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735B1 -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735B1
KR102513735B1 KR1020210076576A KR20210076576A KR102513735B1 KR 102513735 B1 KR102513735 B1 KR 102513735B1 KR 1020210076576 A KR1020210076576 A KR 1020210076576A KR 20210076576 A KR20210076576 A KR 20210076576A KR 102513735 B1 KR102513735 B1 KR 10251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erforation
pattern
mattress
physical proper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517A (ko
Inventor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김영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이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21007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7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폼; 및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폼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폼레이어 각각에는 상기 폼레이어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타공을 포함하는 타공그룹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폼레이어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타공그룹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MATTRESS THAT CHANGES PROPERTY THROUGH PERFORATION}
본 발명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사용자들이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몸을 지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바쁜 일상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짧은 현대인들의 편안한 수면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매트리스는 제품별로 높이는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가로, 세로의 치수, 비율 등에 큰 차이가 없다. 한편, 매트리스는 제품별로 딱딱한 정도인 경도(hardness)가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종래의 매트리스는 그 경도가 크게 하드, 미디움, 소프트로 구분되며, 매트리스 전체의 경도는 동일하게 제조되어왔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는 부위별로 무게가 상이하다. 그러나, 매트리스 전체의 경도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신체 중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허리와 엉덩이가 매트리스에 잠기게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허리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매트리스의 사용자들은 각자 키, 몸무게 등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남자와 여자의 평균적인 키, 몸무게는 서로 상이하며, 더 나아가 어린이와 어른의 평균적인 키, 몸무게도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신체구조를 갖는 사용자들의 신체 부위별로 대응되는 부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매트리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마다 대응되는 부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폼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폼레이어 각각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폼레이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타공이 형성되지 않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을 지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가상직선에 대해 대칭되도록 배열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전방영역 및 상기 전방영역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방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전방영역 및 상기 후방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타공은, 상기 전방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방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후방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타공은, 상기 후방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원 형상을 가지는 원주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영역의 중심은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원주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주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타공은, 상기 원주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동심원 형상의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원주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제공되는 단일패턴영역, 및 상기 단일패턴영역과 인접하고,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제공되는 복합패턴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단일패턴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일패턴타공, 및 상기 복합패턴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복합패턴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패턴타공은, 상기 단일패턴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복합패턴타공은, 상기 복합패턴영역 내에서 상기 단일패턴타공과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의 중심과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전후방측에 배치된 상기 복합패턴타공의 중심을 지나는 소정의 직선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고,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과의 직경은,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전후방측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단일패턴영역 및 상기 복합패턴영역은 전후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폼레이어 중 하나 이상은 좌우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평면에 의해 서로 동일한 전후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제1 사용공간 및 제2 사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사용공간 및 상기 제2 사용공간은 각각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공간에서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사용공간에서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보다 더 작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을 지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가상직선보다 전방에 배열된 상기 타공의 개수는, 상기 좌우가상직선보다 후방에 배열된 상기 타공의 개수보다 적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은, 상기 타공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은, 상기 타공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타공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이 형성되지 않는 메모리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폼은 상기 폼레이어의 상면에 연결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마다 대응되는 부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수면환경이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폼레이어가 제1 사용공간 및 제2 사용공간으로 구획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폼레이어존이 전후방향을 따라 구획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변형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전후방향 중 전방은 사용자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중심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후방은 전방과 반대방향으로 정의된다. 또한, 좌우방향 중 좌측방향은 사용자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중심을 기준으로 왼쪽 팔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우측방향은 좌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마다 대응되는 부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는 폼레이어(10) 및 메모리폼(20)을 포함할 수 있다.
폼레이어(10)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가 갖는 경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폼레이어(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레이어(10)는 제1 폼레이어(10a), 제2 폼레이어(10b), 및 제3 폼레이어(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폼레이어(10a, 10b, 10c)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폼레이어(10)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1 폼레이어(10a)의 하면과, 그 아래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폼레이어(10b)의 상면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폼레이어(10b)의 하면는 그 아래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폼레이어(10c)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폼레이어(10)는 3개 이상 제공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폼레이어(10)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폼레이어(10)는 가상평면(S)에 의해 동일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사용공간(U)으로 구획될 수 있다. 사용공간(U)은 제1 사용공간(U1) 및 제2 사용공간(U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레이어(10)는 가상평면(S)에 의해 동일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제1 사용공간(U1) 및 제2 사용공간(U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사용공간(U1) 및 제2 사용공간(U2)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폼레이어(10)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레이어(10)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폼레이어(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폼레이어(10)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는 5cm 이상 30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폼레이어(10)는 제1 영역(100) 및 제2 영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제1 영역(1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영역(100) 중 서로 인접하는 제1 영역(100)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타공(101)은 서로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인접하는 제1 영역(100)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타공(101)은 서로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인접하지 않는 임의의 두 영역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타공(10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영역(100)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영역(100)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같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복수 개의 제1 영역(100) 중 인접하는 두 제1 영역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영역(100) 및 제2 영역(200)은 제1 사용공간(U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00) 및 제2 영역(200)은 제2 사용공간(U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공간(U1)에서의 제1 영역(100)의 크기는 제2 사용공간(U2)에서의 제1 영역(10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공간(U1)에서의 제2 영역(200)의 크기는 제2 사용공간(U2)에서의 제2 영역(20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공간(U1) 및 제2 사용공간(U2) 각각에서 제1 영역(100) 및 제2 영역(200)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가상평면(S)에 의해 폼레이어(10)가 제1 사용공간(U1) 및 제2 사용공간(U2)로 구획됨에 따라, 하나의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를 여러 사용자들이 각자의 신체사용자의 신체 부위마다 대응되는 부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100)은 전방영역(110), 후방영역(120), 원주영역(130). 중앙영역(140), 단일패턴영역(150) 및 복합패턴영역(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영역(110)은 제1 영역(100)의 전방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영역(11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영역(110)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영역(110)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30cm 이상 100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전방영역(1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폼레이어(1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폼레이어(10a)의 전방영역(110)은 제1 전방영역(110a)으로 명명하고, 제3 폼레이어(10c)의 전방영역(110)은 제3 전방영역(110c)으로 명명 한다.
후방영역(120)은 제1 영역(100)의 후방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영역(12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영역(120)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영역(120)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30cm 이상 100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후방영역(12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폼레이어(1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폼레이어(10a)의 후방영역(120)은 제1 후방영역(120a)으로 명명하고, 제3 폼레이어(10c)의 후방영역(120)은 제3 후방영역(120c)으로 명명 한다.
원주영역(130)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주영역(130)의 반경은 일 예로, 30cm 이상 140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원주영역(130)의 중심은 폼레이어(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거리는 30cm 이상 70cm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폼레이어(10b)의 원주영역(130)은 제2 원주영역(130)으로 명명한다.
중앙영역(140)은 전방영역(110) 및 후방영역(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영역(14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영역(140)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30cm 이상 100c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중앙영역(14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폼레이어(1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폼레이어(10c)의 중앙영역(140)은 제3 중앙영역으로 명명한다.
단일패턴영역(150)에 형성된 후술할 복수 개의 타공(101)은 1차원 또는 2차원 격자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단일패턴영역(15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일패턴영역(15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패턴영역(150)은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패턴영역(150)은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복합패턴영역(160)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00)에는 복수 개의 타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타공(101)은, 제1 영역(100) 내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타공(101)은 전후가상직선(L1)에 대해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후가상직선(L1)은 폼레이어(10)의 중심을 지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으로 정의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복수 개의 타공(101)은 그 형상과 개수에 따라 폼레이어(10)의 경도를 결정할 수 있다. 타공(101)은 폼레이어(10)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101)은 그 상단의 직경인 상단직경(D1)과 하단의 직경인 하단직경(D2)이 서로 같은 관통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타공(101)은 폼레이어(10) 및 메모리폼(20) 내부에 형성된 기공(blowhole)과는 상이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타공(101)의 부피는 기공의 부피보다 크다. 이러한 타공(101)의 상단직경(D1)은 5mm 이상 100mm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타공(101)은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폼레이어(1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10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사용자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타공(101)은 그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폼레이어(10)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좌우가상직선(L2)보다 전방에 배열된 타공(101)의 개수는 좌우가상직선(L2)보다 후방에 배열된 타공(101)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좌우가상직선(L2)은 폼레이어(10)의 중심을 지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으로 정의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이러한 타공(101)은 전방타공(111), 후방타공(121), 원주타공(131), 중앙타공(141), 단일패턴타공(151) 및 복합패턴타공(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타공(11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타공(111)은 전방영역(110)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타공(111)은 전방영역(110)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폼레이어(10a)의 전방타공(111)은 제1 전방타공(111a)으로 명명하고, 제3 폼레이어(10c)의 전방타공(111)은 제3 전방타공(111c)으로 명명한다.
제1 전방타공(111a)은 제1 전방영역(110a)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방타공(111a)은 제1 전방영역(110a)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전방타공(111c)은 제3 전방영역(110c)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3 전방타공(111c)은 직경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3 전방영역(110c)보다 전방에는 제2 영역(200)이 배치될 수 있다.
후방타공(12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타공(121)은 후방영역(120)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타공(121)은 후방영역(120)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폼레이어(10a)의 후방타공(121)은 제1 후방타공(121a)으로 명명하고, 제3 폼레이어(10c)의 후방타공(121)은 제3 후방타공(121c)으로 명명한다.
제1 후방타공(121a)은 제1 후방영역(120a)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후방타공(121a)은 제1 후방영역(120a)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후방타공(121a)과 제1 전방타공(111a)은 각각 패턴, 타공의 직경, 및 크기가 같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후방타공(121a) 및 제1 전방타공(111a)은 서로 폼레이어(1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제3 후방타공(121c)은 제3 후방영역(120c)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3 후방타공(121c)은 직경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제3 후방영역(120c)보다 후방에는 제2 영역(2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후방타공(121c)은 제3 전방타공(111c)보다 직경이 작으며, 타공의 개수가 더 많을 수 있다.
원주타공(13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원주타공(131)은 원주영역(130) 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동심원 형상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원주타공(131)은 원주영역(13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원주영역(130b) 내에 배열된 원주타공(131)은 제2 원주타공(131b)으로 명명한다.
제2 원주타공(131b)은 제2 원주영역(130) 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동심원 형상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원주타공(131b)은 제2 원주영역(130b)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중앙타공(14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타공(141)은 중앙영역(140)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타공(141)은 중앙영역(140)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중앙영역(140c)의 중앙타공(141)은 제3 중앙타공(141c)으로 명명한다.
제3 중앙타공(141c)은 제3 중앙영역(140c) 내에서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3 중앙타공(141c)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중앙타공(141c)의 직경은 제3 전방타공(111c)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3 중앙타공(141c)의 개수는 제3 후방타공(121c)의 개수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단일패턴타공(151)은 단일패턴영역(150)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패턴타공(151)은 단일패턴영역(150) 내에서 1차원 또는 2차원 격자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일패턴타공(151)은 직선을 따라 배열되거나, 사각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합패턴타공(161)은 복합패턴영역(160) 내에서 단일패턴타공(151)과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패턴타공(161)은 격자 패턴이 아닌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패턴타공(161)은 복합패턴영역(160)의 전후방측(160-1)에 배치되는 제1 복합패턴타공(161-1) 및 복합패턴영역(160)의 중앙부(160-2)에 배치되는 제2 복합패턴타공(16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복합패턴타공(161-1)의 직경은 제2 복합패턴타공(161-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복합패턴타공(161-1) 및 제2 복합패턴타공(161-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은 전후방향과 어긋날 수 있다.
제2 영역(200)은 타공(101)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 영역은 제1 영역(10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200)은 전방영역(110) 및 후방영역(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2 영역(200)은 복수 개의 제1 영역과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메모리폼(20)은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되었던 형태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폼(20)은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폼(20)에는 타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폼(20)의 하면은 최상측에 배치된 폼레이어(1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폼(2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는, 폼레이어(1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폼(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폼(2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폼레이어(1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메모리폼(2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2cm 이상 25c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과 하단직경(D2)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은 하단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101)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공(101)의 직경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면, 타공(101)이 눌릴 때 폼레이어(10)의 상측에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는 면적이 분산되어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은 하단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101)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공(101)의 직경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면, 타공(101)이 눌릴 때 폼레이어(10)의 하측에서 가해지는 힘이 작용하는 면적이 분산되어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과 하단직경(D2)이 서로 같지만, 타공(10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직경이 상단직경(D1) 및 하단직경(D2)과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8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과 하단직경(D2)은 서로 같으며, 타공(101)의 중심에서의 직경(D3)은 타공(101)의 상단직경(D1) 및 하단직경(D2)보다 클 수 있다. 타공(101)의 중심에서의 직경(D3)은, 타공(101)의 중심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이 타공(101)과 만나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러한 타공(101)의 직경은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타공(101)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용자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에 눕는 경우에 타공(101)이 충분히 눌려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타공(101)의 상단직경(D1)과 하단직경(D2)은 서로 같으며, 타공(101)의 중심에서의 직경(D3)은 타공(101)의 상단직경(D1) 및 하단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타공(101)의 직경은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타공(101)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사용자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에 눕는 경우에 타공(101)이 지나치게 많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는 타공(101)의 직경과 개수에 따라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경도 설정이 자유로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는 폼레이어(10) 상에 형성되는 타공(101)의 직경이 전방영역(110), 후방영역(120) 및 원주영역(130)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수면 중 움직이더라도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1)의 경도에 대해 느끼는 이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10: 폼레이어
10a: 제1 폼레이어 10b: 제2 폼레이어
10c: 제3 폼레이어 20: 메모리폼
100: 제1 영역 101: 타공
110: 전방영역 111: 전방타공
120: 후방영역 121: 후방타공
130: 원주영역 131: 원주타공
140: 중앙영역 141: 중앙타공
150: 단일패턴영역 151: 단일패턴타공
160: 복합패턴영역 161: 복합패턴타공
161-1: 복합패턴타공의 전후방측 161-2: 복합패턴타공의 중앙부
200: 제2 영역 S: 가상평면

Claims (12)

  1.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폼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폼레이어 각각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폼레이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타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을 지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전후가상직선에 대해 대칭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제공되는 단일패턴영역, 및 상기 단일패턴영역과 인접하고,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로 제공되는 복합패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단일패턴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일패턴타공, 및 상기 복합패턴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복합패턴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패턴타공은,
    상기 단일패턴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복합패턴타공은,
    상기 복합패턴영역 내에서 상기 단일패턴타공과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의 중심과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전후방측에 배치된 상기 복합패턴타공의 중심을 지나는 소정의 직선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어긋나고,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과의 직경은, 상기 복합패턴영역의 전후방측에 배치된 복합패턴타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단일패턴영역 및 상기 복합패턴영역은 전후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전방영역 및 상기 전방영역보다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전방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방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전방영역 및 상기 후방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타공은,
    상기 전방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방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영역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후방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후방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타공은,
    상기 후방영역 내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후방영역의 중앙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원 형상을 가지는 원주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영역의 중심은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은 상기 원주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주타공을 포함하고,
    상기 원주타공은,
    상기 원주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동심원 형상의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원주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작은 직경을 가지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폼레이어 중 하나 이상은 좌우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상평면에 의해 서로 동일한 전후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제1 사용공간 및 제2 사용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사용공간 및 상기 제2 사용공간은 각각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공간에서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사용공간에서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보다 더 작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폼레이어의 중심을 지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좌우가상직선보다 전방에 배열된 상기 타공의 개수는, 상기 좌우가상직선보다 후방에 배열된 상기 타공의 개수보다 적은,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은,
    상기 타공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은,
    상기 타공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타공의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메모리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폼은 상기 폼레이어의 상면에 연결되는,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KR1020210076576A 2021-06-14 2021-06-14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KR10251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76A KR102513735B1 (ko) 2021-06-14 2021-06-14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576A KR102513735B1 (ko) 2021-06-14 2021-06-14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17A KR20220167517A (ko) 2022-12-21
KR102513735B1 true KR102513735B1 (ko) 2023-03-27

Family

ID=8453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576A KR102513735B1 (ko) 2021-06-14 2021-06-14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7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585A (ja) * 2001-03-30 2002-10-08 Sekisui Urethane Kako Kk 敷布団用中芯
KR200380271Y1 (ko) * 2005-01-12 2005-03-29 임영자 에어쿠션 홈이 형성된 라텍스 침대 매트리스
JP2015107207A (ja) * 2013-12-04 2015-06-11 アキレス株式会社 マットレ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1778B2 (ja) * 2018-08-31 2021-07-14 株式会社タイカ クッション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585A (ja) * 2001-03-30 2002-10-08 Sekisui Urethane Kako Kk 敷布団用中芯
KR200380271Y1 (ko) * 2005-01-12 2005-03-29 임영자 에어쿠션 홈이 형성된 라텍스 침대 매트리스
JP2015107207A (ja) * 2013-12-04 2015-06-11 アキレス株式会社 マット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517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6765A (zh) 新型人类工程学枕头及其在床上用品中的使用
US20140259429A1 (en) Support System for a Reclining or Sitting Body
US20160338514A1 (en) Foam pillows
JP6177840B2 (ja) 重ね合わせ複合内装部品
KR102513735B1 (ko) 타공을 통해 물성을 변화시키는 매트리스
JP2018086434A5 (ko)
JP7470666B2 (ja) マットレス
US7776422B2 (en) Floor mat having a retention feature
JP4947621B2 (ja) 敷きマット
US6416054B1 (en) Multi-function puzzle
JP3221097U (ja) マットレス用ブロック体及びマットレス
CN214760211U (zh) 一种云感分区层及床垫
KR200495472Y1 (ko) 고양이용 스크래처
JP6932406B1 (ja) 複数の棒状部材群を枕本体の内部に配置した枕
JP3217938U (ja) マットレス
JP2007195701A (ja) 敷きマット
JP6944696B2 (ja) 芯材
JP2019041879A (ja) ジグソーパズル、パズルピース
KR20100010906U (ko) 다중 높이형 베개
KR102262525B1 (ko) 삼차원 탄성구조를 갖는 매트리스
JPH0231014Y2 (ko)
KR102441037B1 (ko) 비접착식 매트리스
JP3679098B2 (ja) 家具セット
JP3881207B2 (ja) 走行玩具用ガードレール及びガードレールを構成するために用いるガードレール・ブロック
CN215126474U (zh) 一种复合缓冲层及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