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81A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81A
KR20200028881A KR1020197032222A KR20197032222A KR20200028881A KR 20200028881 A KR20200028881 A KR 20200028881A KR 1020197032222 A KR1020197032222 A KR 1020197032222A KR 20197032222 A KR20197032222 A KR 20197032222A KR 20200028881 A KR20200028881 A KR 20200028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liquid
discharge pipe
seal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234B1 (ko
Inventor
다로 곤도
싱고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곤도에프알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곤도에프알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곤도에프알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높은 배수 트랩을 제공한다. 액체를 유입하는 수입관부(2)와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부(3)가 측벽(51)에 형성된 유저통 형상의 본체부(5)와,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을 저류 공간(7)과 배출 공간(8)으로 구분하는 탈착 가능한 구획체(1)와,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을 폐쇄하는 덮개부(6)와, 적어도 저류 공간(7)이 형성된 본체부(5) 외면의 일부분을 밀폐 상태로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9)를 구비하며,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 사이에는 공극(91)이 형성되고, 밀폐 케이스(9) 및 본체부(5)는 투명하며, 밀폐 케이스(9)가 본체부(5)에 장착된 상태로 덮개부(6)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수 트랩
본 개시는, 배수 경로 안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 트랩은, 공조기의 드레인 등의 액체를 오수조로 배수하는 배수 경로 안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액체를 받아들이는 수입관부와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부가 측벽에 형성된 유저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탈착 가능한 덮개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수입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과 배출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탈착 가능한 구획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수 트랩은, 구획체에 의해 저류 공간과 배출 공간이 비연통 되고, 저류 공간에 저류된 액체의 수봉작용과 더불어, 오염 공기나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배수 트랩에서는, 저류 공간에 저류된 액체에 의해, 본체부의 내면이나 구획체가 더러워졌을 경우, 덮개부 및 구획체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어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고온 다습지 등에서 사용되는 배수 트랩에는, 바깥 공기와 저류 공간에 저류된 액체와의 온도 차에 의해서, 본체부의 외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결로가 발생하면 물방울이 떨어져 주변이 침수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극저온의 바깥 공기에 의해서 저류 공간에 저류된 액체가 동결, 팽창하여 배수 트랩이 손상되는 불편함도 있다.
특허문헌 2 내지 3에는, 배수 트랩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거나 저류 공간의 액체 동결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수 트랩은, 금속 부분의 외면에 발포 우레탄층을 피복하여 결로 발생을 방지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배수 트랩은, 저면을 제외한 외측면을 발포 수지로 형성한 보온재로 피복하여 저류 공간의 액체 동결에 의한 배수 트랩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특허문헌 4 내지 6에는, 구획체 없는 배관 트랩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배관 트랩의 본체와 출구 측 접속구에 밀착되는 보온 캡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배관 트랩의 욕조 측 지관에는, 지관용 보온재가 보온 캡과는 별도로 설치되고, U자형 배관 트랩의 도어 하측 접속구와 재 가열(추가 데움)측 접속구는 보온 캡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덮개 부재가 견고하게 감합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배수구에서 냉수가 흘러가는 내부 몸체와, 내부 몸체의 저부 내관의 개구를 덮는 악취차단 덮개 몸체와, 배수관이 저부에 형성되어 내부 몸체의 바깥 표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 상태로 내부몸체를 덮는 외부 몸체가 개시되어 있다. 내부 몸체의 내부에 배수가 저류되어 소정량이 저류되면, 덮개 몸체와 내관과의 간극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수된다.
특허문헌 6에는, 유출부가 유니언 너트에 의해 결합된 본체부를 갖는 U자형 배관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U자형 배관 트랩은 전체가 커버로 덮여 있고, 배관 트랩을 투명한 것으로 한 경우, 커버는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국제 공개 제2007/116531호 특허문헌 2:실개소 53-9761호 공보 특허문헌 3:실개평 2-106087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 2002-322706호 공보 특허문헌 5:실개소 53-29549호 공보 특허문헌 6:특개평 10-82085호 공보
특허문헌 2 내지 3에 기재된 배수 트랩은, 발포 수지로 배수 트랩의 외면을 피복하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수 트랩과 같이 탈착 가능한 구획체를 설치한 경우, 본체부의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4 내지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관 트랩 등의 구획체가 없는 트랩이나 구획체가 탈착 불가능한 트랩에 있어서도, 발포 수지로 외면 피복을 한 경우에는 트랩 내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때문에, 본체부의 내면이나 구획체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여 유지 보수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배수 트랩의 외면 전체를 커버로 피복한 경우, 유지 보수에 있어서 커버 전체를 제거해야 하며,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또한, 발포 수지는 내구성이 부족하고, 어려운 사용 환경하에서는 발포 수지가 손상되어 원하는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높은 배수 트랩이 요구된다.
본 개시와 관련된 배수 트랩의 특징 구성은, 액체를 유입하는 수입관부와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부가 측벽에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수입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과 상기 배출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탈착 가능한 구획체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덮개부와, 적어도 상기 저류 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외면의 일부분을 밀폐 상태로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 및 상기 본체부는 투명하며, 상기 밀폐 케이스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덮개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구성에서는, 본체부 중에서 적어도 저류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외면의 일부분을 밀폐 상태로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와 본체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므로, 본체부의 저류 공간에 저류된 액체와 바깥공기 사이에 온도차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공극에 의해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물방울이 떨어져 주변이 침수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 케이스라면 본체부와 일체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종래의 발포 수지에 비해 미관이 뛰어남과 동시에 내구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배수 트랩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과 같이, 밀폐 케이스 및 본체부를 모두 투명하게 구성하면, 본체부의 내부 공간의 시인성을 높여 본체부의 내면이나 구획체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밀폐 케이스가 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덮개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면, 결로를 방지하면서 덮개부를 분리했을 때 탈착 가능한 구획체 등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지 보수가 지극히 용이하다. 그런데, 공조기의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의 오염이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는, 공조기 본체 내의 드레인 팬이 더러워져 있는 상태이다. 공조기 본체 내의 오염을 방치하면, 드레인 팬이 폐쇄되어 공조기 본체로부터 누수되는데, 해당 드레인 팬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려면 천장과 지붕 사이의 위치 등에 배치되는 공조기의 분해를 필요로 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구성과 같이, 밀폐 케이스 및 본체부를 모두 투명하게 구성하면, 배수 트랩의 오염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여 공조기 본체의 드레인 팬 청소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팬 청소의 방치에 의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높은 배수 트랩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측벽과 상기 수입관부의 접속 부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배출관부의 접속 부분은, 상기 밀폐 케이스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밀폐 케이스에 덮여 있다는 점이다.
수입관부나 배출관부와, 측벽과의 접속 부분에는 액체가 고이기 쉽기 때문에, 본 구성과 같이, 해당 접속 부분과 밀폐 케이스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면, 수입관부나 배출관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밀폐 케이스는, 서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본 구성과 같이, 밀폐 케이스를 분할체로 구성하면, 수입관부와 배출관부가 본체부에 형성된 복잡한 형상의 배수 트랩이라도, 본체부에 밀폐 케이스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배수 트랩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배수 트랩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배수 트랩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트랩(X)은, 액체를 유입하는 수입관부(2)와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부(3)가 측벽(51)에 형성된 유저통 형상의 본체부(5)와,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을 폐쇄하는 덮개부(6)와, 내부 공간(4)을 수입관부(2)로부터 액체를 유입하여 저류하는 저류 공간(7)과 배출관부(3)에 연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공간(8)으로 구분하는 구획체(1)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 트랩(X)은, 본체부(5)의 측벽(51)의 적어도 일부와 본체부(5)의 저부(62)(적어도 저류 공간(7)이 형성된 본체부(5)의 외면의 일부분)를 밀폐 상태로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9)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덮개부(6) 측을 상, 본체부(5)의 저부(52) 측을 하로 설명할 수 있다.
본체부(5)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되며, 저부(52)를 평평한 면 형태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수입관부(2)와 배출관부(3)는, 측벽(5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로로서 측벽(51)과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부(5)의 측벽(51)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된다. 그리고, 수입관부(2)의 접속 부분(2A)과 배출관부(3)의 접속 부분(3A)은, 수입관부(2)가 배출관부(3)보다 작은 소정 값(예를 들면, 5mm)만큼 높아지도록 높낮이 차를 가질 수 있다. 수입관부(2)의 관의 축 방향(Y)과 배출관부(3)의 관의 축 방향(Y)은, 도 1에 도시된 종단면도(측면도)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고 있는데, 도 2에 나타난 횡단면도(평면도)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수입관부(2)와 배출관부(3) 사이에 높낮이 차이를 둠으로써, 수입관부(2)로부터 배출관부(3)를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다.
본체부(5)의 측벽(51) 외면 중에서,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가 접속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있는 면이 평탄면(51a)으로 되어 있다(도 4 ~ 도 5 참조). 또한, 측벽(51)의 외면에는, 수입관부(2)의 상부로부터 배출관부(3)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 단부(51b)가 마련되고, 경사 단부(51b)로 부터 덮개부(6) 측은, 경사 단부(51b)로부터 저부(52) 측에 비해 큰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6)는, 평면측으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며, 본체부(5)의 외주면 및 덮개부(6)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8)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부(5)에 설치 가능하다(도 1 참조). 또한, 덮개부(6)의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지름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6a)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돌출부(6a)에 걺으로써 덮개부(6)의 본체부(5)에 대한 설치가 용이해졌다(도 4 참조). 상기 덮개부(6)는, 밀폐 케이스(9)가 본체부(5)에 장착된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6)의 외측부에는, 그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반사체(23)(예를 들면, 반사 테이프)을 붙여 놓는다(도 4 ~ 도 5 참조). 따라서, 배수 트랩(X)을 천장과 지붕 사이의 위치에 설치했을 경우에, 작업자가 반사체(23)에 빛을 조사하여 배수 트랩(X)의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배수 트랩(X)을 배치하는 배수 경로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배수 트랩(X)에 구비하는 반사체(23)를 적색으로 하면서 다른 경로에 설치하는 부재에 황색 반사체를 구비하여 경로마다 반사체를 색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획체(1)는, 원통형의 제1 구획부(10)와, 제1 구획부(10)로부터 그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2 구획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구획부(10)는, 제2 구획부(11)보다 상측 영역에서, 원주방향의 일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절개한 절개부(12)와 직사각형의 개구부(13)를 갖는다(도 5 참조). 상기 개구부(13)는, 절개부(1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구획부(11)는, 절개부(12)의 하단 위치 주변을 최하위로 하면서 개구부(13)의 중앙 위치 주변을 최상위로 하도록, 제1 구획부(10)의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된다(도 1 참조).
구획체(1)는,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에 탈착 가능하고,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에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의 하부 측을 저류 공간(7)로 구분하고, 내부 공간(4)의 상부 측을 배출 공간(8)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구획체(1)가 내부 공간(4)을 구분함으로써, 본체부(5)의 저부(52) 전체를 저류 공간(7)으로 한다. 또한, 구획체(1)는, 저류 공간(7)에 설정량 이상의 액체가 저류되었을 때, 저류 공간(7)에서 배출 공간(8)으로 액체를 유동시키기 위해 부상하는 공 모양의 밸브 본체(15)와, 밸브 본체(15)를 받아들여 지지하는 밸브 시트(16)를 갖는다. 밸브 시트(16)는, 제1 구획부(10)의 내부 공간에 배치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 본체(15)는, 링 형상의 밸브 시트(16)의 개구 부분을 닫는 상폐식으로 구성한다.
도 1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 공간(7)에 설정량 이상의 액체가 저류되면, 밸브 본체(15)가 밸브 시트(16)로부터 부상하여 개방되어, 액체가 저류 공간(7)에서 배출 공간(8)으로 유동하여 배출관부(3)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저류 공간(7)의 액체 저류량이 설정량 미만이 되면, 밸브 본체(15)가 하강하여 밸브 시트(16)에 접하면서 폐쇄된다. 이때, 제1 구획부(10)의 내주면은, 밸브 본체(15)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부상 및 하강하도록 안내한다.
밸브 시트(16)는,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에 구획체(1)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출관부(3)의 하단부(3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획체(1)에 배치된다. 즉, 밸브 본체(15)가 밸브 시트(16)로부터 부상하고 나서 액체가 배출관부(3)에서 배출되기까지 시간 차를 두고 있다. 이 시간 차에 의해서, 수입관부(2)에서 저류 공간(7)으로 유입하는 액체가 미량인 경우에도, 밸브 본체(15)의 밸브 시트(16)로부터의 부상 및 밸브 본체(15)의 밸브 시트(16)로의 하강이 단시간에 반복되는 것을 억제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밸브 시트(16)는 상하방향에서 제1 구획부(10)의 하단부보다 상부 측에 배치되며, 제1 구획부(10)는, 밸브 시트(16)보다 하부 측으로 연장해 가는 수하 부분(10a)을 갖는다. 이와 같이 수하 부분(10a)을 구비함으로써, 저류 공간(7)을 본체부(5)의 저부(52)에서 반전하는 U자형의 유로로 형성하고, 저류 공간(7)에 저류하는 액체로 저류 공간(7)을 수봉(水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류 공간(7)을 본체부(5)의 저부(52) 측에 구비함으로써, 밸브 본체(15)가 밸브 시트(16)로부터 부상할 경우에는, 저류 공간(7)에 저류하는 액체에 의한 저류 공간(7)의 수봉을 상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덮개부(6)와 내부 공간(4)에 장착된 구획체(1) 사이에는, 덮개부(6)에 대하여 밀착하면서 구획체(1)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작게 하는 실드 부재(17)을 구비한다. 상기 실드 부재(17)는, 실리콘 등의 수지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실드 부재(17)중, 덮개부(6)와 접촉하는 측의 상면이 흡반(吸盤) 효과에 의해 덮개부(6)의 후면에 밀착한다. 또한, 실드 부재(17)중, 내부 공간(4)에 장착된 구획체(1)와 접촉하는 측의 하면에 미끄러짐 가공을 하여, 실드 부재(17)의 하면과 구획체(1) 사이의 마찰 계수를 작게 한다.
덮개부(6)를 본체부(5)에 장착함에 따라, 덮개부(6)로부터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받아, 구획체(1)의 일부를 측벽(51)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상하 방향에 따른 성분의 힘을 작용시키면서 밀착하는 밀봉부(14)를 구획체(1) 및 본체부(5)의 측벽(51)에 구비한다. 상기 밀봉부(14)는, 본체부(5)의 측벽(51)에 형성된 본체 측 밀봉부(14a)와 구획체(1)에 형성된 구획체 측 밀봉부(14b)을 갖는다.
본체 측 밀봉부(14a)는, 측벽(5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측벽(51)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구비된 단부이다. 그리고, 본체 측 밀봉부(14a)인 단부는, 본체부(5)의 원주방향에서 수입관부(2)의 상단 위치 주변을 최상위로 하면서 배출관부(3)의 하단 위치 주변을 최하위로 하도록 본체부(5)의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된다. 구획체 측 밀봉부(14b)는, 구획체(1)의 원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경사진 제2 구획부(11)의 외측 단부이다. 그리고, 구획체 측 밀봉부(14b)에는, 상기 구획체 측 밀봉부(14b)에 상하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수지 부재(20)(예를 들면, elastomer 수지)를 구비한다.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에 구획체(1)를 장착한 상태에서, 구획체(1)와의 사이에 실드 부재(17)를 개재시켜 나사부(18)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부(5)에 덮개부(6)를 장착한다. 이때, 덮개부(6)가 구획체(1)를 하부 측으로 가압하여, 본체 측 밀봉부(14a) 및 구획체 측 밀봉부(14b)가 하부 측으로 가압력을 받는다. 본체 측 밀봉부(14a) 및 구획체 측 밀봉부(14b)는, 그 하부 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구획체 측 밀봉부(14b)를 본체 측 밀봉부(14a)에 강하게 누르면서 밀착한다. 이와 같이, 본체부(5)의 측벽(51)의 내면 전체 둘레에 걸쳐서 구획체 측 밀봉부(14b)와 본체 측 밀봉부(14a)를 밀착하여, 저류 공간(7)과 배출 공간(8)과의 차단을 수행한다.
구획체 측 밀봉부(14b)의 수지 부재(20)에는, 내부 공간(4)에 구획체(1)를 장착한 상태로 측벽(51)의 배출관부(3)를 향하는 배출 공간(8)의 일부(8a)를 배출관부(3)의 하단부(3a)와 동일한 높이로 하는 높이 조정 부재(21)가 배치된다. 본체부(5)의 측벽(51)의 원주방향에서 배출관부(3)에 상당하는 위치에서는, 본체 측 밀봉부(14a)인 단부가 배출관부(3)의 하단부(3a)보다도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부 공간(4)에 구획체(1)를 장착했을 때에, 배출관부(3)를 향하는 배출 공간(8)의 일부(8a)가 배출관부(3)의 하단부(3a)보다도 낮아진다. 그래서, 상기 높이 조정 부재(21)를 형성함으로써, 배출관부(3)를 향하는 배출 공간(8)의 일부에서의 액체의 저류를 억제해 액체의 부식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높이 조정 부재(21)를 구획체 측 밀봉부(14b)에 설치하는 수지 부재(20)로 겸용한다.
구획체(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4)에 장착하는 경우에 내부 공간(4)에서 하측으로 돌출하는 각부(19)를 구비한다. 상기 각부(19)는, 제1 구획부(10)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하 반전한 상태로 구획체(1)를 내부 공간에 삽입하면, 각부(19)가 내부 공간(4)으로부터 상부 측으로 돌출하여 덮개부(6)를 본체부(5)에 장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구획체(1)를 내부 공간(4)에 삽입할 경우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체(1)의 방향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부(5) 및 구획체(1)는 투명한 한편, 밸브 본체(15)는 본체부(5) 및 구획체(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유색(예를 들면, 청색)이다. 이에 따라,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에 구획체(1)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체부(5)의 외측으로부터 밸브 본체(15)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체(1)를 적정한 위치에 장착했는지의 여부 확인 및 구획체(1)의 오염 상태의 확인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본체부(5)의 내부가 비쳐 보이는 상태이며, 무색 투명 또는 유색 투명이 포함되고, 반투명도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케이스(9)은, 본체부(5)의 외측에 장착되며, 본체부(5)와 동일한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밀폐 케이스(9)는, 본체부(5)의 측벽(51)의 거의 전 영역과 본체부(5)의 저부(52)를 밀폐 상태로 포위하며,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 사이에는 공기가 개재된 공극(9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부(5)의 저부(52) 측의 저류 공간(7)에 저류된 액체와 바깥 공기 사이에 온도 차가 있는 경우에도, 공극(91)에 의해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벽(51)과 수입관부(2)의 접속 부분(2A) 및 측벽(51)과 배출관부(3)의 접속 부분(3A)은, 밀폐 케이스(9)와의 사이에 공극(91)이 형성된 상태로 밀폐 케이스(9)에 덮여 있다. 수입관부(2)나 배출관부(3)와, 측벽(51)과의 접속 부분(2A, 3A)에는 액체가 고이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접속 부분(2A, 3A)과 밀폐 케이스(9) 사이에 공극(91)을 형성하면, 수입관부(2)나 배출관부(3)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 케이스(9)를 본체부(5)와 동일한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기 때문에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의 투과율이 동일하고, 또한,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 사이에는 공기가 존재함으로써, 작업자가 본체부(5)의 외측에서 밸브 본체(15)의 위치를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공조기의 드레인 배관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X)의 오염이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는, 공조기 본체 내의 드레인 팬이 더러워진 상태이다. 공조기 본체 내의 오염을 방치하면, 드레인 팬이 폐쇄되어 공조기 본체로부터 누수되는데, 해당 드레인 팬의 오염 상태를 확인하려면  천장과 지붕 사이의 위치 등에 배치되는 공조기의 분해를 필요로 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밀폐 케이스(9) 및 본체부(5)를 모두 투명하게 구성하면, 배수 트랩(X)의 오염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여 공조기 본체의 드레인 팬 청소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 팬 청소의 방치에 의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밀폐 케이스(9)는, 서로 분할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분할체(92)와, 한 쌍의 분할체(92)를 저부(52) 측(저류 공간(7) 측)으로부터 연결하는 컵 형태의 저부 측 연결 부재(93)(제1 연결 부재의 일례)와, 한 쌍의 분할체(92)를 덮개부(6) 측(저부 측 연결 부재(93)와는 반대 측)으로부터 연결하는 원주 형태의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제2 연결 부재의 일례)를 구비한다(도 4 내지 도 5 참조).
분할체(92)는, 제1 분할체(92A)와 제2 분할체(92B)로 구성되며, 이들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는,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의 관의 축 방향(Y)에 대하여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2 참조). 즉, 이들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는, 본체부(5)의 측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반으로 나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는, 각각, 관의 축 방향(Y)을 따르는 평탄한 접합면(92a)과, 수입관부(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밀착면(92b)과, 배출관부(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제2 밀착면(92c)을 갖는다.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에는 각각, 접합면(92a)을 따라 요부(92a1) 및 돌출부(92a2)가 형성되며, 이들 요부(92a1)와 돌출부(92a2)가 감합함으로 분할체(92)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요부(92a1)와 돌출부(92a2)가 감합함으로 래비린스(labyrinth) 구조를 이루어 공극(9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밀착면(92b) 및 제2 밀착면(92c)이, 각각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써, 공극(9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의 내면에는, 본체부(5)의 평탄면(51a)에 대향하는 내면이 평탄하게 되는 평탄면(92d)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92d)이 형성된 부위의 외면도 평탄면(92e)을 이룬다. 또한, 각각의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의 저부에는, 외면으로부터 지름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단부로서 저부 측 연결 부재(93)가 계합되는 계합 단부(92f)가 형성된다. 상기 계합단부(92f)의 외면에는, 평탄면(92e)이 연속하여 형성되며, 분할체(92)의 저부 단면 형상은, 대향하는 한 쌍의 직선 형태의 측부를 갖는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계합 단부(92f)의 외면의 직선 형태의 부분에는,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계합 돌기(93a)가 계합되는 계합 요부(92f1)가 형성된다. 분할체(92)의 저부의 단면 형상으로서, 대향하는 한 쌍의 직선형태의 측부를 갖는 원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계합 단부(92f)에 계합된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회전이 저지된다.
각각의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의 상단에는, 지름 내측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된 환형의 실링면(92g)이 형성되며, 환형의 실링면(92g)과 본체부(5)의 외면이 밀착됨으로, 공극(9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 상단의 외면에는,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의 제1 계합 돌기(94a)가 계합되는 계합 요부(92h)가 형성된다.
저부 측 연결 부재(93)는, 바닥 면(93A)과, 바닥 면(93A)의 외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된 측벽(93B)을 갖는 컵 형태로 형성된다. 측벽(93B)은, 분할체(92)의 저부 측면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다. 저부 측 연결 부재(93)를 서로 접합된 한 쌍의 분할체(92)의 저부에 장착함으로써, 한 쌍의 분할체(92)가 연결된다. 이때, 분할체(92)의 저부와 바닥면(93A) 사이에는 간극(95)이 형성된 상태로, 측벽(93B)에 형성된 계합 돌기(93a)가 분할체(92)의 계합 요부(92f1)에 계합된다. 상기 간극(95)은, 상술한 공극(91)과 같이 공기로 채워져 있다.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는, 내경이 본체부(5)의 외경보다 큰 링 형상의 단턱부(94A)와, 단턱부(94A)의 외주에서 저부(52) 측으로 수직 설치된 수직 설치부(94B)를 갖는 원주 형태로 형성된다. 단턱부(94A)는, 하면(내면)이 분할체(92)의 상면에 맞닿아 접한다. 수직 설치부(94B)에는, 기단 측으로 분할체(92)의 계합 요부(92h)에 계합되는 제1 계합 돌기(94a)가 형성되며, 선단 측으로 분할체(92)의 평탄면(92e) 상단에 계합되는 제2 계합 돌기(94b)가 형성된다. 이들 제1 계합 돌기(94a) 및 제2 계합 돌기(94b)가 분할체(92)에 계합됨으로써,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가 분할체(9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5)중에서, 측벽(51)의 거의 전 영역과 저부(52)를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 사이에 공극(9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체부(5)의 저부(52) 측 저류 공간(7)에 저류된 액체와 바깥 공기 사이에 온도차가 있는 경우에도, 공극(91)에 의해 결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물방울이 떨어져 주변이 침수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의 저부(52) 측은 액체의 저류 공간(7)이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분할체(92)의 저부와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바닥면(93A) 사이에 형성된 간극(95)을 마련하면, 공극(91)과 간극(95)에 의해 보온 효과가 향상되고, 액체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입관부(2)나 배출관부(3)와, 측벽(51)과의 접속 부분(2A, 3A)에는 액체가 고이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접속 부분(2A, 3A)과 밀폐 케이스(9) 사이에 공극(91)을 형성하면, 수입관부(2)나 배출관부(3)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밀폐 케이스(9)라면 본체부(5)와 외관이 연속한 일체 유닛을 구성하기 때문에, 미관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 장기간에 걸쳐 배수 트랩(X)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분할체(92)의 접합면(92a)을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의 관의 축 방향(Y)을 따르게 하면,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의 측방향에서 밀폐 케이스(9)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 사이의 공극(91)을 형성할 때, 저부 측과 덮개부 측에 저부 측 연결 부재(93) 및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를 구비하면, 배수 트랩(X)의 제조가 매우 쉬워진다.
(다른 실시 형태)
(1) 도 6 내지 도 9에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배수 트랩(X)이 도시된다. 또한,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명칭,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구성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밀폐 케이스(9)는, 수입관부(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밀착면(92b)과, 배출관부(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제2 밀착면(92c)을 각각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에서 관의 축 방향(Y)을 따라서 중간 부분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비하여, 밀폐 케이스(9)와 본체부(5)에서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 사이에 공극(91)이 많이 확보되기 때문에, 수입관부(2)나 배출관부(3)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체(92)와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의 계합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분할체(92A) 및 제2 분할체(92B)의 상단의 외면에 계합 요부(92i)을 구비하고,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의 수직 설치부(94B)의 기단 측에 계합 돌기(94c)을 구비하며, 상기 계합 요부(92i)와 계합 돌기(94c)을 계합시켜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을 분할체(92)에 고정한다(도 8 ~ 도 9 참조). 즉,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수직 설치부(94B)의 선단 측으로, 분할체(92)의 평탄면(92e) 상단에 계합하는 제2 계합 돌기(94b)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덮개부(6)를 본체부(5)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덮개부(6)가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를 하부로 가압함으로, 덮개부 측 연결 부재(94)가 분할체(9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체(92)와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계합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계합 돌기(93a)를 계합 요부(93a1)로 하고, 분할체(92)의 계합 요부(92f1)를 계합 돌기(92f2)로 한다.
(2) 분할체(92)의 저부와 저부 측 연결 부재(93)의 바닥면(93A) 사이에 형성된 간극(95)에 단열 시트를 장착해도 된다. 상기 단열 시트는, 알루미늄 등의 단열재나 적층 수지층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피복한 적층재로 구성된다. 본체부(5)의 저부(52) 측은 액체의 저류 공간(7)이므로, 본체부(5)의 저부(52) 측에 배치되는 저부 측 연결 부재(93)에 단열 시트를 구비하면, 저류 공간(7) 내의 액체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5)의 저부(52) 측에 단열 시트를 배치했을 경우, 본체부(5)의 내부 공간(4)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3) 간극(95)에 장착하는 단열 시트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흡습제를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간극(95)에 습도 높은 공기가 봉입되어 있어도, 간극(95) 내부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열 환류율이 낮아지고, 결로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4) 밀폐 케이스(9)를 저류 공간(7) 부분에만 설치해도 된다. 즉, 본체부(5)의 측벽(51)에 있어서, 경사 단부(51b)보다도 하부 측에 대향하여 밀폐 케이스(9)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5)의 측벽(51)에 있어서,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보다도 하부 측에 대향하여 밀폐 케이스(9)를 설치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5) 밀폐 케이스(9)의 분할체(92)를 수입관부(2) 및 배출관부(3)의 관의 축 방향(Y)에 대하여 대칭 형상으로 형성했으나, 밀폐 케이스(9)의 분할체(92)를 상하 방향으로 2분할 해도 된다.
(6) 접합면(92a)이나 밀착면(92b, 92c)에 실링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7) 공극(91)이나 간극(95)을 진공으로 구성해도 된다.
(8) 덮개부(6)를 생략하고, 구획체(1)를 탈착 불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부(18)의 나사 결합에 의해 덮개부(6)를 본체부(5)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했으나, 덮개부(6)를 압입하여 본체부(5)에 끼워넣음으로써 본체부(5)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감합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즉, 본체부(5)에 덮개부(6)를 부착하는 방법은 적정한 변경이 가능하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5)의 저부를 평평한 면 형태로 하여 본체부(5)의 저부 전체를 저류 공간(7)으로 하고 있으나, 본체부(5)의 저부에 단차를 두는 등, 본체부(5)의 저부 형상을 적정하게 변경하여 본체부(5)의 저부 전체를 저류 공간(7)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볼 때, 본체부(5)의 측벽(51)의 형상 및 구획체(1)의 형상을 대략 타원 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고, 어떤 형상으로든 적정한 변경이 가능하다.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밸브 본체(15)로서 공 모양을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밸브 본체(15)를 수평축 중심 주위에서 자유롭게 요동하는 판상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밸브 본체(15)를 어떤 형태로든 적정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입관부와 배출관부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통 형상의 본체와, 본체 내부 공간을 저류 공간과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구획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적용할 수 있다.
1:구획체
2:수입관부
3:배출관부
4:내부공간
5:본체부
51:측벽
6:덮개부
7:저류 공간
8:배출공간
9:밀폐 케이스
91:공극
92:분할체
X:배수 트랩

Claims (3)

  1. 액체를 유입하는 수입관부와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관부가 측벽에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수입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저류하는 저류 공간과 상기 배출관부에 연통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탈착 가능한 구획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는 덮개부; 및
    적어도 상기 저류 공간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외면의 일부분을 밀폐 상태로 포위하는 밀폐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케이스 및 상기 본체부는 투명하며,
    상기 밀폐 케이스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덮개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수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수입관부의 접속 부분 및 상기 측벽과 상기 배출관부의 접속 부분은, 상기 밀폐 케이스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밀폐 케이스에 덮여 있는 배수 트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케이스는, 서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는 배수 트랩. 
KR1020197032222A 2018-09-03 2019-01-29 배수 트랩 KR102095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8/032616 2018-09-03
PCT/JP2018/032616 WO2020049616A1 (ja) 2018-09-03 2018-09-03 排水トラップ
PCT/JP2019/002909 WO2020049753A1 (ja) 2018-09-03 2019-01-29 排水トラ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81A true KR20200028881A (ko) 2020-03-17
KR102095234B1 KR102095234B1 (ko) 2020-03-31

Family

ID=6823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22A KR102095234B1 (ko) 2018-09-03 2019-01-29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54607A1 (ko)
JP (1) JP6590360B1 (ko)
KR (1) KR102095234B1 (ko)
CN (2) CN111148881B (ko)
DE (1) DE112019001740T5 (ko)
SG (1) SG11202010117QA (ko)
TW (2) TWI741358B (ko)
WO (2) WO2020049616A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761A (en) 1976-07-13 1978-01-28 Hoffmann La Roche Peptide derivative
JPS5329549A (en) 1976-09-01 1978-03-18 Toshiba Corp Protection device for dc power transmission
JPH02106087A (ja) 1988-10-14 1990-04-18 Rohm Co Ltd 混成集積回路装置
JPH1082085A (ja) 1996-09-09 1998-03-31 Kajima Corp 排水設備及び排水器具
JP2002322706A (ja) 2001-04-25 2002-11-08 Inax Corp トラップ保温キャップ
JP2006112154A (ja) * 2004-10-15 2006-04-27 Kondo F Aru P Kogyo Kk 排水トラップ
KR20070116531A (ko) 2005-04-19 2007-12-10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기판 처리 장치
JP2009215741A (ja) * 2008-03-07 2009-09-24 Hoshizaki Electric Co Ltd 排水トラップ
JP5048482B2 (ja) * 2006-04-11 2012-10-17 コンドーエフアルピー工業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JP2012251416A (ja) * 2011-05-11 2012-12-20 Sekisui Chem Co Ltd ドレントラップ装置
KR20130103114A (ko) * 2012-03-09 2013-09-23 이종태 배수관용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275A (en) * 1891-02-24 Vacuum-pump connection
JPS5329549U (ko) * 1976-08-19 1978-03-14
US4899781A (en) * 1988-12-29 1990-02-13 Dunn Diversified Industries, Inc. Tamper indicator assembly for valves and like devices
JPH02106087U (ko) * 1989-02-06 1990-08-23
CN1421658A (zh) * 2002-12-26 2003-06-04 耿玉顺 自动上下水调温排空超保温承压机械阀的太阳热水器及盆
US7178546B2 (en) * 2004-10-04 2007-02-20 Linelox, Llc Valve cover
DE202005019783U1 (de) * 2005-12-19 2007-01-04 Lixfeld, Dirk Sondersiphon in Hygieneausführung für Klimageräte
KR100850951B1 (ko) * 2007-03-08 200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158710U (ja) * 2010-02-02 2010-04-15 株式会社ヨシダアニー 排水管凍結防止用枡型ヒーター
CN201695478U (zh) * 2010-06-09 2011-01-05 宁波铜艺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下水阀门
TWI660099B (zh) * 2016-04-22 2019-05-21 白志興 管道阻氣裝置
CN206581336U (zh) * 2017-01-21 2017-10-24 广州名能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管网自动排水防冻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761A (en) 1976-07-13 1978-01-28 Hoffmann La Roche Peptide derivative
JPS5329549A (en) 1976-09-01 1978-03-18 Toshiba Corp Protection device for dc power transmission
JPH02106087A (ja) 1988-10-14 1990-04-18 Rohm Co Ltd 混成集積回路装置
JPH1082085A (ja) 1996-09-09 1998-03-31 Kajima Corp 排水設備及び排水器具
JP2002322706A (ja) 2001-04-25 2002-11-08 Inax Corp トラップ保温キャップ
JP2006112154A (ja) * 2004-10-15 2006-04-27 Kondo F Aru P Kogyo Kk 排水トラップ
KR20070116531A (ko) 2005-04-19 2007-12-10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기판 처리 장치
JP5048482B2 (ja) * 2006-04-11 2012-10-17 コンドーエフアルピー工業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JP2009215741A (ja) * 2008-03-07 2009-09-24 Hoshizaki Electric Co Ltd 排水トラップ
JP2012251416A (ja) * 2011-05-11 2012-12-20 Sekisui Chem Co Ltd ドレントラップ装置
KR20130103114A (ko) * 2012-03-09 2013-09-23 이종태 배수관용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49616A1 (ja) 2020-09-10
SG11202010117QA (en) 2020-11-27
TWI795931B (zh) 2023-03-11
TW202206674A (zh) 2022-02-16
TW202014582A (zh) 2020-04-16
TWI741358B (zh) 2021-10-01
WO2020049753A1 (ja) 2020-03-12
JP6590360B1 (ja) 2019-10-16
CN111148881B (zh) 2021-11-19
DE112019001740T5 (de) 2020-12-24
US20210054607A1 (en) 2021-02-25
CN113882482A (zh) 2022-01-04
KR102095234B1 (ko) 2020-03-31
CN113882482B (zh) 2024-03-19
CN111148881A (zh) 2020-05-12
WO2020049616A1 (ja)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8482B2 (ja) 排水トラップ
US7823601B2 (en) Drain trap
US8376165B2 (en) Drinking container having slidable cover and drinking straw
US7908685B2 (en) Water trap for sanitary appliances
JP2015521069A (ja) 排液容器装置及び吸引バッグユニット
ES2549981T3 (es) Junta para recipientes llenados con fluido
JP2007224529A (ja) 排水弁
KR102095234B1 (ko) 배수 트랩
JP6578530B1 (ja) 排水トラップ
CN106795790B (zh) 排流装置
ES2306661T3 (es) Vastago para la valvula de aerosol con junta mejorada.
JP3314252B2 (ja) 不凍式空気弁
JP3148733U (ja) オイルタンクカバー傾斜防漏設計
JP2022154165A (ja) 排水トラップ
JP5018699B2 (ja) 排水装置および排水方法
JP2000003617A (ja) ランプの防水構造
KR200179079Y1 (ko) 정수기의 저수통 연결구
JP2022121880A (ja) 排水トラップ
JP2009502663A (ja) 防臭容器
KR950029728A (ko) 자동제빙기가 부착된 냉장고
KR20160001621U (ko) 배수통 일체형 싱크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