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387B1 - 쿠션재 - Google Patents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387B1
KR102656387B1 KR1020190093957A KR20190093957A KR102656387B1 KR 102656387 B1 KR102656387 B1 KR 102656387B1 KR 1020190093957 A KR1020190093957 A KR 1020190093957A KR 20190093957 A KR20190093957 A KR 20190093957A KR 102656387 B1 KR102656387 B1 KR 10265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cut
penetrating
lin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039A (ko
Inventor
시게토시 모치즈기
다카히로 사사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Publication of KR2020002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제1 수지층 상에 제2 수지층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 쿠션재이다. 제1 수지층은 바닥 있는 또는 바닥 없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를 구비하고, 제2 수지층은 적어도 상술한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 및 이 돌출편의 기단과 연속되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돌출편 및/또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는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쿠션재{Cushioning}
본 발명은 의자, 휠체어, 차량용 시트 및 매트리스 등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체압 분산 효과를 가진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표면 구조를 가진 우레탄 폼의 표면에 비교적 저반발의 우레탄 폼을 적층한 구조에 의해 체압 분산성을 향상시킨 쿠션재는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 및 2에 있어서, 우레탄 폼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진 쿠션 기재의 표면에 홈으로 구획된 블록 요소를 다수 형성하고, 이 쿠션 기재의 상면에 저반발의 우레탄 폼 등의 시트재를 적층한 쿠션재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쿠션 기재에 있어서 홈을 사용자(착좌자)의 몸의 라인에 맞추어 깊이가 서로 다르고, 쿠션재에 맞닿는 몸의 접촉 방향의 돌부가 돌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만큼 깊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쿠션 기재의 홈에 대하여, 홈을 메우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삽입물을 삽입하고, 블록 요소의 좌굴을 방지하는 동시에, 쿠션 기재의 체압이 집중하는 주변의 경도를 딱딱하게 변경시키고 있다. 이 삽입물을 삽입할 때에는 쿠션 기재에 있어서 하중이 강하게 가해지는 부분의 복수의 블록 요소를 둘러싸도록 삽입 배설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쿠션재는, 체압 분산 성능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져, 의료기관이나 간호·복지 시설 등에서 피부가 조여짐으로써 발생하는 조혈(阻血)이나, 이에 따라 진행하는 욕창을 방지하는 쿠션재로서 휠체어나 매트리스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쿠션재를 휠체어나 매트리스에 사용하는 경우, 착좌자의 좌골 위치가 서서히 앞으로 어긋난다는 이른바 '앞쪽 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앞쪽 밀림이 발생하면 착좌자가 쿠션재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비교적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이 앞쪽 밀림으로부터 발생하는 좌부와 착좌자의 엉덩이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해 착좌자에게 욕창이 발생하거나, 심지어는 착좌자의 엉덩이가 쿠션재와 맞닿는 위치인 좌부에서 착좌자의 엉덩이에 대한 압력에 의해 착좌자의 내장이나 호흡기가 압박되어 몸 상태의 밸런스를 무너뜨리게 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체압을 받아내는 착좌부와 체압을 분산시키는 앉음 압력 추종부의 사이에, 엉덩이 뒤쪽에 있어서 적어도 천골, 꼬리뼈 및 좌골 결절부를 제외하고 양 대둔근부를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로서 사진틀 모양의 구멍을 마련한 부재를 배치한 구조에 의해, 신체의 동요에 대한 지지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체압 분산성을 도모한 쿠션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는 바닥측 쿠션재와 상측 쿠션재를 표피재로 피복한 구조를 구비하여 착좌자의 엉덩이를 받아내는 쿠션재에 있어서, 바닥측 쿠션재를 상측 쿠션재 보다 딱딱하게 하는 동시에, 바닥측 쿠션재에 대하여 착좌 시에 엉덩이의 좌골 결절부분 및 그 주변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기다란 형상의 슬릿을 병렬로 복수 형성하고, 상측 쿠션재와 동질 또는 상측 쿠션재 보다 딱딱하고 바닥측 쿠션재 보다 푹신한 기다란 형상의 압입 쿠션재를 바닥면 쿠션재의 슬릿에 압입 고착시킨 쿠션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 쿠션재에 따르면, 착좌 시간이 길어지고, 착좌자가 엉덩이의 좌골 결절부분의 주변부에서 압박에 인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에는 착좌 위치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켜 통증을 느끼는 부분을 압입 쿠션재의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압박에 의한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5에는 쿠션재의 반발력을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착좌자의 하중에 의한 체압 분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착좌자의 하중에 의한 체압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고, 그 결과, 착좌자의 착좌감 향상과 앞쪽 밀림 방지를 도모하도록 한 쿠션재가 제안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6에는 고분자 겔 형상물로 이루어진 상층부와, 이 상층부의 하측 앞부분에 배치되는 고경도 저반발성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앞 중간층부, 상층부의 하측 뒷부분에 배치되는 저경도 저반발성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뒤 중간층부와, 앞 중간층부 및 뒤 중간층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일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하 중간층부로 이루어진 쿠션 심재에 의해, 체압 분산성이 우수한 한편 엉덩이의 앞쪽 밀림의 방지를 도모하도록 한 쿠션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등록특허 제422125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등록특허 제422128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등록특허 제4686678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등록특허 제5695265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 등록특허 제5657305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 등록특허 제410443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쿠션재에 따르면, 착좌자의 체압 분산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는 있지만, 체압 분산과 동시에 착좌자의 앞쪽 밀림 방지를 도모하려 한다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쿠션재에 있어서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과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사이에는 서로에 상반하는 이율배반의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쿠션재의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을 향상시키면, 쿠션재의 앉은 자세 안정 성능이 저하하고, 그 결과, 착좌자의 앞쪽 밀림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해 버린다는 것이다. 특히, 특허문헌 3과 같이 좌면부에 경도 단차를 마련하고 경도가 큰 부분에서 보와 같은 구조(앵커포인트라 한다)로 함으로써 앞쪽 밀림을 억제하는 경우, 앵커포인트의 경도가 크면 앞쪽 밀림 방지 효과가 우수하지만, 앵커포인트에서의 체압 분산 효과가 저하하고, 앵커포인트의 경도가 작으면 체압 분산 효과는 우수하지만 앞쪽 밀림 방지 효과는 저하해 버린다. 또한, 앵커포인트는 이와 같은 경도 단차뿐만 아니라 고저 단차 등의 앞쪽 밀림 방지의 단차를 포함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면서,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쿠션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수지층 상에 제2 수지층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 쿠션재가 제공된다. 이 제1 수지층은 바닥 있는 또는 바닥 없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를 구비하고, 제2 수지층은 적어도 상술한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 및 이 돌출편의 기단과 연속되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돌출편 및/또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는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재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은 구멍부를 구비하고, 그 위에 적층한 제2 수지층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면,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절입홈 사이의 영역인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 및 이 돌출편의 기단과 연속되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는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 개구 테두리부 주변을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돌출편 부분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돌출편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돌출편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되는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앞쪽 밀림의 수평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체압 분산성이나 앉은 자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며,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재에 따르면,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함께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선형상 관통 절입홈은 관통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 슬릿으로 구성함으로써,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작용 효과를 효율 좋게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절입 패턴이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 형상으로의 추종성이 향상하므로, 쿠션재의 체압 분산성 및 앉은 자세 안정성을 보다 양호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2개의 절입 패턴에 있어서,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 사이의 거리가 110~14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통계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초하여 인체의 좌골 위치를 제2 수지층에 마련하는 소정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의 위치에 정확하게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수지층은 2개의 절입 패턴에 있어서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유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2 수지층에 형성하는 절입 패턴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 정밀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이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절입 패턴은 일부의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이 탈락하지 않도록 임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3개의 절입 패턴이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수지층에 마련된 절입 패턴의 수가 증가하고, 이러한 절입 패턴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적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정밀하게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절입 패턴은 구멍부가 1개인 경우에, 구멍부의 중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1개의 절입 패턴, 구멍부를 2분할 한 2개의 영역 각각의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2개의 절입 패턴, 또는 구멍부를 3분할 한 3개의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3개의 절입 패턴이며,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구멍부가 2개인 경우에, 2개의 구멍부 각각의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2개의 절입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절입 패턴은 구멍부가 3개인 경우에, 3개의 구멍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3개의 절입 패턴이며,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입 패턴의 형태의 변화를 증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착좌자의 좌골 위치의 개인차에 따라, 절입 패턴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면서 정밀하게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길이가 20mm 이상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면,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고, 이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돌출편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돌출편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되는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하면,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을 덮는 구부러진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작용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절입 패턴이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돌출편이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절입 패턴의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절입 패턴이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절입 패턴의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판(花瓣)은 겉보기 경도가 작아지고,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체압 분산성의 크기의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앵커포인트에서 체압이 낮은 상태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쿠션재에 대한 체압 분산 성능의 요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로, 제1 수지층 상에 제2 수지층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 쿠션재가 제공된다. 이 제1 수지층은 바닥 있는 또는 바닥 없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를 구비하고, 제2 수지층은 적어도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고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비관통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비관통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 사이의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과 연속되는 홈간 영역 주변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홈간 영역 및/또는 홈간 영역 주변부는 비관통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쿠션재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은 구멍부를 구비하고, 그 위에 적층한 제2 수지층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비관통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이 비관통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면, 비관통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는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 개구 테두리부 주변을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홈간 영역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홈간 영역의 폭이 넓어져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한다. 더욱이, 앞쪽 밀림의 수평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체압 분산성이나 앉은 자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재에 따르면,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수지층의 구멍부가 제1 수지층을 관통하는 바닥 없는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앉은 자세 안정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수지층의 제1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는 제3 수지층을 더 구비하고, 이 제3 수지층은 제2 수지층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개구부를 가진 비관통홈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블록 요소를 가지며, 비관통홈은 제3 수지층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이 보다 큰 부분만큼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체압 분산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수지층의 제2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어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쿠션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두께 방향의 바닥 붙음 리스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및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는 이 쿠션재의 전후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비해 보다 경질의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경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쿠션재의 양측 단부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한층 높이고,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한층 안정된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사이가 고정되므로, 두 층 사이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수지층과 제3 수지층의 사이, 및/또는 베이스 층과 제1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 시켜도 좋다.
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및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가 수지 발포체 또는 3차원 망상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쿠션재의 체압 분산 성능에의 요구의 변화를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수지층이 수지 발포체 또는 3차원 망상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쿠션재가 휠체어용의 좌면의 쿠션재인 것, 매트리스의 쿠션재인 것, 또는 차량용 시트의 좌면의 쿠션재인 것도 바람직하다. 쿠션재를 매트리스에 적용하면 매트리스에 누워 있을 때 또는 앉아 있을 때의 소정의 체압 분산성을 유지하고 앉은 자세 안정성 및 앞쪽 밀림 억제의 향상을 도모하기 때문에, 매트리스에 누워 있을 때 또는 앉아 있을 때의 소정의 누워 있는 태세 또는 앉은 자세 태세의 무너짐을 억제 가능하고, 특히 등받이 기능을 가진 매트리스의 등 받침 시 앞쪽 밀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돌출편 부분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돌출편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돌출편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앞쪽 밀림의 수평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체압 분산성이나 앉은 자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재에 따르면,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 개구 테두리부 주변을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홈간 영역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홈간 영역의 폭이 넓어져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앞쪽 밀림의 수평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체압 분산성이나 앉은 자세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쿠션재에 따르면,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주요한 구성인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주요한 구성인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제2 수지층의 비변형 시 및 변형 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구멍부와 절입 패턴의 조합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구멍부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변경 모양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 및 그 변경 모양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를 휠체어의 좌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쿠션재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수지층의 형상 및 치수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쿠션재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 수지층의 형상 및 치수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쿠션재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제3 수지층의 형상 및 치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쿠션재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있어서 제1의 비교 시험용 측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 쿠션재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있어서 앞쪽 밀림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 쿠션재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도시하는 압력 특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 쿠션재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있어서 앵커포인트의 체압 분산성을 도시하는 압력 특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쿠션재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2 및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기본 구성인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5의 A-A선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제2 수지층의 비변형 시 및 변형 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쿠션재(10)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베이스 층(11) 상에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이 적층되고, 제1 수지층(12) 상에 반드시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13)이 적층되고, 제2 수지층(13) 상에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3 수지층(체압 분산 부여층)(14)이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층(11)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착좌자의 바닥 붙음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층(11)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외에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 또는 실리콘 수지 발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층(11)을 수지 발포체 대신에 3차원 망상 구조체, 수지로 만든 경질 솜 또는 연질 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제1 수지층(12)은 적어도 1개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구멍부(12a)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의 발포체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구멍부(12a)를 타발(펀칭) 등에 의해 잘라내어 구성되어 있으며, 착좌자의 좌골부를 안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앞쪽 밀림 방지를 위한 앵커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12a)가 바닥 없는 구멍인 경우는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타발함으로써 형성되고, 바닥 있는 구멍인 경우는, 제1 수지층(12)을 금형 내에서 발포 성형하는 방법이나,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 상에 관통하는 바닥 없는 구멍을 마련한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적층 고착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된다. 구멍부(12a)의 평면 형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겹쳐친 2개의 원 형상(진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평면 형상은 착좌자의 좌골부를 지지 가능하다면,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구멍부(12a)의 내벽(12c)의 형상은 제1 수지층(12)을 내려다 보았을 때에 구멍부 형상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구멍 형상이 상사적 또는 비상사적인 형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제1 수지층(12)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외에,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 또는 실리콘 수지 발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수지층(12)을 수지 발포체 대신에, 3차원 망상 구조체, 수지로 만든 경질 솜 또는 연질 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제2 수지층(13)은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에 대향하는 영역에 적어도 1개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절입 패턴(13a)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의 발포체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한 것에 이 절입 패턴(13a)을 타발 등으로 잘라내어 구성되어 있으며, 착좌자의 좌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앵커포인트의 압력 분산을 행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2 수지층(13)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외에,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 또는 실리콘 수지 발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13)을 수지 발포체 대신에 3차원 망상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각 절입 패턴(13a)은 이 제2 수지층(1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집중하여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절입 패턴(13a)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은 그 교차부를 기점으로 하여 방사 형상으로 신장하고. 끝단이 제1 수지층의 구멍부(12a) 내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관통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 슬릿으로 구성함으로써,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돌출편 및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구멍부(12a)의 내벽(12c)을 덮듯이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효율 좋게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을 효율 좋고 안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은 서로에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에 의해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을 형성 가능한 형태라면 좋고, 선 형상이나 선 폭 등은 한정되지 않고, 직선 형상,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의 것이나, 선 폭이 일정 또는 길이 방향으로 변화하는 형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절입 패턴(13a)이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절입 패턴(13a)이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을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도모하는 범위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절입 패턴이 3~7개 또는 9개 이상의 서로에 집중하여 교차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2개의 절입 패턴 중 하나를 그 중심에 대하여 회전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하여 비 선대칭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절입 패턴(13a)은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 형상에의 추종성이 향상하므로, 쿠션재의 체압 분산성 및 앉은 자세 안정성을 보다 양호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2개의 절입 패턴(13a)에 있어서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의 교차부 사이의 거리는 110~1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통계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초하여 인체의 좌골 위치를 제2 수지층(13)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a)의 교차부의 위치에 정확하게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A)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지층(13)은 각 절입 패턴(13a)의 서로에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13c) 및 이 돌출편(13c)의 기단과 연속되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13d)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이하,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13c)을 화판(13c)이라 하고, 돌출편 영역 주변부(13d)를 화판 주변부(13d)라 약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에 의해 8개의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는 절입 패턴(13a)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사용자가 수직 방향으로 착좌한 상태, 이후 동일)에,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구멍부(12a)의 내벽(12c)을 덮듯이 구멍부(12a)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고,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하면, 화판(13c) 및/또는 화판 주변부(13d)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가압 변형되고, 특히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앵커포인트(12d)를 덮으면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20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절입 패턴(13a)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면,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구멍부(12a)를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화판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화판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되는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하면,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12a)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작용을 얻기 쉬워진다.
제3 수지층(14)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의 상면에 제2 수지층(13)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개구부를 가진 다수의 비관통홈(14a)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블록 요소(14b)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착좌자의 체압을 양호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3 수지층(14)의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에 공지되어 있다. 제3 수지층(14)으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외에, 폴리에틸렌 수지 발포체, 폴리올레핀 수지 발포체 또는 실리콘 수지 발포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수지층(14)을 수지 발포체 대신에, 3차원 망상 구조체, 수지로 만든 경질 솜 또는 연질 수지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베이스 층(11) 및 제1 수지층(12)은 서로에 고착될 필요는 없다. 고착되는 경우는 둘 사이의 앞면 또는 일부에만 접착층이 접착제의 도포 또는 접착 필름의 붙임에 의해 마련되어 고착된다. 제1 수지층(12) 및 제2 수지층(13)은 서로에 고착되어 있다. 둘 사이의 모든 면 또는 일부에만 접착층이 접착제의 도포 또는 접착 필름의 붙임에 의해 마련되어 고착된다.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은 서로에 고착될 필요는 없다. 고착되는 경우는 둘 사이의 앞면 또는 일부에만 접착층이 접착제의 도포 또는 접착 필름의 붙임에 의해 마련되어 고착된다. 베이스 층(11) 및 제1 수지층(12) 사이, 제1 수지층(12) 및 제2 수지층(13) 사이,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 사이를 접착층으로 고착함으로써, 각 층간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입 패턴(13a)은 선형상 절입홈이 관통홈이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형상 절입홈이 비관통홈 이어도 좋다(도 17 참조). 선형상 절입홈이 관통홈인 경우는 절입 패턴(13a)은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타발함으로써 형성되며, 선형상 절입홈이 비관통홈인 경우는 절입 패턴은 빼기 칼날로 비관통 상태로 눌러서 자르는 하프 커팅 가공이나,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 상에 관통홈을 마련한 평판 형상의 수지 발포체를 적층 고착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재(10)가 베이스 층(11), 제1 수지층(12),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을 서로에 적층한 4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쿠션재는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13)을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서로에 적층한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베이스 층(11), 제1 수지층(12),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은 두께가 일정한 평판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형태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베이스 층(11), 제1 수지층(12),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은 각각이 1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발명의 작용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다면 복수로 분할 된 것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구멍부와 절입 패턴을 조합시킨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1개의 구멍부(22a)(이 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인 2개의 절입 패턴(23a)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구멍부(22a)를 2분할 한 2개 영역 각각의 착좌자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2개의 절입 패턴(23a)이 마련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1개의 구멍부를 3분할 한 3개의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3개의 절입 패턴을 마련하여도 좋다(다만,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2 수지층에 마련되는 절입 패턴의 수가 증가하고, 이 절입 패턴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므로,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정밀하게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2개의 구멍부(32a)(이 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에 각각 대향하는 영역 내에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인 2개의 절입 패턴(33a)을 각각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구멍부(32a)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절입 패턴(33a)이 각각 마련된다. 게다가, 도 6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1개의 구멍부(42a)(이 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에 대향하는 영역 내에 1개의 절입 패턴(43a)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구멍부(42a)의 중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1개의 절입 패턴(43a)이 마련된다. 게다가 또한, 도 6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1개의 구멍부(52a)(이 예에서는 띠 형상)에 대향하는 영역에 일부가 걸쳐지도록 1개의 절입 패턴(53a)을 마련하여도 좋다. 게다가, 도 6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지층의 3개의 구멍부(62a)(이 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에 각각 대향하는 영역 내에 3개의 절입 패턴(63a)을 각각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3개의 구멍부(62a)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3개의 절입 패턴(63a)이 각각 마련된다. 다만,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 형상이며,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절입 패턴의 형태의 변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좌골 및 꼬리뼈의 위치의 개인차에 따라서 절입 패턴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면서 정밀하게 적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도 7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73b)이 집중하여 교차하는 교차부(73e)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7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83b)이 집중하여 교차하는 교차부(83e)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관통공을 마련함으로써 절입 패턴 영역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착좌 시의 체압 분산 성능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에 도시한 절입 패턴은 모두 화판의 수가 3개인 경우이다.
절입 패턴은 도 8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93a) 이어도 좋다. 또한, 도 8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0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8 (C) 및 (D)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13a 및 123a) 이어도 좋다. 또한 게다가, 도 8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3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8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43a)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143a)을 마련함으로써, 화판은 겉보기 경도가 작아지고,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체압 분산성의 크기의 변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포인트에서 체압이 낮은 상태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쿠션재에 대하여 체압 분산 성능의 요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도 8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5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선형상 관통 절입홈(15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삼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153f)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5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8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6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16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삼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163f)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6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또한, 도 8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7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17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173f)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73a) 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입 패턴(153a, 163a 또는 173a)을 마련함으로써,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화판이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할 때에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절입 패턴의 겉보기 경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앵커포인트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절입 패턴은 도 8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8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83a)과, 이러한 2개의 절입 패턴(183a)에 있어서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183g)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183a)과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183g)을 마련함으로써,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183b)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도 정밀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의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183g)을 마련하는 경우, 절입 패턴(183a)의 일부의 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G)~도 8 (J)에 형성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153f, 163f, 173f 및 183g)은 제2 수지층의 표면 측에 형성하여도 좋고, 구멍부(12a)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153f, 163f, 173f 및 183g) 대신에,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하여도 좋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절입 패턴은 모두 화판의 수가 4개인 경우이다.
절입 패턴은 도 9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4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193a 및 203a) 이어도 좋다. 또한, 도 9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4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213b 및 22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13a 및 223a)과, 이러한 2개의 절입 패턴(213a 및 223a)에 있어서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13g 및 223g)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213a 및 223a)과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13g 및 223g)을 마련함으로써,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13g 및 223g)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도 정밀하게 대향 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213g 및 223g)을 마련하는 경우, 절입 패턴(213a 및 223a)의 일부 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 (C) 및 도 9 (D)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13g 및 223g)은 제2 수지층의 표면 측에 형성하여도 좋고, 구멍부(12a)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13g 및 223g) 대신에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하여도 좋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절입 패턴은 모두 화판의 수가 6개인 경우이다.
절입 패턴은 도 1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고,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33a) 이어도 좋다. 또한, 도 1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4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0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5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0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비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63a) 이어도 좋다. 즉, 2개의 절입 패턴 중 하나를 그 중심에 대해 회전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해 비 선대칭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게다가, 도 10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7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0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83a)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283a)을 마련함으로써, 화판은 겉보기 경도가 작아지고,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체압 분산성의 크기의 변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포인트에서 체압이 낮은 상태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쿠션재에 대한 체압 분산 성능의 요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도 10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29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선형상 관통 절입홈(29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육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29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29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0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30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30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육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30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0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또한, 도 10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31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31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31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13a) 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입 패턴(293a, 303a 또는 313a)을 마련함으로써,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에, 화판이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할 때에 체압이 낮은 상태 지지 가능하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절입 패턴의 겉보기 경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앵커포인트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절입 패턴은 도 10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6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32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23a)과, 이러한 2개의 절입 패턴(323a)에 있어서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323g)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323a)과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323g)을 마련함으로써,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323b)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도 정밀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의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323g)을 마련하는 경우, 절입 패턴(323a)의 일부의 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 (G)~도 10 (J)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93f, 303f, 313f 및 323g)은 제2 수지층의 표면 측에 형성하여도 좋고, 구멍부(12a)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293f, 303f, 313f 및 323g) 대신에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절입 패턴은 모두 화판의 수가 8개인 경우이다.
절입 패턴은 도 1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33a) 이어도 좋다. 또한, 도 1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4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1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5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1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비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53a) 이어도 좋다. 즉, 2개의 절입 패턴 중 하나를 그 중심에 대해 회전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해 비 선대칭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게다가, 도 11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7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1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83a)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383a)을 마련함으로써, 화판은 겉보기 경도가 작아지고,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체압 분산성의 크기의 변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포인트에서 체압이 낮은 상태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쿠션재에 대한 체압 분산 성능의 요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도 11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39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선형상 관통 절입홈(39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팔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39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39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1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40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40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심 팔각형 모양)의 비관통 절입홈(40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0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또한, 도 11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41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41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41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13a) 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입 패턴(393a, 403a 또는 413a)을 마련함으로써,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에, 화판이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할 때에 체압이 낮은 상태지 지지 가능하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절입 패턴의 겉보기 경도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포인트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절입 패턴은 도 11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8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42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23a)과, 이러한 2개의 절입 패턴(423a)에 있어서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423g)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423a)과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423g)을 마련함으로써,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423b)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도 정밀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의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423g)을 마련하는 경우, 절입 패턴(423a)의 일부의 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 (G)~도 11 (J)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393f, 403f, 413f 및 423g)은 제2 수지층의 표면 측에 형성하여도 좋고, 구멍부(12a)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393f, 403f, 413f 및 423g) 대신에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하여도 좋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절입 패턴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절입 패턴은 모두 화판의 수가 12개인 경우이다.
절입 패턴은 도 12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33a) 이어도 좋다. 또한, 도 1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4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2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5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2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비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63a) 이어도 좋다. 즉, 2개의 절입 패턴 중 하나를 그 중심에 대해 회전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중앙선에 대해 비 선대칭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게다가, 도 12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7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2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마련한,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83a) 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483a)을 마련함으로써, 화판은 겉보기 경도가 작아지고, 제1 수지층의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체압 분산성의 크기의 변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앵커포인트에서 체압이 낮은 상태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쿠션재에 대한 체압 분산 성능의 요구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입 패턴은 도 12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49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함과 동시에 선형상 관통 절입홈(49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49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49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도 12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50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50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50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503a) 이어도 좋다. 게다가 또한, 도 12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513b)이 교차부에서 폭 넓게 넓어져 교차함과 동시에 이 교차부에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마련하고,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513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의 비관통 절입홈(513f)을 구비하고 있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513a) 이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입 패턴(493a, 503a 또는 513a)을 마련함으로써,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에 화판이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게다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할 때에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므로, 앞쪽 밀림 억제 효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절입 패턴의 겉보기 경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앵커포인트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절입 패턴은 도 12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넓은 관통 슬릿에 의한 12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523b)이 교차부에서 집중하여 교차하는, 서로에 선대칭 형상의 2개의 절입 패턴(523a)과, 이러한 2개의 절입 패턴(523a)에 있어서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523g)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절입 패턴(523a)과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523g)을 마련함으로써, 화판 및 화판 주변부가 구부러져 변형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겉보기 경도도 낮아지기 때문에,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쉽고,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체압이 낮은 상태로 지지 가능하기 때문에,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체압 분산성을 동시에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선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523b)의 교차부의 위치와 착좌자의 좌골의 위치를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 정밀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523g)을 마련하는 경우, 절입 패턴(523a)의 일부의 화판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 (G)~도 12 (J)에 형성되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493f, 503f, 513f 및 523g)은 제2 수지층의 표면 측에 형성하여도 좋고, 구멍부(12a)에 대면하는 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493f, 503f, 513f 및 523g) 대신에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하여도 좋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 있어서 제1 수지층에 마련된 구멍부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면은 쿠션재의 전방이 도면에서 상측으로 되도록 나타나 있다.
구멍부는, 도 1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 (25) 및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26)가 구멍부 내에 포함되는 타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1개의 구멍부(22a) 이어도 좋다. 이 구멍부(2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22d)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35)가 구멍부 내에 포함되고,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36)가 구멍부 바깥에 있는 중앙부가 오목한 타원 모양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1개의 구멍부(32a) 이어도 좋다. 이 구멍부(3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32d)를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도 13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45)가 2개의 구멍부 내에 각각 포함되고,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46)가 구멍부 바깥에 있는 진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2개의 구멍부(42a) 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멍부(4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42d)를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또한, 도 13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55)가 구멍부 내에 포함되고,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56)가 구멍부 바깥에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1개의 구멍부(52a) 이어도 좋다. 이 구멍부(5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52d)를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도 13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65) 및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66)가 구멍부 내에 포함되는 반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1개의 구멍부(62a) 이어도 좋다. 이 구멍부(6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62d)를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도 13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의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75)가 2개의 구멍부 내에 각각 포함되고,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76)가 나머지 구멍부 내에 포함되는 진원 또는 타원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진 바닥 있는(비관통) 또는 바닥 없는(관통) 3개의 구멍부(72a) 이어도 좋다. 2개의 구멍부(72a)의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앵커포인트(72d)를 구성하고 있다. 좌골 사이의 거리 등의 설계 값은 각 개인의 인체의 좌골 위치 데이터에 부합시켜, 보다 적절하면서 정확하게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춘 오더메이드의 쿠션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좌자의 체압 분산 성능의 향상 및 착좌자의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각 개인의 체형에 대응시켜 보다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 (A)~도 13 (F)의 각 구멍부의 내벽 형상은 제1 수지층(12)을 내려다 보았을 때에 있어서 구멍 형상이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고, 두께 방향으로 구멍 형상이 상사적 또는 비상사적인 형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3 (C) 및 도 13 (F)와 같이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구멍부마다 내벽 형상을 달리하여도 좋다.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다만, 도 15 (B)~도 15 (E)는 도 15 (A)의 B-B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쿠션재는 제2 수지층(13)의 절입 패턴(13a)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이 교차부를 기점으로 하여 방사 형상으로 신장하고, 종단이 제1 수지층의 구멍부(12a) 내의 영역에 있는 경우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좌자(17)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10)의 구멍부(12a)의 부분에 착좌하면, 그 수직 하중에 의해 제2 수지층(13)의 절입 패턴(13a)에 있어서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12a)를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도 15 (B)~도 15 (E)는 수직 하중과 그에 이어지는 수평 방향의 하중에 의해 이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의 단계적인 탄성 변형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를 덮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화판(13c)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화판(13c)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화판(13c)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하기(도시하지 않음) 때문에, 더욱 체압 분산 성능이 향상하면서 좌골의 주변부(17a)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 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서 구성되는 앵커포인트(12d)를 덮는 구부러진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12d)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구멍부(12a)와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의 형상이나 크기의 조합 조건이나 하중 조건에 따라, 도 15 (D)와 같이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에 맞닿지만 내벽(12c)에 맞닿지 않는 케이스나, 도 15 (E)와 같이 개구 테두리부(12b)에 맞닿는 동시에 내벽(12c)에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맞닿는 케이스 등의 형태가 된다.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내벽(12c) 모든 면에 맞닿지 않는 경우에는, 도 15 (D) 및 도 15 (E)와 같이 내벽(12c)과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은 체압 분산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10)에 따르면,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판 주변부(13d)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도 15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화판 주변부(13d)의 상단부가 앵커포인트(12e)로서도 기능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변경 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다만, 도 16 (B)~도 16 (E)는 도 16 (A)의 C-C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변경 형태는 제2 수지층의 절입 패턴(13a')에 있어서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의 길이가 길고, 그 일부가 제1 수지층의 구멍부(12a)의 외측의 영역까지 초과하고 있는 경우이다. 즉, 절입 패턴(13a')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이 교차부를 기점으로 하여 방사 형상으로 신장하고, 종단이 제1 수지층의 구멍부(12a) 외측의 영역에 있는 경우이다. 수직 하중과 그에 이어지는 수평 방향의 하중에 의한 절입 패턴(13a')의 화판(13c')의 단계적인 탄성 변형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 16 (B)~도 16 (E)로 알 수 있듯이, 이 변경 형태에 있어서도 화판(13c')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를 덮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화판(13c')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화판(13c')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화판(13c')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하기 (도시하지 않음) 때문에, 더욱 체압 분산 성능이 향상하면서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에서 구성되는 앵커포인트(12d)를 덮는 구부러진 화판(13c')이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12d)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구멍부(12a)와 화판(13c')의 형상이나 크기의 조합 조건이나 하중 조건에 따라서, 도 16 (D)와 같이 화판(13c')이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에 맞닿지만 내벽(12c)에 맞닿지 않는 케이스나, 도 16 (E)와 같이 개구 테두리부(12b)에 맞닿는 동시에 내벽(12c)에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맞닿는 케이스 등의 형태가 된다. 화판(13c')이 내벽(12c) 모든 면에 맞닿지 않는 경우에는, 도 16 (D) 및 도 16 (E)와 같이 내벽(12c)과 화판(13c')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은 체압 분산 성능을 향상 시키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이, 이 변경 형태의 쿠션재에 의해서도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화판(13c')의 경도가 높은 경우는, 도 16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화판(13c')의 상단부가 앵커포인트(12e')가 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 및 그 변경 형태의 구성을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고, 이 도면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수지층(12) 및 제2 수지층(13)의 평면 및 그 D-D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이 도면 (B)는 변경 형태에 있어서 제1 수지층(12") 및 제2 수지층(13")의 평면 및 그 E-E선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에서는 도 17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지층(13)이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에 대향하는 영역에 절입 패턴(13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절입 패턴(13a)은 관통 슬릿인 복수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입 패턴(13a)의 인접하는 선형상 관통 절입홈(13b) 사이의 영역인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구멍부(12a)의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12a)를 향하여 구부러져 탄성 변형하고, 이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 및 개구 테두리부 주변을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화판(13c)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화판(13c) 사이(절입부의 폭)가 넓어져 화판(13c) 사이의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하면,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화판(13c) 및 화판 주변부(13d)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에 대하여, 변경 형태의 쿠션재에서는 도 17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지층(13")이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에 대향하는 영역에 비관통 절입 패턴(13a")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비관통 절입 패턴(13a")은 구멍부(12a") 측이 개구하는 비관통 슬릿인 복수의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관통 절입 패턴(13a")의 홈간 영역(13c") 및 이 홈간 영역(13c")과 연속되는 홈간 영역 주변부(13d")가 제1 수지층(12")의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구멍부(12a")의 내벽(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구멍부(12a")를 향하여 구부러져 탄성 변형하고, 이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때문에, 좌골의 주변부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홈간 영역 및 홈간 영역 주변부에 의해 지지되고, 게다가 홈간 영역의 만곡 변형에 따라 인접하는 홈간 영역의 폭이 넓어져 공극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착좌자의 체압이 양호하게 분산됨과 동시에, 좌골의 주변부가 안정하여 지지되고, 앉은 자세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멍부(12a")의 개구 테두리부(12b") 및/또는 내벽(12c") 방향으로 앞쪽 밀림에 의한 하중(응력)이 작용하면, 전방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내벽의 적어도 일부(앵커포인트)를 덮는 구부러진 홈간 영역(13c") 및 홈간 영역 주변부(13d")가 착좌자의 좌골의 앞 테두리부에 유연하게 맞닿아 지지하기 때문에, 좌골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완만하게 억제되고, 앵커포인트와의 접촉압이 급상승 하여 혈류가 국부적으로 저지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고, 앞쪽 밀림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쿠션재에 있어서, 상술한 모든 변경예 및 변경 형태에 있어서 절입 패턴을 이와 같은 비관통 슬릿에 의한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을 가지는 비관통 절입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13b")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직선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서로에 인접하는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에 의해 홈간 영역(13c")이 형성되는 형태라면 좋고, 직선 형상, 물결 모양이나 원호 형상 등의 곡선 형상의 것이나, 선의 폭이 일정 또는 길이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를 휠체어의 좌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18)의 좌면(18a) 상에 구멍부(12a)를 가진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과 절입 패턴(13a)을 가진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13)을 구비한 기본 구성의 쿠션재를 올려 놓음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를 휠체어용으로 적용하고,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쿠션재를 매트리스의 쿠션재 또는 차량용 시트의 좌면의 쿠션재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쿠션재를 매트리스에 적용하면,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또는 앉았을 때의 소정의 체압 분산성을 유지하고 앉은 자세 안정성 및 앞쪽 밀림 억제의 향상을 도모하고,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또는 앉았을 때의 소정의 누운 태세 또는 앉은 자세 태세의 무너짐을 억제 가능하고, 특히 등받이 기능을 가진 매트리스의 등 받침 시의 앞쪽 밀림을 억제 가능하다. 차량용 시트의 좌면의 쿠션재로 적용하는 경우도, 소정의 체압 분산 성능을 유지하는 동시에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쿠션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쿠션재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베이스 층(21) 상에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이 적층되고, 제1 수지층(12) 상에 반드시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13)이 적층되고, 제2 수지층(13) 상에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제3 수지층(체압 분산 부여층)(14)이 적층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층(21)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발포체를 평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쿠션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착좌자의 바닥 붙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베이스 층(21)의 전후 방향의 양측 단부에 이 층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발포체에 비해 경질의 합성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경질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쿠션재의 양측 단부의 기계적 강도를 보다 한층 높이고, 사용자의 앉은 자세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휠체어 이외의 적용 시에도 안정된 앉은 자세를 유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경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수지층(12) 및/또는 제2 수지층(13)에 이 베이스 층(21)과 동일한 경질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외의 제1 수지층(12), 제2 수지층(13) 및 제3 수지층(14)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및 변경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쿠션재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비교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도 5에 도시한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13)을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의 적층체(쿠션재)를 제작하고, 그 적층체의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12)의 아래에 베이스 층(11)을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적층하는 동시에, 제2 수지층(13) 상에 제3 수지층(14)(체압 분산층)을 접착하지 않고 적층한 도 1의 구조의 쿠션재를 제작하였다. 구성 재료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동양 퀄리티 원 회사 제조, 형식 러버라이크 33H, JIS K6400-2 A법 준거의 경도 190N)를 이용하였다. 베이스 층(11)으로는 400mm×400mm×20mm 치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것을 이용하였다. 제1 수지층(12)으로는 도 20에 도시한 형상 및 치수의 것을 이용하였다. 제2 수지층(13)으로는 도 21에 도시한 형상 및 치수의 것을 이용하였다. 제3 수지층(14)으로는 도 22에 도시한 형상 및 치수의 것을 이용하였다. 전체의 두께는 75mm이었다. 또한, 도 20~도 22에 있어서 치수의 단위는 mm이다.
(비교예 1)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의 쿠션재인 알파프라 쿠션(형식 번호 KC-WP4040)을 사용하였다. 이 쿠션재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쿠션재이며, 다수의 비관통홈으로 구획된 다수의 블록 요소를 상면에 가진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제조의 체압 분산 부여층(도 1에 기재된 제3 수지층(14)에 상당) 상에 저반발 폴리우레탄 층을 적층하여 구성된 쿠션재이다. 전체 두께는 60mm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쿠션재에 있어서 제2 수지층이 절입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고, 요철이나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쿠션재의 구성과 동일한 쿠션재를 만들었다. 구성 재료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동양 퀄리티 원 회사 제조, 형식 러버라이크 33H, JIS K6400-2 A법 준거의 경도 190N)를 이용하였다. 전체 두께는 75mm였다.
(제1 비교 시험)
쿠션재의 앞쪽 밀림 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도 23에 도시한 비교 시험용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장력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증해야 할 쿠션재(C)(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대차(T) 상에 올려놓고 쿠션재(C)(10)의 상면에 착좌 자세에 있어서 엉덩이에서 허벅지를 모방한 좌면접촉판(P)을 세팅하고, 이 좌면접촉판(P)에 지지대(F)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S)를 매개로 하여 다양한 무게(10, 15, 20, 25, 30kg)의 추(W)를 올려 수직 하중을 인가하고, 디지털 포스 게이지(G)를 매개로 하여 대차(T)를 일정 속도(50mm/초)로 수평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디지털 포스 게이지(G)에 표시된 인장력의 피크 값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하였다. 이 인장력의 피크 값이 클수록 앵커포인트에서 하중을 받아내는 능력이 높고, 앞쪽 밀림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판정하였다. 피크 값의 측정은 각 추에 대하여 5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측정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인장력의 피크 값의 단위는 kgf이다. 또한, 좌면접촉판(P)은 JIS S1203에 규정되어 있는 형상의 접촉판을 70%의 치수로 축소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는 평균적인 일본인의 치수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추(kg) 10 15 20 25 30
실시예1 n1 3.67 5.82 7.68 9.78 10.97
n2 3.31 5.42 7.88 9.35 11.40
n3 3.35 5.76 7.65 9.29 11.44
n4 3.55 5.80 7.50 9.39 11.62
n5 3.65 5.59 7.85 9.46 11.50
평균(kgf) 3.5 5.7 7.7 9.5 11.4
비교예1 n1 2.91 4.90 6.50 8.24 10.02
n2 2.93 5.07 6.47 8.11 10.06
n3 2.82 4.97 6.69 8.27 10.14
n4 2.86 5.02 6.73 8.44 10.31
n5 2.93 5.10 6.67 8.30 10.49
평균(kgf) 2.9 5.0 6.6 8.3 10.2
비교예2 n1 3.29 4.47 6.52 8.18 10.62
n2 3.05 4.29 6.68 8.69 10.16
n3 2.65 4.48 6.69 8.93 10.99
n4 2.68 4.74 6.70 8.90 10.60
n5 2.98 4.48 6.61 9.00 10.88
평균(kgf) 2.9 4.5 6.6 8.7 10.7
도 24는 표 1에 나타낸 제1 비교 시험의 측정 결과에 있어서 추의 무게(kg)와 측정한 인장력의 평균치(kgf)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를 구비한 실시예 1은 이러한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및 이 적층체의 제2 수지층에 절입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다양한 수직 하중에 있어서 인장력이 크고, 앞쪽 밀림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 비교 시험)
일반적인 앉은 자세에 있어서 체압 분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체압 분산 성능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측정은 휠체어(주식회사 미키사 제조의 휠체어 뮤포 MYU4-22)의 좌면 상에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제조의 면압 센서 XSENSOR PX100.36.36.02를 장착하고, 그 위에 신장 170cm, 체중 65kg , BMI(비만도 지수) 22.5의 피험자를 착좌시키고, 착좌 5분 후의 면압 분포를 측정하는 것으로써 행하였다. 그 면압(체압) 분포의 측정 결과가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 (A)는 실시예 1의 쿠션재, 이 도면 (B)는 비교예 1의 쿠션재, 이 도면 (C)는 비교예 2의 쿠션재의 측정 결과이다.
도 25로부터,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를 구비한 실시예 1은, 이러한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및 이 적층체의 제2 수지층에 절입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좌면 전체에 걸쳐서 체압이 낮음과 동시에 그 변화가 작고, 체압 분산성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의 비교 시험)
좌골을 전방으로 어긋나게 앉은 자세(앞쪽 밀림 상태의 앉은 자세) 시에 있어서 앵커포인트(영역)에서의 체압 분산성(체압 상승 억제 효과)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쿠션재에 대하여 앞쪽 밀림 상태의 앉은 자세에 있어서 체압 분산 성능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 측정은 휠체어(주식회사 미키사 제조의 휠체어 뮤포 MYU4-22)의 좌면 상에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제조의 면압 센서 XSENSOR PX100.36.36.02를 장착하고, 그 위에 신장 170cm, 체중 65kg, BMI(비만도 지수) 22.5의 피험자를 착좌시키고, 착좌 5분 후의 면압 분포를 측정하는 것으로써 행하였다. 그 면압(체압) 분포의 측정 결과가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 (A)는 실시예 1의 쿠션재, 이 도면 (B)는 비교예 2의 쿠션재의 측정 결과이다.
도 26으로부터,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를 구비한 실시예 1은, 이러한 제1 수지층(좌골부 수납층) 및 제2 수지층(좌골 지지층)의 적층체에 있어서 제2 수지층에 절입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앵커 영역에 있어서 최대 압력은 동등하지만, 그 최대 압력의 범위는 좁아지고 있으며, 앵커포인트에 있어서 체압 상승 억제 효과가 특히 우수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제1~제3의 비교 시험으로부터, 실시예 1의 쿠션재에 따르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쿠션재에 비하여, 앞쪽 밀림 억제 효과와 착좌 시의 체압 분산 성능이 모두 우수하고, 더욱이, 앉은 자세 안정성과 앞쪽 밀림의 억제 시의 앵커포인트 영역에서의 체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변형 형태 및 변경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것이다.
10, C : 쿠션재
11, 21 : 베이스 층
12, 12" : 제1 수지층
12a, 12a", 22a, 32a, 42a, 52a, 62a, 72a : 구멍부
12b, 12b" : 개구 테두리부
12c, 12c" : 내벽
12d, 12e, 12e', 22d, 32d, 42d, 52d, 62d, 72d : 앵커포인트
13, 13" : 제2 수지층
13a, 13a', 23a, 33a, 43a, 53a, 63a, 93a, 103a, 113a, 123a, 133a, 143a, 153a, 163a, 173a, 173a, 193a, 203a, 213a, 223a, 233a, 243a, 253a, 263a, 273a, 283a, 293a, 303a, 313a, 323a, 333a, 343a, 353a, 363a, 373a, 383a, 393a, 403a, 413a, 423a, 433a, 443a, 453a, 463a, 473a, 483a, 493a, 503a, 513a , 523a : 절입 패턴
13a" : 비관통 절입 패턴
13b, 13b', 73b, 83b, 153b, 163b, 173b, 183b, 213b, 223b, 293b, 303b, 313b, 323b, 393b, 403b, 413b, 423b, 493b, 503b, 513b, 523b : 선형상 관통 절입홈
13b" :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
13c, 13c' : 돌출편(화판)
13c" : 홈간 영역
13d : 돌출편 영역 주변부(화판 주변부)
13d" : 홈간 영역 주변부
14 : 제3 수지층
14a : 비관통홈
14b : 블록 요소
17 : 착좌자
17a : 좌골의 주변부
18 : 휠체어
18a : 좌면
21a : 경질부
25, 35, 45, 55, 65, 75 : 좌골에 대응하는 위치
26, 36, 46, 56, 66, 76 :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
73e, 83e : 교차부
153f, 163f, 173f, 293f, 303f, 313f, 393f, 403f, 413f, 493f, 503f, 513f : 비관통 절입홈
183g, 213g, 223g, 323g, 423g, 523g :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
F : 지지대
G : 디지털 포스 게이지
P : 좌면접촉판
S : 샤프트
T : 대차
W : 추

Claims (30)

  1. 제1 수지층 상에 제2 수지층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 쿠션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은 바닥 있는 또는 바닥 없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적어도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선형상 관통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외팔보 형상의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의 기단과 연속되는 돌출편 영역 주변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편 및/또는 상기 돌출편 영역 주변부는 상기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상기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상기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은 관통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절입 패턴이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절입 패턴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상기 교차부 사이의 거리가 110~1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은 2개의 상기 절입 패턴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교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동시에 상기 교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직선 형상 관통 절입홈 또는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직선 형상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절입 패턴이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패턴은,
    상기 구멍부가 1개인 경우에, 상기 구멍부의 중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1개의 절입 패턴, 상기 구멍부를 2분할 한 2개의 영역 각각의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2개의 절입 패턴, 또는 상기 구멍부를 3분할 한 3개의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3개의 절입 패턴이며,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부가 2개인 경우에, 2개의 상기 구멍부의 각각의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2개의 절입 패턴이며,
    상기 구멍부가 3개인 경우에, 3개의 상기 구멍부의 각각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3개의 절입 패턴이며, 그 중 2개의 절입 패턴은 착좌자의 좌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길이가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패턴이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상기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원 형상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패턴이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의 상기 교차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복수의 동심 다각형 모양 비관통 절입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상기 선형상 관통 절입홈 사이의 영역에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상기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상기 구멍부가 상기 제1 수지층을 관통하는 바닥 없는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의 상기 제1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는 제3 수지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개구부를 가진 비관통홈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블록 요소를 가지며, 상기 비관통홈은 상기 제3 수지층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이 보다 큰 부분만큼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상기 제2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어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상기 제2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는 해당 쿠션재의 전후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비해 보다 경질의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경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상기 제2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가 수지 발포체 또는 3차원 망상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휠체어용 좌면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매트리스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의 좌면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1. 제1 수지층 상에 제2 수지층을 적층한 구조를 구비한 쿠션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은 바닥 있는 또는 바닥 없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적어도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과 대향하는 측이 개구하는 한편 상기 제2 수지층을 관통하지 않고 소정의 교차부에서 서로에 교차하는 적어도 3개의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으로 각각이 구성되는 적어도 1개의 비관통 절입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비관통 절입 패턴의 인접하는 상기 선형상 비관통 절입홈 사이의 홈간 영역 및 상기 홈간 영역과 연속되는 홈간 영역 주변부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간 영역 및/또는 홈간 영역 주변부는 상기 비관통 절입 패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멍부의 개구 테두리부 및/또는 상기 구멍부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듯이 상기 구멍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상기 구멍부가 상기 제1 수지층을 관통하는 바닥 없는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의 상기 제1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는 제3 수지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수지층은 상기 제2 수지층과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개구부를 가진 비관통홈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블록 요소를 가지며, 상기 비관통홈은 상기 제3 수지층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이 보다 큰 부분만큼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의 상기 제2 수지층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적층되어 수지로 이루어진 베이스 층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상기 제2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는 해당 쿠션재의 전후 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비해 보다 경질의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경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상기 제2 수지층 및 상기 베이스 층의 적어도 1개가 수지 발포체 또는 3차원 망상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8.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휠체어용 좌면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29.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매트리스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30.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차량용 시트의 좌면의 쿠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재.
KR1020190093957A 2018-08-31 2019-08-01 쿠션재 KR102656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2387A JP6901778B2 (ja) 2018-08-31 2018-08-31 クッション材
JPJP-P-2018-162387 201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039A KR20200026039A (ko) 2020-03-10
KR102656387B1 true KR102656387B1 (ko) 2024-04-09

Family

ID=6966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957A KR102656387B1 (ko) 2018-08-31 2019-08-01 쿠션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1778B2 (ko)
KR (1) KR102656387B1 (ko)
CN (1) CN110870641B (ko)
TW (1) TW2020118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3997B2 (en) * 2018-04-27 2022-08-16 Ts Tech Co., Ltd. Vehicle seat
KR102513735B1 (ko) * 2021-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US20230292930A1 (en) * 2022-03-15 2023-09-21 Dreamwell, Ltd. Mattress assemblies including an orthotic layer and processes for form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337A (ja) * 1996-07-12 2000-10-31 ロホ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発泡材―空気セル型ハイブリッド式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8005A (ja) * 2010-04-12 2011-11-04 Takano Co Ltd 座ク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305U (ko) 1979-10-11 1981-05-18
JPS5695265U (ko) 1979-12-21 1981-07-28
US5079790A (en) * 1990-10-01 1992-01-14 Pouch William H Foam cushion for use with a wheel chair
WO2001028388A1 (en) * 1999-10-20 2001-04-26 Keal Sung Hwan Seat for avoiding hip pain
WO2003009726A1 (fr) * 2001-07-24 2003-02-06 Yoichi Inaba Structure de partie d'assise d'une chaise
JP2003325270A (ja) * 2002-05-16 2003-11-18 Haru Sato 穴付き座布団
JP2006087871A (ja) * 2004-09-22 2006-04-06 Nippon Clean Engine Lab Co Ltd 体位支持装置とその方法
WO2009001567A1 (ja) * 2007-06-26 2008-12-31 Hamamatsu Foundat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寝具用クッション、寝具用マット及び寝具用クッションの製造方法
AT10973U1 (de) * 2008-12-01 2010-02-15 Mojca Tamas Vorrichtung zur abstützung eines körperteiles einer person und sitzgelegenheit
US8919880B2 (en) * 2012-03-27 2014-12-30 Haworth, Inc. Flexible seating surface
JP3186561U (ja) * 2013-05-23 2013-10-17 広行 金澤 臀部用クッション
US9789018B2 (en) * 2013-10-30 2017-10-17 Otto Bock Healthcare Lp Cushion for seating
ITFI20140016U1 (it) * 2014-04-07 2015-10-07 Materassificio Montalese S P A Un materasso in materiale poliuretanico provvisto di intagli di aereazione.
US10486571B2 (en) * 2015-03-27 2019-11-26 Ts Tech Co., Ltd. Chair
KR101714982B1 (ko) * 2016-08-25 2017-03-09 조영숙 국소 신체압력 분산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337A (ja) * 1996-07-12 2000-10-31 ロホ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発泡材―空気セル型ハイブリッド式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18005A (ja) * 2010-04-12 2011-11-04 Takano Co Ltd 座ク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1875A (zh) 2020-04-01
CN110870641A (zh) 2020-03-10
JP6901778B2 (ja) 2021-07-14
KR20200026039A (ko) 2020-03-10
JP2020031981A (ja) 2020-03-05
CN110870641B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387B1 (ko) 쿠션재
EP3815577A1 (en) Breathable cushion
US8141957B2 (en) Cushion with plural zones of foam
US8566987B1 (en) Anatomical seat cushion
US4522447A (en) Foam seat and back cushions
WO2007128113A1 (en) Cushioning structures for body parts
US11882940B2 (en) Cushion body for sitting
US6336681B1 (en) Chair and seat cushion therefor
EP2293706B1 (en) A chair seat pan and chair incorporating same
US7444707B2 (en) Shear reducing chair cushion
US11672344B2 (en) Support surface
US10835051B2 (en) Person support
JP2020099411A (ja) クッション材
JP2018086397A (ja) マットレス用クッション体及びマットレス並びにマットレス用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4686678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および同クッションを備える車椅子
AU747131B2 (en) Chair and seat cushion therefor
JP7212918B2 (ja) 着座用クッション及び椅子用座面
CA1138134A (en) Foam seat and back cushions
JPH05115341A (ja) 座 具
JP2023055604A (ja) クッション
KR20240024254A (ko) 쿠션체
EP1652452A1 (de) Sitzkissen oder Körperunterlage mit Druckentlastung
JP2018000625A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体
GB2086720A (en) A leg 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