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023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023A
KR20200010023A KR1020190056143A KR20190056143A KR20200010023A KR 20200010023 A KR20200010023 A KR 20200010023A KR 1020190056143 A KR1020190056143 A KR 1020190056143A KR 20190056143 A KR20190056143 A KR 20190056143A KR 20200010023 A KR20200010023 A KR 2020001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handle
hole
hook keepe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토아케
슈 쿠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0001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낚싯바늘뿐만이 아니라 싱커도 계지할 수 있는 가동식(可動式)의 훅 키퍼(hook keeper)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200)은, 릴 본체(210)와, 릴 본체(210)에 지지되고,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230)과, 릴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230)에 낚싯줄을 권회하는 권회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일단(一端)에 장착되는 장착부(221)를 가지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220)과, 계지부(係止部) 및 지지부를 가지는 훅 키퍼(1)를 구비한다. 훅 키퍼(1)의 계지부는, 계지부를 관통(貫通)하는 구멍, 및, 구멍으로부터 계지부의 외측면(外側面)까지 관통하고, 또한, 구멍의 중심축 방향의 계지부의 일방(一方)의 단면(端面)으로부터 타방(他方)의 단면에 이르는 슬릿이 형성되고, 지지부는, 계지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원환(圓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접합부를 가지고, 접합부로 장착부에 구동축의 둘레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 있어서, 포인트를 이동하거나 낚싯대를 바꾸거나 할 때에, 양 베어링 릴을 이용한 낚싯대에 채비를 단 채, 가지고 다니거나 두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장대 선단(先端)으로부터 끝의 낚싯줄의 부분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자유롭게 움직여 버리고, 낚싯바늘이 의복에 걸리거나, 채비에 의하여 릴 본체가 손상하거나, 낚싯줄이 엉키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베어링 릴에 장착되고, 낚싯바늘을 계지(係止)할 수 있는 훅 키퍼(hook keeper)가 있다. 일반적으로, 훅 키퍼는, 낚싯바늘을 계지하는 계지부가 릴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있지만, 훅 키퍼의 미사용 시(時)에는, 돌출한 계지부에 낚싯줄이 엉키는 일이 있다. 그래서, 가동식(可動式)의 훅 키퍼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의 내측(內側)으로부터 외측(外側)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대의 사용 중에 필요에 따라 수납시킬 수 있는 훅 키퍼를 구비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236728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은, 훅 키퍼를 릴 본체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릴 본체의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훅 키퍼는, 낚싯바늘을 계지하는 것이고, 다운샷 리그의 경우는, 낚싯바늘만을 고정하여도, 그 끝의 싱커는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싱커에 의하여 릴 본체가 손상하거나, 낚싯줄이 엉키거나 하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릴 본체의 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낚싯바늘뿐만이 아니라 싱커도 계지할 수 있는 가동식의 훅 키퍼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지지되고,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과,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하는 권회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일단(一端)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계지부 및 지지부를 가지는 훅 키퍼를 구비하고, 계지부는, 계지부를 관통(貫通)하는 구멍, 및, 구멍으로부터 계지부의 외측면(外側面)까지 관통하고, 또한, 구멍의 중심축 방향의 계지부의 일방(一方)의 단면(端面)으로부터 타방(他方)의 단면에 이르는 슬릿이 형성되고, 지지부는, 계지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원환(圓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접합부를 가지고, 접합부로 장착부에 구동축의 둘레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부가 핸들의 짧은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계지부의 구멍 및 슬릿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外面)보다도 외측에 있고, 지지부가 핸들의 긴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계지부의 구멍 및 슬릿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보다도 내측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훅 키퍼는, 구멍의 중심축 방향의 계지부의 일방의 단면의 슬릿의 중심과 타방의 단면의 슬릿의 중심을 잇는 선이, 구멍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틀어진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은, 장착부로부터,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을 더 가지고, 훅 키퍼는, 핸들 암보다도 구동축의 축 방향 외측에 취부(取付)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부는, 핸들을 구동축에 고정하는 통상(筒狀) 부재와, 통상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링 홈에 끼워져 보지(保持)되는 O링을 가지고, 지지부는,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원환상(圓環狀) 부재로 구성되는 접합부를 가지고, 계지부를 원환상 부재의 둘레상(上)에 반경(半徑) 방향 외향(外向)으로 지지하고, O링은, 원환상 부재의 내주면과 통상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계지부를, 지지부에 대하여, 구멍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릴 본체의 구조를 바꾸는 일 없이, 낚싯바늘뿐만이 아니라 싱커도 계지할 수 있는 가동식의 훅 키퍼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측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장착된 핸들의 단면도
도 5는 (A)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일방으로 일어난 상태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 (B)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타방으로 일어난 상태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에 오프셋 훅을 계지한 예를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사시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에 싱커를 계지한 예를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사시도
도 9는 (A)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일어난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 (B)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양 베어링 릴(200)은, 도 1을 향하여 왼쪽 가장 앞쪽이 낚싯대의 선단(전방(前方))을 향하도록, 낚싯대에 취부된다. 양 베어링 릴(200)은, 릴 본체(210)와, 릴 본체(210)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핸들(220)과, 릴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230)과, 핸들(220)의 릴 본체(210)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인 스타 드래그(240)를 구비한다.
릴 본체(210)는, 핸들(220)의 회전을 받아, 스풀(230)을 회전시키고, 스풀(230)에 낚싯줄을 감는 권회 기구를 가진다. 핸들(220)은, 릴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의 일단에 장착된다. 구동축은, 권회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핸들(220)은, 구동축의 일단에 장착되는 장착부(221)와, 장착부(221)로부터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222)과, 핸들 암(222)의 선단부로부터 구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손잡이(223a) 및 손잡이(223b)를 가진다(손잡이(223b)는 도시하지 않음).
장착부(221)는, 핸들 암(222)을 구동축에 고정하는 너트(201)와, 너트(201)에 감합(嵌合)하고, 고정용 비스(vis)로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하여, 너트(201)를 고정하는 리테이너(202)를 포함한다. 훅 키퍼(1)는, 구멍 및 슬릿이 형성된 계지부와, 계지부를 지지하고, 원환의 일부를 포함하는 접합부를 가지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훅 키퍼(1)는, 접합부로, 구동축의 둘레(도면 중, 화살표(A)의 방향)로 180도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저(user)는, 훅 키퍼(1)의 사용 시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 키퍼(1)의 계지부의 구멍 및 슬릿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보다도 외측에 있는 상태로 한다. 이하, 이 상태를 훅 키퍼(1)가 일어난 상태라고 하고, 이 상태로 하는 것을, 훅 키퍼(1)를 일으킨다고 한다. 유저는, 훅 키퍼(1)의 미사용 시에는, 훅 키퍼(1)의 계지부의 구멍 및 슬릿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보다도 내측에 있는 상태로 한다. 이하, 이 상태를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라고 하고, 이 상태로 하는 것을, 훅 키퍼(1)를 넘어뜨린다고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훅 키퍼(1)를 구동축의 둘레로 180도 회전시키면, 훅 키퍼(1)의 계지부의 구멍 및 슬릿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의 반대 측인 외면(S2)(도시하지 않음)보다도 외측에 있는 상태가 된다. 즉, 훅 키퍼(1)는,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어느 쪽 측으로도 일으킬 수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사시도이다. 훅 키퍼(1)는, 구멍(111) 및 슬릿(112)이 형성된 계지부(11)와, 계지부(11)를 지지하고, 접합부(121)를 가지는 지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111)은, 계지부(11)를 관통한다. 슬릿(112)은, 구멍(111)으로부터 계지부(11)의 외측면까지 관통하고, 또한, 구멍(111)의 중심축 방향의 계지부(11)의 일방의 단면(E1)으로부터 타방의 단면(E2)에 이른다. 접합부(121)는, 원환의 일부를 잘라 낸 형상이다. 훅 키퍼(1)는, 지지부(12)의 접합부(121)로, 핸들(220)의 장착부(221)에 장착된다. 지지부(12)는, 계지부(11)를, 접합부(121)의 반대 측에서 지지하고 있다.
훅 키퍼(1)에 오프셋 훅을 포함하는 낚싯바늘을 계지하는 경우, 낚싯바늘의 샹크(shank) 또는 벤드(bend)를 슬릿(112)에 통과시켜 구멍(111)의 안으로 밀어 넣어 계지한다. 슬릿(112)은, 낚싯바늘의 샹크 및 벤드의 굵기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111)은, 슬릿(112)의 폭보다도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늘 끝이 나와 있는 낚싯바늘을 계지하는 경우에는, 바늘 끝을 구멍(111)의 둘레 가장자리의 계지부(11)에 걸어도 무방하다.
훅 키퍼(1)에 싱커를 계지하는 경우, 낚싯줄을 슬릿(112)에 통과시켜 구멍(111)의 안으로 밀어 넣는다. 구멍(111)은, 싱커의 폭보다도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싱커는, 구멍(111)의 밖에 계지된다. 이 때, 구멍(111)의 직경이 싱커의 아이(eye)의 폭보다도 넓은 경우는, 싱커의 아이만이 구멍(111)의 안에 수용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측면도이다. 훅 키퍼(1)는, 구멍(111)의 중심축 방향의 계지부(11)의 일방의 단면(E1)의 슬릿(112)의 중심과 타방의 단면(E2)의 슬릿(112)의 중심을 잇는 선(L)이, 구멍(111)의 중심축(A)에 대하여 비틀어진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구멍(111) 및 슬릿(112)을 형성하는 것으로, 훅 키퍼(1)에 계지된 낚싯바늘이나 싱커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장착된 핸들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단면도는,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의 핸들(220)의 긴쪽 방향의 단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핸들(220)의 장착부(221)는, 핸들(220)을 구동축(250)에 고정하는 너트(201)와, 너트(201)를 고정하는 리테이너(202)를 가진다. 너트(201)는, 통상 부재이고, 상부(上部)(201a)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리테이너(202)의 구멍에 감합하고 있다. 하부(下部)(201b)는, 원통상(圓筒狀)으로, 내주면에 암나사부(201c)를 가지고, 암나사부(201c)에 의하여 구동축(250)과 나합(螺合)하고 있다.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과 리테이너(202)의 너트(201)의 상부(201a)와 감합하지 않는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202a)과, 핸들 암(222)에 형 성된 홈(222a)에, 훅 키퍼(1)의 지지부(12)의 접합부(121)가 감합하는 것으로, 훅 키퍼(1)는, 구동축(25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에는, 링 홈(201d)이 형성되어 있고, 링 홈(201d)에 끼워져 O링(203)이 보지되어 있다. 훅 키퍼(1)의 지지부(12)의 접합부(121)의 너트(201) 측의 면에는, 홈(121a)이 형성되어 있고, 홈(121a)의 너트(201)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면은, O링(203)과 접촉하고 있다. O링(203)과의 마찰에 의하여, 훅 키퍼(1)는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 시에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가 되거나, 미사용 시에 훅 키퍼(1)가 일어난 상태가 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도 5(A)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일방으로 일어난 상태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이다. 훅 키퍼(1)는, 구동축의 둘레로 180도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리테이너(202)는, 당접부(當接部)(202b)를 가진다. 유저가 훅 키퍼(1)를 당접부(202b) 측으로 일으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훅 키퍼(1)가 당접부(202b)에 있어서, 용이하게 훅 키퍼(1)를 일어난 상태로 멈출 수 있다. 훅 키퍼(1)가 당접부(202b) 측으로 일어난 상태에서는,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구멍(111) 및 슬릿(112)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보다도 외측에 있다.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도면 중, 파선(破線))에서는,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구멍(111) 및 슬릿(112)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보다도 내측에 있다. 유저가 훅 키퍼(1)의 미사용 시에 훅 키퍼(1)를 넘어뜨리는 것으로, 훅 키퍼(1)에 낚싯줄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의 예에서는,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1)이 상방을 향하고 있다. 이 경우, 유저는 훅 키퍼(1)를 당접부(202b) 측으로 일으켜 사용한다. 그러나, 핸들(220)의 각도에 따라서는 외면(S2)이 상방을 향하는 경우도 있다. 외면(S2)이 상방을 향한 경우에 관하여,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B)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핸들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타방으로 일어난 상태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이다. 리테이너(202)는, 당접부(202b)의,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반대 측에, 당접부(202c)를 가진다. 유저가 훅 키퍼(1)를 당접부(202c) 측으로 일으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훅 키퍼(1)가 당접부(202c)에 있어서, 용이하게 훅 키퍼(1)를 일어난 상태로 멈출 수 있다. 훅 키퍼(1)가 당접부(202c) 측으로 일어난 상태에서는,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구멍(111) 및 슬릿(112)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2)보다도 외측에 있다.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도면 중, 파선)에서는,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구멍(111) 및 슬릿(112)이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S2)보다도 내측에 있다. 즉, 훅 키퍼(1)는,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어느 쪽 측으로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훅 키퍼(1)는, 넘어진 상태에서는, 핸들(220)의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어느 쪽의 외면으로부터도 구멍(111) 및 슬릿(112)이 나오지 않는다.
도 5(A)와 같이, 당접부(202b) 측으로 일어난 상태의 훅 키퍼(1)에 낚싯바늘 또는 싱커를 계지한 경우의 낚싯줄의 장력의 방향은, 도 5(A)를 향하여 왼쪽 가장 앞쪽 방향이다. 한편, 도 5(B)와 같이, 당접부(202c) 측으로 일어난 상태의 훅 키퍼(1)에 낚싯바늘 또는 싱커를 계지한 경우의 낚싯줄의 장력의 방향은, 도 5(B)를 향하여 왼쪽 안쪽 방향이다. 어느 쪽의 경우도,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슬릿(112)이 낚싯줄의 장력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열려 있기 때문에, 낚싯바늘의 샹크 또는 벤드, 혹은, 낚싯줄이 슬릿(112)으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단, 도 5(B)의 경우는, 낚싯줄의 장력의 방향이 훅 키퍼(1)의 가도(可倒) 방향이기 때문에, 훅 키퍼(1)와 도 4에 도시한 O링(203)과의 마찰력을, 훅 키퍼(1)에 낚싯바늘 또는 싱커를 계지한 경우의 낚싯줄의 장력보다도 크게 한다. 또는, 리테이너(202)의 당접부(202c)에 홈을 설치하고, 훅 키퍼(1)의 당접부(202c)의 홈에 접하는 부분에 탄성 부재의 멈춤쇠를 설치하여, 당접부(202c) 측에 훅 키퍼(1)를 일으켰을 때에, 당접부(202c)의 홈과 훅 키퍼(1)의 멈춤쇠가 계합(係合)하여, 낚싯줄에 당겨져도 훅 키퍼(1)가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훅 키퍼(1)를 구동축의 둘레로 90도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훅 키퍼(1)의 사용 시에는, 유저가 핸들(220)의 외면(S1)을 상방을 향하여, 훅 키퍼(1)를 당접부(202b) 측으로 일으켜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에 오프셋 훅을 계지한 예를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사시도이다. 훅 키퍼(1)에 오프셋 훅(4)을 계지하는 경우, 낚싯줄(6)의 끝에 장착된 오프셋 훅(4)의 샹크(41) 또는 벤드(42)를, 훅 키퍼(1)의 슬릿에 통과시키고, 웜이 핸들 암(222)을 따르도록, 구멍에 계지한다. 훅 키퍼(1)의 슬릿은, 샹크(41) 및 벤드(42)의 굵기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훅 키퍼에 싱커를 계지한 예를 도시하는 낚시용 릴의 사시도이다. 훅 키퍼(1)에 싱커(5)를 계지하는 경우, 낚싯줄(6)을 훅 키퍼(1)의 슬릿에 통과시키고, 싱커(5)를 구멍에 계지한다. 도 7의 예에서는, 훅 키퍼(1)의 구멍의 직경이 싱커(5)의 아이(51)의 폭보다도 넓기 때문에, 아이(51)만이 구멍 안에 수용된 상태로, 싱커(5)가 계지되어 있다.
도 1, 도 4 ~ 도 7에 기재된 훅 키퍼(1)의 구멍은, 중심축이 구동축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구멍의 중심축의 방향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구멍의 중심축이 구동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훅 키퍼(1)의 지지부(12)가, 계지부(11)를, 지지부(12)에 대하여 구멍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유저가 낚싯바늘이나 낚싯줄을 슬릿에 통과시키기 쉬운 각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낚싯바늘이나 싱커를 계지한 상태에서, 계지부(11)를, 낚싯줄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낚싯줄의 장력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싯바늘이나 싱커가 빠지기 어려워진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의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2의 훅 키퍼(1)는, 실시 형태 1의 훅 키퍼(1)와, 주로 지지부(12)의 접합부(121)의 형상이 다르다.
지지부(12)의 접합부(121)는, 원환상 부재로 구성되고, 훅 키퍼(1)는, 접합부(121)로, 핸들(220)의 장착부(221)에 장착된다. 지지부(12)는, 계지부(11)를, 접합부(121)의 둘레상에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지지한다. 덧붙여, 지지부(12)는, 계지부(11)를, 지지부(12)에 대하여 구멍(111)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1)가 장착된 핸들(220)의 단면도는, 도 4와 마찬가지이다.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과 리테이너(202)의 너트(201)의 상부(201a)와 감합하지 않는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홈(202a)과, 핸들 암(222)에 형성된 홈(222a)에, 훅 키퍼(1)의 지지부(12)의 접합부(121)가 감합하는 것으로, 훅 키퍼(1)는, 구동축(25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에는, 링 홈(201d)이 형성되어 있고, 링 홈(201d)에 끼워져 O링(203)이 보지되어 있다. 훅 키퍼(1)의 지지부(12)의 접합부(121)는,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가진다. 접합부(121)의 내주면에는, 홈(121a)이 형성되어 있고, 홈(121a)의 너트(201)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면은, O링(203)과 접촉하고 있다. 즉, O링(203)은, 접합부(121)의 내주면과 너트(201)의 하부(201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한다. O링(203)과의 마찰에 의하여, 훅 키퍼(1)는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 시에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가 되거나, 미사용 시에 훅 키퍼(1)가 일어난 상태가 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도 9(A)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일어난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훅 키퍼가 넘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121)가 원환상 부재이고, O링(203)을 덮고 있는 것으로, 훅 키퍼(1)가 일어난 상태여도, 훅 키퍼(1)가 넘어진 상태여도, O링(203)이 노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O링(203)의 열화(劣化)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훅 키퍼(1)에 오프셋 훅을 포함하는 낚싯바늘 및 싱커를 계지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훅 키퍼(1)에는 샹크가 짧은 낚싯바늘이 달린 루어를 계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낚싯줄을 슬릿(112)에 통과시켜 구멍(111)의 안으로 밀어 넣는다. 구멍(111)은, 루어의 폭보다도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루어는, 구멍(111)의 밖에 계지된다. 이 때, 구멍(111)의 직경이 루어의 아이의 폭보다도 넓은 경우는, 루어의 아이만이 구멍(111)의 안에 수용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훅 키퍼(1)에 오프셋 훅을 포함하는 낚싯바늘 및 싱커를 계지하는 방법은 예이고, 어느 방법으로 계지할지는 유저의 임의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훅 키퍼(1)의 계지부(11)의 슬릿(112)은, 낚싯바늘의 샹크 및 벤드의 굵기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훅 키퍼(1)의 계지부(11)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112)에 낚싯바늘의 샹크 및 벤드를 밀어 넣는 것으로 낚싯바늘의 샹크 및 벤드가 슬릿(112)을 통과 가능한 경우는, 슬릿(112)이 낚싯바늘의 샹크 및 벤드의 굵기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훅 키퍼(1)의 슬릿(112)을, 훅 키퍼(1)의 측면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훅 키퍼(1)의 슬릿(112)을, 접합부(121)의 반대 측의 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1: 훅 키퍼
4: 오프셋 훅
5: 싱커
6: 낚싯줄
11: 계지부
12: 지지부
41: 샹크
42: 벤드
51: 아이
111: 구멍
112: 슬릿
121: 접합부
121a: 홈
200: 양 베어링 릴
201: 너트
201a: 상부
201b: 하부
201c: 암나사부
201d: 링 홈
202: 리테이너
202a: 홈
202b, 202c: 당접부
203: O링
210: 릴 본체
220: 핸들
221: 장착부
222: 핸들 암
222a: 홈
223a, 223b: 손잡이
230: 스풀
240: 스타 드래그
250: 구동축

Claims (5)

  1.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지지되고,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권회하는 권회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一端)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계지부(係止部) 및 지지부를 가지는 훅 키퍼(hook keeper)
    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부는, 상기 계지부를 관통(貫通)하는 구멍, 및,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계지부의 외측면(外側面)까지 관통하고, 또한, 상기 구멍의 중심축 방향의 상기 계지부의 일방(一方)의 단면(端面)으로부터 타방(他方)의 단면에 이르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계지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원환(圓環)의 일부를 포함하는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접합부로 상기 장착부에 상기 구동축의 둘레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핸들의 짧은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계지부의 상기 구멍 및 상기 슬릿은, 상기 핸들의 상기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外面)보다도 외측에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핸들의 긴쪽 방향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계지부의 상기 구멍 및 상기 슬릿은, 상기 핸들의 상기 구동축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의 외면보다도 내측(內側)에 있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 키퍼는, 상기 구멍의 중심축 방향의 상기 계지부의 상기 일방의 단면의 상기 슬릿의 중심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상기 슬릿의 중심을 잇는 선이, 상기 구멍의 중심축에 대하여 비틀어진 위치에 있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구동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을 더 가지고,
    상기 훅 키퍼는, 상기 핸들 암보다도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 외측에 취부(取付)되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핸들을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통상(筒狀) 부재와,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링 홈에 끼워져 보지(保持)되는 O링
    을 가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는 원환상(圓環狀) 부재로 구성되는 상기 접합부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를 상기 원환상 부재의 둘레상(上)에 반경(半徑) 방향 외향(外向)으로 지지하고,
    상기 O링은, 상기 원환상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통상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계지부를,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구멍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양 베어링 릴.
KR1020190056143A 2018-07-20 2019-05-14 양 베어링 릴 KR20200010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36917 2018-07-20
JP2018136917A JP7105642B2 (ja) 2018-07-20 2018-07-20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023A true KR20200010023A (ko) 2020-01-30

Family

ID=6783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143A KR20200010023A (ko) 2018-07-20 2019-05-14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7734B2 (ko)
JP (1) JP7105642B2 (ko)
KR (1) KR20200010023A (ko)
CN (1) CN110731317B (ko)
DE (1) DE102019119582A1 (ko)
GB (1) GB2577364B (ko)
TW (1) TWI79959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6728A (ja) 2013-06-05 2014-12-18 株式会社ドヨエンジニアリング 釣り針保持手段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8477A (en) * 1946-06-08 1951-12-11 Hurd Lock And Mfg Company Fishing reel
US4015361A (en) * 1975-10-10 1977-04-05 Reilly James J O Fish hook retainer
US7191559B1 (en) * 2004-01-06 2007-03-20 Laceky William P Fishing accessory and associated methods
US20050229472A1 (en) * 2004-04-16 2005-10-20 Efs, Inc. Fishing tackle and line holder
JP4804330B2 (ja) * 2006-12-21 2011-11-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20080244956A1 (en) * 2007-04-03 2008-10-09 Shimano American Corporation Fishing rod including a hook receptacle
US7793458B2 (en) * 2008-03-26 2010-09-14 Eisbrenner Ronald J Flyhook threader and tying apparatus
TWM340710U (en) * 2008-04-18 2008-09-21 Rou Wang A storage structure for fishing line and hook
US20110095894A1 (en) * 2009-10-24 2011-04-28 Amy Gibson Portable fish bite alarm detector and fishing line release apparatus
JP5702743B2 (ja) * 2012-01-31 2015-04-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およびハンドルノブ
US8813416B2 (en) * 2012-04-25 2014-08-26 Blake Thomas Hudson Fishing accessory capture apparatus
JP6137905B2 (ja) * 2013-03-28 2017-05-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ジグヘッド
US9426971B2 (en) * 2014-01-22 2016-08-30 James R. Ciari Magnetic line and lure restraint for enhanced casting
JP6389370B2 (ja) * 2014-03-28 2018-09-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887511B1 (ko) * 2016-10-12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JP7015665B2 (ja) 2017-02-22 2022-02-0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990928B (zh) * 2017-06-07 2021-11-09 纯钓日本公司 钓鱼用纺车式渔轮
JP3216209U (ja) * 2017-11-09 2018-05-24 哲 青木 ベイトリール用フックキーパー
JP6920779B2 (ja) * 2018-03-28 2021-08-1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フックキーパ取付構造及びフックキーパ付き釣竿
JP7190835B2 (ja) * 2018-07-20 2022-12-16 株式会社シマノ フックキーパーおよび魚釣り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6728A (ja) 2013-06-05 2014-12-18 株式会社ドヨエンジニアリング 釣り針保持手段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0667A (ja) 2020-01-23
US10827734B2 (en) 2020-11-10
TWI799596B (zh) 2023-04-21
JP7105642B2 (ja) 2022-07-25
CN110731317A (zh) 2020-01-31
GB2577364B (en) 2022-07-20
TW202011804A (zh) 2020-04-01
GB201910331D0 (en) 2019-09-04
DE102019119582A1 (de) 2020-01-23
GB2577364A (en) 2020-03-25
CN110731317B (zh) 2022-07-12
US20200022352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1178A1 (en) Rotating Swivel Assemblies for Outriggers
KR20200010023A (ko) 양 베어링 릴
CN110731318B (zh) 钩保持器及钓具用卷线器
US11134664B2 (en) Fishing tackl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476515B2 (ja) 釣糸係止具
JP3797513B2 (ja) 釣糸係止具及びこれを備えた釣竿
TWI772441B (zh) 釣具用捲線器之轉子
JP5572126B2 (ja) 釣竿の連結具
JP4138139B2 (ja) 釣糸係止具
US2979281A (en) Apparatus for untwisting lines
JP2005328755A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102118292B1 (ko) 낚시릴의 풀림 방지용 핸들손잡이 고정장치
JP202009935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20020063180A1 (en) Reversed rotation preventive device
JP411652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113180A (ja) 糸の結合構造および該構造を用いた釣り具
JP2023140197A (ja) 仕掛け用釣具
JPH0522067Y2 (ko)
KR100334034B1 (ko)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JPS64755Y2 (ko)
KR100353041B1 (ko) 낚시용 실패 브레이크 장치
JP63926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47109A (ja) 魚釣用リールのツマミ
JP2017136004A (ja) 仕掛け保持具
JP2021090380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