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300A -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300A
KR20200010300A KR1020197035859A KR20197035859A KR20200010300A KR 20200010300 A KR20200010300 A KR 20200010300A KR 1020197035859 A KR1020197035859 A KR 1020197035859A KR 20197035859 A KR20197035859 A KR 20197035859A KR 20200010300 A KR20200010300 A KR 2020001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igniter
container
gas gener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651B1 (ko
Inventor
고지 야마모토
미키오 야부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20001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점화기와, 용기 본체 및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하여 형성된 덮개부를 갖고, 전화약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와, 점화기와 수용 용기를 수용함과 함께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스 발생기로서, 덮개부는,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취약부와, 해당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도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강 접속부를 갖고,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전화약이 연소하면, 취약부가 개열하고 또한 강 접속부를 통해서 용기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하우징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점화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균등한 가스 발생제의 연소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본 발명은,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실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당해 충전된 가스 발생제가 원하는 바와 같이 연소하지 않으면, 연소 가스를 설계대로 발생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일반적으로는, 가스 발생제를 불균일 없이 연소시켜서 설계대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점화기를 중심으로 해서 그 주위에 균등하게 가스 발생제를 배치시킨다. 그러나, 가스 발생기의 구성에 의해 점화기에 대하여 가스 발생제를 그 주위에 균등하게 배치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에서는, 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의 형상이 초승달과 비슷한 환상으로 되어 그 내부에 제1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고, 당해 연소실의 대략 중앙에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점화기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내통 부재에 마련된 전화 구멍의 방향을, 연소실의 주위벽을 따른 방향으로 함으로써, 점화기의 연소에 수반하는 화염의 방향을 규정하고, 가스 발생제의 균등한 연소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축방향으로 연소실을 겹친 구조로 되어 있는 상하식의 가스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식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각 연소실에 대응시킨 2개의 점화기가 사용되지만, 그 2개의 점화기를 가스 발생기의 하우징의 저면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상방의 연소실에 대응하는 점화기와, 당해 상방의 연소실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와의 위치 관계가, 해당 점화기를 중심으로 했을 때 균등한 위치 관계로는 되기 어렵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22571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1-35410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7-131254호 공보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실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경우, 가스 발생제의 불균일 없는 연소를 위해서는, 점화기를 중심으로 해서 그 주위에 가스 발생제를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스 발생기의 구조에 따라서는, 그와 같이 점화기를 가스 발생제에 대하여 그의 균등한 연소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발생기의 형상이나 치수의 제한으로부터, 점화기의 배치가 가스 발생제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로 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스 발생기에서 채용된 구성은, 내통 부재에 마련된 전화 구멍의 방향을 연소실의 주위벽을 따른 방향으로 맞추는 구성이며, 점화기의 배치가 가스 발생제의 균등한 연소에 적합한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에, 가스 발생제의 균등 연소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아직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점화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균등한 가스 발생제의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스 발생기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기에 대하여, 전화약을 수용한 수용 용기를 위치 결정함과 함께,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수용 용기의 덮개부가 개열하고, 거기에서 발생한 연소 생성물이 그 덮개부에 의해 적합한 가스 발생제의 연소가 행해질 수 있는 소정의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그 수용 용기를 형성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스 발생기의 구조에 상관없이 가스 발생제의 연소의 적합한 개시 부위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점화기와, 용기 본체 및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하여 형성된 덮개부를 갖고, 전화약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해당 수용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해당 전화약이 연소하도록, 해당 점화기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수용 용기와, 상기 점화기와 상기 수용 용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수용 용기의 상기 덮개부에 인접하는 해당 하우징 내의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된 상기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에 의해 연소되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스 발생기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취약부와, 해당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도 상기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강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화약이 연소하면, 상기 취약부가 개열하고 또한 상기 강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하우징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됨과 함께, 점화기와 수용 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점화기가 작동하면 수용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화약이 연소되도록, 하우징 내에서의 점화기와 수용 용기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이때, 수용 용기의 덮개부는, 하우징의 소정 영역 내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와 인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용 용기에서의 전화약이 연소하면, 그 연소 생성물이 수용 용기의 덮개부를 부수고 거기에서 방출되어 가스 발생제와 접촉함으로써, 가스 발생제가 연소한다. 그리고, 그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연소 가스가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 발생기에서는, 점화기의 작동을 기점으로 하여, 수용 용기 내의 전화약 연소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가 연소되게 된다. 여기서, 전화약으로서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제와는 분리해서 수용되어 있는 별도의 가스 발생제여도 되고, 다른 방법으로서, 종래의 흑색 화약 등의 화약이어도 된다.
여기서, 수용 용기의 덮개부에는 취약부와 강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다. 취약부는, 전화약이 연소함으로써 수용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 그 압력에 의해 우선적으로 개열할 수 있는 부위이며, 예를 들어 그 두께를 덮개부의 다른 부위보다 얇게 홈 형상으로 형성한 부위로 한다. 반면에, 강 접속부는 그 연소 시의 압력에 노출되어도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가 유지될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는 부위이다. 따라서, 덮개부가 이러한 취약부와 강 접속부를 가짐으로써, 전화약이 연소했을 때는, 취약부의 개열에 의해 덮개부가 변형됨과 함께 강 접속부에 의해 덮개부는 용기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하우징 내에 비산하지는 않는다. 그 때문에,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이 수용 용기로부터 방출될 때, 용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가 된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연소 생성물의 방출에 대한 저항 부재, 혹은 가이드 부재가 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가 된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수용 용기로부터 유출해 가는 연소 생성물의 흐름을 규정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래서,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전화약이 연소하면, 상기 용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가 된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당해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는, 하우징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를 균등하게 연소시키기 위한, 당해 가스 발생제의 연소의 기점이 되는 부위이며, 하우징에서의 가스 발생제의 충전 형태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하우징에서의 점화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을,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적합한 부위를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약의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해당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방출 개구는 커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상기 전화약의 연소 과정에 있어서의 소정의 연소 시기에, 해당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은,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로 유도된다. 소정의 연소 시기는, 전화약의 연소 과정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의 연소 개시를 결정짓는 정도로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양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이와 같이 전화약의 소정의 연소 시기에, 그 연소 생성물이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로 유도됨으로써, 가스 발생제의 균등 연소를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연소를 개시시킬 수 있다.
상술까지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된 상기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의 상기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와는 다른 부위로서, 해당 덮개부의 이측에 위치하는 추가 연소 부위에 도달하도록 마련된 관통 구멍을 더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을 통해서,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일부를, 덮개부의 이측의, 추가 연소 부위에 위치하는 가스 발생제에도 보냄으로써, 연소 개시 부위로부터 가스 발생제의 연소가 개시될 때 덮개부의 이측에 있음으로써 그의 연소가 저해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가스 발생제의 일부를, 적합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 내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를 적합하게 연소시켜서, 연소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가 연소 부위로 보내지는 연소 생성물의 양을, 연소 개시 부위에 직접 보내지는 연소 생성물의 양보다 적게 함으로써, 추가 연소 부위에 있는 가스 발생제가, 연소 개시 부위에 있는 가스 발생제에 대하여 보조적으로 착화되게 된다.
상술까지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점화기를 둘러싸고 그의 내부에 해당 점화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해당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측으로 개구된 격벽 부재를 갖고,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격벽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해당 수용 용기의 저부측을 상기 점화기에 인접시키고, 또한 해당 수용 용기의 주위 벽부를 해당 격벽 부재의 내벽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덮개부가 해당 격벽 부재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제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수용 용기의 주위 벽부를 격벽 부재의 내벽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수용 용기의 저부측이 점화기에 인접하도록 점화기와 수용 용기가 위치 결정됨으로써,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수용 용기 내의 전화약을 적합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상에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을, 격벽 부재의 개구를 통과시켜 상기한 바와 같이 변형된 덮개부에 의해 하우징 내의 가스 발생제측으로 유도함으로써, 점화기의 작동을 기점으로 하여, 가스 발생제를, 그의 균등한 연소에 적합한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로부터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발생제는, 상기 상부 공간 내로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배치된 상기 점화기의 상측의 공간에 충전되고,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상기 점화기와는 다른 별도의 점화기가 배치됨과 함께, 해당 별도의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되는, 상기 가스 발생제와는 다른 별도의 가스 발생제가 해당 하부 공간 내에 충전된다. 즉, 당해 가스 발생기는, 그의 높이 방향으로 연소실이 되는 공간(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겹쳐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발생기의 표면적을 억제하면서 그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하우징의 저면측에 2개의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지만, 각각의 점화기에 대응하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공간(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은, 가스 발생기의 높이 방향으로 겹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공간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에 대하여, 거기에 대응하는 점화기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구성을 갖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도, 본원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그 가스 발생제를 보다 적합하게 불균일 없이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원 발명을 수용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용기 본체 및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하여 형성된 덮개부를 갖고, 전화약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해당 수용된 전화약은, 해당 수용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되는 수용 용기로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취약부와, 해당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도 상기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강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화약이 연소하면, 상기 취약부가 개열하고 또한 상기 강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해당 전화약과는 다른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용 용기를 가스 발생기에 적용함으로써,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점화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거기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의 균등한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점화기의 배치에 상관없이, 균등한 가스 발생제의 연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에 내장되는 하부 셸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에 내장되는 수용 용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수용 용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점화기가 작동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점화기가 작동했을 때의 수용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용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용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용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제3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제3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스 발생기, 및 거기에 내장되는 수용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가스 발생기(1)의 높이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가스 발생기(1)에 포함되는 하부 셸(3)의 상면도이다. 또한, 양 도면 중 Z0은, 가스 발생기(1)의 높이 방향(축방향)의 중심축을 나타내고 있다. 가스 발생기(1)는, 상부 셸(2) 및 하부 셸(3)로 형성되는 하우징(4)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셸(2)은 주위 벽부(2c)와 정상면부(2d)를 갖고, 이들에 의해 오목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정상면부(2d)는, 후술하는 하부 셸(3)의 저면부(3b)와 함께,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을 갖고 있고, 주위 벽부(2c) 및 후술하는 하부 셸(3)의 주위 벽부(3a)는, 각각 정상면부(2d), 저면부(3b)의 주위를 둘러싸고, 각 면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환상의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 셸(2)의 내부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제(22)가 충전되는 공간이다. 주위 벽부(2c)의 일단부측에 정상면부(2d)가 접속하고, 그 타단부측은 상부 셸(2)의 개구부가 된다. 그리고, 주위 벽부(2c)의 당해 타단부측에는, 당해 개구부로부터 순서대로, 감합 벽부(2a), 맞닿음부(2b)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 벽부(2a)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은, 정상면부(2d)에 가까운 주위 벽부(2c)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감합 벽부(2a)는, 맞닿음부(2b)를 통해서 주위 벽부(2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셸(3)은 주위 벽부(3a)와 저면부(3b)를 갖고, 이들에 의해 오목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당해 내부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제(26)가 충전되는 공간이다. 주위 벽부(3a)의 일단부측에 저면부(3b)가 접속하고, 그 타단부측은 하부 셸(3)의 개구부가 된다. 그리고, 주위 벽부(3a)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은, 상부 셸(2)의 주위 벽부(2c)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셸(3)의 저면부(3b)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점화기(23)와 제2 점화기(27)가 각각 고정되는 감합 구멍(3c) 및 감합 구멍(3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 내에는, 상부 셸(2)과 하부 셸(3) 사이에 격벽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격벽 부재(10)는, 종단부(15)와, 그 종단부(15)로부터 하부 셸(3)의 주위 벽부(3a)를 따라 연장되는 감합 벽부(14)와, 감합 벽부(14)에 연결되어 하우징(4) 내를 대략 상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분할 벽부(13)와, 분할 벽부(13)에 연결되어 하부 셸(3)의 저면부(3b)까지 연장되는 주위 벽부(12)와, 주위 벽부(12)에 연결되어 제1 점화기(23)가 설치되는 설치 테두리부(11)를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부(15)가 하부 셸(3)의 주위 벽부(3a)의 종단부면 상에 놓여서 격벽 부재(10)가 하우징(4)에 설치되었을 때, 분할 벽부(13)는, 상부 셸(2)의 정상면부(2d)나 하부 셸(3)의 저면부(3b)에 대략 평행이 되는 벽면을 형성하고, 주위 벽부(12)는, 그 분할 벽부(13)의 벽면으로부터 하부 셸(3)측으로 오목해진 공간을 형성하도록 분할 벽부(1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위 벽부(12)에는 관통 구멍(10a)이 마련되어 있고, 관통 구멍(10a)은, 격벽 부재(10)에 의해 분할되어 형성되는 2개의 공간(후술하는 제1 공간(21)과 제2 공간(25))을 연통한다. 또한, 이 오목해진 공간은, 그 상방의 공간측으로 개구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점화기(23)가 수용되는데, 당해 오목해진 공간을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이라고 칭한다. 또한, 설치 테두리부(11)는, 하부 셸(3)의 감합 구멍(3c)에 감입된 제1 점화기(23)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격벽 부재(10)가 하부 셸(3)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설치 테두리부(11)가 저면부(3b)의 감합 구멍(3c) 가까운 곳의 저면 상에 접촉하고, 또한 격벽 부재(10)의 감합 벽부(14)는, 하부 셸(3)의 주위 벽부(3a)에 갑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부 셸(3) 상에 격벽 부재(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상부 셸(2)이 더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셸(2)의 감합 벽부(2a)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은, 주위 벽부(2c)에 의한 내부 공간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셸(2)은, 그 맞닿음부(2b)가 격벽 부재(10)의 종단부(15)에 맞닿기까지, 하부 셸(3)에 대하여 감입된다. 상부 셸(2)의 맞닿음부(2b)가 종단부(15)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감합 벽부(14)는 하부 셸(3)의 주위 벽부(3a)에 갑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하우징(4)에 있어서, 상부 셸(2), 하부 셸(3)의 접촉 부위는, 내부에 충전되는 가스 발생제의 방습 등을 위해서 적합한 접합 방법(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4)에 있어서는, 격벽 부재(10)에 의해 그 내부 공간이 대략 상하로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게 된다. 하우징(4)의 내부 공간 중 상부 셸(2)과 격벽 부재(10)에 의해 획정되는 제1 공간(21)(상부 공간)에는, 제1 점화기(23), 수용 용기(40), 가스 발생제(22)가 배치되고, 하부 셸(3)과 격벽 부재(10)에 의해 획정되는 제2 공간(25)(하부 공간)에는, 제2 점화기(27), 가스 발생제(26)가 배치됨으로써, 가스 발생기(1)는 2개의 제1 점화기(23), 제2 점화기(27)를 구비하는 듀얼 타입의 가스 발생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점화기(23)와 제2 점화기(27)는 모두 하부 셸(3)의 저면부(3b)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제1 점화기(23)는, 제1 점화기(23)의 측방이 격벽 부재(10)의 주위 벽부(12)에 둘러싸이고, 또한 그 정상부가 주위 벽부(12)에 연결되는 분할 벽부(13)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공간(21)에서는,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에는 제1 점화기(23)가 수용되기 때문에, 그 상방의 공간(대략, 분할 벽부(13)보다 상방의 공간)에 가스 발생제(22)가 충전되게 되지만, 그 가스 발생제(22)를 둘러싸도록 환상의 필터(32)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가스 발생제(22)는, 제1 공간(21) 내에서 불필요하게 진동하지 않도록 쿠션(31)의 가압력에 의해 필터(32), 분할 벽부(13) 등에 꽉 눌린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22)는, 비교적 연소 온도가 낮은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고 있다. 가스 발생제(22)의 연소 온도는, 1000 내지 17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질산구아니딘(41중량%), 염기성 질산구리(49중량%) 및 결합제나 첨가물을 포함하는, 단공 원기둥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32)는, 스테인리스강제 평편의 금속망을 반경 방향으로 겹쳐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압축해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발생제(22)에 의한 연소 가스를 냉각하고, 그 연소 잔사를 포집한다. 필터(32)로서, 그 외에 철사를 회전축에 다층으로 감아서 형성된 권선 타입의 구조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32)는, 제2 공간(25)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26)의 연소 잔사도 포집한다. 또한, 상부 셸(2)의 주위 벽부(2c)와 필터(32) 사이에 형성된 간극(33)으로부터, 필터(32) 주위로 반경 방향 단면에 환상의 가스 통로가 형성된다. 이 간극(33)에 의해, 연소 가스는 필터(32)의 전체 영역을 통과하고, 필터(32)의 유효 이용과 연소 가스의 효과적인 냉각·정화가 달성된다. 간극(33)을 흐르는 연소 가스는, 주위 벽부(2c)에 마련된 가스 배출구(5)에 이른다. 또한, 하우징(4) 내에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가스 발생기(1)의 작동 전에는, 알루미늄 테이프(34)에 의해 가스 배출구(5)가 하우징(4)의 내부로부터 막혀 있다.
이어서, 제2 공간(25)에서는, 하부 셸(3)의 감합 구멍(3d)에 고정된 제2 점화기(27)에 대응하여, 가스 발생제(26)가 충전되어 있다. 이때 가스 발생제(26)도, 제2 공간(25) 내에서 불필요하게 진동하지 않도록 도시하지 않은 완충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또한, 가스 발생제(26)에도, 가스 발생제(22)와 마찬가지로, 질산구아니딘(41중량%), 염기성 질산구리(49중량%) 및 결합제나 첨가물을 포함하는, 단공 원기둥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스 발생기(1)에서는 제1 점화기(23)의 작동에 의한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와, 제2 점화기(27)의 작동에 의한 가스 발생제(26)의 연소에 의해, 비교적 다량의 연소 가스를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22)는 환상의 필터(32)의 중앙 부분의 공간에 배치되고, 그 충전된 가스 발생제(22)의 군의 중심은, 가스 발생기(1)의 중심축 Z0에 대략 일치하고 있지만, 하부 셸(3)의 저면부(3b)에 제1 점화기(23)와 제2 점화기(2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점화기(23)의 높이 방향의 중심축은, 가스 발생기(1)의 중심축 Z0으로부터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가스 발생기(1)의 제1 공간(21)에서는, 충전된 가스 발생제(22)에 대한 제1 점화기(23)의 상대 위치가, 가스 발생제(22)의 군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친 위치가 된다. 그 결과, 제1 점화기(23)의 작동에 의해 중심축 Z0을 따른 방향으로 방출되는 연소 생성물은, 그대로로는 충전된 가스 발생제(22)의 군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향해서 방출되게 되어,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가스 발생기(1)의 출력 특성이 상정된 그대로의 것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가스 발생기(1)에 있어서는, 제1 공간(21)에 있어서,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제1 점화기(23)와, 충전된 가스 발생제(22) 사이에, 소정의 전화약을 수용한 수용 용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 용기(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전화약(44)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이다. 도 3의 상단 (a)는 수용 용기(40)의 단면을 나타내고, 하단 (b)는 수용 용기(40)의 상면도이다. 전화약(44)으로서는, 착화성이 좋고, 가스 발생제(22, 26)보다 연소 온도가 높은 가스 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전화약(44)의 연소 온도는, 17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화약(44)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트로구아니딘(34중량%), 질산스트론튬(56중량%)을 포함하는, 디스크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 용기(40)는, 원 형상의 덮개부(41) 및 주위 벽부(42)를 갖고, 그 외관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지만, 그의 저면부(43)는,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에서의 배치 상태에 있어서 접촉하는 제1 점화기(23)의 외형을 모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점화기(23)가 작동하면, 그에 의해 수용 용기(40)의 저면부(43)가 파괴되고, 그 안의 전화약(44)이 연소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에서의 배치 상태에 있어서, 수용 용기(40)의 덮개부(41)는, 분할 벽부(13)의 벽면과 동일 정도의 높이가 되고, 상방에 위치하는 가스 발생제(22)와 인접해 있다. 또한, 주위 벽부(42)는 격벽 부재(10)의 주위 벽부(12)에 의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 내벽면에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용 용기(40)는, 제1 점화기(23)의 작동 전에는, 덮개부(41)가 주위 벽부(42)에 대하여 고착되어, 수용 용기(40) 내를 밀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전화약(44)을 외부의 습기로부터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덮개부(41)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1)의 다른 부위보다 박육으로 형성된 노치(45)가 마련되어 있다. 노치(45)는, 덮개부(41)의 주연부(덮개부(41)가 주위 벽부(42)와 접속되는 부위) 근처에, 중심각이 대략 300도 정도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치(45)가 연장되지 않은 덮개부(41)의 주연부 가까운 곳의 부위(46)는, 노치(45)가 형성된 부위와 비교하여, 덮개부(41)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강도가 높아진다. 그래서, 당해 부위(46)는 본원 발명의 강 접속부에 상당하고, 노치(45)는 본원 발명의 취약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덮개부(41)에 노치(45)와 부위(46)에 따라 강도가 다른 부위가 마련됨으로써, 수용 용기(40) 내의 전화약(44)이 연소하고 그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1)는, 노치(45)가 형성된 부위가 개열하면서도, 노치(45)에 대략 둘러싸인 덮개부(41)의 일부인 덮개부 요소(47)는, 수용 용기(40)의 본체측(주위 벽부(42)측)과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 요소(47)가 수용 용기(40)의 본체측에 접속된 채 수용 용기(40)가 개구된 상태를, 「편개방 상태」라고 칭한다.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되면, 수용 용기(40) 내에서 전화약(44)에 의해 발생한 연소 생성물은,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덮개부 요소(47)가 크게 개구되어 있는 측으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수용 용기(40) 내의 압력에 따라,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전화약(44)의 연소 전에 있어서의 덮개부(41)의 위치에 대한, 편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우, 그 기울기에 따라서 수용 용기(40)로부터의 연소 생성물의 방출 방향도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용 용기(4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간(21)에 있어서 제1 점화기(23) 상에 배치된다. 이때의 수용 용기(40)와, 상부 셸(2) 내의 제1 공간(21)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는 제1 공간(21)을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덮개부(41)의 부위(46)가, 가스 발생기(1)의 중심축 Z0과는 반대측 혹은 가장 멀리 있는 측(도 5 중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1 점화기(23) 상에서 수용 용기(40)는 위치 결정된다. 또한, 수용 용기(40)는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이기 때문에, 배치 후에 제1 점화기(23) 상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점화기(23)와의 사이에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 부위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격벽 부재(10)의 주위 벽부(12)의 단면을 타원 형상으로 하고, 수용 용기(40)의 단면 형상도 그에 대응한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배치 후의 수용 용기(40)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점화기(23)에 대하여 수용 용기(40)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제1 점화기(23)가 작동하면, 수용 용기(40)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덮개부(41)의 노치(45)가 개열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1)의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되고, 이때 덮개부 요소(47)는, 제1 공간(21)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22)의 군의 대략 중앙의 부위 R1(부위 R1은, 대략 가스 발생기(1)의 중심축 Z0 상의 영역이며, 본원 발명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에 상당한다)을 향해서 크게 개구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전화약(44)에 의한 연소 생성물은, 그 편개방 상태가 된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가스 발생제(22)를 향해서 방출되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22)를 실질적으로 중앙 부위 R1로부터 연소 개시시킬 수 있고, 이로써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의 불균일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점화기(23)의 작동 전은 수용 용기(40)의 덮개부 요소(47)는 개구되어 있지 않고, 그 내부 압력의 상승에 수반해서 그 개구 면적이 증가해 간다. 특히, 전화약(44)의 연소 초기에는, 가스 발생제(22)의 연소는 진행되고 있지 않고 제1 공간(21)에 남아있는 가스 발생제(22)의 양은 많기 때문에, 덮개부 요소(47)도 개구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덮개부 요소(47)가 개구된 직후의 상태(도 6에 있어서, 참조 번호가 47a로 참조되어 있는 덮개부 요소의 상태)에서는,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는, 비교적 작고, 그 개구 방향도 부위 R1을 지향한 방향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용 용기(40)로부터 방출되는 연소 생성물의 양도 비교적 적기 때문에, 한데 모은 양의 가스 발생제(22)의 연소 개시를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전화약(44)의 연소가 진행됨으로써 덮개부 요소(47)가 더 밀려 올라감으로써, 도 6에 있어서 참조 번호가 47b로 참조되어 있는 상태로 덮개부 요소(47)가 도달하면, 한데 모은 양의 가스 발생제(22)의 연소 개시를 결정짓기에 충분한 양의 연소 생성물이, 그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부위 R1을 향해서 방출되어, 가스 발생제(22)의 적합한 연소 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약(44)에 의한 연소 생성물의 양이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에 적합한 양으로 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편개방 상태가 된 덮개부 요소(47)가 부위 R1을 지향하도록, 수용 용기(40)의 덮개부(41)에 있어서의 노치(45)나 부위(46)의 위치, 크기, 형상 등이 설계된다.
또한, 전화약(44)의 연소가 더 진행되면,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는 더 커져서, 덮개부 요소(47)가 도 6에 있어서 참조 번호가 47c로 참조되어 있는 상태에 이른다. 그러나, 이때는 이미 가스 발생제(22)의 연소도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무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에 관한 가스 발생기(1)에서는, 제1 점화기(23)가 작동하면, 우선은 수용 용기(40) 내의 전화약(44)이 연소된다. 그 연소로 발생한 연소 생성물에 의해 수용 용기(40)의 덮개부(41)의 일부인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되고, 그 덮개부 요소(47)에 의해 연소 생성물을, 제1 공간(21)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22)의 부위 R1로 적합하게 방출할 수 있어, 가스 발생제(22)의 균등한 연소를 실현할 수 있다. 가스 발생제(22)의 연소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가스 배출구(5)로부터 하우징(4)의 외부로 방출된다. 추가로, 제1 점화기(23)의 작동 후에 있어서, 제2 점화기(27)가 작동하면, 제2 공간(25)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제(26)가 연소된다. 그 연소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관통 구멍(10a)을 지나서 수용 용기(40)의 주위 벽부(42)를 개열시키고 제1 공간(21)으로 흘러들어가, 추가로 가스 배출구(5)로부터 하우징(4)의 외부로 방출된다. 가스 발생기(1)의 출력 특성에 따라서, 제1 점화기(23)와 제2 점화기(27)의 작동 타이밍은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변형예 1>
가스 발생기(1)에 적용 가능한 수용 용기(40)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그 좌측에 제1 점화기(23)의 작동 전에 있어서의 수용 용기(40)가 도시되고, 그 우측에는 제1 점화기(23)가 작동한 후의 수용 용기(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수용 용기(40)는, 덮개부(41)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의 수용 용기(40)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41)에 단차(48)가 마련되어 있고, 그 상측이 상측 덮개부(41a)가 되고, 그 하측이 하측 덮개부(41b)가 된다. 그리고, 노치(45)는, 그 하측 덮개부(41b) 측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노치(45)의 양 끝이 단차(48) 근처까지 연장됨으로써, 노치(45)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 고강도로 형성된 부위(46)는, 단차(48)에 가까운 곳의 부위가 되고, 본원 발명의 강 접속부에 상당한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용 용기(40)의 저면부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제1 점화기(23)의 형상을 모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용 용기(40)에서는, 제1 점화기(23)가 작동하면, 수용 용기(40) 내의 전화약이 연소되고, 하측 덮개부(41b)의 일부인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그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을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의 덮개부 요소(47)는 어느 정도 기울어지면, 덮개부 요소(47)가 단차(48)와 접촉하여, 그 기울기가 구조적으로 제한된 상태에 이른다(도 7의 우측에 도시한 상태). 이때의 편개방 상태의 덮개부 요소(47)에 의해 연소 생성물이 지향되는 방향이, 도 6에 도시하는 부위 R1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면, 연소 생성물을 보다 적합하게 부위 R1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더 효과적으로 가스 발생제(22)를 균등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덮개부 요소(47) 상에, 편개방 상태로 단차(48)에 접촉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당해 돌기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덮개부 요소(47)가 단차(48)에 접촉했을 때의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스 발생제(22)의 연소에 적합한 부위 R1에,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이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수용 용기(40)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변형예 2>
가스 발생기(1)에 적용 가능한 수용 용기(40)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그 좌측에 제1 점화기(23)의 작동 전에 있어서의 수용 용기(40)가 도시되고, 그 우측에는 제1 점화기(23)가 작동한 후의 수용 용기(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수용 용기(40)는, 덮개부(41)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의 수용 용기(40)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41)의 덮개부 요소(47)가 되는 부위에 덮개부(41)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덮개부(41)의 일부를 볼록형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리브(47d)가 마련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노치(45)도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고, 리브(47d)는 노치(45)의 양 끝의 대략 중간점으로부터 노치(45)의 중앙 부분을 향해서 연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47d)의 연장 방향을 따른 축 X0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8의 좌측의 하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 요소(47)는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되고, 리브(47d)의 한쪽 단부는, 노치(45)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 고강도로 형성된 부위(46)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용 용기(40)의 저면부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제1 점화기(23)의 형상을 모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용 용기(40)에서는, 제1 점화기(23)가 작동하면, 수용 용기(40) 내의 전화약이 연소되고, 덮개부(41)의 일부인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그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을 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의 경우, 덮개부 요소(47) 상에 축 X0을 따라 리브(47d)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 요소(47)의 강성이 높아져서 편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의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를 안정적으로 비교적 작게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러한 덮개부 요소(47)의 기울기로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을, 가스 발생제(22)에 있어서의 부위 R1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본 변형예에 의한 수용 용기(40)는, 매우 유용한 형태라 생각된다.
<변형예 3>
가스 발생기(1)에 적용 가능한 수용 용기(40)의 제3 변형예에 대해서,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수용 용기(40)는, 제1 점화기(23)의 작동에 의해 그 내부의 전화약이 연소함으로써, 도 9의 상단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 요소(47)가 양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의 방출의 방향을 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덮개부 요소(47)는, 한쪽 덮개부 요소인 제1 덮개부 요소(47e)와 다른 쪽 덮개부 요소인 제2 덮개부 요소(47f)가 되어, 양쪽 덮개부 요소에 의한 양개방 상태가 형성된다. 즉, 양개방 상태란, 각각의 덮개부 요소가 서로 마주 보도록 편개방 상태로 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덮개부 요소(47)가 양개방 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덮개부 요소(47e, 47f)에 의해 연소 생성물의 흐름이 규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용 용기(40)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이 어느 방향으로 결정되게 된다. 적합하게는, 한쪽의 덮개부 요소(제1 덮개부 요소(47e))를 다른 쪽 덮개부 요소(제2 덮개부 요소(47f))보다 크게 형성하고, 그 크기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수용 용기(40)로부터의 연소 생성물의 방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 요소(47)의 양개방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수용 용기(40)의 덮개부(41)의 형태를, 도 9의 중단 (b), 하단 (c)에 도시한다. 도 9의 (b)의 예에서는, 제1 덮개부 요소(47e)를 획정하는 원호 형상의 노치(45a)와, 제2 덮개부 요소(47f)를 획정하는 원호 형상의 노치(45b)를 덮개부(41) 상에 마련한다. 제1 덮개부 요소(47e)에 대응하는 강 접속부가 46a로 도시되고, 제2 덮개부 요소(47f)에 대응하는 강 접속부가 46b로 도시되어 있다. 노치(45a)와 노치(45b)는, 대략 양자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접하도록, 또한 제1 덮개부 요소(47e)의 면적이 제2 덮개부 요소(47f)의 면적보다 커지도록 덮개부(41) 상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방법의 형태를 도시하는 도 9의 (c)의 예에서는, 제1 덮개부 요소(47e)와 제2 덮개부 요소(47f)를 획정하는, 3개의 노치(45a, 45b, 45c)를 덮개부(41) 상에 마련한다. 이들 3개의 노치에 의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H 형상의 노치(45)가 형성된다. 노치(45b)와 노치(45c) 사이에 있는 영역이 덮개부 요소(47)가 되고, 그 영역이 노치(45a)에 의해, 제1 덮개부 요소(47e)의 면적이 제2 덮개부 요소(47f)의 면적보다 커지도록 제1 덮개부 요소(47e)와 제2 덮개부 요소(47f)가 획정된다. 그리고, 제1 덮개부 요소(47e)에 대응하는 강 접속부가 46a로 도시되고, 제2 덮개부 요소(47f)에 대응하는 강 접속부가 46b로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 4>
가스 발생기(1)에 적용 가능한 수용 용기(40)의 제4 변형예에 대해서,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가스 발생기(1)는, 수용 용기(40)의 덮개부 요소(47)에 관통 구멍(47H)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점화기(23)의 작동으로 수용 용기(40) 내의 전화약(44)이 연소하고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약(44)에 의한 연소 생성물을, 가스 발생제(22)의 부위 R1로 방향을 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덮개부 요소(47)를 따라 흐르는 연소 생성물의 일부는, 관통 구멍(47H)을 통해서 덮개부 요소(47)의 바로 이측에 위치하는 가스 발생제(22)의 일부를 연소시킨다. 덮개부 요소(47)가 편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 덮개부 요소(47)의 바로 이측에 위치하는 가스 발생제는, 부위 R1로부터 개시된 가스 발생제의 연소 진행에 관해 덮개부 요소(47)의 이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그 균등한 연소가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와 같이 전화약(44)에 의한 연소 생성물의 일부를, 관통 구멍(47H)을 통해서 덮개부 요소(47)의 바로 이측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제1 공간(21)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22)를 보다 적합하게 균등하게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덮개부 요소(47)의 바로 이측의 위치가, 본원 발명의 추가 연소 부위에 상당한다.
<실시예 2>
제2 실시예의 가스 발생기(1)에 대해서,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가스 발생기(100)의 높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 중의 Z0은, 가스 발생기(100)의 높이 방향(축방향)의 중심축을 나타내고 있다. 가스 발생기(100)는, 상부 셸(102) 및 하부 셸(103)로 형성되는 하우징(104)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상부 셸(102)에 마련된 가스 배출구(105)부터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셸(102)은 주위 벽부(102c)와 정상면부(102d)를 갖고, 이들에 의해 오목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셸(103)은 주위 벽부(103a)와 저면부(103b)를 갖고, 이들에 의해 오목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정상면부(102d)는, 후술하는 하부 셸(103)의 저면부(103b)와 함께,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을 갖고 있고, 주위 벽부(102c) 및 후술하는 하부 셸(103)의 주위 벽부(103a)는, 각각 정상면부(102d), 저면부(103b)의 주위를 둘러싸고, 각 면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 환상의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주위 벽부(102c)의 일단부측에 정상면부(102d)가 접속하고, 그 타단부측은 상부 셸(102)의 개구부가 된다. 주위 벽부(103a)의 일단부측에 저면부(103b)가 접속하고, 그 타단부측은 하부 셸(103)의 개구부가 된다.
그리고, 하우징(104)의 내부 공간(121)에는, 가스 발생제(122)가 충전됨과 함께, 그 연소를 위한 점화기(123)가 저면부(103b)에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내부 공간(121)에는, 가스 발생제(122)를 둘러싸도록 환상의 필터(132)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132)는, 스테인리스강제 평편의 금속망을 반경 방향으로 겹치고,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압축해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발생제(122)에 의한 연소 가스를 냉각하고, 그 연소 잔사를 포집한다. 이때 가스 발생제(122)는, 내부 공간(121) 내에서 불필요하게 진동하지 않도록 쿠션(131)의 가압력에 의해 필터(132), 저면부(103b) 등으로 꽉 눌린 상태로 충전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122)로서는, 예를 들어 질산구아니딘(41중량%), 염기성 질산구리(49중량%) 및 결합제나 첨가물을 포함하는, 단공 원기둥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셸(102)의 주위 벽부(102c)와 필터(132) 사이에 형성된 간극(133)으로부터, 필터(132) 주위에 반경 방향 단면에 환상의 가스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가스 발생기(100)의 작동 전에는, 알루미늄 테이프(134)에 의해 가스 배출구(105)가 하우징(104)의 내부로부터 막혀져서, 하우징(104) 내에 대한 습기의 침입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가스 발생기는 1대의 점화기를 갖는 싱글 타입의 가스 발생기이며, 가스 발생기(100)에서는 점화기(123)의 작동에 의한 가스 발생제(122)의 연소에 의해 연소 가스를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발생기(100)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122)는 환상의 필터(132)의 중앙 부분의 공간에 배치되고, 그 충전된 가스 발생제(122)의 군의 중심은, 가스 발생기(100)의 중심축 Z0에 대략 일치하고 있지만, 점화기(123)는, 소정의 이유에 의해 하부 셸(3)의 저면부(3b)에 있어서 가스 발생기(1)의 중심축 Z0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스 발생기(100)의 내부 공간(121)에서는, 충전된 가스 발생제(122)에 대한 점화기(123)의 상대 위치가, 가스 발생제(122)의 군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친 위치가 된다. 그 결과, 제1 점화기(23)의 작동에 의해 방출되는 연소 생성물은, 충전된 가스 발생제(122)의 군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중심축 Z0을 따른 방향으로 방출되게 되며, 가스 발생제(122)의 연소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가스 발생기(100)의 출력 특성이 상정된 그대로의 것으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가스 발생기(100)에 있어서도, 내부 공간(121)에 있어서, 점화기(123)와, 충전된 가스 발생제(122) 사이에, 소정의 전화약을 수용한 수용 용기(140)가 배치되어 있다. 수용 용기(140)는, 그 내부에 전화약을 수용하는 용기이며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수용 용기(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 용기(140) 내의 전화약을 점화기(123)의 작동에 의해 연소시키기 위해서, 수용 용기(140)는 점화기(123) 상에 배치된다. 이때, 수용 용기(140)의 덮개부(141)를 효율적으로 개열시키기 위해서, 점화기(123)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내부 공간(121)측으로 개구하는 통상의 격벽 부재(110)가 저면부(103b)에 마련된다. 추가로, 격벽 부재(110)의 내부에는 수용 용기(140)도 수용되고, 수용 용기(140)의 덮개부(141)가, 대략, 격벽 부재(110)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격벽 부재(110)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덮개부(141)는 가스 발생제(122)에 인접한 상태에 놓인다.
이와 같이 격벽 부재(110)의 내부에 점화기(123)와 수용 용기(140)를 겹쳐서 배치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기(123)의 작동으로 수용 용기의 덮개부(141)의 일부가 편개방 상태가 되고, 가스 발생제(122)의 대략 중앙 부위(도 6의 부위 R1에 상당하는 부위)를 향해서 전화약에 의한 연소 생성물의 방출의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가스 발생기(100)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싱글 타입의 가스 발생기(100)에 있어서, 점화기(123)의 위치가 가스 발생제(122)의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가스 발생제(122)의 균등한 연소를 실현할 수 있다.
1, 100 : 가스 발생기
2, 102 : 상부 셸
3, 103 : 하부 셸
4, 104 : 하우징
5, 105 : 가스 배출구
10, 110 : 격벽 부재
12: 주위 벽부
13 : 분할 벽부
14 : 감합 벽부
21, 121 : 제1 공간
22, 122, 126 : 가스 발생제
23 : 제1 점화기
25 : 제2 공간
27 : 제2 점화기
40, 140 : 수용 용기
41 : 덮개부
42 : 주위 벽부
43 : 저면부
44 : 전화약
45 : 노치
46 : 부위
47 : 덮개부 요소
47H : 관통 구멍
141 : 덮개부
R1 : 부위

Claims (6)

  1. 점화기와,
    용기 본체 및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하여 형성된 덮개부를 갖고, 전화약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해당 수용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해당 전화약이 연소하도록, 해당 점화기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수용 용기와,
    상기 점화기와 상기 수용 용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수용 용기의 상기 덮개부에 인접하는 해당 하우징 내의 소정의 영역 내에,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된 상기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에 의해 연소되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하우징
    을 구비하는 가스 발생기로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취약부와, 해당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도 상기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강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화약이 연소하면, 상기 취약부가 개열하고 또한 상기 강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게 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약의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해당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방출 개구는 커지고,
    상기 전화약의 연소 과정에 있어서의 소정의 연소 시기에, 해당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은,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로 유도되는, 가스 발생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된 상기 전화약의 연소 생성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의 상기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와는 다른 부위로서, 해당 덮개부의 이측에 위치하는 추가 연소 부위에 도달하도록 마련된 관통 구멍을 더 갖는 가스 발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점화기를 둘러싸고 그의 내부에 해당 점화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해당 하우징 내에 충전된 상기 가스 발생제측으로 개구된 격벽 부재를 갖고,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격벽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해당 수용 용기의 저부측을 상기 점화기에 인접시키고, 또한 해당 수용 용기의 주위 벽부를 해당 격벽 부재의 내벽면에 대향시켜서, 상기 덮개부가 해당 격벽 부재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제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스 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스 발생제는, 상기 상부 공간 내이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배치된 상기 점화기의 상측의 공간에 충전되고,
    상기 하부 공간 내의 상기 하우징의 저면측에, 상기 점화기와는 다른 별도의 점화기가 배치됨과 함께, 해당 별도의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되는, 상기 가스 발생제와는 다른 별도의 가스 발생제가 해당 하부 공간 내에 충전되는, 가스 발생기.
  6. 용기 본체 및 해당 용기 본체에 대하여 형성된 덮개부를 갖고, 전화약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로서, 해당 수용된 전화약은, 해당 수용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되는 수용 용기로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 개열 가능하게 구성된 취약부와, 해당 연소 생성물에 의해 받는 압력으로도 상기 용기 본체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 강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점화기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전화약이 연소하면, 상기 취약부가 개열하고 또한 상기 강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된 상태의 상기 덮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당 전화약의 연소로 발생하는 연소 생성물의 방출을,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해당 전화약과는 다른 가스 발생제의 소정의 연소 개시 부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되는,
    수용 용기.
KR1020197035859A 2017-05-18 2018-03-05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KR102505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9342A JP6835315B2 (ja) 2017-05-18 2017-05-18 ガス発生器、及び収容容器
JPJP-P-2017-099342 2017-05-18
PCT/JP2018/008364 WO2018211783A1 (ja) 2017-05-18 2018-03-05 ガス発生器、及び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300A true KR20200010300A (ko) 2020-01-30
KR102505651B1 KR102505651B1 (ko) 2023-03-06

Family

ID=6427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859A KR102505651B1 (ko) 2017-05-18 2018-03-05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0254B2 (ko)
JP (1) JP6835315B2 (ko)
KR (1) KR102505651B1 (ko)
CN (1) CN110678362B (ko)
DE (1) DE112018002509T5 (ko)
WO (1) WO2018211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1442B2 (ja) * 2016-06-27 2020-04-2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797072B2 (ja) * 2017-05-01 2020-12-0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946097B2 (ja) *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7296242B2 (ja) * 2019-04-23 2023-06-2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D1003843S1 (en) * 2021-10-18 2023-11-07 Magical Brands, Inc. Container for gas gen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653A (ja) * 1999-07-21 2001-04-03 Nippon Koki Co Ltd ガス発生器
JP2001225711A (ja) 2000-07-18 2001-08-21 Daicel Chem Ind Ltd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1354105A (ja) 2000-06-12 2001-12-25 Daicel Chem Ind Ltd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7131254A (ja) 2005-11-14 2007-05-31 Daicel Chem Ind Ltd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WO2012153427A1 (ja) * 2011-05-12 2012-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6642A (en) * 1998-04-27 2000-09-12 Trw Inc. Infl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3387042B2 (ja) * 1998-09-28 2003-03-1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TW469235B (en) * 1999-10-04 2001-12-21 Daicel Chem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CN1492817A (zh) * 2000-12-26 2004-04-28 �ձ���ҩ��ʽ���� 气体发生器
US6857658B2 (en) * 2001-03-15 2005-02-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JP4303132B2 (ja) * 2002-04-19 2009-07-29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ラボラトリ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フレータ
US7172214B2 (en) * 2002-12-09 2007-02-0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WO2004080767A1 (ja) * 2003-03-12 2004-09-23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ガス発生器
JP4348206B2 (ja) * 2004-02-10 2009-10-21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WO2011016107A1 (ja) * 2009-08-03 2011-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656838B1 (en) * 2010-09-28 2014-02-25 Tk Holdings, Inc. Secondary chamber combustion control
US8893622B2 (en) * 2011-02-24 2014-11-25 Autoliv Asp, Inc. Tablet-breaking initiator for airbag inflator
US8556294B1 (en) * 2012-08-22 2013-10-15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inflator
JP5793605B2 (ja) * 2014-08-06 2015-10-14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6584830B2 (ja) * 2015-06-12 2019-10-0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DE102015215025B4 (de) * 2015-08-06 2020-09-2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generatorbaugruppe mit Leitelement
KR102622079B1 (ko) * 2018-05-29 2024-01-09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653A (ja) * 1999-07-21 2001-04-03 Nippon Koki Co Ltd ガス発生器
JP2001354105A (ja) 2000-06-12 2001-12-25 Daicel Chem Ind Ltd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1225711A (ja) 2000-07-18 2001-08-21 Daicel Chem Ind Ltd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7131254A (ja) 2005-11-14 2007-05-31 Daicel Chem Ind Ltd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WO2012153427A1 (ja) * 2011-05-12 2012-1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1566A1 (en) 2020-02-27
CN110678362B (zh) 2022-03-01
US11230254B2 (en) 2022-01-25
DE112018002509T5 (de) 2020-01-30
CN110678362A (zh) 2020-01-10
WO2018211783A1 (ja) 2018-11-22
KR102505651B1 (ko) 2023-03-06
JP2018192965A (ja) 2018-12-06
JP6835315B2 (ja)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0300A (ko) 가스 발생기 및 수용 용기
KR102093194B1 (ko)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CN104040284B (zh) 气体发生器
CN110944879B (zh) 气体发生器
WO2021075376A1 (ja)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
JP2011218942A (ja)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US20190061677A1 (en) Gas generator
CN113043989B (zh) 气体发生器
KR20200029524A (ko) 방출 장치 및 가스 발생기
JP5021447B2 (ja) ガス発生器
WO2019111566A1 (ja) ガス発生器
WO2019230503A1 (ja) ガス発生器
WO2021054117A1 (ja) 点火器組立体及び点火器組立体の組立方法
WO2021261134A1 (ja) ガス発生器
US11137234B2 (en) Gas generator and assembly method for dual-type gas generator
US11577683B2 (en) Gas generator
WO2019111567A1 (ja) 点火器組立体、及びガス発生器
JP200809362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用ガス発生器
RU20690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нертного газа
JP2024046153A (ja) ガス発生器
JP2008036609A (ja) ガス発生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4098980A (ja) 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