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5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58A
KR20100105658A KR1020107015098A KR20107015098A KR20100105658A KR 20100105658 A KR20100105658 A KR 20100105658A KR 1020107015098 A KR1020107015098 A KR 1020107015098A KR 20107015098 A KR20107015098 A KR 20107015098A KR 20100105658 A KR20100105658 A KR 20100105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sheet
chassis
sheet
reg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나오 미나토
가이요 나카지마
류이치 가미야마
레이코 니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 A61F2013/5119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not contacting the absor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배리어 시트와 피부 사이에서의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피부의 발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기저귀(1)는 액체 흡수성의 섀시(2)와 배리어 시트(3)와 샘방지 커프(4)를 포함한다. 배리어 시트(3)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30, 31)과 양 측부분(30, 31)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32)을 가지고, 중간 부분(32)은 가랑이 아래 영역(9)에 위치하고 있다. 양 측부분(30, 31) 및 중간 부분(32)에 의해 전후방 연통부(33, 34)를 형성하고 있다. 중간 부분(32)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 측부분(30, 31)에는, 절제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절제부(41)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볼록형부(39c, 40c)의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부터, 양 측부분(30, 31)의 가로 방향(X)의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42, 43)를 향하여 V자를 그리도록 시트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 배변 배뇨 트레이닝 팬츠, 실금 브리프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설물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스킨 컨택트 시트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5298호 공보(특허문헌 1)가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기저귀는 톱시트 및 백시트와, 이들 톱시트 및 백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와, 톱시트의 착용자 피부측에 배치된 스킨 컨택트 시트를 구비하고, 스킨 컨택트 시트에는 배설물을 톱시트측으로 통과시키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신장 상태로 부착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킨 컨택트 시트는, 탄성 부재에 의해 톱시트로부터 부상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며, 배설물이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5298호 공보
상기와 같은 기저귀는, 배설물 등에 의해 스킨 컨택트 시트가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재료로서 발수성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킨 컨택트 시트는, 탄성 부재에 의해 톱시트로부터 부상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기저귀 착용 시에는 항상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발수성을 갖는 스킨 컨택트 시트가 장시간에 걸쳐 피부에 접촉하면, 착용자의 땀 등에 의해 습기로 인한 답답함이 발생하고, 착용자의 피부가 발진이 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리어 시트와 피부 사이에서의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피부의 발진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갖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과, 상기 양 측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앞뒤 단가장자리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신장 상태로 부착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뒤 단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며,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함으로써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 측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양 측부분에는, 상기 양 측부분의 일부를 절취한 절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절제부는, 상기 양 측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하여 절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절제부는, 상기 양 측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를 절제하는 일 없이 잔존시키고, 상기 양 측가장자리와 상기 중간 부분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중간 부분을 통해 상기 세로 방향의 앞측에 위치하는 전방 연통부와, 상기 세로 방향의 뒷측에 위치하는 후방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세로 방향을 이등분하는 경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경계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계선에 의해 구획된 상기 세로 방향의 앞 측영역과 뒤 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 측영역은 상기 뒤 측영역보다도 그 면적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섀시 사이에는, 상기 공극을 상기 앞 허리 영역측과 상기 뒤 허리 영역측으로 이격시키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시트는, 상기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기 절제부에 걸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과, 상기 양 측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앞뒤 단가장자리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신장 상태로 부착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뒤 단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며,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함으로써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 측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양 측부분에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신장 상태로 부착된 중간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탄성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서는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섀시가 비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배리어 시트의 신체측이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포함하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고정 가장자리부와,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일 없이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가장자리부와, 상기 자유 가장자리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샘방지 커프를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시키는 커프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섀시에 고착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보다도 상기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 고착대와, 상기 양 측부분이 상기 샘방지 커프에 고착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보다도 상기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 고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고착대는 상기 제2 후방 고착대보다도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의 중간 부분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양 측부분에, 상기 양 측부분의 일부를 절취한 절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리어 시트의 착용자에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경감시킬 수 있고, 습기로 인한 답답함에 의한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절제부는, 경계선에 의해 구획된 세로 방향의 앞 측영역과 뒤 측영역을 포함하고, 앞 측영역은 뒤 측영역보다도 그 면적이 넓게 설정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배뇨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의 가능성이 보다 높은 전방측에서의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와 섀시 사이에, 공극을 앞 허리 영역측과 뒤 허리 영역측으로 이격시키며, 중간 부분에서부터 절제부에 걸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극에 배설된 뇨나 변이, 절제부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의 중간 부분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양 측부분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탄성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리어 시트의 착용자에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경감시킬 수 있고, 습기로 인한 답답함에 의한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배리어 시트의 신체측이고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포함하고, 배리어 시트는, 양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섀시에 고착되며 중간 부분보다도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 고착대와, 양 측부분이 샘방지 커프에 고착되며 중간 부분보다도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 고착대를 포함하고, 제1 후방 고착대는 제2 후방 고착대보다도 세로 방향의 치수를 길게 하고 있다. 즉 제2 후방 고착대를 짧게 함으로써, 샘방지 커프와 배리어 시트가 긴 영역에서 접합되는 일이 없고, 후방에서 연통부가 외측으로 인장되어 개구가 너무 넓어져 연통부로부터 변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9는 제3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중간 탄성 부재가 수축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7은 본원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는 액체 흡수성의 섀시(2)와 배리어 시트(3)와 샘방지 커프(4)를 포함한다. 섀시(2)는 팬츠형으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과, 신체측 내면(5) 및 착의측 외면(6)과, 앞 허리 영역(7), 뒤 허리 영역(8)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7, 8)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9)을 갖고 있다. 섀시(2)는, 내측 시트(11)와 외측 시트(12)와, 이들 내외측 시트(11, 12)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앞뒤 허리 영역(7, 8)에서는, 서로의 허리 측연부(14, 15)의 대향면이 중첩되고,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합부(16)에서 상호 접합되어 시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6)에서 허리 측연부(14, 15)가 접합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7, 8)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허리 개구(18)가 형성되며, 접합부(16)와 가랑이 아래 영역(9)으로 둘러싸인 한쌍의 다리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 개구(18)의 주연부를 따라 복수조의 허리 탄성 부재(20)가 연장되며, 다리 개구(19)의 주연부를 따라 복수조의 다리 탄성 부재(21)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20, 21)는, 내측 시트(11)와 외측 시트(12) 사이에 있고, 이들 시트(11, 12)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2)의 신체측 내면(5)에 액체 흡수 구조체(10)가 배치되고, 액체 흡수 구조체(10)보다도 더욱 신체측에 배리어 시트(3)가 배치되며, 배리어 시트(3)의 더욱 신체측에 샘방지 커프(4)가 배치되어 있다. 액체 흡수 구조체(10)는 앞뒤 허리 영역(7, 8) 사이에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9)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이 액체 흡수 구조체(10)는, 내측 시트(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액체 흡수성 패널(23)을 포함한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티슈 페이퍼 등의 액체 흡수 확산 시트(24)로 둘러싸인 액체 흡수성 코어 재료(25)와, 액체 흡수 확산 시트(24)를 더욱 덮는 내면 시트(26)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착의측은 외측 시트(12)의 내측에 배치된 샘방지 시트(13)로 피복되며, 코어 재료(25)에 흡수된 체액이 기저귀(1)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샘방지 시트(13)는,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바닥면에 직접 접합되는 경우도 있다.
배리어 시트(3)의 앞 단가장자리(27)와 뒤 단가장자리(28)는, 그 근방이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내면 시트(26)에 접합되어 있다. 앞 단가장자리(27)와 뒤 단가장자리(28)는, 각각 앞 허리 영역(7) 및 뒤 허리 영역(8)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은 팬츠형의 상태에서는, 가랑이 아래 영역(9)이 만곡하며, 뒤에 설명하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배리어 시트(3)는 내면 시트(26)로부터 세로 방향(Y)으로 이격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3)의 앞뒤 단가장자리(27, 28)는 내면 시트(26)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3) 전체는 해먹을 매단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배리어 시트(3)와 액체 흡수성 패널(23) 사이에 공극(29)이 형성된다.
배리어 시트(3)와 액체 흡수 구조체(10) 사이에는, 공극(29)을 앞 허리 영역(7)측과 뒤 허리 영역(8)측으로 이격시키는 분리 시트(17)를 형성하고 있다. 분리 시트(17)는 세로 방향(Y)으로 대향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상하단 가장자리(17a, 17b)를 포함하고, 상단 가장자리(17a)를 배리어 시트(3)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며, 하단 가장자리(17b)를 내면 시트(26)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분리 시트(17)는 도 2의 지면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신장하며, 배리어 시트(3)가 액체 흡수 구조체(10)로부터 이격되었을 때에, 내면 시트(26)로부터 솟아올라 공극(29)을 앞뒤로 이격시킨다. 이 분리 시트(17)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샘방지 커프(4)는 뒤에 설명하는 커프 탄성 부재에 의해 기립하도록 하여 배리어 시트(3)로부터 이격시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벽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접합부(16)에서의 앞뒤 허리 영역(7, 8)의 접합을 떼어 내고, 기저귀(1)를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으로 전개하여 얻어지는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기저귀(1)는, 평면형이 되도록 각 탄성 부재의 신축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저귀(1)는,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P)과,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Q)을 가지고, 세로 중심선(P-P)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섀시(2)는 거의 모래 시계형으로 형성되고, 액체 흡수성 패널(2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섀시(2)의 내측 시트(11)에 적층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3)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30, 31)과 양 측부분(30, 31)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32)을 가지고, 중간 부분(32)은 가랑이 아래 영역(9)에 위치하고 있다. 양 측부분(30, 31) 및 중간 부분(32)에 의해 전후방 연통부(33, 34)를 형성하고 있다. 전방 연통부(33)는, 중간 부분(32)으로부터 앞 허리 영역(7)을 향하여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이며, 후방 연통부(34)는, 중간 부분(32)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8)을 향하여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이다. 전방 연통부(33)는, 양 측부분(30, 31)에 위치하는 양 내측 가장자리(35)와, 이들 양 내측 가장자리(35)를 연결하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36)에 의해 구획된다. 후방 연통부(34)는 양 측부분(30, 31)에 위치하는 양 내측 가장자리(37)와, 이들 양 내측 가장자리(37)를 연결하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38)에 의해 구획된다.
샘방지 커프(4)는, 세로 중심선(P-P)에 대칭으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시트로 형성되고, 이 시트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각 샘방지 커프(4)는, 배리어 시트(3)의 양 측부분(30, 31)의 신체측에 중첩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4)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배리어 시트(3)의 양 측부분(30, 31)과 동일한 정도이거나, 혹은 그것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있다.
이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전방 연통부(33)에 착용자의 외성기가 면하고, 후방 연통부(34)에 항문이 면하며, 중간 부분(32)에 외성기와 항문 사이의 피부가 접촉하도록 착용 상태를 조정한다. 이때, 전방 연통부(33)의 폐쇄 가장자리(36)가 가로 중심선(Q-Q)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 연통부(34)의 폐쇄 가장자리(38)가 가로 중심선(Q-Q)의 위, 또는 가로 중심선(Q-Q)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착용하면, 액체 흡수성 패널(23)이 세로 방향(Y)으로 만곡하며, 배리어 시트(3)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의 수축에 의해 부상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며, 배리어 시트(3)와 액체 흡수성 패널(23) 사이에 공극(29)을 형성한다(도 2 참조). 그리고 전후방 연통부(33, 34)를 통해 배설물을 공극(29)에 통과시켜, 배설물과 착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배리어 시트(3)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 외의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전후방 연통부(33, 34)는 내측 가장자리(35, 37)에서 거의 직선을 가지며, 폐쇄 가장자리(36, 38)에서 곡선을 그림으로써 중간 부분(32)으로부터 앞뒤 단가장자리(27, 28)를 향하여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3)에는, 전후방 연통부(33, 34)를 따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를 신장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는 세로 중심선(P-P)을 사이에 두고 거의 대칭으로 부착되고, 전방 연통부(33)를 따르는 전방부(39a, 40a)와, 후방 연통부(34)를 따르는 후방부(39b, 40b)와, 이들 전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32)에서 세로 중심선(P-P)을 향하는 볼록형부(39c, 40c)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는, 볼록형부(39c, 40c)에서 가장 그 가로 방향(X)의 간격(W1)이 작아지고, 전후방부(39a, 39b, 40a, 40b)는 중간 부분(32)으로부터 앞뒤 단가장자리(27, 28)를 향하여 그 가로 방향(X)의 간격이 커지도록 넓어지고 있다.
중간 부분(32)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 측부분(30, 31)에는, 절제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절제부(41)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볼록형부(39c, 40c)의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부터, 양 측부분(30, 31)의 가로 방향(X)의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42, 43)를 향하여 V자를 그리도록 시트를 잘라냄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이 절제부(41)에 의해, 양 측가장자리(42, 43)의 일부도 절제되어 있다.
중간 부분(32)은 그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경계선(R-R)을 포함하고, 절제부(41)는 이 경계선(R-R) 위에 형성되어 있다. 절제부(41)는, 경계선(R-R)에 의해 그 세로 방향(Y)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 측영역(41a)과, 세로 방향(Y)의 후방에 위치하는 뒤 측영역(41b)으로 구획된다. 앞 측영역(41a)은 뒤 측영역(41b)보다도 그 면적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도 5는 액체 흡수성 패널(23), 배리어 시트(3), 샘방지 커프(4)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이며, 설명을 위해 그 일부를 파단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착용자측에 배리어 시트(3)를 중첩하고, 배리어 시트(3)의 착용자측에 샘방지 커프(4)를 중첩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패널(23)과 배리어 시트(3) 사이에는 분리 시트(17)를 개재시키고 있다. 분리 시트(17)는 중간 부분(32)에서 형성되며, 그 상단 가장자리(17a)를 중간 부분(32)에 접합하고, 하단 가장자리(17b)를 액체 흡수성 패널(23)의 내면 시트(26)에 접합하고 있다. 분리 시트(17)는 중간 부분(32)의 가로 방향(X)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고, 그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는 양단 가장자리(17c)가 중간 부분(32)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절제부(41)에 나타나 있다. 상단 가장자리(17a)에 위치하는 양 측가장자리(17c)는 배리어 시트(3)에 접합되는 일이 없으며, 하단 가장자리(17b)에 위치하는 양 측가장자리(17c)는 내면 시트(26)에 접합되어 있다.
분리 시트(17)는, 기저귀의 착용 시에 배리어 시트(3)가 액체 흡수성 패널(2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이 이격 방향으로 솟아올라, 공극(29)을 앞뒤 방향으로 이격하는 것이며, 기저귀의 착용 전에 있어서의 도 5의 상태에서는 상하단 가장자리(17a, 17b)를 중첩시키도록 하여 접어 포개어져 있다.
배리어 시트(3)는, 양 측부분(30, 31)이 액체 흡수성 패널(23)측으로 되접어 꺾여져 두겹으로 되어 있다. 이 두겹이 된 양 측부분(30, 31) 사이에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를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샘방지 커프(4)는 Z자를 그리도록 3겹으로 접어 포개어진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샘방지 커프(4)는, 제1 면(44), 제2 면(45) 및 제3 면(46)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면(44)은, 액체 흡수성 패널(23)과 섀시(2) 사이에 위치하고, 섀시(2)의 내측 시트(11)에 접합되어 있다. 제2 면(45)은, 제1 면(44)으로부터 배리어 시트(3)의 착용자측으로 되접어 꺾어지며 양 측부분(30 또는 31)에 중첩되어 있다. 제3 면(46)은, 제2 면(45)의 착용자측으로 접어 포개어져 있다. 즉, 제1, 제2, 제3 면(44, 45, 46)의 순으로 착용자측으로 접어 포개어지고, 제1 면(44)과 제2 면(45)은, 액체 흡수성 패널(23)을 통해 중첩되며, 제2 면(45)과 제3 면(46)은 직접 중첩되어 있다. 제3 면(46)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47)는 커프 탄성 부재(48)를 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되접어 꺾여져 있다. 커프 탄성 부재(48)는, 되접어 꺾여진 측가장자리(47) 사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며, 앞뒤 단부분(49, 50)에 걸쳐 세로 방향(Y)에 부착되어 있다.
샘방지 커프(4)는, 앞뒤 단부분(49, 50)에서, 제1 면(44)을 액체 흡수성 패널(23)에 접합하고, 제2 면(45)을 배리어 시트(3)에 접합하며, 제3 면(46)을 제2 면(45)에 접합하고 있다. 이 샘방지 커프(4)에 커프 탄성 부재(48)의 수축력이 작용하면, 제2 면(45) 및 제3 면(46)을 신장시켜 배리어 시트(3)로부터 기립하도록 이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벽을 형성한다. 제2 면(45) 및 제3 면(46)에서 배리어 시트(3)로부터 이격되는 부분, 즉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자유 가장자리부라고 한다.
이러한 배리어 시트(3)의 양 측부분(30, 31)은, 제1 고착대(51)를 통해 섀시(2)의 내면 시트(26)에 접합되고, 제2 고착대(52)를 통해 샘방지 커프(4)에 접합되어 있다. 제1 고착대(51)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고,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절제부(41) 부근에서 이분할되어 있다. 즉, 제1 전방 고착대(53)는, 절제부(41)의 앞 측영역(41a) 근방에서부터 앞 단가장자리(27)까지 연장되고, 제1 후방 고착대(54)는, 절제부(41)의 뒤 측영역(41b) 근방에서부터 뒤 단가장자리(28)까지 연장되고 있다. 제1 전방 고착대(53) 및 제1 후방 고착대(54)는, 절제부(41)로부터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착대(52)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고, 세로 방향(Y)으로 이분할되어 있다. 즉, 제2 고착대(52)는, 절제부(41)의 앞 측영역(41a) 근방에서부터 앞 단가장자리(27)측으로 연장되는 제2 전방 고착대(55)와, 절제부(41)의 뒤 측영역(41b)에서부터 뒤 단가장자리(28)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 고착대(56)를 포함한다. 제2 전방 고착대(55) 및 제2 후방 고착대(56)는, 절제부(41)로부터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방 고착대(55)는,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의 전방부(39a, 40a)와 적어도 그 일부에서 중첩되며, 제2 후방 고착대(56)는,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의 후방부(39b, 40b)와 적어도 그 일부에서 중첩되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배리어 시트(3), 액체 흡수성 패널(23), 제1 고착대(51), 제2 고착대(52)의 설명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후방 고착대(55, 56)는, 제1 전후방 고착대(53, 54)보다도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전방 고착대(53, 55)는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L1)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2 후방 고착대(56)의 세로 방향(Y)의 길이 치수(L2)는 제1 후방 고착대(54)의 그 치수(L3)보다도 짧아지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며, 이점 쇄선은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 및 커프 탄성 부재(48)가 수축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배리어 시트(3)의 측부분(31)측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측부분(3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 48)의 수축 상태, 즉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는, 샘방지 커프(4)의 제2 면(45) 및 제3 면(46)의 자유 가장자리부가 액체 흡수성 패널(2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신장한다. 샘방지 커프(4)의 신장에 따라, 제2 면(45)에 위치하는 제2 고착대(52)를 통해 접합된 측부분(31)이 액체 흡수성 패널(2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또한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끌어올려진다. 따라서, 배리어 시트(3)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고착대(52)를 제1 고착대(51)보다도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샘방지 커프(4)가 기립하였을 때에, 보다 액체 흡수성 패널(23)로부터 멀어지는 위치, 즉 도면 상측에서 배리어 시트(3)를 접합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3)가 착용자의 피부에 확실하게 접촉한 경우라도, 절제부(41)를 마련함으로써, 착용자에게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접촉 면적이 작은 만큼, 접촉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저감할 수 있고, 습기로 인한 답답함에 기인하는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 면적이 작아지면, 배리어 시트(3)에서의 통기성도 향상되고, 발진의 방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저귀의 착용 시에는, 세로 방향(Y)의 후방보다도 전방 쪽이 착용자에의 기저귀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더구나 전방에서는 배뇨에 의해 습기로 인한 답답함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래서, 절제부(41)의 앞 측영역(41a)을 뒤 측영역(41b)보다도 넓게 함으로써, 한층 더 접촉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방지할 수 있다.
절제부(41)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와, 액체 흡수 구조체(10)의 내면 시트(26)가 직접 연통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땀 등의 수분이 직접 액체 흡수 구조체(10)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 발진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절제부(41)에서는, 분리 시트(17)의 양 측가장자리(17c)가 나타나 있다. 분리 시트(17)는, 중간 부분(32)에서 공극(29)을 전후 방향으로 이격시키기 때문에, 전방 연통부(33)에 배설된 뇨 등이 후방 연통부(34)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후방 연통부(34)에 배설된 변 등이 전방 연통부(33)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절제부(41)에서는, 분리 시트(17)의 상단 가장자리(17a)가 접합되는 일 없이 그 양 측가장자리(17c)가 나타나 있기 때문에, 배설된 변 등이 절제부(41)로부터 비어져 나오려고 할 때에 이것을 둘러싸도록 하여 비어져 나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착대(51, 52)를 세로 방향(Y)으로 이분할함으로써, 절제부(41)를 피하여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착용자에게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착제의 접촉에 의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착대(51, 52) 사이를 접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 시에 샘방지 커프(4)가 기립한 상태에서는, 배리어 시트(3)를 제2 전후방 고착대(55, 56)로 전후 좌우의 4방향으로 인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 좌우의 4방향으로 인장시킴으로써, 중간 부분(32) 부근에서의 시트의 이완을 방지하고, 배리어 시트(3)의 중간 부분(32)을 확실하게 착용자에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제2 전방 고착대(55)는 전방 연통부(33)의 양 측부분(30, 31)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샘방지 커프(4)가 기립한 경우에는, 이 제2 전방 고착대(55)를 통해 양 측부분(30, 31)을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인장시킬 수도 있다. 양 측부분(30, 31)이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인장되면 전방 연통부(33)의 개구가 넓어진다. 전방 연통부(33)에는 외성기를 면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개구가 넓어짐으로써, 배리어 시트(3)가 외성기에 접촉하여, 피부에 지나친 자극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후방 고착대(54)보다도 제2 후방 고착대(56) 쪽이, 그 세로 방향(Y)으로의 치수를 짧게 함으로써, 후방 연통부(34)의 개구가 지나치게 커지는 일이 없다. 후방 연통부(34)의 개구가 지나치게 커지면, 그 개구로부터 변이 비어져 나와 버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후방 고착대(54)가 제2 후방 고착대(56)보다도 세로 방향(Y)으로의 치수를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3)가 샘방지 커프(4)에 의해 가로 방향(X)으로 인장되었을 때에, 배리어 시트(3)의 양 측부분(30, 31)이 장벽과 같이 솟아오르기 쉬워진다. 배리어 시트(3)가 장벽과 같이 솟아오르기 쉬워지면, 후방 연통부(34)로부터의 변이 절제부(41)의 하측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성 패널(23)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절제부(41)로부터 비어져 나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배리어 시트(3)는, 제1 고착대(51)에 의해 섀시(2)에 접합되고, 제2 고착대(52)에 의해 샘방지 커프(4)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들 제1 및 제2 고착대(51, 52) 양쪽을 반드시 형성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만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및 제2 고착대(51, 52)로서는 일반적인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고착대(51, 52)를 소닉 시일이나 히트 시일 등의 일반적인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 및 제2 고착대(51, 52)는 배리어 시트(3)에 대하여 연속하여 띠형으로 고착되는 것이어도 좋고, 간헐적으로 고착되어 전체로서 띠형이 되는 것이어도 좋다.
배리어 시트(3) 및 샘방지 커프(4)는, 각각 한장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두장의 시트를 접합시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 및 커프 탄성 부재(48)를 각각 두장의 시트 사이에 끼워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리어 시트(3)를 두장의 시트로 형성한 경우에는, 절제부(42)의 구획 가장자리에서는, 두장의 시트를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하고, 이들 사이로부터 배설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 시트(3)는, U자형의 전후방 연통부(33, 34)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O자형으로 도려낸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배리어 시트(3) 및 샘방지 커프(4)는 액저항성 및 통기성의 부직포 등, 내측 시트(11) 및 외측 시트(12)는 통기성 부직포 등, 샘방지 시트(13)는 플라스틱 필름 등, 액체 흡수성 코어 재료(25)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 각각 당기술 분야의 관용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리어 시트(3)에 형성한 절제부의 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고, 다른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리어 시트(3)는 양 측부분(30, 31)의 일부를 절취한 절제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절제부(57)는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의 볼록형부(39c, 40c)의 가로 방향(X) 외측으로부터 양 측가장자리(42, 43)를 향하여 넓어지며, 시트를 도려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절제부(57)에서는, 양 측가장자리(42, 43)를 절취하는 일 없이 잔존시킴으로써, 대략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리어 시트(3)에 절제부(57)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배리어 시트(3)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피부의 발진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양 측가장자리(42, 43)에 시트가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3)와 내면 시트(26)를 접합하는 제1 고착대(51)를 이분할하는 일 없이, 배리어 시트(3)의 앞뒤 단가장자리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단, 배리어 시트(3)의 상측으로 부상하였을 때의 섀시와의 이격 거리를 많게 하고자 하면, 제1 고착대(51)를 앞뒤 고착대로 이분할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다른 수단으로서, 양 측부분(30, 31)에 복수의 작은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도 9, 10은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배리어 시트(3)는 양 측부분(30, 31)에 중간 탄성 부재(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이외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중간 탄성 부재(58)는, 중간 부분(32)이며 제1 및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9, 40)의 볼록형부(39c, 40c)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중간 탄성 부재(58)는 볼록형부(39c, 40c) 근방으로부터 양 측가장자리(42, 43)를 향하여,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중간 탄성 부재(58)가 부착된 가로 방향(X)의 외측에서는, 제1 고착대(51)가 제1 전후방 고착대(53, 54)로 이분할되어 있다. 즉, 중간 탄성 부재(58)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서는, 배리어 시트(3)와 내면 시트(26)가 접합되지 않도록 하며, 배리어 시트(3)와 샘방지 커프(4)도 접합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저귀의 착용 시에 중간 탄성 부재(58)가 수축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에 따라 배리어 시트(3)의 양 측부분(30, 31)이 세로 중심선(P-P)을 향하여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시트를 줄어들게 하여 착용자에 대한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에 의한 습기로 인한 답답함을 경감하고,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1: 기저귀
2: 섀시
3: 배리어 시트
4: 샘방지 커프
5: 신체측 내면
6: 착의측 외면
7: 앞 허리 영역
8: 뒤 허리 영역
9: 가랑이 아래 영역
10: 액체 흡수 구조체
17: 분리 시트
27: 앞 단가장자리
28: 뒤 단가장자리
29: 공극
30: 측부분
31: 측부분
32: 중간 부분
33: 전방 연통부
34: 후방 연통부
39: 제1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
40: 제2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
41: 절제부
41a: 앞 측영역
41b: 뒤 측영역
42: 측가장자리
43: 측가장자리
48: 커프 탄성 부재
51: 제1 고착대
52: 제2 고착대
53: 제1 전방 고착대
54: 제1 후방 고착대
55: 제2 전방 고착대
56: 제2 후방 고착대
57: 절제부
58: 중간 탄성 부재

Claims (7)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갖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과, 상기 양 측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앞뒤 단가장자리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신장 상태로 부착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뒤 단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며,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함으로써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 측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양 측부분에는, 상기 양 측부분의 일부를 절취한 절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부는, 상기 양 측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의 일부를 포함하여 절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부는, 상기 양 측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양 측가장자리를 절제하는 일 없이 잔존시키고, 상기 양 측가장자리와 상기 중간 부분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중간 부분을 통해 상기 세로 방향의 앞측에 위치하는 전방 연통부와, 상기 세로 방향의 뒷측에 위치하는 후방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세로 방향을 이등분하는 경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절제부는, 상기 경계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경계선에 의해 구획된 상기 세로 방향의 앞 측영역과 뒤 측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 측영역은 상기 뒤 측영역보다도 그 면적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섀시 사이에는, 상기 공극을 상기 앞 허리 영역측과 상기 뒤 허리 영역측으로 이격시키는 분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시트는, 상기 중간 부분에서부터 상기 절제부에 걸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갖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 측부분과, 상기 양 측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앞뒤 단가장자리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여 신장 상태로 부착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앞뒤 단가장자리가 상기 섀시의 신체측에 고착되며,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만곡함으로써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 측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부분의 상기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양 측부분에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신장 상태로 부착된 중간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탄성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에서는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섀시가 비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배리어 시트의 신체측이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샘방지 커프를 포함하고,
    상기 샘방지 커프는,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고정 가장자리부와, 상기 섀시에 접합되는 일 없이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한 자유 가장자리부와, 상기 자유 가장자리부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샘방지 커프를 상기 섀시로부터 이격시키는 커프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양 측가장자리부가 상기 섀시에 고착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보다도 상기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 고착대와, 상기 양 측부분이 상기 샘방지 커프에 고착되고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보다도 상기 뒤 단가장자리측으로 연장되는 제2 후방 고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방 고착대는 상기 제2 후방 고착대보다도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07015098A 2007-12-18 2008-08-18 흡수성 물품 KR20100105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6314 2007-12-18
JP2007326314A JP2009148309A (ja) 2007-12-18 2007-12-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58A true KR20100105658A (ko) 2010-09-29

Family

ID=4079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098A KR20100105658A (ko) 2007-12-18 2008-08-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09842A1 (ko)
EP (1) EP2236113A4 (ko)
JP (1) JP2009148309A (ko)
KR (1) KR20100105658A (ko)
CN (1) CN101925339A (ko)
AU (1) AU2008336925A1 (ko)
BR (1) BRPI0819588A2 (ko)
CA (1) CA2708653A1 (ko)
EA (1) EA201070674A1 (ko)
WO (1) WO2009078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5607B2 (ja) * 2007-12-20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36268B2 (ja) * 2010-02-26 2014-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41864B2 (ja) 2011-12-01 2017-06-07 ケモセント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Ccr(4)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置換アニリン
GB201814501D0 (en) * 2018-09-06 2018-10-24 Concepts For Success C4S Faeces separation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093A (en) * 1968-04-22 1970-10-06 Rose Lovret Separable compartmented diaper construction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JP2559050Y2 (ja) * 1992-07-01 1998-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SE502548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SE508283C2 (sv) * 1995-02-02 1998-09-21 Moelnlycke Ab Absorberande byxa
SE512766C2 (sv) * 1997-05-26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produkt och sätt att bilda en barriär mellan ett toppskikt och en absorbtionskropp i en sådan produkt
JP4480859B2 (ja) * 2000-06-29 2010-06-16 王子製紙株式会社 おむつ
AU2001267863A1 (en) * 2000-06-29 2002-01-08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bsorber product
JP3927360B2 (ja) * 2000-09-21 2007-06-06 王子製紙株式会社 おむつ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919023B1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14555B2 (ja) * 2005-10-14 2007-05-16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62752B2 (ja) * 2005-10-14 2007-08-22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57726B2 (ja) 2005-10-14 2007-08-15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87094B2 (ja) * 2005-10-14 2007-10-0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8061898A (ja) * 2006-09-08 2008-03-2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6113A1 (en) 2010-10-06
AU2008336925A1 (en) 2009-06-25
CA2708653A1 (en) 2009-06-25
WO2009078197A1 (ja) 2009-06-25
EP2236113A4 (en) 2012-07-18
US20110009842A1 (en) 2011-01-13
CN101925339A (zh) 2010-12-22
JP2009148309A (ja) 2009-07-09
BRPI0819588A2 (pt) 2015-09-29
EA201070674A1 (ru)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5665B2 (ja) 吸収性物品
JP5383271B2 (ja) 吸収性物品
JP4870971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522069B1 (ko) 착용 물품
US8216205B2 (en) Disposable diaper
JP5346275B2 (ja) 着用物品
KR101275414B1 (ko)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JP2004089491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09061127A (ja) 吸収性物品
WO2009087823A1 (ja) 吸収性物品
WO2009145287A1 (ja) 吸収性物品
WO2009119135A1 (ja) 吸収性物品
KR101330420B1 (ko) 흡수성 물품
KR20100105658A (ko) 흡수성 물품
KR20100106967A (ko) 흡수성 물품
WO201610386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3240673U (ja) 吸収性物品
WO202013805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吸収パッド取り付け方法
US20110060304A1 (en) Disposable pants-type diaper
WO2009148061A1 (ja) 吸収性物品
CN113679533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