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472Y1 - 고양이용 스크래처 - Google Patents

고양이용 스크래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472Y1
KR200495472Y1 KR2020200000502U KR20200000502U KR200495472Y1 KR 200495472 Y1 KR200495472 Y1 KR 200495472Y1 KR 2020200000502 U KR2020200000502 U KR 2020200000502U KR 20200000502 U KR20200000502 U KR 20200000502U KR 200495472 Y1 KR200495472 Y1 KR 200495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scratcher
connection
swash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894U (ko
Inventor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주)잇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잇펫 filed Critical (주)잇펫
Priority to KR2020200000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7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4Scratching devices, e.g. f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고양이 스크래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목한 스크래처 안착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스크래처 안착면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스크래처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스크래처부를 포함하되, 스크래처부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양이용 스크래처{Cat Scratcher}
본 고안은 고양이용 스크래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고안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고양이는,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주변물건을 긁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고양이는 발톱을 날카롭게 하기 위해 주변물건을 긁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고양이는 무디고 낡은 외부 발톱을 제거하기 위해, 주변물건을 할퀴는 경우도 있으며, 보다 날카로운 새 발톱이 자랄 수 있도록 발톱 갈기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고양이의 습성으로 인하여, 가정에서 고양이를 키우는 경우, 고양이가 집안의 문이나 벽 등을 긁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흔히 스크래처(scratcher)를 마련해 준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스크래처를 긁음으로써, 상술한 스크래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주위의 다른 사물들을 긁지 않게 될 수 있다.
종래 고양이용 스크래처는 스크래처 안착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스크래처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스크래처를 포함하고,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국제공개공보 WO2018/097740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크래처는 고정된 면적을 가짐으로써, 고양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스크래치 공간 내지 휴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며 고양이의 크기에 따라 스크래처부의 면적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고양이용 스크래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목한 스크래처 안착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스크래처 안착면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스크래처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스크래처부를 포함하되, 스크래처부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양이의 크기에 따라 스크래처부의 면적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양이에게 적절한 스크래치 공간 내지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가 안착 공간을 축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연결끈이 외측 연결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가 위아래를 뒤집어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양이용 스크래처(10)는 하우징(110) 및 스크래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스크래처(10)의 외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오목한 형상의 스크래처 안착면(CM)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처부(120)는 스크래처 안착면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스크래처 안착면(C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경사판(111), 제2경사판(112), 두 개의 종측벽(114),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종측벽(114),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은 스크래처(10)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은 그 테두리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은 지면에 대해 경사를 가진 상태일 수 있다.
제1경사판(111)은 두 개의 종측벽(114) 사이에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단위 경사판(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단위 경사판(1111)은 경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제1경사판(1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경사판(111)이 복수의 제1단위 경사판(1111)을 포함하는 경우, 제1단위 경사판(1111)들은 서로 다른 형상 내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처(10)의 내측에 배치된 제1단위 경사판(1111)은 스크래처(10)의 외측에 배치된 제1단위 경사판(1111)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단위 경사판(1111)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 내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경사판(112)은 두 개의 종측벽(114) 사이에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위 경사판(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단위 경사판(1121)은 경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제2경사판(11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단위 경사판(1121)들은 서로 다른 형상 내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서로 동일한 형상 내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경사판(111)은 적어도 하나의 제1단위 경사판(1111)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제1경사면(P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경사판(112)은 적어도 하나의 제2단위 경사판(1121)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제2경사면(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 상에서, 스크래처(10)의 상부를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경사면(P1)의 일단은 제2경사면(P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함께 오목한 형상의 스크래처 안착면(CM)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은 복수의 외측 연결홀(117) 및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홀(11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연결홀(117)은 스크래처부(120)의 복수의 외측 연결끈(12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래처부(120)는, 스크래처부(1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외측 연결끈(112)이 복수의 외측 연결홀(117)과 연결됨으로써, 스크래처 안착면 상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경사판(111)과 인접한 스크래처부(120)의 일단에 배치된 외측 연결끈(122)들은 제1경사판(111)에 형성된 외측 연결홀(117)들과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제2경사판(112)과 인접한 스크래처부(120)의 타단에 배치된 외측 연결끈(122)들은 제2경사판(112)에 형성된 외측 연결홀(117)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외측 연결홀(117)은 각 제1단위 경사판(1111) 및 각 제2단위 경사판(1121)에 구비될 수 있다.
스크래처부(120)의 복수의 외측 연결끈(122)은, 스크래처 안착면의 면적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의 단위 경사판(1111, 1121)의 외측 연결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처 안착면의 면적을 확장하는 경우, 외측 연결끈(122)은 외측에 배치된 단위 경사판(1111, 1121)의 외측 연결홀(117)과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래처 안착면의 면적을 축소하는 경우, 외측 연결끈(122)은 내측에 배치된 단위 경사판(1111, 1121)의 외측 연결홀(117)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홀(118)은 스크래처부(120)의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끈(124)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래처부(12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내측 연결끈(122)은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의 연결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내측 연결홀(118)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래처부(120)의 중앙 영역을 스크래처 안착면(CM) 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스크래처부(120)의 중앙 영역이 스크래처부(120) 내부의 복원력에 의해 스크래처 안착면(CM)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끈(124) 및 복수의 외측 연결끈(122)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래처(10)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스크래처(10)를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연결끈(122) 및 내측 연결끈(124)은 종이 재질 이외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두 개의 종측벽(114)은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10)의 종방향 테두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횡측벽(115)은 두 개의 종측벽(114) 사이에 배치되며 제1경사면(P1)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횡측벽(116)은 두 개의 종측벽(114) 사이에 배치되며 제2경사면(P2)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은 하우징(110)의 횡방향 테두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종측벽(114)은 제1연결홈(1141), 제2연결홈(1142), 제1결합홈(1143), 및 제2결합홈(1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연결홈(1141)은 두 개의 종측벽(114) 상에서 제1경사면(P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연결홈(1142)은 두 개의 종측벽(114) 상에서 제2경사면(P2)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홈(1141) 및 제2연결홈(1142)은 각각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래처 안착면(CM)의 면적에 따라, 제1횡측벽(115)은 복수의 제1연결홈(1141) 중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1141)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횡측벽(116)은 복수의 제2연결홈(1142) 중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1142)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처 안착면(CM)의 면적이 확장될 경우, 횡측벽(115, 116)은 보다 외측에 형성된 연결홈(1141, 1142)과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래처 안착면(CM)의 면적이 축소될 경우, 횡측벽(115, 116)은 보다 내측에 형성된 연결홈(1141, 114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횡측벽(115)은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1141)과 후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후크(11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횡측벽(116)은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1142)과 후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후크(116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결합홈(1143)은 두 개의 종측벽(114) 상에서 제1경사면(P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결합홈(1144)은 두 개의 종측벽(114) 상에서 제2경사면(P2)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홈(1143) 및 제2결합홈(1144)은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경사판(111)의 결합돌기(119)는 복수의 제1결합홈(1143) 중 어느 한 쌍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경사판(112)의 결합돌기(119)는 복수의 제2결합홈(1144) 중 어느 한 쌍과 결합될 수 있다.
제1경사판(111), 제2경사판(112), 두 개의 종측벽(114),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은, 가공 내지 조립이 용이하도록, 나무 재질 또는 하드보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경사판(111), 제2경사판(112), 두 개의 종측벽(114),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은 그 외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크래처부(120)는 스크래처 안착면(CM)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스크래처 안착면(C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처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스크래처 안착면(CM)을 따라 스크래처부(120)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처부(120)는 벌집 형상의 허니콤 보드(honeycomb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허니콤 보드는 종이 재질의 보드로서, 복수의 벌집 형상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벌집 패턴을 가지는 보드를 지칭한다.
허니콤 보드는 복수의 벌집 공간의 형상을 압축 또는 인장함으로써, 스크래처부(120)의 면적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니콤 보드는, 벌집 공간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고양이에게 다양한 스크래치 감(feeling)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허니콤 보드는 벌집 형상의 패턴을 통해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므로, 종이로 이루어졌음에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스크래처부(120)는 고양이가 원활하게 스크래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허니콤 보드는 적합한 재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스크래처부(120)의 재료가 허니콤 보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크래처부(120)는 그 외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고양이는 오목한 형상의 스크래처부(120) 상에 위치함으로써, 전체로서 감싸 안는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써, 심리적인 안정감 및 포근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동일한 크기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면(P1)의 기울기의 크기 및 제2경사면(P2)의 기울기의 크기는, 지면에 대하여, 8도 내지 12도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스크래처(1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P1)의 일단 및 제2경사면(P2)의 일단의 연결영역은 제1경사면(P1)의 타단 및 제2경사면(P2)의 타단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직 높이의 차이는 스크래처 안착면(CM)의 오목한 정도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의 수직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그 부재까지의 수직 방향 높이를 지칭한다.
제1횡측벽(115)은 제1경사면(P1)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제2횡측벽(116)은 제2경사면(P2)보다 큰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횡측벽(115)의 기울기의 크기 및 제2횡측벽(116)의 기울기의 크기는, 지면에 대하여, 65도 내지 75도일 수 있다.
한편,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 각각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1연결홈(1141) 및 제2연결홈(11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크래처부(120)의 양단에 배치된 외측 연결끈(122) 각각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외측 연결홈(117)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래처부(120)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래처(10)는 크기가 큰 고양이 또는 넓은 공간을 좋아하는 고양이에게 적절한 휴식 공간 내지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10)가 안착 공간을 축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횡측벽(115) 및 제2횡측벽(116) 각각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1연결홈(1141) 및 제2연결홈(11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크래처부(120)의 양단에 배치된 외측 연결끈(122) 각각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외측 연결홈(117)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처부(120)는 신축성을 가지므로, 축소된 스크래처 안착면(CM)에 적합하도록 압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래처부(120)의 면적은 도 3의 경우와 비교하여 축소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스크래처(10)는 크기가 작은 고양이 또는 좁은 공간을 좋아하는 고양이에게 적절한 휴식 공간 내지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판(111)은 제1단위 경사판(1111)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제1경사면(P1)의 면적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경사판(112)은 제2단위 경사판(1121)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제2경사면(P2)의 면적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은 각각 두 개의 단위 경사판(1111, 1121)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넓은 스크래처 안착면(CM)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에,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은 각각 하나의 단위 경사판(1111, 1121)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좁은 스크래처 안착면(CM)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처(10)는, 스크래처 안착면(CM)의 면적에 따라, 경사판(111, 112)을 구성하는 단위 경사판(1111, 1121)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줄이고 스크래처(10)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연결끈(122)이 외측 연결홀(117)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외측 연결끈(122)이 외측 연결홈(117)과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외측 연결끈(122)이 외측 연결홈(117)과 연결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외측 연결끈(122)은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과 외측 연결홀(117)을 관통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외측 연결끈(122)의 양단부는, 외측 연결끈(122)이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과 외측 연결홀(117)을 관통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연결끈(122)의 양단부 중 하나는 횡측벽(115, 116)과 경사판(111, 1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외측 연결끈(122)이 내측의 단위 경사판(1111, 1112)에 형성된 외측 연결홀(117)과 연결된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연결끈(122)이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과 외측 연결홀(117)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측 연결끈(122)의 양단부 중 하나는 외측 단위 경사판(1111, 1112)과 내측 단위 경사판(1111, 11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외측 연결끈(122)이 외측 연결홈(117)과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5와 관련되어 기술된 내용은 내측 연결끈(124)이 내측 연결홈(118)과 연결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연결끈(124)이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과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 중 하나의 내측 연결홀(118)을 관통할 수 있으며, 내측 연결끈(124)의 양단부 중 하나는 제1경사판(111) 및 제2경사판(112) 중 다른 하나의 내측 연결홀(118) 및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이후, 내측 연결끈(124)의 양단부는, 내측 연결끈(124)이 허니콤 보드의 벌집 형상의 공간과 각 경사판(111, 112)의 외측 연결홀(117)을 관통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될 수 있다.
후술될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스크래처가 오목한 스크래처 안착면과 볼록한 스크래처 안착면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20)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스크래처(20)가 위아래를 뒤집어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처(20)는 하우징(210)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하우징(210)을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오목한 스크래처 안착면(CM)은 볼록한 스크래처 안착면(VM)으로 변할 수 있으며, 스크래처부(220)는 볼록한 스크래처 안착면(V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처부(220)의 신축성에 의해, 스크래처부(220)는 볼록한 스크래처 안착면(VM)의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종측벽(214)은 제3연결홈(2145) 및 제4연결홈(2146)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3연결홈(2145)은 두 개의 종측벽(214) 상에서 제1경사면(P1)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4연결홈(2146)은 두 개의 종측벽(214) 상에서 제2경사면(P2)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홈(2141) 및 제2연결홈(2142)은 제1경사면(P1)의 상부 및 제2경사면(P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제3연결홈(2145) 및 제4연결홈(2146)은 제1경사면(P1)의 하부 및 제2경사면(P2)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횡측벽(215)은 복수의 제1연결홈(2141) 중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2141) 또는 복수의 제3연결홈(2145) 중 어느 한 쌍의 제3연결홈(2145)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횡측벽(216)은 복수의 제2연결홈(2142) 중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2142) 또는 복수의 제4연결홈(2146) 중 어느 한 쌍의 제4연결홈(2146)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을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 제1횡측벽(215) 및 제2횡측벽(216)은 제3연결홈(2145) 및 제4연결홈(214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하우징(210)을 정방향으로 사용할 경우, 제1횡측벽(215) 및 제2횡측벽(216)은 제1연결홈(2141) 및 제2연결홈(214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처(20)는 하우징(210)을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스크래처(30) 안에 두 가지 종류의 스크래처 안착면(CM, VM)을 제공할 수 있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처(20)는 고양이에게 보다 다양한 형상의 스크래처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술될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경사판이 기울기가 다른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크래처 안착면(CM)은 제1경사면(P1), 제2경사면(P2), 제3경사면(P3), 및 제4경사면(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면(P1)의 일단은 제1경사면(P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경사면(P1)의 타단은 제3경사면(P3)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고, 제2경사면(P2)의 타단은 제4경사면(P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동일한 크기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경사면(P3) 및 제4경사면(P4)은 서로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경사면(P3) 및 제4경사면(P4)은 동일한 크기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면(P1), 제2경사면(P2), 제3경사면(P3), 및 제4경사면(P4)은, 스크래처(30)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경사면(P1)의 일단 및 제2경사면(P2)의 일단의 연결영역은 제1경사면(P1)의 타단 및 제2경사면(P2)의 타단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3경사면(P3)의 타단 및 제4경사면(P4)의 타단은 제1경사면(P1)의 타단 및 제2경사면(P2)의 타단보다 높은 수직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면(P1) 및 제2경사면(P2)은 제3경사면(P3) 및 제4경사면(P4)보다 각각 더 작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래처 안착면(CM)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포물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처(30)는 스크래처부(320) 상에 위치한 고양이를 더 가깝게 감쌀 수 있으며, 이로써, 고양이에게 심리적인 안정감 및 포근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양이용 스크래처 110: 하우징
111: 제1경사판 112: 제2경사판
114: 종측벽 115: 제1횡측벽
116: 제2횡측벽 117: 외측 연결홀
118: 내측 연결홀 119: 제1돌기
120: 스크래처부 122: 외측 연결끈
124: 내측 연결끈 1111: 제1단위 경사판
1121: 제2단위 경사판 1141: 제1연결홈
1142: 제2연결홈 1143: 제1결합홈
1144: 제2결합홈 VM: 스크래처 안착면
P1: 제1경사면 P2: 제2경사면
P3: 제3경사면 P4: 제4경사면

Claims (17)

  1. 오목한 스크래처 안착면 및 상기 스크래처 안착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종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크래처 안착면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상기 스크래처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스크래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처부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크래처 안착면은 제1경사면 및 일단이 상기 제1경사면의 일단과 연결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사이에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단위 경사판을 포함하는 제1경사판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단위 경사판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경사판, 및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사이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위 경사판을 포함하는 제2경사판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단위 경사판의 일면으로 정의되는 상기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의 일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일단의 연결영역은 상기 제1경사면의 타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타단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의 기울기의 크기 및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의 크기는 8도 내지 12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종측벽,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경사면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횡측벽, 및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경사면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횡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측벽은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2횡측벽은 상기 제2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측벽의 기울기의 크기 및 상기 제2횡측벽의 기울기의 크기는 65도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종측벽은,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상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연결홈 및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상에서 상기 제2경사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2연결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횡측벽은 상기 복수의 제1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횡측벽은 상기 복수의 제2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측벽은 상기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과 후크 결합(hook coupling)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횡측벽은 상기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과 후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판은 상기 제1단위 경사판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경사면의 면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제2단위 경사판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2경사면의 면적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처부는 허니콤 보드(honeycomb boar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처부는 상기 스크래처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외측 연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판 및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복수의 외측 연결끈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측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처는 상기 제1경사면의 일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일단의 연결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판 및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끈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측 연결끈 및 상기 복수의 외측 연결끈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종측벽은,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상에서 상기 제1경사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3연결홈 및 상기 두 개의 종측벽 상에서 상기 제2경사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제4연결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홈 및 상기 제2연결홈은 상기 제1경사면의 상부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3연결홈 및 상기 제4연결홈은 상기 제1경사면의 하부 및 상기 제2경사면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횡측벽은 상기 복수의 제1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1연결홈 또는 상기 복수의 제3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3연결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횡측벽은 상기 복수의 제2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2연결홈 또는 상기 복수의 제4연결홈 중 어느 한 쌍의 제4연결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처 안착면은 일단이 상기 제1경사면의 타단과 연결된 제3경사면, 및 일단이 상기 제2경사면의 타단과 연결된 제4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경사면의 일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일단의 연결영역은 상기 제1경사면의 타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타단보다 낮은 수직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3경사면의 타단 및 상기 제4경사면의 타단은 상기 제1경사면의 타단 및 상기 제2경사면의 타단보다 높은 수직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제3경사면 및 상기 제4경사면보다 각각 더 작은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스크래처.
KR2020200000502U 2020-02-13 2020-02-13 고양이용 스크래처 KR200495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502U KR200495472Y1 (ko) 2020-02-13 2020-02-13 고양이용 스크래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502U KR200495472Y1 (ko) 2020-02-13 2020-02-13 고양이용 스크래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94U KR20210001894U (ko) 2021-08-23
KR200495472Y1 true KR200495472Y1 (ko) 2022-05-31

Family

ID=7749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502U KR200495472Y1 (ko) 2020-02-13 2020-02-13 고양이용 스크래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339B1 (ko) 2022-01-25 2024-07-03 주용진 박스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01050Y (zh) 2007-08-16 2008-08-20 昆山依德五金工业有限公司 猫抓盘
CN201813723U (zh) 2010-09-30 2011-05-04 宁波市鄞州钟公庙卫东工艺美术厂 猫抓盒
WO2018097740A1 (en) * 2016-11-25 2018-05-31 SKOLIK, Maria Scratcher loung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901A (ko) * 2015-11-10 2017-05-18 (주)펫데이즈 애묘용 카드보드 스크래쳐
KR20180124389A (ko) * 2017-05-11 2018-11-21 (주)펫데이즈 개량형 스크래처
KR20190006159A (ko) * 2017-07-09 2019-01-17 이해명 고양이용 스크래칭 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01050Y (zh) 2007-08-16 2008-08-20 昆山依德五金工业有限公司 猫抓盘
CN201813723U (zh) 2010-09-30 2011-05-04 宁波市鄞州钟公庙卫东工艺美术厂 猫抓盒
WO2018097740A1 (en) * 2016-11-25 2018-05-31 SKOLIK, Maria Scratcher lou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94U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499B1 (en) Interconnection of toy building elements in a releasable secure engagement
US20080109958A1 (en) Bedstead assembly with a foldable support frame
US5605486A (en) Three-dimensional model structures
KR200495472Y1 (ko) 고양이용 스크래처
RU2322549C2 (ru) Плавучий элемент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лавучей платформы
WO1994026151A1 (en) Padding body with individual modular elements
US5601470A (en) Toy building block puzzle
CN105121744A (zh) 互锁且减震的地砖系统
USD431760S (en) Pan form for conical muffin
WO2003066970A3 (en) Revetment block and mat
USD532238S1 (en) Floor matting
USD1024039S1 (en) Case
US5827105A (en) Unit toy system
CA1304578C (en) Folding polygonal toy construction element
US20070059481A1 (en) Floor pads
KR102344024B1 (ko) 공기 순환 패턴을 갖는 조립식 매트
KR200427949Y1 (ko) 매트
US8196753B2 (en) Screening panel
US20220151400A1 (en) Imagination tiles
USD470602S1 (en) Dance floor section
US20190264447A1 (en) Floor Mat Puzzle
JP2007195701A (ja) 敷きマット
US20040253412A1 (en) Chairmat having gripping surface with interlocking ridges
KR200490327Y1 (ko) 완구용 블록
KR200410156Y1 (ko) 골프연습장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