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792A -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6792A KR20200016792A KR1020190085559A KR20190085559A KR20200016792A KR 20200016792 A KR20200016792 A KR 20200016792A KR 1020190085559 A KR1020190085559 A KR 1020190085559A KR 20190085559 A KR20190085559 A KR 20190085559A KR 20200016792 A KR20200016792 A KR 202000167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case
- roll
- adhesive tape
- cleaning to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안정적인 포장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판매 시 등에 콤팩트하게 진열할 수 있는 청소구를 제공한다.
점착 테이프 롤(21)을 구비하는 청소구 본체(2)와, 상기 청소구 본체(2) 중 적어도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수납하는 케이스(3)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구 본체(2)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부(22)와, 청소 실시 시에 상기 롤 지지부(22)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핸들(23)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3)는, 수납 시에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통과시키는 개구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23)은, 적어도 상기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는, 상기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한 핸들(23)을 보유 지지하는 핸들 보유 지지부(4)를 구비하는 청소구(1)이다.
점착 테이프 롤(21)을 구비하는 청소구 본체(2)와, 상기 청소구 본체(2) 중 적어도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수납하는 케이스(3)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구 본체(2)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부(22)와, 청소 실시 시에 상기 롤 지지부(22)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핸들(23)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3)는, 수납 시에 상기 점착 테이프 롤(21)을 통과시키는 개구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23)은, 적어도 상기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는, 상기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한 핸들(23)을 보유 지지하는 핸들 보유 지지부(4)를 구비하는 청소구(1)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 롤의 점착력에 의해, 청소 대상물 표면의 진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청소구로서 다양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16-41219호 공보에는, 판매 등을 위한 진열 시에 콤팩트한 형태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떼어낼 수 있는 그립부(핸들)를 구비한 청소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그립부가 청소구의 본체로부터 떨어져 버리면 양자에 물리적인 관계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립부가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안정적인 포장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적인 포장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판매 시 등에 콤팩트하게 진열할 수 있는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 롤을 구비하는 청소구 본체와, 상기 청소구 본체 중 적어도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구 본체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부와, 청소 실시 시에 상기 롤 지지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수납 시에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적어도 상기 청소구 본체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롤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핸들을 보유 지지하는 핸들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청소구이다.
이 양태에 의하면, 케이스에 있어서의 핸들 보유 지지부에서 핸들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케이스와 핸들 사이에 물리적인 관계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열 시에 분리된 핸들이 케이스로부터 뿔뿔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 또는 내면에 면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핸들을 케이스의 외면 또는 내면에 면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와 핸들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보유 지지한 상태의 케이스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지지부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롤 지지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핸들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에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된 것에 의해, 수납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수납체에 상향의 면을 구성하는 상부 적재 영역과, 하향의 면을 구성하는 하부 적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적재 영역과 상기 하부 적재 영역의 상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상하 치수가 동등하거나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수납체를 상하 방향으로 쌓으려고 하는 경우, 하방의 수납체의 상부 적재 영역과, 상방의 수납체의 하부 적재 영역이 부상해 버리지 않으므로, 복수의 수납체를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수납체를 상하 방향으로 쌓은 경우에 상기 상면에 대하여 별도의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 적재 영역이 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수납체를, 평면을 통해 상방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수납체의 적층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높이와,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의 높이가 동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개구부에 있어서의 주연부 및 제1 부분의 상면의 양쪽에 의해 상부 적재 영역이 구성되고, 상부 적재 영역에 있어서의 상향의 면이 평면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수납체의 적층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상기 핸들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에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된 것에 의해, 수납체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수납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이며,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도 상기 개구부 근처에 마련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 롤의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인 경우, 케이스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 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도 개구부 근처에는, 점착 테이프 롤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이 존재한다. 이 공간을 핸들 보유 지지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롤 지지부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상기 핸들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개구부에 있어서 제1 부분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핸들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기 때문에, 핸들이 제1 부분으로 덮인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핸들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핸들이, 가령 케이스를 뒤집어도 케이스 밖으로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치수에 대하여, 상기 핸들의 전체 길이가 90%이상 100% 미만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치수와 핸들의 전체 길이가 대략 동등하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핸들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핸들에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와 핸들 사이에 물리적인 관계성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진열 시에 분리된 핸들이 케이스로부터 뿔뿔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청소구의 안정적인 포장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판매 시 등에 콤팩트하게 진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청소구이며, 사용 개시 후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청소구이며, 사용 개시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의 롤 지지부(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의 핸들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청소구 중,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청소구에 있어서의 수납체(포장체는 도시하지 않음)를 상하 2단으로 쌓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청소구이며, 사용 개시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의 롤 지지부(점착 테이프 롤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청소구 중, 청소구 본체의 핸들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청소구 중,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청소구에 있어서의 수납체(포장체는 도시하지 않음)를 상하 2단으로 쌓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일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하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내외 방향에 관해서는, 케이스(3)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롤(21)의 보유 지지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 공간에 면하는 방향을 내측, 면하지 않는 방향을 외측이라고 한다. 「내면」 및 「외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시의 방향은, 이하에 설명하는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청소구(1)는, 원통상의 점착 테이프 롤(21)(이하, 단순히 「롤」이라고 기재함)을 구비하는 청소구 본체(2)와, 상기 청소구 본체(2) 중 적어도 롤(21)을 수납하는 케이스(3)를 구비한다. 이 청소구(1)에 있어서의,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후의 형태를 도 1에 도시하고, 적어도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전(예를 들어, 판매 등을 위한 진열 시)의 형태를 도 2에 도시한다. 단, 도 2에 있어서, 케이스(3), 롤 지지부(22), 핸들(23)의 조합인 수납체(1A)(후술)를 둘러싸는 포장재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청소구 본체(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이다. 이 청소구 본체(2)는, 롤(21)을 주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부(22), 및 롤 지지부(22)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청소 실시 시에 롤 지지부(22)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핸들(23)을 구비한다. 핸들(23)은 청소 실시 시에 유저가 쥐는 부분이다. 롤 지지부(22)의 형태를 도 4에 도시하고, 핸들(23)의 형태를 도 5에 도시한다.
롤(21)은 공지의 구성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롤(21)은, 박리지를 벗김으로써 점착력이 있는 외주면을 노출시킬 수 있고, 이 외주면을 가옥의 바닥면 등의 청소 대상물의 표면에서 굴림으로써, 외주면에 진애 등을 부착시켜 제거하여, 청소 대상물을 청소할 수 있다.
롤 지지부(22)는 롤(2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으로서의 기부(221)와, 기부(221)에 연속되어 있고 롤(2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부분으로서의 지부(222)를 구비한다. 또한, 롤 지지부(22)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기부(221)는 롤(21)에 대향하는 측[케이스(3)로의 수납 시에 있어서의 하측]에,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211)가 형성되고, 이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굽힘에 관하여 보강되어 있다. 기부(221)의, 롤(21)과 반대의 측[케이스(3)로의 수납 시에 있어서의 상측]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평면인 상면(2212)에는 케이스(3), 롤 지지부(22), 핸들(23)의 조합인 수납체(1A)가 상하에 적층된 경우에, 상방에 위치하는 수납체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하부 에지가 맞닿는다. 기부(221)에는 롤(21)에 대향하는 측을 향하는 통상의 핸들 접속부(2213)가 마련되어 있다(도 7 참조). 본 실시 형태의 핸들 접속부(2213)는 기부(221)에 매립되어 있고, 기부(221)의 표면에는 핸들 접속부(2213)의 내주면이 핸들 접속 구멍(2214)으로서 드러나 있다(도 2, 도 4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23)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기 때문에, 핸들 접속 구멍(2214)은 원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핸들 접속 구멍(2214)에 대하여 핸들(23)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핸들 접속부(2213)의 하부 에지에는 핸들(23)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워 맞춤 갈고리(231)가 끼워 맞추어진다. 이로써, 핸들(23)이 기부(221)에서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지부(222)는 기부(221)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교차하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판상의 부분이다. 지부(222)의 선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반상의 롤 설치부(24)가 지부(2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롤 설치부(2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21)이 개방되어 있는 양단에 끼워넣어진다. 롤 설치부(24)의 직경 방향 중앙으로부터 일방향으로는, 원기둥상의 돌기부(241)가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부(222)의 두께 방향[롤(21)의 길이 방향에 일치]으로 관통한 원형의 관통 구멍(22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2222)에 롤 설치부(24)의 돌기부(241)가 통과되고, 관통 구멍(2222)에 대하여 원기둥상인 돌기부(2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롤(21)은 롤 지지부(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부(222)의 관통 구멍(2222)에 롤 설치부(24)의 돌기부(241)를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대향하는 지부(222)를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하여 행한다. 또한, 지부(222)에 대하여 롤(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지부(2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단차부(2221)를 구비하고 있고, 단차부(2221)를 경계로 직경 내측이 두껍고, 직경 외측이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221)를 케이스(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 홈(33)을 따르게 함으로써, 롤 지지부(22)를 케이스(3)에 설치할 수 있다. 롤 지지부(22)를 케이스(3)에 설치한 상태에서, 지부(2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두꺼운 부분)는 삽입 홈(33)에 들어가 있고, 다른 부분(얇은 부분)은 케이스(3)의 길이 방향 양단의 외면 중, 삽입 홈(33)의 주위를 덮고 있다.
핸들(2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며,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직봉상으로 되어 있다. 이 핸들(23)은 적어도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3)의 내부에 마련된 핸들 보유 지지부(4)에 보유 지지된다. 핸들(23)의 선단부는 롤 지지부(22)의 핸들 접속부(2213)에 접속된다. 핸들(23)은 롤 지지부(22)에 접속된 상태에서, 롤 지지부(22)의 기부(221)에 대하여 롤(21)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221)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부(221)에 직교하여 핸들(23)이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 지지부(22)의 핸들 접속부(2213)에 핸들(23)의 끼워 맞춤 갈고리(231)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기본적으로는, 롤 지지부(22)에 핸들(23)이 한번 접속되면 용이하게 뗄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청소구 본체(2)의 사용 개시 후에는 롤 지지부(22)에 핸들(23)이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핸들(23)의 선단부에는, 끼워 맞춤 갈고리(231) 외에, 핸들 접속 구멍(2214)에 대한 위치 정렬을 행하기 위한 돌기(23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핸들 접속부(2213)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232)에 일치하는 부분에 홈부(2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정렬을 위한 돌기(232)와 홈부(2215)의 조합에 의해, 유저가 청소구(1)[청소구 본체(2)]의 사용에 앞서, 가정 등에서 롤 지지부(22)에 핸들(23)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케이스(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3)의 길이 방향은 롤(21)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케이스(3)의 폭 방향은 롤(21)의 직경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3)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케이스(3)로의 수납 시에 롤(21)을 통과시키는 개구부(31)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31)는, 케이스(3)에 있어서 수납된 롤(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31)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이다. 케이스(3)의 긴 변측의 외면(측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만곡되면서 폭 방향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미관이 우수하고, 또한 하부 확대 형상인 점에서 적재 시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저부(하부)(32)는, 수납된 롤(21)의 하반분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종단면에서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저부(32)에 있어서의 내면은, 수납 상태에서의 롤(2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롤(21)의 점착력에 의해, 롤(21)을 케이스(3)로부터 떼기 어려워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케이스(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하방이 폐쇄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33)은 폭 방향의 중앙에 마련되어, 두께 방향[케이스(3)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삽입 홈(33)에, 롤 지지부(22)의 지부(222)가 설치된다. 삽입 홈(33)의 상부는 폭 치수가 확대되고 케이스(3)의 상부 에지에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롤 지지부(22)를 삽입 홈(33)에 설치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3)는 롤(21)을 수납함과 함께 핸들(23)을 보유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3)는, 롤 지지부(22)로부터 분리된 핸들(23)을 보유 지지하는 핸들 보유 지지부(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보유 지지」란, 케이스(3)와 핸들(23) 사이에서, 케이스(3)에 대하여 핸들(23)이 자유 상태로 되지 않을 정도의 관계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보유 지지부(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3) 내부에 있어서 롤(21)의 외주면과 케이스(3)의 개구부(31) 사이의 공간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케이스(3)를 기울인 경우에, 당해 공간의 범위에서 핸들(23)이 움직이는 정도는, 보유 지지 상태로서 허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보유 지지부(4)는 케이스(3)의 내부이며, 수납체(1A)로 된 상태에서의 롤(21)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도 개구부(31)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롤(21)의 외주면보다 롤(21)의 중심 기준으로 경사 상방에 존재하는 공간이 핸들 보유 지지부(4)에 해당한다. 핸들(23)은 롤(21)의 외주면 및 케이스(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면에 맞닿음으로써 보유 지지된다. 덧붙여 말하면, 이와 같이 핸들(23)이 보유 지지되어 있을 때, 청소구 본체(2)는 사용 개시 전이기 때문에, 롤(21)의 외주면은 박리지로 덮여 있으므로, 핸들(23)이 롤(21)에 달라 붙어 버리는 경우는 없다. 핸들(23)은 케이스(3)의 길이 방향 양단의 내면에 의해, 핸들 보유 지지부(4)에서의 길이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롤(21)의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인 경우, 케이스(3)에 있어서의 롤(21)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도 개구부(31) 근처에는, 수납 또는 꺼냄 시에 있어서의 롤(21)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공간이 반드시 존재한다. 이 공간을 핸들 보유 지지부(4)로서 이용함으로써, 케이스(3)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보유 지지부(4)에 대하여, 핸들(23)은 놓여질 뿐이며, 핸들 보유 지지부(4)에 있어서 핸들(23)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23)을 케이스(3)에 고정함으로써, 핸들 보유 지지부(4)에 있어서 부동으로 되어도 된다.
케이스(3)에 있어서의 핸들 보유 지지부(4)로 핸들(23)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케이스(3)와 핸들(23) 사이에 물리적인 관계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열 시에 분리된 핸들(23)이 케이스(3)로부터 뿔뿔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핸들 보유 지지부(4)는 케이스(3)의 내면에 면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핸들(23)을 케이스(3)의 내면에 면하게 하여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3)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핸들 보유 지지부(4)를 마련한 경우에 비해, 케이스(3)와 핸들(23)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납 또는 꺼냄 시에 롤(21)이 통과하는 공간과 겸용하고 있지 않은, 케이스(3)의 보유 지지 전용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핸들(23)을 보유 지지한 상태의 케이스(3)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수납체(1A)는 케이스(3)에 핸들(23)이 분리된 상태의 롤 지지부(22)가 설치되고, 또한 핸들 보유 지지부(4)에 핸들(23)이 보유 지지된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보유 지지부(4)가 케이스(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체(1A)에 있어서, 핸들(23)이 케이스(3)로부터 튀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3), 롤 지지부(22), 핸들(23)이 조합된 수납체(1A)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체를 수지제의 시트나 주머니 등의 포장재에 의해 둘러싸서 포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된 수납체(1A)는 매장 등에 단독으로 진열할 수도 있지만, 상하로 적층하여 진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하로 적층할 수 있는 점에서, 진열 스페이스가 한정된 점포라도, 다수의 청소구를 수납체(1A)의 상태로 진열할 수 있어, 유리하다.
수납체(1A)에서 개구부(31)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수납체(1A)에는 상향의 면을 구성하는 상부 적재 영역(1A1)과, 하향의 면을 구성하는 하부 적재 영역(1A2)이 형성된다. 상부 적재 영역(1A1)과 하부 적재 영역(1A2)의 상하 치수에 비해, 수납체(1A)에 있어서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상하 치수가 동등하거나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수납체(1A…1A)를 상하 방향으로 쌓으려고 하는 경우, 하방의 수납체(1A)의 상부 적재 영역(1A1)과, 상방의 수납체(1A)의 하부 적재 영역(1A2)이 확실하게 접함으로써, 부상해 버리지 않으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도시한 것은 2개)의 수납체(1A…1A)를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의 상면(2212)이, 돌출부가 없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납체(1A)에서 개구부(31)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이며, 복수의 수납체(1A…1A)를 상하 방향으로 쌓은 경우에, 기부(221)의 상면(2212)에 대하여 별도의 수납체(1A)에 있어서의 하부 적재 영역(1A2)이 접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수납체(1A…1A)를, 평면을 통해 상방으로 쌓을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도시한 것은 2개)의 수납체(1A…1A)의 적층이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체(1A)에 있어서의, 개구부(31)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높이와,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의 상면(2212)의 높이가 동등하다. 실제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221)의 상면(2212)의 쪽이 약간 높게 되어 있지만, 이 형태도 「동등하다」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개구부(31)에 있어서의 주연부 및 기부(221)의 상면(2212)의 양쪽에 의해 상부 적재 영역(1A1)이 구성되고, 상부 적재 영역(1A1)에 있어서의 상향의 면이 평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평면)으로 된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도시한 것은 2개)의 수납체(1A…1A)의 적층이 안정된다.
케이스(3)에는 롤 지지부(22)가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는 케이스(3)에 있어서의 개구부(31)의 일부를 덮는다. 따라서 개구부(31)는 기부(221)의 폭 방향 양단 에지와 케이스(3)의 개구부(31)에 있어서의 폭 방향 양단 에지 사이에서 2개소로 나뉘어 잔존하게 된다. 각 개구부(31) 중 개구가 잔존한 부분, 즉, 케이스(3)에 있어서의 개구부(31)에 있어서 기부(221)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는, 핸들(23)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개구부(31)에 있어서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핸들(23)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기 때문에, 핸들(23)이 기부(221)로 덮인 개구부(31)를 통과하는 것이 방해된다. 따라서, 케이스(3) 내부의 핸들 보유 지지부(4)에 보유 지지된 핸들(23)이, 가령 케이스(3)를 뒤집어 엎어 개구부(31)가 하방을 향했다고 해도, 케이스(3)의 외부로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개시 후의 롤(21)이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기부(221)가 「눈가리개」로 되어, 진애 등이 부착된 롤(21)이 보이기 어려우므로, 유저에게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케이스(3)에는 적어도 1개의 핸들(23)이 보유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보유 지지되는 핸들(23)은 1개이다. 복수개의 핸들(23)을 보유 지지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핸들(23)을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긴 핸들(23)을 갖는 청소구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들(23)이 긴 쪽이 청소 실시 시의 사용 편의가 좋기 때문에 유리하다. 보유 지지되는 1개의 핸들(23)의 전체 길이는, 케이스(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치수에 대하여, 핸들(23)의 전체 길이가 90% 이상 1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전체 길이로 함으로써, 케이스(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치수와 핸들(23)의 전체 길이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3) 내부의 핸들 보유 지지부(4)에 보유 지지된 핸들(23)에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렵고,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23)의 전체 길이가 90% 미만이어도 되지만, 그 길이에서는 케이스(3)에 비해 지나치게 짧고, 핸들 보유 지지부(4)가 케이스(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핸들(23)의 길이 방향으로 생기는 간극이 커진다. 또한, 100% 이상이면, 핸들 보유 지지부(4)가 케이스(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핸들(23)을 케이스(3)에 수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정이 좋지 않다. 또한, 핸들 보유 지지부(4)가 케이스(3)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핸들(23)의 보유 지지는 가능하지만, 케이스(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핸들(23)이 비어져 나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의 롤 지지부(22)는 기부(221)의 양단으로부터 지부(222)가 돌출된 「양팔보」의 형태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롤(21)의 일단만을 지지하는 「외팔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핸들(23)은 단면 형상이 원형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또는 다른 기하학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단면 형상이 편평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길이 방향에서 상이한 크기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핸들(23)을 이들 형상으로 한 경우, 핸들(23)의 「직경 치수」는, 핸들(2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투영 면적이 최소로 되는 경우의 투영 형상에 있어서의 폭 치수로 평가한다. 케이스(3)에 있어서의 개구부(31)에 있어서 기부(221)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상기 폭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면, 핸들(23)이 걸리기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핸들(23)이 케이스(3)의 외부로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핸들(23)은 기부(221)에 일단 접속한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 시에만 핸들(23)을 접속하고, 보관 시에는 핸들(23)을 분리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3)의 형상에 대하여, 상기 실시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에 있어서의 개구부(31)는, 케이스(3)의 측방이 개구된 형태여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청소구 본체(2)에 관해서는, 핸들(23)이 롤(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된 형태[핸들(23)과 롤(21)의 축심이 일치한 형태]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핸들 보유 지지부(4)는 케이스(3)의 내면에 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 보유 지지부(4)를, 케이스(3)의 외면에 면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오목부로의 끼워넣기, 갈고리부에 의한 걸림, 또한 양면 테이프에 의한 접착으로 핸들(23)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보유 지지부(4)를 케이스(3)의 외면에 면하도록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케이스(3)의 저부(32)와 케이스(3)의 하단 사이의 공간 4X를 핸들 보유 지지부(4)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가 케이스(3)에 있어서의 개구부(31)의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개구가 잔존한 부분에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고, 핸들(23)을 상방으로부터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31)의 잔존 부분이 핸들 보유 지지부(4)로 된다.
또한, 롤(21)의 내부를 핸들 보유 지지부(4)로 하고, 거기에 분리된 핸들(23)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롤 지지부(22)에 있어서의 기부(221)와 롤(21) 사이를 핸들 보유 지지부(4)로 하고, 거기에 핸들(23)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수납체(1A)에서 개구부(31)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기부(221)의 상면(2212)으로부터, 핸들(23)이 접속되는 기둥상의 피접속부를 돌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3)의 하부[저부(32)]에는 복수의 수납체(1A…1A)를 상하 방향으로 쌓은 경우에 별도의 수납체(1A)에 있어서의 피접속부가 들어가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오목부는 피접속부가 들어가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로써, 기부(221)로부터 피접속부가 돌출되어 있어도, 하방의 수납체(1A)의 상부 적재 영역(1A1)에 비해 상방의 수납체(1A)의 하방 적재 영역(1A2)이 부상해 버리지 않는다. 또한, 피접속부는 핸들(23)을 장착한 후의 상태에서 유저가[핸들(23)과 함께] 파지 가능해도 된다.
1 : 청소구
1A : 수납체
1A1 : 상부 적재 영역
1A2 : 하부 적재 영역
2 : 청소구 본체
21 : 점착 테이프 롤
22 : 롤 지지부
221 : 제1 부분, 기부
222 : 제2 부분, 지부
2212 : 제1 부분(기부)의 상면
23 : 핸들
24 : 롤 설치부
3 : 케이스
31 : 개구부
32 : 저부
33 : 삽입 홈
4 : 핸들 보유 지지부
1A : 수납체
1A1 : 상부 적재 영역
1A2 : 하부 적재 영역
2 : 청소구 본체
21 : 점착 테이프 롤
22 : 롤 지지부
221 : 제1 부분, 기부
222 : 제2 부분, 지부
2212 : 제1 부분(기부)의 상면
23 : 핸들
24 : 롤 설치부
3 : 케이스
31 : 개구부
32 : 저부
33 : 삽입 홈
4 : 핸들 보유 지지부
Claims (8)
- 점착 테이프 롤을 구비하는 청소구 본체와, 상기 청소구 본체 중 적어도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구 본체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부와, 청소 실시 시에 상기 롤 지지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수납 시에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적어도 상기 청소구 본체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롤 지지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핸들을 보유 지지하는 핸들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청소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 또는 내면에 면하고 있는, 청소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 지지부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롤 지지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핸들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에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된 것에 의해, 수납체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수납체에 상향의 면을 구성하는 상부 적재 영역과, 하향의 면을 구성하는 하부 적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적재 영역과 상기 하부 적재 영역의 상하 치수에 대하여,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최상단과 최하단의 상하 치수가 동등하거나 작은, 청소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에서 상기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수납체를 상하 방향으로 쌓은 경우에 상기 상면에 대하여 별도의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 적재 영역이 접하는, 청소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에서의,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높이와, 상기 제1 부분의 상면의 높이가 동등한, 청소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핸들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에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된 것에 의해, 수납체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수납된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이며, 상기 수납체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도 상기 개구부 근처에 마련된, 청소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롤 지지부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롤 지지부가 설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고,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상기 핸들의 직경 치수보다도 작은, 청소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보유 지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핸들이 보유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 치수에 대하여, 상기 핸들의 전체 길이가 90% 이상 100% 미만인,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48169A JP7137993B2 (ja) | 2018-08-07 | 2018-08-07 | 清掃具 |
JPJP-P-2018-148169 | 2018-08-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6792A true KR20200016792A (ko) | 2020-02-17 |
KR102682022B1 KR102682022B1 (ko) | 2024-07-08 |
Family
ID=6954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5559A KR102682022B1 (ko) | 2018-08-07 | 2019-07-16 | 청소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137993B2 (ko) |
KR (1) | KR102682022B1 (ko) |
CN (1) | CN11081148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62909B2 (ja) | 2021-10-04 | 2024-04-08 | 誠和産業株式会社 | 粘着式クリーナ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1365U (ko) * | 1990-06-13 | 1992-02-24 | ||
US5876049A (en) * | 1997-07-31 | 1999-03-02 | O. Ames Co. | Portable stackable wagon assembly |
JP2009023665A (ja) * | 2007-07-17 | 2009-02-05 | Kao Corp | 清掃具用容器 |
JP2012245292A (ja) * | 2011-05-31 | 2012-12-13 | Ohe Co Ltd | 清掃具 |
JP3182666U (ja) * | 2013-01-23 | 2013-04-04 | 有限会社サラサドットコム | 粘着テープクリーナー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39454A (en) * | 1950-12-08 | 1953-05-26 | Daniel R Dory | Pusher for ice and snow |
US3600740A (en) * | 1969-07-16 | 1971-08-24 | Lois J Ogier | Home cleaning system |
JP3182666B2 (ja) * | 1992-05-11 | 2001-07-03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超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
US5857049A (en) * | 1997-05-05 | 1999-01-05 | Lucent Technologies, Inc., | Precision alignment of optoelectronic devices |
JP2000189360A (ja) | 1998-12-28 | 2000-07-11 | Sanyo Electric Co Ltd | 収納ケ―ス付電気掃除機 |
JP2002125904A (ja) | 2000-10-27 | 2002-05-08 | Junko Ogawa | フロアモップ用収納ケース |
JP2006075659A (ja) | 2004-09-07 | 2006-03-23 | Audio Technica Corp | 除電機能付きの除塵クリーナー |
JP5611176B2 (ja) * | 2011-11-22 | 2014-10-22 | 株式会社ニトムズ | 粘着式清掃具用スタンド |
JP3181114U (ja) * | 2012-11-09 | 2013-01-24 | 株式会社ニシムラ | 粘着ロール式清掃具 |
WO2015151295A1 (ja) * | 2014-04-04 | 2015-10-08 | 株式会社ニトムズ | 清掃具 |
CN104223757B (zh) * | 2014-09-09 | 2016-02-10 | 江苏景越塑料科技有限公司 | 翅膀粘刷 |
JP6791961B2 (ja) | 2016-06-17 | 2020-11-25 | 株式会社ニトムズ | 清掃具 |
JP2018079180A (ja) * | 2016-11-18 | 2018-05-24 | 株式会社ニトムズ | 清掃用粘着テープロール用収納ケース |
-
2018
- 2018-08-07 JP JP2018148169A patent/JP7137993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7-16 KR KR1020190085559A patent/KR1026820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31 CN CN201910701888.4A patent/CN11081148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1365U (ko) * | 1990-06-13 | 1992-02-24 | ||
US5876049A (en) * | 1997-07-31 | 1999-03-02 | O. Ames Co. | Portable stackable wagon assembly |
JP2009023665A (ja) * | 2007-07-17 | 2009-02-05 | Kao Corp | 清掃具用容器 |
JP2012245292A (ja) * | 2011-05-31 | 2012-12-13 | Ohe Co Ltd | 清掃具 |
JP3182666U (ja) * | 2013-01-23 | 2013-04-04 | 有限会社サラサドットコム | 粘着テープクリーナ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022598A (ja) | 2020-02-13 |
JP7137993B2 (ja) | 2022-09-15 |
CN110811484A (zh) | 2020-02-21 |
KR102682022B1 (ko) | 2024-07-08 |
CN110811484B (zh) | 2024-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089096A (ja) | 梱包装置 | |
US20070295847A1 (en) | A container for a roll of a wire like component and the combination of such a container and component | |
US20050035240A1 (en) | Container for a roll of a wire like component, the combination of such a container and component, and a method of paying the component from the roll | |
AU2018234796B2 (en) | Retail packaging and transport box for small parts, tools, machines or such objects | |
KR20200016792A (ko) | 청소구 | |
JP5826019B2 (ja) | 取り出し具付き容器 | |
JP4178324B2 (ja) |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 |
US5826817A (en) | Self dispensing and storage device for flexible tubing | |
US20170137243A1 (en) | System for singly dispensing fibrous filters from bulk | |
JP2000052837A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 |
US20060266875A1 (en) | A Simplified Tissue Roll Stacking and Deployment Apparatus | |
CN210853521U (zh) | 包装盒 | |
US20100170815A1 (en) | Optical disk storage box | |
JP2613175B2 (ja) | 缶類のホルダー | |
JP6938076B2 (ja) | ラップフィルム収容箱 | |
JP3144986U (ja) | ティッシュケース | |
JP3163400U (ja) | 線香ろうそく携帯容器 | |
WO2009022763A1 (en) | Storage case | |
US20230365295A1 (en) | Package box assembly comprising hanger | |
KR102236327B1 (ko) | 케이스 | |
JP2007153440A (ja) | ラップホルダー | |
JP3099447U (ja) | 粘着テープ収納用容器 | |
JP6754136B2 (ja) | 組み立て式容器及び包装体 | |
JP2009132399A (ja) | ロールペーパー収納箱 | |
JP4940443B2 (ja) | 保持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