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254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254A
KR20080057254A KR1020087007917A KR20087007917A KR20080057254A KR 20080057254 A KR20080057254 A KR 20080057254A KR 1020087007917 A KR1020087007917 A KR 1020087007917A KR 20087007917 A KR20087007917 A KR 20087007917A KR 20080057254 A KR20080057254 A KR 2008005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sheet
elastic member
inner shee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이요 나카지마
히로나오 미나토
토시미츠 바바
나오코 타카다
카오리 후루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공. 일회용 기저귀(1)에서의 섀시(11)의 내면 시트(11a)에 격리 시트(17)가 부착된다. 격리 시트(17)는, 전단부분(17a)과 후단부분(17b)이 내면 시트(11a)에 고정되고, 중간부분(17d)은 기저귀(1)에서의 폭방향의 중앙부가 내면 시트(11a)로부터 이간(離間)가능한 상태이다. 중간부분(17d)에는, 기저귀(1)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는 투과 구멍(26)이 형성되고, 투과 구멍(26)의 양측 근방에는 기저귀(1)의 길이방향(L)으로 신장상태로 연장되는 탄성부재(27)가 부착된다. 탄성부재(27)는, 기저귀(1)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C)에 접근하도록 투과 구멍(26)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저귀(1)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변에 의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로서,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정점부 시트에 개구를 형성하고, 그 개구를 형성하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측가장자리 각각에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그 탄성부재가 개구의 전방부분으로부터 후방부분을 향하여 끝이 넓어지게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이 기저귀에서는, 착용시에 개구가 그것에 예정된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끝이 넓어지게 연장된 탄성부재가 개구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이간(離間)시키고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예로서, 변에 의해 둔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탑 시트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기저귀의 길이방향에서의 양단부가 탑 시트 또는 백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스킨컨택트 시트를 가지며,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서는 그 스킨컨택트 시트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스킨컨택트 시트에는 탄성부재가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이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는, 개구부를 착용자의 항문 위치에 맞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표 평 9-506528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02-11044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정점부 시트를 전방 가장자리과 후방 가장자리로 고정하고 있고, 그 때문에 정점부 시트는 착용자의 둔부 양측부와 외성기에 직접 닿게 된다. 이러한 정점부 시트는, 뇨를 투과시키기 위해 친수성이며 액투과성인 것이기 때문에, 그것이 뇨에 의해 젖어 피부에 계속 닿으면 기저귀 발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정점부 시트는 액투과성이기 때문에, 착용자가 앉거나 뒹굴어서 기저귀에 체압이 가해지면, 정점부 시트의 아래에 있는 변이 역류하여 변에 의해 외성기와 그 근방이 더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에서는, 개구와 정점부 시트를 고정하는 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두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가랑이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는, 그 형상이 쉽게 변하지 않도록 개구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강한 힘으로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를 너무 강하게 밀착시키면 발진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또, 탄성부재를 끝이 넓어지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개구도 끝이 넓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항문 부근에서의 개구의 폭방향의 치수는 변을 수용하기 위해 통상 3∼6㎝가 필요하기 때문에, 끝이 넓어지는 개구가 기저귀의 후방에서 그것보다 더 크게 넓어지는 것은,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탄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스킨컨택트 시트를 개구의 전후에서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저귀와 마찬가지로, 스킨컨택트 시트를 기저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탑 시트 혹은 백 시트에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두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압박상태가 되거나 비압박상태가 되는 것을 반복할 때마다 개구는 그 형상이 변하여 항문에서 벗어나, 변이 개구에 들어가지 않고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스킨컨택트 시트는, 기저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배치된 앞뒤몸통둘레 탄성부재에 접합되어 있어, 착용자의 몸통둘레 치수에 대응하도록 몸통둘레 탄성부재의 신장비율이 변하면 개구의 형상도 변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서의 이러한 모든 문제의 해결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섀시가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에 전방과 후방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전방에는 앞몸통둘레 영역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방에는 뒤몸통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양몸통둘레 영역 사이에는 가랑이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영역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내면 시트와 상기 내면 시트와는 반대측에 있고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착의와 맞닿는 외면 시트를 가지며,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외면 시트 사이에는 흡수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섀시에는,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피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면 시트를 향해 배설된 변의 상기 피부에 대한 접촉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한 격리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리 시트는,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방 근처에 위치하는 전단부분과, 상기 후방 근처에 위치하는 후단부분과, 이들 전후단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분을 가지는 동시에, 이들 각 부분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전단부분과 상기 후단부분은 적어도 그 일부분이 상기 내면 시트에 대하여 고정상태인 한편, 상기 중간부분은 적어도 상기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내면 시트에 대해 비고정상태이며 상기 내면 시트로부터 이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분에는, 이것을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 근방과 맞닿게 하면, 항문에서 배설되는 변을 상기 내면 시트를 향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방으로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는 투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과 구멍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양측 각각의 근방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양측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면서 상기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상기 투과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의 상기 기저귀에서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투과 구멍의 상기 양측 각각의 근방에서 거의 평행하게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양측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상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심선상에서 교차하고 있거나, 상기 중심선의 근방에서 가장 접근한 후에 서로 이간되도록 상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이완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방으로, 상기 중심선을 향하여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중심선상에서 교차하도록 상기 전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격리 시트의 상기 전단부분에 닿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상기 뒤몸통둘레 영역은, 상기 폭방향에서의 양측에 상기 폭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가능한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격리 시트는 상기 후단부분이 상기 뒤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상기 양측의 탄성 영역과 탄성 영역 사이에 있고 상기 내면 시트의 상기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는 상기 섀시에서의 상기 앞뒤몸통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있는 팬티형의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또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의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는 탄성부재가 상기 폭방향으로 신장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섀시의 내면 시트에 격리 시트가 형성되고, 이 격리 시트는 전후단부분이 그 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분에 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투과 구멍을 가지는 동시에, 투과 구멍의 양측부 각각의 근방에서는 탄성부재가 신장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는, 전방으로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면서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 구멍을 항문에 일치시키도록 이 기저귀를 착용하여, 그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폭이 좁아지면, 호를 그리도록 연장된 각각의 탄성부재는 수축되어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변하여 중심선을 중심으로 V자형을 그린다. 그 변화에 따라 투과 구멍도 그 전방부분이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고, 그 전방부분에서의 투과 구멍의 가장자리는 둔부의 갈라진 틈으로 진입하여, 홈을 형성하고 있는 그 갈라진 틈의 내부에서는 항문의 양측에서 피부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항문에서 나온 변은 둔부의 갈라진 틈에서 투과 구멍을 통과하여 격리 시트와 섀시의 내면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진입한다. 공간으로 진입한 변은 격리 시트의 존재에 의해 항문 주위의 피부에 닿지 않는다.
투과 구멍의 양측에서의 탄성부재가 서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격리 시트가 항문의 양측에서 균등하게 피부에 밀착되어 변이 투과 구멍을 용이하게 통과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가 기저귀의 중심선상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거나, 또는 중심선 근방에서 가장 접근하고 있는 형태에 의하면,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폭이 좁아졌을 때, 호를 그리도록 연장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V자형을 그리도록 변하여, V자형의 정점부 근방은 항문의 전방에서 피부와 맞닿는 것이 가능해진다.
탄성부재가 이완된 상태에서 투과 구멍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중심선을 향하여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격리 시트가 항문의 전방에서 피부를 넓게 덮기 때문에, 투과 구멍으로부터 공간으로 진입한 변에 의해 외성기와 그 근방의 피부가 더러워지는 일이 적어진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중심선상에서 교차하는 동시에, 격리 시트의 전단부분까지 닿아 있는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격리 시트를 그 전단부분 근방에서 섀시의 내면으로부터 이간시켜 공간의 내용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격리 시트의 후단부분이 내면 시트의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섀시의 뒤몸통둘레 영역에서의 탄성 영역이 몸통둘레 방향으로 신장, 수축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신장, 수축이 격리 시트의 후단부분까지는 미치기 어려워, 격리 시트의 후단부분에서 투과 구멍의 폭은 좁아지지 않는다.
섀시에서의 앞뒤몸통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기저귀가 팬티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기저귀를 착용시키는 방법에 따라 앞뒤몸통둘레 영역의 서로의 위치관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를 교환할 때 격리 시트에서의 투과 구멍을 항문에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서 탄성부재가 상기 폭방향으로 신장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의 수축에 의해 가랑이 영역의 폭이 자동적으로 좁아져, 호를 그리도록 격리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는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은 펼쳐진 상태인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자연상태인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의 일례인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5는 자연상태인 도 4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6은 격리용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팬티형 기저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기저귀를 평면형으로 펼쳤을 때의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9는 도 8의 기저귀의 도 5와 동일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의 X-X 선 단면도.
도 11은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팬티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 기저귀 11 섀시
11a 내면 시트 11b 외면 시트
12 앞몸통둘레 영역 13 뒤몸통둘레 영역
14 가랑이 영역 16 흡수체
17 격리 시트 17a 전단부분
17b 후단부분 17c 측부
17d 중간부분 20 몸통둘레 탄성부재
26 투과 구멍 27 탄성부재 (이간용 탄성부재)
36 몸통둘레 탄성부재 (보조 탄성부재)
210 기저귀 217 격리 시트
317 격리 시트 510 기저귀
610 기저귀 C 중심선
L 길이방향 W 폭방향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 3에 있어서, 도 1은 오픈형의 일회용 기저귀(10)가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일 때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고, 도 2는 기저귀(10)가 자연상태일 때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1의 기저귀(10)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L)과 폭방향(W)을 가지며, 폭방향(W)의 치수를 이등분하여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중심선(C)에 관해 대칭이다. 기저귀(10)는, 길이방향(L)의 전방에 형성된 앞몸통둘레 영역(12)과, 길이방향(L)의 후방에 형성된 뒤몸통둘레 영역(13)과, 이 두 영역(12, 13)사이에 개재되게 형성된 가랑이 영역(14)을 가지는 섀시(11)를 포함하고, 섀시(11)에는 반강성이 며 체액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체(16)가 포함되어 있다. 이 섀시(11)는 기저귀(10)의 본체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섀시(11)는 가랑이 영역(14)이 폭방향(W)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모래시계형인 것으로,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내면을 형성하고 있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11a)와, 내면 시트(11a)와는 반대측에 있고 기저귀 착용자의 착의와 맞닿는 외면을 형성하고 있는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11b)를 가지며, 이 두 시트(11a, 11b) 사이에 흡수체(16)가 개재되어 있다. 내면 시트(11a)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수단(도시 생략)을 통하여 흡수체(16)에 대해 접합되는 동시에, 흡수체(16)의 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외면 시트(11b)에 대해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내면 시트(11a)에는 뒤몸통둘레 영역(13)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4)에 걸친 부위에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의 격리 시트(17)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액저항성이란, 액의 투과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기저귀에서 체액이 새거나 배어나오는 것의 원인이 되는 액의 투과를 억제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다. 이러한 격리 시트(17)는, 길이방향(L)의 전방에 전단부분(17a)을 가지고 후방에 후단부분(17b)을 가지며, 이들(17a, 17b) 사이에 중간부분(17d)를 가진다. 또, 이들 각 부분(17a, 17b, 17d)은 길이방향(L)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쌍의 측가장자리(17c)을 가진다. 전단부분(17a)과 후단부분(17b)은 적어도 그 일부분이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내면 시트(11a)에 고정되어 있고, 각 부분(17a, 17b, 17d)에서의 측가장자리(17c)의 근방은 내면 시트(11a)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중간부분(17d)은 측가장자리(17c)보다 내측부분인 폭방 향(W)의 중앙부가 내면 시트(11a)에 대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내면 시트(11a)로부터 도 3의 상방으로 이간가능한 상태이다.
섀시(11)에서는, 앞몸통둘레 영역(12)이 전단 가장자리부(12a)와 양측 가장자리부(15a)를 가지며, 뒤몸통둘레 영역(13)이 후단 가장자리부(14a)와 양측 가장자리부(15b)를 가진다. 가랑이 영역(14)은, 중심선(C)을 향하여 만곡된 양측 가장자리부(15c)를 가지며, 이 측가장자리부(15c)와 측가장자리부(15a, 15b)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속되어 있다.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에서는, 띠모양의 몸통둘레 탄성부재(20a, 20b)가 내면 시트(11a)와 외면 시트(11b) 사이에 있고, 이 두 시트(11a, 11b)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14)의 양측 가장자리부(15c)에서는, 복수개의 실고무로 이루어진 다리둘레 탄성부재(21)가 내면 시트(11a)와 외면 시트(11b) 사이에 있고, 이 두 시트(11a, 11b)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다리둘레 탄성부재(21)를 포함하는 측가장자리부(15c)의 각각은, 기저귀(10)에서의 가스켓 커프를 형성하고 있다. 섀시(11)에서는 또한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띠모양의 배리어 커프(22)가 내면 시트(11a)에 부착되어 있다. 배리어 커프(22)는, 내면 시트(11a)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액저항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투액성을 가지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면 시트(11a) 에 대해 기립가능한 커프부분(22a)과, 내면 시트(11a)에 대해 핫멜트 접착제(22d)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고정부분(22b)를 가진다. 커프부분(22a)은 정점부(22c)를 가지며, 그 정점부(22c)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실고무로 형성된 커프 탄성부재(23)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기저귀(10)가 도 2, 3과 같이 내 면 시트(11a)를 내측으로 하여 길이방향(L)에서 만곡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커프 탄성부재(23)가 수축되어 커프부분(22a)이 내면 시트(11a)로부터 그 상방을 향하여 세워져,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샘방지벽을 형성하고 있다.
섀시(11)에서는 또한 뒤몸통둘레 영역(13)의 측가장자리부(15b)의 각각에,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을 몸통둘레 방향에서 연결하기 위한 테이프 파스너(24)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4)는 그 베이스(도시 생략)가 측가장자리부(15b)에 박리되지 않도록 부착되는 한편, 앞몸통둘레 영역(12)에 대한 파스닝부(24a)가 도 1에 있어서 기저귀(10)의 외측을 향하여 펼쳐질 수 있다. 앞몸통둘레 영역(12)에서의 외면 시트(11b)에는, 테이프 파스너(24)의 파스닝부(24a)를 박리가능하게 고정할 때의 상대방이 되는 타겟 테이프(25;도 3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파스닝부(24a)를 타겟 테이프(25)에 고정하기 위한 파스닝부(24a)에서의 수단으로는, 점착제나 미케니컬 파스너의 훅 부재, 미케니컬 파스너의 루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격리 시트(17)는 그 중간부분(17d)에 타원형의 투과 구멍(26)이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W)에서의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 각각의 근방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실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격리 시트(17)를 내면 시트(11a)로부터 그 상방으로 이간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간용 탄성부재(27)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용 탄성부재(27)는,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의 근방에서 길이방향(L)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측방부분(27a)과, 투과 구멍(26)의 가장자리 중에서 원호를 그리고 있는 전방부 분(26a)을 따라 전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도록 만곡되어 전방부분(26a)의 전방에서의 중심선(C)까지 연장되는 만곡부분(27b)과, 만곡부분(27b)끼리의 중심선(C)상에서의 교차부(29)에서 격리 시트(17)의 전단부분(17a)의 근방까지 연장되는 전방부분(27c)을 가지며, 교차부(29)의 근방에서 이간용 탄성부재(27)는 X자형을 그리고 있다. 이간용 탄성부재(27)가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분(27d)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격리 시트(17)의 후단부분(17b)을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격리 시트(17)는, 1장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쳐져서 서로 접합하는 2장의 시트(17e, 17f)로 형성되어 있고, 이간용 탄성부재(27)가 이 2장의 시트(17e, 17f) 사이에 있고, 적어도 한쪽 시트에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간용 탄성부재(27)가, 서로 나란한 복수개의 실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실고무끼리의 간격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의 근방으로부터 교차부(29)를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교차부(29)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리 시트(17)의 전후단부분(17a, 17b)은 폭방향(W)의 전체에서 내면 시트(11a)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태의 접합 대신, 전후단부분(17a, 17b)의 각각을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전방부분(27c) 및 후방부분(27d)의 근방에서만 내면 시트(11a)에 접합할 수도 있다. 또, 격리 시트(17)의 양측 가장자리(17c)의 근방은, 길이방향(L)의 전체를 내면 시트(11a)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태 대신 중간부분(17d)에서의 양측 가장자리(17c)을 내면 시트(11a) 에 접합하지 않는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다. 단, 어떠한 형태에 있어서도, 전후단부분(17a, 17b)의 적어도 일부분은 내면 시트(11a)에 접합되어 있고, 그 접합되는 부위의 근방에서의 내면 시트(11a)가 흡수체(16)에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격리 시트(17)는 흡수체(16)가 변형되지 않는 한 쉽게 변형되지는 않고, 따라서 착용자에 대한 투과 구멍(26)의 위치와 형상 또한 쉽게 변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기저귀(10)가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라는 것은, 도 2, 3과 같이 각 탄성부재가 이완되어 만곡된 상태인 기저귀(10)가 길이방향(L)과 폭방향(W)으로 인장되어 각 탄성부재의 수축에 기인하는 주름이 기저귀(10)로부터 소실되고, 섀시(11)의 내면 시트(11a)과 외면 시트(11b)가 그 본래의 평면적인 형상에 가까운 상태로 복귀된 것을 뜻하고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연상태인 기저귀(10)는, 몸통둘레 탄성부재(20)와, 다리둘레 탄성부재(21)와, 커프 탄성부재(23)가 수축됨으로써, 내면 시트(11a)를 내측으로 하여 길이방향(L)으로, 또는 길이방향(L)과 폭방향(W)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고, 부직포나 필름에는 각 탄성부재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주름(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면에는 이러한 주름의 일부만이 나타나 있다. 섀시(11)는, 격리 시트(17)의 전단부분(17a)과 후단부분(17b) 사이에 있어서 외면 시트(11b)를 외측으로 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는 한편, 격리 시트(17)는, 이간용 탄성부재(27)가 수축됨으로써 내면 시트(11a)로부터 이간되고, 이 두 시트(17, 11a) 사이에 공간(31)이 형성되어 투과 구멍(26)이 그 공간(31)의 입구가 된다. 또, 섀시(11)가 몸통둘레 탄성부재(20)의 수축에 의해 폭방향(W)의 치수가 외관상 으로 좁아지면, 격리 시트(17)도 양측 가장자리(17c)가 중심선(C)에 접근하도록 움직여 폭이 외관상으로 좁아진다. 그러면, 중심선(C)의 양측에서의 이간용 탄성부재(27)의 만곡부분(27b)이 수축되고,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변하여 V자형을 그리고, 투과 구멍(26)의 호를 그리고 있던 전방부분(26a)도 거기에 주름을 만들어 V자형을 그리도록 변한다. 그 결과, 투과 구멍(26)의 폭방향(W)에서의 치수는, 격리 시트(17)의 후단부분(17b)의 근방에서 크게 변하지는 않지만, 투과 구멍(26)에서의 전방부분(26a)의 근방에서는 급격하게 좁아지도록 변한다. 그 기저귀(10)가 착용되어 가랑이 영역(14)이 두 다리에 끼워지면 가랑이 영역(14)의 폭은 더 좁아져, 전방부분(26a)의 V자형을 그리는 변형이 한층 더 현저해진다. 이와 같은 기저귀(10)에 있어서, 투과 구멍(26)이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일치하도록 격리 시트(17)가 섀시(11)에 부착되어 있으면,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은, 이간용 탄성부재(27)와 함께 둔부의 갈라진 틈으로 들어가, 홈을 형성하고 있는 그 갈라진 틈의 내부에서는 항문의 양측에서 피부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용자가 배설하는 변은, 둔부의 갈라진 틈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투과 구멍(26)을 통과하여 공간(31)으로 용이하게 진입한다. 또, 격리 시트(17)는, 이간용 탄성부재(27)가 X자형을 그리는 교차부(29)와 그 근방이 항문보다 전방이고 외성기보다 후방에 있어서 피부와 맞닿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부착된다. 그와 같은 상태인 격리 시트(17)에서 이간용 탄성부재(27)가 수축되어 있으면, 투과 구멍(26)은 투과 구멍(26)이 도 1과 같이 확대되어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면, 전방부분(26a)에 근접함에 따라, 환언하면 외성기에 근접함에 따라 폭방향(W)의 치수(Mb)가 작아지기 때문에, 공간(31)에 수습되는 변은 투과 구멍(26)을 나와 외성기를 향하여 흐르는 것이 어려워지는 한편, 외성기로부터 배설되어 후방을 향하여 흐르는 뇨는 공간(31)으로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즉, 도 1의 기저귀(10)에서는, 변이 공간(31)으로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변에 의해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공간(31)에 있어서 뇨와 변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리 시트(17)가 전후단부분(17a, 17b)과 양측 가장자리(17c) 근방 각각의 전체 길이에서 내면 시트(11a)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의 공간(31)은, 투과 구멍(26)에서만 외부와 통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31)에 수습되는 변은 유출되기 어려워 피부를 더럽힐 가능성도 낮지만, 양측 가장자리(17c)의 전체 길이가 내면 시트(11a)에 고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수축이 억제되어 투과 구멍(26)의 호를 그리는 만곡부분(26c)이 V자형을 그리도록 변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를 피하기 위해, 격리 시트(17)는 양측 가장자리(17c)의 일부분, 예를 들어 중간부분(17d)에서의 양측 가장자리(17c)가 내면 시트(11a)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하여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수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수축량이 많아질수록, 격리 시트(17)는 내면 시트(11a)로부터 크게 이간되어 깊이가 깊은 공간(31)이 형성된다. 이 경우의 공간(31)에 수습되는 변은, 폭방향(W)으로 흐르면 그 흐름이 배리어 커프(22)에 의해 저지되어 기저귀(10)로부터 새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배리어 커프(22)는, 그것이 중심선(C)을 향하여 쓰러졌을 때 커프부분(22a)이 격리 시트(17)에 겹쳐지는 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참조). 격리 시트(17)에서는, 이간용 탄성부재(27)의 만곡부분(27b)을 포함하는 부위가, 거기에 주름(17g)이 생겨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위로 변하지만, 이러한 부위는 그것이 밀착되어 있는 피부의 움직임에 맞춰 주름(17g)이 신장되거나 수축되기 때문에,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격리 시트(17)는 이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그 양측 가장자리(17c)가 내면 시트(11a)에 접합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공간(31)에 수습되는 변을 피부로부터 격리하여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3과 같이 기저귀(10)가 자연상태일 때의 투과 구멍(26)은, 전방부분(26a)에서 후방부분(26b)까지의 길이방향(L)의 치수(Ma)가 50∼200㎜ 정도이고, 폭방향(W)에서의 최대치수(Mb)가 30∼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 구멍(26)에는 또한 V자형을 그리고 있을 때의 전방부분(26a)에서의 벌어진 각 α가 40∼13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격리 시트(17)는,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30∼90㎜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진 부위가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거의 일치하도록 내면 시트(11a)에 부착된다. 그 때의 투과 구멍(26)의 치수(Ma)는 그 거리보다 적어도 20㎜ 큰 값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10)에서는, 최대치수(Mb)가 30㎜보다 작거나, 벌어진 각 α가 40도보다 작으면,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서는 투과 구멍(26)이 닫혀 공간(31)으로의 변의 진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최대치수(Mb)가 100㎜보다 크거나, 벌어진 각 α가 130도보다 크면,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은 둔부의 갈라진 틈의 내부에서의 항문 근방의 피부에 대한 피팅성이 나빠져 변이 투과 구멍(26)으 로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기저귀(10)에서는 또한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에서 항문까지의 거리가 30㎜ 미만이면, 둔부에 대하여 격리 시트(17)가 움직인 경우에 변이 투과 구멍(26)으로 진입하지 않고 격리 시트(17)의 위에 놓여지기 쉬워져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아진다. 한편,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에서 항문까지의 거리가 90㎜를 초과하는 부위에 있으면, 착용자의 외성기가 투과 구멍(26)의 내측에 들어가 변에 의해 외성기가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기저귀(10)에 있어서, 내면 시트(11a)로는, 열가소성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투액성의 부직포,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투액성의 개공 필름 등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섬유나 필름이 친수화 처리되어 사용된다. 외면 시트(11b)로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의 부직포,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의 필름이 사용되는 외에, 그 필름의 외면에 부직포를 라미네이트하여 촉감을 천처럼 한 복합 시트 등이 사용된다. 액저항성의 필름의 예로는, 탄산칼슘이나 황산바륨 등의 미립자를 혼입시킨 폴리올레핀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통기성의 것이 있다.
흡수체(16)는, 예를 들어 흡수성 재료인 플랩 펄프, 플랩 펄프와 비흡수성 재료인 열가소성 합성수지와의 혼합물,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플랩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등을 투액성이면서 친수성인 티슈지나 크레이프지, 부직포 등의 피복 시트로 덮어 압축한 것이 사용된다. 흡수체(16)는, 내면 시트(11a)나 외면 시트(11b)보다 높은 굽힘 강성을 가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각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해 도 2, 3과 같이 용이하게 만곡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흡수체(16)는 반강성이라 할 수 있다. 흡수체(16)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의 피복 시트로서의 부직포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사용하여, 평량은 동일하지만 섬도가 큰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섬유끼리의 간극이 작아지도록 하여, 흡수하여 팽윤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그 간극을 통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16)의 형상은 특별한 규정이 없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모래시계형이어도 된다. 흡수체(16)는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 외에, 격리 시트(17)의 투과 구멍(26)과 마주하는 부위를 움푹패이게 하거나, 그 부위에서 흡수성 재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 참조). 단, 흡수체(16)는 투과 구멍(26)과 마주하는 부위에서의 폭방향(W)의 치수가 투과 구멍(26)의 폭방향(W)에서의 치수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몸통둘레 탄성부재(20), 다리둘레 탄성부재(21), 커프 탄성부재(22), 이간용 탄성부재(27)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우레탄폼 등의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실고무나 평고무 등이 사용된다.
배리어 커프(22)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을 가지는 부직포나 필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기저귀(210)에 관한 도 1, 2와 동일한 도면이다. 기저귀(210)는, 도 1의 기저귀(10)에서의 격리 시트(17)와는 상이 한 형태의 격리 시트(217)를 가지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기저귀(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격리 시트(217)는, 전단부분(17a)의 폭방향 중앙부에 거의 반원형으로 절결된 오목부(32)를 가지며, 이간용 탄성부재(27)가 그 오목부(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교차부(29)에서 격리 시트(217)의 전단부분(17a)까지 신장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그 전단부분(17a)은, 오목부(32)를 제외하고, 폭방향(W)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분(28a)이 내면 시트(11a)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서로 나란한 실고무끼리의 이간 치수는 거의 일정하다. 도 5와 같이 기저귀(210)가 자연상태로 만곡되어 있고, 탄성부재의 각각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간용 탄성부재(27)의 부분(27b, 27c)도 수축되어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오목부(32)의 근방에서 X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어 있다. 격리 시트(217)의 전단부분(17a)이 도 1의 기저귀(10)의 전단부분(17a)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목부(32)를 형성함으로써 내면 시트(11a)의 일부분을 노출시켜, 그 노출시킨 부분을 사용하여 뇨를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격리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격리 시트(317)는 도 4의 격리 시트(217)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지만, 투과 구멍(26)의 양측부분(26c)의 각각에서 길이방향(L)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이간용 탄성부재(27)는, 도면에서 투과 구멍(26)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탄성부재(27L)와 탄성부재(27R)로 이루어지고, 이들 제1, 제2탄성부재(27L, 27R)는 중심선(C) 상에서 교차하지 않고, 중심선(C) 근방의 부위에서 가장 접근된 상태이다. 그 부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1, 제2탄성부재(27L, 27R)는 서로 크게 이간되어 있다. 이러한 격리 시트(317)도 또한 기저귀를 착용하거나 하여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의 폭이 좁아지면, 제1, 제2탄성부재(27L, 27R)는 수축되어 가상선(127L, 127R)과 같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변하는 동시에,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이 V자형을 그리도록 변형되어, 전방부분(26a)의 근방에서는 제1, 제2탄성부재(27L, 27R)가 협동하여 X자형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도 7, 8, 9, 10에 있어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팬티형 기저귀(51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기저귀(510)의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과 가랑이 영역(14)을 도 4와 같이 평면형으로 펼쳐서 얻어지는 기저귀(510a)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기저귀(510a)가 자연상태일 때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 선 단면도이다.
도 8, 9에 나타내는 기저귀(510a)는 섀시(11)를 가지며, 그 섀시(11)가 앞몸통둘레 영역(12)의 폭방향(W)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가장자리부(15a)와, 뒤몸통둘레 영역(13)의 폭방향(W)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가장자리부(15b)와, 가랑이 영역(14)의 폭방향(W)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측가장자리부(15c)를 가진다. 섀시(11)는, 그 길이(E)를 이등분하는 중심선(D)에서 내면 시트(11a)를 내측으로 하여 접혀서 겹쳐지고, 그 때 합장형으로 서로 겹치는 측가장자리부(15a 와 15b)가, 도 7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병렬하는 접합부(51)로 접합되어, 도 7의 팬티형 기저귀(510)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510)에는 몸통둘레 개구(34)와 한쌍의 다리둘레 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개구(34)를 형성하고 있는 섀시(11)의 앞뒤 양단부(12a, 14a)에서는, 복수개의 실고무로 이루어진 몸통둘레 탄성부재(20)가 내면 시트(11a)와 외면 시트(11b) 사이에 있고, 몸통둘레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이들 시트(11a, 11b)의 적어도 한쪽에 접합되어 있다. 다리둘레 개구(35)의 둘레가장자리의 상측 절반에서는, 그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다리둘레 탄성부재(21)가 내면 시트(11a)와 외면 시트(11b) 사이에 있고, 이들 시트(11a, 11b)의 적어도 한쪽에 신장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510)에서의 섀시(11)의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에서는, 복수개의 실고무로 이루어진 몸통둘레 보조 탄성부재(36)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간되고, 둘레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몸통둘레 보조 탄성부재(36)는, 양측 가장자리부(15a, 15b)보다 하측인 가랑이 영역(14)에 부착되기도 한다. 섀시(11)에서의 외면 시트(11b)는, 도 1에서의 외면 시트(11b)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서, 그 길게 만들어져 있는 부분(11c)이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4) 각각에서의 전후단부(12a, 14a)에서 섀시(11)의 내측으로 되접어져, 내면 시트(11a)에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8, 9 참조). 외면 시트(11b)는, 열가소성 합성섬유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체(16)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흡수체(16)보다 크고 불투액성 또는 액저항성을 가지며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샘방지용 필름(38)이 겹쳐짐으로써, 섀시(11)의 외면을 형성하는 불투액성 시트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이 섀시(11)에서의 내면은, 가랑이 영역(14) 또는 가랑이 영역(14)과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에서의 가랑이 영역(14)의 근방의 부위로서, 내면 시트(11a)에 의해 형 성되어 있는 부위가 투액성이고, 내면 시트(11a)에 겹치는 외면 시트(11b)의 부분(11c)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불투액성, 액저항성, 투액성 중의 어느 하나이다.
기저귀(510)의 흡수체(16)는, 도 9, 10에 있어서 분명한 바와 같이, 격리 시트(17)의 투과 구멍(26)과 마주하는 부위에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52)에서는 흡수성 재료가 제거되어 있다. 그 오목부(52)의 내측은 반강성 시트(3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반강성 시트(37)는, 오목부(52)의 바닥을 형성하는 동시에 오목부(52)의 둘레벽(53)을 피복하고 있고, 오목부(52)의 주위에서는 내면 시트(11a)에 대하여 서로 겹쳐 접합되어 있다. 반강성 시트(37)는, 부직포나 티슈페이퍼, 열가소성 합성수지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흡수체(16)의 굽힘 강성과 동일한 정도 또는 그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52)는, 격리 시트(17)와 협동하여 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31)을 형성하고 있다. 흡수체(16)에 이와 같은 오목부(52)를 가지는 섀시(11)는, 반강성 시트(37)가 오목부(52)의 내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기저귀(1)가 착용되어 가랑이 영역(14)의 폭이 좁아지고, 가랑이 영역(14)이 폭방향(W)에서 2개로 접혀 외측을 향하여 팽창했을 때의 그 팽창이 기저귀 착용중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가랑이 영역(14)이 그와 같이 팽창하면, 격리 시트(17)와 반강성 시트(37)가 크게 이간되어 깊은 공간(31)을 형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공간(31)은 많은 변을 수용할 수 있고, 또한 공간(31)으로부터의 변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반강성 시트(37)는, 오목부(52)를 형성해야 할 부위에 있어서 흡수체(16)의 흡수성 재료를 압축하여 얇게 한 것으로 대신할 수 있다. 압축되는 흡수성 재료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흡수성 재료는, 흡수하면 팽윤하여 공간(31)을 깊이가 얕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기저귀(510)에서의 격리 시트(17)는, 도 4의 그것과 동일한 것이지만, 그 후단부분(17b)은 외면 시트(11b)에서의 부분(11c)의 단부(14b)로부터는 이간되어 있어, 두 부분(17b, 11c) 사이에 내면 시트(11a)가 노출되어 있고, 또 양측 가장자리(17c)는 폭방향(W)에서 배리어 커프(22)의 고정부(22b)로부터 이간되어 있어, 이들 양자(17c, 22b) 사이에 내면 시트(11a)가 노출되어 있다. 격리 시트(17)가 이와 같은 상태이면, 무른 변이 투과 구멍(26)으로 진입하지 않고 격리 시트(17) 위를 흐르더라도, 그 무른 변의 수분을 격리 시트(17)의 주위에 노출되어 있는 내면 시트(11a)의 부분에서 흡수할 수 있다.
기저귀(510)는 몸통둘레 보조 탄성부재(36)를 가짐으로써,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의 착용자에 대한 피팅성이 향상된다. 단, 그 보조 탄성부재(36)는, 흡수체(16)가 존재하는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의 폭방향(W)의 중앙부분에서는, 그 흡수체(16)의 강성의 영향에 의해 거의 수축되지 않고,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 각각의 흡수체(16)가 존재하지 않는 양측부만이 실질적인 탄성 영역이 되어 수축되기 때문에, 투과 구멍(26) 중에서 뒤몸통둘레 영역(13)이나 그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보조 탄성부재(36)의 영향에 의해 형상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 게다가, 기저귀(510)는 보조 탄성부재(36)의 작용에 의해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피팅되어 있 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한 투과 구멍(26)의 위치는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자세에 의해 크게 변하지 않고 일정하여, 변이 용이하게 투과 구멍(26)으로 진입한다. 보조 탄성부재(36)의 영향에 의해 뒤몸통둘레 영역(13)의 근방에서 투과 구멍(2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체(16)는, 보조 탄성부재(36)와 서로 겹치는 부위와 그 근방에서 강성을 특별히 높게 해 둘 수도 있다. 기저귀(510)에서는 또한 섀시(11)의 폭방향(W)의 중앙 영역에서 보조 탄성부재(36)를 절단하거나, 중앙 영역에서만 보조 탄성부재(36)를 가열처리하여 거기에서의 보조 탄성부재(36)의 탄성을 소실시킴으로써 뒤몸통둘레 영역(13) 근방에서의 투과 구멍(26)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섀시(11)의 뒤몸통둘레 영역(13)의 양측부에서 보조 탄성부재(36)를 신장, 수축시킬 수 있다. 또, 보조 탄성부재(36)는, 중앙 영역에 배치하지 않고, 앞뒤몸통둘레 영역(12, 13) 중 어느 하나의 양측부에만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투과 구멍(26)의 형상은 주로 이간용 탄성부재(27)의 수축에 의해 규정되게 된다. 그러한 기저귀(510)에서는, 착용자가 배설시에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투과 구멍(26)의 주변이 피부에 밀착되어, 공간(31)에서의 변의 포집 성능을 높여 변이 샐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팬티형 기저귀(610)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기저귀(610)는, 도 7의 기저귀(5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단, 기저귀(610)에서는, 도 8의 다리둘레 탄성부재(21) 대신 다리둘레 탄성부재(621)가 사용되고 있다. 다리둘레 탄성부재(621)는, 한쌍의 다리둘레 개구(35) 각각에서 정점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다리둘레 개구(35)를 거의 일주하도록 연 장되는 부분(621a)과, 가랑이 영역(14)을 횡단하는 부분(621b)을 가진다. 다리둘레 탄성부재(621)는, 신장상태로 기저귀(610)에 부착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14)을 횡단하고 있는 부분(621b)은, 가랑이 영역(14)의 폭을 좁히도록 작용한다. 그 작용하에 있는 이간용 탄성부재(27)는 용이하게 수축되어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X자형을 그린다. 그 X자형의 교차부는 항문의 바로 전방에서 피부와 맞닿는다.
본 발명에 관한 기저귀에서는, 기저귀의 내면을 형성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11a)에 대하여, 내면 시트(11a)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항문의 주변에서만 피부에 밀착가능하고, 항문에 대해서는 변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투과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비교적 작은 시트 조각으로 이루어진 격리 시트(17, 217, 317) 등이 부착되고, 그 격리 시트(17, 217, 317)에는, 그것을 내면 시트(11a)로부터 이간시켜 공간(31)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을 전방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작용하고, 전방부분(26a)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주름(27f)을 만드는 이간용 탄성부재(27)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격리 시트(17, 217, 317)는, 투과 구멍(2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탄성부재의 신장, 수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경우가 적고, 따라서, 투과 구멍(26)의 형상은 이간용 탄성부재(27) 이외의 탄성부재의 영향으로 변하는 경우가 적다. 또, 이간용 탄성부재(27)는, 가랑이 영역(14)을 넘어서 앞몸통둘레 영역(12)까지 연장되거나, 뒤몸통둘레 영역(3)의 후단부(14a)까지 연장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이간용 탄성부재(27)가 그와 같이 투과 구멍(26)으로부터 멀리까지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착용자에 대한 격리 시트(17)의 위치와 투과 구멍(26)의 형상은, 착용자의 움직임 에 의해 변하는 경우이 매우 적어지고, 또한 투과 구멍(26)의 전방부분(26a)의 근방은 항문의 바로 전방에서 피부와 맞닿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에 의해 피부가 더러워지지 않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Claims (9)

  1. 섀시가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에 전방과 후방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전방에는 앞몸통둘레 영역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방에는 뒤몸통둘레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양몸통둘레 영역 사이에는 가랑이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각 영역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내면 시트와 상기 내면 시트와는 반대측에 있고 상기 기저귀 착용자의 착의와 맞닿는 외면 시트를 가지며,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외면 시트 사이에는 흡수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섀시에는, 상기 내면 시트와 상기 피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면 시트를 향하여 배설된 변의 피부에 대한 접촉을 방해하는 것이 가능한 격리 시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리 시트가, 길이방향에 있어서, 전방 근처에 위치하는 전단부분과, 후방 근처에 위치하는 후단부분과, 이들 전후단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분을 가지는 동시에, 이들 각 부분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전단부분과 상기 후단부분은 그 일부분 또는 전체가 상기 내면 시트에 대하여 고정상태인 한편, 상기 중간부분은 폭방향의 중앙부 또는 전체가 상기 내면 시트에 대하여 비고정상태이며 상기 내면 시트로부터 이간(離間)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부분에는, 이것을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의 근방과 맞닿게 하면, 항문에서 배설되는 변을 상기 내면 시트를 향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전방으로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는 투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과 구멍의 폭방향에서의 양측 각각의 근방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양측 각각의 상기 탄성부재는, 전방으로 볼록해지는 호를 그리면서 기저귀의 폭을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상기 투과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형으로 펼쳐진 상태의 기저귀에서의 탄성부재는, 투과 구멍의 양측 각각의 근방에서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측 각각의 탄성부재가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후, 더 연장되어 중심선상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는 기저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측 각각의 탄성부재가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후, 서로 이간되도록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이완된 상태에서 양측 각각으로부터 전방으로, 중심선을 향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6. 제3항에 있어서, 양측 각각의 탄성부재는, 중심선상에서 교차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내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는 격리 시트의 전단부분에 닿아 있는 기저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섀시의 뒤몸통둘레 영역은, 폭방향에서의 양측에 폭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수축가능한 탄성 영역을 가지며, 격리 시트는, 후단부분이 뒤몸통둘레 영역에서의 양측의 탄성 영역과 탄성 영역 사이에 있고, 내면 시트의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기저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저귀는, 섀시에서의 앞뒤몸통둘레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있는 팬티형인 기저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에서는, 탄성부재가 폭방향으로 신장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기저귀.
KR1020087007917A 2005-11-04 2006-09-19 일회용 기저귀 KR20080057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1609 2005-11-04
JP2005321609A JP4870971B2 (ja) 2005-11-04 2005-11-04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54A true KR20080057254A (ko) 2008-06-24

Family

ID=3800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917A KR20080057254A (ko) 2005-11-04 2006-09-19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654990B2 (ko)
EP (1) EP1949880A4 (ko)
JP (1) JP4870971B2 (ko)
KR (1) KR20080057254A (ko)
CN (1) CN101299980A (ko)
BR (1) BRPI0619676A2 (ko)
CA (1) CA2629892A1 (ko)
EG (1) EG25359A (ko)
MA (1) MA29983B1 (ko)
MY (1) MY151467A (ko)
TW (1) TW200730148A (ko)
UA (1) UA97099C2 (ko)
WO (1) WO2007052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9096B2 (ja) * 2004-05-31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1897521A1 (en) * 2006-09-05 2008-03-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elasticated topsheet with reduced leakage
JP2009017931A (ja) * 2007-07-10 2009-01-29 Oji Nepia Kk 使い捨ておむつ
US9044359B2 (en) 2008-04-29 201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JP2009291321A (ja) * 2008-06-03 2009-12-17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414099B2 (ja) * 2009-03-31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277426B2 (en) * 2009-09-30 2012-10-02 Wilcox Heather J 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GB2475563A (en) * 2009-11-24 2011-05-25 Concepts For Success Pants style garment formed with a centre strip and associated side panels
RU2533725C1 (ru) * 2010-11-11 2014-11-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для мужчин
US20120283686A1 (en) * 2011-05-03 2012-11-08 Shawn Ramage Diaper With Fecal Matter Collector
DE102011081985A1 (de) * 2011-09-01 2013-03-0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DE102011081984A1 (de) * 2011-09-01 2013-03-0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6162525B2 (ja) * 2013-08-02 2017-07-12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紙オムツ
JP5859087B1 (ja) * 2014-09-30 2016-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10888469B2 (en) * 2017-05-24 2021-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raisable topsheet
JP6727169B2 (ja) * 2017-06-26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1650758S (ko) * 2019-04-25 2020-01-20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671A (en) * 1993-06-10 1996-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pocket cuff with an apex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SE502548C2 (sv)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US5520674A (en) * 1994-05-31 1996-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ealed expandable component
SE505392C2 (sv) * 1995-11-16 1997-08-18 Moelnlycke Ab Vätskeabsorberande artikel försedd med krökt elastik för bildande av läckagespärr
US6017336A (en) * 1996-12-10 2000-0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three dimensional longitudinal containment barriers
GB2340403B (en) * 1997-08-13 2000-07-05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JP3510149B2 (ja) * 1999-05-10 2004-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物品
JP4008227B2 (ja) * 2001-11-05 2007-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0148A (en) 2007-08-16
US20070106240A1 (en) 2007-05-10
TWI325773B (ko) 2010-06-11
US7654990B2 (en) 2010-02-02
CN101299980A (zh) 2008-11-05
MY151467A (en) 2014-05-30
WO2007052418A1 (ja) 2007-05-10
EG25359A (en) 2011-12-19
JP4870971B2 (ja) 2012-02-08
EP1949880A4 (en) 2011-07-06
JP2007125259A (ja) 2007-05-24
EP1949880A1 (en) 2008-07-30
MA29983B1 (fr) 2008-11-03
CA2629892A1 (en) 2007-05-10
BRPI0619676A2 (pt) 2011-10-11
UA97099C2 (en)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7254A (ko) 일회용 기저귀
JP507470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717362B2 (ja) トランクス型の使い捨てパンツ
JP3294203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474146B1 (ko)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KR102179940B1 (ko) 착용 물품
KR20100135809A (ko) 흡수성 물품
KR20050053630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090046785A (ko) 일회용 기저귀
JP4116820B2 (ja) パンツ型おむつ
JP2014068848A (ja) 使い捨ておむつ
JP495845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00113114A (ko) 흡수성 물품
TW201010677A (en) Absorptive article
KR20100139032A (ko) 일회용의 팬츠형 기저귀
KR20090110358A (ko) 일회용 기저귀
JP6660961B2 (ja) 着用物品
EA017778B1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KR20160103094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00105658A (ko) 흡수성 물품
JP655994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08883017B (zh) 抛弃式尿布
JP653168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229051B2 (ja) 吸収性物品
JP5999761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