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434A -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434A
KR20200010434A KR1020197037793A KR20197037793A KR20200010434A KR 20200010434 A KR20200010434 A KR 20200010434A KR 1020197037793 A KR1020197037793 A KR 1020197037793A KR 20197037793 A KR20197037793 A KR 20197037793A KR 20200010434 A KR20200010434 A KR 2020001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path
path
conveyance
stat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538B1 (ko
Inventor
마사오키 이와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07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an electrical linear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4Switches; Frogs;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 Linear Mot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Abstract

반송로 전환 장치인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는 기대(200a)와, 반송 대차의 분기용 반송로를 따라서 배설된 고정자(1)와, 기대(200a)에 배설된 제 1 반송로(101)와, 기대(200a)에 배설된 제 1 반송로(101)와는 상이한 제 2 반송로(102)를 구비한다. 반송 대차가 주행하는 반송로는, 제 1 반송로(101)와 제 2 반송로(102)를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다. 고정자(1)는 제 1 반송로(101) 및 제 2 반송로(102)의 쌍방에서 공용된다.

Description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반송 장치에 마련되는 반송로 전환 장치 및 반송로 전환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대와, 상기 기대 상을 이동하는 반송 대차를 갖는 반송 장치에 있어서, 기대에 배설된 고정자와, 반송 대차에 배설된 가동자가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고, 이 고정자 또는 가동자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반송 대차를 구동하는 것이 있다. 이 반송 대차의 궤도에는 직선 궤도, 곡선 궤도 및 분기 궤도가 존재한다. 분기 궤도의 반송 대차의 진행방향으로는, 인접하는 복수의 궤도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분기 궤도는 반송 대차의 접근 전에 복수의 궤도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도록 전환된다.
특허문헌 1에는, 리액션 레일이라 불리는 고정자를 갖는 복수의 지지체와, 이 지지체를 주행방향에 평행한 방향 또는 직각인 방향의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며, 지지체를 회전시키는 구성의 자기 부상 궤도의 전철기(point machine)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소50-111707 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복수의 분기 궤도의 각각에 대응한 고정자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분기 수에 대응한 수의 고정자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정자의 설치 수를 삭감 가능한 반송로 전환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정자와 반송 대차의 가동자에 의해 반송 대차를 구동하는 반송 장치에 마련되는 반송로 전환 장치이다. 반송로 전환 장치는 기대와, 반송 대차의 분기용 반송로를 따라서 배설된 고정자와, 기대에 배설된 제 1 반송로와, 기대에 배설된 제 1 반송로와는 상이한 제 2 반송로를 구비한다. 반송 대차가 주행하는 반송로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를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다. 고정자는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의 쌍방에서 공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자의 설치 수를 삭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가 되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반송로 회전 전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 1 반송로가 반송로 전환 장치의 궤도면일 때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 2 반송로가 반송로 전환 장치의 궤도면일 때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인 반송로 회전 전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가 되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의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가 되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반송 장치(100)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와, 구동부(300)로 크게 구별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직방체 형상의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는 기대(200a)와, 복수의 고정자(1)와, 레일(2a, 2b)과, 샤프트(3a, 3b)를 포함한다. 레일(2a)은 기대(200a)에 배설된다. 레일(2a)은 기대(200a)에 배설되는 것에 의해, 제 1 궤도 상에 배설된 제 1 반송로(101)를 구성한다. 레일(2b)은 기대(200a)에 있어서 제 1 반송로(101)와는 상이한 면에 배설된다. 레일(2b)은 기대(200a)에 배설되는 것에 의해, 제 2 궤도 상에 배설된 제 2 반송로(102)를 구성한다. 레일(2a, 2b)은 후술하는 분기용 반송로의 레일 및 후술하는 분기후 반송로(post-branching conveying path)의 레일과 접속될 때 분기용 반송로로서 기능한다. 샤프트(3a) 및 샤프트(3b)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서, 제 1 궤도와 제 2 궤도를 전환할 때에 회전축(20)의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샤프트(3a) 및 샤프트(3b)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이다.
복수의 고정자(1)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다. 복수의 고정자(1)는 분기용 반송로로서 기능하는 레일(2a, 2b)을 따라서 배설된다. 복수의 고정자(1)는 반송 장치(100) 상을 주행하는 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대차에 배설되는 가동자와 함께, 리니어 모터를 구성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고정자(1)는 모두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를 관통하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양면에서 고정자로서 기능한다.
레일(2a)은 반송 장치(100)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를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 상의 제 1 반송로(101) 상에서, 상기 반송 대차를 반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레일(2b)은 반송 장치(100)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를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 상의 제 2 반송로(102) 상에서, 상기 반송 대차를 반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샤프트(3a)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하나의 측면에, 후술하는 구동부(300)의 베어링(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3b)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샤프트(3a)가 배설된 측면을 표면으로 했을 때의 이면에 배설되며, 후술하는 구동부(300)의 베어링(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구동부(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구동부(300)는 베어링(4a, 4b)과, 지지 부재(5)와, 모터(6)와, 벨트(7)와, 접속용 레일(8)과, 지지 부재(9)를 구비한다. 베어링(4a)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샤프트(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4b)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샤프트(3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5)는 베어링(4a)을 지지한다. 모터(6)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전환시에 샤프트(3a)를 회전 구동한다. 벨트(7)는 샤프트(3a)와 모터(6)를 접속한다. 접속용 레일(8)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반대측에 있으며,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분기전 반송로(pre-branching conveying path)에 접속된다. 지지 부재(9)는 궤도면 상에 접속용 레일(8)이 배설되며 베어링(4b)을 지지한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 1 반송로(101)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궤도면일 때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 2 반송로(102)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궤도면일 때의 궤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는 분기전 반송로(400)와, 제 1 분기후 반송로(500a) 및 제 2 분기후 반송로(500b) 사이에 배설된다.
분기전 반송로(400)의 궤도면 상에는 레일(2)이 배설되어 있다. 제 1 분기후 반송로(500a)의 궤도면 상에는 레일(2c)이 배설되어 있다. 제 2 분기후 반송로(500b)의 궤도면 상에는 레일(2d)이 배설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로(101)가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대차의 궤도면, 즉 도시하지 않은 반송 대차가 주행하는 반송로가 될 때, 레일(2a)의 일단이 접속용 레일(8)에 접속되며, 레일(2a)의 타단이 레일(2c)에 접속된다. 그러면, 분기전 반송로(400)의 레일(2)은 접속용 레일(8)과 접속되며, 접속용 레일(8)은 레일(2a)과 접속되며, 레일(2a)은 레일(2c)과 접속된다. 이에 의해, 레일(2), 접속용 레일(8), 레일(2a) 및 레일(2c)은 이어진 형상이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로(102)가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 대차의 궤도면, 즉 도시하지 않은 반송 대차가 주행하는 반송로가 될 때, 레일(2b)의 일단이 접속용 레일(8)에 접속되고, 레일(2b)의 타단이 레일(2d)에 접속된다. 그러면, 분기전 반송로(400)의 레일(2)은 접속용 레일(8)과 접속되며, 접속용 레일(8)은 레일(2b)과 접속되며, 레일(2b)은 레일(2d)과 접속된다. 이에 의해, 레일(2), 접속용 레일(8), 레일(2b) 및 레일(2d)은 이어진 형상이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2a)의 일단이 접속용 레일(8)에 접속되고, 레일(2a)의 타단이 레일(2c)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분기전 반송로(400)로부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 진입한 반송 대차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서 레일(2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자(1)에 의해 구동된다. 고정자(1)의 각각의 레일(2a)측 단부면의 중심이 형성하는 궤도 형상은 레일(2a) 상의 반송 대차를 구동 가능해지도록 레일(2a)과 일치시키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2b)의 일단이 접속용 레일(8)에 접속되며, 레일(2b)의 타단이 레일(2d)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분기전 반송로(400)로부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 진입한 반송 대차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서 레일(2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도 4와 마찬가지로 고정자(1)에 의해 구동된다. 고정자(1)의 각각의 레일(2b)측 단부면의 중심이 형성하는 궤도 형상은 레일(2b) 상의 반송 대차를 구동 가능하게 되도록 레일(2b)과 일치시키고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분기용 반송로의 수에 상당하는 고정자를 배설하는 것을 필요로 했다. 한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는 레일(2a) 상 및 레일(2b) 상의 쌍방에서,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를 관통한 동일한 고정자(1)에 의해 구동되므로,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전환 전후에 있어서 동일한 고정자(1)를 공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종래보다 부품 점수, 구체적으로는 고정자의 설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형상에는 직방체 형상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한 제 1 반송로(101)와 제 2 반송로(102)의 쌍방에 있어서 고정자(1)를 공용할 수 있으면, 직방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고정자(1)가 관통하는 제 1 반송로(101)와 제 2 반송로(102)가 서로 반대의 면인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한 제 1 반송로(101)와 제 2 반송로(102)의 쌍방에 관통된 고정자(1)를 공용할 수 있으면, 제 1 반송로(101)와 제 2 반송로(102)가 서로 반대의 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2개의 면이 반대의 면일 때, 한쪽의 면을 표면으로 하면 다른쪽의 면이 이면(back surface)이 되며, 이들 면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은 180도가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고정자(1)는 2개의 궤도면을 관통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한 복수의 궤도면 전체에 있어서 관통된 고정자(1)를 공용할 수 있으면, 제 1 반송로(101) 및 제 2 반송로(102) 이외에 다른 궤도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회전축(20)은 진행방향에 평행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송 대차의 궤도면이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며, 전환 가능한 복수의 궤도면 전체에 있어서 관통된 고정자(1)를 공용할 수 있으면 좋으며, 회전방향은 진행방향에 평행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고정자(1)가 전자석인 경우에는 통전용 케이블을 인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는, 반송 대차의 위치 검출기를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위치 검출기의 출력 케이블을 인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와 외부를 접속하는 케이블의 인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에 도움이 되는 샤프트(3a)로부터 샤프트(3b)까지를 중공으로 하고, 중공의 샤프트(3a) 및 샤프트(3b)의 내부로부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외부로 케이블을 인도하면 좋다. 즉, 회전축(20) 상에 배선용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회전에 기인하는 케이블의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에 대한 상대적인 거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케이블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케이블용의 구멍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회전축(20) 상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으며, 다른 수단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샤프트(3a) 또는 샤프트(3b)의 위치에 중실 구조의 샤프트를 마련하고, 상기 샤프트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를 외팔보 지지하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회전축(20) 상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마련된 면과는 상이한 면에 배선용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복수의 궤도면을 고정자(1)가 관통하며, 상기 고정자(1)를 복수의 궤도면에서 공용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자(1)의 설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서는 고정자의 반송로측의 양 단부면의 중심점이 형성하는 분기용 반송로의 궤도가 반송로 회전 전환부의 회전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면 대칭인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인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A)의 회전축(20)과, 회전축(20)을 포함하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A)의 양면에 형성되는 반송면에 평행한 가상면(3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A)에서는, 기대(200aA)를 관통하는 고정자(1A)의 양 단부면의 중심점이 형성하는 분기용 반송로의 궤도(10a)와, 궤도(10a)의 면을 표면으로 했을 때의 이면에 마련되는 궤도(10b)는 가상면(30)을 기준으로 하여 면대칭의 관계에 있다. 또한, 기대(200aA)의 제 1 반송로(101A)에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레일(2a)을 대신하여 레일(2aA)이 배설되고, 기대(200aA)의 제 2 반송로(102A)에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의 레일(2b)을 대신하여 레일(2bA)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 2 반송로(102A)는 제 1 반송로(101A)가 배치되는 면을 표면으로 했을 때의 이면에 배치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쪽의 면을 표면으로 하면 다른쪽의 면이 이면이 될 때, 이들 면의 법선 벡터가 이루는 각은 180도가 된다.
궤도(10a)와 궤도(10b)가 회전축(20)을 지나는 가상면(30)을 기준으로 하여 면대칭이기 때문에, 고정자(1A)는 기대(200aA)를 최단으로 관통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정자는 반송면에 저면이 접하는 기둥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면 좋지만, 고정자(1A)는 반송면에 대해서 기둥형상 뿐만 아니라 절두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자(1A)를 기둥형상 또는 절두체로 하면, 고정자(1A)의 각각을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공정 수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자(1A)가 코일인 경우에, 기둥형상 또는 절두체로 하면, 반송면에 평행하게 코일을 감는 것이 용이하며, 권선 설계 및 권선 작업이 용이하다.
실시형태 2에 의하면, 고정자의 제작 공정을 삭감 가능하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서는 궤도의 곡률이 연속되게 되는 형상을 갖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실시형태 1,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 2의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반송로 전환 장치가 되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B)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100B)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반송 장치(100B)에서는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B)와,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B)에 인접하는 분기전 반송로(400)와, 분기전 반송로(400)의 반대측에 있으며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B)에 인접하는 제 1 분기후 반송로(500a)와, 반송 대차(6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 2 분기후 반송로(500b)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반송로 회전 전환부(200B)는 분기전 반송로(400) 및 제 1 분기후 반송로(500a)의 쌍방에 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반송 대차(600)는 레일(2)로부터 접속용 레일(8) 및 레일(2aB)을 거쳐서, 레일(2c)로 주행한다. 반송 대차(600)의 궤도(10aB)의 형상은 레일(2)로부터 접속용 레일(8), 레일(2aB) 및 레일(2c)로 곡률이 연속되게 되는 형상이다.
여기에서, 레일(2aB)에 작용하는 원심력(F)을 산출한다. 레일(2aB)의 곡률(ρ)과, 반송 대차(600)의 속도(V)와, 반송 대차(600)의 질량 M을 이용하면, F=M×ρ×V2이다. 따라서, 원심력(F)은 곡률(ρ)에 대해서 선형(linear)이기 때문에, 곡률(ρ)이 불연속하면 원심력(F)도 불연속하게 되어, 반송 대차(600)에 충격이 생긴다. 그 결과, 반송 대차(600) 또는 반송 대차(600)의 반송물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10aB)를 레일(2)로부터 접속용 레일(8) 및 레일(2aB)을 거쳐서, 레일(2c)까지 곡률이 연속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반송 대차(600)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에 의하면, 반송 대차(600)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어서, 반송 대차(600) 및 반송 대차(600)의 반송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 2와 조합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 장치를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 전환 장치로서 적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승강로에 카와 균형추를 배치하고 이들을 주삭(hoistway)으로 결합하고, 이것을 기계실에 설치된 권상 전동기로 구동하여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면, 승강로에 배설된 리니어 모터의 1차 코일과, 카에 설치되며, 리니어 모터의 2차측을 구성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thrust)에 의해 카를 구동하는 주삭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1개의 승강로 뿐만 아니라, 다른 승강로로 이동할 수 있는 종횡 이동의 엘리베이터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종횡 이동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로를 전환하고 있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에 배설된 리니어 모터의 1차 코일과, 카에 마련한 리니어 모터의 2차측을 구성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카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실시형태 1 내지 3에 나타낸 반송로 전환 장치를 반송로 전환에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이다. 도 8에 있어서,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반송 대차(600)에 회전 조인트(700)를 거쳐서 카(800)가 배설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분기전 승강로(810)로부터 승강로 전환 장치(200C)로 진입한 반송 대차(600)는 승강로 전환 장치(200C)에 있어서, 레일(2a)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자(1)에 의해 구동된다. 고정자(1)의 각각의 레일(2a)측 단부면의 중심이 형성하는 궤도 형상은 레일(2a) 상의 반송 대차(600)가 구동 가능해지도록 레일(2a)과 일치시키고 있다. 그 결과, 반송 대차(600)는 제 1 분기후 승강로(820a)로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실시형태 1의 도 5와 마찬가지로, 반송로의 회전 전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반송 대차(600)를 제 2 분기후 승강로(820b)로 진입시킬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4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종래의 종횡 이동 엘리베이터에서는 다른 승강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카를 일단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형태 4에 따른 승강로 전환 장치(200C)의 경우, 다른 승강로로 이동할 때에 카를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종래의 종횡 이동 엘리베이터에 본원의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점수, 구체적으로는 고정자의 설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대차(600)가 분기용 승강로가 되는 제 1 반송로(101) 및 제 2 반송로(102)를 통과할 때에, 승객이나 화물이 적재되는 카의 지면에 대한 자세가 일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800)를 회전 조인트(700)를 거쳐서 배설하고, 카(80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일정하게 한다. 또한, 회전 조인트(700)의 접촉 부분과의 마찰 등에 의해, 카(800)의 지면에 대한 자세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는, 회전 액추에이터와 그 제어 장치를 부가하는 구성의 채용, 또는 기계적인 로크 기구를 마련하고 카(80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의 기구를 마련하는 것 등으로 대응하면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1A: 고정자
2, 2a, 2aA, 2aB, 2b, 2bA, 2c, 2d: 레일
3a, 3b: 샤프트 4a, 4b: 베어링
5: 지지 부재 6: 모터
7: 벨트 8: 접속용 레일
9: 지지 부재 10a, 10aB, 10b: 궤도
20: 회전축 30: 가상면
100, 100B: 반송 장치 101, 101A: 제 1 반송로
102, 102A: 제 2 반송로
200, 200A, 200B: 반송로 회전 전환부 200C: 승강로 전환 장치
200a, 200aA: 기대 300: 구동부
400: 분기전 반송로 500a: 제 1 분기후 반송로
500b: 제 2 분기후 반송로 600: 반송 대차
700: 회전 조인트 800: 카
810: 분기전 승강로 820a: 제 1 분기후 승강로
820b: 제 2 분기후 승강로

Claims (6)

  1. 고정자와 반송 대차의 가동자에 의해 상기 반송 대차를 구동하는 반송 장치에 마련되는 반송로 전환 장치에 있어서,
    기대와,
    상기 반송 대차의 분기용 반송로를 따라서 배설된 고정자와,
    상기 기대에 배설된 제 1 반송로와,
    상기 기대에 배설된 상기 제 1 반송로와는 상이한 제 2 반송로를 구비하며,
    상기 반송 대차가 주행하는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를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쌍방에서 공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로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기대를 상기 제 1 반송로로부터 상기 제 2 반송로까지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로 전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반송로측의 양 단부면의 중심점이 형성하는 분기용 반송로의 궤도가 상기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을 지나는 면을 기준으로 하여 면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로 전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분기전 반송로로부터 상기 분기용 반송로를 거쳐서 인접하는 분기후 반송로에 도달할 때까지의 곡률이 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로 전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에 도움이 되는 샤프트에 배선용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로 전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로 전환 장치를, 승강로에 배설된 리니어 모터의 1차 코일과, 카에 마련한 리니어 모터의 2차측을 구성하는 영구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카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의 반송로 전환에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97037793A 2017-07-26 2018-07-20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2364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4420 2017-07-26
JP2017144420 2017-07-26
PCT/JP2018/027236 WO2019021950A1 (ja) 2017-07-26 2018-07-20 搬送路切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434A true KR20200010434A (ko) 2020-01-30
KR102364538B1 KR102364538B1 (ko) 2022-02-17

Family

ID=6503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793A KR102364538B1 (ko) 2017-07-26 2018-07-20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73541B2 (ko)
JP (1) JP6742522B2 (ko)
KR (1) KR102364538B1 (ko)
DE (1) DE112018003804T5 (ko)
WO (1) WO2019021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1511A1 (de) * 2019-02-06 2020-08-06 Thyssenkrupp Ag Umsetzanordnung für eine Aufzugs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07A (ko) 1972-11-17 1975-09-02
KR19990075002A (ko) * 1998-03-17 1999-10-05 이노마다 시게오 분기궤도를 구비한 반송설비
KR20070082052A (ko) * 2006-02-14 2007-08-20 아시스트 신꼬, 인코포레이티드 방향 전환 장치
KR20130133071A (ko) * 2011-05-16 2013-12-05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유궤도 대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4269A5 (ko) * 1970-06-15 1972-02-04 Linerail
JPS51100511A (ja) * 1975-03-03 1976-09-04 Tsubakimoto Chain Co Fukugokaitenkidosochi
JPS60204250A (ja) * 1984-03-26 1985-10-15 Toshiba Corp 搬送装置
JPH0515463Y2 (ko) * 1987-02-25 1993-04-23
JPS6424668U (ko) 1987-08-04 1989-02-10
JPH01291605A (ja) 1988-05-18 1989-11-24 Shinko Electric Co Ltd リニアモータ式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軌道分岐装置
DE3833904C2 (de) * 1988-10-05 1994-06-23 Magnetbahn Gmbh Weiche für Fahrzeug-Spurführungsanlagen, insbesondere Magnetschwebebahn-Spurführungsanlagen
JPH02159906A (ja) * 1988-12-09 1990-06-20 Sumitomo Electric Ind Ltd 磁気浮上搬送車のレール分岐装置
US6784572B1 (en) 1991-03-17 2004-08-31 Anorad Corporation Path arrangement for a multi-track linear motor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same
JPH0522807A (ja) * 1991-07-10 1993-01-29 Hitachi Ltd 磁気浮上式鉄道の軌道分岐装置
DE4142914C2 (de) * 1991-12-24 1996-10-24 Noell Gmbh Biegeweiche
JP2987020B2 (ja) * 1992-12-25 1999-12-0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ータ装置
DE4343395A1 (de) * 1993-12-18 1995-06-22 Magnetbahn Gmbh Weiche für Fahrwege von spurgeführten Fahrzeugen mit Linearmotorantrieb
JPH08265910A (ja) * 1995-03-23 1996-10-11 Shinko Electric Co Ltd リニア搬送システムの軌道切換装置
US6450103B2 (en) 1996-05-07 2002-09-17 Einar Svensson Monorail system
AT404743B (de) * 1996-12-23 1999-02-25 Vae Ag Kurvenzug einer weiche sowie gleisverbindung unter verwendung eines derartigen kurvenzuges
US7170241B1 (en) * 1998-02-26 2007-01-30 Anorad Corporation Path module for a linear motor, modular linear motor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same
US6739267B2 (en) * 2000-06-30 2004-05-25 Thyssenkrupp Transrapid Gmbh Moveable track connection
JP4096169B2 (ja) * 2002-07-26 2008-06-04 株式会社安川電機 リニアモータ連続搬送装置
DE102007038845A1 (de) * 2007-08-16 2009-03-19 Dorma Gmbh + Co. Kg Anordnung von Statormodulen in einem Linearmotor
US8215591B2 (en) * 2007-10-10 2012-07-10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Guideway switching mechanism
US8020493B2 (en) * 2008-12-29 2011-09-20 Universal City Studios Llc Track-switching device and method
US9032880B2 (en) * 2009-01-23 2015-05-19 Magnemotion, Inc. Transport system powered by short block linear synchronous motors and switching mechanism
DE102011056249A1 (de) 2011-12-09 2013-06-13 Thyssenkrupp Transrapid Gmbh Linear-Synchronmotor
CN105755914B (zh) * 2016-03-24 2018-03-30 西南交通大学 应用于高温超导磁悬浮系统的机械道岔及转向方法
DE102016211997A1 (de) * 2016-07-01 2018-01-04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EP3403966A1 (en) * 2017-05-17 2018-11-21 KONE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arrangement for an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DE102017208454A1 (de) * 2017-05-18 2018-11-22 Krones Ag Magnetweiche für ein Transportsystem
EP3457560A1 (de) * 2017-09-14 2019-03-20 B&R Industrial Automation GmbH Langstatorlinearm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1707A (ko) 1972-11-17 1975-09-02
KR19990075002A (ko) * 1998-03-17 1999-10-05 이노마다 시게오 분기궤도를 구비한 반송설비
KR20070082052A (ko) * 2006-02-14 2007-08-20 아시스트 신꼬, 인코포레이티드 방향 전환 장치
KR20130133071A (ko) * 2011-05-16 2013-12-05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유궤도 대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2522B2 (ja) 2020-08-19
US11773541B2 (en) 2023-10-03
KR102364538B1 (ko) 2022-02-17
WO2019021950A1 (ja) 2019-01-31
US20200173115A1 (en) 2020-06-04
DE112018003804T5 (de) 2020-05-20
JPWO2019021950A1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7049B2 (ja) 磁気浮上車両を備えた搬送装置のオペレーション装置
CN109756094B (zh) 长定子线性电机
KR101049222B1 (ko) 수직형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자기부상 반송장치
JP4531067B2 (ja) 磁気浮上装置
KR101049221B1 (ko)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이용한 자기부상 반송장치
KR101101917B1 (ko) 자기부상 반송 장치
KR101197257B1 (ko) 정지 성능이 향상된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JP7452952B2 (ja) 移行位置における運搬ユニットを移行するための方法と長固定子リニアモータ
KR102575953B1 (ko) 자기 부상 이송 장치
JP2020025436A5 (ko)
KR101208660B1 (ko) 곡선 주행 성능이 향상된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KR102364538B1 (ko) 반송로 전환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2017532936A (ja) 輸送システム用の浮上制御システム
WO2018139098A1 (ja) 物品移載装置
KR101182354B1 (ko) 스프링을 갖는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JP7397397B2 (ja) 昇降搬送装置
KR101203163B1 (ko) 가이드 구조를 갖는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KR101544382B1 (ko) 전류각 제어를 위한 인버터를 갖는 자기부상 시스템
KR101853092B1 (ko) 보조 모터를 갖는 자기부상 열차용 분기기의 이송장치
KR102439631B1 (ko) 자기 부상 이송 장치
JPH0624559A (ja) 搬送装置
KR20170128981A (ko) 보조 모터를 갖는 트레버스 방식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JPS6369402A (ja) 搬送装置
JPS62100319A (ja) 磁気浮上式搬送装置
JPS62100320A (ja) 磁気浮上式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