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834A -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 Google Patents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834A
KR20200019834A KR1020190099270A KR20190099270A KR20200019834A KR 20200019834 A KR20200019834 A KR 20200019834A KR 1020190099270 A KR1020190099270 A KR 1020190099270A KR 20190099270 A KR20190099270 A KR 20190099270A KR 20200019834 A KR20200019834 A KR 2020001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mechanism
crankshaft
carrier
bearing holding
carri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후루타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1/00Apparatus or articles in engineering in general
    • F16C2361/61Toothed gear systems, e.g. support of pini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2Lateral adjustment
    • F16H2057/0224Lateral adjustment using eccentric b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규제 부재의 체결에 의한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은,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하는 구름 이동 부재와, 상기 구름 이동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BEARING HOLDING MECHANISM}
본 발명은,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감속기 등의 기어 장치에 사용 가능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있어서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어 장치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어 장치에 있어서는, 캐리어의 암나사부에 규제 부재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규제 부재가 캐리어에 고정되고, 이 캐리어에 고정된 규제 부재에 의해 크랭크축의 축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3053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어 장치에서는, 캐리어의 암나사부에 규제 부재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크랭크축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에 규제 부재를 체결한 경우, 그 체결 토크에 의해, 구름 이동 부재의 구름 이동면(크랭크 구멍이라고도 함)의 진원도 또는 원통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진원도 또는 원통도가 저하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 부재가 구름 이동하면, 당해 구름 이동면이 파괴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규제 부재의 체결에 의한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하는 구름 이동 부재와, 상기 구름 이동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하는 구름 이동 부재와, 상기 구름 이동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부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하면, 규제 부재의 체결에 의한 영향을 저감함으로써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기어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기어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상, 기어 장치의 구성 부재에 대해 주요 부재만이 간략화되어 도시된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기어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구성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 및 당해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가 사용되는 기어 장치(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장치(1)는, 예를 들어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이다. 기어 장치(1)는, 외통(2)과, 캐리어(3)와, 요동 기어(4)와, 크랭크축(5)과, 크랭크 베어링(6)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기어 장치(1)는 크랭크축(5)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 기어(4)가 요동 회전함으로써, 외통(2)과 캐리어(3)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3)는, 제1 캐리어체(31) 및 제2 캐리어체(32)를 갖는다. 캐리어(3)(즉, 제1 캐리어체(31) 및 제2 캐리어체(32))는,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부재」의 예이다.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는, 제1 캐리어체(31) 및 제2 캐리어체(32) 중 적어도 한쪽과, 크랭크축(5)과, 구름 이동 부재(6A) 및 구름 이동 부재(6B) 중 적어도 한쪽과, 부시(11A) 및 부시(11B) 중 적어도 한쪽과, 규제 부재(9)를 구비한다. 캐리어체(31)는, 내주면(31c)을 갖고, 캐리어체(32)는 내주면(32c)을 갖는다. 내주면(31c)은 암나사부(31d)를 갖고, 내주면(32c)은 암나사부(32g)를 갖고 있다. 크랭크축(5)은 캐리어(3)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규제 부재(9)는 제1 규제 부재(91) 및 제2 규제 부재(92) 중 적어도 한쪽을 갖는다. 제1 규제 부재(91)는 수나사부(91a)를 갖고, 제2 규제 부재(92)는 수나사부(92a)를 갖는다. 수나사부(91a)는 암나사부(31d)에 나사 결합되고, 수나사부(92a)는 암나사부(32g)에 나사 결합된다. 부시(11A)는 제1 캐리어체(31)와 구름 이동 부재(6A) 사이에 마련되고, 부시(11B)는 제2 캐리어체(32)와 구름 이동 부재(6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부시(11A)의 내주에는 구름 이동 부재(6A)를 위한 구름 이동면이 형성되고, 부시(11B)의 내주에는 구름 이동 부재(6B)를 위한 구름 이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3)에 나사 결합된 규제 부재(9)는 제1 캐리어체(31) 및 부시(11A) 또는 제2 캐리어체(32) 및 부시(11B)에 의해 지지된다. 부시(11A) 및 부시(11B)는,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부재」의 예이다. 제2 부재는, 부시 이외의 부재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에 의하면, 규제 부재(9)를 체결하였을 때에 부시(11A) 또는 부시(11B)에 작용하는 압력이, 제1 캐리어체(31) 또는 제2 캐리어체(32)로 분산되므로, 부시(11A) 또는 부시(11B)에 작용하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시(11A)의 구름 이동면 또는 부시(11B)의 구름 이동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는, 제1 캐리어체(31) 또는 제2 캐리어체(32)와, 크랭크축(5)과, 구름 이동 부재(6A) 또는 구름 이동 부재(6B)와, 부시(111A) 또는 부시(111B)와, 규제 부재(9)를 구비한다.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에 있어서,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부시(111A)는 제1 캐리어체(31)와 구름 이동 부재(6A) 사이에 마련되고, 부시(111B)는 제2 캐리어체(32)와 구름 이동 부재(6B)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부시(111A)의 내주에는 구름 이동 부재(6A)를 위한 구름 이동면이 형성되고, 부시(111B)의 내주에는 구름 이동 부재(6B)를 위한 구름 이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3)에 나사 결합된 규제 부재(9)는 제1 캐리어체(31) 또는 제2 캐리어체(32)에 의해 지지된다. 부시(111A) 및 부시(111B)는,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부재」의 예이다.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에 있어서는, 규제 부재(9)와 부시(111A) 사이 및 규제 부재와 부시(111B)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간극이 형성된다. 즉, 부시(111A)는, 제1 규제 부재(91)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부시(111B)는, 제2 규제 부재(92)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에 의하면, 규제 부재를 체결하였을 때의 압력을 제1 캐리어체(31) 또는 제2 캐리어체(32)에 의해 받을 수 있으므로, 부시(111A)의 구름 이동면 또는 부시(111b)의 구름 이동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시(111A) 또는 부시(111B)와 규제 부재(9)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기 때문에, 규제 부재(9)로부터의 압력이 부시(111A) 또는 부시(111B)에는 직접 작용하지 않으므로, 부시(111A)의 구름 이동면 또는 부시(111b)의 구름 이동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기어 장치(1)의 구성을 더 설명한다. 기어 장치(1)에 있어서, 외통(2)은, 축 X1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통(2)의 내주면(2a)에는, 다수의 핀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 홈은, 축 X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당해 축 X1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각 핀 홈은, 외통(2)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기어 장치(1)는, 외통(2)의 내주면(2a)에 설치되는 복수의 내치 핀(8)을 더 구비하고 있다. 각 내치 핀(8)은, 축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내치 핀(8)은, 외통(2)의 내주면(2a)에 형성된 각 핀 홈에 설치되어 있다.
외통(2)에는, 당해 외통(2)을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는 설치 구멍(2b)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 구멍(2b)은, 외통(2)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설치 구멍(2b)은, 도시하지 않은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를 외통(2)에 설치할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를 외통(2)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당해 외통(2)은, 기어 장치(1)에 있어서의 고정측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캐리어(3)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요동 기어(4)를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통(2)과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캐리어(3)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캐리어체(31) 및 제2 캐리어체(32)를 갖고 있다. 제1 캐리어체(31)와 제2 캐리어체(32)는, 체결 부재(T1)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제1 캐리어체(31)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캐리어체(31)는, 일부가 외통(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잔부가 축 X1 방향에 있어서 외통(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캐리어체(31)에는, 중앙 구멍(31a)과, 크랭크축 설치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구멍(31a)은 제1 캐리어체(31)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1 캐리어체(3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설치부(31b)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크랭크축 설치부(31b)는, 중앙 구멍(31a)의 외측에 있어서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 설치부(31b)는, 제1 부위(31)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제1 캐리어체(31)의 일부가 축 X1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각 크랭크축 설치부(31b)는, 제1 부재(31)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캐리어체(31)에는 3개의 크랭크축 설치부(31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2 캐리어체(32)는, 대략 원판 형상의 기판부(32a)와, 당해 기판부(32a)로부터 제1 부재(31)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부(32b)를 갖고 있다. 기판부(32a)는, 일부가 외통(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잔부가 축 X1 방향에 있어서 외통(2)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샤프트부(32b)는, 기판부(32a) 중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캐리어체(31)측의 단부면으로부터 당해 축 X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부(32b)는,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캐리어체(32)는, 3개의 샤프트부(32b)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2 캐리어체(32)에는, 중앙 구멍(32k)과, 크랭크축 설치부(32d)와, 설치 구멍(32j)이 형성된다.
중앙 구멍(32k)은, 제2 캐리어체(32)의 기판부(32a)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2 캐리어체(3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설치부(32d)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크랭크축 설치부(32d)는, 중앙 구멍(32k)의 외측에 있어서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 설치부(32d)는, 기판부(32a)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기판부(32a)의 일부가 축 X1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크랭크축 설치부(32d)는, 제2 캐리어체(32)의 기판부(32a)를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크랭크축 설치부(32d)는 제1 부재(31)에 형성된 각 크랭크축 설치부(31b)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설치 구멍(32j)은, 제2 캐리어체(32) 중 제1 캐리어체(31)와는 반대측의 단부면이 축 X1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32j)은,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선회 보디 등의 상대측 부재를 캐리어(3)에 설치하는 데 이용된다. 캐리어(3)에 대해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선회 보디를 설치하는 경우, 당해 캐리어(3)는 기어 장치(1)에 있어서의 회전측의 부재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캐리어(3)에 대해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베이스가 설치되는 경우라면, 외통(2)에는 로봇의 관절 부분을 구성하는 선회 보디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캐리어(3)가 기어 장치(1)의 고정측의 부재가 되는 동시에 외통(2)이 기어 장치(1)의 회전측의 부재가 된다.
기어 장치(1)는, 주 베어링(B1, B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주 베어링(B1, B2)은, 캐리어(3)의 외주면과 외통(2)의 내주면(2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주 베어링(B1)은, 제1 캐리어체(31)의 외주면과 외통(2)의 내주면(2a)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주 베어링(B2)은, 제1 부재(32)의 기판부(32a)의 외주면과 외통(2)의 내주면(2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주 베어링(B1, B2)은, 외통(2)과 캐리어(3)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크랭크축(5)은, 크랭크축 설치부(31b, 32d)에 있어서, 캐리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 장치(1)는, 캐리어(3)에 대한 크랭크축(5)의 회전을 허용하는 구름 이동 부재(크랭크 베어링)(6A, 6B)를 포함하는 크랭크 베어링(6)을 더 구비하고 있다. 크랭크축(5)은, 당해 크랭크 베어링(6A, 6B)을 통해 캐리어(3)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랭크축(5)은, 캐리어(3)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어 3개 마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크랭크축(5)의 수는 임의이며, 기어 장치(1)의 사용 양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크랭크축(5)은, 축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본체(51)와, 당해 축 본체(51)에 대해 편심되는 편심부(54, 55)를 갖고 있다.
축 본체(51)는, 제1, 제2 저널부(대직경부)(51b, 51c)와, 당해 제1, 제2 저널부(51b, 51c)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는 소직경부(51a)를 갖고 있다.
제1 저널부(51b)는, 제1 부재(31)의 크랭크축 설치부(31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저널부(51b)의 외주면에는, 구름 이동 부재(제1 크랭크 베어링)(6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저널부(51c)는, 제1 저널부(51b)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제2 저널부(51c)는, 제1 부재(32)의 크랭크축 설치부(32d)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저널부(51c)의 외주면에는, 구름 이동 부재(제2 크랭크 베어링)(6B)가 설치되어 있다.
소직경부(51a)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1 저널부(51b)에 인접하고 있고, 제2 저널부(51c)의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소직경부(51a)의 일부는, 크랭크축 설치부(31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소직경부(51a)는 없어도 되고, 제1 저널부(51b)가 크랭크축 설치부(31b) 내로부터 당해 크랭크축 설치부(31b)의 외측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편심부(54, 55)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1 저널부(51b)와 제2 저널부(51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편심부(54, 55)에는, 편심부 베어링(A1, A2)을 통해 요동 기어(4)가 설치되어 있다. 편심부 베어링(A1, A2)은, 편심부(54, 55)와 요동 기어(4)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요동 기어(4)는, 외통(2) 내에 위치하고 있고,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1 캐리어체(31)와 제2 캐리어체(32)의 기판부(32a) 사이에 끼워져 있다. 기어 장치(1)는, 편심부 베어링(A1, A2)을 더 구비하고 있고, 요동 기어(4)는, 편심부 베어링(A1)을 통해 제1 편심부(54)에 설치된 제1 요동 기어(41)와, 편심부 베어링(A2)을 통해 제2 편심부(55)에 설치된 제2 요동 기어(42)를 갖고 있다. 요동 기어(41, 42)는, 외통(2)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을 갖고 있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외치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기어(41, 42)의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의 잇수는 내치 핀(8)의 수보다 약간 적다. 이에 의해, 제1 요동 기어(41)와 제2 요동 기어(42)는, 외통(2)의 내부에 있어서 각 외치가 각 내치 핀(8)에 맞물리도록, 서로 다른 위상에서 요동 회전할 수 있다.
제1 요동 기어(41)에는, 제1 부재(31)의 중앙 구멍(31a)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 구멍(41a)과, 샤프트부(32b)가 삽입된 삽입 구멍(41b)과, 제1 편심부(54)가 삽입된 크랭크축 설치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요동 기어(42)에는, 제2 캐리어체(32)의 중앙 구멍(32c)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 구멍(42a)과, 샤프트부(32b)가 삽입된 삽입 구멍(42b)과, 제2 편심부(55)가 삽입된 크랭크축 설치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요동 기어(4)는, 제1 요동 기어(41)와 제2 요동 기어(42)의 2개의 요동 기어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요동 기어만을 갖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요동 기어를 갖고 있어도 된다.
기어 장치(1)는, 크랭크축(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당해 크랭크축(5)을 회전시키는 전달 기어(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전달 기어(7)는, 3개의 크랭크축(5)의 위치에 대응하여 3개 마련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전달 기어(7)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1 캐리어체(31)를 사이에 두고 제2 캐리어체(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달 기어(7)는, 크랭크축(5)의 축 본체(51)의 소직경부(51a)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 기어(7)는, 당해 전달 기어(7)를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축 본체(51)의 소직경부(51a)에 설치된 리테이닝링에 의해, 당해 축 X1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받는다.
또한, 전달 기어(7)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1 부재(31)를 사이에 두고 제1 부재(3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달 기어(7)는, 예를 들어 제1 편심부(54)와 제2 편심부(55)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즉, 전달 기어(7)의 배치는 임의이며, 기어 장치(1)의 양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전달 기어(7)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외치를 갖고 있고, 당해 복수의 외치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입력축 등이 맞물림으로써, 당해 모터의 구동력(토크)을 크랭크축(5)에 전달한다. 그리고 전달 기어(7)로부터 구동력을 받은 크랭크축(5)의 편심부(54, 55)가 회전함으로써, 당해 회전에 따라서 요동 기어(4)가 외통(2) 내에 있어서 요동 회전한다. 이에 의해, 외통(2)과 캐리어(3)가 상대 회전하게 된다.
기어 장치(1)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9)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규제 부재(9)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제1 규제 부재(91) 및 제2 규제 부재(92)를 갖고 있다. 제1 규제 부재(91)와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크랭크축(5)을 끼워 넣는다. 이에 의해, 제1 규제 부재(91) 및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0) 및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는, 도 1 및 도 2의 기어 장치(1)의 축 X1 방향에 있어서 캐리어(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기어 장치(1)의 축 X1 방향에 있어서 상측에 있는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1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규제 부재(91)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당해 제1 규제 부재(91)에는, 중앙 부분을 축 X1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 구멍(91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91b)의 직경은, 소직경부(51a)의 직경보다 조금 크고, 또한 제1 저널부(51b)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1 규제 부재(9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부(51a)가 삽입 구멍(91b)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규제 부재(91)는, 당해 제1 규제 부재(91)를 캐리어(3)에 고정하기 위한 수나사부(91a)를 갖고 있다. 수나사부(91a)는, 제1 규제 부재(91)의 외주 부분의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설치부(31b)를 형성하는 제1 캐리어체(31)의 내주면(31c)은, 암나사부(31d)와, 단차부(31e)와, 지지부(31f)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암나사부(31d), 단차부(31e) 및 지지부(31f)는, 제1 부재(31)의 외측 단부면(31A)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연속되어 있다.
암나사부(31d)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외측 단부면(31A)측에 위치하는 내주면(31c)의 단부로부터 당해 내주면(31c)의 중간 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31d)에는, 수나사부(91a)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9)는, 캐리어(3)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단차부(31e)는, 암나사부(31d)와 지지부(31f)를 연결하고 있다. 단차부(31e)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암나사부(31d)의 제1 요동 기어(41)측의 단부로부터, 크랭크축(5)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차부(31e)는, 축 X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1 저널부(51b)에 있어서의 편심부(54)의 반대측의 단부면인 축 방향 단부면(51A)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제1 규제 부재(91)의 다른 쪽 주면(91A)에 있어서의 외주 부분은, 축 X1 방향에 있어서 단차부(31e)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 규제 부재(91)의 다른 쪽 주면(91A)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은, 제1 저널부(51b)의 축 방향 단부면(51A)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면(91C)은, 제1 저널부(51b)의 축 방향 단부면(51A)에 접촉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규제면(91C)은, 축 X1 방향에 있어서 축 방향 단부면(51A)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단차부(31e)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축 방향 단부면(51A)보다 외측 단부면(31A)측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부(31f)는, 크랭크축(5)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단차부(31e)의 내측 단부로부터, 축 X1 방향을 따라 제1 요동 기어(41)측으로 연장되어 있다.구름 이동 부재(제1 크랭크 베어링)(6A)는, 구름 이동 부재(제1 크랭크 베어링)(6A)를 통해 제1 저널부(5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축 X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름 이동체(61)를 갖도록 구성된다. 지지부(31f)와 제1 저널부(51b) 사이에서 구름 이동체(61)가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캐리어(3)에 대해 크랭크축(5)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규제 부재(92)는, 제1 규제 부재(91)와 마찬가지로, 원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당해 제2 규제 부재(92)에는, 제1 규제 부재(91)와 마찬가지로, 중앙 부분에 삽입 구멍(92b)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규제 부재(92)는, 제1 규제 부재(91)와 마찬가지로, 수나사부(92a)를 갖고 있다. 또한, 크랭크축 설치부(32d)를 형성하는 제2 캐리어체(32)의 내주면(32c)은, 제1 캐리어체(31)의 내주면(31c)과 마찬가지로, 암나사부(32g)와, 단차부(32h)와, 지지부(32f)를 갖고 있다. 또한, 구름 이동 부재(제2 크랭크 베어링)(6B)는, 구름 이동 부재(제1 크랭크 베어링)(6A)와 마찬가지로, 구름 이동체(61)를 갖고 있다. 제2 규제 부재(92), 제2 캐리어체(32)의 내주면(32c), 및 구름 이동 부재(제2 크랭크 베어링)(6B)의 각각은, 제1 규제 부재(91), 제1 부재(31)의 내주면(31c), 및 제1 크랭크 베어링(6A)의 각각에 대해 축 X1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규제 부재(92), 제1 부재(32)의 내주면(32c), 및 구름 이동 부재(제2 크랭크 베어링)(6B)의 각각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단차부(32h)에 접촉하고 있고, 이 위치에서 제2 저널부(51c)의 외측 단부면(32A)측의 단부면인 축 방향 단부면(51B)에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크랭크축(5)의 외측 단부면(32A)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 제2 크랭크 베어링(6B)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기(62)의 제2 부위(62b)에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규제 부재(92)는, 축 X1 방향에 있어서의 보유 지지기(62)의 외측 단부면(32A)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제1 규제 부제(91) 및 제2 규제 부재(92)에는 오목부(91e, 92e)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91e, 92e)에 지그가 삽입되어, 소정의 체결 토크로 부호 31, 92가 회전된다. 이 구멍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으로 해도 되고, 이 관통 구멍을 윤활재가 통과함으로써 구름 이동 부재(6A, 6B)의 윤활성이 좋아진다.
이상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상기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형태 중 하나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특징 중 일부가, 다른 또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설명된 기어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1 : 기어 장치
2 : 외통
3 : 캐리어
4 : 요동 기어
5 : 크랭크축
6 : 크랭크 베어링
6A, 6B : 구름 이동 부재
7 : 전달 기어
9 : 규제 부재
10, 110 :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11A, 11B : 부시
31 : 제1 캐리어체
32 : 제2 캐리어체
31b, 32d : 크랭크축 설치부(관통 구멍)
31c, 32c : 내주면
31d, 32g : 암나사부
31e, 32h : 단차부(위치 결정부)
61 : 구름 이동체
62 : 보유 지지기
62b : 제2 부위
91a, 92a : 수나사부
91b : 삽입 구멍
91C : 규제면

Claims (4)

  1.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하는 구름 이동 부재와,
    상기 구름 이동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2.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구름 이동면에 있어서 구름 이동하는 구름 이동 부재와,
    상기 구름 이동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고정되는 수나사부를 갖고, 상기 제1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규제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부시인,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KR1020190099270A 2018-08-15 2019-08-14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KR20200019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2983 2018-08-15
JPJP-P-2018-152983 2018-08-15
JP2019146842A JP7332387B2 (ja) 2018-08-15 2019-08-08 軸受保持機構
JPJP-P-2019-146842 2019-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34A true KR20200019834A (ko) 2020-02-25

Family

ID=6962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0A KR20200019834A (ko) 2018-08-15 2019-08-14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32387B2 (ko)
KR (1) KR20200019834A (ko)
TW (1) TWI81906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0536A (ja) 2015-01-13 2016-07-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226A (ja) * 1993-09-14 1995-03-28 Ntn Corp 樹脂成形品組込針状ころ軸受装置
JP2009092083A (ja) 2007-10-03 2009-04-30 Otics Corp カムシャフト
JP2014109323A (ja) * 2012-12-03 2014-06-12 Nabtesco Corp 歯車装置
JP6864885B2 (ja) 2016-09-20 2021-04-28 日立Astemo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0536A (ja) 2015-01-13 2016-07-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9066B (zh) 2023-10-21
TW202014620A (zh) 2020-04-16
JP2020029957A (ja) 2020-02-27
JP7332387B2 (ja)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231B1 (ko) 감속장치
JP2007032671A (ja) 針状ころ軸受および軸受構造
JP2006322581A (ja) 割り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分割型軸受
KR101669380B1 (ko) 기어 전동 장치와 그것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 구조체
US8613352B2 (en) One-way clutch retainer
KR102511290B1 (ko) 기어 장치
JP6440466B2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2008232310A (ja) ころ軸受
JP5400648B2 (ja) 歯車伝動装置
JP2019019839A (ja) 偏心揺動型減速装置
KR20200019834A (ko) 베어링 보유 지지 기구
JP2007024207A (ja) 針状ころ軸受
US10955007B2 (en) Bearing retaining mechanism
US11719285B2 (en) Damper device
KR20170015193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334289B2 (ja) 歯車伝動装置
JP2010007841A (ja) リング歯車とそのリング歯車を備える歯車伝動装置
JP2008232311A (ja) ころ軸受
JP2008116034A (ja) ころ軸受
JP2009180239A (ja) ラジアル転がり軸受
JP2006258262A (ja) 複列転がり軸受
CN111720497B (zh) 摆线减速机及其制造方法以及马达单元
JP7193976B2 (ja) 偏心揺動型減速装置
CN112145557A (zh) 轴承和减速器
JP2018035843A (ja) 軸受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