류측을 각각 전방측 및 후방측이라 정의한다. 드럼 카트리지(9)(9Y~9K)는, 감광체 드럼(1) 및 클리닝 프레임(27)을 포함한다. 클리닝 프레임(27)은, 전방측의 드럼 베어링(10)과 후방측의 드럼 베어링(11)을 통해 감광체 드럼(1)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의 일단측에는 드럼 커플링(16)과 플랜지가 제공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부재(6)가 제공되어 있다. 클리닝 부재(6)는 고무 블레이드로 형성된 탄성 부재(7)와 클리닝 지지 부재(8)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고무 블레이드)(7)의 선단부(7a)는 감광체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카운터 방향으로 감광체 드럼(1)과 접촉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리닝 부재(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제거 토너실(27a)로 낙하한다. 또한, 제거 토너실(27a)의 제거된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쿠핑(scooping) 시트(21)가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드럼 카트리지(9)에 구동원으로서의 본체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을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시킨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베어링(28)을 통해 드럼 카트리지(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대전 롤러(2)는, 대전 롤러 가압 부재(33)에 의해 감광체 드럼(1)에 대해 가압되어, 감광체 드럼(1)에 종동 회전한다.
(현상 카트리지)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4)에 대해, 도 3, 도 4, 도 5의 (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4)(4Y~4K)의 주단면이다. 도 4는, 편의상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를 분해한 현상 카트리지(4)의 사시도이다. 또한, 옐로우색, 마젠타색, 시안색, 블랙색의 토너를 각각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Y~4K)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와 현상 프레임(31)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25)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도 3에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광체 드럼(1)에 토너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 상의 토너상을 현상한다. 현상 프레임(31)은, 현상 롤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또한, 토너 공급 롤러(34)와, 현상 블레이드(35)와, 토너 반송 부재(36)를 포함한다. 토너 공급 롤러(34)는, 현상 롤러(25)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현상 롤러(25)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블레이드(35)는, 현상 롤러(25) 상의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장치 본체(100)에 드럼 카트리지(9)(감광체 드럼(1))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치 본체(10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현상 롤러(25), 토너 공급 롤러(34), 현상 블레이드(35)는 모두 현상 롤러(25)의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긴 부재이다.
현상 프레임(31)은, 현상실(31c)과 토너 수납실(31a)을 포함한다. 현상실(31c)은 현상 롤러(25)가 배치되어 있는 현상부로서 기능한다. 토너 수납실(31a)은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실(31c)의 연직 방향 아래에 제공된 토너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실은, 격벽(31d)에 의해 나뉘어져 있다. 또한, 격벽(31d)에는 토너 수납실(31a)로부터 현상실(31c)로 토너를 반송할 때 토너가 통과하는 개구(31b)가 마련되어 있다.
토너 수납실(31a)에 마련된 토너 반송 부재(36)는, 수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개구부(31b)를 거쳐 현상실(31c)로 토너를 반송한다. 현상 롤러(25)와 토너 공급 롤러(34)는 각각의 긴 길이방향 양단부를,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방측의 현상 베어링 부재(12)와 후방측의 현상 베어링 부재(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토너 공급 롤러(34)의 후방측의 긴 길이방향 단부에는 현상 커플링(23)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34)의 전방측의 긴 길이방향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가 제공되어 있다. 현상 롤러(25)의 전방측의 긴 길이방향 단부에는 토너 공급 기어(30)와 맞물리는 현상 기어(29)가 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현상 커플링(23)에 전달함으로써, 토너 공급 롤러(34) 및 현상 롤러(25)를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현상 기어(29) 및 토너 공급 기어(30)의 외측에는, 현상 프레임(31)의 일부로서의 기어 커버(20)가 제공되어 있다. 이하, 현상 프레임(31)과, 현상 프레임(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부재를 총칭하여 현상 유닛(39)이라 한다.
(현상 카트리지의 전단부 부재(front end member) 및 후단부 부재(rear end member)
현상 프레임(31)의 현상 롤러(25)의 긴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전방측의 전단부 부재(제1 단부 부재)(37) 및 후방측의 후단부 부재(제2 단부 부재)(38)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후단부 부재(38)측에서 본 현상 카트리지(4) 및 전단부 부재(37)로부터 본 현상 카트리지(4)를 도시하고 있다. 후단부 부재(38)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의 현상 베어링(13)에 마련된 보스(13a)와 결합하는 걸어 맞춤 구멍(38a; hanging hole)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단부 부재(37)는,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어 커버(20)에 마련된 보스(20a)와 결합하는 걸어 맞춤 구멍(37a)을 포함하고 있다. 전단부 부재(37) 및 후단부 부재(38)는, 후방측의 현상 베어링(13)의 보스(13a) 및 기어 커버(20)의 보스(20a)를 연결하는 회전축 Y(요동 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전단부 부재(37) 및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프레임(31)에 대해 각각 독립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단부 부재(37)는, 현상 프레임(31)과, 후단부 부재(3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프레임(31)과 전단부 부재(3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단부 부재(37)가 현상 프레임(31)에 대해 회전할 때,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프레임(31)과 전단부 부재(37)에 대해 정지하여 있을 수 있다. 또한, 후단부 부재(38)가 현상 프레임(31)에 대해 회전할 때, 전단부 부재(37)는 현상 프레임(31)과 후단부 부재(38)에 대해 정지하여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단부 부재(37)의 장치 본체(1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B)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단부 부재(37)는, 피가이드부(37k)(일단측 피위치 결정부)와 피가이드부(37h)(일단측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장치 본체(100)는, 본체 제1 위치 결정부(99a)(제1 위치 결정부)와, 본체 제1 회전 스토퍼(106)(제1 회전 스토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4)의 장치 본체(100)에의 장착이 완료하고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가능한 위치(후술하는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피가이드부(37k)와 본체 제1 위치 결정부(99a)가 접촉하고, 피가이드부(37h)와 본체 제1 회전 스토퍼(106)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전단부 부재(3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5의 (A)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후단부 부재(38)는, 제2 피위치 결정부(38c)(타단측 피위치 결정부)와, 제2 회전 스토퍼(38d)(타단측 회전 스토퍼)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100)는,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체 제2 위치 결정부(98a)(제2 위치 결정부)와 본체 제2 회전 스토퍼(98b)(제2 회전 스토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되고 화상 형성 가능인 위치(후술하는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는, 제2 피위치 결정부(38c)와 본체 제2 위치 결정부(98a)가 접촉하고, 제2 회전 스토퍼(38d)와 본체 제2 회전 스토퍼(98b)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후단부 부재(38)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서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카트리지의 장치 본체에의 장착)
다음으로, 도 11의 (A) 및 (B), 도 12, 도 13,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장치 본체(100)에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4Y~4K)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개구부(101)(101a, 101b, 101c, 101d)를 통하여 장치 본체(100)에 장착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5)(25a~25d)의 회전 축선 방향과 평행인 방향(화살표 F 방향)으로 장치 본체(100)에 대해 장착된다.
도 14의 (A) 및 (B)에 나타낸 것처럼, 장치 본체(100)에 있어서의 전방측에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10)가 제공되어 있다. 개폐 부재(110)를 열면, 개구부(101)가 노출된다. 또한, 도 11의 (A) 및 도 11의 (B),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개구부(101)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측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부재로서의 상 가이드(105)(105a, 105b, 105c, 105d)가 제공되어 있다. 상 가이드(105)는 홈부(오목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다. 또한, 개구부(101)의 연직 방향의 하측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 가이드(104)(104a, 104b, 104c, 104d)가 제공되어 있다. 하 가이드(104)는 홈부(오목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는다.
장치 본체(100)에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도 5의 (A) 및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후단부 부재(38)에 마련된 하 가이드 리브(338h) 및 상 가이드 리브(338g)를 각각, 장치 본체(100)에 마련된 하 가이드(104)의 홈 및 상 가이드(105)의 홈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13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 내로 밀어넣는다.
장치 본체(1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현상 카트리지(4)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M)를 포함한다. 제1 위치는 현상 카트리지(4)를 착탈하기 위한 위치이다. 제2 위치는 화상 형성하기 위한 위치로서 제1 위치보다 중간 전사 유닛(5)에 가깝다. 이 이동 기구(M)에 대해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A)는, 개폐 부재(110)를 연 상태이며 또한 현상 카트리지(4)를 전술한 것처럼 장착 방향으로 밀어넣은 위치인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의 (B)는, 개폐 부재(110)를 닫은 상태이며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을 위한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 기구(이동 유닛)(M)는, 하 가이드(104), 압압 부재(104a), 압축 스프링(104b)(가압 부재), 링크 부재(355)를 포함한다. 압압 부재(104a)는, 하 가이드(104) 상에 제공되고, 그 상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실어 현상 카트리지를 지지한다. 압축 스프링(104b)은, 압압 부재(104a)를 연직 상방향(중간 전사 유닛(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355)는,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방향에 관해서 상류측 및 하류측에 제공되어 있다. 상류측의 링크 부재(355)는, 그 일단이 회전 중심(99c)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전측판(99)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하 가이드(10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류측의 링크 부재(355)는, 그 일단이 회전 중심(98c)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후측판(98)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하 가이드(10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110)의 회전과 연동하여 2개의 링크 부재(355)가 회전하면, 하 가이드(104)가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하 가이드(104)가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위에 실려 있는 현상 카트리지(4)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의 (A)에 나타낸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후단부 부재(38)의 제2 피위치 결정부(38c)는 후측판(98)의 본체 제2 위치 결정부(98a)에 대해서 간극을 가지고 있으며, 전단부 부재(37)의 피가이드부(37k)는 전측판(99)의 본체 제1 위치 결정부(99a)에 대해서 간극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도 14의 (B)에 나타낸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현상 카트리지(4)가 압압 부재(104a)를 통한 압축 스프링(104b)의 압압력에 의해 연직 상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가압력에 의해, 후단부 부재(38)의 제2 피위치 결정부(38c)는 후측판(98)의 본체 제2 위치 결정부(98a)와 접촉하고, 전단부 부재(37)의 피가이드부(37k)는 전측판(99)의 본체 제1 위치 결정부(99a)에 접촉하고, 전단부 부재(37) 및 후단부 부재(38)의 위치가 결정된다.
(후단부 부재의 회전 규제부)
다음으로, 도 4, 도 5의 (A),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여, 후단부 부재(38)의 현상 유닛(39)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후 규제 부재(40)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A)에 있어서의 k-k선을 따라 취한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것처럼, 후방측의 현상 베어링 부재(13)에는, 후단부 부재(38)의 회전 규제부로서의 후 규제 부재(제2 규제 부재)(4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후 규제 부재(40)와, 현상 베어링 부재(13)의 스프링 지지부(13b)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41)이 더 제공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 부재(38)는, 후 규제 부재(40)의 규제부(40a)와 결합 가능한 홈부(38f)와, 걸어 맞춤 구멍(38a)을 더 포함한다. 현상 베어링 부재(13)는, 걸어 맞춤 구멍(38a)과 결합하는 보스(13a)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후단부 부재(38)의 걸어 맞춤 구멍(38a) 및 홈부(38f)가 각각, 현상 베어링 부재(13)의 보스(13a) 및 후 규제 부재(40)의 규제부(40a)와 결합하여 있다(도 5의 (A), 도 6의 (A) 및 (B) 참조). 이 결과,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베어링 부재(13)에 대한 회전 축선 Y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규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유닛(39)에 대해서 회전 축선 Y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면, 후 규제 부재(40)가 후측판(98)에 설치된 볼록부(제2 규제 해제부)(998)(도 14의 (A) 및 (B))와 접촉하여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P 방향으로 압압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후 규제 부재(40)는, 압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P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 규제 부재(40)의 규제부(40a)와 후단부 부재(38)의 홈부(38b)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결과, 후단부 부재(38)는, 현상 베어링 부재(13)를 포함한 현상 프레임(31) 또는 현상 유닛(39)에 대해 회전 축선 Y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을 위한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후단부 부재(38)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서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가 정해져 있고, 현상 유닛(39)에 대한 후단부 부재(38)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현상 유닛(39)이 장치 본체(100)에 위치 결정된 후단부 부재(38)에 대해 회전 축선 Y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단부 부재의 회전 규제부)
도 4, 도 5의 (B), 도 7의 (A)~도 9의 (B)를 참조하여, 전단부 부재(37)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현상 카트리지(4)가 전술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현상 카트리지(4)의 도 5의 (A)에 나타내는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제1 위치에 있는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각각, 제2 위치에 있는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전단부 부재(37)는, 전 규제 부재(제1 규제 부재)(60)와 압축 스프링(62)과 압압 부재(61)를 포함한다. 전 규제 부재(60)는, 전단부 부재(37)의 현상 프레임(31)(현상 유닛(39))에 대한 회전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압축 스프링(62)은, 전 규제 부재(60)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압압 부재(61)는, 전 규제 부재를 압압한다.
전 규제 부재(60)는,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부 부재(37)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압압 부재(61)는, y축 방향과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단부 부재(37)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62)은, 전 규제 부재(60)와 전단부 부재(3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전 규제 부재(60) 및 압압 부재(61)의 상세도를 도 10의 (A)~(F)에 나타낸다. 도 10의 (A), (B) 및 (C)는 각각, 전 규제 부재(60)의 좌측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D), (E) 및 (F)는 각각, 압압 부재(61)의 좌측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전 규제 부재(60)는 규제부(60a) 및 경사면부(60b)를 포함한다. 압압 부재(61)는 경사면부(61a)를 포함한다.
도 7의 (A),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전단부 부재(37)의 전 규제 부재(60)는 압축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의해 -Y 방향으로 가압되고, 전 규제 부재(60)의 규제부(60a)가 기어 커버(20)에 마련된 홈부(20b)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규제부(60a)가 홈부(20b)에 결합함으로써, 전단부 부재(37)는,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에 대해 Y축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은, 전단부 부재(37)에 대해 Y축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제1 위치로부터 장치 본체(100)의 하 가이드(104)에 의해 z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된다. 도 7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장치 본체(100)의 상 가이드(105)의 전방측에 제공된 규제 해제부(105m)에 의해, 압압 부재(61)가 현상 롤러(25)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Q 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다. 압압 부재(61)는 Q 방향으로 압압되면 -z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압 부재(61)의 경사면부(61a)가 전 규제 부재(60)의 경사면부(60b)를 압압하고, 압축 스프링(6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 규제 부재(6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 규제 부재(60)가 y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 규제 부재(60)의 규제부(60a)와 기어 커버(20)의 홈부(20b)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60a)와 홈부(20b)의 결합이 해제되면,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이 Y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전 규제 부재(60)는, 전단부 부재(37)의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도 7의 (A), 도 8)과 그 회전을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도 7의 (B), 도 9)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 규제 부재(60)는, 현상 카트리지(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규제 위치에 있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비규제 위치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 부재(37)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착 방향으로 후측판(98)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넣어졌다고 하더라도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 상태이다. 전단부 부재(37)의 현상 유닛(39)(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 규제는, 개폐 부재(110)가 닫혀져 하 가이드(104)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를 향해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상 롤러의 접촉/이간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라서 감광체 드럼(1)에 대해 현상 롤러(25)가 접촉 이간하는 구성에 대해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A)는,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의 (B)는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이 이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현상 프레임(31)의 하부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가압 수용부(31e)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00)에는, 도 15의 (A) 및 (B)에 서의 G1 방향과 G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8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후단부 부재(38)와 전단부 부재(37)는, 장치 본체(100)에 대해서 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후단부 부재(38)와 규제 부재(340)의 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 규제는 해제되어 있다. 즉, 현상 프레임(31)은, 장치 본체(100)에 대해 Y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 부재(80)가 도 15의 (A)에 나타내는 것처럼 G1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압 부재(80)에 있어서의 가압부(80a)가 가압 수용부(31e)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현상 프레임(31)이 화살표 Y1 방향으로 요동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현상 롤러(25)가 감광체 드럼(1)을 압압한다. 또한, 가압 부재(80)가 도 15의 (B)에 나타내는 것처럼 G2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 가압 부재(80)에 있어서의 이간부(80b)가 가압 수용부(31f)에 접촉함으로써, 현상 프레임(31)이 화살표 Y2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이 이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이지만 기록 매체(S)에 화상을 형성하지 않을 때는, 현상 롤러(25)와 감광체 드럼(1)을 이간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5)가 변형함에 따른 화질의 저하를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의 손잡이에 대한 회전 규제부의 위치)
일본특허공개 제2017-173805호에 기재된 현상 카트리지는, 전방측의 긴 길이방향 단면에 규제 부재 및 유저가 현상 카트리지를 잡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규제 부재는, 손잡이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쪽에 있다. 따라서, 유저가 현상 카트리지의 손잡이를 잡을 때, 규제 부재에 잘못하여 접해 버려, 단부 부재의 회전 규제가 해제되어 단부 부재와 지지 유닛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장치 본체에의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의 (B), 도 7의 (A) 및 (B)에 나타낸 것처럼, 현상 카트리지(4)의 전단부 부재(37)에는, 유저가 현상 카트리지(4)를 잡아 장치 본체(100)에 장착하기 위한 손잡이(370)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370)는, 도 7의 (A) 및 (B)의 -z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37b)와, z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37c)와, 오목부(37c)의 개구부(37d)를 포함한다. 개구부(37d)는, 적어도 유저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전단부 부재(37)에 제공된 전 규제 부재(60) 및 압압 부재(61)는, z 방향(현상 롤러(25)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관하여, 손잡이(370)의 개구부(37d)와 반대 쪽에 제공되어 있다. 즉, 전단부 부재(37)는, 전단부 부재(37)의 회전 축선 Y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전 규제 부재(60)는, 회전 축선 Y에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 개구부(37d)와 반대측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손잡이(370)의 개구부(37d)는 연직 방향 아래를 향하고 있고 회전 규제부(전 규제 부재(60) 및 압압 부재(61))는 개구부(37d)보다 연직 방향으로 상측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유저가 현상 카트리지(4)의 손잡이(370)에 손가락을 걸 때 잘못하여 전단부 부재(37)의 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의 규제를 해제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오 조작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 전단부 부재(37)의 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단부 부재(38)의 현상 프레임(31)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을 전단부 부재(37)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동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기록재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토너상을 담지하도록 구성된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포함하지 않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현상 부재가 회전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단부 부재로서, 그 요동 축선이 상기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를 포함하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 및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한 장치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유닛;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요동 축선 주위로의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 부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단부 부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이동 유닛의 이동에 따른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부에 작용하여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해제부로서, 상기 이동 유닛을 제외한 상기 장치 본체의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규제 해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위치 결정부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규제부를 각각, 제1 단부 부재 및 제1 규제부라 했을 때에,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장착된 제2 단부 부재로서, 상기 현상 프레임 및 상기 제1 단부 부재에 대해, 상기 요동 축선의 주위로 요동 가능한, 상기 제2 단부 부재; 및
    상기 제2 단부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제2 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결정부를 제1 위치 결정부라 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한 상기 요동 축선 주위로의 상기 제2 단부 부재의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단부 부재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제2 단부 부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부를 제1 규제 해제부라 했을 때에,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에 이르기 전에 상기 제2 규제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2 단부 부재의 요동의 규제를 해제하는 제2 규제 해제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재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제2 위치 결정부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규제 부재가 상기 요동을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로 상기 요동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규제 부재; 및
    상기 규제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요동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규제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비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감광체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현상 부재가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현상 프레임의 단부에,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한 요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단부 부재로서, 그 요동 축선이 상기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요동을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로 상기 요동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규제 부재; 및
    상기 규제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요동 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규제 부재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를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비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압압 부재
    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8.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감광체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로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감광체에 공급하기 위한 토너를 담지하도록 구성된 현상 부재;
    상기 현상 부재가 회전 축선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으로서, 상기 현상 부재가 제공되어 있는 현상실과, 상기 현상실에 공급하기 위한 상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납실을 포함하는, 상기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받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로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1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구동력 수용부;
    상기 현상 부재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에,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한 요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단부 부재로서, 상기 단부 부재의 요동 축선은 상기 회전 축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현상 프레임에 대한 요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요동을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규제 부재로서, 상기 회전 축선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 상기 토너 수납실보다 상기 현상실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규제 부재
    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KR1020190117196A 2018-09-25 2019-09-24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57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592A KR102642941B1 (ko) 2018-09-25 2023-08-29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8957A JP7297419B2 (ja) 2018-09-25 2018-09-25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JPJP-P-2018-178956 2018-09-25
JPJP-P-2018-178957 2018-09-25
JP2018178956A JP7214419B2 (ja) 2018-09-25 2018-09-25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592A Division KR102642941B1 (ko) 2018-09-25 2023-08-29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225A true KR20200035225A (ko) 2020-04-02
KR102574239B1 KR102574239B1 (ko) 2023-09-01

Family

ID=698845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196A KR102574239B1 (ko) 2018-09-25 2019-09-24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KR1020230113592A KR102642941B1 (ko) 2018-09-25 2023-08-29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592A KR102642941B1 (ko) 2018-09-25 2023-08-29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86267B2 (ko)
KR (2) KR102574239B1 (ko)
CN (2) CN1165206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607A (ja) * 2010-03-16 2011-10-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73805A (ja) * 2016-02-29 2017-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1209B1 (en) * 1986-11-07 1994-07-2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and a developing device for an electr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JP2586501B2 (ja) * 1987-07-31 1997-03-05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1200380A (ja) * 1988-02-05 1989-08-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869901B2 (ja) *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8558B2 (ja) 2001-12-13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07009B2 (ja) 2002-04-03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US7190921B2 (en) * 2003-07-31 2007-03-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hotosensitive member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89639B2 (ja) * 2004-02-27 2008-05-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67831B1 (ko) * 2005-11-10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1371202B (zh) * 2006-01-11 2011-07-20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成像设备
JP5393001B2 (ja) * 2006-06-26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分解方法
US8032058B2 (en) * 2007-05-15 2011-10-04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er cartridge lock member
US7831190B2 (en) * 2007-07-04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and mounting cover
JP2009058711A (ja) * 2007-08-31 2009-03-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2638B2 (ja) * 2011-06-17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9256195B2 (en) * 2013-11-18 2016-02-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ment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590577B2 (ja) * 2015-07-31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067461B2 (en) * 2016-02-2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942482B2 (ja) 2016-02-29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132738A (zh) * 2016-02-29 2017-09-05 佳能株式会社 显影盒和图像形成装置
US10156825B2 (en) * 2016-02-29 2018-12-1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members supporting a developing frame body,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92985B2 (ja) 2016-07-08 2021-06-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607A (ja) * 2010-03-16 2011-10-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173805A (ja) * 2016-02-29 2017-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239B1 (ko) 2023-09-01
CN116520662A (zh) 2023-08-01
KR20230129216A (ko) 2023-09-07
CN110941167A (zh) 2020-03-31
US20210333742A1 (en) 2021-10-28
CN110941167B (zh) 2023-05-23
US11086267B2 (en) 2021-08-10
US11550255B2 (en) 2023-01-10
KR102642941B1 (ko) 2024-03-04
US20200096935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2737B (zh) 显影盒和图像形成装置
JP699082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18512B2 (ja) 画像形成装置
JP4334014B1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192063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493878B2 (en) Cartridge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developing roll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EP3223082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100541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692154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2574239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카트리지
JP7214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JP7297419B2 (ja) 画像形成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7201389A (ja) 画像形成装置
EP4235314A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