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80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809A
KR20100135809A KR1020107022916A KR20107022916A KR20100135809A KR 20100135809 A KR20100135809 A KR 20100135809A KR 1020107022916 A KR1020107022916 A KR 1020107022916A KR 20107022916 A KR20107022916 A KR 20107022916A KR 20100135809 A KR20100135809 A KR 2010013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heet
waist region
leg
le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이요 나카지마
히로나오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 시트와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변을 유지하는 공극을 형성하고, 이것을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이격 시트(3)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과, 양측 부분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39)과, 중간 부분(39)으로부터 앞 허리 영역(7)측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연통부(40)와, 중간 부분(39)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8)측을 향해 연장되는 후방 연통부(41)와, 양측 부분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는 이격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액체 흡수 구조체(23)가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7, 8)으로 만곡하는 것에 의해, 이격 시트(3)와 액체 흡수 구조체(23)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 섀시(2)는, 앞 허리 영역(7)측에 위치하는 앞 다리 탄성 부재(34)와 뒤 허리 영역(8)측에 위치하는 뒤 다리 탄성 부재(35)를 포함하고, 적어도 뒤 다리 탄성 부재(35)는, 가랑이 영역(9)을 횡단하는 뒤 횡단부(35b)를 포함하며, 뒤 횡단부(35b)는 이격 시트(3)의 중간 부분(39)에 대응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일회용 기저귀, 배변 트레이닝 팬츠, 실금 브리프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5298호 공보(특허문헌 1)가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기저귀는 외장 부재와, 외장 부재의 신체측 내면에 형성된 액체 흡수성 본체와, 액체 흡수성 본체의 신체측 내면에 형성된 스킨 콘택트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스킨 콘택트 시트에는, 세로 방향으로 뇨 통과용 개구부와 변 통과용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들 개구부를 중앙 영역에 의해 구획하고 있다. 스킨 콘택트 시트에는 개구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스킨 콘택트 시트를 액체 흡수성 본체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외장 부재에는, 다리 둘레 신축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뇨나 변은 각각 뇨 통과용 개구부 및 변 통과용 개구부를 통과하여 액체 흡수성 본체측으로 유도되어, 뇨나 변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5298호 공보
다리 둘레 신축재는, 기저귀의 가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 근방에서 절단되어 있다. 세로 중심선 근방에서는 다리 둘레 신축재의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착용자가 서거나 앉아서 기저귀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기저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도 9는 기저귀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기저귀(100)는 앞 허리 영역(101), 뒤 허리 영역(102), 가랑이 영역(103)을 형성하고 있다. 이 기저귀(100)의 가랑이 영역(103)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가랑이 영역(103)이 찌부러져 착용자측으로 들어가 버리고, 찌부러진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가랑이 영역이 찌부러지면, 전술한 외장 부재와 스킨 콘택트 시트가 접촉되고, 외장 부재에 형성된 액체 흡수성 본체에 수용된 뇨나 변이 뇨 통과용 개구부 및 변 통과용 개구부를 통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버린다. 뇨나 변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된 상태가 계속되면, 발진 등의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피부 트러블은 특히 변이 접촉한 경우에 현저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격 시트와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변을 유지하는 공극을 형성하고, 이것을 유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이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허리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한 쌍의 다리 개구를 형성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이격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 부분과, 상기 양측 부분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과, 상기 중간 부분을 통해 상기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전방 연통부와, 상기 뒤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후방 연통부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는 이격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단 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고,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 상기 전후방 연통부는,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해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측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섀시는, 상기 다리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동시에 상기 다리 탄성 부재는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앞 다리 탄성 부재와 뒤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뒤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는, 상기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뒤 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뒤 횡단부는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는, 한쪽의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주연부와, 한쪽의 상기 다리 개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다리 개구로 횡단하는 상기 뒤 횡단부와, 다른쪽의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주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앞 다리 탄성 부재는, 상기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앞 횡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는, 액체 흡수성 코어재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를 싸는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절곡되는 것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의 상기 뒤 횡단부보다 상기 뒤 허리 영역측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뒤 허리 영역측을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의 일부를 도려내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는, 상기 오목부에 중첩되는 오목부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용 시트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를 싸는 시트에 접합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보다, 상기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샘방지 커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시트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 가장자리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커프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양측 부분의 신체측에 위치한다.
다리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다리 탄성 부재 중, 적어도 뒤 다리 탄성 부재는,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뒤 횡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뒤 다리 탄성 부재의 수축력으로 가랑이 영역은, 착용자 내면측을 향해 압박된다. 뒤 횡단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착용자측을 향해 압박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착의측으로 늘어져 포켓을 형성한다. 배설된 변을 이 포켓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변 등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뒤 다리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가랑이 영역에서의 섀시의 압박이 유지되기 때문에, 형성된 포켓의 형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공극의 형성도 유지할 수 있다.
뒤 다리 탄성 부재의 뒤 횡단부는, 이격 시트의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 개구부는 포켓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변을 확실하게 포켓에 수용할 수 있다.
뒤 다리 탄성 부재는, 한쪽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주연부와,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뒤 횡단부와, 다른쪽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주연부를 갖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주연부의 수축력에 의해 다리 개구를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주연부가 세로 방향으로 수축하고, 뒤 횡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에 의해, 포켓의 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앞 다리 탄성 부재는,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앞 횡단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뒤 다리 탄성 부재의 뒤 횡단부와의 수축력과 더불어, 가랑이 영역에서의 횡단부 형성 부분을 착용자측에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포켓을 형성하기 쉽고, 또한 형성한 포켓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액체 흡수 구조체에는,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절곡되는 것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한층 더 포켓을 형성하기 쉽고, 형성한 포켓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절곡 유도부는, 뒤 다리 탄성 부재의 뒤 횡단부보다 뒤 허리 영역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특히 변을 포켓에 수용할 수 있어, 변이 착용자에게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곡 유도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슬릿은 뒤 허리 영역측을 향해 가로 방향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액체 흡수 구조체는 뒤 허리 영역측에서 세로 방향으로도 절곡되기 쉬워지고, 보다 포켓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액체 흡수 구조체에는, 액체 흡수성 코어재의 일부를 도려내어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이 오목부를 형성한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낮아지고, 착의측을 향해 절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한층 더 포켓을 형성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흡수성 코어재가 수분을 함유하여 팽창되어 신체측을 향해 불룩해졌을 때에도,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불룩함을 방지할 수 있어, 공극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체 흡수 구조체는, 오목부에 중첩되는 오목부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용 시트는 액체 흡수성 코어재를 싸는 시트에 접합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오목부 형성에 의해, 이 형성 부분의 강성이 저하되어 액체 흡수 구조체가 푹 꺼진 경우라도, 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액체 흡수 구조체가 푹 꺼진 경우에는, 예컨대 착용자가 앉아 공극이 찌부러졌을 때에, 착용자가 일어서도 찌부러진 공극이 복귀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오목부용 시트에 의해 강성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찌부러진 공극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이격 시트의 중간 부분은,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보다,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포켓은 가로 중심선보다 뒤 허리 영역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형 차이나, 기저귀의 틀어짐 등에 상관없이 변을 포켓에 수용할 수 있다.
샘방지 커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배설물 등이 착용 물품 밖으로 새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의 설명도이다.
도 5는 기저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도 5와 같은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도 4와 같은 설명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도 7과 같은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예의 모식도이다.
<부호 설명>
1: 기저귀
2: 섀시
3: 이격 시트
7: 앞 허리 영역
8: 뒤 허리 영역
9: 가랑이 영역
10: 액체 흡수 구조체
18: 허리 개구
19: 다리 개구
21: 다리 탄성 부재
23: 액체 흡수성 패널(액체 흡수 구조체)
24: 액체 흡수 확산 시트(시트)
25: 액체 흡수성 코어재
26: 신체측 라이너(시트)
29: 공극
34: 앞 다리 탄성 부재
34a: 앞 제1 주연부
34b: 앞 횡단부
34c: 앞 제2 주연부
35: 뒤 다리 탄성 부재
35a: 뒤 제1 주연부
35b: 뒤 횡단부
35c: 뒤 제2 주연부
36: 오목부(절곡 유도부)
37: 양측 부분
38: 양측 부분
39: 중간 부분
40: 전방 연통부
41: 후방 연통부
58: 슬릿(절곡 유도부)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5는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는 섀시(2)와 이격 시트(3)와 샘방지 커프(4)를 포함한다. 섀시(2)는 팬츠형으로 형성되고, 신체측 내면(5) 및 착의측 외면(6)과, 앞 허리 영역(7), 뒤 허리 영역(8)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7, 8)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9)을 포함하고 있다. 앞 허리 영역(7)으로부터 가랑이 영역(9)을 통과하여 뒤 허리 영역(8)으로 향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Y)으로 하고,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X)으로 하고 있다. 섀시(2)는, 내면 시트(11)와 외면 시트(12)와, 이들 내외면 시트(11, 12) 사이에 개재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13)와, 내면 시트(11)에 적층된 액체 흡수 구조체(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앞뒤 허리 영역(7, 8)에서는, 서로의 허리측 가장자리부(14, 15)의 대향면이 중첩되고, 간헐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접합부(16)에서 서로 접합되어 시임(seam)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6)에서 허리측 가장자리부(14, 15)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 앞뒤 허리 영역(7, 8)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허리 개구(18)가 형성되고, 다리측 가장자리부(17)로 둘러싸인 한 쌍의 다리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 개구(18)의 주연부를 따라 복수개의 허리 탄성 부재(20)가 연장되고, 다리 개구(19)의 주연부를 따라 복수개의 다리 탄성 부재(21)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20, 21)는, 내면 시트(11)와 외면 시트(12) 사이에 있으며, 이들 시트(11, 12)의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도시 생략)를 통해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 시트(11)의 신체측 내면(5)에 액체 흡수 구조체(10)로서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배치되고, 액체 흡수 구조체(10)보다 더 신체측에 이격 시트(3)가 배치되며, 이격 시트(3)의 더 신체측에 샘방지 커프(4)가 배치되어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티슈 페이퍼 등의 액체 흡수 확산 시트(24)로 싸이는 액체 흡수성 코어재(25)와, 액체 흡수 확산 시트(24)를 추가로 덮는 신체측 라이너(26)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착의측은 외면 시트(12)의 내측에 배치된 샘방지 시트(13)로 피복되어, 코어재(25)에 흡수된 체액이 기저귀(1)로부터 새는 것을 억제한다. 샘방지 시트(13)는,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바닥면에 직접 접합되는 경우도 있다.
이격 시트(3)의 전단 가장자리(27)와 후단 가장자리(28)는, 그 근방이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신체측 라이너(26)에 접합되어 있다. 전단 가장자리(27)와 후단 가장자리(28)는, 각각 앞 허리 영역(7) 및 뒤 허리 영역(8)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팬츠형의 상태에서는, 가랑이 영역(9)이 만곡하고, 뒤에 설명하는 이격 시트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이격 시트(3)는 신체측 라이너(26)로부터 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격 시트(3)의 전후단 가장자리(27, 28)는 신체측 라이너(26)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격 시트(3) 전체는 해먹(hammock)을 매달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이격 시트(3)와 액체 흡수성 패널(23) 사이에 공극(29)이 형성된다.
이격 시트(3)와 액체 흡수성 패널(23) 사이에는, 공극(29)을 앞뒤로 분리하는 구획 시트(30)를 형성하고 있다. 구획 시트(30)는, 서로 대향하는 상하단 가장자리(31, 32)를 포함하고, 상단 가장자리(31)를 이격 시트(3)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며, 하단 가장자리(32)를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신체측 라이너(26)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합되는 것에 의해, 공극(29)을 앞뒤 공극부(29a, 29b)로 이격할 수 있다. 뒤 공극부(29b)는 다리 탄성 부재(21)의 수축력에 의해 공극을 크게 하도록 늘어져, 포켓(33)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접합부(16)에서의 앞뒤 허리 영역(7, 8)의 접합을 떼어내고, 기저귀(1)를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으로 전개하여, 앞뒤 허리 영역(7, 8)과 가랑이 영역(9)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기저귀(1)는, 평면형이 되도록 각 탄성 부재의 신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기저귀(1)는,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P)과,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Q)을 가지며, 세로 중심선(P-P)에 관해서 좌우 대칭이다.
도 4는, 도 3의 기저귀(1)로부터 도 5에서 도시하는 액체 흡수성 패널(23) 등을 떼어낸 것이며, 그 일부를 파단시키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섀시(2)는 대략 동일 형태와 동일 크기의 내외면 시트(11, 12)를 포함하고, 허리측 가장자리부(14, 15)와 이들 허리측 가장자리부(14, 15)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갖고 있다. 다리측 가장자리부(17)가 세로 중심선(P-P)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는 것에 의해, 섀시(2)는 대략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외면 시트(11, 12)는 통기성 또한 소수성의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고,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다리 탄성 부재(21)는, 앞 허리 영역(7)측에 위치하는 앞 다리 탄성 부재(34)와, 뒤 허리 영역(8)측에 위치하는 뒤 다리 탄성 부재(35)를 포함한다. 앞 다리 탄성 부재(34)는, 가로 방향(X)으로 분할된 한 쌍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고,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따라, 앞 다리 탄성 부재(34)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뒤 다리 탄성 부재(35)는 뒤 허리 영역(8)으로부터 한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따라 연장되는 뒤 제1 주연부(35a)와, 한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로부터 다른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로 횡단하는 뒤 횡단부(35b)와, 뒤 횡단부(35b)로부터 다른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따라 뒤 허리 영역(8)으로 연장되는 뒤 제2 주연부(35c)를 포함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35)는, 가로 방향(X)에 걸쳐 연속하여 부착되고, 뒤 제1, 제2 주연부(35a, 35c)는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뒤 횡단부(35b)에서는 가랑이 영역(9)의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도 5는 주로서, 이격 시트(3) 및 액체 흡수성 패널(23)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한 내외면 시트(11, 12)를 생략했을 때의 이들의 사시도이고, 그 일부를 파단시키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착용자 내면측에는, 이격 시트(3)를 형성하고, 이격 시트(3)의 착용자 내면측에는 샘방지 커프(4)를 더 형성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 세로 중심선(P-P)을 따라 절곡 유도부로서 오목부(36)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36)는, 코어재(25)를 도려낸 것으로, 오목부(36)에서는 코어재(25)를 덮고 있던 액체 흡수 확산 시트(24)와 신체측 라이너(26)가 두께 방향에서 서로 직접 중첩된다. 오목부(36)는, 앞 허리 영역(7)측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8)측을 향해 그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커지도록 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에는, 오목부(36)에 중첩되도록, 오목부용 시트(5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용 시트(57)는, 액체 흡수성 패널(23)과 내면 시트(11)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한쪽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격 시트(3)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는 양측 부분(37, 38)과 양측 부분(37, 38)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39)을 가지며, 중간 부분(39)은 가랑이 영역(9)에 위치하고 있다. 양측 부분(37, 38) 및 중간 부분(39)에 의해 전후방 연통부(40, 41)를 형성하고 있다. 전방 연통부(40)는 중간 부분(39)으로부터 앞 허리 영역(7)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U자형이고, 후방 연통부(41)는 중간 부분(39)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8)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U자형이다. 전방 연통부(40)는, 양측 부분(37, 38)에 위치하는 양 내측 가장자리(42)와, 이들 양 내측 가장자리(42)를 잇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43)에 의해 구획된다. 후방 연통부(41)는 양측 부분(37, 38)에 위치하는 양 내측 가장자리(44)와, 이들 양 내측 가장자리(44)를 잇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45)에 의해 구획된다.
이격 시트(3)에는, 전후방 연통부(40, 41)를 따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이격 시트 탄성 부재(46)를 신장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이격 시트 탄성 부재(46)는 세로 중심선(P-P)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으로 부착되고, 중간 부분(39)에 있어서 세로 중심선(P-P)을 향해 만곡하고 있다.
이격 시트(3)는, 양측 부분(37, 38)이 액체 흡수성 패널(23)측에 되접혀 2장 중첩으로 되어 있다. 이 2장 중첩이 된 양측 부분(37, 38) 사이에 이격 시트 탄성 부재(46)를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이격 시트(3)는, 적어도 전후단 가장자리(27, 28)에서 그 양측 부분(37, 38)으로 되접힌 부분을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신체측 라이너(26)에 접착제(47)를 통해 접합하고 있다.
이격 시트(3)와 신체측 라이너(26) 사이에는, 구획 시트(30)를 형성하고 있다. 구획 시트(30)는 가로 방향(X)에서, 적어도 양측 부분(37, 38)에 걸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4)는, 세로 중심선(P-P)에 대칭으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시트로 형성되고, 이 시트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각 샘방지 커프(4)는, 이격 시트(3)의 양측 부분(37, 38)의 신체측에 중첩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4)는 Z자를 그리듯이 3중으로 접힌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샘방지 커프(4)는 액체 흡수성 패널(23)과 섀시(2) 사이에 위치하고, 섀시(2)의 내면 시트(11)에 접합되는 제1 면(48)과, 제1 면(48)으로부터 이격 시트(3)의 착용자측에 되접혀 양측 부분(30 또는 31)에 중첩되는 제2 면(49)과, 제2 면(49)의 착용자측에 겹쳐 포개어진 제3 면(50)을 갖고 있다. 제3 면(50)에 위치하는 옆 가장자리(51)는 카프 탄성 부재(52)를 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되접혀 있다. 카프 탄성 부재(52)는, 되접힌 옆 가장자리(51) 사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고, 세로 방향(Y)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4)는, 전후단 부분(53, 54)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면(48, 49, 50)을 각각 서로 접합하고, 이들이 일체가 되어, 섀시(2)의 내면 시트(11)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 샘방지 커프(4)에 카프 탄성 부재(52)의 수축력이 작용하면, 제2 면(49) 및 제3 면(50)을 위쪽으로 신장시켜 이격 시트(3)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벽을 형성한다.
이격 시트(3)와 샘방지 커프(4)는, 전후방 접합 부위(55, 56)에서 서로 접합된다. 전후방 접합 부위(55, 56)는 이격 시트 탄성 부재(46)에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격 시트(3)와 섀시(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격 시트(3)의 중간 부분(39)이 가로 중심선(Q-Q)보다, 앞 허리 영역(7)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형성된 포켓(33)은 가로 중심선(Q-Q)보다 뒤 허리 영역(8)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체형 차이나, 기저귀의 틀어짐 등에 상관없이 변을 포켓(33)에 수용할 수 있다.
이격 시트(3)와 내외면 시트(11, 12)에 부착된 다리 탄성 부재(21)에 있어서는, 뒤 다리 탄성 부재(35)의 뒤 횡단부(35b)가, 이격 시트(3)의 중간 부분(39)에 대응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3과 같은 평면 상태에서, 뒤 다리 탄성 부재(35)는 중간 부분(39)에 중첩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단, 뒤 횡단부(35b)를 반드시 중간 부분(39)과 중첩되는 위치에 부착할 필요는 없고, 중간 부분(39)을 형성하는 전방 연통부(40)의 폐쇄 가장자리(43)로부터 앞 허리 영역(7)측을 향해 약 10 ㎜ 이격하며, 후방 연통부(41)의 폐쇄 가장자리(45)로부터 뒤 허리 영역(8)을 향해 약 50 ㎜ 이격하는 정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저귀(1)를 착용하면, 뒤 다리 탄성 부재(35)가 수축하고, 뒤 횡단부(35b)에 의해 내외면 시트(11, 12)가 가로 방향(X)으로 수축되며 착용자측으로 솟아오르도록 압박된다(도 2 참조). 뒤 횡단부(35b)에 대응하는 내외면 시트(11, 12)가 착용자측으로 솟아오르는 것에 의해, 그 뒤 허리 영역(8)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착의측으로 늘어진다. 내외면 시트(11, 12)에는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흡수성 패널(23)도 착의측으로 늘어진다. 뒤 횡단부(35b)의 뒤 허리 영역(8)측의 가로 방향(X) 외측에는, 제1 및 제2 주연부(35a, 35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측 가장자리부(17)에서는 내외면 시트(11, 12) 및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세로 방향(Y)으로 수축하도록 압박되고, 도 2에서 도시한 포켓(33)이 형성된다. 포켓(33)은, 뒤 공극부(29b)의 착의측으로 더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포켓(33)의 형성에 의해 착의측으로 튀어 나오게 되기 때문에,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착용자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뒤 횡단부(35b)는 이격 시트(3)의 중간 부분(39)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부분(39)에서 착용자측으로 솟아올라, 포켓(33)은 중간 부분(39)의 뒤 허리 영역(8)측에 위치하는 후방 연통부(4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전방 연통부(40)에 착용자의 외성기가 면하고, 후방 연통부(41)에 항문이 면하도록 착용 상태를 정리한다. 뒤 횡단부(35b)가 폐쇄 가장자리(43)로부터 약 10 ㎜이며, 폐쇄 가장자리(45)로부터 약 50 ㎜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 연통부(41)가 항문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후방 연통부(41)에 배설된 변은 포켓(33)에 수용된다. 즉, 배설된 변은 후방 연통부(41)를 통해 포켓(33)에 수용되고, 뒤 공극부(29b)와 더불어,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방 연통부(40)의 폐쇄 가장자리(43)로부터 10 ㎜를 초과한 거리에 뒤 횡단부(35b)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포켓(33)이 배변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연통부(41)의 폐쇄 가장자리(45)로부터 50 ㎜를 초과한 거리에 뒤 횡단부(35b)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포켓(33)이 배변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적절한 위치에 포켓(33)을 형성할 수 없다.
포켓(33)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 뒤 다리 탄성 부재(35)에 의해 항상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이 무너지지 않는다. 즉, 기저귀(1)에 외력이 작용하여 그 형상이 무너져 버려도, 뒤 다리 탄성 부재(35)의 수축력에 의해 원래의 포켓(33) 형상이 복원된다.
뒤 다리 탄성 부재(35)는, 뒤 허리 영역(8)으로부터 한쪽 다리 개구(19)를 따라 연장되는 뒤 제1 주연부(35a)와, 다른쪽 다리 개구(19)를 따라 연장되는 뒤 제2 주연부(35c)를 갖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이들 제1 및 제2 주연부(35a, 35c)의 수축력에 의해, 뒤 횡단부(35b)를 착용자측으로 더 끌어 올릴 수 있어, 보다 포켓(33)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주연부(35a, 35b)에 의해 다리 개구(19)를 착용자에게 밀착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흡수성 패널(23)에 형성된 오목부(36)는, 뒤 횡단부(35b)보다 뒤 허리 영역(8)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6)는 코어재(25)를 도려내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 그 강성이 낮아져 있다. 따라서, 오목부(36)의 양측 가장자리를 경계로 하여, 오목부(36)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코어재(25)가 뒤 허리 영역(8)측에서 세로 방향(Y)으로도 절곡되기 쉬워지고, 뒤 횡단부(35b)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진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짐으로써, 한층 더 포켓(33)의 형상이 복원되기 쉬워지고, 가랑이 영역(9)이 찌부러져 착용자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체 흡수성 코어재(25)는, 수분을 함유하면 팽창되어 신체측을 향해 불룩해져, 형성된 공극(29)을 좁히는 경우가 있지만, 오목부(3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불룩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극(29)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6)의 형성에 의해, 이 형성 부분의 강성이 저하되어 코어재(25)가 푹 꺼질 가능성이 있지만, 오목부(36)에 중첩되도록 오목부용 시트(57)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착용자가 앉았을 때에는, 체압에 의해 공극(29)이 찌부러지는 경우가 있다. 코어재(25)가 푹 꺼져 있으면 착용자가 일어섰을 때에 찌부러진 공극(29)을 원래대로 복귀시켜 다시 공극(29)을 형성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오목부용 시트(57)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찌부러진 공극(29)을 원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목부(36)는 그 전부가 뒤 횡단부(35b)보다 뒤 허리 영역(8)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이 양태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즉, 오목부(36)의 일부가 뒤 횡단부(35b)에 중첩되는 위치 관계에 있어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 유도부로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5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58)은 액체 흡수성 코어재(25)를 그 두께 방향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뒤 허리 영역(8)을 향해 가로 방향(X)의 간격이 커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58)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뒤 허리 영역(8)측에서 세로 방향(Y)으로도 절곡되기 쉬워지고, 뒤 횡단부(35b)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질 수 있다. 또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슬릿(58)은 하나여도 좋고,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세로 방향(Y)으로 절곡되기 쉬워지는 것이면 된다.
이격 시트(3) 및 샘방지 커프(4)는 액저항성 또한 통기성의 부직포 등, 내면 시트(11) 및 외면 시트(12)는 통기성 부직포 등, 샘방지 시트(13)는 플라스틱 필름 등,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플러프 펄프와 액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등, 각각 행당 기술 분야의 관용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기저귀(1)의 평면도이고, 액체 흡수성 패널(23), 이격 시트(3) 및 샘방지 커프(4)를 생략하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앞 다리 탄성 부재(34)의 배치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것이고,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35)뿐만 아니라, 앞 다리 탄성 부재(34)에도 횡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앞 다리 탄성 부재(34)는, 앞 허리 영역(7)으로부터 한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따라 연장되는 앞 제1 주연부(34a)와, 한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로부터 다른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에 걸쳐 횡단하는 앞 횡단부(34b)와, 앞 횡단부(34b)로부터 다른쪽 다리측 가장자리부(17)를 따라 앞 허리 영역(7)으로 연장되는 앞 제2 주연부(34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앞 다리 탄성 부재(34)는, 가로 방향(X)에 걸쳐 연속하여 부착되어 있다. 뒤 다리 탄성 부재(35)의 뒤 횡단부(35b)와, 앞 다리 탄성 부재(34)의 앞 횡단부(34b)는, 교차하지 않고 세로 방향(Y)으로 이격되어 있다.
뒤 다리 탄성 부재(35)뿐만 아니라, 앞 다리 탄성 부재(34)에도 횡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앞 횡단부(34b) 및 뒤 횡단부(35b)에 의해 가랑이 영역(9)을 착용자측으로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포켓(33)을 형성할 수 있고, 이 형상을 유지하여 배설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앞 다리 탄성 부재(34)에도 횡단부를 형성한 경우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8에 도시한 것이 있다. 도 8에서는 뒤 다리 탄성 부재(35)의 뒤 횡단부(35b)와 앞 다리 탄성 부재(34)의 앞 횡단부(34b)가 가랑이 영역(9)에서 교차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앞뒤 횡단부(34b, 35b)는, 그 가로 방향(Y)의 양단에서 교차하고, 가랑이 영역(9)에서는 뒤 횡단부(35b)가 앞 허리 영역(7)측에 위치하며, 앞 횡단부(34b)가 뒤 허리 영역(8)측에 위치하여,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뒤 다리 탄성 부재(34, 35)가 교차한 경우에서도, 앞 횡단부(34b) 및 뒤 횡단부(35b)에 의해 가랑이 영역(9)을 착용자측으로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설된 변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앞뒤 횡단부(34b, 35b)가 이격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들이 중첩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1: 기저귀, 2: 섀시, 3: 이격 시트, 7: 앞 허리 영역, 8: 뒤 허리 영역, 9: 가랑이 영역, 10: 액체 흡수 구조체, 18: 허리 개구, 19: 다리 개구, 21: 다리 탄성 부재, 23: 액체 흡수성 패널(액체 흡수 구조체), 24: 액체 흡수 확산 시트(시트), 25: 액체 흡수성 코어재, 26: 신체측 라이너(시트), 29: 공극, 34: 앞 다리 탄성 부재, 34a: 앞 제1 주연부, 34b: 앞 횡단부, 34c: 앞 제2 주연부, 35: 뒤 다리 탄성 부재, 35a: 뒤 제1 주연부, 35b: 뒤 횡단부, 35c: 뒤 제2 주연부, 36: 오목부(절곡 유도부), 37: 양측 부분, 38: 양측 부분, 39: 중간 부분, 40: 전방 연통부, 41: 후방 연통부, 58: 슬릿(절곡 유도부)

Claims (9)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 또는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앞 허리 영역, 상기 뒤 허리 영역 또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이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허리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한 쌍의 다리 개구를 형성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이격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 부분과, 상기 양측 부분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과, 상기 중간 부분을 통해 상기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전방 연통부와, 상기 뒤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후방 연통부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는 이격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단 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고,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격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며,
    상기 전후방 연통부는,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해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측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섀시는, 상기 다리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탄성 부재는,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앞 다리 탄성 부재와 뒤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뒤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는, 상기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뒤 횡단부를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뒤 횡단부는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중간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는, 한쪽의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1 주연부와, 한쪽의 상기 다리 개구로부터 다른쪽의 상기 다리 개구로 횡단하는 상기 뒤 횡단부와, 다른쪽의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주연부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 다리 탄성 부재는, 상기 가랑이 영역을 횡단하는 앞 횡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는, 액체 흡수성 코어재와,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를 싸는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착의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절곡되는 것을 유도하는 절곡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뒤 다리 탄성 부재의 상기 뒤 횡단부보다 상기 뒤 허리 영역측에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뒤 허리 영역측을 향해 상기 가로 방향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도부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의 일부를 도려내어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는, 상기 오목부에 중첩되는 오목부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용 시트는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재를 싸는 시트에 접합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보다, 상기 앞 허리 영역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방지 커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시트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 가장자리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카프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이격 시트의 상기 양측 부분의 신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07022916A 2008-03-14 2008-12-16 흡수성 물품 KR20100135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6614 2008-03-14
JP2008066614A JP5185665B2 (ja) 2008-03-14 2008-03-1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809A true KR20100135809A (ko) 2010-12-27

Family

ID=4106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916A KR20100135809A (ko) 2008-03-14 2008-12-1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77025B2 (ko)
EP (1) EP2258326A4 (ko)
JP (1) JP5185665B2 (ko)
KR (1) KR20100135809A (ko)
CN (1) CN102014821B (ko)
AU (1) AU2008352427B2 (ko)
BR (1) BRPI0821175A2 (ko)
CA (1) CA2717334C (ko)
MY (1) MY153869A (ko)
TW (1) TWI478702B (ko)
WO (1) WO20091132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590A (ko) * 2019-04-17 2022-03-2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7067B1 (en) 2003-02-12 200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and dry diaper
EP1447066B1 (en) 2003-02-12 2008-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DE112008000011B4 (de) 2007-06-18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EP2157950B1 (en) 2007-06-18 2013-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A2838432C (en) 2011-06-10 2018-0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3287109B1 (en) 2011-06-10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JP5947610B2 (ja) * 2012-04-23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45446B2 (ja) * 2012-04-2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348890B (es) 2012-11-13 2017-07-03 Procter & Gamble Artí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WO2014120874A1 (en) * 2013-02-01 2014-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EP2762116A1 (en) * 2013-02-01 2014-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with separator sheet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MX2016002608A (es) 2013-08-27 2016-06-17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S2643577T3 (es) 2014-05-27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con diseño de material absorbente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EP3270857B1 (en) 2015-03-16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CN107405242A (zh) 2015-03-16 2017-11-28 宝洁公司 带有改善的芯的吸收制品
US10736795B2 (en) 2015-05-12 2020-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US10543129B2 (en) 2015-05-29 2020-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WO2018143921A1 (en) 2017-01-31 2018-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side pocket
CN110913815A (zh) 2017-07-31 2020-03-24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提供屏障区的身体侧衬里的吸收制品
JP6899806B2 (ja) * 2018-09-18 2021-07-07 花王株式会社 夜間用の生理用ナプキン
KR20200041807A (ko) * 2018-10-12 2020-04-22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N115151226A (zh) * 2020-02-28 2022-10-04 宝洁公司 裤型吸收制品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840B1 (en) * 1989-05-22 1995-01-03 John N Holt Disposable diapers
JP3541144B2 (ja) * 1999-05-31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便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6700034B1 (en) * 1999-10-01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absorbent layer for center fill performance
DE60312780T2 (de) * 2002-07-23 2008-01-24 Kao Corp. Wegwerfwindel
JP4225755B2 (ja) * 2002-08-23 2009-02-18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978406B2 (ja) 2003-04-24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A2585251A1 (en) * 2004-11-30 2006-06-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JP3919023B1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57726B2 (ja) 2005-10-14 2007-08-15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074703B2 (ja) * 2006-04-06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8061898A (ja) * 2006-09-08 2008-03-2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590A (ko) * 2019-04-17 2022-03-2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21175A2 (pt) 2015-09-15
MY153869A (en) 2015-03-31
US8377025B2 (en) 2013-02-19
EP2258326A1 (en) 2010-12-08
CN102014821A (zh) 2011-04-13
US20110060307A1 (en) 2011-03-10
EP2258326A4 (en) 2012-12-19
CA2717334A1 (en) 2009-09-17
JP2009219627A (ja) 2009-10-01
TWI478702B (zh) 2015-04-01
AU2008352427A1 (en) 2009-09-17
CA2717334C (en) 2015-11-24
WO2009113219A1 (ja) 2009-09-17
AU2008352427B2 (en) 2014-06-05
CN102014821B (zh) 2013-08-14
TW201012441A (en) 2010-04-01
JP5185665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5809A (ko) 흡수성 물품
KR101720922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41016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WI508717B (zh) Dispose of items with disposable dessert
JP586812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522069B1 (ko) 착용 물품
KR101753417B1 (ko) 흡수성 물품
WO2017212886A1 (ja) 吸収性物品
KR20020011087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120098913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10233905A (ja) 吸収性物品
WO2008069279A1 (ja) 吸収性物品
JP557708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080057254A (ko) 일회용 기저귀
WO2009087823A1 (ja) 吸収性物品
JP5777271B2 (ja) 着用物品
KR20110021992A (ko) 흡수성 물품
JP2005296230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330420B1 (ko) 흡수성 물품
KR20100106967A (ko) 흡수성 물품
WO201610386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20100105658A (ko) 흡수성 물품
EP3342384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5405790B2 (ja) 体液処理用品およびこれを含む着用物品
KR101497019B1 (ko) 착용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