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173A -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173A
KR20200016173A KR1020190092589A KR20190092589A KR20200016173A KR 20200016173 A KR20200016173 A KR 20200016173A KR 1020190092589 A KR1020190092589 A KR 1020190092589A KR 20190092589 A KR20190092589 A KR 20190092589A KR 20200016173 A KR20200016173 A KR 2020001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inner cylinder
drain
main body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오기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4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023870A/ja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과제) 내화성이 우수한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를 갖고,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와,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있어서, 내통부 및 사발형체의 적어도 일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DRAIN TRAP AND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 구획 관통 공법은, 배선·배관 등의 삽입 통과물을 관통시키는 플로어, 벽 등의 구조체에 적용되고 있고, 배수 트랩 등의 설비는, 방화 구획 관통 공법에 있어서 내화 처리를 실시하는 부위로서 고려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화재시에는 배수 트랩의 트랩 본체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수 트랩을 주철제 또는 스테인리스제 등 불연성의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0944).
그러나, 배수 트랩을 금속제로 하면, 화재시에 고온이 되어도 배수 트랩의 형상은 유지되어도, 배수 트랩의 트랩 본체의 개구부를 불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게다가, 스테인리스제는 고가이고, 철은 녹의 발생 리스크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0944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내화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비금속의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내화성이 우수한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를 갖고,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사발형체의 적어도 일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항 2.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로서,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와, 트랩 본체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접속부를 갖는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 및 상기 배수관 접속부의 적어도 일방에 접하여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항 3. 상기 트랩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4. 상기 내통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5. 사발형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6. 트랩 본체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다공판 또는 덮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7.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가, 수지, 엘라스토머, 고무, 또는 그들의 조합인 매트릭스 성분과,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8.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일주일간 순수에 침지시켰을 때의 석출률이 0 ∼ 15 질량% 가 되는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배수 트랩.
항 9. 배수 트랩이 매설되고, 배수 트랩에 배수관이 접속되는 플로어 구조로서, 상기 배수 트랩은,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로서,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와, 트랩 본체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접속부를 갖는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부 및 상기 배수관 접속부의 적어도 일방에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팽창재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어 구조.
항 10. 상기 팽창재는, 내통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항 9 에 기재된 플로어 구조.
항 11. 상기 팽창재는, 배수관 접속부 및 배수관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항 9 에 기재된 플로어 구조.
본 발명의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에 의하면, 통상시에는 배수를 통과시키도록 기능하면서, 화재시에는 배수 트랩에 있어서의 불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5(a) ∼ (c)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의 대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이 매설된 플로어 구조 (1) 이고, 배수 트랩 (10) 에는 배수 호스 등의 배수관 (6) 이 접속되고, 플로어 상으로부터의 물이 배수 트랩 (10) 을 통과하여 배수관 (6) 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 트랩 (10) 의 주위에는, 배수 트랩 (10) 의 트랩 본체 (11) 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원환상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12) 의 위치까지 콘크리트 (2) 가 부설되고, 그 위에 모르타르 (3) 가 적층되어 있다.
배수 트랩 (10) 의 트랩 본체 (11) 는, 상단이 개구한 유저 통상을 하고 있고, 트랩 본체 (11) 의 저부 (13) 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 (14) 를 갖는다. 내통부 (14) 는 내부에 배수가 통과하는 배수로 (8) 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15) 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 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랩 본체 (11) 의 저면에 있어서의 내통부 (14) 가 연장되는 방향 (도 1 에서 상측) 과는 반대의 방향 (도 1 에서 하측) 에는 배수관 접속부 (16) 가 환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배수관 (6) 은 배수관 접속부 (16) 와 끼워 맞춤됨으로써 배수 트랩 (10) 과 접속된다.
트랩 본체 (11) 의 내통부 (14), 저부 (13), 및 통상의 측부 (17) 는 연속되어 있고, 봉수실 (18) 을 형성한다. 트랩 본체 (11) 의 상단부 (19) 에는 상하가 개구한 대략 원통상의 다공판 받침 (20) 이 장착되어 있고, 다공판 받침 (20) 의 상단부 (21) 의 부근으로부터 다공판 받침 (20) 의 원통 내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환상의 플랜지 (22) 상에는 다공판 (23) 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다공판 (23) 의 상면은 모르타르 (3) 의 표면 (4) 과 대략 면일이 되어 있다.
배수 트랩 (10) 은, 사발 트랩이라고도 칭해지고, 내통부 (14) 에 씌워지는 유저 대략 원통상의 사발형체 (30)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배수 트랩 (10) 의 상방으로부터 다공판 (20) 을 통과하여 배수 트랩 (10) 에 유입된 배수는, 봉수실 (18) 로 들어가, 트랩 본체 (11) 의 내통부 (14) 를 넘어 내통부 (14) 내의 배수로 (8) 를 통과하여, 배수관 (6) 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은, 통상적인 사용시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 에는, 종래의 배수 트랩과 동일하게, 배수를 배출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화재의 발생시에는,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 (15) 가 팽창하여 배수로 (8)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폐색하고, 선단부 (15) 를 통과한 화재의 진입 나아가 배수 트랩 (10) 에 있어서의 화재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는, 매트릭스 성분과,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매트릭스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 엘라스토머, 고무, 및 그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수지로는,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1-) 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EV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엘라스토머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라고도 불리고, 열 가소성의 동결상 또는 결정상을 형성하는 경질 세그먼트와,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연질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TPO),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아미드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고무는 장력을 받으면 신장을 나타내고, 장력을 제거하면 대략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탄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고무로는,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1,2-폴리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아크릴 고무, 에피클로르히드린 고무, 다가류 고무, 비가류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엘라스토머, 및 고무의 각각은,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엘라스토머, 및 고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 엘라스토머, 및 고무 중에서도, 내화성의 점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소화염화비닐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유연한 성질을 얻기 위해서는, 부틸 등의 비가류 고무, 폴리올레핀 수지, TPO 또는 EPDM 이 바람직하다. 수지 자체의 난연성을 높여 방화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은 가열시에 팽창하는 것으로, 그 열 팽창 개시 온도가 상이한 것을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열 팽창성 흑연, 버미큘라이트, 카올린, 마이카 등을 들 수 있다. 열 팽창성 흑연이란, 가열시에 팽창하는 공지된 물질로, 천연 인상 (鱗狀) 그라파이트, 열 분해 그라파이트, 키쉬 그라파이트 등의 분말을, 무기산과, 강산화제로 산 처리하여 그라파이트 층간 화합물을 생성시킨 것이다. 열 팽창성 흑연은 탄소의 층상 구조를 유지한 채로의 결정 화합물의 1 종이다. 무기산으로는, 농황산, 질산, 셀레늄산 등을 들 수 있다. 강산화제로는, 농질산, 과염소산, 과염소산염,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 처리하여 얻어진 열 팽창성 흑연은, 추가로 암모니아, 지방족 저급 아민,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등으로 추가로 중화해도 된다.
열 팽창성 흑연의 입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200 메시가 바람직하다. 입도의 값이 200 메시이거나 그것보다 작으면, 흑연의 팽창도가 팽창 단열층을 얻는 데에 충분하고, 또한 입도의 값이 20 메시이거나 그것보다 크면, 수지에 배합할 때의 분산성이 양호하다.
또한, 열 팽창성 흑연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 ∼ 1000 ㎛, 바람직하게는 200 ∼ 600 ㎛ 가 바람직하다. 열 팽창성 흑연의 평균 입경은, 시판되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열 팽창성 흑연을 10 질량부 이상 35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250 질량부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는, 팽창 단열층이 형성될 때, 열 용량을 증대시켜 전열을 억제함과 함께, 골재적으로 작용하여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무기 충전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알루미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페라이트 등의 금속 산화물 ;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금속 수산화물 ;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탄산스트론튬, 탄산바륨 등의 금속 탄산염 ; 난연제로서의 무기 인산염 ; 황산칼슘, 석고 섬유, 규산칼슘 등의 칼슘염 ; 실리카, 규조토, 도소나이트, 황산바륨, 탤크, 클레이, 마이카,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활성 백토, 세피올라이트, 이모고라이트, 세리사이트,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실리카계 벌룬,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규소,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 벌룬, 목탄 분말, 각종 금속 분말, 티탄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티탄산지르콘산납,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알루미늄보레이트, 황화몰리브덴, 탄화규소, 스테인리스 섬유, 붕산아연, 각종 자성 분말, 슬러그 섬유, 플라이 애시, 탈수 오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충전제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단 하기의 인 화합물은 제외한다).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 100 ㎛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 이다. 무기 충전제는, 첨가량이 적을 때에는, 분산성이 성능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에, 평균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0.5 ㎛ 이상이 분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많을 때에는, 고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이 저하하지만, 평균 입경을 크게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점에서, 평균 입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입경이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이면, 성형체의 표면성이나 수지 조성물의 역학적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무기 충전제의 입경은, 시판되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평균 입경을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제의 함유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무기 충전제를 10 질량부 이상, 4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300 질량부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 (특히는 열 팽창성 흑연) 및 상기 무기 충전제의 합계는,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 ∼ 600 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무기 충전제의 합계량은, 50 질량부 이상에서는 연소 후의 잔류물량을 만족하여 충분한 내화 성능이 얻어지고, 600 질량부 이하이면 기계적 물성이 유지된다.
또한,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팽창 단열층의 강도를 증가시켜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의 각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인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린 ; 트리페닐포스테이트,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트리자일레닐포스페이트, 크레질디페닐포스페이트, 자일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각종 인산에스테르 ;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인산마그네슘 등의 인산 금속염 ; 폴리인산암모늄 ; 폴리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람, 폴리인산멜렘 ; 저급 인산염 ;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방화 성능의 관점에서, 적린, 폴리인산암모늄, 및,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성능, 안전성, 비용 등의 점에 있어서 폴리인산암모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 중, R1 및 R3 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2 는, 수산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킬기, 탄소수 1 ∼ 16 의 직사슬형 혹은 분기형의 알콕실기, 탄소수 6 ∼ 16 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 ∼ 16 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틸포스폰산, 메틸포스폰산디메틸, 메틸포스폰산디에틸, 에틸포스폰산, n-프로필포스폰산, n-부틸포스폰산, 2-메틸프로필포스폰산, t-부틸포스폰산, 2,3-디메틸-부틸포스폰산, 옥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디옥틸페닐포스포네이트, 디메틸포스핀산, 메틸에틸포스핀산, 메틸프로필포스핀산, 디에틸포스핀산, 디옥틸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디에틸페닐포스핀산, 디페닐포스핀산, 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t-부틸포스폰산은, 고가이기는 하지만, 고난연성의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의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인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30 ∼ 300 질량부이고, 40 ∼ 25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15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의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는,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점에서, 인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수지 조성물은, 가열에 의해 팽창하여 내화 단열층을 형성한다. 상기의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상기 무기 충전제의 배합에 의하면, 상기 열 팽창성 내화재는 화재 등의 가열에 의해 팽창하여, 필요한 체적 팽창률을 얻을 수 있고, 팽창 후에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짐과 함께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잔류물을 형성할 수도 있어, 안정적인 방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수지 성형체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OP),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디헵틸프탈레이트 (DH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IDP)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가소제,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DOA), 디이소부틸아디페이트 (DIBA), 디부틸아디페이트 (DBA)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등의 에폭시화에스테르 가소제,
아디프산에스테르, 아디프산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가소제,
트리-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TOTM), 트리이소노닐트리멜리테이트 (TINTM)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가소제,
트리메틸포스페이트 (TMP), 트리에틸포스페이트 (TEP), 인산트리크레질 (TCP) 등의 인산에스테르 가소제,
광유 등의 프로세스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 종 혹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첨가량은, 적어지면 압출 성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많아지면 얻어진 성형체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가소제의 첨가량은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의 첨가량은 20 ∼ 200 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난연제를 함유해도 된다.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난연제는, 모두 수난용성의 난연제이다. 이들 수난용성 난연제는,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의 개선에 더하여, 내수성의 향상을 위해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은 끊임 없이 또는 빈번하게 물과 접촉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난연제로서 첨가되는 폴리인산암모늄 등의 인 화합물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용출된다. 이 때문에,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내화 수지 재료의 시간 경과적인 내화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난연제를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수용성 성분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저급 인산염」 은, 무기 인산염 중, 축합하고 있지 않은, 요컨대 고분자화하고 있지 않은 무기 인산염을 가리킨다. 무기 인산으로는 제 1 인산, 제 2 인산, 제 3 인산, 메타인산, 아인산, 하이포아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스트론튬염, 바륨염), 주기표 3B 족 금속의 염 (알루미늄염 등), 천이 금속염 (티탄염, 망간염, 철염, 니켈염, 동염, 아연염, 바나듐염, 크롬염, 몰리브덴염, 텅스텐염), 암모늄염, 아민염, 예를 들어, 구아니딘염 또는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염이다. 단, 멜라민염은 제외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저급 인산염은 인산 금속염 및 아인산 금속염 중 적어도 일방이다. 아인산 금속염은 발포성이어도 된다. 또한, 아인산 금속염은, 매트릭스 성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처리제 등에 의해 표면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제로는, 관능성 화합물 (예를 들어, 에폭시계 화합물, 실란계 화합물, 티타네이트계 화합물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저급 인산의 금속염의 예로서, 제 1 인산알루미늄, 제 1 인산나트륨, 제 1 인산칼륨, 제 1 인산칼슘, 제 1 인산아연, 제 2 인산알루미늄, 제 2 인산나트륨, 제 2 인산칼륨, 제 2 인산칼슘, 제 2 인산아연, 제 3 인산알루미늄, 제 3 인산나트륨, 제 3 인산칼륨, 제 3 인산칼슘, 제 3 인산아연, 아인산알루미늄, 아인산나트륨, 아인산칼륨, 아인산칼슘, 아인산아연, 하이포아인산알루미늄, 하이포아인산나트륨, 하이포아인산칼륨, 하이포아인산칼슘, 하이포아인산아연, 메타인산알루미늄,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메타인산칼슘, 메타인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인산염의 함유량은,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 4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20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화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난연성과 충분한 내수성을 부여하는 점에서는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질량부 이하이면, 내화 수지 조성물의 내수성이 보다 향상된다.
멜라민 유도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멜람, 멜렘, 멜론 등의 멜라민 이외의 아미노기를 갖는 질소 함유 고리형 화합물 ; 멜람, 멜렘, 멜론, 멜라민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질소 함유 고리형 화합물과 산소산, 유기 인산,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의 염 ; 고리형 우레아 화합물, 피롤린산멜라민, 오르토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멜람·멜렘 복염, 폴리메타인산멜라민, 황산멜라민, 피로황산멜람, 유기 술폰산멜람, 유기 포스폰산멜라민, 유기 포스핀산멜라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및 붕산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높은 난연성을 부여하고, 또한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멜라민 유도체는, 피롤린산멜라민, 오르토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 및 붕산멜라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라민 유도체의 함유량은, 매트릭스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 4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20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화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난연성과 충분한 내수성을 부여하는 점에서는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질량부 이하이면, 내화 수지 조성물의 내수성이 보다 향상된다.
배수 트랩은, 물에 대한 노출에 의한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인의 함유량이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인의 함유량은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이 상기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수난용성 난연제인 경우,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난용성 난연제에서 유래하는 인 함유량은 5 질량% 이상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난용성 난연제에서 유래하는 인 함유량이 5 질량% 이상인 경우, 수분에 대한 노출에 대한 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인 함유량은 배합량으로부터의 산출, 또는 형광 X 선 측정 및 ICP 분석 등의 공지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내화 수지 조성물이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의 양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난연제의 합계량이 5 ∼ 4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20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은,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60 ℃ 의 조건하에서, 일주일간 순수에 침지시켰을 때의 석출률이 0 ∼ 15 질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를 60 ℃ 에서 1 주일간 순수에 침지시킨 후의 석출률이 0 ∼ 1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 질량% 이하이다.
석출률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를 순수에 침지시켰을 때의 순수에 대한 석출량)/(침지 전의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질량) × 100 (%)
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배수 트랩은, 배수 트랩을 구성하는 내화 수지 재료 중의 저급 인산염 및 멜라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난연제의 양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페놀계, 아민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외에, 금속해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가교제, 활제, 연화제, 안료, 점착 부여 수지, 성형 보조재 등의 첨가제, 폴리부텐,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 및 수지 조성물은, 50 ㎾/㎡ 의 가열 조건하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의 체적 팽창률이 3 ∼ 50 배의 것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체적 팽창률이 3 배 이상이면, 팽창 체적이 상기 매트릭스 성분의 소실 부분을 충분히 매립할 수 있고, 또한 50 배 이하이면, 팽창층의 강도가 유지되어, 화염의 관통을 방지하는 효과가 유지된다.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단축 압출기, 2 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서, 혼련 롤, 니더, 유성식 교반기 등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혼련하고,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선단부 (15) 이외의 트랩 본체 (11)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이외의 부분, 저부 (13), 통상의 측부 (17), 테두리 (12)) 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이나 수지 재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1-) 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EV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열 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사발형체 (30) 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이나 수지 재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1-) 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EV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열 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선단부 (15) 이외의 트랩 본체 (11) 를 구성하는 재료와, 사발형체 (30) 를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에 있어서, 배수 트랩 (10) 의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이외의 부분이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열 팽창성 흑연 등의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이외의 부분이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 및/또는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 (10) 이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 8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 8 에 나타내는 제 2 ∼ 8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은, 도 1 의 제 1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과 동일한 부재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 2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내통부 (14) 에 있어서의 저부 (13) 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단부 (2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 (14) 의 기단부 (25) 는 배수관과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수관 (6) 으로부터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불이 오면, 배수관 (6) 에 접하는 내통부 (14) 의 기단부 (2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단부 (25) 가 팽창하여 배수로 (8)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폐색한다. 기단부 (25) 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 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선단부 (15) 보다 기단부 (25) 의 위치가 배수관 (6) 에 가깝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보다 신속하게 배수 트랩 (10) 으로의 불의 진입을 저감 또는 저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내통부 (14) 전체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 (14) 의 기단부 (25) 는 배수관 (6) 과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수관 (6) 으로부터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불이 오면, 내통부 (14) 가 팽창하여 배수로 (8)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폐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신속하게 배수 트랩 (10) 으로의 불의 진입을 저감 또는 저지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트랩 본체 (11) 의 내통부 (14), 저부 (13), 및 통상의 측부 (17)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통부 (14), 저부 (13), 및 통상의 측부 (17) 는 동일한 내화 수지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2 종 이상의 내화 수지 재료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배수관 (6) 으로부터 (도면의 하방으로부터) 불이 오면, 내통부 (14) 가 팽창하여 배수로 (8) 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폐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신속하게 배수 트랩 (10) 으로의 불의 진입을 저감 또는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트랩 (10) 의 트랩 본체 (11) 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테두리 (12) 는, 도 4 에서는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 이외의 금속 또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테두리 (12) 도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5(a) - (c)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을 나타낸다. 이들 실시형태에서는, 배수 트랩 (10) 이 매설된 플로어 구조 (1) 에 있어서, 배수 트랩 (10) 에 접하여, 배수 트랩 (10) 과는 별체의,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팽창재 (35)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팽창재 (35) 는 점착성이 있고, 배수 트랩 (10) 에 부착되어 있다. 배수 트랩 (10) 은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배수 트랩 (10) 은,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 시판되는 배수 트랩 (10) 이어도 된다. 배수 트랩 (10)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금속이나 수지 재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1-) 부텐 수지, 폴리펜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EV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노볼락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열 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팽창재 (35) 를 구성하는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는, 매트릭스 성분과,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상세한 것은, 제 1 ∼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a) - (c)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재 (35) 는, 배수 트랩 본체 (11) 의 내통부 (14) 또는 배수관 접속부 (16) 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 에서는,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외주면의 전체 길이에 배치되어도 되고, 그 일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도 되고, 그 일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5(b) 에서는,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내주면의 전체 길이에 배치되어도 되고, 그 일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팽창재 (35) 는 내통부 (14) 의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도 되고, 그 일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5(c) 에서는, 팽창재 (35) 는 배수관 (6) 의 외주면에, 배수관 접속부 (16) 및 배수관 (6) 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내통부 (14) 의 선단부 (15)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 6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사발형체 (30)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사발형체 (30) 는 내통부 (14) 에 씌워져 있기 때문에, 내통부 (14) 의 상단의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 경우에도, 배수 트랩 (10) 으로의 불의 진입을 저감 또는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사발형체 (30) 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 5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각각에 있어서, 사발형체 (30) 를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트랩 본체 (11) 의 상단부 (19) 에 다공판 받침 (20) 이 장착되고, 다공판 받침 (20) 에는 다공판 (23) 이 끼워 넣음되어 있었지만, 제 7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서는, 트랩 본체 (11) 의 상단부 (19) 에 장착된 덮개 (4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덮개 (40) 는 중공 대략 원통형의 덮개 본체 (41) 와, 덮개 본체 (41) 의 상단으로부터 둘레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환형의 플랜지부 (42) 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본체 (41) 는 배수 또는 그 배수를 보내는 배수 호스 등의 배수관을 추가시키는 구멍 (43) 을 갖는다. 덮개 (40) 는, 트랩 본체 (11) 의 상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덮개 (40) 는, 금속,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의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 6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각각에 있어서, 제 7 실시형태와 같이, 트랩 본체 (11) 의 상단부 (19) 에 장착된 덮개 (40) 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의 대략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배수 트랩 (10) 의 트랩 본체 (11) 의 외주면으로부터 테두리 (12) 가 돌출되어 있었지만, 제 8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은 테두리 (12) 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플로어 구조 (1) 에 관하여, 배수 트랩 (10) 의 주위에는 콘크리트 (2) 의 1 종류만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제 2 ∼ 제 7 실시형태의 배수 트랩 (10) 에 있어서도, 제 8 실시형태와 같이 배수 트랩 (10) 에 테두리 (12) 를 가지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제 1 ∼ 8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의 선단부 (15) 및 제 2 실시형태의 기단부 (25) 대신에 또는 이들에 더하여, 배수관 접속부 (16) 등의 배수 트랩 (10) 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이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1 ; 플로어 구조
10 ; 배수 트랩
11 ; 트랩 본체
13 ; 저부
14 ; 내통부
20 ; 다공판
30 ; 사발형체
35 ; 팽창재
40 ; 덮개

Claims (11)

  1.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를 갖고, 상부가 개구한 유저(有底) 통상의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사발형체의 적어도 일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2.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로서,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와, 트랩 본체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접속부를 갖는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한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 및 상기 배수관 접속부의 적어도 일방에 접하여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발형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배수 트랩.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트랩 본체의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다공판 또는 덮개를 추가로 구비하는 배수 트랩.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가, 수지, 엘라스토머, 고무, 또는 그들의 조합인 매트릭스 성분과, 열 팽창성 층상 무기물과,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의, 일주일간 순수에 침지시켰을 때의 석출률이 0 ∼ 15 질량% 가 되는 배수 트랩.
  9. 배수 트랩이 매설되고, 배수 트랩에 배수관이 접속되는 플로어 구조로서, 상기 배수 트랩은,
    상부가 개구한 유저 통상의 트랩 본체로서, 저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내통부와, 트랩 본체의 저면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부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관 접속부를 갖는 트랩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씌워지는 사발형체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부 및 상기 배수관 접속부의 적어도 일방에 열 팽창성의 내화 수지 재료로 형성된 팽창재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어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는, 내통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플로어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재는, 배수관 접속부 및 배수관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플로어 구조.
KR1020190092589A 2018-08-06 2019-07-30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 KR20200016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7459 2018-08-06
JPJP-P-2018-147459 2018-08-06
JP2019124495A JP2020023870A (ja) 2018-08-06 2019-07-03 排水トラップ及び床構造
JPJP-P-2019-124495 2019-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173A true KR20200016173A (ko) 2020-02-14

Family

ID=6951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89A KR20200016173A (ko) 2018-08-06 2019-07-30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51B1 (ko) * 2021-06-16 2022-02-24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발포배수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배수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0944A (ja) 2004-03-31 2005-10-20 Kazumi Kubo 金属製床排水トラップ及びその防食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0944A (ja) 2004-03-31 2005-10-20 Kazumi Kubo 金属製床排水トラップ及びその防食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51B1 (ko) * 2021-06-16 2022-02-24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발포배수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배수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7532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962875B2 (ja) 耐火樹脂組成物及び耐火樹脂成形体
JP6205087B1 (ja) 区画貫通構造
JP6438623B1 (ja) 熱膨張性耐火シート
JP5364003B2 (ja) 積層シート、目地材及び押出製品の製造方法
JP6791618B2 (ja) スリーブおよび区画貫通構造
KR20200016173A (ko) 배수 트랩 및 플로어 구조
JP4698207B2 (ja) バスダクト用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588722B2 (ja) 耐火構造
JP2019052527A (ja) 熱膨張性耐火シート
JP4365741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の施工方法
JP2020023870A (ja) 排水トラップ及び床構造
JP3119045U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6737569B2 (ja) ケーブル用保護管、及び耐火構造
JP6941662B2 (ja)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JP6734149B2 (ja) 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2001303692A (ja) 防火区画貫通部材
JP2017131561A (ja) 防火材、防火材の成形方法
JP2016187488A (ja)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JP2002174367A (ja) 耐火膨張性パッキンを有する配管構造
JP7291263B2 (ja) 耐火性シート
JP6641417B2 (ja)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JP2016220955A (ja) 防火カバー及び区画貫通孔の防火構造
JP2018009664A (ja) 区画貫通部構造における配管システム
JP2019052250A (ja) 熱膨張性耐火樹脂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