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50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505A
KR20200023505A KR1020207005200A KR20207005200A KR20200023505A KR 20200023505 A KR20200023505 A KR 20200023505A KR 1020207005200 A KR1020207005200 A KR 1020207005200A KR 20207005200 A KR20207005200 A KR 20207005200A KR 20200023505 A KR20200023505 A KR 20200023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arrier wall
skin side
circumference
body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345B1 (ko
Inventor
다츠야 하시모토
구니히코 가츠라가와
유타 마츠시마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2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폭협부(幅狹部)(121n)를 구비한 흡수체(121)와, 고정부(55)와 기립부(56)를 갖는 방루벽(50)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10)와, 전측(前側) 몸통 둘레부(20)와, 후측(後側) 몸통 둘레부(30)를 가지며, 한쪽측 몸통 둘레부(20)는, 폭협부(121n)의 비(非)피부측, 또한, 상하 방향에서 폭협부(121n)와 겹치고,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 시트부(122a)의 비피부측면 또는 비피부측 시트부(122b)의 피부측면은, 폭협부(121n)의 외측쪽 또한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보다 위쪽에, 접착제(122Ha, 122Hb)가 도포되며, 고정부(55)는 흡수체(121)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치고, 한쪽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 폭협부(121n)의 측단(側端)(121s)과의 교점(121u)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서, 기립부(56)의 기립 개시 부위(59)는, 교점(121u)보다도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흡수성 물품은 보다 염가인 것이 요망되고 있고, 흡수성 물품을 염가로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흡수체(흡수성 코어)의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 등의 단위 중량(目付量) 등의 양을 삭감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에 흡수성 코어(5)에 잘록부(5c)를 설치하여, 흡수성 코어(5) 내의 펄프 섬유 등의 섬유의 집합체 등을 삭감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3-1368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에는, 액체 흡수성 섬유가 삭감된 흡수성 코어(5)에서는 배설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흡수체의 액체 흡수성 섬유 등의 양을 줄이면서,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될 우려를 보다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非)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와, 방루벽(防漏壁) 탄성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전측(前側) 몸통 둘레부, 및 후측(後側) 몸통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측단(側端)이 오목 형상을 갖는 폭협부(幅狹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루벽은,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후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측의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폭협부의 비피부측에 겹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고, 상기 피부측 시트부의 비피부측면 또는 상기 비피부측 시트부의 피부측면에는, 상기 폭협부의 외측쪽 또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보다 위쪽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쳐 있고,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기립 개시 부위는, 상기 교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하게 한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부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 있는 영역에서 폭협부를 갖는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라도,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면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A-A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 중의 B1-B1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 중의 B2-B2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2 중의 B3-B3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개략 평면도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둘레부(6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 중의 D-D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 중의 B1-B1 화살표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가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후의 양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도 2 중의 B2-B2 화살표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가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후의 양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非)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와, 방루벽 탄성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전측 몸통 둘레부, 및 후측 몸통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측단이 오목 형상을 갖는 폭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루벽은,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후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측의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폭협부의 비피부측에 겹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고, 상기 피부측 시트부의 비피부측면 또는 상기 비피부측 시트부의 피부측면에는, 상기 폭협부의 외측쪽 또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보다 위쪽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쳐 있고,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기립 개시 부위는, 상기 교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부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 있는 영역에서 폭협부를 갖는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라도,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성 본체가,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비피부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꺾여 구부러져 버릴 우려를 경감시켜, 흡수성 본체를 보다 신체에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와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성 본체가,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비피부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꺾여 구부러져 버릴 우려를 보다 경감시켜, 흡수성 본체를 보다 신체에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 및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상기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단인 오목 형상 상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오목 형상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 상단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좌우 방향의 외측이 기립부에 의해, 내측이 폭협부에 의해 각각 구획되고, 또한, 피부측이 기립부에 의해, 비피부측이 한쪽측 몸통 둘레부에 의해 각각 구획된 공간(이하, 「방루 공간」이라고도 한다.)이 찌부러져 버려, 이 공간에 배설물이 머무를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상기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단인 오목 형상 상단부터,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측단과의 교점과, 상기 오목 형상 상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방루 공간에 수용된 배설물이, 가랑이 아래 방향을 향해 흘러나와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인 오목 형상 상단과,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측단은,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방루 공간에 있어서, 흡수체의 측단이 상하 방향에 대해 평행한 경우보다도, 흡수체의 측단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배설물이 흡수체에 접촉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보다 배설물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쪽측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부풀었을 때에, 방루 공간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의 내측의 단(端)이, 상기 교점보다도 내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방루벽이, 흡수체의 단부터 좌우 방향의 외측까지 흡수체를 덮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에, 배설물이 흡수성 물품의 외측으로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은, 상기 고정부를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흡수체의 측단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부풀었을 때에, 방루 공간을, 보다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은, 상기 고정부를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면적은, 상기 고정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부의 면적을 뺀 면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접착부의 면적이, 고정부의 면적에서 접착부의 면적을 뺀 면적보다도 작은 경우보다도,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부풀었을 때에, 방루 공간을, 보다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 및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부터 상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의 쪽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부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까지의 사이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방루 공간으로 배설물이 보다 들어가기 쉬워져 있는 한편,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는, 방루 공간에 들어간 배설물이 바깥으로 누출되어 버릴 우려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는, 상기 기립부에, 제 1 방루벽 탄성 부재와 제 2 방루벽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방루벽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방루벽 탄성 부재가 이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방루벽 탄성 부재에 의해, 방루벽 탄성 부재의 기립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방루벽을 면으로 접촉시키기 쉬워져,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와, 방루벽 탄성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전측 몸통 둘레부, 및 후측 몸통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측단이 오목 형상을 갖는 폭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루벽은,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후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측의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폭협부의 비피부측에 겹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고,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쳐 있으며,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기립 개시 부위는, 상기 교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와 몸통 둘레부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 있는 영역에서 폭협부를 갖는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라도, 흡수성 본체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 실시형태 ===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이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는 유유아(乳幼兒)용으로서도 어른용으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 이외에도, 예를 들면 생리용 쇼츠형 패드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 구성 ===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 한다)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면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A-A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전개 상태」란, 기저귀(1)의 양측부의, 전측 몸통 둘레부(「복측(腹側) 몸통 둘레부」라고도 한다.)(20)의 측부(20a)와 후측 몸통 둘레부(30)(「등측(背側) 몸통 둘레부」라고도 한다.)의 측부(30a)와의 접합을 각각 분리하여, 펼쳐서 기저귀(1) 전체를 평면적으로 전개한 상태이다. 「신장 상태」란, 기저귀(1)의 주름이 시인(視認)할 수 없게 될 정도까지, 기저귀(1)가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전측 몸통 둘레부(20) 등)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치수가 될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중의 C-C선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이다. 도 3에서는, 편의상, 접착제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형의 기저귀(1)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기저귀(1)에는 몸통 둘레 개구부(BH)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LH)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몸통 둘레 개구부(BH)측을 상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가 되는 측을 하측으로 한다. 도 2의 상태(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 길이 방향의 한쪽측을 「복측」, 다른쪽측을 「등측」이라고도 하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C10)측을 「하측」이라고도 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측이 되는 측을 전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등측이 되는 측을 후측으로 한다. 또, 기저귀(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을 갖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기저귀(1)는, 소위 3피스 타입이고, 흡수성 본체(10)와 전측 몸통 둘레부(20), 후측 몸통 둘레부(30)를 갖는다. 전측 몸통 둘레부(20)는 착용자의 복측부를 덮고, 후측 몸통 둘레부(30)는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다. 흡수성 본체(10)는 평면도로 보아 대략 장방형 형상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복측 상단부(10f)와 등측 상단부(10b)는, 각각 몸통 둘레부(20, 30)의 피부측면과 중첩되어 있다. 또한, 복측 상단부(10f)는, 흡수성 본체(10)의 복측의 단부이고,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겹친 부분을 말한다. 등측 상단부(10b)는, 흡수성 본체(10)의 등측의 단부이고, 후측 몸통 둘레부(30)와 겹친 부분을 말한다. 전측 몸통 둘레부(20), 후측 몸통 둘레부(30)는 평면도로 보아 대략 장방형상이며, 그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저귀(1)는, 중심선 C-C에 대해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복측 상단부(10f), 등측 상단부(10b)의 비피부측면과 몸통 둘레부(20, 30)의 피부측면을 접착제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후측 몸통 둘레부(30)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10)를 둘로 접고,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20a)와 후측 몸통 둘레부(30)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30a)를 접합함으로써, 기저귀(1)는 팬티형이 된다.
전측 몸통 둘레부(20) 및 후측 몸통 둘레부(30)는 각각, 부직포 등의 유연한 2장의 시트(21과 21, 31과 31)와,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실고무 등의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 32)를 구비한다.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 32)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2장의 시트(21과 21, 31과 31)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측 몸통 둘레부(20) 및 후측 몸통 둘레부(30)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여,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피트한다.
도 4A는, 도 2 중의 B1-B1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 중의 B2-B2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2 중의 B3-B3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두께 방향에 관하여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치수를 적절히 변경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두께 방향의 피부측부터 차례로, 톱 시트(11)와, 흡수체 유닛(12)과, 백 시트(13), 외장 시트(14)를 구비하고, 각각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톱 시트(11)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면 되고,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백 시트(13)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이면 되고,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소수성의 SMS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톱 시트(11) 및 백 시트(13)는 흡수체 유닛(12) 전체를 덮는 크기로 한다. 외장 시트(14)는, 액체 투과성 시트여도 액체 불투과성 시트여도 되고, 소수성의 SMS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시트(14)에 의해 방루벽부(50)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장 시트(14)는 액체 불투과성의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유닛(12)은, 평면도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단지 「흡수체」라고도 한다.)(121)와, 흡수성 코어(121)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122)를 구비한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이 함유되어 있다. 코어 랩 시트(122)로는, 화장지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122) 중, 흡수성 코어(121)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122a)에는 피부측 접착제(122Ha)가 설치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121)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122b)에는, 비피부측 접착제(122H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부측 접착제(122Ha)는 피부측 시트부(122a)의 대략 전역에 설치되고, 비피부측 접착제(122Hb)는 비피부측 시트(122b)의 대략 전역에 설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각 시트부(122a, 122b)의 전역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피부측 시트부(122a) 또는 비피부측 시트부(122b)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122Ha, 122Hb) 중 어느 한쪽을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보다도 위쪽에서, 또한, 폭협부(121n)(후술)보다 외측에, 피부측 접착제(122Ha), 비피부측 접착제(122Hb)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적어도, 도 4B에 나타내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있어서의 폭협부(121n)가 설치된 흡수성 코어(121)보다 외측에 접착제(122Ha 또는 122Hb)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121)와 접하고 있는 피부측 시트부(122a) 및 비피부측 시트부(122b)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121)와 각 시트부(122a, 122b)가 분리되어, 착용 시에 착용 시의 피트감을 저해하거나, 흡수성 코어(121)의 소정의 형상이 무너져 버리거나 할 우려를 경감시킬 정도로, 접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121)는, 액체 흡수성 소재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21)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잘록하게 하여, 좌우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해, 좌우 방향의 측단(121s)에 오목 형상의 폭협부(121n)를 형성하여,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하고 있다. 폭협부(121n)는, 등측보다도 복측에 보다 많이 형성하고 있고, 폭협부(121n)의 가장 좁은 부분(121m)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C10)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 중,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단이 되는 오목 형상 상단(121t)은,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보다도 상측이고, 엔드 접합부(52)(후술)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과의 교점(121u)은, 오목 형상 상단(121t)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피부측면에는, 폭협부(121n)의 비피부측면이 겹쳐져 있고, 전측 몸통 둘레부(20)는, 「한쪽측의 몸통 둘레부」라고도 한다. 또, 후측 몸통 둘레부(30)에는, 폭협부(121n)는 겹쳐져 있지 않다.
또, 흡수성 본체(10)는, 한 쌍의 방루벽부(50)와 다리 둘레부(60)를 구비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A∼도 4C나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가 되접어 꺾이고, 되접어 꺾인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단부가 방루벽부(「방루벽」이라고도 한다.)(50)를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외측의 단부는 다리 둘레부(60)를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방루벽부(50)는, 소위 입체 개더이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 유닛(12)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방루벽부(50)는, 방루벽부(50)를 형성하는 외장 시트(14)를 톱 시트(11)나 백 시트(13)에 접합하는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와, 길이 방향(기저귀(1)의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수의 방루벽 탄성 부재(51)를 구비하는 동시에,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55)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56)를 구비한다. 또, 다리 둘레부(60)는, 사이드 접합부(53)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61)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2의 개략 평면도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2의 개략 평면도로부터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 32) 등을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 및 한 쌍의 사이드 접합부(53)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접합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의 접합은, 접착제에 의한 고정에 한정되지 않고, 압착(壓搾)이나 압착(壓着) 등에 의해 고정을 행해도 된다.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고정부(55)를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이다. 엔드 접합부(52)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단부터 흡수체 유닛(12)의 상측 단부에 겹치는 위치까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접합부(53)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엔드 접합부(52)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에 2개씩 배치되며, 각각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와,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b)를 구비하고 있다. 방루벽부(50)는, 방루벽 탄성 부재(51)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접합부(53a)에 좌우 방향 내측에서부터 인접하는 부분을 기점으로 착용자측(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하게 된다. 방루벽부(50) 중,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측의 상단부터 엔드 접합부(52)의 하단까지, 및 후측 몸통 둘레부(30)의 측의 상단부터 엔드 접합부(52)의 하단까지의 각 영역이 고정부(55)이다. 즉, 방루벽부(50) 중,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측에 있어서의 엔드 접합부(52)의 하단보다 하측이고, 또한, 후측 몸통 둘레부(30)의 측에 있어서의 엔드 접합부(52)의 하단보다 하측의 영역이 기립부(56)이다. 이 방루벽부(50)에 의해 옆으로 흐른 배설물이 막아진다. 또한, 방루벽 탄성 부재(51)는, 1줄로도 방루벽부(50)를 형성할 수 있지만, 기저귀(1)와 같이 복수 줄의 방루벽 탄성 부재(51)를 각각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줄의 방루벽 탄성 부재(51)에 의해, 방루벽부(50)의 기립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에 방루벽부(50)를 면으로 접촉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측 몸통 둘레부(20), 후측 몸통 둘레부(30), 방루벽부(50), 및 다리 둘레부가 구비하는 탄성 부재(22, 32, 51, 61)로서 실고무 등의 사상(絲狀)의 탄성 부재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고무 대신에, 예를 들면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 등의 시트상(狀)의 탄성 부재를 단수 또는 복수 배치해도 된다. 또, 도면에는 탄성 부재 중 신축성을 발현하는 부위(소위 유효 길이의 부위)만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도시하는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는 탄성 부재의 부위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탄성 부재의 배치나 갯수도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 방루벽부(50) 및 다리 둘레부(60)의 형성 방법 ===
다음으로, 흡수성 본체(10)의 한 쌍의 방루벽부(50)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흡수성 본체(10) 및 다리 둘레부(6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 중의 D-D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21)의 폭협부(121n)의 영역을 우하향의 3줄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폭협부(121n) 중 가장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은 부분(121m)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C10)보다도 복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선, 도 6A 및 도 6B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양측부에 방루벽부(50)용 3줄의 방루벽 탄성 부재(5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고정한다. 그 후, 방루벽부(50)용의 방루벽 탄성 부재(51)가 고정된 좌우 방향의 위치를 꺾는 위치(f1)로 하여,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가 두께 방향의 피부측(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어 꺾인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층으로 되어 있는 외장 시트(14) 부위의 피부측면으로서 꺾는 위치(f2)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의 부위에, 방루벽부(50)의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으로서 사이드 접합부(53)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의 부위에, 3줄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61)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고정한다. 그 후,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백 시트(13)와, 톱 시트(11)가 배치된 흡수체 유닛(12)이 겹쳐져 접합된다.
마지막으로, 흡수체 유닛(12)과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사이드 접합부(53b)의 사이의 꺾는 위치(f2)에서, 외장 시트(14)의 좌우 방향의 양측부를 톱 시트(11)보다도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어, 도 2 등에 나타내는 흡수성 본체(10)가 된다. 꺾어 겹쳐진 외장 시트(14)에 있어서, 사이드 접합부(53) 중, 좌우 방향의 내측에 설치된 사이드 접합부(53a)의 내측의 측단부터 외측의 영역은 다리 둘레부(60)가 되고, 사이드 접합부(53a)의 내측의 측단부터 내측의 영역은, 방루벽부(50)가 된다.
=== 배설물을 흡수했을 때의 흡수성 본체(10)의 양태에 대해서 ===
도 7A는, 도 2 중의 B1-B1 화살표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가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후의 양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도 2 중의 B2-B2 화살표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가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후의 양태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엔드 접합부(52)(고정부(55))의 하단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단면(斷面)을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각각 좌측은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의 흡수성 본체(10)를 나타내고 있고, 각각 우측은 배설물을 흡수한 후의 흡수성 본체(1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모식도이고, 치수나 축척 등은 반드시 정확한 것은 아니다.
통상, 유유아 등의 기저귀(1)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설을 행하면, 가랑이 아래부 부근의 흡수체 유닛(12)에 의해 배설물이 흡수된다. 기저귀(1)를 보다 염가로 하기 위해, 흡수성 코어(121)의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 등의 양을 삭감하는 경우가 있고,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21)의 좌우 방향의 측단이 오목 형상이 되는 폭협부(121n)를 갖는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흡수성 코어(121)에 폭협부(121n)를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성 코어(121)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있어서의 다리의 움직임을 제한해 버린다는 우려를 감소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액체 흡수성 섬유가 감소하면, 배설 시에 있어서는,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121)에 있어서는, 배설물을 다 흡수하지 못하여, 전측 몸통 둘레부(20)측 또는 후측 몸통 둘레부(30)측으로 배설물이 흘러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기세 좋게 흐른 배설물이, 흡수성 본체(10)와, 전측 몸통 둘레부(20) 또는 후측 몸통 둘레부(30)와 겹친 부분부터 방루벽을 넘어 기저귀의 외측으로 흘러나와 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7B에 나타내는 방루 공간(P)을 형성함으로써, 배설물이 기저귀(1)의 외측으로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방루 공간(P)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의 기저귀(1)의 흡수성 코어(121)는, 도 7A 및 도 7B의 각각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물 등을 흡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팽창하고 있지 않다. 이때, 도 7A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유닛(12)에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방루벽부(50)는, 엔드 접합부(52)에 의해, 고정부(55)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즉, 방루벽부(50)는, 고정부(55)에 있어서 흡수체 유닛(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A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121)에는, 폭협부(121n)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7B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유닛(12)에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있는 방루벽부(50)는, 엔드 접합부(52)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방루벽부(50)가 피부측으로 기립함으로써, 배설물을 막는 벽이 된다. 또, 폭협부(121n)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7A에 나타내는 흡수성 코어(121)보다도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다. 그 때문에, 착용 상태 등에 있어서, 기립부(56)가 피부측으로 기립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외측이 기립부(56)에 의해, 내측이 폭협부(121n)에 의해 각각 구획되고, 또한, 피부측이 기립부(56)에 의해, 비피부측이 전측 몸통 둘레부(20)에 의해 각각 구획된 방루 공간(Px)이 형성된다. 즉, 이 방루 공간(Px)은, 방루벽부(50)와 흡수성 코어(121)와 전측 몸통 둘레부(20)로 구획된 공간이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기저귀(1)는, 외장 시트(14)가 전측 몸통 둘레부(20)에 접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루벽부(50)와 흡수성 코어(121)와 외장 시트(14)로 구획된 방루 공간(Px)은, 방루벽부(50)와 흡수성 코어(121)와 전측 몸통 둘레부(20)로 구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기립부(56)가 기립했을 때에 형성되는 방루 공간(P)의 위치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폭협부(121n)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는, 코어 랩 시트(122)끼리가 접착한 영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가,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는, 기저귀(1)의 제조 시에 반드시 접착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착용 시에 있어서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가 접착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기저귀(1)를 제조한 상태에서는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는 분리되어 있고, 포장재에 수용했을 때의 압력이나, 착용 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피부와의 밀착에 의해 접착해도 된다.
또한, 방루벽부(50)와 다리 둘레부(60)와의 경계,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접합부(53a)의 내측의 단에 내측에서부터 인접하는 부위를 기립 개시 부위(59)라고 한다. 방루벽부(50)는, 기립 개시 부위(59)를 기점으로 하여 피부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기립 개시 부위(59)는, 기립부(5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어, 길이 방향을 따른 부분이다. 도 5, 도 7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개시 부위(59)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 흡수성 코어(121)(폭협부(121n))의 측단(121s)과의 교점(121u)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흡수성 본체(10)가 겹쳐진 영역에 있어서, 기립 개시 부위(59)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21)(폭협부(121n))의 측단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7B의 좌측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점(121u)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립부(56)의 기립 개시 부위(59)가 교점(121u)보다도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협부(121n)의 측단과 방루벽부(50)의 기립 개시 부위(59)와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설치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과 기립 개시 부위(59)와의 사이에 거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방루 공간(P)을 형성할 수 없거나, 충분한 크기를 확보할 수 없거나 해 버린다. 그 때문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립 개시 부위(59)가 교점(121u)보다도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방루 공간(P)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배설물을 흡수한 후의 기저귀(1)의 흡수성 본체(10)는, 도 7A 및 도 7B의 각각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 등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121)는, 펄프 섬유 등과 SAP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배설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도 7A의 우측에 나타내는, 엔드 접합부(52)의 하단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 단면은,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의 흡수에 의해 부풀어 있다. 도 2A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루벽부(50)는 각각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속한 시트 부재이기 때문에, 방루벽부(50)의 어딘가 일부가 피부측으로 상승하면, 기립 개시 부위(59)를 기점으로 하여, 기립부(56)가 피부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도 7A와는 달리, 도 7B에 나타내는 방루벽부(50)는 흡수성 코어(121)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흡수성 코어(121)의 팽창에 의해 방루벽부(50)가 상승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흡수성 코어(121)에 고정된 고정부(55)에 의해, 방루벽부(50)의 일부가 피부측으로 들어 올려지면,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에 위치하는 기립부(56)를 피부측으로 상승시켜 방루 공간(Py)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만일, 방루벽부(50)가, 흡수체 유닛(12)(흡수성 코어(121))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배설물을 흡수한 흡수성 코어(121), 흡수체 유닛(12)만이 피부측으로 상승해 버려, 방루벽부(50)를 피부측으로 상승시킬 수 없어, 배설물을 흡수하여 흡수성 코어(121)가 팽창한 경우라도, 방루 공간(P)을 확대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기저귀(1)는, 방루벽부(50)가 피부측으로 상승함으로써, 배설물을 흡수하기 전의 방루 공간(Px)보다도 큰 방루 공간(Py)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령, 배설물이 기세 좋게 전측 몸통 둘레부(20)를 향해 흘러 온 경우라도, 보다 많은 배설물을 방루 공간(Py)에 저류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체 유닛(12)의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가 접착하고 있음으로써, 흡수성 코어(121)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루벽부(50)와 흡수성 코어(121)와 외장 시트(14)로 구획된 방루 공간(Py)이 좌우 방향으로 더욱 넓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방루 공간(Py)을 보다 넓게 할 수 있어, 배설물을 보다 많이 저류할 수 있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배설물을 흡수하여 흡수성 코어(121)가 팽창한 경우나,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의 점착력이 수분에 의해 저하된 경우에는,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와의 접착이 박리되는 일이 있다. 이때에는, 흡수성 코어(121)는, 좌우 방향으로도 팽창하는 상태가 되어, 방루 공간(P)에 저류된 배설물이 보다 빨리 흡수성 코어(121)에 의해 흡수되기 쉬워진다.
방루 공간(P)에 배설물을 저류함으로써, 전측 몸통 둘레부(20)측으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방루 공간(P)에 저류된 배설물은, 시간을 들여 인접하는 흡수성 코어(121)에 흡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저귀(1)의 방루 공간(P)은,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전후 방향에서 겹쳐 있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루 공간(P)으로 흘러나온 배설물은, 전측 몸통 둘레부(20)나 착용자의 신체에 의한 압박에 의해, 인접하는 흡수성 코어(121)로의 흡수가 촉진된다.
또한, 기저귀(1)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의 일부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폭협부(121n)의 측단에 걸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서, 또한, 하단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가,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좌우 방향의 단부부터, 폭협부(121n)의 측단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때,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의 일부와 방루벽 탄성 부재(51)가 교차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착용 시에 있어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성 본체(10)가,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비피부측으로 돌출되어 볼록하게 되도록 꺾여 구부러져 버리는 것을,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의 수축에 의해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21)의 오목 형상 상단(121t)부터,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의 길이 T로 하고,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과의 교점(121u)과 오목 형상 상단(121t)까지의 좌우 방향의 길이 S로 하면, 길이 T는 길이 S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T>S). 즉, 방루 공간(P)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일단 방루 공간(P)에 저류된 배설물은, 모세관 현상의 원리로, 좌우 방향의 길이가 보다 짧은 영역으로 흘러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보다 상측에서 배설물을 저류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가랑이 아래부로부터 방루 공간(P) 내로 흘러든 배설물이, 다시 가랑이 아래부로 되돌아와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 중, 하측부터 차례로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b)로 하면,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와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b)와의 사이의 길이 L1보다,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와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까지의 길이 L2 쪽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L1<L2). 이렇게 함으로써,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부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까지의 사이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와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b)와의 사이보다도 길므로, 방루 공간(P)으로 배설물이 들어가기 쉬워진다. 한편,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a)와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b)와의 사이는, 방루 공간(P)으로 들어간 배설물이 바깥으로 누출되어 버릴 우려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21)의 오목 형상 상단(121t)과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에 있어서는, 오목 형상 상단(121t)과 교점(121u)과의 사이의 측단(121s)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경우보다도 길이가 길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루 공간(P)이 되는 영역에 면(面)한 흡수성 코어(121)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방루 공간(P) 내로 들어간 배설물이 접촉하는 흡수성 코어(121)의 영역을 늘릴 수 있어, 배설물을 보다 흡수하기 쉬워진다.
또,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방루벽부(50)의 내측의 단이 교점(121u)보다도 내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교점(121u)보다 상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은, 방루벽부(50)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에, 배설물이 기저귀(1)의 외측으로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폭협부(121n)의 상단, 즉 오목 형상 상단(121t)이, 엔드 접합부(52)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 형상 상단(121t)은, 방루 공간(P)의 상단이 되는 부분이다(도 5 등 참조). 또, 엔드 접합부(52)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방루벽부(50)의 영역은, 고정부(55)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오목 형상 상단(121t)을 엔드 접합부(52)의 하단보다도 상측에 설치하면, 방루 공간(P)이 고정부(55)에 의해 고정되어 버리기 때문에, 방루 공간(P)이 좁혀져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으로부터, 오목 형상 상단(121t)을 엔드 접합부(52)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팽창한 경우에, 방루 공간(P)이, 팽창한 흡수성 코어(121)에 의해 차단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하여, 방루 공간(P)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엔드 접합부(52)가, 흡수성 코어(121)의 측단(121s)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는, 흡수성 코어(121)의 상부에 있어서, 엔드 접합부(52)가 측단(121s)보다 내측인 점에서,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부풀었을 때에, 방루 공간(P)을 보다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엔드 접합부(52)의 면적은, 고정부(55)의 면적에서 엔드 접합부(52)의 면적을 뺀 면적보다도 큰(엔드 접합부(52)의 면적>고정부(55)의 면적-엔드 접합부(52)의 면적)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엔드 접합부(52)의 면적이, 고정부(55)의 면적에서 엔드 접합부(52)의 면적을 뺀 면적보다도 작은 경우보다도,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부풀었을 때에, 방루 공간(P)을 보다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기저귀(1)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를 구비한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후측 몸통 둘레부(30)와, 흡수성 코어(121)와, 피부측 시트부(122a)와, 비피부측 시트부(122b)와, 방루벽 탄성 부재(51)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부(50)를 갖고, 흡수성 코어(121)가 폭협부(121n)를 구비하며, 방루벽부(50)가 고정부(55)와 기립부(56)를 구비하고, 전측 몸통 둘레부(20)가 폭협부(121n)의 비피부측에 겹치며,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 폭협부(121n)의 일부와 겹치고, 고정부(55)의 일부가 흡수성 코어(121)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치는 것이다. 또한, 전측 몸통 둘레부(20)의 하단과, 폭협부(121n)와의 교점(121u)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기립부(56)의 기립 개시 부위(59)를 교점(121u)보다도 외측에 설치하고,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의 일부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측단(121s)에 걸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흡수성 본체(10)가 두께 방향으로 겹쳐 있는 영역에서 폭협부(121n)를 갖는 흡수성 코어(121)가 배설물을 흡수한 경우라도, 기저귀(1)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하면서, 비교적 강성이 높은 흡수성 본체(10)가,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비피부측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꺾여 구부러져 버릴 우려를 경감시켜, 흡수성 본체(10)를 보다 신체에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 그 외의 실시형태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측 몸통 둘레부(20)측에 방루 공간(P)을 형성하여 배설물의 누락을 방지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측 몸통 둘레부(30)를 한쪽측의 몸통 둘레부로서 방루 공간(P)을 형성해도 되고, 전측 몸통 둘레부(20)와 후측 몸통 둘레부(30)의 양쪽에 방루 공간(P)을 형성해도 된다. 후측 몸통 둘레부(30)에 방루 공간(P)을 형성함으로써, 후측 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목 형상 상단(121t)보다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에도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를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장 상태의 기저귀(1)의 오목 형상 상단(121t)보다 하측의 영역에 있어서, 오목 형상 상단(121t)의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방루 영역(P)과 전후 방향에서 겹치는 영역에,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를 배치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몸통 둘레 탄성 부재(22)에 의해 방루 공간(P)이 찌부러져 버려, 방루 공간(P)에 배설물이 머물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1: 기저귀(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흡수성 물품)
10: 흡수성 본체 10f: 복측 상단부
10b: 등측 상단부 11: 톱 시트
12: 흡수체 유닛 121: 흡수성 코어
121n: 폭협부 121s: 측단
121t: 오목 형상 상단 121u: 교점
122: 코어 랩 시트 122a: 피부측 시트부
122b: 비피부측 시트부 122Ha: 피부측 접착제
122Hb: 비피부측 접착제 13: 백 시트
14: 외장 시트
20: 전측 몸통 둘레부(한쪽측의 몸통 둘레부)
20a: 측부 21: 시트
22: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0: 후측 몸통 둘레부
30a: 측부 31: 시트
32: 몸통 둘레 탄성 부재 50: 방루벽부(방루벽)
51: 방루벽 탄성 부재 52: 엔드 접합부(접착부)
53: 사이드 접합부 55: 고정부
56: 기립부 59: 기립 개시 부위
60: 다리 둘레부 61: 다리 둘레 탄성 부재
LH: 다리 둘레 개구부 BH: 몸통 둘레 개구부
P: 방루 공간

Claims (13)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非)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와, 방루벽 탄성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전측(前側) 몸통 둘레부, 및 후측(後側) 몸통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측단(側端)이 오목 형상을 갖는 폭협부(幅狹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루벽은,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후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측의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폭협부의 비피부측에 겹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고,
    상기 피부측 시트부의 비피부측면 또는 상기 비피부측 시트부의 피부측면에는, 상기 폭협부의 외측쪽 또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보다 위쪽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쳐 있고,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기립 개시 부위는, 상기 교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와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 및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상기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단인 오목 형상 상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오목 형상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 상단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상기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단인 오목 형상 상단부터,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측단과의 교점과, 상기 오목 형상 상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상기 측단 중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인 오목 형상 상단과,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측단은, 상기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의 하단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의 내측의 단(端)이, 상기 교점보다도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은, 상기 고정부를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흡수체의 측단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은, 상기 고정부를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착부의 면적은, 상기 고정부의 면적에서 상기 접착부의 면적을 뺀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 및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 중,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2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부터 상기 제 1 몸통 둘레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길이의 쪽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신장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는, 상기 기립부에, 제 1 방루벽 탄성 부재와 제 2 방루벽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방루벽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방루벽 탄성 부재가 이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부와, 방루벽 탄성 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방루벽을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전측 몸통 둘레부, 및 후측 몸통 둘레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측단이 오목 형상을 갖는 폭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방루벽은, 피부측으로 기립 불가능한 고정부와,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부, 및 상기 후측 몸통 둘레부 중 적어도 한쪽측의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폭협부의 비피부측에 겹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 있고,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에 피부측으로부터 겹쳐 있으며,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른 몸통 둘레 탄성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한쪽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과,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과의 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기립 개시 부위는, 상기 교점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몸통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폭협부의 상기 측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07005200A 2017-08-23 2018-02-26 흡수성 물품 KR102201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0118A JP6439018B1 (ja) 2017-08-23 2017-08-23 吸収性物品
JPJP-P-2017-160118 2017-08-23
PCT/JP2018/006967 WO2019038956A1 (ja) 2017-08-23 2018-02-2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505A true KR20200023505A (ko) 2020-03-04
KR102201345B1 KR102201345B1 (ko) 2021-01-11

Family

ID=6466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200A KR102201345B1 (ko) 2017-08-23 2018-02-2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646834B1 (ko)
JP (1) JP6439018B1 (ko)
KR (1) KR102201345B1 (ko)
CN (1) CN111031984B (ko)
BR (1) BR112020001923A2 (ko)
MY (1) MY178459A (ko)
PH (1) PH12020550048A1 (ko)
RU (1) RU2731231C1 (ko)
TW (1) TWI674885B (ko)
WO (1) WO2019038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4354B2 (ja) * 2019-05-31 2023-05-1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145838B2 (ja) * 2019-11-11 2022-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1168782A1 (en) * 2020-02-28 2021-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5151226A (zh) * 2020-02-28 2022-10-04 宝洁公司 裤型吸收制品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91A (ja) * 1991-06-26 1993-01-14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13013683A (ja) 2011-07-06 2013-01-24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EP3009115A1 (en) * 2013-06-14 2016-04-20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pull-on diap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3018B2 (ja) * 2007-09-05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758963B2 (ja) * 2013-09-30 2015-08-0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364213B2 (ja) * 2014-03-27 2018-07-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31119B2 (ja) * 2014-05-07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57347B2 (ja) * 2014-06-24 2017-01-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及び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91A (ja) * 1991-06-26 1993-01-14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13013683A (ja) 2011-07-06 2013-01-24 Kao Corp パンツ型吸収性物品
EP3009115A1 (en) * 2013-06-14 2016-04-20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pull-on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6834A4 (en) 2020-06-24
TWI674885B (zh) 2019-10-21
CN111031984B (zh) 2021-06-29
RU2731231C1 (ru) 2020-08-31
CN111031984A (zh) 2020-04-17
KR102201345B1 (ko) 2021-01-11
EP3646834B1 (en) 2022-08-10
PH12020550048A1 (en) 2020-10-12
JP6439018B1 (ja) 2018-12-19
BR112020001923A2 (pt) 2020-07-28
EP3646834A1 (en) 2020-05-06
TW201912135A (zh) 2019-04-01
WO2019038956A1 (ja) 2019-02-28
JP2019037351A (ja) 2019-03-14
MY178459A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075B2 (ja) 着用物品
JP6412899B2 (ja) 吸収性物品
JP52270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200023505A (ko) 흡수성 물품
JP5566594B2 (ja) 吸収性物品
JP5789423B2 (ja) 吸収性物品
KR20100135809A (ko) 흡수성 물품
KR101123228B1 (ko) 흡수성 물품
KR102539891B1 (ko) 일회용 기저귀
WO2017213094A1 (ja) 吸収性物品
KR20110139722A (ko) 일회용 기저귀
JP5340696B2 (ja) 吸収性物品
JP6284175B2 (ja) 吸収性物品
JP5064982B2 (ja) 吸収性物品
JP7009345B2 (ja) 吸収性物品
JP2018202023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74293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
JP2010017308A (ja) 伸縮シート、吸収性物品および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30102988A1 (en) Disposable diaper
JP6253836B1 (ja) 尿取りパッド
JP7271732B2 (ja) 吸収性物品
JP5621066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196351B1 (ja) 吸収性物品
JP6976383B1 (ja) 吸収性物品
JP7253409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