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5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50A
KR20200002750A KR1020190175327A KR20190175327A KR20200002750A KR 20200002750 A KR20200002750 A KR 20200002750A KR 1020190175327 A KR1020190175327 A KR 1020190175327A KR 20190175327 A KR20190175327 A KR 20190175327A KR 20200002750 A KR20200002750 A KR 2020000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 switch
display
menu
display devic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정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5/44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 및 푸쉬 조작이 가능한 조그 스위치, 조그 스위치의 조작 내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또는 제2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 내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조그 스위치가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있어,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조그 스위치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상태, 볼륨, 채널 조정 및 전원 온오프를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을 구비한다. 이 같은 복수의 입력 버튼들은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화면 전면 하단에 배치되었으나, 디자인의 변화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등의 요인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지점(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입력 버튼들 중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을 찾는데 매우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근래에는 스마트 TV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면서,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버튼의 수도 과거에 비해 늘어남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찾는데 더 많은 시간 및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사용자의 손이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 위치한 지점에 접근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복수의 입력 버튼들과 관련된 기능 안내 정보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기능 안내 정보창을 참조하여 어느 위치에 자신이 조정하고자 하는 입력 버튼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직접 육안으로 복수의 입력 버튼들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능 안내 정보창을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입력 버튼을 찾는데 한계가 있으며, 기능 안내 정보창을 보면서 입력 버튼을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에 따라 기능 안내 정보창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실세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입력 버튼 조작이 서로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조작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조작이 용이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와 세련된 디자인을 실현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 및 푸쉬 조작이 가능한 조그 스위치, 상기 조그 스위치의 조작 내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 내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그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 또는 후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UI는,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이며, 상기 4 구역 중 상측 구역은 채널 업 메뉴, 상기 4 구역 중 하측 구역은 채널 다운 메뉴, 상기 4 구역 중 우측 구역은 볼륨 업 메뉴, 상기 4 구역 중 좌측 구역은 볼륨 다운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구역은 상기 제2 UI로 전환되는 엔터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UI는, 상하에 수평의 막대 그래프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측 막대 그래프는 상기 채널 조정을 나타내고, 하측 막대 그래프는 상기 볼륨 조정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형 UI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UI는,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이거나 혹은 상기 중심구역을 중심으로 상기 4 구역이 서로 분리되어 상하좌우로 배치되는 블럭형 UI이며, 상기 4 구역 중 상측 구역은 스마트 허브 관련 서브 메뉴, 하측 구역은 전원 오프 메뉴, 우측 구역은 외부 입력 관련 소스 메뉴, 좌측 구역은 화면 조정을 위한 조정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구역은 엔터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UI는, 상하에 배치되는 2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IU이며, 상기 2 구역 중 상측 구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메뉴들 중 상기 상측 구역에 포함된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구역은 엔터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UI와 인접하여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의 시간 정도에 따른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UI를 실행하는 UI 실행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UI와 관련된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메뉴의 기능을 조정하는 UI 동작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동작 처리부는, 상기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채널 또는 상기 볼륨을 조정하는 제1 UI 조정부 및 상기 제1 UI 조정부로부터 조정되는 채널 또는 볼륨 관련 메뉴 영역에 하이라이트를 처리하는 제1 UI 메뉴 강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UI 조정부는, 상기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 시, 상기 제1 UI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동작 처리부는, 상기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 방향과 대응하는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를 처리하는 제2 UI 메뉴 강조부 및 상기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 및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된 메뉴와 관련된 기능을 조정하는 제2 UI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UI 조정부는, 상기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되면,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된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되면, 직전 단계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UI 조정부 및 상기 제2 UI 조정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이 없을 시, 상기 제1 또는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옆면 또는 후면에 조그 스위치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조그 스위치가 이동 조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조그 스위치가 푸쉬 조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제2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I 또는 상기 제2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 내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UI 또는 상기 제2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가 기 설정된 임계 시간보다 길게 푸쉬되면, 현재 UI의 이전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1 UI 또는 상기 제2 UI의 표시 상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UI 메뉴 강조는, 상기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 구역에 처리된 하이라이트를 상기 조그 스위치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메뉴 구역으로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그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오프 관련 푸쉬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UI 실행부는,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그 스위치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푸쉬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조그 스위치는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는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조그 스위치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그 스위치는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뿐만 아니라, 푸쉬 조작이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조그 스위치만으로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의 조작이 하나의 조그 스위치만으로 가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 및 세련된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 스위치의 배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조정 관련 UI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그 스위치(110), 제어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조그 스위치(110)는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 조작 및 푸쉬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이다. 즉, 조그 스위치(110)는 조이스틱과 같이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버튼 스위치와 같이 푸쉬 조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 같은 조그 스위치(110)의 동작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20)는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UI(User Interface)들 중 하나의 UI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부(120)의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UI들 중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에 대응하는 UI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에 대응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후속 조작되면, 디스플레이된 UI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부(120)의 조정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UI와 관련된 하위 메뉴 혹은 조정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복수의 UI는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의 일 측면 또는 후면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화면의 상태 조정 또는 볼륨, 채널 조정 관련 입력 버튼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에게 화면의 상태, 볼륨, 채널 조정에 따른 조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OSD(On Screen Display) 실행창이다. 그리고, 화면의 상태 조정 또는 볼륨, 채널 조정 관련 입력 버튼은 본원발명에서의 조그 스위치임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20)는 볼륨 또는 채널 조정 관련 제1 UI 또는 화면의 상태 또는 전원 오프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는 제2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부(120)의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과 대응하는 제1 UI 또는 제2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제1 UI 또는 제2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후속 조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20)는 그 조그 스위치(110)의 후속 조작과 관련되어 제1 UI 또는 제2 UI와 관련된 기능이 조정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10)의 수행 처리 명령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 관련 기능의 조정 처리 결과 정보 또는 제1 UI 또는 제2 UI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조그 스위치(110)의 동작 및 제어부(120)의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나아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전술한 UI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그 스위치의 배치 및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볼륨, 채널, 화면 전원 오프, 화면 상태 등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 복수가 아닌 단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같은 단일의 조그 스위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면 또는 후면의 일 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손 감각만으로도 조그 스위치(110)가 어느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야가 확보되는 않은 지점에 조그 스위치(110)가 형성되어 있어도, 조그 스위치(110)의 상단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게 조그 스위치(11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그 스위치(110)는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는 지점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부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조그 스위치(110)는 조이스틱과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가능하며, 버튼 스위치와 같이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그 스위치(110)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같은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에 따라, 제1 또는 제2 UI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제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 실행부(121)와 UI 동작 처리부(122)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UI 실행부(121)는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를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조그 스위치(110)가 상하좌우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채널 또는 볼륨 조정 관련 제1 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조그 스위치(110)가 푸쉬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제2 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그 스위치(110)가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채널, 볼륨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통합적으로 조정하는 통합 UI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조그 스위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 또는 오프 관련 푸쉬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온 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채널 또는 볼륨 조정 관련 제1 UI가 디스플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같이, UI 실행부(121)의 실행 제어 명령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UI는 아래에서 상세히 성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관련 UI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채널 및 볼륨 조정과 관련된 제1 UI를 실행한다. 이 같이, UI 실행부(121)의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제1 UI는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310)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구역(a)은 원형 UI(310)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후술할 제2 UI로 전환되는 동작을 위한 엔터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중 상측 구역(b)은 채널 업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c)은 채널 다운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측 구역(d)은 볼륨 다운 메뉴를 포함하며, 우측 구역(e)은 볼륨 업 메뉴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의 구역들에 포함되는 메뉴들의 위치는 상이하게 변경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채널 및 볼륨 조정과 관련된 제1 UI를 실행한다. 이 같이, UI 실행부(121)의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제1 UI는 막대 그래프형 UI(410,420)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막대 그래프형UI(410,420)는 상하에 위치하여 수평의 막대 그래프 각각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측 막대 그래프형 UI(410)는 채널 조정 관련 UI가 될 수 있으며, 하측 막대 그래프형 UI(420)는 볼륨 조정 관련 UI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막대 그래프형 UI(410,42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막대 그래프형 UI(410,420)들은 수직의 막대 그래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그 스위치(1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 UI 실행부(121)는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막대 그래프형 UI(410,420)들 중 하나의 막대 그래프형 UI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조그 스위치(110)의 방향 이동 조작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UI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UI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UI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의(110)가 푸쉬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는 제2 UI를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중심구역(a)이 푸쉬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는 제2 UI로 전환한다.
이 같이, UI 실행부(121)의 실행 명령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UI는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510)이거나 혹은 중심구역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블럭형 UI(520)가 될 수 있다. 원형 UI(510) 또는 블럭형 UI(520)의 중심구역(a)은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전 단계로의 동작을 위한 엔터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중 상측 구역(b)은 스마트 허브 조정 관련 서브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c)은 전원 오프 관련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측 구역(d)은 화면 조정을 위한 조정 메뉴를 포함하며, 우측 구역(e)은 외부 입력 조정 관련 소스 메뉴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의 구역들에 포함되는 메뉴들의 위치는 상이하게 변경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2 UI는 4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구역과 엔터 메뉴를 포함하는 중심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조정 메뉴가 화면 조정 메뉴이면, 제2 UI은 엔터 메뉴 관련 중심구역과 화면 조정 관련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UI는 상하에 배치되는 2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역 중 상측 구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측 구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메뉴들 중 상측 구역에 포함된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심구역은 엔터 메뉴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조정 관련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되면, UI 실행부(121)는 채널, 볼륨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이 가능한 통합 UI를 실행한다. UI 실행부(121)의 통합 UI 실행 명령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통합 UI는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610)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구역은 채널, 볼륨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실행하거나 혹은 전 단계로 전환하거나 혹은 원형 UI(610)의 실행을 종료하기 위한 엔터 메뉴(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상이한 메뉴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4 구역 중 상측 구역(b)은 스마트 허브 조정 관련 서브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c)은 전원 오프 관련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측 구역(d)은 채널, 볼륨 및 화면 조정 관련 설정 메뉴를 포함하며, 우측 구역(e)은 외부 입력 조정 관련 소스 메뉴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 내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 UI 또는 제2 UI와 인접하여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의 시간 정도에 따른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를 제1 UI 또는 제2 UI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는 도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 또는 제2 UI와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엔터 메뉴 기능 안내 UI는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 시간의 정도에 따라, 엔터 기능을 안내하기 위한 UI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A'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를 짧게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조정하고자 하는 메뉴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B'와 같이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를 길게 조작할 경우, 사용자는 현재 메뉴 단계에서 직전 단계의 메뉴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메뉴 단계가 최상위 단계인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가 길게 조작될 경우,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UI 또는 제2 UI의 실행은 종료된다. 따라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던 제1 UI 또는 제2 UI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UI 실행부(121)의 실행 명령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되면, UI 동작 처리부(122)는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에 반응하여 제1 UI와 관련된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거나 또는 제2 UI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한다. 이 같은 UI 동작 처리부(122)는 제1 UI 조정부(123)와 제1 UI 메뉴 강조부(124)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제1 UI 조정부(123)는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에 따라,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한다. 이 같은 제1 UI 조정부(123)는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에 따라, 제1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제1 UI 메뉴 강조부(124)는 제1 UI 조정부로부터 조정되는 채널 또는 볼륨 관련 메뉴 영역에 하이라이트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되면, 제1 UI 메뉴 강조부(124)는 채널 조정 관련 영역이 강조되도록 하이라이트를 처리한다. 이후, 조그 스위치(110)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푸쉬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채널 업 조정 관련 영역이 조정되도록 처리한다. 이에 따라, 조그 스위치(1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채널이 업 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채널 업 조정 관련 영역이 조정되도록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푸쉬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최초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UI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조그 스위치(110)가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푸쉬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 조작에 대응하여 채널을 업 또는 다운하도록 조정한다. 한편,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조작에 대응하여 볼륨을 업 또는 다운하도록 조정한다. 한편,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푸쉬 조작되면, 제1 UI 조정부(123)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제1 UI와 관련된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는 UI 동작 처리부(122)는 제2 UI 메뉴 강조부(125)와 제2 UI 조정부(126)를 통해 제2 UI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UI 메뉴 강조부(126)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방향과 대응하는 메뉴 구역이 강조되도록 하이라이트를 처리한다. 그리고, 제2 UI 조정부(126)는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 및 이동 조작에 따라,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메뉴와 관련된 기능을 조정한다. 이 같은 제2 UI 조정부(126)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110)의 푸쉬 조작되면, 현재 진행 중인 단계에서 직전 단계로의 전환을 수행하거나 혹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실시예에 따라, 도 5와 같이, 원형 UI인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좌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2 UI 메뉴 강조부(125)는 화면 조정 관련 조정 메뉴를 포함하는 구역이 강조되도록 하이라이트를 처리한다. 이 같은 제2 UI 메뉴 강조부(125)는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조작되면, 그 조작된 조그 스위치(100)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메뉴 구역으로 해당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푸쉬 조작되면, 제2 조정부(126)는 하이라이트 처리된 메뉴에 대한 메뉴창을 출력한다. 즉, 도 5에서 화면 조정 관련 조정 메뉴를 포함하는 구역이 하이라이트 처리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푸쉬 조작되면, 제2 조정부(126)는 화면 조정 관련 조정 메뉴의 하위 메뉴창을 출력한다. 하위 메뉴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이동 조작 및 푸쉬 조작되면, 제2 UI 조정부(126) 그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과 대응하여 화면의 색상 또는 밝기 또는 사이즈 등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조그 스위치(110)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푸쉬 조작되면, 제2 UI 조정부(126)는 현재 단계에서 직전 단계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이때, 현재 단계가 최초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이면, 제2 UI 조정부(126)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제1 UI 조정부(124) 및 제2 UI 조정부(126)는 UI 실행부(121)를 통해 제1 UI 또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110)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이 없을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UI 또는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즉, 제1 UI 조정부(124) 및 제2 UI 조정부(126)는 제1 UI 또는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 결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110)의 조작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면,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UI 또는 제2 UI의 실행을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그 스위치가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이 되는지를 체크한다(S810). 여기서, 조그 스위치는 볼륨, 채널 조정 및 화면 상태 조정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이 가능한 조작 수단으로써, 조이스틱과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력 버튼고 같이 푸쉬 조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그 스위치는 좌우로의 회전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같은 조그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후면의 일 측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 감각만으로도 조그 스위치가 어느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체크 결과,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인지를 체크한다(S820). 체크 결과, 조그 스위치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된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및 볼륨 조정이 가능한 제1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30). 한편, 조그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 또는 오프 관련 푸쉬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키고, 동시에 제1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UI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구역은 원형 UI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제2 UI로 전환되는 동작을 위한 엔터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중 상측 구역은 채널 업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은 채널 다운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측 구역은 볼륨 다운 메뉴를 포함하며, 우측 구역은 볼륨 업 메뉴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의 구역들에 포함되는 메뉴들의 위치는 상이하게 변경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UI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그래프형 UI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측 막대 그래프형 UI는 채널 조정과 관련된 UI이며, 하측 막대 그래프형 UI는 볼륨 조정과 관련된 UI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측 막대 그래프형 UI가 볼륨 조정 관련 UI가 될 수 있으며, 하측 막대 그래프형 UI가 채널 조정 관련 UI가 될 수 잇으며, 각각의 막대 그래프형 UI는 수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체크 결과, 조그 스위치가 푸쉬 조작된 것으로 체크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과 관련된 제2 UI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40).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중심구역이 푸쉬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제1 UI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을 조정하는 제2 UI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UI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 및 중심구역을 포함하는 원형 UI이거나 혹은 중심구역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이 서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블럭형 UI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제2 UI의 중심구역은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현재 UI의 이전 상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엔터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4 구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상이한 메뉴들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구역은 스마트 허브 조정 관련 서브 메뉴를 포함하며, 하측 구역은 전원 오프 관련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측 구역은 화면 조정을 위한 조정 메뉴를 포함함, 우측 구역은 외부 입력 조정 관련 소스 메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채널 및 볼륨 조정 관련 제1 UI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타 기능 조정 관련 제2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그 스위치의 후속 조작 내용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의 기능을 조정한다(S850).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이 업 또는 다운되도록 조정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좌측 도는 우측으로 이동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볼륨이 업 또는 다운되도록 조정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푸쉬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상하좌우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구역이 강조되도록 하이라이트를 처리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조작되면, 그 조작된 조그 스위치의 이동 방향과 대응하는 메뉴 구역으로 해당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UI와 관련된 복수의 메뉴들 중 하나의 메뉴 구역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푸쉬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이라이트 처리된 구역의 메뉴가 조정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화면 조정 관련 메뉴를 포함하는 좌측 메뉴에 하이라이트가 처리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으로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조정 관련 메뉴 구역의 하위 메뉴창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 같이 하위 메뉴창이 출력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색상 또는 밝기 또는 사이즈 등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UI가 실행된 상태에서,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UI의 이전 상태 UI로 변경처리하거나 제2 UI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UI 또는 제2 UI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조그 스위치의 조작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UI 또는 제2 UI의 실행을 자동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하나의 조그 스위치의 이동 조작 또는 푸쉬 조작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조그 스위치 120 : 제어부
121 : UI 실행부 122 : UI 동작 처리부
123 : 제1 UI 조정부 124 : 제1 UI 메뉴 강조부
125 : 제2 UI 메뉴 강조부 126 : 제2 UI 조정부
1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면과 상이한 복수의 측면 중 하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푸쉬되는 조그 스위치; 및
    상기 조그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상기 조그 스위치를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UI 및 상기 제1 UI에 대응되는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쉬 조작 시간의 정도에 따른 기능을 안내하기 위한 제2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텔레비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는, 채널의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조그 스위치를 이동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채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의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UI 및 상기 변경된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조그 스위치를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3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3 UI에 대응되는 볼륨으로 상기 선택된 방송 컨텐츠의 볼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UI는, 볼륨의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조그 스위치를 이동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볼륨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볼륨의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3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전원 오프된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를 푸쉬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원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그 스위치를 푸쉬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4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UI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UI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입력을 조정하기 위한 소스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는,
    상기 조그 스위치의 푸시 조작 시간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 UI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제2 UI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4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가 푸쉬 조작되면, 상기 제4 UI에 포함된 메뉴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4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시간 동안 상기 조그 스위치가 푸쉬 조작되면, 상기 제4 UI에 포함된 메뉴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 하, 좌 및 우 방향 중 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20190175327A 2011-07-14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200002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831 2011-07-14
KR20110069831 2011-07-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671A Division KR20180084723A (ko) 2011-07-14 2018-07-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76A Division KR20200110296A (ko) 2011-07-14 2020-09-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50A true KR20200002750A (ko) 2020-01-08

Family

ID=4783933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15A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2-03-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70065491A KR20170061122A (ko) 2011-07-14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80083671A KR20180084723A (ko) 2011-07-14 2018-07-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90175327A KR20200002750A (ko) 2011-07-14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200120076A KR20200110296A (ko) 2011-07-14 2020-09-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15A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2-03-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70065491A KR20170061122A (ko) 2011-07-14 2017-05-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180083671A KR20180084723A (ko) 2011-07-14 2018-07-1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76A KR20200110296A (ko) 2011-07-14 2020-09-17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96257B2 (ko)
KR (5) KR20130009595A (ko)
CN (2) CN1030924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4477B2 (en)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80083482A (ko) 2017-01-13 201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8257A (en) 1989-02-27 1990-11-06 Yalen William J Computer-based teaching apparatus
KR0137858B1 (ko) 1992-10-06 1998-08-17 윤종용 원키 리모콘의 세트 조작 방법
US5548345A (en) 1995-01-05 1996-08-20 Protelcon, Inc. Video viewing censoring supervision system
KR19980028850U (ko) 1996-11-25 1998-08-05 김광호 죠그 셔틀을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의 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
US6208335B1 (en) 1997-01-13 2001-03-27 Diva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957507B2 (ja) 1997-02-24 1999-10-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小型情報処理機器
US6496181B1 (en) 1997-10-03 2002-12-17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Scroll select-activate button for wireless terminals
CA2257736C (en) * 1998-08-04 2003-12-16 Lg Electronics Inc. Level adjus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n-screen display menu in image display device
JP2000284884A (ja) *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面操作装置
KR100295577B1 (ko) 1999-04-12 2001-07-12 임영식 죠그/셔틀을 이용한 무선 호출기의 기능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JP4696388B2 (ja) 2000-11-1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表示装置、それに使用される係数種データ生成装置、係数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US6806865B2 (en) 2001-02-05 2004-10-19 Palm, Inc. Integrated joypad for handheld computer
JP2002343193A (ja) 2001-05-17 2002-11-29 Calsonic Kansei Corp 乗り物搭載機器用操作装置
AU2003214100A1 (en) 2002-04-03 2003-10-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method of navigating in a vir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uch method
US6826042B2 (en) 2002-05-03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put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same
KR100813955B1 (ko) 2003-04-16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기능 표시 방법, 그에 적합한 영상 표시 장치,그리고 그에 적합한 osd 메뉴 처리 방법
KR100573768B1 (ko) 2003-09-24 200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4158105B2 (ja) * 2003-09-25 2008-10-01 ソニー株式会社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JP2005197991A (ja) 2004-01-07 2005-07-21 Orion Denki Kk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KR20060071118A (ko)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원버튼 입력 방식의 티브이
CN100433808C (zh) * 2004-12-30 2008-11-12 厦门华侨电子股份有限公司 电视机osd菜单的显示方法
JP2006195768A (ja) 2005-01-14 2006-07-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付き表示装置
KR101118762B1 (ko) 2005-02-07 2012-03-20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게 하는 방법
CN101112083A (zh) * 2005-02-07 2008-01-23 汤姆逊许可公司 使用户能够控制一台设备的方法
JP2006323692A (ja) 2005-05-19 2006-11-30 Smk Corp ジョグスイッチ
KR101288428B1 (ko) 2005-08-31 2013-07-22 톰슨 라이센싱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및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을 위한 방법
KR100784542B1 (ko) 2005-10-20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면접촉 축회전 이동통신단말기
KR100765764B1 (ko) 2005-11-10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오디오재생 장치 및 그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20070155427A1 (en) 2005-12-30 2007-07-05 Tran Bao O Wireless mobile video
US20070279380A1 (en) 2006-05-31 2007-12-06 Bruno Rafael Murillo Computer input device
JP4254836B2 (ja) 2006-10-10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710850B2 (ja) 2007-02-28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8436948B2 (en) 2007-03-07 2013-05-07 Rohm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television se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manipulation signals
KR20080095085A (ko) 2007-04-23 2008-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입력 수단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장치
JP2009002989A (ja) 2007-06-19 2009-01-08 Funai Electric Co Ltd 薄型表示装置
CN101335845B (zh) 2007-06-28 2012-02-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遥控系统
JP5132274B2 (ja) * 2007-11-19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50691A1 (en) * 2007-12-10 2009-06-11 Aten International Co., Ltd.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407501B1 (ko) 2007-12-2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
CN101526835A (zh) * 2008-03-03 2009-09-09 株式会社东芝 笔记本计算机
CN101539796A (zh) * 2008-03-21 2009-09-23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显示器自动启闭方法及可自动启闭的显示器
KR101078464B1 (ko) 2008-07-07 2011-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61239A (ko) 2009-12-01 201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조그키 및 그의 운용 방법
CN201732356U (zh) * 2010-03-25 2011-02-02 王仕华 手写式电子记录本
US20120293413A1 (en) * 2011-05-18 2012-11-22 Luo li-jia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by Using Single Button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6257B2 (en) 2019-12-03
US10895967B2 (en) 2021-01-19
CN103092486A (zh) 2013-05-08
US20190272045A1 (en) 2019-09-05
KR20180084723A (ko) 2018-07-25
US20200064987A1 (en) 2020-02-27
KR20200110296A (ko) 2020-09-23
KR20130009595A (ko) 2013-01-23
KR20170061122A (ko) 2017-06-02
CN103092486B (zh) 2018-09-25
CN109189308A (zh)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4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0027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5172520A1 (zh)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KR101626461B1 (ko)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00543A1 (en) Touch pad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EP2613546A2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A3033118A1 (en) Smart touch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066042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430146B (zh) The input method and device of the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double touch panel
JP2007148589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EP3247122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13997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121132A (ko) 디스플레이어 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20080086054A (ko) 터치스크린상의 연속 누름입력에 의해 화면이 전환되는네비게이션 기기
JP2018106766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50113781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버튼 조작 시스템
KR20150004295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36050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3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17

Effective date: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