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777A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777A
KR20200013777A KR1020207001337A KR20207001337A KR20200013777A KR 20200013777 A KR20200013777 A KR 20200013777A KR 1020207001337 A KR1020207001337 A KR 1020207001337A KR 20207001337 A KR20207001337 A KR 20207001337A KR 20200013777 A KR20200013777 A KR 2020001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maging
display control
imag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608B1 (ko
Inventor
야스시 시카타
요시키 이와키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2306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235762A1/ja
Publication of KR2020001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for generating or manipulating the scene composition of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escriptors from content, e.g. when it is not made available by its provider,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이며,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촬상한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복수의 촬상 장치를 상이한 위치에 설치하고, 복수의 촬상 장치가 동기하여 피사체를 촬상하고, 해당 촬상에 의해 얻어진 복수의 시점의 화상을 사용하여, 촬상 장치의 설치 위치의 화상뿐만 아니라 임의의 시점의 화상을 가상 시점 화상으로서 생성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복수의 시점의 화상에 기초하는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 및 열람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실현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한 화상을 서버 등의 화상 생성 장치에 집약한다. 그리고, 화상 생성 장치는,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한 화상을 사용하여, 가상 시점에 기초하는 렌더링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고, 유저의 시청 단말기에 가상 시점 화상을 표시한다.
축구나 농구 시합을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화상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지정된 시점에 따른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박력이 있는 시점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유저 자신이 시청 단말기에 구비한 컨트롤러나 태블릿 등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시점을 이동하고, 화상 생성 장치가 그 시점에 따른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유저는, 자신이 원하는 시점에서, 시합을 관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시점 화상을 사용한 서비스에서는, 시점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종래의 촬상 화상과 비교하여 유저에게 그 장면에 있는 것 같은 임장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36896호 공보에는, 1개 이상의 화상을 바탕으로 유저가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고, 해당 화상과 해당 선택된 시점의 정보로부터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유저가 원하는 시점을 선택할 때의 UI(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해서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관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상태를 유저가 용이하게 알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나거나, 정상적인 촬영이 불가능하거나, 촬상 화상을 출력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 가상 시점 화상의 품질 저하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의 촬영 범위나 노광 조건을 나타내는 촬영 파라미터 등이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은 경우도, 가상 시점 화상의 품질 저하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유저가 이들 촬상 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수리나 촬영 파라미터의 설정 등을 행할 수 있어, 가상 시점 화상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 요소는 촬상 장치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서버,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위치나 라우터, 및 네트워크 케이블 등도 구성 요소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관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상태를 유저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제어 장치는,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이며,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촬상한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촬상 장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촬상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촬상 장치의 동작의 제1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화상 생성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화상 생성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정보 표시 장치의 동작의 제1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정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보유부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정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보유부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 표시 장치의 데이터 보유부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가 생성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a는,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b는,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의 레이어 묘화 처리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정보 표시 장치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정보 표시 장치의 UI 생성부의 표시 전환의 표시 이미지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a는,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b는,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c는,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d는,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e는,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의 상태를 리스트로서 나타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정보 표시 장치의 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0은, 촬상 장치의 상태를 리스트 표시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리스트 표시의 전환 동작의 이미지도이다.
도 32는, 촬상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촬상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U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정보 표시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정보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6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정보 표시 장치의 조작 UI에 의한 촬상 장치의 설정을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0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는,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정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영 대상이며,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인 경기장을 모방한 화상 상에, 각 촬상 장치의 설치 위치, 촬상 장치간의 네트워크 접속 관계, 및 각 촬상 장치와 촬상 대상 에어리어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은, 복수의 촬상 장치(100-1, 100-2, …100-M)를 갖는 촬상 시스템(100)과, 화상 생성 장치(200)와, 유저 단말기(300)와, 정보 표시 장치(400)와, 분배 장치(500)를 갖는다. 각각의 장치는, 화상이나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송 케이블의 구체예로서는, ETHERNET(등록 상표)인 IEEE 표준 준거의 GBE(기가비트 이더넷)나 10GBE를 들 수 있다. 단, 전송 케이블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별의 케이블이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장치는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촬상 시스템(100)은, M개의 촬상 장치(촬상 장치(100-1, 100-2, …, 100-M))를 갖는다. 이하, 특정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촬상 장치(100-1, 100-2, …, 100-M)를, 촬상 장치(100-X)라고 칭한다. 또한, 여기서 기재되는 M, N(후술), X는, 정수값을 나타낸다.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촬상 장치(100-X)끼리(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1)와 촬상 장치(100-2))는,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촬상 장치(100-X)는, 촬상 화상이나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를 화상 생성 장치(200) 및 정보 표시 장치(400)에 전송한다. 상태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서는, 촬상 장치(100-1)는, 촬상 장치(100-2)와 서로 접속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2)는, 촬상 장치(100-1)에 추가하여, 촬상 장치(100-2)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1개의 촬상 장치와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촬상 장치(100-N)는, 촬상 장치(100-N)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장치와 서로 접속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N)는, 분배 장치(500)와 서로 접속된다. 또한, 촬상 장치간은 데이지 체인에 의해 접속되는 예를 나타내지만, 예를 들어 스타형 접속 등 다른 접속 형태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접속 그룹이 2개 있다. 즉, 다른 1개는, 촬상 장치(100-(N+1))에서부터 촬상 장치(100-M)까지의 촬상 시스템도 마찬가지의 접속을 행한다. 또한, 이 접속 그룹의 수는 2개에 한하지 않고,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 있어도 된다.
촬상 장치(100-X)는, 축구장 등의 경기장이나 특정 피사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 2는, 촬상 장치(100-X)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축구장 등의 경기장(210) 전부 또는 일부의 범위가 복수의 촬상 장치(100-X)로 촬상되도록, 복수의 촬상 장치(100-X)가 배치된다.
복수의 촬상 장치(100-X)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이며, 도시하지 않은 동기 장치로부터의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한 타이밍에 촬상을 행한다. 촬상 장치(100-X)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전송 케이블과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화상 생성 장치(200) 및 정보 표시 장치(400)에 전송된다. 촬상 장치(100-X)는, 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여도 되고, 동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여도 되고,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의 양쪽을 촬상하는 카메라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이라고 하는 문언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한다.
화상 생성 장치(200)는,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촬상 장치(100-X)와 서로 접속된다. 또한, 화상 생성 장치(200)는, 유저 단말기(300)나 정보 표시 장치(400)와도 서로 접속된다. 화상 생성 장치(200)는, 촬상 장치(100-X)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축적한다. 화상 생성 장치(200)는, 유저 단말기(300)의 조작에 기초하는 가상 시점 정보를 입력한 경우, 복수의 촬상 장치(100-X)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가상 시점 정보에 대응한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 장치(200)는, 생성된 가상 시점 화상을, 유저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가상 시점 정보에는, 위치 정보와 방향 정보가 적어도 포함된다. 위치 정보는, 경기장(210)의 중앙 등의 소정 위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예를 들어,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경우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위치 정보는 절대적인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방향 정보는, 그 소정 위치로부터의 방향(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는 3차원 직교 좌표계에서의 각 축으로부터의 각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방향 정보는,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가상 시점 정보는,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시점의 위치 및 시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가상 시점 정보는,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가상 카메라의 위치 자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화상 생성 장치(200)는, 예를 들어 서버 장치이며, 데이터베이스 기능(화상 저장부(202)로서 후술)이나, 화상 처리 기능(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로서 후술)을 갖는다. 화상 생성 장치(200)가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는, 경기 개시 전의 경기장의 장면 등, 미리 선수 등의 특정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경기장의 장면을 촬상한 화상을 배경 화상 데이터로서, 미리 보유한다. 배경 화상 데이터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특정 피사체를 추출하기 위한 전경 배경 분리 처리에 사용된다.
유저 단말기(300)는, 조작용 컨트롤러를 갖는다. 유저 단말기(300)는, 유저의 컨트롤러의 조작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가상 시점의 위치 이동, 가상 시점의 시선 방향의 변경 및 시점의 전환 지시를 접수하고,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전송 신호를 가상 시점 정보로서 화상 생성 장치(200)에 전송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300)는, 화상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가상 시점 화상을 유저 단말기(300)에 구비한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가상 시점 화상은, 정지 화상이어도 되고 동화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유저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나 태블릿이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6축 컨트롤러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촬상 장치(100-X)나 화상 생성 장치(200)와 서로 접속된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이나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표시 화면(표시부(404))에 표시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설치 장소나 촬상 장치간의 접속 관계나 속하는 그룹의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화상 생성 장치(200)의 상태 정보도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정보 표시 장치(400)에 표시된 정보를 감시 담당자가 열람한다. 감시 담당자는, 정보 표시 장치(4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촬상 화상 등을 사용하여 촬상 시스템(100)이나 화상 생성 장치(200)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감시한다.
분배 장치(500)는, 촬상 장치(100-X)로부터 수신한 촬상 화상을, 화상 생성 장치(200) 및 정보 표시 장치(400)에 분배한다.
이어서, 촬상 장치(100-X)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촬상 장치(100-X)의 하드웨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촬상 광학계(301)(광학 렌즈계)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 소자(302)에 결상한다. 촬상 소자(302)는, 결상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A/D 컨버터(303)에 출력한다. A/D 컨버터(303)는, 입력된 전기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화상 처리 회로(304)에 입력한다. 또한, 촬상 소자(302)는, 수광면 상에 결상된 상에 의한 광 신호를, 대응하는 위치의 수광 화소별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이다.
시스템 컨트롤러(308)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갖는다. 시스템 컨트롤러(308)는, ROM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등에 의해 촬상 장치(100-X)를 제어한다.
화상 처리 회로(304)는, A/D 컨버터(303)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화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화이트 밸런스 조정, 색 보정 및 감마 보정 등이 포함된다. 화상 처리 회로(304)에 의해 화상 처리된 화상 신호는 기록 매체(307)에 저장되거나, 표시 장치(305)에 의해 표시되거나 한다. 또한, 화상 처리 회로(304)는, 촬상부(102)로부터 입력된 촬상 화상 중, 경기장(210)에서 경기 중에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선수 등의 피사체를 추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촬상 광학계 제어 회로(306)는, 시스템 컨트롤러(308)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광학계(301)에 포함되는 렌즈 등을 구동한다. 또한, 도시한 촬상 장치(100-X)의 구성은 예시이며, 반드시 모든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다른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305)는 촬상 장치(100-X)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X)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0-X)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5의 흐름도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X)에서 촬상 화상이 얻어질 때마다 실행된다.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시스템 컨트롤러(308)가 정보의 연산이나 각 하드웨어를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도 5의 흐름도 중 적어도 일부의 스텝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이나 FPGA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X)는, 렌즈부(101), 촬상부(102), 전경 배경 분리부(103), 상태 정보 보유부(104), 출력부(105), 제어부(106) 및 제어 신호 입력부(107)를 갖는다. 이들은, 내부 버스(108)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제어부(106)에 의한 제어 하,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렌즈부(101)는 도 3의 촬상 광학계(301) 및 촬상 광학계 제어 회로(306)에 대응하고, 도 4의 촬상부(102)는 도 3의 촬상 소자(302) 및 A/D 컨버터(303)에 대응한다. 또한, 도 4의 전경 배경 분리부(103)가 실행해야 할 처리는 도 3의 화상 처리 회로(304)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도 4의 상태 정보 보유부(104), 출력부(105), 제어부(106) 및 제어 신호 입력부(107)의 기능은, 도 3의 시스템 컨트롤러(308)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5의 처리는, 도 3의 시스템 컨트롤러(308)가 기록 매체(307)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각 부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렌즈부(101)는, 촬상부(102)의 전단에 설치되어 있고, 촬상 대상으로부터의 입사광을 촬상부(102)에 결상한다. 렌즈부(101)는, 렌즈의 줌이나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다. 촬상부(102)는, 렌즈부(101)에 의해 결상된 입사광의 노출 동작을 행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촬상부(102)는, 변환 후의 신호에 대하여, 센서의 출력 결손이나 렌즈 광학 특성의 변동 보정 등의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촬상부(102)는, 신호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RAW,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혹은 BMP(BITMAP IMAGE) 등의 화상 포맷의 촬상 화상으로 변환한다. 촬상 화상은, 전경 배경 분리부(103)에 출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촬상 화상이 취득된다(S501).
전경 배경 분리부(103)는, 촬상부(102)로부터 입력된 촬상 화상 중, 경기장(210)에서 경기 중에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선수 등의 특정 피사체를 추출하고, 「전경 화상 데이터」로서 후단의 출력부(105)에 출력한다(S502). 또한, 전경 배경 분리부(103)는, 경기 개시 전의 경기장(210)의 장면 등, 미리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경기장(210)의 장면을 촬상한 화상을 「배경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부(105)에 출력한다(S502). 또한, 전경 배경 분리부(103)가 촬상 화상으로부터 특정 피사체를 제외하고 남은 화상을 배경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부(105)에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전경 배경 분리되지 않은 촬상 화상을,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와 구별하기 위해 「전경 배경 분리 전 화상 데이터」라고 칭한다.
도 6은, 「전경 배경 분리 전 화상 데이터」,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이미지도이다. 도 6a는, 「전경 배경 분리 전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전경 배경 분리 전 화상 데이터는, 경기장(210)인 축구장에서, 2명의 선수(611, 612)와, 축구공(620)과, 축구 골(630)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이다. 도 6b는, 「전경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2명의 선수(611, 612)와, 축구공(620)이 「전경 화상 데이터」로서 추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다. 이들은, 각각 별도의 「전경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즉 도 6b에서는, 3개의 전경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경 화상 데이터」를 직사각형 데이터로서 취급한다(도 6b의 파선을 참조). 도 6c는, 「배경 화상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축구 골(630) 등, 경기 중 거의 시간 변화가 없는 피사체는 「배경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특정 피사체인 전경의 분리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오브젝트 추출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를 사용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오브젝트 추출은, 촬상 화상과 배경 화상의 차분을 추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전경은, 경기하는 선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다른 특정 인물(예를 들어, 후보 선수, 감독, 심판 중 적어도 어느 1명)이어도 된다. 또한, 전경은, 공이나 골 등, 화상 패턴이 미리 정해져 있는 물체여도 된다. 또한, 전경을 검출하는 그 밖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동체가 검출되도록 해도 된다.
상태 정보 보유부(104)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를 보유하고, 그 상태가 변화하였을 때 등에, 그 정보를 출력부(105)에 출력한다(S503). 상태 정보에는 적어도 이하 중 어느 것을 포함한다.
ㆍ촬상 장치(100-X)의 통신 접속 상태(접속, 비접속 등)
ㆍ촬상 장치(100-X)의 촬영 상태(촬영 중, 준비 중, 전원 OFF 중, 전원 ON 중 등)
ㆍ촬상 장치(100-X)의 동작 상태(줌 동작 중, 포커스 동작 중, 아이리스 설정 중 등)
ㆍ촬상 장치(100-X)의 출력 상태(「전경 화상 데이터」나 「배경 화상 데이터」를 화상 생성 장치(200)에 출력 중 등)
ㆍ촬상 장치(100-X)의 에러 유무 상태(정상, 온도 에러, 렌즈 에러 등)
ㆍ촬상 장치의 구성 상태(운대 있음, 마이크 있음, 줌 렌즈 있음, 등)
ㆍ촬상 장치의 촬영 파라미터(조리개값(아이리스), 셔터 스피드, 화이트 밸런스, 노출값, ISO 감도, 줌, 포커스, ND 필터, 촬영 모드 등)
또한, 상태 정보는, 촬상 장치(100-X)가 데이지 체인 상의 몇 단째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어드레스 정보 또는 속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등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출력부(105)는, 전경 배경 분리부(103)로부터 출력된 「전경 화상 데이터」나 「배경 화상 데이터」를,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화상 생성 장치(200) 및 정보 표시 장치(400)에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한다(S504). 또한, 출력부(105)는, 상태 정보 보유부(104)로부터 출력된 상태 정보를, 다른 촬상 장치(100-X)나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정보 표시 장치(400)에 출력한다(S504). 또한, 출력하는 타이밍은, 각 상태가 변화한 경우나 촬상 장치(100-X)가 기동한 경우이다. 또한, 출력부(105)는, 촬상 장치(100-X)가 촬영을 행하는 프레임 레이트에 준한 타이밍에 데이터를 출력해도 된다.
제어부(106)는, 제어 신호 입력부(107)나 도시하지 않은 유저 I/F부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00-X)의 각 부에 제어 지시를 낸다. 예를 들어, 제어부(106)는, 유저 I/F부 또는 제어 신호 입력부(107)로부터, 아이리스나 ISO 등의 노출 조정을 위한 조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촬상부(102)에 대하여, 해당 노출 제어를 행한다.
제어 신호 입력부(107)는, 후술하는 정보 표시 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정보 표시 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파라미터는, 줌, 포커스, 아이리스, ISO, 셔터 스피드, ND 필터 전환 등이 있다.
또한, 도시한 촬상 장치(100-X)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장치가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전경 배경 분리부(103)는, 촬상 장치(100-X)와 상이한 장치가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출력부(105)는, 다른 장치가 갖고, 다른 장치가, 촬상 장치(100-X)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화상 생성 장치(200), 정보 표시 장치(400) 및 유저 단말기(3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화상 생성 장치(200), 정보 표시 장치(400) 및 유저 단말기(300)의 하드웨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장치(7000)(유저 단말기(300), 화상 생성 장치(200) 또는 정보 표시 장치(400))는, 컨트롤러 유닛(700), 조작 유닛(709) 및 표시 장치(71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700)은, CPU(701)를 갖는다. CPU(701)는, ROM(702)에 격납되어 있는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OS(OPERATING SYSTEM)를 기동한다. CPU(701)는, 이 OS 상에서, HDD(HARD DISK DRIVE)(704)에 격납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70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각종 처리를 실현한다. CPU(701)의 작업 영역으로서는 RAM(703)이 사용된다. HDD(704)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CPU(701)는, 시스템 버스(708)를 통하여, ROM(702), RAM(703), 조작부 I/F(705), 표시부 I/F(706) 및 통신 I/F(707)와 서로 접속된다. 조작부 I/F(705)는, 조작 유닛(709)과의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 I/F(705)는, 조작 유닛(709)에 의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CPU(701)에 송출한다. 조작 유닛(709)은, 예를 들어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갖는다. 표시부 I/F(706)는, 표시 장치(710)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710)에 대하여 출력한다. 표시 장치(710)는,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갖는다. 통신 I/F(707)는, 예를 들어 이더넷(등록 상표) 등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전송 케이블에 접속된다. 통신 I/F(707)는,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또한, 통신 I/F(707)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나 안테나여도 된다. 또한, 장치(7000)는, 케이블이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의 표시 장치(710)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장치(7000)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710)에 출력함으로써 표시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구성 전부가 화상 생성 장치(200) 또는 정보 표시 장치(400)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이라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화상 생성 장치(200)에 있어서, 표시 장치(710)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생성 장치(2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생성 장치(200)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화상 생성 장치(20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입력부(201), 화상 저장부(202),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 출력부(204), 제어부(205) 및 유저 입력부(206)를 갖는다. 이들은, 내부 버스(207)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제어부(205)에 의한 제어 하,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화상 입력부(201)는 도 7의 통신 I/F(707)에 대응하고, 도 8의 유저 입력부(206)는 도 7의 조작부 I/F(705)에 대응하고, 도 8의 출력부(204)는 도 7의 표시부 I/F(706) 및 통신 I/F(707)에 대응한다. 또한, 도 8의 화상 저장부(202)는 도 7의 ROM(702), RAM(703), HDD(704)에 대응하고, 제어부(205)는 CPU(701)에 대응한다. 또한, 도 9의 처리는, 도 7의 CPU(701)가 ROM(702)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각 부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각 부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9의 흐름도 중 적어도 일부의 스텝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이나 FPGA이다.
화상 입력부(201)는, 촬상 장치(100-X)로부터 출력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각각 상이한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입력한다(S901). 그리고, 화상 입력부(201)는, 입력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저장부(202)에 출력한다. 또한, 촬상 장치(100-X)로부터 출력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S902를 생략하고 후술하는 S903으로 진행한다.
화상 저장부(202)는, 데이터베이스이며, 화상 입력부(201)로부터 입력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S902). 또한, 화상 저장부(202)는, 후술하는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로부터 지정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에 출력한다.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는, 제어부(205)로부터 가상 시점 정보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903). 가상 시점 정보의 생성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판정 결과, 제어부(205)로부터 가상 시점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S9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부(205)로부터 가상 시점 정보를 입력한 경우,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는, 가상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저장부(202)로부터 취득한다(S904).
그리고,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는, 화상 저장부(202)로부터 취득한 「전경 화상 데이터」 및 「배경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에 의해 합성함으로써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고, 출력부(105)에 출력한다(S905).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모델 베이스 렌더링(MODEL-BASED RENDERING: MBR)을 사용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MBR이란, 피사체를 복수의 방향에서 촬상한 복수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3차원 모델을 사용하여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MBR은, 겉보기 체적 교차법, MULTI-VIEW-STEREO(MVS) 등의 3차원 형상 복원 방법에 의해 얻어진 대상 씬의 3차원 형상(모델)을 이용하여, 가상 시점에서의 씬의 외관을 화상으로서 생성하는 기술이다. 또한,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 방법은, MBR을 사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미지 베이스 렌더링 등 MBR 이외의 렌더링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출력부(204)는,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로부터 입력된 가상 시점 화상을 유저 단말기(300)에 전송 가능한 전송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906).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300)는, 유저 단말기(300)에 접속된 컨트롤러의 유저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 시점의 위치, 시선의 방향 변경, 및 시점의 전환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300)는, 그 내용을 나타내는 전송 신호를 화상 생성 장치(200)에 전송한다. 유저 입력부(206)는, 이와 같이 하여 유저 단말기(300)를 통하여 입력된 전송 신호를 처리 가능한 가상 시점 정보로 변환한다. 그리고, 유저 입력부(206)는, 그 가상 시점 정보를 제어부(205)에 출력한다.
제어부(205)는, 유저 입력부(206)로부터의 가상 시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생성 장치(200)의 각 부에 제어 지시를 낸다. 예를 들어, 유저 입력부(206)로부터, 가상 시점의 정보를 수신하면,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에 제어 정보로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는, 가상 시점 정보를 입력하면,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도시한 화상 생성 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장치가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화상 저장부(202)와 가상 시점 화상 생성부(203)를 별개의 장치로서 구성해도 된다.
유저 단말기(300)는, 유저로부터의 가상 시점의 위치나 방향을 접수하고, 화상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유저로부터 접수한 가상 시점의 위치나 방향에 따른 가상 시점 화상을 유저 단말기(300)에 구비한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는, 자신의 조작에 기초하는 시점에서 콘텐츠를 시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나 태블릿이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6축 컨트롤러, 터치 패널이다. 유저는, 이것들을 사용하여 가상 시점을 조작하고, 유저 단말기(300)에 구비한 표시 화면에 임의의 시점에서의 가상 시점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어서, 정보 표시 장치(4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4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400)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후술하는 데이터 보유부(401)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와, 상태 취득부(405)가 취득한 정보로부터 촬상 장치(100-X)나 화상 생성 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의 일례이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데이터 보유부(401), 데이터 판독부(402), UI 생성부(403), 표시부(404), 상태 취득부(405), 제어부(406), 유저 입력부(407) 및 제어 신호 출력부(408)를 갖는다. 이들은, 내부 버스(409)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제어부(406)에 의한 제어 하,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데이터 보유부(401)는 도 7의 HDD(704)에 대응하고, 도 10의 데이터 판독부(402), UI 생성부(403) 및 제어부(406)는, 도 7의 CPU(701)에 대응한다. 또한, 도 10의 상태 취득부(405) 및 제어 신호 출력부(408)는 도 7의 통신 I/F(707)에 대응하고, 도 10의 표시부(404)는, 표시부 I/F와 표시 장치(710)에 대응한다. 또한, 도 11이나 정보 표시 장치(400)가 행하는 후술하는 처리는, 도 7의 CPU(701)가 ROM(702)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각 부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1이나 정보 표시 장치(400)가 행하는 후술하는 흐름도 중 적어도 일부의 스텝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이나 FPGA이다.
데이터 보유부(401)는, UI 생성부(403)가 UI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보유한다. 해당 데이터에는 적어도 이하 중 어느 것을 포함한다.
ㆍ경기장(210)의 레이아웃 데이터
ㆍ촬상 장치(100-X)의 식별 정보
ㆍ촬상 장치(100-X)가 속하는 접속 그룹 정보
ㆍ촬상 장치(100-X)의 접속처
ㆍ촬상 장치(100-X)의 설치 에어리어
ㆍ촬상 장치(100-X)의 설치 좌표 정보
ㆍ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
ㆍ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중심 좌표 정보
ㆍ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유효 에어리어 정보
ㆍ촬상 장치(100-X)의 설치 에어리어의 영역 정보
도 12에 데이터 보유부(401)가 보유하는 데이터 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데이터에서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1)」가 「L1」이라고 하는 통신 접속 그룹에 속하고, 「촬상 장치(100-2)」와 서로 접속되며, 「R1」이라고 하는 에어리어의, 좌표(x1,y1)에 설치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설치 좌표 정보는,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경기장(210)의 중앙)를 원점으로 한 경우의 XY 좌표 정보이다.
또한, 데이터 보유부(401)가 보유하는 다른 데이터 예를 도 13에 도시한다. 에어리어 중심 좌표(도 12에서 도시하는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중심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는,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경기장(210)의 중앙)를 원점으로 한 경우의 XY 좌표 정보이다. 또한, 공통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촬영하는 촬상 장치(100-X)의 그룹은, 그 광축을 에어리어 중심 좌표가 나타내는 위치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즉, 동일한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촬영하는 촬상 장치(100-X)가 촬영하는 화상의 중심은, 어느 촬상 장치(100-X)에 있어서도, 동일한 에어리어 중심 좌표가 나타내는 위치로 된다. 또한 유효 에어리어 정보란, 중심 좌표로부터의 반경으로 표시된 영역이다. 또한, 가상 시점 화상은, 공통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촬영하는 촬상 장치(100-X)가 촬영한 화상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또한, 데이터 보유부(401)가 보유하는 다른 데이터 예를 도 14에 도시한다. 정점 좌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정점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좌표 정보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설치 에어리어의 영역이다.
데이터 보유부(401)는, 이들 정보를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른 입력에 의해 취득해도 되고, 촬상 장치(100-X)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해도 된다. 또한, 데이터 보유부(401)는, 정보 표시 장치(400) 내에 있을 필요는 없고, 외부의 기록 장치에 있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X)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는 데이터 보유부(401)는, 각각의 촬상 장치(100-X) 내에 있어도 된다.
데이터 판독부(402)는, 데이터 보유부(401)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판독하고, UI 생성부(403)에 출력한다(S1101). UI 생성부(403)는, 데이터 판독부(40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와, 상태 취득부(405)로부터 출력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이나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UI 화상을 생성한다(S1102). 상태 정보 및 UI 화상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UI 생성부(403)는, 생성된 UI 화상을 표시 이미지로서 표시부(404)에 출력한다.
표시부(404)는, 프레임 버퍼 및 표시 패널을 갖는다. 표시부(404)는, UI 생성부(403)로부터 출력된 표시 이미지를 프레임 버퍼에 격납한다(덮어쓰기함). 그리고, 표시부(404)는, 프레임 버퍼에 격납한 표시 이미지를 소정의 리프레시 레이트로 판독하여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S1103). 표시 패널이란,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이다.
상태 취득부(405)는, 각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나 화상 생성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 UI 생성부(403)에 출력한다. UI 생성부(403)는, 상기 상태 정보가 변화한 경우에는, 생성된 UI 화상을 갱신한다(S1104, S1105).
제어부(406)는, 유저 입력부(40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 장치(400)의 각 부에 제어 지시를 낸다. 예를 들어, 제어부(406)는, 유저 입력부(407)로부터 표시 이미지 종별의 전환 지시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수신하면, 그 조작 정보를 해당하는 표시 이미지 종별로 변환하고, UI 생성부(403)에 송신한다. 표시 이미지의 구체적인 내용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저 입력부(407)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조작 정보를 접수하고, 제어부(406)에 출력한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제어 신호 출력부(408)는, 제어부(4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출력처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X)이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X)의 줌, 포커스, 아이리스, ISO, 셔터 스피드, ND 필터 전환 등의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경기장 레이아웃 표시의 설명)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400)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경기장(210)을 나타내는 정보(1201) 상에, 이하의 정보를 표시한다.
ㆍ촬상 장치(100-X)를 설치하는 설치 에어리어(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2가 나타내는 에어리어)
ㆍ촬상 장치(100-X)와 그 설치 위치(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3이 나타내는 원형부)
ㆍ촬상 장치(100-X)간의 접속 관계 및 접속 상태(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4가 나타내는 선)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5가 나타내는 파선의 원형 에어리어)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중심점(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6이 나타내는 육각형)
ㆍ촬상 장치(100-X)가 촬영 대상으로 하는 에어리어(예를 들어, 도면 부호 1207이 나타내는 점선)
또한, 도 15에 있어서, 정보 표시 장치(400)는, 화상 생성 장치(200)나 정보 표시 장치(400)와 촬상 장치(100-X)의 접속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정보 표시 장치(400)는, 화상 생성 장치(200) 등은 스타디움 밖의 방송 중계차 내 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도 15에서는 이들을 중계차라고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5와 같은 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정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촬상 장치를 갖는 촬상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언뜻 보아 유저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어느 촬상 장치가 어디에 배치되고, 어떻게 접속되어 있는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통신 에러가 생긴 접속 경로의 선(1204)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영 가능한 상태인 촬상 장치(100-X)를 나타내는 원형부(1203)와, 고장이나 조정 중이며 촬영 가능한 상태가 아닌 촬상 장치(100-X)를 나타내는 원형부(1203)를 식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를 더 행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영 가능한 상태가 아닌 촬상 장치(100-X)를 나타내는 원형부(1203)를 비표시로 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데이터 보유부(401)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와, 촬상 장치(100-X)로부터 취득한 상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 에러를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보유부(401)에서 보유하고 있는 촬상 장치(100-)간의 접속 관계와, 상태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촬상 장치(100-X)간의 실제의 접속 관계가 상이한 경우, 경고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게, 고장이 생긴 촬상 장치를 용이하게 특정시켜,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므로, 촬상 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문제가 생길 가상 시점의 위치를 유저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므로, 촬상 시스템이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충분한 촬상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설치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15에 있어서 예시한 모든 정보를 표시할 필요는 없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설정 장소에 관한 정보, 촬상 장치(100-X)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 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 등의 복수 종류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설정 장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촬상 시스템(100)의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어느 에어리어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유저에게 용이하게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 구성을 유저에게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0-X)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의 표시에 의해, 네트워크 장해가 생긴 경우에는, 유저는 영향이 생길 촬상 장치(100-X)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수리 등의 대응을 즉각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촬상 시스템(100)의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주시하는 촬영 영역을 용이하게 유저에게 파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여러 가지 각도로부터의 다시점 촬영이 충분히 행해졌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정보 표시 장치(400)의 UI 생성부(403)가, 도 15의 표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플로우이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2는, 플로우 내의 각 처리에 의해 묘화되는 구체적인 표시 이미지이다. 또한, 처리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6의 처리 및 후술하는 각 표시 처리는, 도 7의 CPU(701)가 ROM(702)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각 부의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6이나 각 표시 처리의 흐름도 중 적어도 일부의 스텝이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이나 FPGA이다.
UI 생성부(403)는, 데이터 판독부(402)로부터 출력된 경기장(210)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묘화한다(S1401, 도 17). 그 후, UI 생성부(403)는, 경기장(210) 내에서 촬상 장치(100-X)를 설치할 에어리어를 묘화한다(S1402, 도 18). 여기서는 설치 에어리어는 4개 있다(R1, R2, R3 및 R4). 이들 에어리어는 도 14에 도시한 좌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 후, UI 생성부(403)는, 촬상 장치(100-X)를 각각이 속하는 설치 에어리어 내에 배치한다(S1403, 도 19). 이들은 도 12에 도시한 설치 에어리어나 설치 좌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 후, UI 생성부(403)는, 각 촬상 장치(100-X)간의 접속 관계를 묘화한다(S1404, 도 20). 여기서는 2개의 접속 그룹이 있다(L1, L2). 이들은 도 12에 도시한 접속 그룹 정보 및 접속처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UI 생성부(403)는, 촬상 시스템(100)으로부터 취득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나타내는 표시 이미지를 동적으로 작성해도 된다. 또한, UI 생성부(403)는, 생성된 촬상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접속이, 사전에 기억하고 있던 올바른 네트워크 구성과 상이한 경우, 에러를 표시해도 된다. 그 후, UI 생성부(403)는, 각 촬상 장치(100-X)가 촬영 대상으로 하는 에어리어를 묘화한다(S1405, 도 21). 여기서는 2개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가 있다. 이들은 각각 촬영 에어리어의 중심점(1206)과, 촬영 에어리어의 유효 에어리어(1205)를 포함한다. 유효 에어리어는 가상 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적합한 영역을 나타낸다. 이들은 도 13에 도시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17 내지 도 22에서 도시하는 화상은, 각각 다른 레이어의 화상으로서 묘화된다. 그 후, UI 생성부(403)는, 각 촬상 장치(100-X)와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관련짓는 정보로서 이것들을 결선한다(S1406, 도 22). 동일 에어리어에 촬상 장치(100-X)가 다수 있으면,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X(1203-2))와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결선한 것(1207-2)이 다른 촬상 장치(100-X(1203-1))와 교차하는 경우가 있다. UI 생성부(403)는, 이러한 교차의 유무를 확인(S1407)하고, 교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교차한 촬상 장치(100-X)의 묘화 위치를 동일 에어리어 내에서 교차하지 않는 위치로 재배치한다(1408). 즉,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를 나타내는 정보와,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이 모두 겹치지 않도록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촬상 장치(100-X)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유저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단, 촬상 장치(100-X)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레이어 표시와 유저 조작에 의한 표시 전환)
또한, UI 생성부(403)는, 도 16의 처리 플로우에 따라 표시 이미지를 묘화할 때, 도 12 내지 도 14의 정보를 바탕으로, 레이어를 나누어 묘화한다. 여기서 레이어란, UI 생성부(403)가 내포하는 프레임 버퍼와 동일 사이즈의 복수의 기록 영역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7의 RAM(703)의 일부에 해당한다. UI 생성부(403)는 복수의 묘화 레이어를 겹치게 함으로써, 도 15의 표시 이미지를 생성한다.
개개의 묘화 레이어는, 구체적으로는 이하가 묘화된다.
ㆍ경기장(210)(S1401, 도 17에 도시)
ㆍ각 에어리어(S1402, 도 18에 도시)
ㆍ촬상 장치(100-X)(S1403, 도 19에 도시)
ㆍ각 접속 그룹(S1404, 도 20에 도시)
ㆍ각 촬영 대상 에어리어(S1405, 도 21에 도시)
ㆍ촬상 장치(100-X)와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결선(S1406, 도 22에 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설치 에어리어는 R1, R2, R3 및 R4의 4개이다. 그 때문에, S1402에서는, 4개의 레이어가 사용된다. 동일하게 접속 그룹은 L1, L2의 2개이다. 그 때문에, S1403에서는 2개의 레이어가 사용된다. 도 24는, UI 생성부(403)의 레이어 묘화 처리 이미지 예이다. 최하층에 도 17의 도면 부호 1201에 해당하는 경기장(210)이 묘화되고, 그 상부의 레이어에 각 에어리어의 레이어가 중첩된다. 그리고, 최상부에 각 촬상 장치(100-X)와 촬상 최소 에어리어의 결선을 묘화한 레이어가 중첩된다. 또한, 각 레이어의 중첩 순서는 적절하게 재조합해도 된다. 또한, 반드시 복수의 레이어를 중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7의 화상에, 도 18 내지 도 22에서 도시한 내용을 추가 기록함으로써,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표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복수의 레이어마다 묘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표시 이미지의 전환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유저 입력부(407)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도 15에서 묘화한 표시 이미지의 표시를 전환하는 처리 플로우이다. 유저 입력부(407)는, 키보드 등의 컨트롤러로부터 조작 정보를 입력하면, 그 정보를 제어부(406)에 출력한다(S2501). 조작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406)는, 그 조작 정보를 바탕으로 표시 혹은 비표시로 해야 할 표시 내용을 특정하고, 그 내용을 표시 전환 지시로서, UI 생성부(403)에 출력한다(S2502). 제어부(406)는, 조작 정보마다, 표시 혹은 비표시로 해야 할 내용을 미리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A」라고 하는 키가 눌린 경우에는, L1의 접속 그룹에 속하는 카메라를 표시하는 등의 내용을 갖고 있다. UI 생성부(403)는, 표시 전환 지시를 받으면, 해당하는 묘화 레이어를 추가 혹은 삭제한 후, 남은 묘화 레이어를 중첩 후, 표시부(404)에 출력한다(S2503).
도 26은, 도 25의 처리 결과에 의해 생성되는 UI 화상의 일례이다. 이것은 접속 그룹(L1)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전환을 행한 결과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5의 처리에 의해, 에어리어(R1)에 설치된 촬상 장치(100-X)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5의 처리에 의해, 임의의 촬상 장치(100-X)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5의 처리에 의해, 공통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가 설정되어 있는 촬상 장치(100-X)만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시키는 레이어를 유저에 의해 선택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표시 장치(400)가 표시시키는 레이어를 자동으로 선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가상 시점 화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경고를 팝업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표시 장치(400)는, 경고를 팝업 표시함과 함께, 가상 시점 화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로 된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데 적합한 레이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는, 가상 시점 화상의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어, 그 대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표시 장치(400)는, 각 레이어를 적절하게 조합하거나, 삭제하거나 하여 촬상 시스템의 상태의 표시를 행한다. 따라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시스템이 많은 촬상 장치를 갖고 있는 경우라도, 원하는 촬상 장치군의 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UI 생성부(403)는, 상술한 레이어별 묘화에 추가하여, 각 레이어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가 조도가 낮은 중계차에 배치되는 경우, 배경색을 흑색 베이스로 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가 조도가 높은 야외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백색 베이스의 배경으로 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표시시키는 레이어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표시시키는 레이어의 선택을 행하지 않고, 도 15에 표시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만을 고정적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촬상 장치(100-X)의 상태 표시의 설명)
도 27은, 도 15에 도시한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정보 표시 장치(400)의 상태 취득부(405)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 보유부(104)로부터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면, UI 생성부(403)에 출력한다. UI 생성부(403)는, 그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도 15의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100-X)의 표시를 갱신한다. 도 27은, 구체적으로는 어떤 접속 그룹(1204) 상에 있는 촬상 장치(100-X)의 일부를 표시한 예이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X)의 상태의 표시에는 이하의 것이 있다.
ㆍ촬상 장치(100-X)가 정보 표시 장치(400)나 다른 촬상 장치(100-X)와 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도 27a의 도면 부호 2401)
ㆍ촬상 장치(100-X)가 정보 표시 장치(400)나 다른 촬상 장치(100-X)와 접속하지 않아 통신 불가한 상태(도 27a의 도면 부호 2402)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7a에 추가하여, 촬상 장치(100-X) 자체의 상태도 표시한다.
ㆍ촬상 장치(100-X)가 에러 상태(도 27b의 도면 부호 2403)
ㆍ촬상 장치(100-X)가 워닝 상태(도 27b의 도면 부호 2404)
ㆍ촬상 장치(100-X)가 바이패스되어 있는 상태(도 27b의 도면 부호 2405)
여기서 에러 상태란, 촬상 장치(100-X) 내의 온도나 광학 렌즈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에러 상태는, 촬상 장치(100-X)가 촬상을 행할 수 없거나 또는 촬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여도 된다. 워닝 상태란, 에러 상태로 될 것 같은 상태이며, 동작 상 문제가 없지만, 소정의 온도 상승이나,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동기 장치와의 소정 이상의 동기 어긋남 등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바이패스 상태란, 그 촬상 장치(100-X)가 사용되지 않고 접속 상태만 우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바이패스 상태는, 촬상 장치(100-X)가 촬영이나 화상 처리를 실행할 수 없고, 데이터의 전송만을 행한 상태여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7a, 도 27b에 추가하여, 촬상 장치(100-X)의 구성 상태도 표시한다.
ㆍ촬상 장치(100-X)에 줌 렌즈가 부수(도 27c의 도면 부호 2406)
ㆍ촬상 장치(100-X)에 집음 마이크가 부수(도 27c의 도면 부호 2407)
ㆍ촬상 장치(100-X)에 운대가 부수(도 27c의 도면 부호 2408)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7a, 27b, 27c에 추가하여, 촬상 장치(100-X)의 출력 상태도 표시한다.
ㆍ촬상 장치(100-X)가 촬상한 「전경 화상 데이터」나 「배경 화상 데이터」를, 분배 장치(500)를 통하여, 화상 생성 장치(200) 및 정보 표시 장치(400)에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출력 중(도 27d의 도면 부호 2409)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가 출력하는 데이터의 출력처나 출력의 프레임 레이트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가 출력하는 화질에 관한 정보(데이터 사이즈, 화상 사이즈 및 파일 형식 등)의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27a, 27b, 27c 및 27d에 추가하여, 촬상 장치(100-X)의 기계적인 상태도 표시한다.
ㆍ촬상 장치(100-X)의 줌 렌즈 동작 중(도 27e의 도면 부호 2410)
이 외에, 운대 동작이나 오토 포커스 동작 등도 이것에 포함된다.
촬상 장치(100-X)의 상태의 표시예를 나타내었지만, 표시하는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촬상 장치(100-X)와 동기 장치의 동기 상태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 정보에 추가하여, 각 촬상 장치에 설정한 내용이나, 그 작업 완료 상태 등도 표시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도 27의 도면 부호 2401 내지 2410에 도시하는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메시지로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표시 항목을 선택 가능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X)의 상태의 표시 가부도 선택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유저에 의한 지시 조작을 위한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유저에 의한 터치 패널에 대한 지시 조작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촬상 장치(100-X)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파라미터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가, 예를 들어 에러 상태, 워닝 상태, 통신 불가 상태 또는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능한 상태 등,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경고를 별도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가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화상, 색 또는 메시지에 의해 경고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에 한하지 않고, 시스템의 상태가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시스템의 상태가, 가상 시점 화상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긴급으로, 수리나 설정의 확인을 행하세요. 」 등과 같이 메시지로 경고 표시를 행함과 함께 문제를 해소할 것을 촉진시키기 위한 표시를 행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27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 정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촬상 장치를 갖는 촬상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어느 촬상 장치가 어떤 상태인지를 유저에게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영에 에러가 생긴 촬상 장치(100-X)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유저는, 에러가 생긴 촬상 장치(100-X)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그룹 개요 리스트 표시의 설명)
도 28은, 도 15에 도시한 표시 이미지 상의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리스트하여 도시한 다른 예이다. 도 28은, 구체적으로는 어떤 촬영 대상 에어리어(1205 및 1206)를 촬영 대상으로 하고 있는(결선을 연결하고 있는) 1개 이상의 촬상 장치(100-X)군의 상태의 개요를 리스트 표시한 예이다. 이하, 이 군을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리스트 표시를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그룹 개요 리스트 표시 내용에 이하의 것이 있다.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촬상 장치간의 접속 상태(접속, 비접속)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에러 상태(에러 있음, 없음)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워닝 상태(워닝 있음, 없음)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바이패스 상태(바이패스 있음, 없음)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구성 상태(운대 있음/없음, 마이크 있음/없음 등)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출력 상태(출력 중, 출력 없음)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기계적인 동작 상태(동작 중, 비동작)
이들은, 도 27에서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리스트 표시에서는, 그 이외에도 이하의 상태도 표시한다.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ISO값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아이리스값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셔터 스피드값
ㆍ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ND(NEUTRAL DENSITY) 필터값
도 29는, 정보 표시 장치(400)의 상태 취득부(405) 및 UI 생성부(403)에 의한 도 28에 도시하는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의 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접수함으로써 개시된다. 상태 취득부(405)는, 모든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 보유부(104)로부터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그 결과를 UI 생성부(403)에 출력한다(S2901, S2902). UI 생성부(403)는, 리스트 표시하는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를 특정하고(S2903), 그 상태 정보를 비교한다(S2904). 여기서 모든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2905). 1개 이상의 촬상 장치(100-X)의 상태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경고 표시를 행한다(S2906). 여기서 경고 표시란, 도 28을 예로 들면,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V2)의 에러 상태나,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V1)의 아이리스값이다. 이들은, 1개 이상의 촬상 장치(100-X)에 에러가 발생하였음, 혹은 아이리스값이 다른 촬상 장치(100-X)와 상이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8에서는 경고 표시를 애스터리스크로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다른 정보에 의해 경고 표시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경고 표시를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각 촬상 장치의 노광 조건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상 시점 화상에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등과 같이 메시지로 경고 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색이나 경고를 의미하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경고 표시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촬영 대상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를 행한다. 따라서,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사용되고 복수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에 따라 노광 조건이 상이하여 가상 시점 화상에 위화감이 생길 가능성을 용이하게 유저에게 인식시켜, 그 대책을 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룹 상세 리스트 표시의 설명)
도 30은, 도 28에 도시한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V2)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별 상태를 리스트 표시한 예이다(이 리스트 표시를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라고 칭함). 이것은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와 달리, 그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별 상태를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로 경고 표시를 찾은 경우,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로 표시 전환함으로써, 구체적인 경고 개소를 특정할 수 있다. 도 30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2)가 온도 에러를 일으켰기 때문에, 도 28에서 경고 표시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30에 있어서 설명한 모든 정보를 표시할 필요는 없으며, 이들 중 일부를 표시해도 된다.
도 31은, UI 생성부(403)에 의한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와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의 전환 동작이다. UI 생성부(403)는, 유저 입력부(407)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정보(표시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와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의 사이에서 표시의 전환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영 대상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를 표시하였을 때, 유저로부터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식별 정보인 「V2」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탭이나 지시 조작을 접수한 경우,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로 바꾼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를 표시하였을 때, 도시하지 않은 「복귀」의 메시지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탭이나 지시 조작을 접수한 경우, 촬영 대상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의 표시로 전환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의 리스트 표시로서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였다. 또한, 표시하는 내용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촬상 장치(100-X)와 동기 장치의 동기 상태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 정보에 추가하여, 각 촬상 장치에 설정한 내용이나, 그 작업 완료 상태 등도 표시해도 된다. 또한, 그룹은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그룹마다 리스트 표시해도 되고, 설치 에어리어를 1개의 그룹으로서 리스트 표시해도 된다.
(조작 UI의 설명)
도 32 및 도 33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400)에 의해 표시되는 촬상 장치(100-X)를 조작하는 조작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에는, 정보 표시 장치(400)가 표시하는, 개별적인 촬상 장치(100-X)를 조작하기 위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UI를 도시한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100-X)의 촬영 파라미터의 설정이나 촬상 장치(100-X)를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촬상 장치(100-X)에 송신한다. 조작 UI에서는, 적어도 촬상 장치(100-X)의 줌, 포커스, 노출 조건을 결정하는 ISO, 아이리스, 셔터 스피드 및 ND 필터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 장치(100-X)가 운대를 갖는 경우, PAN(팬)이나 TILT(틸트)의 설정도 가능하다.
도 33은,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를 일괄적으로 조작하는 조작 이미지이다. 조작 이미지 상에서는, 적어도 노출 조건을 결정하는 ISO, 아이리스, 셔터 스피드 및 ND 필터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정이나 조작을 정보 표시 장치(400)가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이들을 촬상 장치에 반영할 수 있다.
도 39는, 정보 표시 장치(400)가 조작 UI를 표시하고, 유저로부터 접수한 설정을 촬상 장치(100-X)에 반영시키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조작 UI에 의한 조작 대상으로 되는 촬상 장치(100-X)를 특정하기 위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01).
S4001의 판정은,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촬상 장치(100-X)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묘화 레이어를 표시한 상태에서 원형부(1203)에 대하여 조작 UI의 표시를 위한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조작이 행해진 원형부(1203)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100-X)를 조작 UI의 표시 대상으로 특정한다. 또한, 도 15와 같이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표시하기 위한 묘화 레이어를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 대상 에어리어(1205 또는 1206)에 대하여 조작 UI의 표시를 위한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조작이 행해진 촬영 대상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를 조작 UI의 표시 대상으로 특정한다.
또한, 도 15와 같이 접속 그룹을 표시하기 위한 묘화 레이어를 표시한 상태에서 접속 그룹을 나타내는 선(1204)에 대하여 조작 UI의 표시를 위한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조작이 행해진 접속 그룹에 대응하는 접속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를 조작 UI의 표시 대상으로 특정한다.
또한, 도 28과 같이 그룹 상태 개요 리스트 표시를 표시한 상태에서,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V1 또는 V2)에 대하여 조작 UI의 표시를 위한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조작이 행해진 촬영 대상 그룹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를 조작 UI의 표시 대상으로 특정한다.
또한, 도 30과 같이 그룹 상태 상세 리스트 표시를 표시한 상태에서, 촬상 장치(100-1 내지 100-n)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조작 UI의 표시를 위한 조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조작이 행해진 촬상 장치(100-X)를 조작 UI의 표시 대상으로 특정한다.
조작 UI에 의한 조작 대상으로 되는 촬상 장치(100-X)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한 경우, 정보 표시 장치(400)는, 도 32 또는 도 33에 도시하는 조작 UI를 표시한다(S4002). 정보 표시 장치(400)는, 조작 UI에 의해 촬상 장치의 설정 또는 조작하기 위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03). 조작 UI에 의해 촬상 장치의 설정 또는 조작하기 위한 유저 조작을 접수한 경우,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에 설정 또는 조작을 반영시키기 위한 지시를 송신한다(S4004). 정보 표시 장치(400)는, S4004에 있어서 지시를 송신한 경우, 송신처의 촬상 장치(100-X)로부터 수신한, 지시를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를 촬상 장치(100-X)가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05). 정보 표시 장치(400)는, S4005에 있어서 지시를 촬상 장치(100-X)가 반영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촬상 장치(100-X)가 반영한 것 및 반영한 촬상 장치(100-X)의 설정 또는 조작의 정보를 갱신하고, 표시한다(S4006). 한편, 정보 표시 장치(400)는, S4005에 있어서 지시를 촬상 장치(100-X)가 반영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에러를 표시한다(S4007).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표시 장치(400)는, 복수의 촬상 장치(100-X)와, 접속 관계, 설치 에어리어 및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경기장(210)의 지도 상에서 결부지어 표시한다. 또한, 각각의 촬상 장치(100-X)의 상태도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X)의 수가 증가해도, 그들의 접속 상태, 설치 상태, 촬영의 영향 범위 등의 시스템 상태를 한눈에 유저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그룹만의 표시,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만의 표시 등, 표시하고 싶은 정보를 적절하게 첨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촬상 장치(100-X)의 수나 접속 그룹의 수 등이 증가해도, 특정 그룹에만 주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그룹 단위나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 단위로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가상 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에 속하는 촬상 장치(100-X)에 문제가 생기면, 그 생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가상 시점 영상의 생성에 대한 영향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그룹 단위나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 단위로 촬상 장치(100-X)의 ISO나 아이리스 등의 촬영 파라미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촬영 중, 외광 상황이 변화하면, 동일한 촬영 대상 에어리어를 촬영하고 있는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별로, 동일한 노출 조건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촬영 대상 에어리어 그룹 단위로 일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촬상 장치(100-X)를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에 적합한 설정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이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변형예에서는, 촬상 장치(100-X)의 촬영 화상을 UI에 중첩 표시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보다 적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도 34는, 변형예의 정보 표시 장치(4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변형예의 정보 표시 장치(400)는, 데이터 보유부(601), 데이터 판독부(602), UI 생성부(603), 표시부(604), 상태 취득부(605), 제어부(606), 유저 입력부(607), 제어 신호 출력부(608) 및 화상 취득부(610)를 갖는다. 이들은, 내부 버스(609)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제어부(606)에 의한 제어 하,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도 10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과, 화상 취득부(610) 이외의 부분은, 마찬가지의 기능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 취득부(610)는, 각 촬상 장치(100-X)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을 취득하고, UI 생성부(603)에 출력한다.
도 35는, 정보 표시 장치(400)의 화상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정보 표시 장치(400)가, 도 15에서 도시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유저(감시 담당자)가 표시되어 있는 UI 상의 촬상 장치(100-X)(1203), 접속 그룹(1204), 촬영 대상 에어리어(1205, 1206), 혹은 설치 에어리어(1202)의 선택 조작을 접수한다. 유저(감시 담당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100-X)를 선택하면, 유저 입력부(607)는, 그 조작 정보를 제어부(606)에 출력한다(S3501). 제어부(606)는, 그 조작 정보와 표시 이미지로부터 선택된 촬상 장치(100-X), 혹은 그룹, 혹은 에어리어를 특정한다(S3502). 그 후, 제어부(606)는 특정한 촬상 장치(100-X), 혹은 그룹이나 에어리어에 포함되는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을, 화상 취득부(610)를 통하여 취득하고, UI 생성부(603)에 출력한다(S3503). UI 생성부(603)는, 입력된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을, 표시 이미지 상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3504). 화상이 동화상인 경우, S3503과 S3504를 반복한다(S3505).
도 36 내지 도 38은, 정보 표시 장치(400)에 의해 표시되는 촬상 화상을 중첩 표시하는 조작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유저(감시 담당자)가 표시 이미지 상의 개개의 촬상 장치(100-X)를 선택한 경우의 예이다. 선택된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이 표시된다. 도 37은, 표시 이미지 상의 촬영 대상 에어리어의 중심점을 선택한 경우의 예이다. 선택된 촬영 대상 에어리어에 속하는 모든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의 일람이 표시된다. 도 38은, 표시 이미지 상의 접속 그룹을 선택한 경우의 예이다. 선택된 접속 그룹에 속하는 모든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의 일람이 표시된다.
계속해서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한 정보 표시 장치(400)에 의해 표시되는 촬상 화상 상에, 촬상 장치(100-X)의 자세 확인용 가이드 표시, 노출 확인용 가이드 표시 및 포커스 확인용 가이드 표시를 더 중첩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0은, 촬상 장치(100-X)의 자세를 확인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인 센터 마커를 촬영 화상 상에 표시한 예이다. 도 40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00-X)의 자세 확인용 가이드 표시를 유저가 확인함으로써, 촬상 장치(100-X)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1은, 촬상 장치(100-X)의 노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인 노출 가이드 바(4101)를 촬영 화상 상에 표시한 예이다. 도 41에 도시하는 노출 가이드 바(4101)는, 촬상 장치(100-X)에 설정되어 있는 노출량이, 촬상 장치(100-X)의 노출계에 의해 측정된 적정 노출에 대하여 많은지 적은지를 나타내는 가이드 표시이다. 노출 가이드 바(4101)는, 일례로서 슬라이드 바이다. 노출 가이드 바(4101)에 있어서, 제로의 눈금이 적정 노출을 나타내고 있고, 슬라이더가 + 방향에 위치하면 노출 오버, - 방향에 위치하면 노출 언더임을 나타낸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노출 가이드 바(4101)의 슬라이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조작을 유저로부터 접수하면, 촬상 장치(100-X)에 조작에 따른 노출 보정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41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00-X)의 노출 확인용 가이드 표시를 촬영 화상과 함께 유저가 확인함으로써, 촬상 장치(100-X)의 노출량이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2는, 촬상 장치(100-X)의 포커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포커스 상태표(4201)를 촬영 화상에 표시한 예이다. 도 42에 도시하는 포커스 상태표(4201)는, 촬상 장치(100-X)의 포커싱 위치와 그 조정을 행하기 위한 가이드 표시이다. 도 42에 도시하는 포커스 상태표(4201)에 있어서, 횡축은,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포커스 렌즈가 이동함으로써, 촬상 장치(100-X)의 포커싱 위치가 변화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포커스 상태표(4201)에 있어서, 종축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한 촬영 화상의 주파수 정보이다. 포커싱이 적절한 위치에서 행해지고 있을수록, 촬영 화상의 주파수는 높아진다. 여기서는, 촬영 화상의 주파수가 가장 높아지는 렌즈 위치를 「피크값」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또한, 현 상황의 렌즈 위치를 「현재값」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피크값」과 「현재값」이 괴리되어 있으면 촬영 화상이 흐려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포커스 상태표(4201)에의 유저로부터 현재값을 변경하는 조작을 접수하면, 촬상 장치(100-X)에 조작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42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00-X)의 포커스 상태표의 가이드 표시를 촬영 화상과 함께 유저가 확인함으로써, 촬상 장치(100-X)의 포커싱 위치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3은, 도 37 혹은 도 38에 도시한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의 일람에, 도 40에 도시하는 센터 마커와 도 41에 도시하는 노출 가이드 바를 중첩한 UI의 일례이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어느 노출 가이드 바가 조작된 경우, 대응하는 촬상 장치(100-X)에 노출 보정의 지시를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촬영 화상과 함께 촬상 장치(100-X)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일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촬상 장치의 자세나 노출을 한번에 보다 상세하게 유저는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3에 있어서, 도 42에 도시하는 포커스 상태표를 추가로 중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표시의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문자 또는 수치 등 다른 형태에 의해 가이드 표시를 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변형예에서는, 선택된 촬상 장치(100-X), 혹은 촬영 대상 에어리어, 접속 그룹에 속하는 모든 촬상 장치(100-X)의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에어리어나 그룹에서 결부된 촬상 화상(100-X)의 실제의 촬영 화상의 확인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다 시스템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를, 도 4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4는, 정보 표시 장치(400)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설명한 표시 이미지와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4에 있어서, 44001 내지 4404는, 촬상 장치(100-X)에 줌 렌즈가 부수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44에서는, 줌 렌즈가 부수되어 있고, 화각이 비교적 좁은 촬상 장치(100-X(44001 내지 4404))가 촬영 대상으로 하는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선(4405)을 실선이나 굵은 선 등, 줌 렌즈가 부수되어 있지 않은 촬상 장치(100-X)의 것과 상이한 형태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도 44에 예시한 촬상 장치(100-X)의 화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촬상 장치(100-X) 각각의 화각의 차이를 유저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100-X) 각각의 화각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수치 등 다른 형태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100-X)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에 추가하여, 또는 촬상 장치(100-X) 대신에,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정보 표시 장치(400)는,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어 스위치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 화상 생성 장치(200) 및 동기 장치 등의 상태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즉, 정보 표시 장치(400)는, 가상 시점 화상의 생성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 장치(400)는, 촬상 장치(100-X)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 변화의 발생을 검출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촬상 장치(100-X)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촬상 장치(100-X)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 한정한다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조합 전부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필수적인 것만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표시 이미지의 일부만을 표시하는 것, 표시 이미지의 일부를 다른 정보로 치환하는 것 및 표시 이미지에 추가의 정보를 중첩하는 것 등의 변형 및 변경이 행해져도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 등)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7년 6월 23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123318호와 2018년 2월 9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22067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21)

  1.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촬상한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표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표시 또는 비표시로 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기 위한 정보로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을 연결하는 선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제1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1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다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을 연결하는 선이 겹치지 않도록 표시를 행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의 통신 접속 상태, 데이터의 출력 상태 및 에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가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를 나타내는 화상은, 경기장을 나타내는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촬상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파라미터는, 조리개, 셔터 스피드, ISO 감도 및 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 상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촬영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에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접속 그룹,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설치 장소 및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촬상을 행하는 대상인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상태, 통신 접속이 비접속인 상태 또는 촬상을 행할 수 없는 에러 상태인 경우, 가상 시점 화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촬상한 화상에, 해당 화상을 촬영한 촬상 장치의, 자세에 관한 정보, 포커스에 관한 정보 또는 노출에 관한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것의 화각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0. 가상 시점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방법이며,
    복수의 촬상 장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 각각이 촬상한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촬상 장치의 통신 접속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로서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07001337A 2017-06-23 2018-06-1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138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3318 2017-06-23
JPJP-P-2017-123318 2017-06-23
JP2018022067A JP6482696B2 (ja) 2017-06-23 2018-02-09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8-022067 2018-02-09
PCT/JP2018/023063 WO2018235762A1 (ja) 2017-06-23 2018-06-18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777A true KR20200013777A (ko) 2020-02-07
KR102138608B1 KR102138608B1 (ko) 2020-07-28

Family

ID=650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337A KR102138608B1 (ko) 2017-06-23 2018-06-18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999571B2 (ko)
EP (1) EP3618429B1 (ko)
JP (2) JP6482696B2 (ko)
KR (1) KR102138608B1 (ko)
CN (1) CN110546948B (ko)
AU (1) AU2018289853B2 (ko)
BR (1) BR112019020588A2 (ko)
CA (1) CA3068417C (ko)
RU (1) RU273822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285B1 (en) * 2014-05-28 2016-05-03 Lucasfilm Entertainment Company Ltd. Switching modes of a media content item
JP7159057B2 (ja) * 2017-02-10 2022-10-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自由視点映像生成方法及び自由視点映像生成システム
EP3595286B1 (en) * 2017-03-10 2022-03-16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program
JP6482696B2 (ja) * 2017-06-23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20110B2 (ja) 2019-03-25 2022-08-1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297515B2 (ja) * 2019-04-25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0057B1 (ja) * 2019-05-17 202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8101B2 (ja) * 2019-07-26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36579B2 (en) 2020-05-04 2022-09-0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erforming enhanced deposit item processing using cognitive automation tools
CN114286016A (zh) * 2020-09-28 2022-04-05 青岛千眼飞凤信息技术有限公司 图像获取装置以及图像获取系统
CN114422865B (zh) * 2020-10-10 2023-10-27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728A (ja) * 2002-02-15 2003-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仮想映像作成装置及び仮想映像作成方法
JP2009060201A (ja) * 2007-08-30 2009-03-19 Panasonic Corp マルチ画面監視システム
JP2011176452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映像表示装置
JP2012207474A (ja) * 2011-03-30 2012-10-25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アンカー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471A (en) * 1995-03-31 1998-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chine dynamic selection of one video camera/image of a scene from multiple video cameras/images of the scene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perspective on the scene, an object in the scene, or an event in the scene
JP3710257B2 (ja) 1997-06-10 2005-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1169341A (ja) * 1997-06-10 1999-03-09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端末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制御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1008194A (ja) * 1999-06-18 2001-01-12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
JP2004274779A (ja) 2004-03-29 2004-09-30 Syst Five:Kk 情報提供装置
WO2006018951A1 (ja) * 2004-08-18 2006-02-23 Olympus Corporation 画像生成方法および画像生成装置
JP2007020092A (ja) 2005-07-11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7180605A (ja) 2005-12-26 2007-07-12 Canon Inc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71265B2 (ja) * 2006-08-29 2008-04-0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11307A (ja) * 2008-06-30 2010-01-14 Victor Co Of Japan Ltd カメラ情報表示装置及びカメラ情報表示方法
US9185361B2 (en) * 2008-07-29 2015-11-10 Gerald Curry Camera-based track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sporting events using event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data extracted in real-time from position information
JP5302766B2 (ja) * 2009-05-14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監視画像表示装置
JP2010274813A (ja) 2009-05-29 2010-12-09 Fujitsu Ten Ltd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5338498B2 (ja) * 2009-06-09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835932B2 (ja) * 2010-07-02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27856B2 (ja) * 2011-11-16 2016-06-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2291B2 (ja) * 2012-03-28 2015-11-11 サクサ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JP5924069B2 (ja) * 2012-03-28 2016-05-25 サクサ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WO2014199505A1 (ja) * 2013-06-14 2014-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
JP6347934B2 (ja) 2013-10-11 2018-06-27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87797A (ja) * 2014-03-27 2015-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再生装置
JP2016004493A (ja) 2014-06-18 2016-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502660B2 (ja) * 2014-12-12 2019-04-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映像監視システム
US9832449B2 (en) * 2015-01-30 2017-11-28 Nextv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ewing position
US20160330408A1 (en) * 2015-04-13 2016-11-10 Filippo Costanzo Method for progressive generation, storage and delivery of synthesized view transitions in multiple viewpoints interactive fruition environments
JP6611525B2 (ja) * 2015-09-07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708384B2 (ja) * 2015-09-24 2020-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8357B2 (ja) * 2016-05-25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9829B2 (ja) * 2016-05-25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1470B2 (ja) * 2017-05-12 2022-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57215B2 (ja) * 2017-06-06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235762A1 (ja) 2017-06-23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82696B2 (ja) 2017-06-23 2019-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33865B2 (ja) * 2017-08-10 2022-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03067A (ja) * 2017-12-06 2019-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憶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728A (ja) * 2002-02-15 2003-08-29 Mitsubishi Heavy Ind Ltd 仮想映像作成装置及び仮想映像作成方法
JP2009060201A (ja) * 2007-08-30 2009-03-19 Panasonic Corp マルチ画面監視システム
JP2011176452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映像表示装置
JP2012207474A (ja) * 2011-03-30 2012-10-25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アンカー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5167B2 (en) 2022-09-13
AU2018289853A1 (en) 2019-12-19
CN110546948B (zh) 2020-11-20
EP3618429B1 (en) 2023-09-20
EP3618429A1 (en) 2020-03-04
JP7146662B2 (ja) 2022-10-04
BR112019020588A2 (pt) 2020-04-22
KR102138608B1 (ko) 2020-07-28
RU2738220C1 (ru) 2020-12-09
JP2019009766A (ja) 2019-01-17
US10999571B2 (en) 2021-05-04
JP6482696B2 (ja) 2019-03-13
US20210227201A1 (en) 2021-07-22
AU2018289853B2 (en) 2020-05-07
CN110546948A (zh) 2019-12-06
CA3068417A1 (en) 2018-12-27
JP2019088025A (ja) 2019-06-06
US20200128230A1 (en) 2020-04-23
EP3618429A4 (en) 2020-11-04
CA3068417C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608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6994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viewpoint apparatus
US10970915B2 (en) Virtual viewpoint setting apparatus that sets a virtual viewpoint according to a determined common image capturing area of a plurality of image capturing apparatuses, and related se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182865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20394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995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7317998A (zh) 全景视频图像融合方法及装置
JP201302564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210136349A1 (en) Image capturing system, arrangement determination apparatus, arrangement determin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021489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166218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8235762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9234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749427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27021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6054415A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プログラム
JP7130976B2 (ja) 表示情報作成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185480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3122130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911804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5679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