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18U - 이적 장치 및 이를 응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 - Google Patents
이적 장치 및 이를 응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218U KR20200002218U KR2020200000332U KR20200000332U KR20200002218U KR 20200002218 U KR20200002218 U KR 20200002218U KR 2020200000332 U KR2020200000332 U KR 2020200000332U KR 20200000332 U KR20200000332 U KR 20200000332U KR 20200002218 U KR20200002218 U KR 2020000221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transfer
- unit
- machine
- tempor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이 적재 유닛, 임시 적재 유닛, 이송 유닛 및 운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은 트레이 적재기로 트레이 운송 카트에 의해 운송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받아 적재하며, 상기 임시 적재 유닛은 Z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계틀이 설치됨과 아울러 기계틀에는 복수의 트레이가 임시적으로 적재되도록 구비되는 제1임시 적재기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기로 트레이 적재 유닛 및 제1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며, 상기 운송 유닛은 운송기가 Z방향을 따라 제1임시 적재기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복수의 트레이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를 개시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는 트레이 운송 카트에 적재되는 복수 트레이의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다음 배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신속하게 운송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트레이 운송 카트에 적재되는 복수 트레이의 체류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여 다음 배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신속하게 운송토록 하고 나아가 생산효율을 높이는 이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종래의 전자부품 시험장비를 도시한 사시도로, 기계(11)의 전반부에는 자재 공급 장치(12) 및 자재 회수 장치(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재 공급 장치(12)는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이 적재된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자재 회수 장치(13)는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이 적재된 자재 회수용 트레이(131)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기계(11)에 설치된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14)은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 및 자재 회수용 트레이(131)를 이송하도룩 구비된다. 그리고 기계(11)의 후반부에는 시험 장치(15)가 설치되며, 상기 시험 장치(15)는 전자부품에 대한 시험 작업을 진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51) 및 시험대(152)가 설치되며, 자재 이송기(16)는 X-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재 공급 장치(12)와 자재 회수 장치(13) 및 시험 장치(15) 사이에서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 및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적재하여 이송하며, 트레이 운송 카트(17)는 내부의 한쪽에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171)이 설치되고 각 층별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171)은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받아 적재하며, 트레이 운송 카트(17) 내부의 다른 한쪽에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회수용 브래킷(172)이 설치되고 각 층별 트레이 회수용 브래킷(172)은 자재 회수용 트레이(131)를 받아 적재하며, 트레이 운송 카트(17)가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적재하여 기계(11)의 앞쪽으로 이동하면,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14)이 X-Y-Z방향을 따라 트레이 운송 카트(17)의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171)으로 이동하면서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인출하고 아울러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자재 공급 장치(12)로 이송하여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공급함과 아울러 자재 회수 장치(13)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131)를 트레이 운송 카트(17)의 트레이 회수용 브래킷(172)으로 이송하여 수거하게 된다. 그러나,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14)은 반드시 자재 공급 장치(12)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 내부의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에 대한 취급을 완료하여야만 비로소 트레이 운송 카트(17)의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171)에서 다음 시험 차례를 대기 중인 전자부품이 적재된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를 사용하고 다시 이를 자재 공급 장치(12)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 운송 카트(17)는 반드시 고정된 위치에서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14)에 의해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가 사용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비로소 그 곳을 이탈할 수 있으며 또한 트레이 운송 카트(17)는 기계(11)의 앞쪽을 신속하게 벗어남에 따라 다음 배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121)에 대한 보충 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 운송 카트(17)가 기계에서 이탈하여 다음 배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자재 공급 트레이(121)를 보충할 때,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14) 또한 반드시 트레이 운송 카트(17)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트레이 운송 카트에 대한 사용 효율 및 시험 장비에 대한 생산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 1은 트레이 적재 유닛, 임시 적재 유닛, 이송 유닛 및 운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은 트레이 적재기로 트레이 운송 카트에 의해 반송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받아 적재하며, 상기 임시 적재 유닛은 Z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계틀이 설치됨과 아울러 기계틀에는 복수의 트레이가 임시적으로 적재되도록 구비되는 제1임시 적재기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기가 트레이 적재기 및 제1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며, 상기 운송 유닛은 운송기가 Z방향을 따라 제1임시 적재기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트레이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트레이 운송 카트에 적재되는 복수 트레이의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트레이 운송 카트가 트레이 보충 및 트레이 운송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이의 반송 효율 및 사용 효율을 높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얻도록 하는 이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2는 트레이 적재 유닛 및 임시 적재 유닛은 모두 복수의 트레이를 임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레이 운송 카트가 트레이 보충 작업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운송 유닛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임시 적재 유닛의 복수의 트레이를 관련 장치의 주변으로 운송하여 자재를 준비토록 함으로써 관련 장치의 자재 보충 대기를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효율을 높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얻도록 하는 이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 3은 임시 적재 유닛은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가 설치되도록 기계 위에 Z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계틀이 설치되며,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는 복수의 배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트레이를 임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계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계의 배치 공간을 줄이는 데 유용한 실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 4는 기계, 자재 공급 장치, 자재 회수 장치, 작업 장치,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 수송 장치 및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소재 공급 장치는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공급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재 회수 장치는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재 회수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 장치는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에 대한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송 장치는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을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재 이송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는 복수의 트레이를 임시적으로 적재하고 운송하기 위한 트레이 적재 유닛, 임시 적재 유닛, 이송 유닛 및 운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실용적인 효과를 얻도록 하는 이적 장치를 응용하는 전자부품 작업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부품 시험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가 전자부품 시험 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12는 도 1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가 전자부품 시험 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1)이다.
도 12는 도 1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2)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는 전자부품 작업 설비에 응용된다. 전자부품 작업 설비는 기계(20), 자재 공급 장치(30), 자재 회수 장치(40), 작업 장치(50), 수송 장치(60) 및 중앙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함과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70)와 함께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자재 공급 장치(30)는 상기 기계(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자재 공급용 트레이(31)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자개 공급 장치(30)는 트레이 공급 구간 및 자재 취급 구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트레이 공급 구간은 복수 개로 구성된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31)를 적재함과 아울러 자재 공급용 트레이(31)를 자재 취급 구간으로 수송하여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취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개 회수 장치(40)는 기계(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용하는 자재 회수용 트레이(41)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자재 회수 장치(40)는 자재 회수 구간 및 트레이 회수 구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재 회수 구간은 속이 비어 있는 자재 회수용 트레이(41)로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회수하여 적재함과 아울러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이 적재된 자재 회수용 트레이(41)를 트레이 회수 구간으로 수송하여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41)가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 장치(50)는 기계(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에 대한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작업기는 시험기로 이루어지며, 시험기에는 전자부품을 시험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51) 및 시험대(5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송 장치(60)는 기계(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을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재 이송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수송 장치(60)에는 자재 공급 장치(30)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31)에서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꺼내고 아울러 이를 제1자재 투입 캐리어(62) 및 제2자재 투입 캐리어(63)로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제1자재 이송기(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자재 투입 캐리어(62) 및 제2자재 투입 캐리어(63)는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작업 장치(50)의 옆쪽으로 운송하며, 수송 장치(60)의 제2자재 이송기(64) 및 제3자재 이송기(65)는 제1자재 투입 캐리어(62) 및 제2자재 투입 캐리어(63)에서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꺼내고 아울러 이를 작업 장치(50)의 시험대(52)로 이송하여 시험 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시험대(52) 내부에서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꺼내고 아울러 이를 제1자재 방출 캐리어(66) 및 제2자재 방출 캐리어(67)로 이송하며, 제1자재 방출 캐리어(66) 및 제2자재 방출 캐리어(67)가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적출하며, 수송 장치(60)의 제4자재 수송기(68)가 상기 제1자재 방출 캐리어(66) 및 제2자재 방출 캐리어(67)에서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꺼내고 아울러 시험 결과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자재 회수 장치(40)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41)로 수송하여 분리 수거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장치는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각종 장치의 동작에 대한 제어 및 통합을 위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70)는 트레이 적재 유닛, 임시 적재 유닛, 이송 유닛 및 운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에는 복수의 트레이를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적재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상기 트레이 적재기는 기계(20)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거나 독립형 프레임 또는 트레이 운송 카트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에는 작업의 필요성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사일로를 적재함과 아울러 트레이나 사일로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리미터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는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로 이루어지거나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수거하도록 비어 있는 자재 회수용 트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트레이 적재기(711)는 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미도시)가 적재되도록 기계(20)의 한쪽에 설치 고정되며, 게다가 트레이 적재기(711)에는 서플라이 사일로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1리미터(7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시 적재 유닛에는 Z방향으로 배치된 기계틀(72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기계틀(721)에는 복수의 트레이가 임시적으로 적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임시 적재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제1임시 적재기에는 제1적재부가 설치되 있으며, 상기 제1적재부는 트레이가 적재되도록 독립된 트레이 적재물이나 기계틀(721)의 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적재 유닛에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임시 적재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제2임시 적재기는 트레이를 임시적으로 적재하도록 구비되고 또 임시 적재 유닛은 작업의 필요성에 따라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로 트레이를 구비한 사일로를 임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본 실시 예에서, 임시 적재 유닛은 기계(20)의 상부 프레임에 Z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계틀(721)이 설치되며, 기계틀(721)에는 스루홀(7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임시 적재기는 북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가 적재되도록 기계틀(721)의 스루홀(722)의 양쪽 부위를 제1적재부(723)로 사용하고 아울러 제1임시 적재기는 사일로 밑면에 위치한 스토퍼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1적재부(723) 쪽에 제동부(724)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제동부(724)는 봉체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임시 적재 구동원(725)에 의해 곡선을 타고 스윙하면서 이동하여 사일로의 스토퍼가 이를 따라 스윙하면서 사이일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또한, 제1임시 적재기는 제동부(724)의 옆쪽에 외부를 향해 스윙하면서 이동하는 스토퍼를 제동하여 사일로가Z방향을 따라 위를 향해 이동하면서 탈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쇠(72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임시 적재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리미터(727)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제1임시 적재기는 제1적재부(723) 옆쪽에 서플라이 사일로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제2리미터(7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임시 적재 유닛은 기계틀(721)의 상부 그리고 제1임시 적재기의 양쪽에 복수의 제2임시 적재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임시 적재기는 트레이 적재기(711)의 상부에 위치하고 각각의 상제2임시 적재기에는 복수의 트레이가 적재되도록 제2적재부(728)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제2적재기는 기계틀(721)의 테이블 상부를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를 적재하기 위한 제2적재부로 사용한다. 한편, 제2임시 적재기는 제2적재부(728)에 복수의 트레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리미터(729)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제2임시 적재기에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3리미터(7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 유닛에는 트레이 적재 유닛의 트레이 적재기(711) 및 임시 적재 유닛의 제1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기가 설치되며, 한 걸을 더 나아가, 이송기는 이송기구 및 이송 구동원을 포함하며, 이송기구는 복수의 트레이를 꺼내거나 놓도록 구비되고 이송 구동원은 이송기구가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 유닛은 이송기를 제1이송경로에 설치하여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거나, 이송기를 제1이송경로 및 제2이송경로에 설치하여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거나, 두 개의 이송기를 제1이송경로 및 제2이송경로에 설치하여 복수의 트레이를 번갈아가며 이송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 유닛은 임시 적재 유닛의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의 상부에 X방향인 제1이송경로가 마련되어 있고 아울러 임시 적재 유닛의 트레이 적재기(711)와 제2임시 적재기의 옆쪽에 Z방향인 제2이송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제1이송경로에는 제1이송기를 설치하여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함과 아울러 제2이송경로에는 제2이송기를 설치하여 트레이 적재기(711) 및 제2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 제1이송기는 제1이송기구(731) 및 제1이송 구동원(732)을 포함하며, 제1이송기구(731)는 서플라이 사일로를 클램핑하는 두 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제1이송 구동원(732)은 제1이송기구(731)가 X-Z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를 이송하도록 제1이경로에 설치되며, 제2이송기는 제2이송기구(733) 및 제2이송 구동원(734)을 포함하고, 제2이송기구(733)는 서플라이 사일로를 클램핑하는 두 개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제2이송 구동원은 상제2이송기구(733)가 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레이 적재기(711) 및 제2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서플라이 사일로를 이송하도록 제2이송경로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 유닛은 제1이송기 및 제2이송기로 트레이 적재 유닛 및 임시 적재 유닛 사이에서 번갈아가며 사일로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운송 유닛은 임시 적재 유닛의 제1임시 적재기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에 운송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송기는 Z방향으로 제1임시 적재기를 향해 이동하면서 복수의 트레이를 반입하거나 반출한다. 한 걸을 더 나아가, 운송기는 운송기구 및 운송 구동원을 포함하며, 운송기구는 복수의 트레을 운송하도록 구비되고 운송 구동원은 운송기구가 적어도 Z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를 구동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 운송기의 운송기구(741)는 팔레트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제1임시 적재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기계틀(721)의 스루홀(722)에는 대응하며, 운송 구동원(742)은 운송기구(741)가 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제1임시 적재기 쪽의 서플라이 사일로에서 복수의 트레이를 반출하도록 기계(20)에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적 장치(70)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운반 유닛(80)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 운반 유닛(80)은 브래킷(81), 운반기구(82) 및 트레이 압착기구(83)를 포함한다. 여기서, 브래킷(81)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 브래킷(81)은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84)에 의해 구동되어 X-Z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운반기구(82)는 트레이를 꺼내거나 놓도록 브래킷(81)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 운반기구(82)는 두 개가 서로 대응하게 배치된 클램프(821)를 포함함과 아울러 제2트레이 운반 구동원(85)이 두 개의 클램프(821)가 X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트레이를 꺼내거나 놓도록 한다. 한편, 운반기구(82)의 두 개의 클램프(821)에는 트레이 압착기구(82)가 걸치도록 적재횡단부(822)가 설치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821)는 하반부의 앞쪽 및 뒷쪽에 적재횡단부(822)가 돌출된 상태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 압착기구(83)는 Z방향으로 이동하여 트레이를 압착하도록 브래킷(81)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 트레이 압착기구(83)에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압착판(831)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압착판(831) 위에는 Z방향으로 배치되는 직립봉(8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직립봉(832)의 상단이 상기 브래킷(811)의 천공(811)을 관통하여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운반 유닛(80)은 브래킷(81) 위에 트레이 압착기구(83)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가 설치되는데, 한 걸을 더 나아가, 포지셔너는 지탱부(861) 및 포지셔닝 구동원(862)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구동원(862)은 지탱부(861)가 이동하도록 이를 구동하여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직립봉(832)의 외주면을 지탱하도록 하고 또 지탱부(861)는 직립봉(832)에 대응하는 해당 면에 접착부(86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착부(8611)의 형상은 호형이나 다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지탱부(861)와 직립봉(832) 사이의 마찰 저항력을 높이도록 미끄럼방지부(미도시)나 톱니부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지탱부(861)의 한쪽은 브래킷(81)에 축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포지셔닝 구동원(862)에 축을 중심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직립봉(832)에 대응하는 해당 면에는 호형으로 구성된 접착부(8611)가 설치되어 있으며, 포지셔닝 구동원(862)은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직립봉(832)을 압박하거나 방출하도록 지탱부(861)가 수평으로 스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플라이 사일로(92)를 구비한 트레이 운송 카트(91)는 트레이 적재 유닛의 트레이 적재기(711)의 옆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인위적인 방식이나 로봇 암을 이용해 트레이 운송 카트(91) 상부의 서플라이 사일로(9)를 트레이 적재기(711)로 이송함과 아울러 트레이 적재기(711) 쪽에 마련된 복수의 제1리미터(712)로 서플라이 사일로(92)를 포지셔닝시키면 서플라이 사일로(92) 내부에 복수의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을 구비한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유닛은 제2이송 구동원(734)으로 제2이송기구(733)가 제2이송경로에서 Y-Z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2이송기구(733)가 트레이 적재기(711)에서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의 서플라이 사일로(92)를 꺼냄과 아울러 이를 임시 적재 유닛의 제2임시 적재기의 제2적재부(728)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송 유닛은 제2임시 적재기의 제2적재부(728)에서 서플라이 사일로(92)를 꺼냄과 아울러 이를 제1임시 적재기의 제1적재부(723)로 이송하도록 제1이송 구동원(732)으로 제1이송기구(731)가 제1이송경로에서 X-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어서 운송 유닛은 서플라이 사일로(92) 내부의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받치도록 운송 구동원(742)으로 운송기구(741)가 Z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계틀(721)의 스루홀(722)을 통과하며, 이어서 임시 적재 유닛은 서플라이 사일로(92) 밑면의 스토퍼(921)가 외부를 향해 스윙하면서 열림과 아울러 스토퍼(921)가 걸림쇠(726) 하부로 스윙하면서 걸림쇠(726)의 제동에 의해 포지셔닝되도록 임시 적재 구동원(725)으로 제동부(724)가 곡선을 타고 스윙하면서 이동하도록 한다.
도 7, 도 10, 도 11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이송기구(731)는 기타 자재 공급용 사일로(92A)를 순서에 따라 각각의 제2임시 적재기의 제2적재부(728)로 이송하여 임시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데, 트레이 운송 카트(91)의 복수의 자료 공급용 사일로(92, 92A)가 이미 순서에 따라 트레이 적재기(711), 제1임시 적재기 및 제2임시 적재기로 이송되어 트레이 운송 카트(91)의 체류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였기 때문에 트레이 운송 카트(91)로 하여금 트레이 보충 및 트레이 운송 작업을 빠른 속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운송 유닛의 운송 구동원(742)은 자재 공급용 사일로(92)에서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꺼내도록 운송기구(741)가 Z방향을 따라 아래를 향해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이미 설치된 트레이 픽앤플레이스 위치로 이송하며, 상기 트레이 운반 유닛(80)은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84)으로 브래킷(81) 및 운반기구(82)가 X-Z방향으로 운송기구(741)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는데, 이때 운반기구(82)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 경우,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압착판(831)은 최상단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을 압착함과 아울러 최상단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에 의해 밀려 Z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직립봉(832)으로 하여금 브래킷(81)의 천공(81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이동 높이는 복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의 적재 높이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트레이 압착기구(93)는 자체의 무게에 의해 최상단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에 압력을 가함에 따라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의 포지셔닝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어서 제2트레이 운반 구동운(85)이 운반기구(82)의 두 개의 클램프(821)를 X방향으로 움직여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클램핑하도록 하여 운반기구(82)가 복수의 자재 공급 트레이(93)를 안정하게 클램핑하게 되며, 또한 트레이 운반 유닛(80)의 포지셔닝 구동원(862)이 지탱부(861)로 하여금 스윙하면서 이동토록 하고, 이에 따라 지탱부(861)의 접착부(8611)로 하여금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직립봉(832)을 지탱하도록 하여 트레이 압착기구(83)에 보다 확실한 포지셔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 운반 유닛(80)은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84)으로 브래킷(81) 및 운반기구(82)를 X-Z방향으로 움직여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자재 공급 장치(93)로 운반하고, 이어서 제2트레이 운반 구동원(85)이 운반기구(82)의 두 개의 클램프(821)를 X방향으로 움직여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방출하도록 함에 따라 자개 공급 장치(30)가 자재를 공급하도록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받아 적재하며, 포지셔닝 구동원(962)이 지탱부(961)를 반대 방향으로 스윙하면서 이동토록 하여 지탱부(861)의 접착부(8611)로 하여금 트레이 압착기구(83)의 직립봉(832)을 방출하도록 하는데, 이때 트레이 압착기구(83)가 자재 공급용 트레이(93)를 위로 밀지 않기 때문에 자체의 무게를 이용해 Z방향으로 아래를 향해 복귀하면서 운반기구(82)의 적재횡단부(822)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 운반 유닛(80)은 또한 자재 회수 장치(40) 쪽에 위치한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을 구비한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를 운송 유닛으로 이송하고 운송 유닛이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를 임시 적재 유닛 쪽에 마련된 비어 있는 자재 회수용 사일로로 이적하여 수거함과 아울러 이송 유닛이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의 자재 회수용 사일로를 트레이 적재 유닛으로 이송하여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의 자재 회수용 사일로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14및 도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적 장치(7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및 도 15를 참조하면, 이와 제1실시 예의 차이점은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에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적재기의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프레임에는 각 층별 트레이 적재기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적재운송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한 걸을 더 나아가, 적재운송기는 적어도 한 방상으로 이동하는 적재운송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예컨대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적재기가 적재운반물로 하여금 Y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레이를 꺼내거나 놓도록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적재운반물이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트레이 적개지 사이에서 트레이를 꺼내거나 놓도록 Z-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트레이 적재 유닛은 기계(20)의 한쪽에 제1프레임(751)이 설치됨과 아울러 다른 한쪽에 제2프레임(752)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751)에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제2트레이 적재기(753A, 753B, 753C) 등이 설치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제1트레이 적재기(753A)는 기설치된 공급용 사일로 위치로 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층의 제1트레이 적재기(753B, 753C) 등은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를 구비한 자재 공급용 사일로를 각각 받다 적재한다. 한편, 제1프레임(751)에는 제1적재운분기가 설치되고, 제1적재운반기는 제1적재운반 구동원(7541) 및 제2적재운반부(7542)을 포함하며, 제1적재운반 구동원(7541)은 제1적재운반부(7542)을 Y-Z방양으로 움직여 이에 대응하는 제1트레이 적재기(753B)나 제1트레이 적재기(753C)에서 복수의 자재 공급용 트레이를 구비한 자재 공급용 사일로(미도시)를 꺼내 사용토록 함과 아울러 사용된 자재 공급용 사일로를 최상단에 위치한 기설치된 공급용 사일로 위치의 제1트레이 적재기(753A)로 운송하여 이송 유닛이 이를 꺼내 사용토록 하며, 제2프레임(752)에도 마찬가지로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제2트레이 적재기(755A, 755B, 755C) 등을 설치하며, 최상층에 위치한 제2트레이 적재기(755A)는 기설치된 회수용 사일로 위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층의 제2트레이 적재기(755B, 755C) 등은 복수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를 구비한 자재 회수용 사잉로를 각각 받다 적재한다. 한편, 제2프레임(752)에는 제2적재운반기를 설치하고, 제2적재운반기는 제2적재운반 구동원(7561) 및 제2적재운반부(7562)를 포함하며, 제2적재운반 구동원(7561)는 제2적재운반부(7562)를 Y-Z방향으로 움직여 기설치된 회수용 사일로 위치의 제2트레이 적재기(755A)에 위치한 자재 회수용 사일로에서 꺼내고 또 이를 이에 대응하는 제2트레이 적재기(755B)나 제2트레이 적재기(755C)로 운송하여 수거한다.
상기 이송 유닛에는 제1이송경로에 마련된 트레이 적재 유닛의 제1프레임(751), 제2프레임(752) 및 임시 적재 유닛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제1이송기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 트레이 적내 유닛의 제1프레임(751) 및 제2프레임(752)은 이송 유닛의 제1이송경로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송 유닛은 제1이송경로에 제1이송기를 설치하여 트레이를 이송토록 한다. 즉, 제1이송기는 제1이송 구동원(732)으로 제1이숭기구(731)를 제1이송경로에서 X-Z방향으로 움직여 제1프레임(751)의 제2트레이 적재기(753A)에 마련된 자재 공급용 사일로를 임시 적재 유닛의 제1임시 적재기나 제2임시 적재기로 이송함과 아울러 임시 적재 유닛의 제1임시 적재기나 제2임시 적재기에 마련된 자재 회수용 사일로를 제2프레임(752)에 마련된 제2트레이 적재기(755)로 이송하여 수거한다.
[종래 고안]
11: 기계 12: 자재 공급 장치
121: 자재 공급용 트레이 13: 자재 회수 장치
131: 자재 회수용 트레이 14: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
15: 시험 장치 151: 회로기판
152: 시험대 16: 자재 이송기
17: 트레이 운송 카트 171: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
172: 트레이 회수용 브래킷
[본 고안]
20: 기계
30: 자재 공급 장치 31: 자재 공급용 트레이
40: 자재 회수 장치 41: 자재 회수용 트레이
50: 작업 장치 51: 회로기판
52: 시험대
60: 수송 장치 61: 제1자재 이송기
62: 제1자재 투입 캐리어 63: 제2자재 투입 캐리어
64: 제2자재 이송기 65: 제3자재 이송기
66: 제1자재 방출 캐리어 67: 제2자재 방출 캐리어
68: 제4자재 이송기
70: 이적 장치 711: 트레이 적재기
712: 제1리미터 721: 기계틀
722: 스루홀 723: 제1적재부
724: 제동부 725: 임시 적재 구동원(725)
726: 걸림쇠 727: 제2리미터
728: 제2적재부 729: 제3리미터
731: 제1이송기구 732: 제1이송 구동원
733: 제2이송기구 734: 제2이송 구동원
741: 운송기구 742: 운송 구동원
751: 제1프레임 752: 제2프레임
753A·753B·753C: 제1트레이 적재기
7541: 제1적재운반 구동원 7542: 제1적재운반부
755A·7755B·7755C: 제2트레이 적재기
7561: 제2적재운반 구동원 7562: 제2적재운반부
80: 트레이 운반 유닛 81: 브래킷
811: 천공 82: 운반기구
821: 클램프 822: 적재횡단부
83: 트레이 압착기구 831: 압착판
832: 직립봉 84: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
85: 제2트레이 운반 구동원 861: 지탱부
8611: 접착부 532: 포지셔닝 구동원
91: 트레이 운송 카트 92·92A: 자재 공급용 사일로
921: 스토퍼 93: 자재 공급용 트레이
[색인어]
20: 기계 30: 자재 공급 장치
40: 자재 회수 장치 70: 이적 장치
711: 트레이 적재기 712: 제1리미터
721: 기계틀 722: 스루홀
723: 제1적재부 727: 제2리미터
728: 제2적재부 729: 제3리미터
731: 제1이송기구 732: 제1이송 구동원
733: 제2이송기구 734: 제2이송 구동원
741: 운송기구 742: 운송 구동원
80: 트레이 운반 유닛 84: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
11: 기계 12: 자재 공급 장치
121: 자재 공급용 트레이 13: 자재 회수 장치
131: 자재 회수용 트레이 14: 트레이 이송용 로봇 암
15: 시험 장치 151: 회로기판
152: 시험대 16: 자재 이송기
17: 트레이 운송 카트 171: 트레이 공급용 브래킷
172: 트레이 회수용 브래킷
[본 고안]
20: 기계
30: 자재 공급 장치 31: 자재 공급용 트레이
40: 자재 회수 장치 41: 자재 회수용 트레이
50: 작업 장치 51: 회로기판
52: 시험대
60: 수송 장치 61: 제1자재 이송기
62: 제1자재 투입 캐리어 63: 제2자재 투입 캐리어
64: 제2자재 이송기 65: 제3자재 이송기
66: 제1자재 방출 캐리어 67: 제2자재 방출 캐리어
68: 제4자재 이송기
70: 이적 장치 711: 트레이 적재기
712: 제1리미터 721: 기계틀
722: 스루홀 723: 제1적재부
724: 제동부 725: 임시 적재 구동원(725)
726: 걸림쇠 727: 제2리미터
728: 제2적재부 729: 제3리미터
731: 제1이송기구 732: 제1이송 구동원
733: 제2이송기구 734: 제2이송 구동원
741: 운송기구 742: 운송 구동원
751: 제1프레임 752: 제2프레임
753A·753B·753C: 제1트레이 적재기
7541: 제1적재운반 구동원 7542: 제1적재운반부
755A·7755B·7755C: 제2트레이 적재기
7561: 제2적재운반 구동원 7562: 제2적재운반부
80: 트레이 운반 유닛 81: 브래킷
811: 천공 82: 운반기구
821: 클램프 822: 적재횡단부
83: 트레이 압착기구 831: 압착판
832: 직립봉 84: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
85: 제2트레이 운반 구동원 861: 지탱부
8611: 접착부 532: 포지셔닝 구동원
91: 트레이 운송 카트 92·92A: 자재 공급용 사일로
921: 스토퍼 93: 자재 공급용 트레이
[색인어]
20: 기계 30: 자재 공급 장치
40: 자재 회수 장치 70: 이적 장치
711: 트레이 적재기 712: 제1리미터
721: 기계틀 722: 스루홀
723: 제1적재부 727: 제2리미터
728: 제2적재부 729: 제3리미터
731: 제1이송기구 732: 제1이송 구동원
733: 제2이송기구 734: 제2이송 구동원
741: 운송기구 742: 운송 구동원
80: 트레이 운반 유닛 84: 제1트레이 운반 구동원
Claims (9)
- 복수의 트레이를 받아 적재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적재기가 설치되어 있는 트레이 적재 유닛;
Z방향으로 배치되는 기계틀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계틀에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가 임시로 적재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임시 적재기가 설치된 임시 적재 유닛;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의 상기 트레이 적재기 및 상기 임시 적재 유닛의 상기 제1임시 적재기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기가 설치된 이송 유닛; 및
상기 제1임시 적재기의 하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운송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송기는 적어도 Z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임시 적재기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운송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의 상기 트레이 적재기는 기계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의 상기 트레이 적재기는 트레이 운송 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에는 복수 층을 가지는 상기 트레이 적재기의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프레임에는 각 층별 상기 트레이 적재기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적재운송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트레이 적재기 및 상기 임시 적재 유닛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제1이송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에는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 및 상기 임시 적재 유닛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제1이송기 및 제2이송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재 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임시 적재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2임시 적재기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임시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재 유닛의 상기 트레이 적재기 및 상기 임시 적재 유닛의 상기 제1임시 적재기는 사일로를 받아 적재하고, 상기 사일로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
- 기계;
상기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작업 대기 중인 전자부품의 자개 공급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자재 공급 장치;
상기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의 자재 회수용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자재 회수 장치;
상기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에 대한 미리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기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 장치;
상기 기계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자부품을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기가 설치되어 있는 수송 장치;
적어도 하나의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따른 이적 장치; 및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 및 통합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적 장치가 응용되는 전자부품 작업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8111139A TWI741274B (zh) | 2019-03-29 | 2019-03-29 | 轉運裝置及其應用之電子元件作業設備 |
TW108111139 | 2019-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2218U true KR20200002218U (ko) | 2020-10-08 |
KR200496316Y1 KR200496316Y1 (ko) | 2022-12-30 |
Family
ID=7267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332U KR200496316Y1 (ko) | 2019-03-29 | 2020-01-23 | 이적 장치 및 이를 응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316Y1 (ko) |
CN (1) | CN111747103B (ko) |
TW (1) | TWI74127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92316A (zh) * | 2019-04-08 | 2020-10-20 | 鸿劲精密股份有限公司 | 转运装置及其应用的电子元件作业设备 |
TWI821569B (zh) * | 2020-05-29 | 2023-11-11 |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 置匣裝置及其應用之作業設備 |
CN114620495A (zh) * | 2022-02-18 | 2022-06-14 | 盐城维信电子有限公司 | 一种自动上料装置及具有其的测试设备 |
TWI804322B (zh) * | 2022-05-20 | 2023-06-01 |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 置盤裝置及作業機 |
TWI822108B (zh) * | 2022-06-13 | 2023-11-11 |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 載盤、搬運裝置及作業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084A (ko) * | 2009-07-09 | 2011-01-17 | 아주하이텍(주) | 기판 수납 용기와,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 장치 |
KR20140136076A (ko) * | 2013-05-16 | 2014-11-28 | (주)테크윙 |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789073A (fr) * | 1971-09-23 | 1973-03-21 | Lewis Thomas M | Dispositif de selection d'articles en provenance d'un magasin |
JPH11227905A (ja) * | 1998-02-12 | 1999-08-24 | Sekisui Chem Co Ltd | 倉庫と積み荷の積み替え方法 |
WO2004001582A1 (en) * | 2002-06-19 | 2003-12-31 | Brooks Automation, Inc. |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ased on a combination of vertical carousels and overhead hoists |
JP5351777B2 (ja) * | 2010-01-08 | 2013-11-27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部品供給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
TWI538867B (zh) * | 2013-12-27 | 2016-06-21 |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ment devic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ovement device and the application equipment thereof | |
JP6191544B2 (ja) * | 2014-05-22 | 2017-09-06 | 株式会社ダイフク | 搬送装置 |
TWI548026B (zh) * | 2014-12-05 | 2016-09-01 | Hon Tech Inc | Electronic components handl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
CN104891086B (zh) * | 2015-05-27 | 2017-01-18 | 上海理工大学 | 自动装卸式货架仓储装置 |
CN104960832B (zh) * | 2015-07-07 | 2018-08-03 | 哈尔滨北仓粮食仓储工程设备有限公司 | 成品粮低温储备库及储粮方法 |
TWM525345U (zh) * | 2015-11-23 | 2016-07-11 | Symtek Automation Asia Co Ltd | 自動化加工裝置 |
TWI613136B (zh) * | 2017-05-05 | 2018-02-01 | 電子元件載具及其應用之作業分類設備 | |
CN107840059B (zh) * | 2017-11-30 | 2023-11-28 | 上海诺力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
-
2019
- 2019-03-29 TW TW108111139A patent/TWI741274B/zh active
- 2019-11-08 CN CN201911089599.XA patent/CN111747103B/zh active Active
-
2020
- 2020-01-23 KR KR2020200000332U patent/KR20049631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5084A (ko) * | 2009-07-09 | 2011-01-17 | 아주하이텍(주) | 기판 수납 용기와,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 장치 |
KR20140136076A (ko) * | 2013-05-16 | 2014-11-28 | (주)테크윙 |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747103B (zh) | 2022-11-01 |
KR200496316Y1 (ko) | 2022-12-30 |
TWI741274B (zh) | 2021-10-01 |
CN111747103A (zh) | 2020-10-09 |
TW202037262A (zh) | 2020-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02218U (ko) | 이적 장치 및 이를 응용한 전자부품 작업 설비 | |
KR100202324B1 (ko) | 통합화된 자동식 복합재 제조 장치 | |
CN108328238B (zh) | 自动测试流水线 | |
TWI534440B (zh) |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sorting machine and test support method in the sorting machine | |
TWI275556B (en) | Pallet conveyance device | |
CN108545441B (zh) | 输送机 | |
TWI685459B (zh) | 搬盤單元及其應用之電子元件作業設備 | |
KR20220134117A (ko) |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 |
KR20150116216A (ko) |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및 라벨링 장비 | |
JP2018145004A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自動倉庫システム | |
TWI790092B (zh) | 電子部件測試用分選機 | |
TWI537573B (zh) | 半導體元件測試用分選機 | |
CN111890632B (zh) | 嵌件与入子拆卸组装装置 | |
TWI748508B (zh) | 置料裝置及其應用之作業設備 | |
CN211733055U (zh) | 产品自动搬运装置 | |
CN210709547U (zh) | 一种转子铁心自动上料设备 | |
JP2013124169A (ja) | バッチシート給紙装置 | |
JPH07315338A (ja) | 折畳みコンテナの移載組立方法及び装置 | |
CN211033295U (zh) | 一种隔板自动投放机 | |
CN110342255B (zh) | Pcba板的分板与测试对接移栽设备 | |
KR102058442B1 (ko) | 핸들러용 트레이 이송기 및 핸들러 | |
CN112027489A (zh) | 组装电路板自动摆放机 | |
TWI657988B (zh) | Electronic component working machine | |
CN108275472B (zh) | 电池排传送机构及其全自动模组组装码垛机 | |
CN111071780A (zh) | 产品自动搬运装置及其操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