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86A -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 - Google Patents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186A
KR20200023186A KR1020190093956A KR20190093956A KR20200023186A KR 20200023186 A KR20200023186 A KR 20200023186A KR 1020190093956 A KR1020190093956 A KR 1020190093956A KR 20190093956 A KR20190093956 A KR 20190093956A KR 20200023186 A KR20200023186 A KR 2020002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eat
line
cushion
pie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사토
나오카즈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ublication of KR2020002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착좌자의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좌면"에 착안하여, 착좌하였을 때에 올바른 앉은 자세가 되도록 유도하고, 그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고, 착좌감이 좋고 안정감을 지닌 좌면을 가진 착좌용 쿠션을 제공한다.
착좌용 쿠션은, 가요성을 가진 판형상재로 이루어진 좌면체를 구비하고, 좌면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입된 복수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착좌 변형부가 마련되고, 착좌 변형부는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좌골 지지부와,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Seat cushions and seats for chairs}
본 발명은 의자 등의 좌면 상에 올려놓고 이용하는 착좌용 쿠션 및 의자의 좌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앉은 자세를 올바른 자세(좋은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나 정보 통신 등의 기술 혁신이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업무 및 통상의 생활에 있어서 의자 등에 앉아서 보내는 앉아 있는 시간이 장시간화 하고 있다. 서서있는 서있는 자세에 비해 의자에 앉아 있는 앉은 자세는 척추나 골반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장시간의 앉은 자세는 뼈의 변형이나 요통, 어깨 결림, 내장 기능의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기 쉽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또한, 나쁜 앉은 자세는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그 때문에, 착좌하였을 때 올바른 자세를 취하기 위한 자세 교정기구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골반을 정상적인 위치로 유지하는 쿠션으로서, 척추 늘림부와, 흉추·요추 지지부와, 골반 수용부를 구비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와 등 사이에 넣는 쿠션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골반을 세우는 것을 의식시켜 올바른 자세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골반 쿠션으로서, 좌부와 일체 적으로 세워져 마련된 등받이부를 가지며, 이 등받이부의 내부에 착좌자의 골반 중앙을 누르는 가압체가 매립되어 있는 골반 쿠션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06-9526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 제2017-113372호 공보
착좌자의 앉은 자세는 착좌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건강 상태 등의 내부 요인도 있지만, 착좌 대상인 의자 등의 등받이 및 좌면, 다리를 접지시키는 바닥면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유도되고 있다. 이 가운데, 착좌 대상의 "좌면"은 착좌자의 체중의 약 80%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이 좌면이 앉은 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점,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쿠션은 모두 착좌 대상의 좌면으로는 아니고, "등받이"에 착안하여 개발 된 것으로써, 주로 등받이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좌자의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좌면"에 착안하여, 착좌하였을 때 올바른 앉은 자세가 되도록 유도하고, 그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며, 착좌감이 양호한 안정감 있는 좌면을 가진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검토 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른바, 올바른 앉은 자세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반(P)이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고, 골반(P)이 바로 서있는(세워진) 상태이다. 이때, 중심은 골반(P)과 바닥면에 착지한 발바닥의 사이에 있는 지지 기저면(G) 내에 위치하고 있어, 밸런스가 좋게 안정되어 있다. 한편, 나쁜 앉은 자세란 골반이 뒤쪽으로 기울어진 골반 후경(後傾) 자세이지만, 이때 중심은 몸의 중심과는 떨어져 골반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불안정한 자세가 된다. 그러므로, 머리를 앞으로 내밀어 밸런스를 잡으려 하기 때문에, 척추가 굽은 새우등 자세를 취해 버린다. 여기에서, 골반(P)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골반 전경(前傾) 자세의 경우에는, 중심은 지지 기저면(G)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골반 후경 자세와 비교하면 밸런스는 안정되어 있다. 이때, 더 밸런스를 안정시키려면 상반신을 전체적으로 뒤쪽으로 넘어지도록 하지만, 이에 따라 골반(P)이 서있는(세워진) 자세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착좌 시에 골반 직립 자세 또는 골반 전경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반의 자세는 좌면의 강성(경도)과 관련되어 있어, 좌면의 강성이 클(딱딱할)수록 골반 전경 자세로 유도되기 쉽고, 좌면의 강성이 작을(푹신할)수록 골반 후경 자세로 유도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골반 전경 자세를 유도하려 하여 강성이 크고 딱딱한 좌면을 선택하면, 딱딱한 좌면은 착좌 시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골반 전경 자세를 계속하여 유지하기 어렵고, 자세 유지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착좌 시에 골반 전경 자세를 안정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좌면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착좌 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었다. 이 착좌 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때에는, 좌면의 강성을 작게(푹신하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지만, 좌면을 푹신하게 하면, 골반의 각도가 결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골반 후경 자세가 유도되어 자세가 나빠지기 때문에, 좌면의 강성과 접촉 면적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다. 그래서,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더 연구를 진행하여 착좌면의 강성과 접촉 면적을 양립하고, 골반 전경 자세의 형성과 유지를 실현하는 수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좌용 쿠션은, 가요성을 가진 판형상재로 이루어진 좌면체를 구비한 착좌용 쿠션에 있어서, 이 좌면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입된 복수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착좌 변형부가 마련되고, 착좌 변형부는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좌골 지지부와,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체형이나 체중에 추종하여 좌면체에 절입 형성된 착좌 변형부가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다. 또한, 이 "압출 변형"으로는, 하중이 부하된 착좌 변형부가 좌면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압출되어 변형하는 것, 및 하중이 부하된 착좌 변형부가 비관통(하프 커트)의 절입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휘도록 압출되어 변형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착좌 변형부는 좌골 지지부와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좌골 지지부는 착좌자의 골반을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하도록 압출 변형되고, 좌골 지지부의 외주에 배치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는 착좌자의 엉덩이·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와의 접촉 면적을 커지게 하여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착좌감도 높인다. 그러므로, 착좌자를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하고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착좌자에게 올바른 앉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좌용 쿠션의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은 그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입선이 선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좌우 밸런스 좋은 착좌 변형부의 압출 변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 중 좌골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은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좌자가 좌면체에 앉은 상태에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중심을 이동시키는 등, 좌골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좌우로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중 부하가 커진 부분만을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착좌자의 좌골과 좌골 지지부의 밀착(fit)성이 높아져, 착좌자의 좌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 중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의 적어도 일부는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엉덩이·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커지게 하여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착좌감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은 곡선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면체가 부드럽게 압출 변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착좌자의 하중에 의한 좌면체의 압출 변형이 실현된다.
또한,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은 이 좌면체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것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면체의 압출 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좌자의 체형에 추종한 좌면체의 압출 변형이 실현된다.
또한,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는 경도가 E경도(JIS K6253에 준거)로 5~80인 합성수지 발포체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체형이나 체중에 추종하여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가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되어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한 상태에 있어서, 좌면체 상면의 추가적인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골반의 각도가 결정되고, 앉은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좌용 쿠션은, 좌면체의 하면 측에 이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 보다도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 신축성 시트 및 신축성 망상 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면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중 시의 좌면체의 압출 변형량을 좌면 지지체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좌자가 일어서는 등으로 쿠션에 하중을 부하하지 않았을 때에는, 좌면체의 압출 변형된 부분이 좌면 지지체에 의해 되돌아가기 때문에, 좌면체의 변형이 쉽게 복원되고 표면이 평평한 상태로 되어, 다음 착좌에 의한 하중 부하에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는 50~400N(JIS K6400-2 A법 준거)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좌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로서 바람직한 것이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용 좌면은, 가요성을 가진 판형상재로 이루어진 좌면체를 구비한 의자용 좌면에 있어서, 이 좌면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입된 복수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착좌 변형부가 마련되고, 착좌 변형부는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좌골 지지부와,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체형이나 체중에 추종하여 좌면체에 절입 형성된 착좌 변형부가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다. 착좌 변형부는 좌골 지지부와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좌골 지지부는 착좌자의 골반을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하도록 압출 변형되고, 좌골 지지부의 외주에 배치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는 착좌자의 엉덩이·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와의 접촉 면적을 커지게 하여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착좌감도 높인다. 그러므로, 착좌자를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하고 앉은 자세를 안정시켜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의자용 좌면의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은 이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 중 좌골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은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 중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의 적어도 일부는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 복수의 절입선은 좌면체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것인 것, 좌면체의 하면 측에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 보다도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 신축성 시트 및 신축성 망상 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면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착좌자를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하고,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 좌면체와의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착좌감이 좋다.
(3) 가요성을 가진 판상체에 소정의 절입선을 마련함으로써 좌면체가 얻어지기 때문에, 간단하면서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착좌용 쿠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좌용 쿠션에 있어서 좌골 지지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위쪽에서 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착좌용 쿠션에 있어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a) A-A선 단면도, (b) B-B선 단면도 및 (c)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착좌용 쿠션의 (a) 사용 상태의 사시도 및 (b) D-D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착좌 변형부 중 주로 좌골 지지부를 형성하는 절입선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착좌 변형부 중 주로 좌골 지지부를 형성하는 절입선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착좌 변형부 중 주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형성하는 절입선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의자용 좌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 시험에 이용한 (a) 평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및 (b) 평가 장치 중 엉덩이 모형의 엉덩이부 측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실시예로 만든 착좌용 쿠션의 좌면체의 절입선 패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좋은 착좌 자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착좌용 쿠션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착좌용 쿠션(1)은, 평판 형상의 좌면체(2)와, 그 하면 측에 평판 형상의 좌면 지지체(6)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착좌용 쿠션(1)을 의자나 바닥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상하 방향, 즉, 도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우 방향이란, 착좌용 쿠션(1)을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착좌용 쿠션(1)의 폭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착좌용 쿠션(1)의 사용 방향은, 도 1, 도 5에 있어서 뒤쪽이 허벅지(다리) 방향, 앞쪽이 엉덩이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착좌용 쿠션(1)을 구성하는 좌면체(2)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착좌용 쿠션(1)의 좌면체(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형상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면체(2)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복수의 절입선(3)이 마련되어 있다. 절입선(3)은 착좌자의 좌골(H)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나선 모양의 좌골 지지부 절입선(3a)과, 이 나선 모양의 절입선(3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호 모양의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면체(2)에 마련된 이러한 복수의 절입선(3)에 의해, 착좌자의 체중이나 체형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되는 착좌 변형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의해 좌골 지지부(4a)가 형성되고,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에 의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좌면체(2)를 형성하는 판상체로는 가요성을 가진 재료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발포체, 합성수지 판 및 합성 목판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가운데 경량으로 취급하기 쉽고, 슬릿 가공도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수지 발포체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발포체,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올레핀 발포체 또는 실리콘 발포체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면체(2)를 형성하는 판상체는 착좌 시에 골반 후경 자세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고, 골반 직립 자세 또는 골반 전경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자세 유지하는 관점에서 일반적인 착좌용 쿠션으로 이용되는 쿠션재 보다도 경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JIS K6253에 준거하여 측정된 타입 E경도가 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6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도 범위로 함으로써 착좌 변형부(4)가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되어 올바른 앉은 자세로 유도한 상태에 있어서, 좌면체의 상면의 추가적인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골반의 각도가 결정되고, 앉은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예로서 좌면체(2)는 E경도 40(JIS K6253에 준거)의 폴리에틸렌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면체(2)를 형성하는 판상체의 두께는 착좌 변형부(4)가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되어 좌면체(2)의 상면이 착좌자의 좌골이나 엉덩이·허벅지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변형하고, 착좌자의 자세를 지지하는 관점에서 1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mm~3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좌골 지지부(4a) 및 그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좌면체(2)에 마련된 복수의 절입선(3) 중 좌골 지지부(4a)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을 점선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체(2)의 좌골 지지부(4a)는 착좌자의 좌골(H)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좌골(H)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골 지지부(4a)는 좌면체(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선(3a)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골 지지부(4a)는 한 쌍의 나선 모양의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의해 구성된 좌골 지지부(4a)는 착좌에 의한 하중 부하에 의해 착좌자의 좌골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 결과, 좌면체(2)의 상면이 착좌자의 골반이 직립 또는 전경 상태가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착좌자의 좌골(H)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골반이 후경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골반 후경 억제 작용은 좌골 지지부(4a)의 압출 변형 후의 반발성(경도에 상당)이 클수록 현저하게 되고, 압출 변형 후의 반발성은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의 패턴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골 지지부(4a)는 착좌자의 좌골(H)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폭 방향의 크기로서는 150mm~250mm의 범위, 깊이(앞뒤) 방향의 크기로서는 70mm~150mm 범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골 지지부(4a)를 구성하는 한 쌍의 나선 모양의 절입선(3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나선 형상의 중심(M) 사이의 거리가 착좌자의 좌골(H)의 좌골 결절(I)의 최대 돌부 사이의 길이(L)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골 결절(I)의 최대 돌부 사이의 길이(L)는 성별이나 체격 등에 의해 변화하지만, 일반적으로는 80mm~140mm 정도이며, 미리 복수의 사이즈로 배치 형성한 것에서 사용자가 자기의 좌골 사이즈에 따라 선택하여도 좋고, 사용자 마다 커스터마이즈 하여 배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나선 모양의 절입선(3a)의 인접하는 선과의 사이에는 띠형상부(5)가 형성되어 있으나, 절입선(3a)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나선이 조밀해져 좌골 지지부(4a)의 경도가 작아지기(압출 변형량이 많아진다) 때문에 착좌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절입선(3a)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띠형상부(5)의 띠 폭이 넓어져서 좌골 지지부(4a)가 압출 변형하기 어려워져 신체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는 관점에서, 띠형상부(5)의 폭은 5mm~50mm가 바람직하고, 10mm~3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좌골 지지부(4a)가 좌면체(2)에서 분리 탈락하지 않도록,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의 양 끝단부는 좌면체(2)의 외주 단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골 지지부(4a)가 좌면체(2)에서 분리 탈락하지 않는다면,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의 외측 단부는 좌면체(2)의 외주 단부에 도달하여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은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대하여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 대칭으로 절입선(3a)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밸런스 좋게 좌골 지지부(4a)의 압출 변형이 이루어져 착좌자의 좌골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2 및 도 4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은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착좌자가 좌면체(2)에 앉은 상태에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중심을 이동시키는 등으로 좌골 지지부(4a)에 가해지는 하중이 좌우로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중 부하가 커진 부분만을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착좌자의 좌골과 좌골 지지부(4a)의 밀착성이 높아져 착좌자의 좌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도시한 좌골 지지부(4a) 및 그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나선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나선 형상은 1개의 곡선에 의한 2겹을 초과하는 나선 패턴이 선택되어 있지만, 상술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진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도 2에 도시한 형상 이외의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도 6 및 도 7에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의 다른 절입 패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좌골 지지부(4a)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6 (a)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으로서 한 쌍의 나선 모양 절입선이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연결한 절입 패턴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b)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으로서 한 쌍의 나선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이지만, 나선 형상이 복수의 곡선으로 구성된 1겹 미만의 나선 모양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c)에는 나선이 꺽은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도 6 (d) 및 도 6 (e)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이 동심원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2개의 동심원이 폭 방향 중심선(S) 근방에서 연결한 형상의 절입 패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6 (d) 및 도 6 (e)에 도시된 절입 패턴 형상에서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은 한 쌍의 절입 패턴으로 구성되지 않고, 일체의 절입 패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a)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이 한 쌍의 동심원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의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b)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이 나선과 동심원을 조합하여 구성된 한 쌍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c) 및 도 7 (d)에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이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것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은 좌골 지지부(4a)가 착좌자의 좌골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부드럽게 압출 변형되도록, 좌면체(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절입선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좌면체(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지 않는 하프 커트선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이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예 : 도 6 (d), 도 6 (e), 도 7 (a)~(d)), 절입선(3a)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프 커트선으로 함으로써 사용 시에 좌면체(2)에서 좌골 지지부(4a)가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프 커트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좌골 지지부(4a)가 휨 변형 또는 압출 변형하기 용이하도록, 좌면체(2)의 하면 측에 하프 커트선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 및 그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좌면체(2)에 마련된 복수의 절입선(3) 중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좌골 지지부(4a)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을 점선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면체(2)의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좌골 지지부(4a)의 외주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좌면체(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선(3b)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한 쌍의 나선 모양의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원호 모양의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착좌자의 엉덩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엉덩이 지지부(4b2)와, 착좌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허벅지 지지부(4b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에 의해 구성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착좌에 의한 하중 부하에 의해 착좌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의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되기 때문에, 착좌자의 체형에 맞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착좌자의 엉덩이·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2)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만들어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고 착좌감을 높인다.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는 착좌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폭 방향의 크기로는 200mm~500mm의 범위, 깊이(앞뒤) 방향의 크기로는 200mm~400mm 범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입선(3b)의 인접한 선과의 사이에는 띠형상부(5)가 형성되어 있지만, 절입선(3b)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선끼리의 간격이 조밀해져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의 경도가 작아지기(압출 변형량이 많아진다) 때문에 착좌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절입선(3b)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띠형상부의 띠 폭이 넓어지게 되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압출 변형하기 어려워지게 되어 신체에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관점에서 5mm~50mm가 바람직하고, 10mm~3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좌면체(2)에서 분리 탈락하지 않도록,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의 양 끝단부는 좌면체(2)의 외주 단부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좌면체(2)에서 분리 탈락하지 않는다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의 끝단부의 한 쪽이 좌면체(2)의 외주 단부에 도달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대하여 원호가 대향 배치된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좌우 대칭으로 절입선(3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밸런스 좋게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의 압출 변형이 이루어져 착좌자의 엉덩이나 허벅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3 및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를 구성하는 복수의 절입선(3b) 중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4b1)를 구성하는 절입선은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2)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크게 하여 착좌감을 높이고 앉은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도시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 및 그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 모양의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곡선이,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절입 패턴 형상이 선택되어 있다. 절입 패턴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가까운 쪽에서 2개는 C자형의 원호가 배치되고, 중심선(S)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된 역 C자형의 원호와는 연결되지 않고 중심선(S)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C자형의 원호의 바깥쪽에 배치된 5개의 원호 모양의 곡선은 중심선(S)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된 각 원호와 각각 연결된 결과, 전체적으로 대략 M자형의 곡선이 5개 배치된 절입 패턴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원호 모양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절입 패턴 형상이 선택되어 있지만, 상술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절입 패턴 형상으로서, 도 3에 도시한 형상 이외의 절입 패턴 형상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도 8에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의 다른 절입 패턴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3은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를 형성하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좌골 지지부(4a)를 형성하는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8 (a) 및 도 8 (b)에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으로서 좌면체(2)의 폭 방향 중심선(S)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된 C자형의 원호가 중심선(S) 근방에서 연결되어 있는 절입 패턴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a)에는 C자형의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앞쪽(엉덩이 지지부(4b2) 측)이 각각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역 M자형의 곡선을 2개 형성하는 동시에, 뒤쪽(허벅지 지지부(4b1) 측)의 원호 모양의 곡선이 각각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M자형의 곡선을 5개 형성하고 있고, 도 8 (b)에는 3개의 C자형의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뒤쪽의 1개만(허벅지 지지부(4b1) 측만)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M자형의 곡선을 1개 형성하고, 게다가 그 뒤쪽에 원호 모양의 곡선이 각각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M자형의 곡선을 3개 형성하고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 (c)에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으로서 C자형의 원호가 선대칭으로 배치된 패턴만으로 이루어지고, 뒤쪽(허벅지 지지부(4b1) 측)의 1개만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M자형의 곡선을 1개 형성하는 절입 패턴 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d)에는 도 8 (c)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절입선이 곡선이 아닌 꺽은선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게다가, 도 8 (e) 및 도 8 (f)에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으로서 어느 절입선도 중심선(S)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절입 패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C자형이나 원호 모양의 곡선 혹은 꺽은선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절입 패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은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착좌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부드럽게 압출 변형하도록, 좌면체(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절입선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좌면체(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지 않는 하프 커트선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 중 허벅지 지지부(4b1)에 대응하는 뒤쪽의 절입선(3b)만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프 커트선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프 커트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휨 변형 또는 압출 변형하기 쉽도록, 좌면체(2)의 하면 측에 하프 커트선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착좌용 쿠션(1)을 구성하는 좌면 지지체(6)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착좌용 쿠션(1)의 좌면 지지체(6)는 상술한 좌면체(2)의 하면 측에 적층되는 평판 형상의 쿠션재이다. 좌면 지지체(6)는 상층에 위치하는 좌면체(2)의 착좌 변형부(4)의 압출 변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좌면체(2)의 압출 변형량(변형 용이성, 즉 겉보기 경도)을 조정하는 기능과, 착좌 상태가 해소된 경우에 좌면체(2)의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 착좌 변형부(4)를 상측으로 되밀어 내어 좌면체(2)의 변형 형상을 복원하는 기능, 및 착좌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착좌자의 착좌감을 높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좌면 지지체(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좌면체(2)의 착좌 변형부(4)의 압출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좌면체(2) 보다도 푹신하고 경도가 작은 재료, 또는 신축 변형 가능한 재료가 선택되고, 합성수지 발포체, 신축성 시트 및 신축성 망상 시트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우에는, JIS K6400-2 A법에 준거하여 측정된 경도가 50~400N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30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250N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재료의 경도가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기 기능이 보다 양호하게 발휘된다. 좌면 지지체(6)로서 선택되는 신축성 시트나 신축성 망상 시트는 상기 기능을 발현 가능한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장 강도, 인장 응력, 절단 시 신연 등의 변형 특성의 관점에서 적합한 것을 선택하면 좋다. 일예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면 지지체(6)는 경도가 120N(JIS K6400-2 A법에 준거)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면체(2)와 좌면 지지체(6)의 적층면은 착좌 해소 시에 좌면체(2)의 착좌 변형부(4)에 의한 압출 변형을 좌면 지지체(6)가 되밀어 내어 복원시키는 기능을 발현시키기 때문에, 서로는 밀착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면 지지체(6)에 있어서, 좌면체(2)의 착좌 변형부(4)에 의한 압출 변형을 받아내는 영역의 경도를 좌면 지지체(6)에 슬릿, 펀칭(구멍)을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착좌용 쿠션(1)은 수지 발포체 등의 판상체에 대하여 복수의 절입선(3)을 형성하는 톰슨 칼을 구비한 톰슨형 등을 사용하여 프레스 가공이나 기타 각종 가공 수단에 의해 좌면체(2)를 형성한 후, 좌면 지지체(6)와 적층시키는 것만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체(2)와 좌면 지지체(6)를 접착하여 적층하여도 좋고, 좌면 지지체(6)가 신축성 시트나 신축성 망상 시트인 경우에는 좌면체(2)와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착좌용 쿠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착좌용 쿠션(1)에 착좌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 (b)는 도 5 (a)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용 쿠션(1)의 좌면체(2) 상에 착좌하면,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좌골 지지부 절입선(3a)에 의해 구성된 좌골 지지부(4a) 가 착좌에 의한 하중 부하에 의해 착좌자의 좌골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다.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변형은 인접한 절입선(3a) 사이에 형성되는 띠형상부(5)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좌골 지지부(4a)의 압출 변형에 의해 좌면체(2)의 상면은 착좌자의 좌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착좌자의 골반을 직립 상태 또는 전경 상태로 지지 가능한 형상으로 변형한다. 이에 따라, 착좌자의 골반이 후경하는 것을 억제하고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에 의해 구성된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가 착좌에 의한 하중 부하에 의해 착좌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의 형상에 추종하여 아래쪽으로 압출 변형된다.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변형은 인접한 절입선(3b) 사이에 형성된 띠형상부(5)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엉덩이·허벅지 지지부(4b)의 압출 변형에 의해 좌면체(2)의 상면은 착좌자의 엉덩이나 허벅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착좌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에 있어서 좌면체(2)와의 접촉 면적을 커지게 하고 착좌감을 높인다. 이에 따라, 피로하지 않고 올바른 앉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면체(2)는 평판 형상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엉덩이나 허벅지의 형상에 맞추어 적당히 만곡된 형상이나 요철이 형성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면체(2)의 외형은 직사각형 모양이지만, 원형,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체(2) 상에 복수의 착좌 변형부(4)를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긴 의자나 벤치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좌면체(2) 상에 착좌 변형부(4)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좌면체(2)의 착좌 변형부(4)의 작용 및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좌면체(2) 상에 합성수지 발포체 등으로 형성된 표층을 적층하여, 착좌감(감촉)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의자용 좌면(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의자용 좌면(10)은 평판 형상의 좌면체(2)와, 그 하면 측에 평판 형상의 좌면 지지체(6)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의자용 좌면(10)의 좌면체(2) 및 좌면 지지체(6)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그 작용 효과도 동일하다. 의자의 좌면 자체를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착좌용 쿠션(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좌자의 골반이 후경하는 것을 억제하고, 골반이 직립 또는 약간 전경한 상태의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피로하지 않고 올바른 앉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가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 착좌용 쿠션의 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골반의 경사 각도
골반의 경사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 10 (a)에 도시한 측정 장치를 준비하였다. 이 측정 장치는 척추를 모방한 강관(A)과 엉덩이 모형(C)을 자재이음(B)을 매개로 하여 연결한 것이다. 강관(A)에는 자재이음(B)에서 21cm 떨어진 위치에 13kg의 평판추(D)를 장착하고 착좌자로서 신장 125cm, 체중 27kg(8세 정도)의 아동을 상정하였다. 엉덩이 모형(C)에 대한 강관(A)의 장착 위치는 엉덩이 모형(C)의 등 가운데 측 단부로부터 70mm의 위치로 하였다. 또한, 도 1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모형(C)은 JIS S1203의 좌면접촉판의 형상으로 하고, 이 좌면접촉판의 치수를 70%로 상사 축소한 것이며, 좌골 결절 사이의 거리(L)가 80mm인 것을 사용하였다. 착좌용 쿠션의 상면에 대하여 이 측정 장치의 강관(A)에 의한 척추 각도를 수직(90°)으로 한 상태에서 시험 대상의 쿠션 위에 올려, 엉덩이 모형(C)의 상면의 경사 각도 θ1을 골반의 경사 각도로 하여 구하였다. 경사 각도 θ1이 0°에서 골반 직립 자세, 경사 각도 θ1이 양의 값에서 골반 전경 자세, 경사 각도 θ1가 음의 값에서 골반 후경 자세로 평가하였다.
(2) 좌면체와의 접촉 면적
시험 대상의 쿠션 상면에 두께 약 0.5mm의 시트 형상 압력 분포 측정 장치(XSENSOR Technology사 제조, 형식 번호 : XSENSOR PX100.36.36.02)를 부설하였다. 이 위에 상술한 측정 장치의 강관(A)에 의한 척추 각도를 수직(90°)으로 한 상태에서 올려 5분간 방치하고, 엉덩이 모형(C)과 시험 대상의 쿠션의 좌면체 상면과의 접촉 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엉덩이 모형(C)은 (1) 골반의 경사 각도의 측정에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
두께 20mm, 폭 40cm, 깊이(앞뒤 길이) 30cm의 폴리에틸렌 발포체[JIS K6253 준거의 E경도 40, 아사히카세이(旭化成)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선텍폼 Q15]를 준비하고, 그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절입선을 도 11 (a)에 도시한 절입선(3a, 3b)의 절입 패턴으로 형성하여 좌면체를 얻었다. 두께 20mm, 폭 40cm, 깊이 30cm의 폴리우레탄 발포체[JIS K6400-2 A법의 경도 120N(JIS K6253 준거의 E경도 0), 브릿지스톤 화성품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에버라이트 EO]를 하층의 좌면 지지체로 하고, 좌면체와 좌면 지지체를 상하로 적층시켜 실시예 1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비교예 1]
두께 20mm, 폭 40cm, 깊이 30cm의 폴리에틸렌 발포체[JIS K6253 준거의 E경도 40, 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선텍폼 Q15]를 준비하고, 절입선은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좌면체로 하였다. 두께 20mm, 폭 40cm, 깊이 30cm의 폴리우레탄 발포체[JIS K6400-2 A법의 경도 120N(JIS K6253 준거의 E경도 0), 브릿지스톤 화성품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에버라이트 E0]를 하층의 좌면 지지체로 하고, 좌면체와 좌면 지지체를 상하로 적층시켜 비교예 1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비교예 2]
두께 20mm, 폭 40cm, 깊이 30cm의 폴리우레탄 발포체[JIS K6400-2 A법의 경도 250N(JIS K6253 준거의 E경도 0), 브릿지스톤 화성품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에버라이트 GS]를 준비하고, 절입선은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좌면체로 하였다. 이 좌면체와 재질 및 치수가 동일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하층의 좌면 지지체로하고, 좌면체와 좌면 지지체를 상하로 적층시켜 비교예 2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하층의 좌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서 JIS K6400-2 A법의 경도 250N(JIS K6253 준거의 E경도 0), 브릿지스톤 화성품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에버라이트 GS를 이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대하여 좌면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로서 JIS K6253 준거의 E경도 23, 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선텍폼 Q25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3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 대하여 좌면체에 형성된 절입선(3a, 3b)의 절입 패턴을 도 11 (b)에 도시한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4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 대하여 좌면체에 형성된 절입선(3a, 3b)의 절입 패턴을 도 11 (b)에 도시한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5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대하여 좌면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로서 JIS K6253 준거의 E경도 23, 아사히카세이 주식회사 제품, 형식 번호 : 선텍폼 Q25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6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대하여 좌면체에 형성한 절입선(3a, 3b)의 절입 패턴을 도 11 (b)에 도시한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7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대하여 좌면체에 형성한 절입선(3a, 3b)의 절입 패턴을 도 11 (b)에 도시한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8의 착좌용 쿠션을 얻었다. 이 착좌용 쿠션에 대하여 물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1~5의 결과를 표 1에, 실시예 6~8 및 비교예 1~2의 결과를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각 표 내에서, 좌면체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와 좌면 지지체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의 대소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주로 좌면 지지체로서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경도에 대해서는 JIS K6400-2 A법에 의한 경도와 JIS K6253 준거의 E경도를 병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구성 좌면체 발포체 소재 폴리에틸렌
경도 E경도 40 40 23 40 23
JIS6401-2 - - - - -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
연결
11(a)
연결
11(a)
연결
11(a)
이격
11(b)
이격
11(b)
좌면 지지체 발포체/소재 폴리우레탄
경도 JIS6401-2 120N 250N 250N 250N 250N
E경도 0 0 0 0 0
평가결과 경사각도[deg] 1.3 4.4 3.8 4.1 3.9
접촉면적[㎠] 174.19 117.74 140.32 132.26 145.16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구성 좌면체 발포체 소재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경도 E경도 23 40 23 40 0
JIS6401-2 - - - - 250N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
연결
11(a)
이격
11(b)
이격
11(b)
없음 없음
좌면 지지체 발포체/소재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경도 JIS6401-2 120N 120N 120N 120N 250N
E경도 0 0 0 0 0
평가결과 경사각도[deg] 1.4 2.1 2.2 2.5 -12.4
접촉면적[㎠] 235.18 190.23 241.94 60 261.29
실시예 1~8과 비교예 1의 비교로부터, 절입선(3a, 3b)을 좌면체에 마련하고 착좌 변형부를 형성함으로써, 엉덩이 모형 상면의 경사 각도 θ1은 양의 값이 되어, 골반이 직립 또는 약간 전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촉 면적이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래의 연질 우레탄 발포체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2에 관한 쿠션에서는 경사 각도 θ1이 음의 값으로 되어, 골반이 후경하여 앉은 자세가 나빠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과 7, 실시예 2와 4, 실시예 3과 5, 실시예 6과 8의 각각의 비교로부터, 절입선(3)(3a, 3b)에 의한 절입 패턴 형상 중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3b)에 대하여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 근방에는 마련되지 않고 중앙 부분에서 분할한 패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 면적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과 6, 실시예 2와 3, 실시예 4와 5, 실시예 7과 8의 각각의 비교로부터, 절입선(3a, 3b)에 의한 착좌 변형부를 마련한 좌면체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의 범위에 있어서 모두 경사 각도 θ1이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써 골반 전경 자세를 취하고 쉽고, 경도가 작은 좌면체 재료를 선택하여도 골반 전경 자세를 유지하면서 접촉 면적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과 2, 실시예 6과 3, 실시예 7과 4, 실시예 8과 5의 각각의 비교로부터, 좌면 지지체의 경도가 커지면 좌면체의 착좌 변형부의 압출 변형에의 반발력이 커지기 때문에, 착좌 변형부의 압출 변형량이 작아지도록 조정되고, 경사 각도 θ1이 보다 큰 양의 값으로 되어 골반 후경 자세의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면 지지체의 경도가 작은 연질 재료를 선택하는 것으로, 경사 각도 θ1이 양의 값을 유지하면서(골반 전경 자세를 유지하면서), 좌면체(2)에 있어서 접촉 면적이 크게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층의 좌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경도를 선택함으로써 좌면체(2)와의 접촉 면적이 조정 가능하고, 쿠션(1)의 안정감이나 착좌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한 형태를 기술적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다.
1 : 착좌용 쿠션
10 : 의자용 좌면
2 : 좌면체
3 : 절입선
3a : 좌골 지지부 절입선
3b :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절입선
4 : 착좌 변형부
4a : 좌골 지지부
4b : 엉덩이·허벅지 지지부
4b1 : 허벅지 지지부
4b2 : 엉덩이 지지부
5 : 띠형상부
6 : 좌면 지지체
S :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
P : 골반
G : 지지 기저면
H : 좌골
I : 좌골 결절
L : 좌골 결절 사이의 길이
M : 나선의 중심을 지나는 선
A : 강관
B : 자재이음
C : 엉덩이 모형
D : 추

Claims (15)

  1. 가요성을 가진 판형상재로 이루어진 좌면체를 구비한 착좌용 쿠션에 있어서,
    상기 좌면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입된 복수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착좌 변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착좌 변형부는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좌골 지지부와,
    상기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 중 상기 좌골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 중 상기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은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는 경도가 E경도(JIS K6253에 준거)로 5~80인 합성수지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체의 하면 측에 상기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 보다도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 신축성 시트 및 신축성 망상 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면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 지지체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도는 50~400N(JIS K6400-2 A법 준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용 쿠션.
  10. 가요성을 가진 판상체로 이루어진 좌면체를 구비한 의자용 좌면에 있어서,
    상기 좌면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입된 복수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착좌 변형부가 마련되고,
    상기 착좌 변형부는 착좌자의 좌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좌골 지지부와,
    상기 나선 모양, 동심원 모양 또는 동심 다각형 모양의 절입선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절입선으로 이루어진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선대칭의 절입 패턴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 중 상기 좌골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변형부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절입선 중 상기 엉덩이·허벅지 지지부를 구성하는 절입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좌면체의 폭 방향 중심선에 연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입선은 상기 좌면체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면체의 하면 측에 상기 좌면체를 구성하는 판형상재 보다도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 신축성 시트 및 신축성 망상 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좌면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면.
KR1020190093956A 2018-08-24 2019-08-01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 KR20200023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6852A JP7212918B2 (ja) 2018-08-24 2018-08-24 着座用クッション及び椅子用座面
JPJP-P-2018-156852 2018-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86A true KR20200023186A (ko) 2020-03-04

Family

ID=6962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956A KR20200023186A (ko) 2018-08-24 2019-08-01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12918B2 (ko)
KR (1) KR20200023186A (ko)
CN (1) CN110856579B (ko)
TW (1) TW2020118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93245B2 (ja) * 2021-11-10 2024-05-31 株式会社レーベン 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クッション材を有するマットレ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5262A (ja) 2004-08-30 2006-04-13 Hiroshi Yamaguchi クッション
JP2017113372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コジット 骨盤ク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459U (ja) * 1984-07-26 1986-02-20 富士電機株式会社 マツトレス
US4660887A (en) * 1985-09-11 1987-04-28 The Shaw-Walker Company Ergonomic support
US5395162A (en) * 1993-02-16 1995-03-07 Jay Medical Ltd. Seating system
AUPO028896A0 (en) * 1996-06-07 1996-07-04 Acedeal Pty Ltd Cycle seat
US6598251B2 (en) * 2001-06-15 2003-07-29 Hon Technology Inc. Body support system
JP2003169725A (ja) * 2001-12-07 2003-06-17 Koichi Iwata 座席、及び、乗物用座席
US20060103225A1 (en) * 2004-11-15 2006-05-18 Jungin Kim Ergonomically designed portable seat cushion
CA2975974C (en) * 2006-10-04 2017-12-19 Formway Furniture Limited Chair recline mechanism composed of deformable members
US7654617B2 (en) * 2008-06-06 2010-02-02 Mity-Lite, Inc. Flexible chair seat
WO2011075771A1 (en) * 2009-12-22 2011-06-30 Gregory Commercial Furniture Pty Limited Seat cushion
JP5635119B2 (ja) * 2010-10-22 2014-12-03 株式会社フジクラ 着座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座席装置
TWI524865B (zh) * 2012-06-26 2016-03-11 Air cushion body cushion device
JP6148905B2 (ja) * 2013-06-07 2017-06-1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
TWM467393U (zh) * 2013-06-25 2013-12-11 Zong-Yong Xu 坐墊構造之改良
KR20150062103A (ko) * 2013-11-28 2015-06-05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의 히팅 매트
JP6549370B2 (ja) * 2014-10-31 2019-07-24 株式会社オカムラ 椅子用荷重支持部材、及び、椅子
TWM506537U (zh) * 2015-04-29 2015-08-11 Innova Materials Company Ltd 軟性透氣之承載裝置改良
US20180098634A1 (en) * 2016-10-11 2018-04-12 Mity-Lite, Inc. Banquet Chair with Top C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5262A (ja) 2004-08-30 2006-04-13 Hiroshi Yamaguchi クッション
JP2017113372A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コジット 骨盤ク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2918B2 (ja) 2023-01-26
TW202011876A (zh) 2020-04-01
CN110856579B (zh) 2024-04-26
JP2020028553A (ja) 2020-02-27
CN110856579A (zh)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US9326613B2 (en) Upholstered seat with flexible pelvic support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US10172464B2 (en) Chair
WO2021025007A1 (ja) 着座用クッション体
KR102656387B1 (ko) 쿠션재
KR20200023186A (ko) 착좌용 쿠션 및 의자용 좌면
KR101931519B1 (ko) 척추 질환의 예방을 위한 좌석 장치
KR101527933B1 (ko)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US20230172363A1 (en) Ergonomic chair
KR20170095495A (ko) 척추보호용 등받이조절 맞춤의자
EP3179886B1 (en) Chair
KR101815183B1 (ko) 디스크 방지용 방석
JP6789366B2 (ja) 姿勢保持具
JP6923398B2 (ja) クッションおよび車椅子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WO2015174842A1 (en) Assembly of two aircraft seats and seat cushion for use with this assembly
JP3245175U (ja) 椅子
JP2020054922A (ja) 姿勢保持具
JP3176134U (ja) 姿勢矯正具
KR200477226Y1 (ko) 자세교정 의자
JP3245958U (ja) 椅子
US20240164540A1 (en) Mat
JP6823775B2 (ja) クッション配置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