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129A -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129A
KR20200015129A KR1020180090510A KR20180090510A KR20200015129A KR 20200015129 A KR20200015129 A KR 20200015129A KR 1020180090510 A KR1020180090510 A KR 1020180090510A KR 20180090510 A KR20180090510 A KR 20180090510A KR 20200015129 A KR20200015129 A KR 2020001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uide
lifting
core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581B1 (ko
Inventor
백만인
정영제
나시왕
이상선
이창백
홍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8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in the closed mould, e.g. resin transfer moulding [RTM], e.g.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상코어, 상코어와 사이에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과 연통되는 어퍼 통공이 형성된 하코어, 하코어에 배치되고 어퍼 통공 아래에 로어 통공이 형성되며 로터 통공에 연결된 배기통로가 형성된 고정블록과, 로어 통공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어퍼 통공을 막는 제1높이로 상승되거나 어퍼 통공 아래로 제2높이로 하강되어 어퍼 통공과 로어 통공을 연통시키는 승강 바디와, 배기통로에 연결된 석션유닛과, 승강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장치{A mold device}
본 발명은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 장치의 에어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형 장치는 주어진 형상의 물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용 도구일 수 있다.
특히, 고압 수지 충전 금형(HP-RTM)은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 직물(glass fiber fabric)에 에폭시 수지(epoxy resin)을 함침하는 공법으로, 섬유(직물)를 수지(matrix)에 함침시킨 후 열을 가하여 시트(sheet) 형태로 롤러에 감아 수지가 함침된 직물(prepreg)을 제조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복합재 제품을 만들기 위한 중간재(prepreg) 제조할 수 있다.
사출 성형시, 촘촘한 직물 사이로 레진이 골고루 함침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점성이 낮은 에폭시 소재를 적용하여 함침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고, 에폭시 레진의 특성상 사출 성형시 가스를 많이 발생함으로 금형 장치 내 에어 흡입 구조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종래에는, 금형 장치 내 미세한 틈을 만들고, 금형 장치 외부에서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틈을 통해 가스를 흡입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제품 양산시 사출압에 의해 미세한 틈 사이로 Flash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 석션을 위한 통공이 에어 석션시에만 신뢰성 높게 개방될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상코어, 상코어와 사이에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과 연통되는 어퍼 통공이 형성된 하코어, 하코어에 배치되고, 어퍼 통공 아래에 로어 통공이 형성되며, 로터 통공에 연결된 배기통로가 형성된 고정블록, 하코어를 지지하고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하부통로가 형성된 하판, 로어 통공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어퍼 통공을 막는 제1높이로 상승되거나 어퍼 통공 아래로 제2높이로 하강되어 어퍼 통공과 로어 통공을 연통시키는 승강 바디, 하부통로에 연결된 석션유닛과, 승강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석션유닛은 하부통로에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고정블록에는 하부통로의 외둘레에 밀착되는 석션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바디의 상부에는 승강 바디의 상승시 하코어와 밀착되는 승강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하코어는 고정블록이 수용되는 고정블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고정블록과 고정블록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블록의 상단과 고정블록 수용홈 사이를 실링하는 고정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로어 통공의 상부는 승강 바디의 외면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고, 배기 통로는 로어 통공의 상부에 연통될 수 있다.
승강 바디의 하부에는 핀이 제공되고, 승강기구는 핀이 슬라이드 안내되는 핀 가이드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슬라이더를 진퇴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는 연결축과 슬라이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핀 가이드는 승강 바디가 제1높이일 때 핀이 안착되는 어퍼 가이드부와, 승강 바디가 제2높이일 때 핀이 안착되는 로어 가이드부와, 어퍼 가이드와 로어 가이드를 잇는 경사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석션유닛은 배기통로에 연결된 하부통로와, 하부통로에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에어 컴프레서는 승강 바디가 제2높이로 하강 완료된 후 구동될 수 있다.
하코어에 고정되고 연결축이 안내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연결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판에는 승강기구의 일부가 수용되는 승강기구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승강 바디의 상승시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어퍼 통공을 폐쇄하고, 승강 바디의 하강시 어퍼 통공을 개방하여, 사출 성형시 사출액이 어퍼 통공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있고, 사출물의 불량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 바디와 하코어에 밀착되는 승강 실링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승강 바디와 하코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가스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통로의 외둘레에 밀착되는 석션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하코어와 하판 사이의 틈새를 통한 가스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 상단과 고정블록 수용홈 사이를 실링하는 고정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고정블록 상단과 하코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가스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을 안내하는 연결축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연결축과 연결된 슬라이더 및 승강 바디가 정밀하고 신뢰성 높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하판에는 승강기구의 일부가 수용되는 승강기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승강기구의 전부가 하판 외부에 배치될 경우 보다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승강기구의 일부가 하판에 의해 보호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잇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의 하강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 고정 블록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 고정 블록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성형하고자 하는 사출물의 형판이 되는 상코어(10, 도 2 참고) 및 하코어(20, 도 2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 장치는 내부에 상코어(10)가 배치되는 상판(1), 내부에 하코어(20)가 배치되는 하판(2)과, 사출액을 주입하는 노즐(5)이 배치되는 상측 블록(4), 상판(1)과 상측 블록(4)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받침부(3), 제어부(8)가 배치되는 하측 블록(7), 하판(2)과 하측 블록(7) 사이에 배치되는 하측 받침부(6), 성형 완료시 사출물을 꺼내기 위한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코어(20)와 하판(2)은 위치가 고정인 하부 금형일 수 있고, 상코어(10)와 상판(1)은 하부 금형의 상측에 승강되게 배치된 상부 금형일 수 있다.
노즐(5)의 일부는 상코어(10)을 관통하여 상코어(10)와 하코어(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1, 도 3 참조)으로 연결되고, 사출액은 노즐(5)을 통해 상코어(10)와 하코어(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1)으로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사출액은 사출 성형의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사출물은 사출액이 냉각 고화 등의 공정을 통해 성형된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코어(10)와 하코어(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1)은 사출액이 주입되고, 사출물이 성형될 수 있다. 사출물이 성형될 때 가스 등이 발생할 수 있고, 금형 장치는 가스 등을 흡입하는 석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코어(20)에는 사출물이 성형될 때 발생하는 가스 등을 흡입하기 위한 어퍼 통공(S2, 도 4 참조)이 형성되고, 금형 장치는 어퍼 통공(S2)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승강 바디(101, 도 3 내지 도 4 참고)와, 승강 바디(101)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00), 승강 바디(10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고정블록(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21)은 하판(2)와 하코어(20)의 사이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8)는 승강 바디(101)의 승강을 제어하고, 석션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8)는 사출액이 주입되며 주입된 사출액이 사출물로 성형되는 제1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바디(101)를 상승시켜 어퍼 통공(S2)을 폐쇄하고, 사출물 성형이 종료되어 가스 등을 흡입하는 제2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바디(101)를 하강시켜 어퍼 통공(S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사출물이 성형되는 제1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S1)에서 틈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출물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코어(10)와 하코어(20) 사이에는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S1)이 형성되고, 하코어(20)에는 공간(S1)과 연통되는 어퍼 통공(S2)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통공(S2)에는 승강 바디(101)가 수용될 수 있다. 승강 바디(101)는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고, 승강 바디(101)의 적어도 일부가 어퍼 통공(S2) 내에 배치될 경우 어퍼 통공(S2)은 폐쇄되고, 승강 바디(101)가 어퍼 통공(S2)의 아래에 배치될 경우 어퍼 통공(S2)은 개방될 수 있다.
고정블록(21)은 하코어(20)에 배치되고, 어퍼 통공(S2) 아래에 위치되는 로어 통공(S3)이 형성되며, 로어 통공(S3)에 연통된 배기통로(S4)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통공(S3)에는 승강 바디(101)의 일부가 배치되며, 로어 통공(S3)을 관통하는 승강 바디(101)는 로어 통공(S3)의 내부에서 승강 이동할 수 있다.
로어 통공(S3)은 상부(S32)는 승강 바디(101)의 외면(102)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으며, 배기 통로(S4)는 로어 통공(S3)의 상부(S32)에 연통될 수 있다.
로어 통공(S3)의 하부(S31) 내경은 상부(S32) 내경 보다 작을 수 있고, 이 경우 로어 통공(S3)의 상부(S32)에 수용된 가스 중 하부(S31)로 이동하는 가스의 양을 최소화하여 배기 통로(S4)로 이동하는 가스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로어 통공의 상부(S32) 내경은 어퍼 통공(S2)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어퍼 통공(S2)의 내경은 로어 통공의 하부(S31) 내경과 같을 수 있다.
승강 바디(101)는 로어 통공(S3)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고, 어퍼 통공(S2)을 막는 제1 높이(H1)로 상승되거나, 어퍼 통공(S2) 아래 제2 높이(H2)로 하강되어 어퍼 통공(S2)과 로어 통공(S3)을 연통시킬 수 있다.
승강 바디(101)가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 사이로 승강시 어퍼 통공(S2)에는 승강 바디(101)의 일부가 수용되어 어퍼 통공(S2)은 막힐 수 있다. 반면에, 승강 바디(101)가 제2 높이(H2) 이하로 하강시 승강 바디(101)는 어퍼 통공(S2) 아래에 배치되며, 어퍼 통공(S2)과 로어 통공(S3)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통공(S2)과 로어 통공(S3)이 연통되면, 공간(S1)에 수용된 가스 등은 어퍼 통공(S2)을 지나 로어 통공(S3)으로 이동하고, 로어 통공(S3)에 수용된 가스 등은 배기통로(S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높이(H1)는 제2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높이(H1)는 하코어(20)의 상단 높이 이하이며 어퍼 통공(S2)의 하단 높이 초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높이(H1)는 하코어(20)의 상단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제2 높이(H2)는 고정블록(21)의 상단 높이 이하이며 고정블록(21)의 하단 높이 초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2 높이(H2)는 고정블록(21)의 상단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승강 바디(101)의 외면(102)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은 DLC 코팅(Diamond-Like-Carb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승강 바디(101)가 승강 이동시, 승강 바디(101)와 하코어(20), 고정블록(21) 및 하판(2)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서 발생 가능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바디(101)가 로어 통공(S3)을 따라 고속으로 승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판(2)에는 배기통로(S4)와 연통되는 하부통로(211)가 형성될 수 있고, 석션 유닛은 하부통로(211)에 연결되어 하부통로(211)를 통해 가스를 석션할 수 있다. 즉, 석션유닛은 하부통로(211)를 통해 배기통로(S4)와 연결되어, 배기통로(S4)로 이동한 가스 등을 흡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유닛은 하부통로(211)에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210)는 하판(2)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210)가 구동되면 배기통로(S4) 내에 수용된 가스 등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장치는 성형 사출시 발생한 가스 등이 의도하지 않은 시점에 이동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승강 실링부재(201), 고정 실링부재(202) 및 석션 실링부재(20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는 탄성력이 있는 오링(oring)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승강 실링부재(201)는 승강 바디(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승강 바디(101)의 상승시 하코어(20)와 밀착될 수 있다.
승강 실링부재(201)는 승강 바디(101)의 외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실링부재(201)의 외경은 어퍼 통공(S2)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승강 바디(101)가 상승하여 승강 실링부재(201)가 어퍼 통공(S2)으로 삽입될 때 승강 실링부재(201)가 압착되어 하코어(20)와 밀착될 수 있고, 승강 실링부재(201)는 승강 바디(101)와 하코어(20)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승강 실링부재(201)는 공간(S1)에 수용된 가스 등이 승강 바디(101)와 하코어(20)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로어 통공(S3)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하코어(20)에는 고정블록(21)이 수용되는 고정블록 수용홈(S5)이 형성되고, 고정블록(21)과 고정블록 수용홈(S5)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블록(21)의 상단과 고정블록 수용홈(S5) 사이를 실링하는 고정 실링부재(202)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실링부재(202)는 고정블록(2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실링부재(202)는 하코어(20)에 밀착될 수 있고, 하코어(20)와 고정블록(21)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고정 실링부재(202)는 어퍼 통공(S2)을 통과한 가스 등이 로어 통공(S3)을 통해 배기 통로(S4)로 이동하지 않고, 의도하지 않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정블록(21)에는 하부통로(211)의 외둘레에 밀착되는 석션 실링부재(203)가 배치될 수 있다.
석션 실링부재(203)는 고정블록(21)의 하단 중 하부통로(211)의 외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석션 실링부재(203)는 고정블록(21)과 하판(2)에 밀착될 수 있고, 고정블록(21)과 하판(2)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석션 실링부재(203)는 배기 통로(S4)를 통과한 가스 등이 하부통로(211)로 전부 이동하지 않고, 의도하지 않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형 장치는 승강 실링부재(201), 고정 실링부재(202) 및 석션 실링부재(2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바디(101)는 하코어(20), 고정블록(21) 및 하판(2)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금형 장치는 승강 바디(101)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의 하강 모습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 고정 블록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바디, 고정 블록 및 승강기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바디(101)의 하부에는 핀(112)이 제공될 수 있다.
승강기구(100)는 핀(112)이 슬라이드 안내되는 핀가이드(111)가 형성된 슬라이더(110), 슬라이더(11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 슬라이더(110)에 연결되어 슬라이더(110)를 진퇴시키는 연결축(130), 연결축(130)과 슬라이더(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바디(101)의 하부에는 핀(112)이 연결되고, 핀(112)은 승강 바디(101)의 높이 방향(z)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 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핀(112)은 슬라이더(110)에 형성된 핀가이드(111)를 따라 가이드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방향(x)은 수평 방향(y) 및 높이 방향(z) 각각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핀(112)은 핀가이드(111)를 따라 가이드 방향(x)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후진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가이드(111)는 승강 바디(101)가 제1 높이(H1)일 때 핀(112)이 안착되는 어퍼 가이드부(111A), 승강 바디(101)가 제2 높이(H2)일 때 핀(112)이 안착되는 로어 가이드부(111B), 어퍼 가이드부(111A)와 로어 가이드부(111B)를 잇는 경사 가이드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부(111A)의 높이는 로어 가이드부(111B)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경사 가이드부(111C)는 어퍼 가이드부(111A)에서 로어 가이드부(111B)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슬라이더(110)에는 승강 바디(101)가 수용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 공간(S6)이 형성되고, 이동 공간(S6)에는 핀(112)이 수용되는 핀가이드(111)가 함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핀가이드(111)는 이동 공간(S6)에서 수평 방향(y)으로 함몰된 함몰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핀가이드(111)는 이동 공간(S6)에서 수평 방향(y)으로 관통되는 구멍일 수 있다.
핀(112)은 핀 가이드(111)에 수용 및 안착되어 가이드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핀가이드(111)의 높이 변화에 의해 핀(112)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 바디(101)의 상단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210)는 승강 바디(101)의 상단 높이가 제2 높이(H2)로 하강 완료 된 후 구동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210)는 핀(112)이 어퍼 가이드부(111A) 또는 경사 가이드부(111C)에 위치할 때에는 구동되지 않고, 에어 컴프레서(210)는 핀(1112)이 로어 가이드부(111B)에 위치할 때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 컴프레서(210)는 승강 바디(101)가 제2 높이(H2)로 하강한 경우에만 구동됨으로써, 가스 등을 흡입하는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구동되지 않아 사출 공정시 에어 컴프레서(210)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에어 컴프레서(210)의 구동 시간을 최소화하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슬라이더(110)는 가이드레일(120)에 안착되어 가이드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10)의 상단 적어도 일부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돌출부(121)는 가이드레일(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더(110)는 가이드레일(12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슬라이더(110)가 이동함에 따라 핀가이드(111) 중 핀(112)이 안착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더(110)는 연결축(130)에 연결되어, 핀(112)이 어퍼 가이드부(111A)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거나, 핀(112)이 로어 가이드부(111B)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연결축(130)은 일단이 슬라이더(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 모듈(190)은 연결축(13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린더 모듈(190)은 내부에서 피스톤(미도시) 운동이 일어나는 실린더(180), 실린더(180) 내부 피스톤(미도시)과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140), 실린더 로드(140)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 슬라이더(150), 실린더 슬라이더(150)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실린더 가이드레일(16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모듈(190)은 실린더(180)와 실린더 가이드레일(160)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 고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 고정부(170)는 하판(2)과 하측 받침부(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실린더 고정부(170)는 하판(2) 외면과 하측 받침부(6) 외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 때 실린더(180)는 하판(2)의 외부에 배치되며, 실린더 로드(140), 실린더 슬라이더(150) 및 실린더 가이드레일(160)은 하판(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180)는 내부에 피스톤(미도시)이 위치하고, 피스톤이 왕복운동할 수 있다. 실린더(180)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oil hydraulic cylinder) 또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공압 실린더(air cylinder)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 로드(140)는 일단이 실린더(180), 특히 실린더(180) 내부에 배치된 피스톤(미도시)과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 슬라이더(150)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로드(140)는 가이드 방향(x)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실린더 로드(14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실린더 슬라이더(150)도 가이드 방향(x)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 슬라이더(150)는 실린더 가이드레일(160)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실린더 가이드레일(160)의 상면을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 가이드레일(160)은 실린더 고정부(170)에 장착될 수 있다.
실린더 슬라이더(150)는 실린더 로드(140)와, 연결축(130)에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 슬라이더(150)는 실린더 로드(14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방향(x)으로 운동하고, 실린더 슬라이더(150)의 운동에 의해 연결축(130)은 가이드 방향(x)으로 수평 운동할 수 있다.
금형 장치는 하판(2)에 고정되고, 연결축(130)이 안내되는 가이드홀(H)이 형성된 연결축 가이드(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 가이드(192)는 슬라이더(110)와, 실린더 슬라이더(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축 가이드(192)의 내부에는 가이드홀(H)이 형성되고, 가이드홀(H)에는 연결축(130)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연결축(130)은 가이드홀(H)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연결축(130)은 일부가 가이드홀(H)에 수용되고, 가이드홀(H)에 의해 연결축(130)은 높이 방향(z) 및 수평 방향(y)으로 걸릴 수 있다. 연결축 가이드(192)는 연결축(130)이 높이 방향(z) 또는 수평 방향(y)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연결축 가이드(192)가 가이드 방향(x)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축 가이드(192)는 연결축(130)에 연결된 슬라이더(110)가 높이 방향(z) 또는 수평 방향(y)으로 움직여 가이드레일(120)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연결축 가이드(192)는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방향(x)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슬라이더(110) 및 승강 바디(101)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판(2)에는 승강기구(100)의 일부가 수용되는 승강기구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승강기구(100) 중 하판(2)의 공간에 수용되는 구성은 하판(2)에 의해 보호될 있다.
승강기구(100) 중 실린더(180)가 하판(2)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실린더(180)의 서비스 작업이나 실린더(180)의 전선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0)과, 연결축 가이드(192)와, 실린더 가이드레일(160)과, 실린더 고정부(170)는 하판(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제어부(8)는 실린더 모듈(190)과 석션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는 실린더 로드(140)가 전진하도록 실린더(180)를 제어하면, 실린더 로드(140)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핀(112)이 어퍼 가이드부(111A)에 위치되면서 승강 바디(101)가 제1 높이(H1)로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노즐(5)을 통해 공간(S1)에 사출액이 충진되며 사출액이 사출물로 성형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8)는 실린더 로드(140)가 후진하도록 실린더(180)를 제어하고, 실린더 로드(140)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핀(112)이 경사 가이드부(111C)를 지나 로어 가이드부(111B)에 위치되고, 승강 바디(101)가 제2 높이(H2)로 하강될 수 있다. 이 때, 에어 컴프레서(120)가 구동되며, 공간(S1)에 수용된 가스 등은 어퍼 통공(S2), 로어 통공(S3), 배기 통로(S4) 및 하부통로(21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서(120)는 구동시 공기를 공급한 후, 공급된 공기가 하부통로(211)를 지나 외부로 배기되면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통해 공간(S1), 어퍼 통공(S2), 로어 통공(S3) 및 배기 통로(S4) 중 적어도 일부에 수용된 가스 등을 함께 배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증착 장치는 에어 컴프레서(120) 대신 가스 등을 흡입하는 에어 흡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코어 20: 하코어
21: 고정블록 101: 승강 바디
100: 승강기구 S1: 공간
S2: 어퍼 통공 S3: 로어 통공
S4: 배기통로

Claims (11)

  1. 상코어;
    상기 상코어와 사이에 사출물이 성형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어퍼 통공이 형성된 하코어;
    상기 하코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 통공 아래에 로어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로터 통공에 연결된 배기통로가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하코어를 지지하고 상기 배기통로와 연통되는 하부통로가 형성된 하판과;
    상기 로어 통공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퍼 통공을 막는 제1높이로 상승되거나 상기 어퍼 통공 아래로 제2높이로 하강되어 상기 어퍼 통공과 로어 통공을 연통시키는 승강 바디와;
    상기 하부통로에 연결된 석션유닛과;
    상기 승강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하부통로에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에는 상기 하부통로의 외둘레에 밀착되는 석션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금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 바디의 상승시 상기 하코어와 밀착되는 승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금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코어에는 상기 고정블록이 수용되는 고정블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수용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정블록의 상단과 상기 고정블록 수용홈 사이를 실링하는 고정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금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통공의 상부는 상기 승강 바디의 외면과 이격되는 내경을 갖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로어 통공의 상부에 연통된 금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디의 하부에는 핀이 제공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핀이 슬라이드 안내되는 핀 가이드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진퇴시키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연결축과 슬라이더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모듈을 포함하는 금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 가이드는
    상기 승강 바디가 제1높이일 때 상기 핀이 안착되는 어퍼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 바디가 제2높이일 때 상기 핀이 안착되는 로어 가이드부와,
    상기 어퍼 가이드부와 로어 가이드부를 잇는 경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하부통로에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는 상기 승강 바디가 제2높이로 하강 완료된 후 구동되는 금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축이 안내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연결축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금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승강기구의 일부가 수용되는 승강기구 수용공간이 형성된 금형 장치.
KR1020180090510A 2018-08-02 2018-08-02 금형 장치 KR10209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10A KR102090581B1 (ko) 2018-08-02 2018-08-02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510A KR102090581B1 (ko) 2018-08-02 2018-08-02 금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129A true KR20200015129A (ko) 2020-02-12
KR102090581B1 KR102090581B1 (ko) 2020-03-18

Family

ID=6956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510A KR102090581B1 (ko) 2018-08-02 2018-08-02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5061A (zh) * 2021-07-23 2021-11-19 白青霞 一种注塑成型用模具
CN116673458A (zh) * 2023-07-28 2023-09-01 宁波博威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壳体的压铸模具
CN117718435A (zh) * 2024-02-18 2024-03-19 江苏永瀚特种合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熔模铸造用辅助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521A (ja) * 1994-04-21 1995-11-07 Calsonic Corp ランナー取出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2000015668A (ja) * 1998-07-06 2000-01-18 Canon Inc 射出成形用金型
JP2002283404A (ja) * 2001-03-27 2002-10-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射出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KR20030076358A (ko) * 2002-03-20 2003-09-2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 성형 금형용 핀
JP2012106375A (ja) * 2010-11-16 2012-06-07 Nanbu Plastics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12200888A (ja) * 2011-03-23 2012-10-22 Kumi Kasei Kk 射出成形金型及び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50109913A (ko) * 2014-03-21 2015-10-02 (주) 아스픽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의 게이트 스크랩 커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521A (ja) * 1994-04-21 1995-11-07 Calsonic Corp ランナー取出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2000015668A (ja) * 1998-07-06 2000-01-18 Canon Inc 射出成形用金型
JP2002283404A (ja) * 2001-03-27 2002-10-03 Mitsubishi Materials Corp 射出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KR20030076358A (ko) * 2002-03-20 2003-09-2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 성형 금형용 핀
JP2012106375A (ja) * 2010-11-16 2012-06-07 Nanbu Plastics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2012200888A (ja) * 2011-03-23 2012-10-22 Kumi Kasei Kk 射出成形金型及び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50109913A (ko) * 2014-03-21 2015-10-02 (주) 아스픽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의 게이트 스크랩 커팅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5061A (zh) * 2021-07-23 2021-11-19 白青霞 一种注塑成型用模具
CN113665061B (zh) * 2021-07-23 2023-09-26 佛山市顺德区天玛仕电子有限公司 一种注塑成型用模具
CN116673458A (zh) * 2023-07-28 2023-09-01 宁波博威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壳体的压铸模具
CN116673458B (zh) * 2023-07-28 2023-11-14 宁波博威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壳体的压铸模具
CN117718435A (zh) * 2024-02-18 2024-03-19 江苏永瀚特种合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熔模铸造用辅助装置
CN117718435B (zh) * 2024-02-18 2024-04-30 江苏永瀚特种合金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熔模铸造用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581B1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581B1 (ko) 금형 장치
CN105501587A (zh) 模内贴标系统
CN110962289A (zh) 一种高压针筒生产线
US4808355A (en) Method of changing the resin 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ing a nozzle touch plate
CN109311043B (zh) 液体材料吐出装置、其涂布装置及涂布方法
KR20120088476A (ko) 사출성형기용 핫런너 밸브장치
KR101209272B1 (ko) 프레스 금형의 오일 분사장치
CN105538618A (zh) 用于取出模制产品的装置
CN108381856B (zh) 一种多色注塑机及其使用方法
CN212193841U (zh) 一种橡胶硫化成型设备
CN114122642A (zh) 一种注液装置
KR0145251B1 (ko) 이형제의 분사장치
CN210559333U (zh) 一种注液压盖机
KR100659730B1 (ko) 사출성형기의 주입노즐 개폐장치
KR20200031640A (ko) 주형 높이 변경 유닛, 무틀 조형기, 및 주형 높이 변경 방법
CN208353174U (zh) 电机磁钢入定子铁芯夹具
CN101402219B (zh) 光纤陶瓷套筒自动装粉机及自动装粉方法
CN209111380U (zh) 一种注蜡机
CN105522688A (zh) 模内贴标系统的堆叠机构
JP7443717B2 (ja) 複合材料の成形方法および複合材料の成形装置
CN110900986A (zh) 一种注塑模具的内抽芯机构
CN219153495U (zh) 一种灌注系统
CN108177299B (zh) 一种全自动排针设备
CN219957655U (zh) 一种用于汽车门锁生产的导通测试设备
CN219650427U (zh) 一种双注射系统橡胶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