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76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768B1
KR100573768B1 KR1020030066390A KR20030066390A KR100573768B1 KR 100573768 B1 KR100573768 B1 KR 100573768B1 KR 1020030066390 A KR1020030066390 A KR 1020030066390A KR 20030066390 A KR20030066390 A KR 20030066390A KR 100573768 B1 KR100573768 B1 KR 1005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ration
section
parameter
inpu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072A (ko
Inventor
김영찬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768B1/ko
Priority to US10/927,112 priority patent/US20050062724A1/en
Priority to EP04774444A priority patent/EP1668897A1/en
Priority to PCT/KR2004/002183 priority patent/WO2005029850A1/en
Priority to CNA2004800275884A priority patent/CN1856992A/zh
Publication of KR2005003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공용키와; 상기 공용키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키 조작만으로도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다수의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소망하는 바대로 설정하거나 실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는 제어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OSD 메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공용키
11 : 전원공급부 13 : 파라미터설정부
15 : 제어부 17 : OSD 생성부
19 : 구간변경표시부 2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 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키 조작만으로도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다수의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소망하는 바대로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화상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다수의 OSD 버튼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전원 버튼과, 영상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부에 적절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점멸하는 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OSD 버튼을 눌렀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 메뉴를 저장하고 있는 OSD 메뉴저장부와, 상기 OSD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OSD 상태설정부를 비롯하여, 전달된 영상신호 및 OSD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소망하는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기타 조작 버튼 및 제어부를 더 가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상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모니터 전면에 마련된 다수의 OSD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설정가능한 몇몇 조절 파라미터들은 다수의 키를 조합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일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 않고, 제조자 또는 AS제공자와 같이 특별한 사용자가 특정한 방법에 의해서만 설정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조작이 복잡하거나 또는 제한되어 있던 몇몇 조절 파라미터들을 보다 간이한 방법으로 설정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조작 버튼을 별도로 부가하는 것은 모니터의 외장을 새로이 설계해야 하며, 새로운 설계에 따른 생산라인의 변경 및 생산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다.
나아가, 화면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다수의 OSD 버튼 또한 그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조작 버튼의 수를 최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키 조작만으로도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다수의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소망하는 바대로 설정하거나 실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공용키와; 상기 공용키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OSD 메뉴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된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는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지속시간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구간변경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간변경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간변경표시부는 LED 및/또는 비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속시간구간의 크기는, 시스템전원 온/오프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의 순서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공용키와, 상기 공용키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지속시간구간이 변경되는 경우 구간변경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구간변경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간변경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OSD 메뉴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된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는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지속시간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간변경표시부는 LED 및/또는 비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속시간구간의 크기는, 시스템전원 온/오프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의 순서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20)와, 화상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다수의 OSD 버튼(7)과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하고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게 해 주거나 또는 다수의 조절파라미터들을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공용키(1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사하게, 영상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부(20)에 적절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와, 디스플레이부(20)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점멸하는 LED(9) 등을 포함한다.
그 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OSD 버튼(7)을 눌렀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 메뉴를 저장하고 있는 OSD 메뉴저장부와, 상기 OSD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상태를 설정하는 OSD 상태설정부를 비롯하여, 전달된 영상신호 및 OSD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소망하는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기타 조작 버튼 및 제어부를 더 가진다.
여기서, 공용키(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원 공급을 할 수 있게 해 주거나 또는 다수의 조절파라미터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거나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키로서, 후술할 제어부에 사용자의 누름입력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가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지 결정 하게 한다.
특히,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공용키(10)가 눌러지는 순간과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는 순간 사이의 시간으로 정의되고, 공용키(10)가 눌러지는 순간에 하이 상태(또는 로우 상태)인 누름입력신호가 로우 상태(또는 하이 상태)로 되는 순간(즉,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는 순간)을 검출하여 산출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모니터의 정면 오른쪽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니터에 부착되어 어디에나 마련될 수 있거나 또는 모니터에 부착되지 않고 케이블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13)와, 하나의 공용키(10)와, 공용키(10)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전원공급부(11) 및 파라미터설정부(13)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는 OSD 생성부(17)와, 상기 지속시간구간의 변경 을 알리는 구간변경표시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설정부(13)는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개방되어 있지 않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는, 전달받은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디지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로 그 설정을 자동으로 변환해 줄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자동소스선택, 자동으로 화면조정을 하는 자동화면조정, 공용키(10)를 누름입력할 경우 비퍼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비퍼설정 및 디스플레이부(20)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 주는 LED(9)(도 1 참조)를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점멸시킬 것인지 또는 오프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설정하는 LED설정을 포함한다.
이때,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반 사용자가 조작가능하도록 일반 사용자에게 개방되어 있지 않던 몇몇 조절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한편, 본 발명에서 새로이 도입된 공용키(10)와 관련하여 설정가능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반드시 여기서 예시되고 있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절가능한 속성을 가진 조절파라미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OSD 버튼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화면 상태도 상기 조절파라미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모니터 정면에 다수의 OSD 버튼(7)을 마련하지 않는다.
제어부(15)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용키(10)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한다. 또한, 상기 수령한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거나,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조절파라미터를 설정의 한 형태로 실행되도록 하는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전원공급부(11) 및 파라미터설정부(13)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미리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각 지속시간구간별로 각각 다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각각 다른 명령은, 시스템전원 온/오프의 수행,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가 실행될 수 있는 각 파라미터실행모드, 및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설정모드를 가리킨다.
지속시간구간별로 수행되는 명령의 예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간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s) 해당 명령
제1구간 0<t<1 시스템전원 ON/OFF
제2구간 1<t<2 자동소스선택
제3구간 2<t<3 자동화면조정
제4구간 3<t<4 파라미터설정모드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초 미만의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는 시스템 전원이 온되어 있는 경우 오프를, 시스템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온시키는 시스템ON/OFF 명령을, 1초 이상 2초 미만의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는 전달받은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디지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로 그 설정을 자동으 로 변환해주는 자동소스선택 명령을, 2초 이상 3초 미만의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는 자동으로 화면의 포커스를 조정하는 자동화면 조정 명령을, 3초 이상 4초 미만의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는 후술할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실행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표에 나타난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 지속시간구간의 수 및 수행되는 명령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할 뿐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변동가능한 값이다.
상기 표에서 자동소스선택 및 자동화면조정 명령은 파라미터실행모드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는 후술할 파라미터설정모드에 있어서, OSD 메뉴 내의 항목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파라미터설정모드는 사용자가 조절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각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항목으로 하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데, 이는 OSD 생성부(17)에서 제공한다.
OSD 생성부(17)는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OSD 메뉴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된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변경이 가능한 조절파라미터를 항목으로 보여준다.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OSD 메뉴의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 및 항목 선택시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되는 형태는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항목 도 5의 항목 조절파라미터
제1항목 Auto Source Sel. 자동소스선택
제2항목 Auto Adjustment 자동화면조정
제3항목 Beeper On 비퍼 on/off 설정
제4항목 Auto Power En. 전원LED on/off 설정
제5항목 Exit OSD 메뉴종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목 1은 전달받은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디지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로 그 설정을 자동으로 변환해 줄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자동소스선택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항목이고, 항목 2는 자동으로 화면조정을 하는 자동화면조정 명령이다. 또한, 항목 3은 공용키(10)를 누름입력할 경우 비퍼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비퍼 on/off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항목이고, 항목 4는 디스플레이부(20)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해 주는 LED(9)(도 1 참조)를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점멸시킬 것인지 또는 오프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설정하는 전원LED on/off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마지막으로, 항목 5는 OSD 메뉴를 종료시키는 OSD 메뉴 종료 명령에 해당된다.
상기 표에 나타난 항목의 수 및 설정되는 조절파라미터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할 뿐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변동가능한 것들이다.
도 5에 도시된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파라미터설정모드 수행시에, 사용자의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각 항목간의 이동 또는 설정 변경이 수행된다.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게 누르면, 항목간 이동을, 짧게 누르면 해당 조절파라미터의 현재 설정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비교적 긴 지속시간(길게 누르면에 해당)과, 비교적 짧은 지속시간(짧게 누르면에 해당)은 소정의 설정변경기준시간을 기준으로 구별되게 된다.
구간변경표시부(19)는 사용자가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의 경과를 알 수 있도록 각 지속시간구간이 변경될 때마다 LED 또는 비퍼로 변경을 알려준다.
즉, 제어부(15)는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여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지속시간을 카운팅하는데, 이러한 카운팅 과정 중에 미리 설정된 지속시간구간을 경과할 때 구간변경표시부(19)에 구간변경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간변경표시부(19)는 제어부(15)로부터 상기 구간변경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표 1, 표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 따른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지속시간구간으로 시간을 구획하고, 각 지속시간구간마다 실행될 명령을 미리 설정한다(S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용키(10)의 누름이 입력된다(S3). 누름입력지속시간은 사용자의 누름해제 행위에 따른 누름입력신호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이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구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 제1구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구간에 해당되는 명령, 즉, 시스템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전원공급부를 제어한다(S6).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1구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구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 제2구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구간에 해당되는 명령, 즉, 자동소스선택을 실행한다(S8). 한편,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2구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3구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9), 제3구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3구간에 해당되는 명령, 즉, 자동화면조정을 실행한다(S10). 이어서,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3구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이 제4구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 제4구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4구간에 해당되는 명령, 즉,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2).
파라미터설정모드의 수행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정변경 기준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S21). 예를 들어, S1 단계를 수행할 때 동시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미터설정모드의 실행은 먼저,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것으로 시작된다(S23).
상기 표시된 OSD 메뉴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공용키(10)를 짧게 또는 길게 누를 수 있는데(S25), 이는 소정의 설정변경기준시간을 기준해서 구별된다.
상기 누름입력의 지속시간이 설정변경기준시간과 비교하여(S27), 설정변경기준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OSD 메뉴 내의 항목간 이동이 수행되게 되고(S29), 설정 변경기준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항목의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이 변경되게 된다(S31). 즉, 해당 항목의 조절파라미터가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off로, 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on으로 변경된다. 이때, 변경과 동시에 파라미터 설정부(13)로 하여금 변경된 값을 설정하게 제어할 수도 있으나, OSD 메뉴 항목 "exit"를 선택한 경우 OSD 메뉴를 종료하면서 변경된 값으로 설정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한 번의 누름입력에 의해 S29 또는 S31 단계가 수행되고, 이후 다시 누름일력이 발생하기를 기다리게 된다. S29 단계 수행시, 이동된 항목이 "exit"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3), 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OSD 메뉴를 종료하게 되고 이로써, 모든 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공용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누름지속시간에 따라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거나 또는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거나 또는 파라미터와 관련된 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조절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키 조작만으로도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다수의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소망하는 바대로 설정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키의 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하나의 키 조작만으로도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다수의 상이한 조절파라미터를 소망하는 바대로 설정하거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공용키와; 상기 공용키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OSD 메뉴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된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는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지속시간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구간변경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간변경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간변경표시부는 LED 및/또는 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시간구간의 크기는, 시스템전원 온/오프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의 순서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의 조절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공용키와; 상기 공용키로부터 누름입력신호를 수령하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누름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시스템전원 온/오프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설정모드를 수행하며, 또 다른 하나의 지속시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파라미터실행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지속시간구간이 변경되는 경우 구간변경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구간변경신호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간변경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절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OSD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OSD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OSD 메뉴 항목을 순차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된 항목에 해당되는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상기 OSD 생성부 및 상기 파라미터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는 상기 누름입력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획되고 각 지속시간구간별로 서로 상이한 조절파라미터의 설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변경표시부는 LED 및/또는 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속시간구간의 크기는, 시스템전원 온/오프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실행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 상기 파라미터설정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지속시간구간의 순서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66390A 2003-09-24 2003-09-24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390A KR100573768B1 (ko) 2003-09-24 2003-09-24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7,112 US20050062724A1 (en) 2003-09-24 2004-08-27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EP04774444A EP1668897A1 (en) 2003-09-24 2004-08-30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PCT/KR2004/002183 WO2005029850A1 (en) 2003-09-24 2004-08-30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CNA2004800275884A CN1856992A (zh) 2003-09-24 2004-08-30 显示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390A KR100573768B1 (ko) 2003-09-24 2003-09-2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072A KR20050030072A (ko) 2005-03-29
KR100573768B1 true KR100573768B1 (ko) 2006-04-25

Family

ID=3628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390A KR100573768B1 (ko) 2003-09-24 2003-09-2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62724A1 (ko)
EP (1) EP1668897A1 (ko)
KR (1) KR100573768B1 (ko)
CN (1) CN1856992A (ko)
WO (1) WO2005029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825B1 (ko) * 2003-12-13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US8223126B2 (en) * 2007-04-17 2012-07-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ser designation of device functions
CN101335845B (zh) * 2007-06-28 2012-02-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遥控系统
IT1403800B1 (it) * 2011-01-20 2013-10-31 Sisvel Technology Srl Procedimenti e dispositivi per la registrazione e la riproduzione di contenuti multimediali utilizzando metadati dinamici
US10114477B2 (en) 2011-07-1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09595A (ko) 2011-07-14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N107531287B (zh) 2015-04-30 2022-02-18 泽菲罗斯有限公司 用于密封、隔挡或加固的构件
CN106406442B (zh) * 2016-08-29 2019-04-05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方便操作osd的显示器
CN107369403B (zh) * 2017-09-07 2020-09-2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按键显示方法及数码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942A (en) * 1988-09-28 1992-06-23 Solatrol, Inc. Machine interface with cyclically displayed hierarchical menus and user selection of menu items by actuation of a single switch
US5664896A (en) * 1996-08-29 1997-09-09 Blumberg; Marvin R.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US5894276A (en) * 1996-12-23 1999-04-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button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226109B1 (ko) * 1997-06-20 1999-10-15 전주범 단일 버튼인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TW446902B (en) * 1998-10-12 2001-07-21 Alps Electric Co Ltd Wireless keyboard
CN100474476C (zh) * 1999-10-01 2009-04-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5向按键操纵装置
WO2003034717A1 (en) * 2001-10-18 2003-04-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the display setting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2724A1 (en) 2005-03-24
KR20050030072A (ko) 2005-03-29
EP1668897A1 (en) 2006-06-14
CN1856992A (zh) 2006-11-01
WO2005029850A1 (en)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7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6807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370080B1 (ko) 모니터의 osd 메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46798B1 (ko) 세탁기의 세탁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70048089A (ko) 컴퓨터와 모니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표시환경자동조정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070466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51133A (zh) 一种智能控制的显示器系统及控制方法
EP2667628A2 (en) Remote-controll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160048311A1 (en) Augmented reality context sensitive control system
KR202000027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5506767A (ja) 表示装置の表示設定を変更する方法及び表示装置
CN103024513A (zh) 一种数字电视快速换台的方法
JP4809631B2 (ja) 表示装置
CN111650848B (zh) 一种家电的控制方法
JP7248815B2 (ja) 溶接装置の操作パネル、この種のパネルを備えた溶接装置、この種の溶接装置の溶接パラメータ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
CN106924853A (zh) 一种麻醉机手动状态下的模式切换方法
CN101115156A (zh) 一种影像显示的方法及其显示装置
CN107396202A (zh) 电视机一位按键实现方法
WO2017018233A1 (ja) 成形機
JP5830975B2 (ja) 動作制御装置
US9565739B2 (en) Lamp control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and lamp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990879A (zh) 蒸烤设备、蒸烤系统和蒸烤设备的控制方法
CN111719282A (zh) 一种家电的控制方法
JP2008197276A (ja) 映像表示装置
WO2020177679A1 (zh) 一种家电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