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996A -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996A
KR20010025996A KR1019990037122A KR19990037122A KR20010025996A KR 20010025996 A KR20010025996 A KR 20010025996A KR 1019990037122 A KR1019990037122 A KR 1019990037122A KR 19990037122 A KR19990037122 A KR 19990037122A KR 20010025996 A KR20010025996 A KR 2001002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slider
plate
wire rope
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738B1 (ko
Inventor
정성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9003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738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중차단기가 투입되었을 때에는 배전반 도어 패널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배전반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기중차단기가 트립 상태를 유지하여 재투입이 불가능해지도록 한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기 일측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단에 고정되고 배전반의 도어 패널부분에 위치되어 도어 패널의 개폐에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프와 슬라이더를 함께 이동시키는 작동핀과, 상기 플레이트와 차단기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드의 이동시 스토퍼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차단기의 트립레버를 트립시키는 트립링크로 구성되어 배전반의 도어 패널이 열리면 슬라이더와 스토퍼가 상승하면서 트립레버를 회전시켜 차단기를 트립시킴은 물론 차단기가 트립상태로 고정되게한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이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sajety device of crane-typ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로 부터의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중차단기가 투입되었을 때에는 배전반 도어 패널(Panel)을 열지 못하도록 배전반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기중차단기가 트립(Trip) 상태를 유지하여 재투입이 불가능해 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배전반 안에 설치되며, 기중차단기가 투입되어 있을 때 배전반 도어 패널이 열리면 감전사고 등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기중차단기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 패널을 열지 못하도록 하는 인터록(Interlock)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종래 장치는 기중차단기(13)의 일측에 고정된 플레이트(1)와, 상기 플레이트에 힌지핀(3)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의 핀(4)이 차단기의 메인 샤프트(도시는 생략함)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2)와, 상기 링크에 항상 일방향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5)과, 상기 링크에 클램프 너트(6)로 일단이 고정되어 링크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 로프(7)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반대측 끝단에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에 이동에 따라 함께 연동하는 걸림핀(8)과, 배전반 도어 패널(12)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공(10)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9)과,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고 이동을 안내하여 주는 튜브(1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중차단기가 투입되면 차단기의 메인 샤프트가 회전을 함과 동시에 플레이트(1)에 설치되어 일단부의 핀(4)이 메인 샤프트의 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2)가 힌지핀(3)을 축으로 하여 실선위치에서 일점쇄선 위치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클램프 너트(6)에 의해 일단이 링크(2)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7)는 링크(2)의 회전운동에 따라 도면상 상방으로 일정거리(약 10mm) 만큼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2)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 로프(7)가 이동을 하면 와이어 로프(7)의 끝단에 설치된 걸림핀(8)이 브라켓(9)의 걸림공(10)으로 삽입되어 자물쇠의 역할을 하므로 배전반의 도어 패널(12)을 열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차단기가 트립작동을 하면 메인 샤프트의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2)가 원위치(실선위치)로 복귀하면서 걸림핀(8)이 걸림공(10)으로부터 빠져나와 도어 패널(12)은 개방가능한 상태로 되며, 스프링(5)은 링크(2)의 원위치 복귀작동을 용이하게 하여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기중차단기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의 도어 패널(12)을 열 수 없게 하는 기능은 있지만, 도어 패널(12)을 열고 있는 상태에서 차단기를 투입하는 경우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즉, 도어 패널(12)을 열고 있는 상태에서는 차단기가 투입되지 않아야 안전하지만, 종래 장치는 도어 패널을 열고 있는 상태에서도 차단기를 투입하면 통전이 되기 때문에 감전사고등을 당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의 도어를 열고 있는 동안에는 기중차단기가 항시 트립 상태를 유지하고 투입이 되지 않는 구조의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단기 일측에 설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단에 고정되고 배전반의 도어 패널 부분에 위치되어 도어 패널의 개폐에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프와 슬라이더를 함께 이동시키는 작동핀과, 상기 플레이트와 차단기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이동시 스토퍼와 접속하면서 회전하여 차단기의 트립레버를 트립시키는 트립링크로 구성된 기중 차단기의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의 일부확대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플레이트 31 : 슬라이더
32 : 스토퍼 33 : 장공
34 : 스프링 35 : 와이어 로프
36 : 작동핀 38 : 압축 스프링
39 : 트립링크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기중 차단기(13)의 일측에 플레이트(2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21)에는 링크(22)가 힌지핀(23)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22)의 일단부 핀(24)은 차단기 메인 샤프트의 레버와 연결되어 있고 링크(22)는 스프링(25)에 의해 힌지핀(23)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는다.
상기 링크(22)에는 와이어 로프(27)의 일단이 클램핑 너트(26)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로프(27)의 반대측 끝단에는 걸림핀(28)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22)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 로프(27)는 일정거리 만큼 이동을 하며 와이어 로프(27)가 밀려날 때 걸림핀(28)은 배전반 도어 패널(12)에 고정된 브라켓(29)의 걸림공(30)으로 삽입되어 도어 패널(12)을 열 수 없도록 자물쇠 역할을 하여준다.
상기 링크(22)의 상방에는 슬라이더(31)가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31)에 고정된 스토퍼(32)는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장공(33)을 통해 끼워져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32)와 플레이트(21)의 하단면 사이에는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1)에는 와이어로프(35)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 로프(35)의 반대측 끝단에는 작동핀(3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핀(36)은 브라켓(37)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7)과 작동핀(36)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38)은 슬라이더(31)의 스토퍼(32)와 플레이트(2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4)보다 탄성력이 크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핀(36)이 외부의 힘에 의해 눌려지면 압축스프링(38)이 압축되면서 와이어 로프(35)가 후진하고 슬라이더(31)는 하강하여 스토퍼(32)가 장공(33)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작동핀(3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작동핀(36)과 와이어 로프(35)가 전진함과 동시에 슬라이더(31)와 스토퍼(32)는 상승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핀(36)은 배전반의 도어 패널(12) 부분에 위치하여 도어 패널(12)이 닫혀질 때 눌려지면서 후진하고 도어 패널(12)이 열리면 원위치로 전진한다.
상기 플레이트(21)의 배면에는 도 3과 같이 스토퍼(32)의 승강 운동에 따라 회전을 하는 트립링크(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립링크(39)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레버(도시는 생략함)는 차단기의 트립레버(도시는 생략함)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립링크(39)는 스토퍼(32)가 상승된 위치(작동핀이 전진한 위치)에서 차단기의 트립레버를 트립시킬 수 있는 위치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 장치는 배전반의 도어 패널(12)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기중차단기를 투입하면 종래 장치와 같이 링크(22)가 힌지핀(23)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27)의 끝단부에 설치된 걸림핀(28)이 브라켓(29)의 걸림공(30)으로 끼워져 자물쇠 역할을 하므로 도어 패널(12)을 열 수 없게 된다.
이때 작동핀(36)은 도어 패널(12)에 의해 눌려지면서 후진하게 되고 압축스프링(38)은 압축되어 있게 되며, 와이어 로프(35)는 작동핀(36)과 함께 후진하고 슬라이더(31)는 하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 패널(12)을 열면 압축 스프링(38)의 탄성력이 스프링(34)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도어 패널(12)에 의해 눌려져 있던 작동핀(36)과 와이어 로프(35)가 전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 로프(35)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31)와 스토퍼(32)를 일정거리 만큼 상승시키게 되며, 스토퍼(32)는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장공(33)을 따라 이동한다.
즉 도어 패널(12)이 열리면 도 3과 같이 스토퍼(32)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스토퍼(32)의 이동에 의해 트립링크(39)는 점선과 같은 위치에서 실선과 같은 위치로 회전하며, 트립링크(39)가 회전하면 트립링크(39)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버가 차단기의 트립레버를 위로 올려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에서는 트립링크(39)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레버가 차단기 본체에 있는 트립레버를 올려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차단기의 투입버튼을 눌러도 버튼은 눌러지지 않게 되고 차단기는 트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차단기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의 도어 패널을 열 수 없도록 한 종래의 기능 이외에 도어 패널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차단기가 항상 트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차단기를 투입시킬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특히 도어 패널을 열고 있는 상태에서 차단기가 투입됨에 따라 야기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차단기 일측에 설치된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31)와, 상기 슬라이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33)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32)와, 상기 슬라이더(3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35)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끝단에 고정되고 배전반의 도어 패널 부분에 위치되어 도어 패널의 개폐에 따라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프와 슬라이더를 함께 이동시키는 작동핀(36)과, 상기 플레이트와 차단기 트립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이동시 스토퍼와 접속하면서 회전하여 차단기의 트립레버를 트립시키는 트립링크(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36)의 일측에 작동핀을 전진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38)을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32)와 플레이트(21) 사이에 스프링(34)을 설치한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38)이 탄성력을 스프링(34)의 탄성력보다 크게 한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KR1019990037122A 1999-09-02 1999-09-02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KR10032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122A KR100323738B1 (ko) 1999-09-02 1999-09-02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122A KR100323738B1 (ko) 1999-09-02 1999-09-02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996A true KR20010025996A (ko) 2001-04-06
KR100323738B1 KR100323738B1 (ko) 2002-02-19

Family

ID=1960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122A KR100323738B1 (ko) 1999-09-02 1999-09-02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66B1 (ko) * 2002-03-15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이중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13B1 (ko) 2007-07-12 2008-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연동 트립기능을 구비한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66B1 (ko) * 2002-03-15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의 이중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3738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0475B1 (en) Circuit breaker
US5504284A (en) Device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lockout of a remote control unit for a modular circuit breaker
KR100332720B1 (ko) 감쇠정지부를갖는에너지저장장치를구비하는회로차단메카니즘
JP2637081B2 (ja) 電気回路遮断器の作動機構
US4703137A (en) Electric switchgear with a pull-out frame and a switching device that can be inserted therein
CA1275139A (en) Fast manual closing mechanism of miniature circuit breaker
JP2002369321A (ja) 引出形電気機器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
KR870003530A (ko) 트립폐쇄 및 록아웃 작동용 작동기를 갖는 회로 재단속기
JP4454823B2 (ja) 回路遮断器用の制御機構
KR100323738B1 (ko) 기중차단기의 안전장치
KR870002624A (ko) 자속 분로 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JPH0152846B2 (ko)
KR102022223B1 (ko) 래칭 디바이스 및 그러한 래칭 디바이스를 갖는 작동 메카니즘
US5008504A (en) Switching mechanism in circuit breaker
JP4552655B2 (ja) 回路遮断器
KR200208223Y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US10008355B2 (en) Control system for a breaker pole with forcing, and breaker gear
KR900004869Y1 (ko) 회로 차단기
US20060049025A1 (en) Insertable power circuit breaker
JPS6120808Y2 (ko)
KR100323744B1 (ko) 휴즈장착용 개폐기의 기계적 자동 트립장치
KR970006435B1 (ko) 차단기용 플랩형 잠금 장치
KR100269401B1 (ko) 진공차단기의록킹장치
JP3129583B2 (ja)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KR830000463Y1 (ko) 서랍형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