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766A -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 Google Patents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66A
KR20200029766A KR1020180108211A KR20180108211A KR20200029766A KR 20200029766 A KR20200029766 A KR 20200029766A KR 1020180108211 A KR1020180108211 A KR 1020180108211A KR 20180108211 A KR20180108211 A KR 20180108211A KR 20200029766 A KR20200029766 A KR 2020002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alignment key
probe body
probes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387B1 (ko
Inventor
이성훈
김병주
이미례
여황진
이태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주) 마이크로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주) 마이크로프랜드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387B1/ko
Priority to US16/368,493 priority patent/US11061052B2/en
Priority to CN201910475422.7A priority patent/CN110888039A/zh
Publication of KR2020002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7Cantilever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94Devices for sensing when probes are in contact, or in position to contact, with measure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42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at an angle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8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adapter, e.g. space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프로브는 프로브 몸체, 팁 및 정렬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몸체는 피검체로 테스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프로브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정렬키는 상기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주변의 유사 패턴을 정렬키로 오인하여 인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ALIGNMENT KEY AND PROBE CAR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검체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프로브, 및 이러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의 전기적 특성들을 검사하기 위해서, 테스트 신호를 반도체 칩으로 인가할 수 있다. 테스트 신호는 테스터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테스터를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프로브 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프로브 카드는 인쇄회로기판 및 복수개의 프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브들은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어, 반도체 칩의 패드와 접촉될 수 있다. 프로브들을 반도체 칩과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키가 프로브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관련 기술들에 따르면, 정렬키는 프로브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정렬키를 인식하는 카메라가 정렬키 주변에 위치한 유사 패턴을 정렬키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렬키를 갖는 프로브가 오직 정렬용으로만 사용될 경우, 반도체 칩의 패드와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프로브의 높이 변화를 정렬용 프로브의 정렬키가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프로브와 반도체 칩이 오정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도체 칩의 테스트 신뢰도가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피검체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는 정렬키를 갖는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프로브는 프로브 몸체, 팁 및 정렬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몸체는 피검체로 테스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프로브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정렬키는 상기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프로브 카드는 인쇄회로기판, 복수개의 프로브들 및 정렬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반도체 칩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가 흐르는 테스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브들 각각은 상기 테스트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브 몸체, 및 상기 프로브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칩의 단자와 접촉하는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키는 상기 프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브의 상기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키가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으므로, 카메라가 정렬키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주변의 유사 패턴을 정렬키로 오인하여 인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정렬키는 반도체 칩과 접촉하는 프로브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므로, 정렬키는 프로브의 높이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프로브 카드를 반도체 칩과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가 있게 되어, 반도체 칩에 대한 테스트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프로브 카드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프로브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00)는 프로브 카드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는 2차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브(10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 제 2 프로브 몸체(120), 팁(130) 및 정렬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로브 몸체(110)는 제 1 상부 수직빔(112), 제 1 수평빔(114) 및 제 1 하부 수직빔(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부 수직빔(11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수평빔(114)은 제 1 상부 수직빔(112)의 하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하부 수직빔(116)은 제 1 수평빔(114)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상부 수직빔(112), 제 1 수평빔(114) 및 제 1 하부 수직빔(116)은 동일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상부 수직빔(112), 제 1 수평빔(114) 및 제 1 하부 수직빔(116)은 일체로 된 하나의 몸체일 수 있다.
제 2 프로브 몸체(12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내측면에 맞대어질 수 있다. 제 2 프로브 몸체(12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로브 몸체(120)는 제 2 상부 수직빔(122), 제 2 수평빔(124) 및 제 2 하부 수직빔(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부 수직빔(12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수평빔(124)은 제 2 상부 수직빔(122)의 하단으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하부 수직빔(126)은 제 2 수평빔(124)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상부 수직빔(122), 제 2 수평빔(124) 및 제 2 하부 수직빔(126)은 동일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상부 수직빔(122), 제 2 수평빔(124) 및 제 2 하부 수직빔(126)은 일체로 된 하나의 몸체일 수 있다.
제 1 상부 수직빔(112)의 내측면과 제 2 상부 수직빔(122)의 내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다. 제 1 수평빔(114)의 내측면과 제 2 수평빔(124)의 내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다. 제 1 하부 수직빔(116)의 내측면과 제 2 하부 수직빔(126)의 내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다. 제1 하부 수직부(116)과 제 2 하부 수직부(126)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팁(130)은 제 1 프로브 몸체(110)와 제 2 프로브 몸체(120)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팁(130)은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제 1 상부수직빔(112)의 상부면과 제 2 프로브 몸체(120)의 제 2 상부 수직빔(122)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팁(130)은 반도체 칩의 패드에 접촉될 수 있다.
정렬키(140)는 상기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프로브(100)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브(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렬키(14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정렬키(14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키(140)는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제 1 수평부(114)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즉, 정렬키(140)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몸체(110, 120)의 상부면들에 위치하지 않고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가 정렬키(140)와 주변의 유사 패턴을 혼동하지 않고 정렬키(140)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정렬키(140)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렬키(140)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렬키(14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렬키(140)는 제 1 수평부(11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정렬키(140)의 두께는 제 1 수평부(114)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또는 얇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정렬키(140)는 직육면체 이외에 각진 부분을 갖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프로브(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상에 3개의 금속막들을 순차적으로 증착할 수 있다. 금속막들을 패터닝하여, 제 1 프로브 몸체(110), 제 2 프로브 몸체(120) 및 팁(130)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으로부터 제 1 프로브 몸체(110), 제 2 프로브 몸체(120) 및 팁(130)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2차원형 프로브(100)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된 2차원형 프로브(100)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브(100)에 정렬키(140)를 형성하는 추가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00a)는 정렬키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프로브(100a)는 정렬빔(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빔(150)은 제 1 및 제 2 상부 수직빔(112, 122)의 내측면들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정렬키(142)는 정렬빔(15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렬키(142)는 도 1의 정렬키(14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100b)는 제 1 및 제 2 프로브 몸체들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프로브(100)의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프로브 몸체(160)는 제 1 수직빔(162), 제 1 상부 수평빔(164) 및 제 1 하부 수평빔(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직빔(16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상부 수평빔(164)은 제 1 수직빔(162)의 중간부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하부 수평빔(166)은 제 1 수직빔(162)의 하부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 하부 수평빔(166)은 제 1 상부 수평빔(16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수직빔(162), 제 1 상부 수평빔(164) 및 제 1 하부 수평빔(166)은 동일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프로브 몸체(170)는 제 1 프로브 몸체(16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프로브 몸체(170)는 제 2 수직빔(172), 제 2 상부 수평빔(174) 및 제 2 하부 수평빔(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수직빔(172)은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상부 수평빔(174)은 제 2 수직빔(172)의 중간부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하부 수평빔(176)은 제 2 수직빔(172)의 하부로부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 하부 수평빔(176)은 제 2 상부 수평빔(17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수직빔(172), 제 2 상부 수평빔(174) 및 제 2 하부 수평빔(176)은 동일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렬키(144)는 제 1 프로브 몸체(160)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키(140)는 제 1 프로브 몸체(160)의 제 1 상부 수평빔(164)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렬키(144)는 도 1에 도시된 정렬키(14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프로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200)는 3차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브(200)는 빔(210), 포스트(220), 베이스(230), 정렬키(240) 및 팁(250)을 포함할 수 있다.
빔(210)은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스트(220)는 빔(210)의 좌측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포스트(220)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신호는 포스트(220)를 통해서 빔(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포스트(220)는 빔(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30)는 빔(210)의 우측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30)는 빔(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팁(250)은 베이스(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팁(250)은 반도체 칩의 패드와 접촉할 수 있다. 팁(250)은 베이스(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키(240)는 빔(210)의 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키(240)는 빔(210)의 좌측면 중간부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렬키(240)는 도 1에 도시된 정렬키(14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3차원형 프로브(200)는 다층 기판 내에 빔(210), 포스트(220), 베이스(230) 및 팁(250)을 형성하는 공정들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된 3차원형 프로브(200)들 중 어느 하나의 프로브(200)에 정렬키(240)를 형성하는 추가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렬키(240)가 반도체 칩의 패드와 실제로 접촉하는 프로브(2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키(240)도 프로브(200)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칩의 패드로부터 수직 응력을 받게 되므로, 정렬키(240)는 프로브(200)의 높이 변화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프로브 카드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프로브 카드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프로브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는 인쇄회로기판(310), 인터포저(320), 제 1 포고 핀(330), 제 2 포고 핀(332), 프로빙 플레이트(340), 지지 플레이트(350), 한 쌍의 간격 조정 나사(360)들, 스티프너(370) 및 복수개의 프로브(1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0)은 다층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10)은 테스트 패턴(312)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패턴(312)은 인쇄회로기판(310)에 내장될 수 있다. 테스트 패턴(312)은 테스트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포저(320)는 인쇄회로기판(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포고 핀(330)은 인터포저(320)와 인쇄회로기판(310) 사이에 배치되어, 테스트패턴(312)을 인터포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 2 포고 핀(332)은 인터포저(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포고 핀(332)은 인터포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빙 플레이트(340)는 인터포저(3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빙 플레이트(340)는 프로빙 패턴(34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빙 플레이트(340)는 인쇄회로기판(310)과 반도체 칩(C)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열팽창계수를 갖는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빙 플레이트(340)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포고 핀(332)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와 인터포저(320) 사이에 배치되어, 프로빙 패턴(342)을 인터포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50)는 프로빙 플레이트(3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50)의 상단이 인쇄회로기판(3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50)의 하단이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간격 조정 나사(360)들은 인쇄회로기판(310)과 프로빙 플레이트(34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간격 조정 나사(360)들은 인쇄회로기판(3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간격 조정 나사(360)들의 하단들이 프로빙 플레이트(3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정 나사(360)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310)과 프로빙 플레이트(34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스티프너(370)는 인쇄회로기판(310)의 상부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티프너(370)는 프로브 카드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프로브(100)들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100)들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프로빙 패턴(342)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브(100)들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100)들 각각의 제 1 및 제 2 하부 수직빔(116, 126)들이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프로빙 패턴(3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브카드가 프로빙 플레이트(340)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프로브(100)들은 인쇄회로기판(31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로브(100)들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하부면에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특히, 프로브(100)들은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하부면 내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정렬키(140)는 프로브(100)들 중에서 직사각형의 모서리들에 위치한 4개의 프로브(100)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렬키(140)는 4개의 프로브(100)들 각각의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프로빙 플레이트(340)의 외곽을 향해서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 카드가 프로빙 플레이트(340)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정렬키(140)는 4개의 프로브(100)들 각각의 제 1 프로브 몸체(1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310)의 외곽을 향해서 돌출될 수 있다.
카메라로부터 직사각형의 모서리들에 배치된 프로브(100)들의 외측면으로부터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된 정렬키(140)를 연결하는 직선 상에는 유사 패턴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가 주변 유사 패턴을 정렬키(140)로 오인하여 인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정렬키(140)는 반도체 칩의 패드와 실제로 접촉하는 프로브(100)들에 형성되므로, 정렬키(140)도 프로브(100)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칩의 패드로부터 수직 응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정렬키(240)는 프로브(200)의 높이 변화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브 카드는 도 4에 도시된 프로브(100a), 도 7에 도시된 프로브(100b) 또는 도 8에 도시된 프로브(2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렬키가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으므로, 카메라가 정렬키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주변의 유사 패턴을 정렬키로 오인하여 인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정렬키는 반도체 칩과 접촉하는 프로브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므로, 정렬키는 프로브의 높이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프로브 카드를 반도체 칩과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가 있게 되어, 반도체 칩에 대한 테스트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챔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2차원형 프로브 110 ; 제 1 프로브 몸체
112 ; 제 1 상부 수직빔 114 ; 제 1 수평빔
116 ; 제 1 하부 수직빔 120 ; 제 2 프로브 몸체
122 ; 제 2 상부 수직빔 124 ; 제 2 수평빔
126 ; 제 2 하부 수직빔 130 ; 팁
140, 142, 144 ; 정렬키 150 ; 정렬빔
160 ; 제 1 프로브 몸체 162 ; 제 1 수직빔
164 ; 제 1 상부 수평빔 166 ; 제 1 하부 수평빔
170 ; 제 2 프로브 몸체 172 ; 제 2 수직빔
174 ; 제 2 상부 수평빔 176 ; 제 2 하부 수평빔
200 ; 3차원형 프로브 210 ; 빔
220 ; 포스트 230 ; 베이스
240 ; 정렬키 250 ; 팁
310 ; 인쇄회로기판 312 ; 테스트 패턴
320 ; 인터포저 330 ; 제 1 포고 핀
332 ; 제2 포고 핀 340 ; 프로빙 플레이트
342 ; 프로빙 패턴 350 ; 지지 플레이트
360 ; 간격 조정 나사 370 ; 스티프너

Claims (10)

  1. 피검체로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브 몸체
    상기 프로브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체와 접촉하는 팁 및
    상기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렬키를 포함하는 프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몸체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렬키는 상기 제 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프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키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프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몸체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빔 및
    상기 수직빔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렬키가 돌출된 상기 측면을 갖는 수평빔을 포함하는 프로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몸체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빔
    상기 수직빔으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빔 및
    상기 수직빔으로부터 상기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렬키가 돌출된 상기 측면을 갖는 정렬빔을 포함하는 프로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몸체는
    제 1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렬키가 돌출된 상기 측면 및 상기 팁이 배치된 상기 단부를 갖는 빔 및
    상기 빔으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 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브.
  7. 반도체 칩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가 흐르는 테스트 패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테스트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브 몸체, 및 상기 프로브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칩의 단자와 접촉하는 팁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프로브들 및
    상기 프로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로브의 상기 프로브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렬키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에서 종횡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정렬키는 상기 프로브들 중 최외곽 모서리들에 배치된 상기 프로브들에 구비된 프로브 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키는 상기 프로브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곽을 향해서 돌출된 프로브 카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프로브들 사이에 개재된 인터포저
    상기 인터포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테스트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포고 핀 및
    상기 인터포저와 상기 프로브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포고 핀을 더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KR1020180108211A 2018-09-11 2018-09-11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KR10258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11A KR102581387B1 (ko) 2018-09-11 2018-09-11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US16/368,493 US11061052B2 (en) 2018-09-11 2019-03-28 Probe including an alignment key protruded from a side of an alignment beam and a probe card including the same
CN201910475422.7A CN110888039A (zh) 2018-09-11 2019-06-03 探针和包括该探针的探针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11A KR102581387B1 (ko) 2018-09-11 2018-09-11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66A true KR20200029766A (ko) 2020-03-19
KR102581387B1 KR102581387B1 (ko) 2023-09-21

Family

ID=6971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211A KR102581387B1 (ko) 2018-09-11 2018-09-11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1052B2 (ko)
KR (1) KR102581387B1 (ko)
CN (1) CN1108880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784A1 (ko) * 2020-05-29 2021-12-02 주식회사 티에스이 개선된 그립핑 구조를 가지는 프로브 핀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1915A (ja) * 1998-12-02 2002-09-24 フォームファク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ソグラフィ接触要素
US6483328B1 (en) * 1995-11-09 2002-11-19 Formfactor, Inc. Probe card for probing wafers with raised contact elements
US20070089551A1 (en) * 2005-09-30 2007-04-26 Sv Probe Ptd. Ltd. Cantilever probe structure for a probe card assembly
JP2008082718A (ja) * 2006-09-26 2008-04-10 Micronics Japan Co Ltd 通電試験用プローブおよび通電試験用プローブ組立体
KR20080102825A (ko) * 2007-05-22 2008-11-26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용 전기접촉소자 제조 방법
KR20080109270A (ko) * 2007-06-12 2008-12-17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제조 방법
US7782072B2 (en) * 2006-09-27 2010-08-24 Formfactor, Inc. Single support structure probe group with staggered mounting pattern
JP2011027538A (ja) * 2009-07-24 2011-02-10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アライメントマークを設けたプローブ、およびアライメントマークが設けられた複数のプローブが実装されたプローブカード
KR20110018193A (ko) * 2009-08-17 2011-02-23 윌테크놀러지(주) 프로브 카드용 니들 구조
US7977956B2 (en) * 2009-04-28 2011-07-12 Formfa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e card alignment in a test system
KR20120108852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프로텍 Led 칩 검사용 지그 유닛
US20170205443A1 (en) * 2016-01-15 2017-07-20 Cascade Microtech, Inc. Probes with fiducial marks, probe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4316A (en) 1974-12-23 1976-06-28 Shin Meiwa Ind Co Ltd Danpukaani okeru nibakono ushiroaorikaiheikenkeishisochi
US5974662A (en) * 1993-11-16 1999-11-02 Formfactor, Inc. Method of planarizing tips of probe elements of a probe card assembly
US6201402B1 (en) * 1997-04-08 2001-03-13 Celadon Systems, Inc. Probe tile and platform for large area wafer probing
US6292003B1 (en) * 1998-07-01 2001-09-18 Xilin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chip scale package integrated circuits
US6504223B1 (en) * 1998-11-30 2003-01-07 Advantest Corp.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6917525B2 (en) * 2001-11-27 2005-07-12 Nanonexus, Inc. Construction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probe card assemblies and packages having wafer level springs
JP2001144197A (ja) 1999-11-11 2001-05-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試験方法
JP4803959B2 (ja) * 2002-03-22 2011-10-26 エレクトロ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試験プローブ整列装置
JP2003315361A (ja) * 2002-04-26 2003-11-06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プローブの製造方法、このプローブの製造用マスク及びプローブ
US6911835B2 (en) * 2002-05-08 2005-06-28 Formfactor, Inc. High performance probe system
JP2008532042A (ja) * 2005-03-01 2008-08-14 エス ヴィ プルーブ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積層型基板を有するプローブカード
JP2007218635A (ja) * 2006-02-14 2007-08-30 Toppan Printing Co Ltd プローブカード
JP5426161B2 (ja) * 2006-06-08 2014-02-26 日本発條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ード
TW200815763A (en) 2006-09-26 2008-04-01 Nihon Micronics Kabushiki Kaisha Electrical test probe and electrical test probe assembly
JP2008180716A (ja) * 2007-01-23 2008-08-07 Nictech Co Ltd プローブ及びこれを持つプローブカード
KR20090030429A (ko) 2007-09-20 2009-03-25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정렬방법 및 프로브 정렬장치
KR100972995B1 (ko) 2008-08-08 2010-07-30 윌테크놀러지(주) 프로브 본딩 방법
KR20100005557U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프로브 카드
KR101048497B1 (ko) * 2010-07-19 2011-07-12 (주) 마이크로프랜드 프로브 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12204695A (ja) 2011-03-25 2012-10-22 Tokyo Electron Ltd プローブカード検出装置、ウエハの位置合わせ装置及びウエハの位置合わせ方法
KR101178409B1 (ko) * 2011-05-18 2012-08-31 주식회사 미르기술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JP6374642B2 (ja) * 2012-11-28 2018-08-1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カード及び検査装置
US9588139B2 (en) * 2013-05-06 2017-03-07 Formfactor, Inc. Probe card assembly for testing electronic devices
JP2015190942A (ja)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プローブカード
JP6357002B2 (ja) 2014-04-16 2018-07-1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3328B1 (en) * 1995-11-09 2002-11-19 Formfactor, Inc. Probe card for probing wafers with raised contact elements
JP2002531915A (ja) * 1998-12-02 2002-09-24 フォームファク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ソグラフィ接触要素
US20070089551A1 (en) * 2005-09-30 2007-04-26 Sv Probe Ptd. Ltd. Cantilever probe structure for a probe card assembly
JP2008082718A (ja) * 2006-09-26 2008-04-10 Micronics Japan Co Ltd 通電試験用プローブおよび通電試験用プローブ組立体
US7782072B2 (en) * 2006-09-27 2010-08-24 Formfactor, Inc. Single support structure probe group with staggered mounting pattern
KR20080102825A (ko) * 2007-05-22 2008-11-26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용 전기접촉소자 제조 방법
KR20080109270A (ko) * 2007-06-12 2008-12-17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제조 방법
US7977956B2 (en) * 2009-04-28 2011-07-12 Formfa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e card alignment in a test system
JP2011027538A (ja) * 2009-07-24 2011-02-10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アライメントマークを設けたプローブ、およびアライメントマークが設けられた複数のプローブが実装されたプローブカード
KR20110018193A (ko) * 2009-08-17 2011-02-23 윌테크놀러지(주) 프로브 카드용 니들 구조
KR20120108852A (ko) * 2011-03-25 2012-10-05 주식회사 프로텍 Led 칩 검사용 지그 유닛
US20170205443A1 (en) * 2016-01-15 2017-07-20 Cascade Microtech, Inc. Probes with fiducial marks, probe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784A1 (ko) * 2020-05-29 2021-12-02 주식회사 티에스이 개선된 그립핑 구조를 가지는 프로브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88039A (zh) 2020-03-17
US11061052B2 (en) 2021-07-13
US20200081035A1 (en) 2020-03-12
KR102581387B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948B1 (ko) 프로브 카드 및 프로브 카드를 이용하여 반도체 웨이퍼의 fwlt를 수행하는 방법
KR100791944B1 (ko) 프로브 블록
US6476626B2 (en) Probe contact system having planarity adjustment mechanism
KR100583448B1 (ko) 접촉자 조립체
US7692435B2 (en) Probe card and probe device for inspec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US8253429B2 (en) Probe card having a plurality of space transformers
US7616015B2 (en) Wafer type probe car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217139B2 (en) Interconnect assembly for a probe card
US7830162B2 (en) Vertical probe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bonding the same
TW201947230A (zh) 探針、檢查夾具、檢查裝置、以及探針的製造方法
KR20080002793A (ko) 적층 기판을 구비한 프로브
KR102228317B1 (ko) 웨이퍼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
JP2799973B2 (ja) 垂直作動式プローブカード
JP5079806B2 (ja) 検査用構造体
KR102581387B1 (ko)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KR20020096094A (ko) 테스터 헤드용 프로브 카드
KR101120405B1 (ko) 프로브 블록 조립체
KR102399195B1 (ko) 웨이퍼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
KR20180092027A (ko) 프로브 카드 어셈블리
KR102252595B1 (ko)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JP4679274B2 (ja) プローブの製造方法
KR101319069B1 (ko) 프로브헤드 정열판
KR20200007675A (ko) 중간 접속 부재, 및 검사 장치
KR200389879Y1 (ko) 프로브 카드
KR20090030442A (ko) 핀 일체형 스페이스 트랜스포머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