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89U -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 Google Patents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89U
KR20140006389U KR2020140004477U KR20140004477U KR20140006389U KR 20140006389 U KR20140006389 U KR 20140006389U KR 2020140004477 U KR2020140004477 U KR 2020140004477U KR 20140004477 U KR20140004477 U KR 20140004477U KR 20140006389 U KR20140006389 U KR 201400063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cash dispenser
rotary
dispenser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희
Original Assignee
김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희 filed Critical 김연희
Publication of KR20140006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ATM)의 소정높이에 위치한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내부에 현금자동지급기가 수납되는 회전부스와, 상기 회전부스가 회전구조물에 의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스케이싱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조작부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케이싱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회전부스의 하부플레이트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을 상기 절곡부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ooth for ATM}
본 고안은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ATM)의 소정높이에 위치한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금자동지급기(ATM)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또는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또는 수표를 수시로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고, 통장정리를 겸할 수 있도록 사용되며, 무인으로 운용되면서 입금 및 출금을 수시로 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하여, 은행 내부는 물론 사람 왕래가 많은 곳 또는 대부분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금자동지급기는 건물의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설치된 부스에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현금자동지급기의 기기카트리지에 현금이나 수표를 보충하거나, 또는 현금자동지급기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되어 수리 및 점검을 요하는 경우, 현금자동지급기를 부스케이싱으로부터 인출 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와, 현금자동지급기를 부스케이싱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로 분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10)의 개략도로서, 종래 기술의 현금자동지급기(4)는 일반인은 물론 노인이나 장애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현금자동지급기(4)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종래 기술의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10)는 부스케이싱(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스(2)의 전면패널(3)이 수직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휠체어의 발판(F)이 전면패널(3)에 부딪혀 더 이상 가까이 근접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어 현금자동지급기(4)를 정면으로 바라 보고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 이용자들은 현금자동지급기(4)에 대해 휠체어를 측방으로 회전시켜 위치시킨 상태에서, 몸을 옆으로 돌린 상태의 자세로 현금자동지급기(4)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내재 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휠체어 이용자들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현금자동지급기(4)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금융기관은 물론 특히, 휠체어 이용자가 많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과 같은 복지 시설 및 공공기관에서는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부스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출원 제2012-143471호에 "휠체어 이용자를 이용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43471호의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부스케이싱의 전면 하측에 휠체어의 발판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공간부를 형성함에 따라,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현급자동지급기에 최대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애우 등이 휠체어에 탑승한 경우에도 현급자동지급기의 조작부(사용자의 통장 계좌번호 또는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모니터닝부를 말함)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하부구조물은, 현금자동지급기(A)가 수납되는 회전부스(미도시됨)가 내부에 회전가능 하게 설치되는 부스케이싱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상에 장착되는 회전구조물(60)(일 예로서 회전가능한 축과 이를 지지하는 보스로 이루어짐)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C)가 달린 현금자동지급기(A)가 안착되는 하부플레이트(40)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자동지급기(A)가 설치되는 하부구조물은, 상기 회전구조물(6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의 상면과 하부플레이트(4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므로, 상기 하부플레이트(40)와 베이스플레이트(30) 사이에 상당한 크기의 갭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및 하부플레이트(40)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서 기계적강도를 갖도록 캐비넷타입으로 절곡형성하게 되므로 그 전체적인 단면 두께는 두꺼워진다.
이로 인해 윗면이 편평한 상기 하부플레이트(40) 상에 바퀴(C)가 올려지는 현금자동지급기(A)의 현금 투입구(E)는 바닥면(지면을 말함)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에 신용카드를 투입한 후, 현금자동지급기(A)에 현금 또는 수표를 입금하거나, 현금자동지급기(A)로부터 현금을 출금할 경우, 카드 투입구(E)가 현금자동지급기(A)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H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휠체어에 탑승한 신체 일부가 불편한 장애우 등이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일어서지않고도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의 사용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현금자동지급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한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 및 인출할 수 있어 편리성 및 실용성을 갖도록 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내부에 현금자동지급기가 수납되는 회전부스와, 상기 회전부스가 회전구조물에 의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스케이싱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조작부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케이싱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회전부스의 하부플레이트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을 상기 절곡부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부스케이싱과, 상기 부스케이싱의 내부 바닥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 상에 회전구조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현금자동지급기가 수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조작부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을 상기 절곡부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구조물은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금융기관, 또는 휠체어 이용자가 많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의 공공기관에서, 신체 일부가 불편한 사용자들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바닥면으로부터 현금자동지급기의 소정높이에 위치한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한 후 조작부를 조작함에 따라, 보호자 등의 도움 없이도 현금자동지급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 부스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4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하부구조물의 개략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하부구조물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하부구조물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되는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b,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내부에 현금자동지급기(A)가 수납되는 회전부스(10)와, 상기 회전부스(10)가 회전구조물(60)에 의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스케이싱(20)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조작부(D)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70)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에 있어서:
상기 부스케이싱(20)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30);
상기 회전부스(10)의 하부플레이트(40)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50)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60)을 상기 절곡부(50)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50)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바퀴(C)가 올려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0) 상면까지의 높이(h)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까지의 소정높이(H)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조물(60)은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상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카드 투입구(E)에 신용카드를 투입한 후 현금자동지급기(A)의 조작부(D)를 조작하여 현금 또는 수표를 입금시키거나 출금할 수 있는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b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는,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가 내부에 수납되고 전면부가 노출되게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부스케이싱(20)이 구비되고, 상기 부스케이싱(2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스(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부스(10)는 수동 회전 또는 자동 회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스(10)는 상기 부스케이싱(2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높이가 길게 형성된 정육면체의 함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스(10) 및 상기 부스케이싱(20)의 전방 하부에는 휠체어의 발판(a)과, 휠체어 탑승자의 다리 및 휠체어의 앞바퀴(b)가 수용될 수 있는 깊이를 갖는 진입공간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A)의 조작부(D)에 용이하게 근접하여 상기 조작부(D)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스케이싱(20)의 베이스플레이트(30)에 대해 회전부스(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구조물(6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50)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50)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플레이트(40)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회전구조물(6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즉 상기 하부플레이트(40)와 절곡부(50)가 단일 철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절곡부(5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의 바퀴(C)가 올려지는 하부플레이트(40)의 상면까지의 높이(h)에 해당하는 소정높이만큼 현금자동지급기(A)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도 4b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B)에 의하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A)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까지의 높이(H)를, 도 4a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현금자동지급기(A)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까지의 높이(H1)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H 〈 H1).
따라서,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일어서지않고도 현금자동지급기(A)의 카드 투입구(E)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시킴에 따라 현금자동지급기(A)에 현금을 출금하거나 또는 입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는,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부스케이싱(100)과, 상기 부스케이싱(100)의 내부 바닥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이드레일(101)이 설치되는 베이스판(102)과, 상기 가이드레일(101)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판(103)과, 상기 슬라이드판(103) 상에 회전구조물(10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현금자동지급기(105)가 수납되는 회전플레이트(106)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06)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조작부(105a)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107)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06)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108)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104)을 상기 절곡부(108)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108)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06)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9는 상기 가이드레일(10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03)을 슬라이딩시키는 롤러이고, 110은 상기 전면패널(107)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휠체어의 발판부(a)를 수용하기 위한 진입공간부이다.
이때,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상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투입한 후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조작부(105a)를 조작하여 현금 또는 수표를 입금시키거나 출금할 수 있는 구성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106)를 베이스판(102)과 슬라이드판(103)의 레일구조에 의해 부스케이싱(10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시키는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의하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106)의 소정위치에 절곡부(108)가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06)를 슬라이드판(103)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구조물(104)(일 예로서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이 상기 절곡부(108)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판(103)과 회전플레이트(106) 사이의 갭을 줄임에 따라,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상기 현금자동지급기(105)의 카드 투입구에 신용카드를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된다.
10; 회전부스
20; 부스케이싱
30; 베이스플레이트
40; 하부플레이트
50; 절곡부
60; 회전구조물
A; 현금자동지급기
B;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C; 현금자동지급기용 바퀴
E; 카드 투입구

Claims (3)

  1. 내부에 현금자동지급기가 수납되는 회전부스와, 상기 회전부스가 회전구조물에 의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스케이싱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조작부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케이싱의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회전부스의 하부플레이트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을 상기 절곡부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2.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부스케이싱과, 상기 부스케이싱의 내부 바닥에 구비되고 상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 상에 회전구조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현금자동지급기가 수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앞쪽에 설치되어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조작부의 하부 전면을 감싸는 전면패널으로 이루어지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 소정위치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조물을 상기 절곡부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절곡부 상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바퀴가 올려지는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면까지의 높이를 줄임에 따라,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카드 투입구까지의 소정높이를 낮출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조물은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KR2020140004477U 2013-06-13 2014-06-13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KR2014000638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4784 2013-06-13
KR2020130004784 2013-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89U true KR20140006389U (ko) 2014-12-23

Family

ID=728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77U KR20140006389U (ko) 2013-06-13 2014-06-13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3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640A (zh) * 2018-10-09 2019-01-25 深圳市汇利斯通信息技术有限公司 残疾人自助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640A (zh) * 2018-10-09 2019-01-25 深圳市汇利斯通信息技术有限公司 残疾人自助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813B1 (en) Self-service terminal
KR20140006389U (ko) 휠체어 탑승자를 위한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US80207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note dispensing positions to a secure cash dispenser
US20240087393A1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US20230330292A1 (en) Automatic object data dispensing insertion system
KR101335320B1 (ko)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회전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JP2012014636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KR101881023B1 (ko) 금융자동화기기
CN209248640U (zh) 残疾人自助终端
KR102184259B1 (ko)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JPS6180492A (ja) 入出金口構造
JP6167632B2 (ja) 自動取引装置
JPH1040440A (ja) 自動機
KR20130084208A (ko)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JPH0581511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60127463A (ko) 이중 모니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작동방법
CN109272640A (zh) 残疾人自助终端
KR20190090314A (ko) 전자 도어록과 코너선반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도어 개폐장치
CN110570602B (zh) 一种用于金融交易的保障性系统及其工作方法
JP2008027204A (ja) 取引処理装置
TW200836134A (en) Terminal device of customer operation type
JP4961117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5314345A (ja) ソファー型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1060187A (ja) 物置台
JP2008097316A (ja) 自動販売機の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