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456A -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456A
KR20200009456A KR1020180083858A KR20180083858A KR20200009456A KR 20200009456 A KR20200009456 A KR 20200009456A KR 1020180083858 A KR1020180083858 A KR 1020180083858A KR 20180083858 A KR20180083858 A KR 20180083858A KR 20200009456 A KR20200009456 A KR 20200009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ending machine
disabled
settlement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259B1 (ko
Inventor
박상혁
조정상
신진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2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사용자를 조력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저정부(11)에 투출용 상품을 저장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인체검출기(22), 카메라(24), 스피커(26), 마이크(28)를 탑재하고, 시각 장애인이 본체(10)에 인접한 작동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20); 상기 본체(10)의 정산부(31)와 투출부(33)에 물체검출기(35)를 구비하고, 요금의 정산과 상품의 반출을 처리하는 처리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유도수단(20), 처리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각을 비롯한 신체 중요부에 장애가 있는 비교적 중증 소비자들이 주변의 도움이 없어도 자동판매기를 혼자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조력하여 선진화된 복지사회로 진일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Automatic vending machine having convenience function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 등이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조력하기 위한 장애인 편의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공공체육시설내 장애인편의시설을 2015년까지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규정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장애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교육, 의료, 문화, 오락, 복지 분야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장애인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자동판매기를 이용함에 일반소비자와 동등성을 확보하도록 배려하는 개선도 필요하다.
장애인의 자판기 이용과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79178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40702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팔이 불편한 장애인이 발로 사용하기 편한 장치를 사용하여 물품을 선택하면서 자판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팔이 불편한 장애인이 선택한 물품을 물품 운반장치가 운반해서 팔이 불편한 장애인의 몸에 착용시켜주므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 혼자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선행문헌 2는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고 해석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부 및 주문의 수락, 지불 및 배출을 위한, 비디오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원격으로 제어함에, 점자 타입 형태의 그래픽 지시자들을 사용하여 오퍼레이터-전문가와 통신, 지불 및 상품 배출을 식별함으로써, 자동판매기가 시력이 나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시각을 비롯한 중증의 장애를 지닌 소비자가 혼자서 자동판매기를 이용하기에 여전히 불편이 수반되므로 다소간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79178호 "팔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한 자판기" (공개일자 : 2013.12.1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40702호 "규제 상품의 원격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 (공개일자 : 2018.04.2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을 비롯한 신체 중요부에 장애가 있는 비교적 중증 소비자들이 주변의 도움이 없어도 혼자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조력하기 위한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애인 사용자를 조력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저정부에 투출용 상품을 저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인체검출기,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탑재하고, 시각 장애인이 본체에 인접한 작동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 상기 본체의 정산부와 투출부에 물체검출기를 구비하고, 요금의 정산과 상품의 반출을 처리하는 처리수단; 및 상기 본체, 유도수단, 처리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 트레이의 전후 이동을 유발하는 출납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유도수단은 처리수단과 연계하여 요금의 정산 및 상품의 투출 상태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공기 분사로 위치를 알리는 공기분사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조작기,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서브조작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을 비롯한 신체 중요부에 장애가 있는 비교적 중증 소비자들이 주변의 도움이 없어도 자동판매기를 혼자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조력하여 선진화된 복지사회로 진일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장애인 사용자를 조력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에 관하여 제안한다. 자동판매기 사용에 가장 불편이 큰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의 기능은 접근성과 조작성을 고려한 설계를 요체로 한다. 장애인 편의 시설 등에 설치되면 보다 유용성이 높아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장소에나 설치와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자동판매기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피를 판매하는 커피전용 자동판매기, 과자를 판매하는 과자 자동판매기, 생필품을 판매하는 생필품 자동판매기, 아이스크림 자동판매기, 멀티 자동판매기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자동판매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저정부(11)에 투출용 상품을 저장하는 구조를 지닌다. 상품은 캔음료와 같이 밀폐된 용기에 담긴 것이 유리하지만 일회용 컵에 제공되는 커피나 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저정부(11)는 투출용 상품 외에 요금 정산용 지폐나 동전을 별도의 공간에 저장하고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본체(10)의 외부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는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13), 트레이(13)의 전후 이동을 유발하는 출납구동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저정부(11)의 하측에 배치된 투출구 상에 트레이(13)와 출납구동기(15)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자형의 트레이(13)는 가이드레일을 개재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출납구동기(15)는 트레이(13)의 후단에 래크-피니언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의 트레이(13)는 상품 투출 외에 요금의 출납을 병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에 있어서 하나의 트레이(13)로 요금 정산과 상품 인출이 가능하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수단(20)이 상기 본체(10)에 인체검출기(22), 카메라(24), 스피커(26), 마이크(28)를 탑재하고, 시각 장애인이 본체(10)에 인접한 작동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구조이다. 유도수단(20)은 1차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자동판매기를 인지하고 조작에 편리한 작동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인체검출기(22)는 본체(10)의 전방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한 안내 작동을 유발하는 입력수단이다. 카메라(24)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정확한 접근 방향을 유도하는 입력수단이다. 스피커(26)는 평상시 자동판매기의 위치를 음성으로 알리고, 시각 장애인의 접근 과정에서 방향의 수정을 음성으로 알린다. 마이크(28)는 장애인을 비롯한 사용자가 음성으로 조작하도록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수단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유도수단(20)은 처리수단(30)과 연계하여 요금의 정산 및 상품의 투출 상태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금의 정산은 정산부(31)에서 처리되고, 상품의 투출은 투출부(33)에서 처리된다. 유도수단(20)은 정산부(31)와 투출부(33)에 의한 작동 상태를 스피커(26)를 통하여 음성으로 안내한다. 음성 안내는 요금의 투입 금액, 거스름돈의 정산 금액, 상품의 트레이(13) 도달 상태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의 본체(10)는 트레이(13)를 비롯한 다수의 위치에 점자 안내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수단(30)이 상기 본체(10)의 정산부(31)와 투출부(33)에 물체검출기(35)를 구비하고, 요금의 정산과 상품의 반출을 처리하는 구조를 지닌다. 처리수단(30)은 정산부(31)를 통한 요금의 정산과 투출부(33)를 통한 상품의 투출을 처리한다. 처리수단(30)의 물체검출기(35)는 특히 하나의 트레이(13)를 사용하는 경우에 작동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 경우 물체검출기(35)는 카메라(24), 초음파센서, 하중센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처리수단(30)은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공기 분사로 위치를 알리는 공기분사기(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분사기(37)는 노즐을 지닌 배관 상에 에어펌프나 송풍팬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공기 분사로 시각 장애인의 촉감을 자극하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조력한다. 도 1 및 도 2에서 공기분사기(37)가 트레이(13)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지만, 여타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할 수 있고 스피커(26)와 연동할 수도 있다. 공기분사기(37)는 설정된 횟수의 단속적인 공기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이 상기 본체(10), 유도수단(20), 처리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의 제어기(46)를 기반으로 한다. 도 3에서 본체(10)의 출납구동기(15), 유도수단(20), 처리수단(30)이 제어기(46)의 입출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10)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조작기(42),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서브조작기(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조작기(42)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부분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돌출형 버튼을 병용할 수 있다. 서브조작기(44)는 시각 장애인의 전용 조작을 위하여 간단한 돌출형 버튼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시각 장애인은 메인조작기(42)를 조작하다가 불편을 느끼는 경우 언제나 가장자리에 배치된 서브조작기(44)를 조작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기 용이하다.
작동의 일예로서, 제어수단의 제어기(46)를 기반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바, 스피커(26)를 통하여 음악과 음성으로 자동판매기의 위치를 알리고, 사용자가 인체검출기(22)의 검출 영역에 접근하면 카메라(24)로 촬영하면서 메인조작기(42)의 위치로 안내하고, 공기분사기(37)로 트레이(13)의 위치를 알리면서 정산과 상품 투출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음성으로 조작하는 경우 마이크(28)를 통한 입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저장부
13: 트레이 15: 출납구동기
20: 유도수단 22: 인체검출기
24: 카메라 26: 스피커
28: 마이크 30: 처리수단
31: 정산부 33: 투출부
35: 물체검출기 37: 공기분사기
42: 메인조작기 44: 서브조작기
46: 제어기

Claims (5)

  1. 장애인 사용자를 조력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저정부(11)에 투출용 상품을 저장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인체검출기(22), 카메라(24), 스피커(26), 마이크(28)를 탑재하고, 시각 장애인이 본체(10)에 인접한 작동 영역으로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수단(20);
    상기 본체(10)의 정산부(31)와 투출부(33)에 물체검출기(35)를 구비하고, 요금의 정산과 상품의 반출을 처리하는 처리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유도수단(20), 처리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 트레이(13), 트레이(13)의 전후 이동을 유발하는 출납구동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수단(20)은 처리수단(30)과 연계하여 요금의 정산 및 상품의 투출 상태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30)은 상품 투출 경로의 말단에서 공기 분사로 위치를 알리는 공기분사기(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일반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10)의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조작기(42), 장애인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서브조작기(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KR1020180083858A 2018-07-19 2018-07-19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KR10218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58A KR102184259B1 (ko) 2018-07-19 2018-07-19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58A KR102184259B1 (ko) 2018-07-19 2018-07-19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56A true KR20200009456A (ko) 2020-01-30
KR102184259B1 KR102184259B1 (ko) 2020-11-30

Family

ID=6932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58A KR102184259B1 (ko) 2018-07-19 2018-07-19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2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442A (ja) * 1992-09-24 1994-04-15 Marujin:Kk 容器入り飲料自動販売機
JPH1031447A (ja) * 1996-07-17 1998-02-03 Puroka Corp:Kk 電子案内装置
JPH10188103A (ja) * 1996-12-26 1998-07-21 Toshiba Corp 自動機器の操作案内装置
JP2004355051A (ja) * 2003-05-26 2004-12-16 Sanden Corp 自動販売機
KR101379178B1 (ko) 2012-06-07 2014-03-28 정유진 팔이 불편한 장애인를 위한 자판기
KR20180040702A (ko) 2015-08-21 2018-04-20 키릴 예두아르도비치 피시크 규제 상품의 원격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
KR20180078646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442A (ja) * 1992-09-24 1994-04-15 Marujin:Kk 容器入り飲料自動販売機
JPH1031447A (ja) * 1996-07-17 1998-02-03 Puroka Corp:Kk 電子案内装置
JPH10188103A (ja) * 1996-12-26 1998-07-21 Toshiba Corp 自動機器の操作案内装置
JP2004355051A (ja) * 2003-05-26 2004-12-16 Sanden Corp 自動販売機
KR101379178B1 (ko) 2012-06-07 2014-03-28 정유진 팔이 불편한 장애인를 위한 자판기
KR20180040702A (ko) 2015-08-21 2018-04-20 키릴 예두아르도비치 피시크 규제 상품의 원격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
KR20180078646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259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2923B2 (en) ADA compliance in vending machines
US4735289A (en) Dispensing apparatus and deposit apparatus for drive up machines
EP2551813B1 (en) Self-service terminal
WO2012072708A1 (en) User interface for a product ordering system
JP2001513920A (ja) 盲人および視覚障害者のための現金自動預払機
WO2010022357A3 (en) Vending machine user interface guide; electronic coin return; and hinged delivery bin
KR101085593B1 (ko)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US9164954B2 (en) Vending accommodation and accessibility
WO2022115226A1 (en) Contactless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KR20200009456A (ko)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JP2013191048A (ja) 商品販売システム
CN110443947A (zh) 一种壁挂式自动售货机
EP1130986B1 (en) Display case
JP5463471B2 (ja) 操作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機
US20230330292A1 (en) Automatic object data dispensing insertion system
JPH0644444A (ja) 自動取引装置
JP7255171B2 (ja)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JPH1040440A (ja) 自動機
KR20060127463A (ko) 이중 모니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작동방법
JP3750594B2 (ja) 自動取引装置
JPH1063919A (ja) 音声ガイダンス付き入力方法及び装置
JP2012198761A (ja) 金銭取扱い装置の操作パネル
KR200157855Y1 (ko) 자동판매기의 금전메카니즘의 공동이용장치
JPH0581511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140006389U (ko)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