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613A -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613A
KR20200008613A KR1020197037573A KR20197037573A KR20200008613A KR 20200008613 A KR20200008613 A KR 20200008613A KR 1020197037573 A KR1020197037573 A KR 1020197037573A KR 20197037573 A KR20197037573 A KR 20197037573A KR 20200008613 A KR20200008613 A KR 2020000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haft
interlock device
rotation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142B1 (ko
Inventor
요스케 나카니시
시게키 고모토
도모야 데구치
가즈히사 마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10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52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3a)는, 제1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일단부(45)를 타단부(46)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전달부(40)와, 제1 개폐기의 샤프트(10)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구비한다. 구동부(50)는, 제1 개폐기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의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와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인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본 발명은, 전로(電路, 전기 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복수의 개폐기가 동시에 폐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개폐기가 동시에 폐쇄 상태가 되는 병행 투입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인터락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1개의 개폐기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 와이어를 잡아 당김으로써 다른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규제하는 인터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5-5093호 공보
인터락 장치는, 개폐기에서 전로의 개폐 상태를 변화시키는 샤프트의 회전을 받아 동작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인터락 장치에서는, 샤프트의 회전 방향이 동일 방향인 복수의 개폐기에 적용되기 때문에, 샤프트의 회전 방향이 다른 복수의 개폐기가 있는 경우, 2종류의 인터락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개폐기의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는, 제1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에 마련된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개폐 상태 출력부와, 제2 전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입력한 경우에, 제1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저지하는 폐쇄 상태 저지부를 구비한다. 개폐 상태 출력부는, 제1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일단부를 타단부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전달부와, 샤프트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달부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제1 개폐기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는 경우의 샤프트의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와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인 경우에 전달부의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기의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기의 개방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기의 폐쇄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터락 장치가 장착된 개방 상태의 개폐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의 제1 개폐기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와 제2 인터락 장치와의 연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의 제2 인터락 장치가 장착된 제2 개폐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개폐기와 메인 샤프트가 역회전하는 2개의 개폐기와, 2개의 인터락 장치를 포함하는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기에 제1 인터락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기의 개방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개폐기에 장착된 제1 인터락 장치와 제2 개폐기에 장착된 제2 인터락 장치와의 연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다른 형상의 연동 플레이트를 가지는 제1 인터락 장치의 개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1 개폐기가 폐쇄 상태로 이행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가 측면에 장착된 개방 상태의 제1 개폐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XI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내는 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의 제1 개폐기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의 제1 개폐기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의 제1 개폐기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구동 플레이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구동 플레이트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1)은, 제1 계통 및 제2 계통을 포함하는 복수 계통의 미도시의 전로(電路, 전기회로)에 접속되고, 각 계통의 전로의 개폐를 행한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Z축 정(正)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하고, Z축 부(負)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하고, X축 정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하고, X축 부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하고, Y축 정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하고, Y축 부방향을 후방 방향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시스템(1)은, 제1 계통의 전로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2a)와, 제2 계통의 전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기(2b)와, 제1 개폐기(2a)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개폐기(2b)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 인터락 장치(3b)를 구비한다.
제1 개폐기(2a) 및 제2 개폐기(2b)는, 대기 중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차단기이며, 기중(氣中) 차단기라고도 불린다. 또, 제1 개폐기(2a) 및 제2 개폐기(2b)는, 전로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기이면 좋고, 기중 차단기 이외의 개폐기라도 괜찮다. 또, 제1 인터락 장치(3a) 및 제2 인터락 장치(3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계식의 인터락 장치이다.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인터락 장치(3b)는, 연결 부재인 제1 와이어 케이블(4a) 및 제2 와이어 케이블(4b)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 와이어 케이블(4a)은,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제2 인터락 장치(3b)에 전달하고, 제2 와이어 케이블(4b)은, 제2 개폐기(2b)의 개폐 상태를 제1 인터락 장치(3a)에 전달한다.
제1 와이어 케이블(4a) 및 제2 와이어 케이블(4b)은, 내부의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제1 개폐기(2a) 및 제2 개폐기(2b)의 개폐 상태를 전달하는 와이어 케이블이지만, 제1 개폐기(2a) 및 제2 개폐기(2b)의 개폐 상태의 전달은, 와이어 케이블 이외의 부재에 의해서 행해도 괜찮다.
또, 이하에서, 제1 개폐기(2a) 및 제2 개폐기(2b)를 구별하지 않고 개폐기(2)로 기재하고, 제1 인터락 장치(3a) 및 제2 인터락 장치(3b)를 구별하지 않고 인터락 장치(3)로 기재하며, 제1 와이어 케이블(4a) 및 제2 와이어 케이블(4b)을 구별하지 않고 와이어 케이블(4)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개폐기(2)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개폐기(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인터락 장치(3)가 장착된 개방 상태의 개폐기(2)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개폐기(2)가 개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는, 개폐기(2)가 폐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 도 5에서는, 인터락 장치(3)로서 제1 인터락 장치(3a)가 나타내어지고, 개폐기(2)로서 제1 개폐기(2a)가 나타내어져 있다.
개폐기(2)의 「폐쇄 상태」는, 전로가 폐쇄 상태로 되어 개폐기(2)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는 상태이며, 투입 상태 또는 온 상태라고도 불린다. 또, 개폐기(2)의 「개방 상태」는, 전로가 개방 상태로 되어 개폐기(2)에 의해서 전로의 전류가 차단되는 상태이며, 개방 상태 또는 오프 상태라고도 불린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2)는, 메인 샤프트(10)를 가지는 개폐 기구부(11)를 구비하고 있고, 개폐 기구부(11)에서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로의 개폐를 행한다. 이하에서,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에 대한 기재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폐기(2)를 좌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개폐 기구부(11)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자 기구에 의해서 메인 샤프트(1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지만, 스프링식의 기구에 의해서 메인 샤프트(10)를 회전시키는 구성 또는 그 외의 구성이라도 좋다. 또, 전로의 개폐를 위한 개폐 기구는 주지(周知)이기 때문에, 개폐 기구부(11)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폐기(2)는, 일단부(121)가 메인 샤프트(10)에 축지지되는 제1 링크(12)와, 일단부(131)가 제1 링크(12)의 타단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132)에 링크 핀(13a)이 형성된 제2 링크(13)와, 제2 링크(13)의 타단부(132)에 링크 핀(13a)에 의해 축지지되어 링크 핀(13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자(14)를 구비한다. 가동자(14)는, 일단부(141)에 가동 접점(14a)을 가진다.
또, 개폐기(2)는, 미도시의 전원측 도체에 접속되고, 고정 접점(15a)을 가지는 전원측 고정 도체(15)와, 미도시의 부하측 도체에 접속되는 부하측 고정 도체(16)와, 일단부(171)가 가동자(14)의 타단부(142)에 접속되고, 타단부(172)가 부하측 고정 도체(16)에 접속된 가요(可撓) 도체(17)와, 링크 핀(13a)을 중심으로 하여 가동자(14)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접압(接壓) 스프링(18)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개폐기(2)는 개방 상태이며, 고정 접점(15a)에 가동 접점(14a)이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인 경우, 개폐기(2)에 의해서 전로의 전류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개폐기(2)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개폐 기구부(11)로부터의 힘을 받아 메인 샤프트(10)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샤프트(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제1 링크(12) 및 제2 링크(13)가 구동되고, 제1 링크(12)와 제2 링크(13)가 직선 모양으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제1 링크(12) 및 제2 링크(13)의 구동에 의해서, 가동자(14)가 고정 접점(15a)으로 향하여 이동하여, 가동자(14)에 형성된 가동 접점(14a)이 고정 접점(15a)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14a)이 고정 접점(15a)에 접촉할 때, 접압 스프링(18)은, 가동 접점(14a)과 고정 접점(15a)과의 사이에 접촉 압력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전원측 도체와 부하측 도체와의 도통 상태가 유지되어, 전원측 도체와 부하측 도체를 포함하는 전로에 전류가 흐른다.
또, 개폐기(2)는,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락 장치(3)의 인터락 플레이트(73)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개폐기(2)의 하우징(6) 내로부터 하우징(6) 밖으로 연신(延伸)하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에 축지지되고, 인터락 플레이트(73)와 함께 회전하는 트립(trip) 플레이트(22)와, 트립 플레이트(22)에 의해 구동되고, 개폐 기구부(11)의 미도시의 래치를 잡아당겨 개폐기(2)를 트립시키는 트립 바(23)를 구비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2)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인터락 장치(3)에 의해서 트립 플레이트(22)가 회전되면, 메인 샤프트(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기(2)가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0)는, 개폐기(2)의 하우징(6) 내로부터 하우징(6) 밖으로 연신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터락 장치(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인터락 장치(3a)의 구성을 주로 설명하지만, 인터락 장치(3b)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인터락 장치(3a)는,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개폐 상태 출력부(31)와, 제2 개폐기(2b)의 폐쇄 상태를 입력한 경우에, 제1 개폐기(2a)의 폐쇄 상태를 저지하는 폐쇄 상태 저지부(32)와, 개폐 상태 출력부(31) 및 폐쇄 상태 저지부(32)를 덮는 케이스부(33)를 구비한다.
개폐 상태 출력부(31)는, 일단부(45)가 제1 와이어 케이블(4a)의 와이어(5a)에 접속되고, 타단부(46)의 이동에 따라서 일단부(45)가 이동하는 전달부(40)와, 제1 개폐기(2a)에서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구비한다.
전달부(40)는, 일단부(411)가 와이어(5a)에 접속된 와이어 서포트(41)와, 일단부(421)가 와이어 서포트(41)의 타단부(412)에 연결 핀(4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동 플레이트(42)와, 케이스부(33)에 고정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중도부를 축지지하는 샤프트(44)를 구비한다. 와이어 서포트(41)의 일단부(411)가 전달부(40)의 일단부(45)이며,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전달부(40)의 타단부(46)이다.
또, 전달부(40)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달부(40)는, 와이어 서포트(41)를 마련하지 않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에 와이어(5a)를 직접 접속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전달부(40)는, 연동 플레이트(42)를 포함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전달부(40)는,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타단부(46)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부(45)가 이동하는 구성이면 좋다.
구동부(50)는, 메인 샤프트(10)에 의해 구동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서 메인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와,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려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제1 작동부(52)와,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려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제2 작동부(53)를 구비한다. 또,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내는 구동 플레이트(51)의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제1 작동부(52)는, 전달부(40)의 타단부(46)에 고정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리는 작동 핀(61)이다. 작동 핀(61)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가 샤프트(44)를 반시계 방향으로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개폐기(2a)의 폐쇄 상태로의 이행이 구동부(50) 및 전달부(40)를 통해서 와이어(5a)에 전달된다.
제2 작동부(53)는,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리는 작동 핀(62)과, 케이스부(33)에 고정된 샤프트(63)와, 일단부(641)에 작동 핀(62)이 고정되고, 또한, 중도부가 샤프트(63)에 의해서 축지지되는 연동 플레이트(64)를 구비한다.
연동 플레이트(64)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동 플레이트(64)의 타단부(642)는, 연동 플레이트(64)가 샤프트(6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에 접촉한다.
폐쇄 상태 저지부(32)는, 제2 와이어 케이블(4b)의 와이어(5b)에 접속된 와이어 서포트(71)와, 와이어 서포트(71)에 고정되고, 제1 개폐기(2a)를 향해서 연신하는 트립 핀(72)과, 제1 개폐기(2a)의 샤프트(21)에 장착되는 인터락 플레이트(73)를 구비한다. 트립 핀(72)이 이동하여 인터락 플레이트(73)를 미는 것에 의해, 제1 개폐기(2a)의 샤프트(21)가 회전하고 제1 개폐기(2a)가 트립하여 개방 상태가 된다. 또,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6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인터락 플레이트(73)의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인터락 장치(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1 개폐기(2a)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제1 인터락 장치(3a)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인터락 장치(3b)와의 연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의 제2 인터락 장치(3b)가 장착된 제2 개폐기(2b)의 정면도이다. 또,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인터락 장치(3b)를 Y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제1 개폐기(2a)가 도 6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할 때에, 제1 개폐기(2a)의 메인 샤프트(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메인 샤프트(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플레이트(51)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 핀(61)이 밀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작동 핀(61)이 고정되어 있는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에 연결된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진다.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지면, 와이어 서포트(41)에 고정된 와이어(5a)도 끌어 내려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인터락 장치(3a)에서 와이어(5a)가 끌어 내려지면, 제2 인터락 장치(3b)에서 와이어 서포트(71)에 접속된 와이어(5a)가 끌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인터락 장치(3b)에서, 트립 핀(72)이 장착된 와이어 서포트(71)가 끌어 올려지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립 핀(72)에 의해서 인터락 플레이트(73)의 선단부가 밀어 올려진다.
인터락 플레이트(73)의 선단부가 밀어 올려지면, 인터락 플레이트(73)가 샤프트(2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인터락 플레이트(73)의 회전에 의해, 인터락 플레이트(73)에 샤프트(21)에서 연결된 제2 개폐기(2b)의 트립 플레이트(2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립 플레이트(22)의 회전에 의해서 도 7에 나타내는 트립 바(23)가 회전하고, 트립 바(23)의 회전에 의해서 개폐 기구부(11)의 래치가 떼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2 개폐기(2b)를 폐쇄 상태로 하는 투입 동작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제1 개폐기(2a)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서, 제2 개폐기(2b)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1 개폐기(2a)가 투입되면, 제2 개폐기(2b)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개폐기(2b)가 투입되면, 제1 개폐기(2a)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1)에서는, 2개의 개폐기(2) 사이에서, 일방의 개폐기(2)가 투입되면, 타방의 개폐기(2)는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개폐기(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폐기에 인터락 장치(3)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개폐기(2)와 메인 샤프트(10)가 역회전하는 2개의 개폐기와, 2개의 인터락 장치(3a, 3b)를 포함하는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기에 제1 인터락 장치(3a)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기의 개방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개폐 시스템(1A)에서는, 제1 인터락 장치(3a)가 제1 개폐기(7a)에 장착되고, 제2 인터락 장치(3b)가 제2 개폐기(7b)에 장착된다.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인터락 장치(3b)는, 제1 와이어 케이블(4a) 및 제2 와이어 케이블(4b)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 개폐기(7a)와 제2 개폐기(7b)는 동일한 구성이며, 이하, 제1 개폐기(7a) 및 제2 개폐기(7b)를 구별하지 않고 개폐기(7)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제1 개폐기(7a)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가 될 때, 메인 샤프트(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개폐기(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1 개폐기(7a)에 장착된 제1 인터락 장치(3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제1 개폐기(7a)에 장착된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개폐기(7b)에 장착된 제2 인터락 장치(3b)와의 연동 동작의 설명도이다. 또,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인터락 장치(3a)와 제2 인터락 장치(3b)를 Y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폐기(7a)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할 때에, 제1 개폐기(7a)의 메인 샤프트(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샤프트(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플레이트(51)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플레이트(51)의 회전에 의해, 구동 플레이트(51)이 작동 핀(62)을 전방향으로 향하여 밀기 때문에, 작동 핀(62)이 샤프트(6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작동 핀(62)이 장착된 연동 플레이트(64)가 샤프트(6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동 플레이트(6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동 플레이트(64)의 타단부(642)가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밀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에 연결된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진다.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지면, 와이어 서포트(41)에 고정된 와이어(5a)도 끌어 내려진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인터락 장치(3a)에서 와이어(5a)가 끌어 내려지면, 제2 인터락 장치(3b)에서 와이어 서포트(71)에 접속된 와이어(5a)가 끌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제2 인터락 장치(3b)에서, 트립 핀(72)이 장착된 와이어 서포트(71)가 끌어 올려지고, 트립 핀(72)에 의해서 인터락 플레이트(73)의 선단부가 밀어 올려진다.
제2 개폐기(7b)에서, 인터락 플레이트(73)의 선단부가 밀어 올려지면, 인터락 플레이트(73)가 샤프트(2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인터락 플레이트(73)의 회전에 의해, 인터락 플레이트(73)에 샤프트(21)에서 연결된 제2 개폐기(7b)의 트립 플레이트(2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립 플레이트(22)의 회전에 의해서 트립 바(23)가 회전하고, 트립 바(23)의 회전에 의해서 개폐 기구부(11)의 래치가 떼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2 개폐기(7b)를 폐쇄 상태로 하는 투입 동작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제1 개폐기(7a)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서, 제2 개폐기(7b)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1 개폐기(7a)가 투입되면, 제2 개폐기(7b)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개폐기(7b)가 투입되면, 제1 개폐기(7a)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1A)에서는, 2개의 개폐기(7) 사이에서, 일방의 개폐기(7)가 투입되면, 타방의 개폐기(7)은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인터락 장치(3)는,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다른 개폐기(2) 및 개폐기(7)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해도, 일방의 개폐기가 폐쇄 상태인 경우에 타방의 개폐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연동 플레이트(64)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 플레이트(64)의 연신 부분(65)을 따른 방향으로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밀 수 있다. 그 때문에,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로 가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연동 플레이트(64)를 효율적으로 밀 수 있다.
또, 연동 플레이트(64)의 형상은 U자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도 6에 나타내는 연동 플레이트(64)와 다른 형상의 연동 플레이트(64)를 가지는 제1 인터락 장치(3a)의 개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1 개폐기(7a)가 폐쇄 상태로 이행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락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연동 플레이트(64)는, L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부(641)에 작동 핀(62)이 고정되고, 굴곡 부분인 중도부가 샤프트(63)에 의해서 축지지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 플레이트(64)는, 도 14에 나타내는 연동 플레이트(6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 플레이트(51)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6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 플레이트(64)의 타단부(642)가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연동 플레이트(64)를 L자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4에 나타내는 연동 플레이트(64)에 비해, 샤프트(63)의 위치를 상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33)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동 플레이트(64)는, U자 모양이라도 L자 모양이라도 좋고, 또, U자 모양 및 L자 모양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연동 플레이트(64)는, 삼각형 모양이라도 좋다. 즉, 연동 플레이트(64)는, 구동 플레이트(51)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생기는 작동 핀(62)의 이동에 의해서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밀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또, 상술한 인터락 장치(3)에서는,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밀어 올려지는 구성이지만, 제2 작동부(53)는, 구동 플레이트(51)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면 좋다.
또, 인터락 장치(3)는,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제1 작동부(52)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가 밀리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에 제2 작동부(53)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가 밀리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인터락 장치(3)는,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에 제1 작동부(52)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가 밀리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제2 작동부(53)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가 밀리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제1 인터락 장치(3a)는, 제1 전로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2a)에 마련된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개폐 상태 출력부(31)와, 제2 전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기(2b)의 폐쇄 상태를 입력한 경우에, 제1 개폐기(2a)의 폐쇄 상태를 저지하는 폐쇄 상태 저지부(32)를 구비한다. 개폐 상태 출력부(31)는,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일단부(45)를 타단부(46)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전달부(40)와, 제1 개폐기(2a)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구비한다. 구동부(50)는, 제1 개폐기(2a)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하는 경우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일방인 제1 방향인 경우와 타방인 제2 방향인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개폐기(2a)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제2 인터락 장치(3b)로 출력하고, 제2 인터락 장치(3b)에 의해서 제2 개폐기(2b)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구동부(50)는, 메인 샤프트(10)에 구동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와,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려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제1 작동부(52)와,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려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제2 작동부(5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 작동부(52)와 제2 작동부(53)에 의해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을 전달부(40)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작동부(52)를 가지는 인터락 장치에 제2 작동부(53)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서 인터락 장치(3)의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락 장치(3)의 설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작동부(52)는, 전달부(40)의 타단부(46)에 고정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리는 제1 작동 핀의 일 예인 작동 핀(61)을 포함한다. 제2 작동부(53)는,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제2 방향인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51)에 밀리는 제2 작동 핀의 일 예인 작동 핀(62)과, 일단부(641)에 작동 핀(62)이 고정되고, 또한, 중도부가 샤프트(63)에 축지지되어 있고, 작동 핀(62)의 이동에 따라서 샤프트(6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타단부(642)가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밀어 이동시키는 연동 플레이트(64)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작동부(53)를 단순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인터락 장치(3)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동 플레이트(64)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연동 플레이트(64)를 U자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 플레이트(64)의 연신 부분(65)을 따른 방향으로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를 밀 수 있기 때문에,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로 가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연동 플레이트(64)를 효율적으로 밀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는, 구동부(50)의 구성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의 인터락 장치(3)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가 측면에 장착된 개방 상태의 제1 개폐기(2a)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XI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에 나타내는 XX-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제2 개폐기(2b)에도 마찬가지로,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3c)와 동일 구성을 가지는 미도시의 인터락 장치(3d)가 장착된다. 인터락 장치(3c)와 인터락 장치(3d)와의 관계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인터락 장치(3a)와 인터락 장치(3b)와 동일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3c)는, 제1 개폐기(2a)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개폐 상태 출력부(31A)와, 제2 개폐기(2b)의 폐쇄 상태를 입력한 경우에, 제1 개폐기(2a)의 폐쇄 상태를 저지하는 폐쇄 상태 저지부(32)와, 개폐 상태 출력부(31A) 및 폐쇄 상태 저지부(32)를 덮는 케이스부(33A)를 구비한다. 케이스부(33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케이스부(33)와 외형이 다르다.
개폐 상태 출력부(31A)는, 전달부(40)와, 개폐기(2)에서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근거하여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A)를 구비한다. 구동부(50A)는, 메인 샤프트(10)에 의해 구동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서 메인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A)와, 전달부(40)의 타단부(46)에 고정되고, 회전한 구동 플레이트(51A)에 의해서 밀리는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작동 핀(61)을 구비한다. 구동 플레이트(51A)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 부분(82)을 선단으로 하고, 기단이 메인 샤프트(10)에 고정된다. 또,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8 등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구동 플레이트(51A)의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제1 개폐기(2a)에 접속된 인터락 장치(3c)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제1 개폐기(2a)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제1 인터락 장치(3c) 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개폐기(2a)가 도 19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할 때에, 제1 개폐기(2a)의 메인 샤프트(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메인 샤프트(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플레이트(51A)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A)에 의해서 작동 핀(61)이 밀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작동 핀(61)이 고정되어 있는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에 연결된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진다.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지면, 와이어 서포트(41)에 고정된 와이어(5a)도 끌어 내려진다. 또, 와이어(5a)가 끌어내려졌을 때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개폐기(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개폐기(7a)에 접속된 인터락 장치(3c)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개방 상태의 제1 개폐기(7a)에 장착된 제1 인터락 장치(3c)의 단면도이며, 도 23은, 제1 개폐기(7a)가 폐쇄 상태로 된 경우에서의 제1 인터락 장치(3c)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제2 개폐기(7b)에도 마찬가지로, 인터락 장치(3c)가 장착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개폐기(7a)에 장착되는 인터락 장치(3c)는, 제1 개폐기(2a)에 장착되는 경우와,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 위치가 다르다. 즉, 구동 플레이트(51A)는, 제1 개폐기(2a)에 장착되는 경우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0)의 외주 둘레의 위치 중 선단인 원호 부분(82)이 후방을 향하는 제1 위치에 장착된다. 한편, 구동 플레이트(51A)는, 제1 개폐기(7a)에 장착되는 경우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10)의 외주 둘레의 위치 중 원호 부분(82)이 전방을 향하는 제2 위치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인터락 장치(3c)는, 제1 개폐기(2a)에 장착되는 경우와, 제1 개폐기(7a)에 장착되는 경우에, 개방 상태에서의 메인 샤프트(10)의 외주로의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 위치가 다르다. 또, 미도시의 인터락 장치(3d)가 제2 개폐기(2b, 7b)에 장착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개방 상태에서의 메인 샤프트(10)로의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 위치가 다르다. 또,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 위치는, 메인 샤프트(10)의 외주 둘레의 장착 각도라고 할 수도 있다.
제1 개폐기(7a)가 도 22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할 때에, 제1 개폐기(7a)의 메인 샤프트(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메인 샤프트(10)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플레이트(51A)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A)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 핀(61)이 밀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작동 핀(61)이 고정되어 있는 연동 플레이트(42)의 타단부(422)가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가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 플레이트(42)의 일단부(421)에 연결된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진다. 와이어 서포트(41)가 끌어 내려지면, 와이어 서포트(41)에 고정된 와이어(5a)도 끌어 내려진다. 또, 와이어(5a)가 끌어내려졌을 때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개폐 시스템(1A)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3c)는, 메인 샤프트(10)에 장착되는 구동 플레이트(51A)의 형상에 특징을 가진다. 구동 플레이트(51A)를 부채꼴 모양으로 함으로써, 작동 핀(61)에서의 메인 샤프트(10)로부터의 거리를 구동 플레이트(51A)의 직선 부분(81, 83)에서 급격히 변화시키고, 원호 부분(82)에서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5a)의 끌어내림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또, 구동 플레이트(51A)를 부채꼴 모양으로 함으로써,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어느 경우에도, 구동 플레이트(51A)가 작동 핀(61)을 밀어 올린다. 그 때문에,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제1 개폐기(2a, 7a)의 폐쇄 상태가 제2 개폐기(2b, 7b)로 전달되어 제2 개폐기(2b, 7b)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메인 샤프트(10)로의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은, 예를 들면, 메인 샤프트(10)의 둘레 방향이 다른 복수의 개소에 키(key) 홈을 마련하고, 이러한 키 홈 중 어느 하나에 구동 플레이트(51A)의 볼록부를 감합(嵌合)시킴으로써,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메인 샤프트(10)로의 구동 플레이트(51A)의 장착은, 키 홈 이외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또, 구동 플레이트(51A)의 형상은, 부채꼴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4 및 도 25는, 구동 플레이트(51A)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구동 플레이트(51A)는 타원 형상을 가지고 있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위치가 개방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상태의 위치로 가까워질수록, 작동 핀(61)에서의 메인 샤프트(10)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A)의 회전에 의해서 작동 핀(6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구동 플레이트(51A)는, 2개의 부채꼴 모양부(84, 85)가 일체가 된 형상이며, 일방의 부채꼴 모양부(84)의 원호 부분(86)은 후방을 향하고 있고, 타방의 부채꼴 모양부(85)의 원호 부분(87)은 전방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어떠한 경우에도, 구동 플레이트(51A)가 작동 핀(6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또, 이 경우, 구동 플레이트(51A)의 메인 샤프트(10)로의 장착 위치를 바꾸지 않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어떠한 경우에도, 구동 플레이트(51A)가 작동 핀(6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달부(40)는, 도 19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 핀(61)에 의해서 타단부(46)가 이동하고, 타단부(46)의 이동에 연동하여 일단부(45)가 이동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인터락 장치(3c)의 구동부(50A)는, 제1 개폐기(2a)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되는 경우의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와 반시계 방향인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50A)는, 메인 샤프트(10)에 기단부가 장착되고, 메인 샤프트(1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51A)와, 전달부(40)의 타단부(46)에 고정되고, 회전한 구동 플레이트(51A)에 의해서 밀린 경우에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는 작동 핀(61)을 구비한다. 구동 플레이트(51A)는, 메인 샤프트(10)의 제1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메인 샤프트(1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키고, 메인 샤프트(10)의 제2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메인 샤프트(1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전달부(40)의 타단부(46)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51A)의 메인 샤프트(10)로의 장착 위치를 바꿈으로써, 메인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이 어떠한 경우에도, 구동 플레이트(51A)가 작동 핀(6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또, 구동 플레이트(51A)를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작동 핀(61)에서의 메인 샤프트(10)로부터의 거리를 구동 플레이트(51A)의 직선 부분(81, 83)에서 급격히 변화시키고, 원호 부분(82)에서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5a)의 끌어내림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1A : 개폐 시스템 2, 2a, 2b, 7, 7a, 7b : 개폐기
3, 3a, 3b, 3c : 인터락 장치 4, 4a, 4b : 와이어 케이블
5a, 5b : 와이어 6 : 하우징
7, 7a, 7b : 개폐기 10 : 메인 샤프트
11 : 개폐 기구부 12 : 제1 링크
13 : 제2 링크 13a : 링크 핀
14 : 가동자 14a : 가동 접점
15 : 전원측 고정 도체 15a : 고정 접점
16 : 부하측 고정 도체 17 : 가요 도체
18 : 접압 스프링 20 : 인터락 플레이트
21, 44, 63 : 샤프트 22 : 트립 플레이트
23 : 트립 바 31, 31A : 개폐 상태 출력부
32 : 폐쇄 상태 저지부 33 : 케이스부
40 : 전달부 41, 71 : 와이어 서포트
42, 64 : 연동 플레이트 43 : 연결 핀
45, 65, 121, 131, 141, 171, 411, 421, 641 : 일단부
46, 66, 122, 132, 142, 172, 412, 422, 642 : 타단부
50, 50A : 구동부 51, 51A : 구동 플레이트
52 : 제1 작동부 53 : 제2 작동부
61, 62 : 작동 핀 72 : 트립 핀
81, 83 : 직선 부분 82, 86, 87 : 원호 부분
84, 85 : 부채꼴 모양부

Claims (7)

  1. 제1 전로(電路)를 개폐하는 제1 개폐기에 마련된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개폐 상태 출력부와,
    제2 전로를 개폐하는 제2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입력한 경우에, 상기 제1 개폐기의 폐쇄 상태를 저지하는 폐쇄 상태 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 상태 출력부는,
    상기 제1 개폐기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일단부를 타단부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전달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에 근거하여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개폐기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가 되는 경우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이 제1 방향인 경우와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인 경우에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에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밀려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제1 작동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에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밀려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제2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는,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의 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인 경우에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의해 밀리는 제1 작동 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작동부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의 방향이 상기 제2 방향인 경우에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의해 밀리는는 제2 작동 핀과,
    일단부에 상기 제2 작동 핀이 고정되고, 또한, 중도부가 축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작동 핀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중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타단부가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밀어 이동시키는 연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동 플레이트는,
    U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샤프트에 기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에 고정되고, 회전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의해서 밀린 경우에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작동 핀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의 제1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의 제2 위치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인 제1 인터락 장치와,
    상기 제1 인터락 장치에 연결 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제2 인터락 장치와,
    상기 제1 개폐기와,
    상기 제2 개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시스템.
KR1020197037573A 2017-07-24 2017-07-24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KR102222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6731 WO2019021351A1 (ja) 2017-07-24 2017-07-24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および開閉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613A true KR20200008613A (ko) 2020-01-28
KR102222142B1 KR102222142B1 (ko) 2021-03-04

Family

ID=6504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573A KR102222142B1 (ko) 2017-07-24 2017-07-24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07202B2 (ko)
KR (1) KR102222142B1 (ko)
CN (1) CN110914946B (ko)
TW (1) TWI662574B (ko)
WO (1) WO20190213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23A (ja) * 1993-12-27 199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5005093A (ja) 2003-06-11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9037997A (ja) * 2007-07-06 2009-02-19 Ricoh Co Ltd スイッチ作動装置およびインターロック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98626A (ko) * 2016-02-22 2017-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4777A (en) * 1996-03-29 1998-09-29 Siemens Energy & Automation,Inc. Cable interlock system for circuit breakers
US6437261B1 (en) * 1998-12-07 2002-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rlock for use in an electric motor handle and contactor combination
JP2001135203A (ja) * 1999-11-04 2001-05-18 Terasak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8552318B2 (en) * 2010-11-12 2013-10-08 Schneider Electric USA, Inc. Rotary interlock mechanism for electrical switches
US9327601B2 (en) * 2012-09-05 2016-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voltage interlock loop (“HVIL”) switch having a reed relay
CN105284025B (zh) * 2013-05-31 2018-01-23 三菱电机株式会社 断路器的联锁显示系统以及断路器
JP5422086B1 (ja) * 2013-07-12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US9312082B2 (en) * 2013-12-12 2016-04-12 Abb Technology Ag Mechanical interlock structure for switchgear
CN204189692U (zh) * 2014-09-28 2015-03-04 珠海许继电气有限公司 一种应用于开关设备的联锁装置
BR112017013745A2 (pt) * 2014-12-24 2018-03-13 Abb Schweiz Ag unidade de desarme de um conjunto de comutação
CN204497096U (zh) * 2015-04-29 2015-07-22 浙江中讯电子有限公司 一种组合开关用互锁机构
CN106449302B (zh) * 2015-08-04 2019-07-12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断路器联锁组件
CN205645602U (zh) * 2016-04-26 2016-10-12 乐清致轩电气有限公司 一种断路器联锁机构的联锁装置
CN206022147U (zh) * 2016-09-18 2017-03-1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一种机械连锁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23A (ja) * 1993-12-27 199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5005093A (ja) 2003-06-11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9037997A (ja) * 2007-07-06 2009-02-19 Ricoh Co Ltd スイッチ作動装置およびインターロック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98626A (ko) * 2016-02-22 2017-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142B1 (ko) 2021-03-04
CN110914946A (zh) 2020-03-24
JP6707202B2 (ja) 2020-06-10
TWI662574B (zh) 2019-06-11
WO2019021351A1 (ja) 2019-01-31
JPWO2019021351A1 (ja) 2019-11-07
TW201909221A (zh) 2019-03-01
CN110914946B (zh)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4284A (en) Device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lockout of a remote control unit for a modular circuit breaker
JP5070178B2 (ja) スイッチギヤ
US8319132B2 (en) Load-break switch
CZ2002237A3 (cs) Spínací pojistná jednotka
US678817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osing of a power circuit breaker
EP1213739B1 (en) Electrically opera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US9685283B2 (en) Interlock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1042866B1 (ko) 플러그인 전기 장치의 잠금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스위치기어 장치, 회로 차단기 및 전기 분리 캐리지
CN108074774B (zh) 用于接地开关的凸轮选择器
KR20200008613A (ko) 개폐기의 인터락 장치 및 개폐 시스템
CN108511292B (zh) 电动操作装置的挂锁机构
CN108022775A (zh) 空气断路器的集成互锁装置及其使用方法
EP2736064A1 (en)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US7091432B2 (en) Power circuit breaker
KR101283648B1 (ko) 가스절연차단기의 접점 위치결정스위치
EP3273460A1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KR100323738B1 (ko)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CN211858450U (zh) 用于开关柜的联锁装置以及包括该联锁装置的开关柜
KR20030052033A (ko) 3-way 조작기의 오버런(overrun) 방지장치
CN106469622B (zh) 用于操纵开关的装置和具有该装置的驱动发动机
KR100553312B1 (ko) 자동 퓨즈 스위치 장치
KR20180020488A (ko) 회로차단기
KR20210149388A (ko) 회로 차단기용 원격조작장치
JPH087717A (ja) 開閉装置の操作機構
JP2007265678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