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909A - 폴딩 기구 및 스쿠터 - Google Patents

폴딩 기구 및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909A
KR20200007909A KR1020197036908A KR20197036908A KR20200007909A KR 20200007909 A KR20200007909 A KR 20200007909A KR 1020197036908 A KR1020197036908 A KR 1020197036908A KR 20197036908 A KR20197036908 A KR 20197036908A KR 20200007909 A KR20200007909 A KR 2020000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folding
shaft
groun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911B1 (ko
Inventor
이 로우
지 린
싱러 리
Original Assignee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2Front wheel forks or equivalent, e.g. single t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폴딩 기구 및 스쿠터를 제공하며, 상기 폴딩 기구는, 제1 가동 부재(201), 제2 가동 부재(202), 접지 부재(203) 및 폴딩 샤프트(204)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샤프트(204)는 상기 접지 부재(203)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201)는 제1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201)는 상기 제1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203)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 부재(202)는 제2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202)는 상기 제2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201), 상기 제2 가동 부재(202)는 상기 폴딩 샤프트(204)를 회동축으로 상대적 회동하여 상기 폴딩 기구의 펼침 또는 접힘을 구현한다. 상기 폴딩 기구가 폴딩된 후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Description

폴딩 기구 및 스쿠터
본 출원은 2017년 5월 16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 번호가 201710344909.2이고, 발명의 명칭이 "폴딩 기구 및 스쿠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인용되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계 구조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폴딩 기구 및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접이식 스쿠터는 사용 과정에서 외부 도구 없이 수동으로 스쿠터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접이식 스쿠터는 휴대가 간편하고,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등 이점이 있어 점차 새로운 세대의 스포츠형 이동 수단 제품으로 되고 있다.
접이식 스쿠터에 폴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체, 핸들 등 위치에 폴딩 기구를 설치한다. 선행 기술에서, 폴딩 시의 회동축을 프론트 휠 위에 설치하여, 프론트 휠 위에서 접히도록 하며; 폴딩 시의 회동축을 프론트 휠 뒤에 설치하여, 프론트 휠 뒤에서 접히도록 하는 등 두 가지 폴딩 방안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안은 스쿠터의 폴딩을 구현하였지만, 폴딩 후의 스쿠터 부피가 여전히 매우 커서, 휴대가 불편하거나 보관이 쉽지 않아 사용자 체험성이 떨어진다.
도 1a는 선행 기술에서의 폴딩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 기구는 스쿠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딩 기구는 제1 가동 부재(101), 제2 가동 부재(102), 폴딩 샤프트(104) 및 휠(10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 부재(101)는 앞 포크로서 재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페달로서 재사용 가능하고; 상기 앞 포크는 휠과 차량 핸들을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도 1b는 선행 기술에서의 도 1a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샤프트(104)는 휠(103)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1 가동 부재(101)는 폴딩 샤프트(104)를 따라 회동되어, 상기 제1 가동 부재(1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102)가 폴딩 샤프트(104)를 회동축으로 하여 폴딩을 완성하도록 한다.
도 1c는 선행 기술에서의 다른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샤프트(104)는 휠(103)의 후측에 설치된다. 제1 가동 부재(101)는 휠(103)을 폴딩 샤프트(104)를 따라 회동시켜, 상기 제1 가동 부재(1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102)가 폴딩 샤프트(1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가동 부재(1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102)의 폴딩을 완성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로부터 보다시피, 기존의 두 가지 폴딩 기구는 폴딩 완성 후, 여전히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는 바, 이는 폴딩 완성 후, 제1 가동 부재(101) 및 제2 가동 부재(102) 사이에 여전히 비교적 큰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호한 밀착을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폴딩 후에 컴팩트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폴딩 기구를 설계하는 방법은 선행 기술에서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기술 과제로 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상기 과제를 극복하고 또는 상기 과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폴딩 기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가동 부재, 제2 가동 부재, 접지 부재 및 폴딩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제1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제2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상대적 회동하여 상기 폴딩 기구의 펼침 또는 접힘을 구현하는 폴딩 기구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휠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부재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스티어링시키는 스티어링 기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에 하나의 회동축을 구성하며,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스티어링 베어링이고,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외부 링은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내부 링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부재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스티어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은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축심선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단에 리미트 홀이 설치되며,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 및 상기 리미트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고, 상기 리미트 홀은 상기 제1 연결단에서 상기 폴딩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축심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할 때, 상기 제1 연결단의 스티어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홀은 기설정 너비를 가진 평평한 리미트 홀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외부 링을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내부 링을 상기 폴딩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단은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는 리미트 기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기구는,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 부재의 상측에 매달리고, 라디안은 기설정 임계값인 아크형 슈트; 및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아크형 슈트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잠금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크형 슈트의 양단에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아크형 슈트의 임의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된 후, 상기 잠금핀을 고정하기 위한 요함부가 각각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포크 레그를 포함하는 앞 포크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페달이며, 상기 페달의 제2 연결단은 U자형 단부이고, 상기 폴딩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U자형 단부의 두 개의 단부에 각각 회동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 상기 폴딩 샤프트와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대적 회동을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한 폴딩 기구를 구비한 스쿠터를 제공한다.
전술한 기술방안으로부터 알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폴딩 기구의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제1 연결단은 접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의 제2 연결단은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하여 폴딩 구조의 전체적인 펼침 또는 접힘을 구현하며, 또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대적 회동 시,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제2 가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폴딩된 후, 상기 폴딩 기구가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의 설명에서 필요로 하는 도면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한다. 자명한 것은, 아래 설명되는 도면은 다만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일뿐이며,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a는 선행 기술에서의 폴딩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b는 선행 기술에서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1c는 선행 기술에서의 다른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기구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의 도 2a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도 3a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3c는 본 출원의 아크형 슈트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d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다.
도 3e, 도 3f, 도 3g는 본 출원의 도 3d의 폴딩 기구의 구체적 적용의 상이한 상태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발명의 목적, 특징, 이점을 보다 선명하고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해,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다만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 실시예일뿐이지,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 구현 방식을 가일층 설명한다.
본 출원의 하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제1 연결단은 접지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의 제2 연결단은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함으로써 폴딩 구조의 전체적인 펼침 또는 접힘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회동 시,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제2 가동 부재가 상대적으로 폴딩된 후, 상기 폴딩 기구가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물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임의의 기술방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의 모든 이점을 동시에 구현할 필요는 없다.
당업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다만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부 실시예일뿐이지,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을 가일층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구현에 있어서, 상기 폴딩 기구는 제1 가동 부재(201), 제2 가동 부재(202), 접지 부재(203) 및 폴딩 샤프트(20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201)에는 제1 연결단(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단은 접지 부재(203)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 부재(202)에는 제2 연결단(미도시)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연결단은 상기 접지 부재(203)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 샤프트(204)는 상기 접지 부재(203)를 가로 통과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201), 상기 제2 가동 부재(202)가 서로 펼쳐지거나 접힐 때, 상기 제1 가동 부재(201), 상기 제2 가동 부재(202)가 상기 폴딩 샤프트(2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하도록 한다.
또한, 일 구체적인 구현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가동 부재(2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202)의 상대적 회동의 축심선은 상기 접지 부재(203)의 회동 시의 축심선과 일치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접지 부재(203)에 하나의 회동축을 구성하며, 제1 가동 부재(201)와 제2 가동 부재(202)의 폴딩 샤프트(204)는 상기 접지 부재(203)의 회동축과 동축으로 되어, 상기 축심선의 일치를 구현한다. 폴딩 샤프트(204)를 접지 부재(203)의 회동축과 동축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폴딩 기구의 설계가 구체적 적용에서 간소화될 수 있어서, 폴딩 후, 제1 가동 부재(201)와 제2 가동 부재(202)가 더욱 가깝게 밀착될 수 있으며, 폴딩 후의 폴딩 기구의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상기 폴딩 기구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폴딩 샤프트(204)를 회동축에 중첩시켜 양자의 동축을 구현하는 등과 같은 폴딩 샤프트(204)와 접지 부재(203)의 회동축을 동축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b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샤프트(204)는 접지 부재(203)의 축심에 설치되며, 상기 폴딩 기구가 폴딩될 필요가 있을 때, 제1 가동 부재(201)가 상기 폴딩 샤프트(2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제2 가동 부재(202)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 및 제2 가동 부재(202)가 상기 폴딩 샤프트(2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제1 가동 부재(201)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진행함으로써, 제1 가동 부재(201)가 제2 가동 부재(202)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폴딩 기구는 폴딩 후 전체적으로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일 구체적인 구현 시나리오에서, 상기 실시예 중의 폴딩 기구 또는 하기 실시예 중의 폴딩 구조를 스쿠터에 적용하여, 제1 가동 부재(201)는 스쿠터의 폴을 재사용하며, 상기 폴은 핸드 컨트롤로서 사용되거나 레그 컨트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2 가동 부재(202)는 스쿠터의 페달을 재사용하며, 상기 페달의 제2 연결단은 U자형 단부이고, 상기 폴딩 샤프트(204)의 양단은 상기 U자형 단부의 두 개의 단부와 각각 회동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2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202)가 상대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때, 상기 폴딩 샤프트(204)와 상기 제2 가동 부재(202)는 상대적으로 회동하며, 이 경우, 상기 폴딩 샤프트(204)와 상기 제1 가동 부재(201)는 상대적으로 정지된다.
구체적으로, 일 구체적인 구현 시나리오에서, 상기 접지 부재(203)는 휠이다. 물론,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 부재(203)는 트랙 휠, 비 원형 링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접지 부재(203)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는 본 출원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아래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다른 구체적인 구현을 가일층 설명한다.
도 3a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기구는 제1 가동 부재(301), 제2 가동 부재(302), 접지 부재(303) 및 폴딩 샤프트(30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동 부재(301), 제2 가동 부재(302), 접지 부재(303) 및 폴딩 샤프트(304)는 상기 도 2a, 도 2b의 실시예의 제1 가동 부재(201), 제2 가동 부재(202), 접지 부재(203) 및 폴딩 샤프트(204)의 구체적인 구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가동 부재(301)에 제1 연결단(305)이 설치되며, 제1 연결단(305)은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미도시)에 연결되고, 제1 연결단(305)은 선행 기술의 앞 포크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단(305)은 볼트(미도시)를 통해 회동축에 체결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동 부재(302)에 제2 연결단(306)이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제2 연결단(306)은 폴딩 샤프트(304)에 연결되고, 예시적으로, 폴딩 샤프트(304)는 리미트 홀(311)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연결단(306)에 연결되며, 제2 연결단(306)은 U 자형 구조와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구체적 적용 시나리오에서, 상기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앞 포크 구조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크 레그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또한, 예시적으로, 아크형 슈트(307) 및 잠금핀(310)을 포함하는 리미트 기구를 포함하는 바, 제1 가동 부재(301) 및 제2 가동 부재(302) 사이의 상대적 운동 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아크형 슈트(307)의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단(306)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 부재(303)의 상측에 매달리고, 상기 아크형 슈트(307)의 라디안은 기설정 임계값이며; 잠금핀(310)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30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크형 슈트(307)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어, 상기 제1 가동 부재(3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302)가 상기 폴딩 샤프트(3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 상기 아크형 슈트(307)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리미트 기구가 전체적으로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30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단(306)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 부재(301),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304)를 둘러싸고 회동할 때 상대적 회동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한다.
도 3b는 본 출원의 도 3a의 폴딩 기구의 폴딩 후의 상태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부재(301)(및 제2 가동 부재(302) 중 적어도 하나)는 폴딩 샤프트(304)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하여, 제1 가동 부재(301)와 제2 가동 부재(302)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폴딩 기구가 전체적으로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도 3c는 본 출원의 아크형 슈트(307)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동 부재(3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302)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크형 슈트(307)의 양단에 상기 제1 가동 부재(301)가 상기 아크형 슈트(307)의 임의의 일단까지 회동된 후, 상기 도 3a의 상기 잠금핀(310)을 고정하기 위한 요함부(308)(도면에 아크형 슈트(307) 하측의 요함부는 미도시됨)가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요함부(308)는 잠금핀 소켓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아크형 슈트(307)의 일단에 연결 기구(309)가 설치되어, 상기 아크형 슈트(307)를 상기 도 3a, 도 3b의 상기 제2 연결단(306)에 고정하는데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는 리미트 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제1 가동 부재(3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302)가 상대적 회동할 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리미트 기구는 또한 상기 제1 가동 부재(301)가 상기 아크형 슈트(307)의 임의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된 후, 상기 제1 가동 부재(301)와 상기 제2 가동 부재(302)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되어, 제1 가동 부재(301) 및 제2 가동 부재(302) 사이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잠궈, 펼침 또는 접힘 상태를 안정화시킴으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아래 도면 3d, 3e, 3f 및 3g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다른 구체적인 구현을 가일층 설명한다.
도 3d는 본 출원의 폴딩 기구의 내부 구조 모식도이며; 도 3e, 도 3f, 도 3g는 본 출원의 도 3d의 폴딩 기구의 구체적 적용의 상이한 상태도이다.
도 3d, 3e, 3f 및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기구는, 제1 가동 부재(301), 제2 가동 부재(302), 접지 부재(303), 폴딩 샤프트(304) 및 스티어링 기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 부재(303)에 하나의 회동축(313)을 구성하며,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스티어링 베어링(316)일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외부 링은 상기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내부 링은 상기 폴딩 샤프트(304)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302)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과정에서 상기 제1 가동 부재(301)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회동축(313) 및 상기 접지 부재(303)가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축심선을 둘러싸고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과 회동축(313)의 상기 위치 관계 또는 연결 관계는 폴딩 샤프트(304)와 회동축(313)의 상대적 운동 과정에서의 마찰 계수(Friction Coefficient)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링 베어링(316)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제1 가동 부재(301), 회동축(313) 및 접지 부재(303)의 스티어링이 보다 원활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일단은 상기 접지 부재(303)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단(306)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부재(303)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제2 가동 부재(302)를 스티어링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폴딩 기구는 또한,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외부 링을 상기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에 체결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내부 링을 상기 폴딩 샤프트(304)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302)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31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부재(314)는 볼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가동 부재(301)에 스티어링의 작용력을 가하면, 제1 가동 부재(301)에 연결된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폴딩 샤프트(304)와 상기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 사이에 스티어링 베어링(31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313)과 폴딩 샤프트(304)는 좌우 방향의 상대적 회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접지 부재(303)와 폴딩 샤프트(304)는 좌우 방향의 상대적 회동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접지 부재(303)의 좌우 스티어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기구는,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과 접지 부재(303)의 허브(315)를 연결하기 위한 접지 부재 베어링(312)을 더 포함하며, 허브(315)에는 또한 타이어(31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지 부재 베어링(312)의 내부 링은 상기 회동축(313)에 연결되며, 접지 부재 베어링(312)의 외부 링은 상기 허브(315)에 연결된다. 접지 부재 베어링(312)은 회동축(313)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접지 부재(303)의 허브(315)가 회동축(313)에 대해 회동할 때의 마찰력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제1 가동 부재(301)가 회동되어 접지 부재(303)를 스티어링시킬 때, 접지 부재(303)는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축심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동시에, 상기 접지 부재(303)와 상기 폴딩 샤프트(304)는 좌우 방향의 상대적 회동을 진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303)의 회동축(313)은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축심선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단(305)에 리미트 홀(311)이 설치되며, 상기 리미트 홀(311)은 상기 접지 부재(303)와 동심일 수 있고, 상기 폴딩 샤프트(304)는 상기 접지 부재(303) 및 상기 리미트 홀(3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연결단(306)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단(305)이 상기 폴딩 샤프트(304)에 대하여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316)의 축심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리미트 홀(311)은 상기 제1 연결단(30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샤프트(304)가 리미트 홀(311)의 수평 방향에서의 일측과 접촉될 때, 접지 부재(303)가 이미 최대 각도로 스티어링되었음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홀(311)은 기설정 너비를 가진 평평한 리미트 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출원의 구체적인 적용에서 휠 스티어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스티어링 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스티어링 베어링을 스티어링 기구로서 사용하여, 휠의 스티어링 시의 마찰력이 더 작고, 사용 시 더 유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사용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연결은 부재 사이에 실제적인 물리적 연결이 존재하거나 실제적인 물리적 접촉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미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기본 진보성 개념을 알게 되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른 변형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출원의 실시예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분명한 것은,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도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뿐이지 이를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해야 할 것은,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여전히 수정하거나 일부 기술 특징을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으나,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해당 기술방안의 본질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201, 301: 제1 가동 부재 202, 302: 제2 가동 부재
203, 303: 접지 부재 204, 304: 폴딩 샤프트
305: 제1 연결단 306: 제2 연결단
307: 아크형 슈트 308: 요함부
309: 연결 기구 310: 잠금핀
311: 리미트 홀 312: 접지 부재 베어링
313: 회동축 314: 체결 부재
315: 허브 316: 스티어링 베어링

Claims (15)

  1. 폴딩 기구로서,
    제1 가동 부재, 제2 가동 부재, 접지 부재 및 폴딩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를 통과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제1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제2 연결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연결단을 통해 상기 접지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가동 부재,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폴딩 기구의 펼침 또는 접힘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접지 부재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스티어링시키는 스티어링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에 하나의 회동축을 구성하며, 상기 스티어링 기구는 스티어링 베어링이고,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외부 링은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내부 링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부재가 스티어링할 때,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스티어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은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축심선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단에 리미트 홀이 설치되며,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 및 상기 리미트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고, 상기 리미트 홀은 상기 제1 연결단에서 상기 폴딩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축심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할 때, 상기 제1 연결단의 스티어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홀은 기설정 너비를 가진 평평한 리미트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외부 링을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베어링의 내부 링을 상기 폴딩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2 가동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샤프트는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단은 상기 접지 부재의 회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는 리미트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기구는,
    일단은 상기 제2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접지 부재의 상측에 매달리고, 라디안은 기설정 임계값인 아크형 슈트; 및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아크형 슈트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크형 슈트의 양단에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아크형 슈트의 임의의 일단까지 슬라이딩된 후, 상기 잠금핀을 고정하기 위한 요함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포크 레그를 포함하는 앞 포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페달이며, 상기 페달의 제2 연결단은 U자형 단부이고, 상기 폴딩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U자형 단부의 두 개의 단부에 각각 회동 연결되며, 상기 제1 가동 부재와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폴딩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대적 회동을 할 때, 상기 폴딩 샤프트와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대적 회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기구.
  15. 스쿠터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딩 기구를 구비한 스쿠터.
KR1020197036908A 2017-05-16 2017-09-11 폴딩 기구 및 스쿠터 KR102333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44909.2A CN107097883B (zh) 2017-05-16 2017-05-16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CN201710344909.2 2017-05-16
PCT/CN2017/101243 WO2018209849A1 (zh) 2017-05-16 2017-09-11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909A true KR20200007909A (ko) 2020-01-22
KR102333911B1 KR102333911B1 (ko) 2021-12-03

Family

ID=5966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908A KR102333911B1 (ko) 2017-05-16 2017-09-11 폴딩 기구 및 스쿠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98718A1 (ko)
EP (1) EP3623272B1 (ko)
KR (1) KR102333911B1 (ko)
CN (1) CN107097883B (ko)
ES (1) ES2909840T3 (ko)
WO (1) WO2018209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883B (zh) * 2017-05-16 2023-02-17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CN209650461U (zh) * 2019-03-01 2019-11-19 纳恩博(常州)科技有限公司 转向装置及具有其的滑板车
EP3858723B1 (de) * 2020-01-31 2024-03-27 Pius Ponticelli Tretroller mit radkasten
DE102021122958A1 (de) * 2021-09-06 2023-03-09 Kiska Gmbh Roller mit einem Trittbrett und einer Verriegelungseinricht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4141A1 (de) * 1981-03-11 1982-11-10 Takeshi Imai Personen-Transportfahrzeug für den Individualverkehr
WO1995034461A1 (en) *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110135230A (ko) * 2010-06-10 2011-12-16 문성원 패달 누름에 의하여 전방 추진력이 발생되는 주행장치
CN204659899U (zh) * 2015-05-29 2015-09-23 林骥 具有折叠及前轮转向功能的滑板车
JP2016068942A (ja) * 2014-09-29 2016-05-09 教世 山内 乗用装置
KR20160081539A (ko) * 2014-12-31 2016-07-08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6474A2 (en) * 1997-04-15 1998-10-22 Empower Corporation Portable scooter
JP3264914B2 (ja) * 2000-03-30 2002-03-11 株式会社アトラスオート スケートボード
US6332621B1 (en) * 2000-06-21 2001-12-25 Meng-Liang Wu Folding structure for a skate board scooter
US7011319B2 (en) * 2004-05-06 2006-03-14 Fa-Hsing Lu Folding device of a scooter
US20110305502A1 (en) * 2010-06-10 2011-12-15 Chiu-Hsiang Lo Positioning switch mechanism for foldable assembly of bicycles
US8720918B2 (en) * 2012-07-05 2014-05-13 Xin Xin Li Bicycle Fittings (Shenzhen) Co., Ltd. Foldable scooter
US9914500B2 (en) * 2015-07-01 2018-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ickscooter with detachable electric drive module with hub-center steering and vibration dampening wheel
CN205168755U (zh) * 2015-12-04 2016-04-20 山东银光钰源轻金属精密成型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动踏板车
CN205971673U (zh) * 2016-07-19 2017-02-22 深圳乐行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滑板车
CN205971672U (zh) * 2016-07-19 2017-02-22 深圳乐行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滑板车
CN206243351U (zh) * 2016-11-01 2017-06-13 深圳易马达科技有限公司 折叠滑板车
CN206797585U (zh) * 2017-05-16 2017-12-26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CN107097883B (zh) * 2017-05-16 2023-02-17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4141A1 (de) * 1981-03-11 1982-11-10 Takeshi Imai Personen-Transportfahrzeug für den Individualverkehr
WO1995034461A1 (en) * 1994-05-16 1995-12-21 Carlo Cianchetti A collapsible scooter
KR20110135230A (ko) * 2010-06-10 2011-12-16 문성원 패달 누름에 의하여 전방 추진력이 발생되는 주행장치
JP2016068942A (ja) * 2014-09-29 2016-05-09 教世 山内 乗用装置
KR20160081539A (ko) * 2014-12-31 2016-07-08 (주)한스이엔지 접이식 적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동 캐리어
CN204659899U (zh) * 2015-05-29 2015-09-23 林骥 具有折叠及前轮转向功能的滑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98718A1 (en) 2020-06-25
EP3623272A1 (en) 2020-03-18
EP3623272B1 (en) 2022-02-09
CN107097883B (zh) 2023-02-17
CN107097883A (zh) 2017-08-29
ES2909840T3 (es) 2022-05-10
WO2018209849A1 (zh) 2018-11-22
KR102333911B1 (ko) 2021-12-03
EP3623272A4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7909A (ko) 폴딩 기구 및 스쿠터
KR101473185B1 (ko) 접이식 자전거
US9283977B2 (en) Foldable jogging stroller frame with an auto-swiveling mechanism for rear wheel sets thereof
KR101473181B1 (ko) 접이식 자전거
US20150061248A1 (en) Folding structure for two-wheeled vehicle
KR101643938B1 (ko) 접을 수 있는 바퀴,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WO2017008411A1 (zh) 一种折叠机构及折叠车
CN203681620U (zh) 一种婴儿车收合关节
CN206797585U (zh) 一种折叠机构及滑板车
CN204196969U (zh) 折叠式推车
CN109707726A (zh) 一种转轴连接器及折叠式助力车
CN206155526U (zh) 儿童推车
JP6546103B2 (ja) 折畳車両
CN111038636B (zh) 自行车收折结构及自行车收折方法
CN203558113U (zh) 快速收折的儿童车架
CN109795601A (zh) 滑板车的折叠机构及滑板车
CN205931016U (zh) 一种折叠车座椅组件
CN207403858U (zh) 一种电动车的折叠机构
KR20150065234A (ko) 회전가능한 뒷차축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KR102437885B1 (ko) 접이식 자전거
CN102862636B (zh) 折叠自行车
CN106476961B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车
KR101466517B1 (ko) 회전가능한 페달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CN218777632U (zh) 一种辅助轮的旋转收纳结构及带辅助轮的独轮平衡车
KR101473182B1 (ko)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