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578A - 작업용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작업용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578A
KR20140031578A KR1020120098018A KR20120098018A KR20140031578A KR 20140031578 A KR20140031578 A KR 20140031578A KR 1020120098018 A KR1020120098018 A KR 1020120098018A KR 20120098018 A KR20120098018 A KR 20120098018A KR 20140031578 A KR20140031578 A KR 2014003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handle
steering
shaft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147B1 (ko
Inventor
이동훈
김진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1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작업용 이동대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용 이동대차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방 및 후방의 구동휠; 및 몸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핸들은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용 이동대차{MOVING VEHICLE USED FOR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선박, 풍력터빈, 항공기 등 각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이동대차는 용접, 마킹, 가공, 도장, 배관 등의 작업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작업용 이동대차는 예컨대, 작업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휠이 장착된 이동수단과, 해당 작업위치에서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도록 마련된 작업대와,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수단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5-0011791호(1995.05.16)와 일본공개특허 제2004-307156호(2004.11.04)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용 (이동)대차에 대한 기술을 각각 공개한 바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 제1995-0011791호(1995.05.16 공개) 특허문헌2: 일본공개특허 제2004-307156호(2004.11.04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구비하여 각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작업용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핸들의 조향 각도보다 큰 비율의 조향 각도로 조향되는 구동휠을 통해 급커브 길에서도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한 작업용 이동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방 및 후방의 구동휠; 및 상기 몸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은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 및 상기 제2핸들은 각각 제1조향축 및 제2조향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조향축 및 상기 제2조향축은 각각 상기 제1핸들 또는 상기 제2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제1지지플레이트 및 제2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하는 제1직선부재 및 제2직선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전방 구동휠 중 제1구동휠을 조향하는 풀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유닛은 상기 제1조향축과 연결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 조작 시 상기 제1구동휠에 연결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제1구동휠을 조향하는 제2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풀리는 직경이 상기 제2풀리보다 큰 비율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 조작 시 상기 핸들의 조향 각도보다 큰 비율의 조향 각도로 상기 제1구동휠이 조향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승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상부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핸들은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축은 상기 상부몸체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내삽하며 상기 제1핸들에 연결된 결합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 주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감싸며 상기 상부몸체에 고정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롤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질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휠과, 상기 승강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프레임휠을 제동시키는 안전핀이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홈을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몸체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리프트수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몸체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측에 리프트가이드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러그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와 겹쳐졌을 경우 상기 러그결합홈을 통해 돌출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에는 상기 몸체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 중 하나 이상의 주변부에 벨로우형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와 상부 구조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값이 설정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상승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동작을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용 이동대차는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구비하여 각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의 조향 각도보다 큰 비율의 조향 각도로 조향되는 구동휠을 통해 급커브 길에서도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용 이동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저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상호 연동된 핸들 및 관련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제1조향축에 마련된 롤러유닛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상부몸체가 하부몸체로부터 상승한 형태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하부몸체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휠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6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상부몸체가 하강하여 하부몸체에 겹쳐진 형태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겹쳐진 형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작업용 이동대차에 벨로우형 커버 및 센서부가 마련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1의 벨로우형 커버만 따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11의 작업용 이동대차의 구성요소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용 이동대차(100)(이하, ‘이동대차’라 함)는 몸체(10), 구동휠(20), 핸들(30), 풀리유닛(40), 승강부 및 제어부(60)을 포함한다.
몸체(10)는 상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b)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0a)는 작업자의 작업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상부몸체(10a)는 작업플레이트(P1)와,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플레이트(P1)에 올라 설 수 있도록 마련된 발디딤판(13)과, 개폐 가능한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0a) 주변부에는 작업플레이트(P1)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안전프레임(17)이 마련된다.
또한, 상부몸체(10a)는 하부몸체(10b)에 구비된 각종 설비들의 동작 및 이상유무를 작업자가 상부몸체(10a) 상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오픈플레이트(18)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오픈플레이트(18)에 마련된 개구부(18a)를 손으로 잡아 열고 하부몸체(10b)에 구성된 각 장비들의 동작 및 이상유무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몸체(10a)는 하부몸체(10b)로부터 승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몸체(10a)의 승강 시, 상부몸체(10a)의 하측 주변부 끝단에 마련된 이동부재(12)는 하부몸체(10b)의 승강가이드부재(14)를 따라 이동한다.
하부몸체(10b)는 작업자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대차(100)의 구동 및 승강 등에 필요한 각종 설비들을 구비한다. 하부몸체(10b) 전단 및 후단에는 충돌 시 충격완화를 위한 범퍼(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몸체(10b) 및 상술한 상부몸체(10a)에 구성된 각 설비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구성요소들을 통해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휠(20)은 몸체(10)를 핸들(30)의 조작방향에 따라 이동시킨다. 여기서, 구동휠(20)은 하부몸체(10b)의 하부에 장착되며, 전방 및 후방의 구동휠(20a~20d)을 포함한다. 예컨대, 전방 구동휠(20a,20b)은 제1구동휠(20a)과 제2구동휠(20b), 후방 구동휠(20c,20d)은 제3구동휠(20c) 및 제4구동휠(20d)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륜 등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구동휠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구동휠(20a)을 동작시키는 단일의 모터(24)가 제1구동휠(20a)에 장착될 수 있다. 제2구동휠(20b))은 제1구동휠(20a)의 진행방향에 따라 구동되며, 후방 구동휠(20c,20d)은 전방 구동휠(20a,20b)의 진행방향에 따라 구동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핸들(30)은 몸체(10)의 진행방향을 제어한다. 핸들(30)은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30a) 및 제2핸들(30b)을 포함한다. 이때, 제1핸들(30a)은 상부몸체(10a)에 장착되고, 제2핸들(30b)은 하부몸체(10b)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30)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함으로써, 작업자는 상부몸체(10a) 및 하부몸체(10b)에 각각 장착된 핸들(30)을 통해 작업의 종류 및 방법 등에 따라 편리하게 몸체(10)의 진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핸들(30)은 예컨대, 접이식 핸들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1핸들(30a) 및 제2핸들(30b)은 각각 제1조향축(31) 및 제2조향축(32)에 의해 지지된다.
제1조향축(31) 및 제2조향축(32)은 각각 제1핸들(30a) 또는 제2핸들(30b)의 조작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제1지지플레이트(33) 및 제2지지플레이트(34)에 연결된다. 또한, 제1지지플레이트(33) 및 제2지지플레이트(34)는 각 지지플레이트(33,34)의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하는 제1직선부재(35) 및 제2직선부재(3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제1직선부재(35) 및 제2직선부재(36)는 각 지지플레이트(33,34)에 결합된 각각의 볼조인트(37a,37b) 및 볼조인트(37a,37b)를 연결하는 각각의 로드(38a,38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1조향축(31)은 상부몸체(10a)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제1핸들(30a)에 연결된 결합축(31b)과, 결합축(31b)에 내삽되며 제1지지플레이트(33)에 연결된 지지축(3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축(31b)은 지지축(31a)이 내삽되도록 지지축(31a)보다 큰 사이즈로 마련되며, 지지축(31a)과 결합축(31b)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홈(L1,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조향축(31)에는 제1조향축(31)의 높낮이 조절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롤러유닛(70)이 구비될 수 있다. 롤러유닛(70)은 제1조향축(31)의 지지축(31a) 주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72)와 이를 감싸는 하우징(74)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74)은 상부몸체(10a) 상단에 고정된 제1플랜지(76)에 고정된다. 이때, 제1플랜지(76) 상부에 마련된 제2플랜지(77)는 결합축(31b)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며, 결합축(31b)의 조향 방향에 따라 지지축(31a)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부몸체(10a)의 상승 시, 결합축(31b)은 지지축(31a)의 주변부에 마련된 롤러유닛(70)의 가이드롤러(72)에 의해 효과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높이에서 결합축(31b)의 레벨홈(L2)과 지지축(31a)의 레벨홈(L1)을 서로 맞춘 상태에서 고정핀(P3)를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제1조향축(31)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10a)의 하강 시, 지지축(31a)의 주변부에 마련된 롤러유닛(70)의 가이드롤러(72)에 의해 지지축(31a)이 결합축(31b)에 효과적으로 내삽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풀리유닛(40)은 핸들(30) 조작에 따라 제1구동휠(20a)을 조향시킨다. 풀리유닛(40)은 상술한 제1조향축(31)의 지지축(31a)과 연결된 제1풀리(41)와, 제1풀리(41)와 벨트(43)로 연결되며 핸들(30) 조작 시 제1구동휠(20a)에 연결된 연결축(27)에 의해 제1구동휠(20a)을 조향하는 제2풀리(42) 및 벨트(43)의 일정 장력 유지를 위한 지지롤(44a,44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풀리(41)는 직경이 제2풀리(42)보다 큰 비율로 마련되어, 핸들(30) 조작 시 제2풀리(42)는 제1풀리(41)보다 큰 비율로 회전한다. 따라서, 핸들(30)에 의한 조향 각도보다 큰 비율의 조향 각도로 조향되는 제1구동휠(20a)을 통해 급커브 길에서도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직선코스에서 원활한 90도 조향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각각의 풀리(41,42) 및 벨트(43)는 예컨대, 타이밍 풀리 및 타이밍 벨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승강부는 상부몸체(10a)를 하부몸체(10b)로부터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부는 상부몸체(10a)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52)과, 승강프레임(52)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부몸체(10a)의 하부와 하부몸체(10b)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6a,16b)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휠(54)과, 승강프레임(52)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부몸체(10a)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56)와, 유압실린더(56)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공급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프레임(52)은 시저스(Scissors)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승강프레임(52)은 서로 교차하는 제1지지바(52a) 및 제2지지바(52b)와, 제1지지바(52a) 및 제2지지바(52b)의 교차부위에 설치되어 접철 시 중심축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축(X)을 포함하며, 이러한 승강프레임(52)은 하부몸체(30b)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할 수 있다.
프레임휠(54)은 각각의 가이드레일(16a,16b)에 결합된 제1지지바(52a)와 제2지지바(52b)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부몸체(10a)의 하부와 하부몸체(10b)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6a,16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바(52a)와 제2지지바(52b)의 전단은 고정부재(59)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56)는 제2지지바(52b)의 상측 부위에 가로부재(53)에 의해 고정되어, 유압공급부(58)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제2지지바(52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상부몸체(10a)를 하부몸체(10b)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하부몸체(10b)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6a)에는 제2지지바(52b)의 후단에 장착된 프레임휠(54)을 제동시키는 안전핀(P4)이 체결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홈(H1)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부몸체(10b)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6a)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휠(54)을 적정 거리에서 안정되게 고정시켜, 작업자 및 장비 등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에서는 상부몸체(10a)의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6b)에 복수 개의 체결홈(H1)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부몸체(10a)는 러그결합홈(H2)을 포함하고, 하부몸체(10b)는 상부몸체(10a)와 겹쳐졌을 경우 러그결합홈(H2)을 통해 돌출되는 러그(Lug, 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러그(19) 중 하나 이상은 돌출부(19a)를 마련하여, 하강되는 상부몸체(10a)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러그(19)에는 몸체(10)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이동대차(100)의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장치는 예컨대, 크레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러그(19)에 크레인의 후크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0b)에는 몸체(10)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리프트수단이 하부몸체(10b)의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몸체(1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측에 리프트가이드홈(H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장치는 예컨대, 지게차 등의 리프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리프트가이드홈(H3)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들어 올려 편리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몸체(10b) 주변부에 벨로우형 커버(9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몸체(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벨로우형 커버(95)는 상/하측이 볼트(95a)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부몸체(10a) 및 하부몸체(10b)와 결합될 수 있다. 벨로우형 커버(95)는 상부몸체(10a)의 상승, 하강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상부몸체(10a)에도 벨로우형 커버(95)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대(9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상부몸체(10a)에 장착되며, 작업자의 키에 맞게 상하로 조절되는 센서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90)는 상부 구조물과의 협착을 방지하여, 작업자 보호 및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60)는 이동대차(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설치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므로, 다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술한 핸들(30)에는 몸체(10)의 전진, 후진, 상승, 하강, 비상정지, 전원 온/오프, 경고음, 속도조절 등에 관한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제어유닛(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해당 제어버튼(80)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기초로 상술한 모터(24), 유압공급부(58), 전원공급부(59)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속도조절버튼(82)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60)는 속도조절버튼(82)의 누르는 강도에 따라 모터(24)에 의한 몸체(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승/하강버튼(84)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60)는 작업자가 해당 상승/하강버튼(84)을 누르고 있는 동안 상부몸체(10a)를 하부몸체(10b)로부터 상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명령은 예컨대, 지그비 등의 통신 방법에 의해 각 장비간 송수신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상부몸체(10a)와 상부 구조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9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하여, 저장부(65)에 저장된 설정거리와 비교하여, 설정거리 초과 시, 하부몸체로부터 상승되는 상부몸체의 동작을 하부몸체(10b)로부터 상승되는 상부몸체(10a)의 동작을 제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90)는 지지대(9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상부몸체(10a)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키에 맞게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센서부(90)는 상부 구조물과의 협착을 방지하여, 작업자 보호 및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저장부(65)는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알고리즘, 설정값, 센서부(90)에 의한 측정값, 제어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65)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몸체 10a: 상부몸체
10b: 하부몸체 12: 이동부재
14: 승강가이드부재 16a,16b: 가이드레일
19: 러그 20,20a~20d: 구동휠
24: 모터 27: 연결축
30: 핸들 30a: 제1핸들
30b: 제2핸들 31: 제1조향축
31a: 지지축 31b: 결합축
32: 제2조향축 33: 제1지지플레이트
34: 제2지지플레이트 35: 제1직선부재
36: 제2직선부재 40: 풀리유닛
41: 제1풀리 42: 제2풀리
52: 승강프레임 54: 프레임휠
56: 유압실린더 58: 유압공급부
59: 전원공급부 60: 제어부
65: 저장부 70: 롤러유닛
72: 가이드롤러 74: 하우징
80: 제어유닛 90: 센서부

Claims (13)

  1.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장착된 전방 및 후방의 구동휠; 및
    상기 몸체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은 어느 하나의 조작방향에 따라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1핸들 및 제2핸들을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 및 상기 제2핸들은 각각 제1조향축 및 제2조향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조향축 및 상기 제2조향축은 각각 상기 제1핸들 또는 상기 제2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제1지지플레이트 및 제2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직선 운동하는 제1직선부재 및 제2직선부재에 의해 연결된 작업용 이동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작에 따라 상기 전방 구동휠 중 제1구동휠을 조향하는 풀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리유닛은 상기 제1조향축과 연결된 제1풀리와, 상기 제1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핸들 조작 시 상기 제1구동휠에 연결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제1구동휠을 조향하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풀리는 직경이 상기 제2풀리보다 큰 비율로 마련되어, 상기 핸들 조작 시 상기 핸들의 조향 각도보다 큰 비율의 조향 각도로 상기 제1구동휠이 조향되는 작업용 이동대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승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상부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핸들은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된 작업용 이동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향축은 상기 상부몸체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내삽하며 상기 제1핸들에 연결된 결합축을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주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감싸며 상기 상부몸체에 고정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롤러유닛을 더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질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휠과, 상기 승강프레임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프레임휠을 제동시키는 안전핀이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홈을 이격되게 형성한 작업용 이동대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몸체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리프트수단이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몸체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측에 리프트가이드홈을 형성한 작업용 이동대차.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러그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와 겹쳐졌을 경우 상기 러그결합홈을 통해 돌출되는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에는 상기 몸체를 리프트하여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작업용 이동대차.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 중 하나 이상의 주변부에 벨로우형 커버를 구비한 작업용 이동대차.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상부 구조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측정된 값이 설정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하부몸체로부터 상승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동작을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작업용 이동대차.
KR1020120098018A 2012-09-05 2012-09-05 작업용 이동대차 KR10143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18A KR101434147B1 (ko) 2012-09-05 2012-09-05 작업용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18A KR101434147B1 (ko) 2012-09-05 2012-09-05 작업용 이동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578A true KR20140031578A (ko) 2014-03-13
KR101434147B1 KR101434147B1 (ko) 2014-08-27

Family

ID=5064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018A KR101434147B1 (ko) 2012-09-05 2012-09-05 작업용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1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4670A (zh) * 2017-05-15 2017-10-20 上海交通大学 轻量型万向移动升降小车
CN107814125A (zh) * 2017-11-07 2018-03-20 浙江晋正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仓储设备
KR20180063706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거더 내부 용접용 용접 장치
CN108482450A (zh) * 2018-06-04 2018-09-04 芜湖易泽中小企业公共服务股份有限公司 一种搬运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200489131Y1 (ko) 2018-12-10 2019-05-03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KR20200001287U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KR20220065117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KR20220168432A (ko) * 2021-06-16 2022-12-23 (주)하나이엔지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39B1 (ko) 2016-07-20 2017-03-03 한인호 조립식 이동대차
KR101939063B1 (ko) * 2018-11-19 2019-01-17 김주호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247A (ja) * 1993-04-01 1994-10-11 Nobuo Kanayama 小遊戯体収容箱
JP4354729B2 (ja) * 2003-04-08 2009-10-28 花岡車輌株式会社 テーブルリフト
JP2009292373A (ja) * 2008-06-06 2009-12-17 New Delta Ind Co 作業台車
KR101090734B1 (ko) * 2009-02-12 2011-12-08 이제선 승강식 대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06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거더 내부 용접용 용접 장치
CN107264670A (zh) * 2017-05-15 2017-10-20 上海交通大学 轻量型万向移动升降小车
CN107814125A (zh) * 2017-11-07 2018-03-20 浙江晋正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仓储设备
CN107814125B (zh) * 2017-11-07 2024-07-02 浙江晋正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升降仓储设备
CN108482450A (zh) * 2018-06-04 2018-09-04 芜湖易泽中小企业公共服务股份有限公司 一种搬运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8482450B (zh) * 2018-06-04 2020-08-21 广州因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搬运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200489131Y1 (ko) 2018-12-10 2019-05-03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KR20200001287U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세진피앤씨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KR102140525B1 (ko) * 2020-06-10 2020-08-03 주식회사 케이크린 대차리프트
KR20220065117A (ko) * 2020-11-12 2022-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KR20220168432A (ko) * 2021-06-16 2022-12-23 (주)하나이엔지 승강테이블을 구비한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147B1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147B1 (ko) 작업용 이동대차
US8714311B2 (en) Monomast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7913864B2 (en) Panel turner for a gantry crane
CN106927371B (zh) 液压门式起重机
US6571913B2 (en) Multipurpose machine
US20070095777A1 (en) Powered auxiliary hoist mechanism for a gantry crane
KR102252870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지게차
JP3335935B2 (ja) 移動式昇降作業台用垂直マストの横ジブ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KR20090082992A (ko) 고소작업대
CN207016422U (zh) 铲车附件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KR101824066B1 (ko)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KR20150112457A (ko) 다기능 트롤리
KR101994063B1 (ko) 자유주행 및 조향 기능을 갖는 갠트리 크레인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RU92633U1 (ru) Эвакуатор неисправ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7543827B2 (en) Lifting device
KR200445936Y1 (ko) 로-로선 화재탐재기 점검용 이동대차
US20220219961A1 (en) Industrial truck
US6648571B1 (en) Mobile hand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in docks
US20220204325A1 (en) Industrial truck
US9273482B2 (en) Assembly process for a vehicle and assembly equipment that implements such a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