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87U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287U KR20200001287U KR2020180005673U KR20180005673U KR20200001287U KR 20200001287 U KR20200001287 U KR 20200001287U KR 2020180005673 U KR2020180005673 U KR 2020180005673U KR 20180005673 U KR20180005673 U KR 20180005673U KR 20200001287 U KR20200001287 U KR 2020000128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member
- wheel
- fixed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방회전바퀴 및 후방바퀴로 이루어지는 바퀴부재; 상기 바퀴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를 마련하여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받침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재에 의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 또한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운반대상물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되고, 전방회전바퀴와 후방바퀴에 의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며, 수직지지부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과 같이 충격에 약한 운반대상물을 수직으로 안착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대차라 함은 제조된 부품 내지 특정 대상물의 위치 이동을 위하여 운반 기능이 있도록 구비되는 통상의 기기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그 쓰임새 및 활용도가 상이한 바, 예컨대 자동차 부품 생산 공장이나 자동차 조립 공장 등에서 흔히 쓰이는 경량용 이동대차와 스크류 등과 같이 몸집이 비대한 중량용 이동대차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건축 부재를 이송하는 건축현장, 대형 기계들을 생산하는 생산 라인 등과 같은 중량물을 안치한 상태로 작은 힘으로 중량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이송하는 곳에서도 이동대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대차는 중량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중량물이 수납되는 판 형상의 대차 하부에 중량물과 대차를 이송하는 대차 바퀴를 복수로 구비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사회발전에 따른 대형구조물 건설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 지하철, 터널 및 교량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시공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구조물의 시공에 필요한 건축 자재 역시 대형화되어 자재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동 대상물이 중량화, 대형화됨에 따라 이를 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의 부피 역시 대형화되었다.
이와 같이 대형화된 이동대차는 건물 밀집지역, 산간 협곡 지역 및 깊은 하천구간 등과 같은 협소공간으로는 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주택이나 아파트, 건물 등에 사용되는 발코니 창호 또는 유리판(이하, 피운반물이라 칭함)은 통상 200~300 ㎏ 의 고중량을 가지므로, 이의 운반을 위해서는 작업자 4~5인이 소요된다.
즉, 다수의 작업자가 상기 피운반물을 들고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운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자가 지치게 된다. 지게차를 이용하여 이동할 경우, 건물 내에는 진입이 불가능하고 소운반의 경우 더욱더 번거롭게 된다.
또한 지게차가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은 턱을 넘을 때, 진동에 의해 피운반물이 전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피운반물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됨은 물론 상기 전도된 피운반물이 훼손 내지 파손됨으로써 금전적인 손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중첩식 이동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중첩식 이동대차는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이동가능토록 복수의 캐스터가 부착되며, 다수의 보강부재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고, 동일수평면에서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토록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2면 이상이 프레임보다 확대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 저면에 그 단부가 호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가 연결되어 프레임과 소정의 높이 차를 갖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각각 대칭토록 설치되어 프레임을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적어도 한 방향 이상에서 경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플레이트의 폭 방향에 대칭토록 각각 설치되는 피봇과 상기 피봇에 대응토록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유니트로서 이루어지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중첩식 이동대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호형의 판재로서 그 일단은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이에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이 삽입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이동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이동 대차는 본체 프레임에 주바퀴구조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이동대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측 중앙부에 주바퀴구조체가 형성되되, 상기 주바퀴구조체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주바퀴의 회전축을 관통하는 샤프트의 일단에 바퀴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피운반물을 받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받침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바퀴구조체는 바퀴프레임에 주바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는 부바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바퀴 및 상기 부바퀴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대차는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 및 바닥면에 대리석을 시공하게 되며, 이때 중량물인 대리석을 통상의 이동대차에 싣고서 이동하게 되면, 이동대차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대리석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대려석을 수평으로 싣게 되면 대리석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충격 등에 쉽게 파손되는 대리석을 통상의 이동대차에 싣고 이동할 수 없고, 대리석을 수직으로 싣을 수 있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리석, 석재 등과 같이 파손 또는 손상이 쉬운 운반대상물을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리석, 석재 등을 수직으로 세워 안전하게 이동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방회전바퀴 및 후방바퀴로 이루어지는 바퀴부재; 상기 바퀴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부재는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회전바퀴;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14), 상기 바퀴(14)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5), 상기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6) 및 상기 회전프레임(16)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수직판; 상기 제1 수직판의 타면에 고정되는 제3 수직판; 상기 수직지지부재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수직판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직판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상면판; 상기 받침부재에 놓여지는 운반대상물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놓이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에 의하면,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받침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재에 의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 또한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운반대상물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되고, 전방회전바퀴와 후방바퀴에 의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며, 수직지지부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방회전바퀴(11) 및 후방바퀴(12)로 이루어지는 바퀴부재(10), 상기 바퀴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판(21)과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25)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중량물인 대리석 또는 석재 등의 이동 시 대리석 등의 석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며, 이로 인해 대리석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로 구비되는 바퀴부재(10), 상기 바퀴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20) 및 상기 받침부재(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부재(10)는 이동대차가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부재(10)는 이동대차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전방회전바퀴(11)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바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이동대차를 방향 전환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후방바퀴(12)는 전방회전바퀴(11)를 따라 이동대차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받침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고, 후방바퀴(12)는 받침부재(20)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받침부재(20)의 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후방바퀴(12)는 받침부재(20)의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방회전바퀴(11) 및 후방바퀴(12)는 받침부재(20)의 저면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고정플레이트(1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3)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3)에는 바퀴부재(10)가 받침부재(20)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구멍(13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3)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받침부재(20)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14), 상기 바퀴(14)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5), 상기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6) 및 상기 회전프레임(16)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7)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14)는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퀴(14)의 양 측면에는 고정브래킷(15)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16)은 고정플레이트(13)를 중심으로 바퀴(14)가 자유자재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6)의 상면에는 전방회전바퀴(11)가 고정플레이트(13)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고정판(17)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3) 및 고정판(17)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상기 후방바퀴(12)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14), 상기 바퀴(14)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5) 및 상기 회전프레임(16)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7)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회전프레임(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후방바퀴(12)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방바퀴(12)는 바퀴(14)의 양 측면에 고정브래킷(15)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는 고정판(17)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이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판(21),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25)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1)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면판(22), 상기 상면판(22)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판(23), 상기 측면판(23)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면판(24)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20)는 바퀴부재(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판(21)과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21)은 석재 또는 대리석 등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운반할 수 있도록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받침부재(20)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이동대차의 이동 중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리석 등에 직접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판(21)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판(22)과 상기 상면판(22)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측면판(23) 및 상기 측면판(23)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면판(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판(23)은 상면판(22)의 테두리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측면판(23)의 저면에는 하면판(24)이 고정된다.
이러한 하면판(24)에는 바퀴부재(10)의 고정플레이트(13)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31), 상기 제1 수직판(3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수직판(36), 상기 제1 수직판(31)의 타면에 고정되는 제3 수직판(37), 상기 수직지지부재(30)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수직판(31)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38)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대리석 등의 석재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받침부재(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받침부재(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수직판(31), 상기 제1 수직판(3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수직판(36) 및 상기 제1 수직판(31)의 타면에 고정되는 제3 수직판(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직판(31)은 소정의 크기로 고정판(3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32)의 상면에는 상면판(33)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2)의 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측면판(34)이 고정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30)의 제1 수직판(31), 제2 수직판(36) 및 제3 수직판(37)은 대리석 등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직판(31)의 측면판(34)에는 고정구멍(35)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34)에는 고정플레이트(38)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8)에는 고정구멍(35)에 대응되는 고정구멍(39)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35)과 고정플레이트(38)의 고정구멍(39)에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0)이 체결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단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전방회전바퀴(11)와 후방바퀴(12)를 받침부재(20)의 저면에 설치한다.
상기 받침부재(20)의 전방에는 한 쌍의 전방회전바퀴(11)를 설치하고, 받침부재(20)의 후방에는 한 쌍의 후방바퀴(12)를 설치한다.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고정브래킷(15)과 고정판(17)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6)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바퀴(12)는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 고정판(17)이 고정된다.
이에 전방회전바퀴(11)는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후방바퀴(12)는 받침부재(20)에 실린 대리석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바퀴부재(10)의 상면에는 받침부재(20)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부재(20)는 하판(21)의 상면에 상판(25)을 안정되게 설치한다. 즉,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재(20)는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충격을 직접적으로 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부재(20)의 일측에는 수직지지부재(3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고정플레이트(38)의 하부를 받침부재(20)의 측면판(23)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8)의 고정구멍(39)에는 고정수단(40)을 체결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8)의 고정구멍(39)에는 수직지지부재(30)의 측면판(34)을 밀착시키며, 상기 고정구멍(39)과 측면판(34)의 고정구멍(35)을 일치시켜 이에 고정수단(40)을 체결하게 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는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을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수직지지부재(30)를 받침부재(20)의 상면으로 회전시켜 간편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즉, 이동대차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직지지부재(30)를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이동대차에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을 싣지 않는 경우 수직지지부재(30)를 받침부재(20)의 상면으로 회전시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동대차에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을 싣고자 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부재(30)를 수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부재(30)를 수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을 싣게 된다.
이때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은 일정 크기로 절단된 대리석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싣게 된다.
즉,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의 일면은 받침부재(20)의 상판(25)에 올려지게 되고,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의 상면은 제3 수직판(37)에 기대어 싣게 된다.
상기 운반대상물은 받침부재(20)의 상판(25)과 제3 수직판(37)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된다.
이와 같이 이동시키고자 하는 운반대상물이 안정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대차를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받침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회전바퀴(11)에 의해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된다.
이에 후방바퀴(12)는 전방회전바퀴(11)에 의해 이동되며,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받침부재(20)와 수직지지부재(30)에 의해 대리석 등의 이동 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에 따라 받침부재(20)에는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데, 받침부재(20)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30) 또한 목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대리석 등의 운반대상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운반대상물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바퀴부재 11: 전방회전바퀴
12: 후방바퀴 13: 고정플레이트
14: 바퀴 15: 고정브래킷
16: 회전프레임 17: 고정판
20: 받침부재 21: 하판
22: 상면판 23: 측면판
24: 하면판 25: 상판
30: 수직지지부재 31: 제1 수직판
32: 고정판 33: 상면판
34: 측면판 35: 고정구멍
36: 제2 수직판 37: 제3 수직판
38: 고정플레이트 39: 고정구멍
12: 후방바퀴 13: 고정플레이트
14: 바퀴 15: 고정브래킷
16: 회전프레임 17: 고정판
20: 받침부재 21: 하판
22: 상면판 23: 측면판
24: 하면판 25: 상판
30: 수직지지부재 31: 제1 수직판
32: 고정판 33: 상면판
34: 측면판 35: 고정구멍
36: 제2 수직판 37: 제3 수직판
38: 고정플레이트 39: 고정구멍
Claims (5)
-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전방회전바퀴(11) 및 후방바퀴(12)로 이루어지는 바퀴부재(10);
상기 바퀴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판(21)과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25)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20);
상기 받침부재(20)의 상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재(10)는 상기 받침부재(2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재(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회전바퀴(11);
상기 받침부재(20)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2);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바퀴(11)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14), 상기 바퀴(14)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래킷(15), 상기 고정브래킷(15)의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6) 및 상기 회전프레임(16)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하판(21);
상기 하판(21)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판(25);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21)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상면판(22);
상기 상면판(22)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판(23);
상기 측면판(23)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면판(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재(3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제1 수직판(31);
상기 제1 수직판(3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수직판(36);
상기 제1 수직판(31)의 타면에 고정되는 제3 수직판(37);
상기 수직지지부재(30)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1 수직판(31)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판(3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32);
상기 고정판(32)의 일면에 고정되는 상면판(33);
상기 받침부재(20)에 놓여지는 운반대상물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놓이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34);
상기 고정플레이트(3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판(34)에 형성되는 고정구멍(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673U KR200492123Y1 (ko) | 2018-12-10 | 2018-12-10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5673U KR200492123Y1 (ko) | 2018-12-10 | 2018-12-10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287U true KR20200001287U (ko) | 2020-06-18 |
KR200492123Y1 KR200492123Y1 (ko) | 2020-08-12 |
Family
ID=7112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5673U KR200492123Y1 (ko) | 2018-12-10 | 2018-12-10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12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2005A (ko) | 2021-10-29 | 2023-05-09 | 주식회사 스마트케이 | 석재 운반 장치 및 그 자동화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1424U (ko) * | 1993-10-21 | 1995-05-16 | 장호규 | 가정용 가구이동구 |
JP2000313338A (ja) * | 1999-04-28 | 2000-11-14 | Imazato Seisakusho:Kk | ハンドカート |
KR200350825Y1 (ko) * | 2004-02-05 | 2004-05-31 | 김형선 | 운반기구 |
KR100775672B1 (ko) | 2006-03-08 | 2007-11-13 | 전광용 | 중첩식 이동대차 |
KR20090128619A (ko) | 2008-06-11 | 2009-12-16 | 임경수 | 이동 대차 |
KR20140031578A (ko) | 2012-09-05 | 2014-03-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용 이동대차 |
KR20170105732A (ko) | 2016-03-10 | 2017-09-20 | 김동윤 | 핸들접이식 이동대차 |
-
2018
- 2018-12-10 KR KR2020180005673U patent/KR20049212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11424U (ko) * | 1993-10-21 | 1995-05-16 | 장호규 | 가정용 가구이동구 |
JP2000313338A (ja) * | 1999-04-28 | 2000-11-14 | Imazato Seisakusho:Kk | ハンドカート |
KR200350825Y1 (ko) * | 2004-02-05 | 2004-05-31 | 김형선 | 운반기구 |
KR100775672B1 (ko) | 2006-03-08 | 2007-11-13 | 전광용 | 중첩식 이동대차 |
KR20090128619A (ko) | 2008-06-11 | 2009-12-16 | 임경수 | 이동 대차 |
KR20140031578A (ko) | 2012-09-05 | 2014-03-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용 이동대차 |
KR20170105732A (ko) | 2016-03-10 | 2017-09-20 | 김동윤 | 핸들접이식 이동대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123Y1 (ko) | 2020-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20044853A1 (en) | Wheeled transports | |
WO2003097511A1 (en) |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 |
KR20200001287U (ko)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
KR200489131Y1 (ko) |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 |
KR101816562B1 (ko) | 파워 핸드 카트 | |
KR101504724B1 (ko) | 운반용 카트 | |
US20090020393A1 (en) | Impromptuly deployable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 |
KR102208994B1 (ko) | 구동바퀴의 지면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주행장치 | |
US20090194959A1 (en) | Mobile platform methods and system | |
JP6751927B2 (ja) | 運搬具 | |
JP6533600B2 (ja) | 板状建築部材の姿勢変換補助具 | |
KR101564849B1 (ko) | 적재물의 선회 반경이 가변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 |
KR101012661B1 (ko) | 이동 대차 | |
JP4726565B2 (ja) | 航空機用パレット装置 | |
KR101439869B1 (ko) | 벽돌 운반용 수레 | |
JP2016000546A (ja) | キャスタ付物品のキャスタ配設構造及びそのキャスタ配設構造を備えた台車 | |
JP6585466B2 (ja) | 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運搬用台車 | |
KR101821546B1 (ko) |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 |
JP7054203B2 (ja) | 運搬作業機 | |
JP7211094B2 (ja) | 運搬装置 | |
KR102255701B1 (ko) | 테이블 폼 운반용 대차 | |
CN213230346U (zh) | 一种便于调整支腿的输送机 | |
KR102393192B1 (ko) | 반도체 작업용 기능성 작업대 | |
KR20220000570U (ko) | 대차 장착용 높낮이 조절 가능한 전동식 캐스터 | |
KR20200002491U (ko) | 바퀴가 구비된 휴대형 운반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5 Effective date: 20200623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