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117A -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117A
KR20220065117A KR1020200150798A KR20200150798A KR20220065117A KR 20220065117 A KR20220065117 A KR 20220065117A KR 1020200150798 A KR1020200150798 A KR 1020200150798A KR 20200150798 A KR20200150798 A KR 20200150798A KR 20220065117 A KR20220065117 A KR 2022006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
body unit
coupled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684B1 (ko
Inventor
임대영
길우람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0Platforms with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4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different axles
    • B60F1/043Vehicles comprising own propell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일휠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이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AGRICULTURAL LIFT ELECTRIC WORK CAR WITH FOLDABLE WHEELS}
본 발명은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있고, 밀폐된 공간에서 방제작업으로 인한 농약 중독이 발생하는 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농촌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노력의 일환으로 농업에서도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 작업차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설원예의 경우, 길이 포장되어 있어, 차량을 이용하기가 용이하지만, 토경재배의 경우, 길이 비포장된 흙, 도랑, 진흙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편, 종래에 레일 위를 이동하도록 마련된 차량의 경우에는, 레일 밖을 벗어나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레일이 마련된 농지와 레일이 마련되지 않은 농지에 각각 차량을 구비해야 했기 때문에 장비 구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레일 위에서 이동하며 짐을 적재하던 차량이 레일 밖으로 이동하여 짐을 옮겨야 하는 경우에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이서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레일 유무에 상관없이 이용이 가능하고, 차량의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기 작업차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5403호 (2012.03.15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일휠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이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제1 바퀴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조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바퀴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를 조향하도록 마련된 조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휠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레일휠;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레일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휠 및 상기 제2 레일휠은 상기 바퀴유닛보다 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레일휠유닛보다 지면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퀴유닛을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캐스터모듈; 및 상기 캐스터모듈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마련된 회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양측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캐스터축; 각각의 상기 캐스터축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된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액추에이터; 및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된 힌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프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를 신축시키도록 마련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탑재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난간부; 상기 난간부에 마련되는 도어부; 및 상기 탑재부 상에 마련되는 리프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링크; 일단이 상기 링크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힌지; 및 일단이 상기 링크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난간부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도어힌지;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는 범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프레임; 및 상기 범퍼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프레임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된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마련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레일 상을 이동할 때에나, 레일이 없는 길을 이동할 때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리프트를 승강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1000)는 본체유닛(100), 바퀴유닛(200), 레일휠유닛(300), 방향전환유닛(400), 리프트유닛(500), 범퍼유닛(600) 및 제어유닛(7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유닛(100)은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10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몸체(110) 및 발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몸체(110)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판(120)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며, 운전자가 상기 발판(120)을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120)은 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어 지면과 평행하도록 고정되고, 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퀴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1 바퀴부(210) 및 제2 바퀴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퀴부(210)는 상기 본체유닛(110)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며, 제1 바퀴(211) 및 구동모터(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퀴(211)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2)는 한 쌍의 상기 제1 바퀴(211)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바퀴(211)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퀴부(220)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조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며, 제2 바퀴(221) 및 조향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퀴(221)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며,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모듈(222)은 상기 제2 바퀴(221)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바퀴(221)의 조향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휠유닛(3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휠유닛(300)은 제1 레일휠(310) 및 제2 레일휠(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휠(31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일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동모터(212)와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2)는 상기 제1 바퀴(211)와 상기 제1 레일휠(310)에 대해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212)는 상기 제1 바퀴(211)가 지면에 닿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바퀴(211)에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레일휠(310)이 레일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퀴(21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1 레일휠(310)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바퀴(211)와 상기 제1 레일휠(310)에 압력 센서를 부가적으로 구비하여 지면 및 레일에 대한 접촉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일휠(32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타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레일휠(310) 및 상기 제2 레일휠(320)은 상기 바퀴유닛(220)보다 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바퀴유닛(220)이 지면과 접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레일휠유닛(3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되, 상기 레일휠유닛(300)이 레일 상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바퀴유닛(22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유닛(4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100)이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유닛(400)은 캐스터모듈(410) 및 회동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모듈(410)은 본체유닛(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모듈(410)은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레일휠유닛(300)보다 지면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퀴유닛(200)을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유닛(10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스터모듈(410)은 프레임(411), 캐스터축(412), 받침부(413), 턴테이블(414) 및 캐스터(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1)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몸체(110)의 양측면을 이루는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1)은 각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원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스터축(412)은 상기 프레임(411)의 양단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스터축(412)은 상기 프레임(411)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13)는 각각의 상기 캐스터축(4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판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턴테이블(414)은 상기 받침부(41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스터(415)는 상기 턴테이블(414)에 결합되어 마련되며, 바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캐스터(415)는 상기 턴테이블(414)에 의해 축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동모듈(420)은 상기 캐스터모듈(41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모듈(420)은 액추에이터(421) 및 힌지프레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21)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힌지프레임(422)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411)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액추에이터(421)에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421)가 신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41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스터모듈(410)이 상기 레일휠유닛(300)보다 지면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캐스터모듈(410)이 상기 본체유닛(100)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고정된다.
반면에, 상기 액추에이터(421)가 압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411)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스터모듈(410)이 지면과 접촉하면서 바퀴유닛(2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캐스터모듈(410)이 상기 본체유닛(100)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모듈(410)에 의해 상기 본체유닛(100)의 방향을 제자리에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의 리프트를 승강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리프트유닛(5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탑재부(510), 링크부(520), 유압실린더(530), 난간부(540), 도어부(550) 및 리프트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510)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면이 평면으로 마련되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520)는 상기 탑재부(5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신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520)는 링크(521), 제1 링크힌지(522) 및 제2 링크힌지(523)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521)는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힌지(522)는 일단이 상기 링크(521)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53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힌지(523)는 일단이 상기 링크(521)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530)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530)는 상기 링크부(520)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520)를 신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난간부(540)는 상기 탑재부(5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난간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550)는 상기 난간부(540)에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되며, 도어프레임(551), 도어힌지(552) 및 도어락(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551)은 상기 난간부(540) 사이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힌지(552)는 상기 도어프레임(55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락(553)은 상기 도어프레임(551)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55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제어부(560)는 상기 탑재부(510) 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압실린더(530)의 신축을 제어하어 상기 탑재부(510)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제어부(560)는 상기 바퀴유닛(200), 상기 레일휠유닛(300)의 구동 및 조향을 더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범퍼유닛(6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범퍼프레임(610) 및 충격완화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프레임(61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100)의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620)는 상기 범퍼프레임(6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프레임(610)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7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발판(120)에서 제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700)은 상기 바퀴유닛(200), 레일휠유닛(300), 상기 방향전환유닛(400), 상기 리프트유닛(500)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전환유닛(400)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유닛(100)의 방향을 제자리에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등의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00: 본체유닛 110: 몸체
120: 발판 200: 바퀴유닛
210: 제1 바퀴부 211: 제1 바퀴
212: 구동모터 220: 제2 바퀴부
221: 제2 바퀴 222: 조향모듈
300: 레일휠유닛 310: 제1 레일휠
320: 제2 레일휠 400: 방향전환유닛
410: 캐스터모듈 411: 프레임
412: 캐스터축 413: 받침부
414: 턴테이블 415: 캐스터
420: 회동모듈 421: 액추에이터
422: 힌지프레임 500: 리프트유닛
510: 탑재부 520: 링크부
521: 링크 522: 제1 링크힌지
523: 제2 링크힌지 530: 유압실린더
540: 난간부 550: 도어부
551: 도어프레임 552: 도어힌지
553: 도어락 560: 리프트제어부
600: 범퍼유닛 610: 범퍼프레임
620: 충격완화부 700: 제어유닛

Claims (17)

  1.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레일휠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이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방향전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제1 바퀴부;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어 조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바퀴; 및
    상기 제1 바퀴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퀴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바퀴; 및
    상기 제2 바퀴를 조향하도록 마련된 조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휠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레일휠; 및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타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레일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휠 및 상기 제2 레일휠은 상기 바퀴유닛보다 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일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레일휠유닛보다 지면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타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바퀴유닛을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유닛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캐스터모듈; 및
    상기 캐스터모듈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마련된 회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본체유닛의 양측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캐스터축;
    각각의 상기 캐스터축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턴테이블; 및
    상기 턴테이블에 결합된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0. 제 9 항에 따른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본체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액추에이터; 및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힌지 결합되도록 마련된 힌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리프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하부에 마련되며,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를 신축시키도록 마련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은,
    상기 탑재부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난간부;
    상기 난간부에 마련되는 도어부; 및
    상기 탑재부 상에 마련되는 리프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를 형성하는 링크;
    일단이 상기 링크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힌지; 및
    일단이 상기 링크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 링크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난간부 사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도어힌지;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는 범퍼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유닛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범퍼프레임; 및
    상기 범퍼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범퍼프레임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마련된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마련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KR1020200150798A 2020-11-12 2020-11-12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KR10246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98A KR102465684B1 (ko) 2020-11-12 2020-11-12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98A KR102465684B1 (ko) 2020-11-12 2020-11-12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117A true KR20220065117A (ko) 2022-05-20
KR102465684B1 KR102465684B1 (ko) 2022-11-14

Family

ID=8179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798A KR102465684B1 (ko) 2020-11-12 2020-11-12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6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247A (ja) * 1993-04-01 1994-10-11 Nobuo Kanayama 小遊戯体収容箱
JPH0769222A (ja) * 1993-09-03 1995-03-14 Japan Tobacco Inc 移動車の方向転換方法及び移動車
KR20100092272A (ko) * 2009-02-12 2010-08-20 이제선 승강식 대차
KR20120025403A (ko) 2010-09-03 2012-03-1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무인 반송차 및 주행 제어 방법
KR101223292B1 (ko) * 2012-08-07 2013-0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퀴 리프팅 기능을 갖는 고추 수확 장치
KR20140031578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이동대차
KR20180081422A (ko) * 2017-01-06 2018-07-16 엘앤에스(주) 과수 작업차
KR20180109553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화인특장 방향 전환이 용이한 다기능 농업용 무인반송차량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247A (ja) * 1993-04-01 1994-10-11 Nobuo Kanayama 小遊戯体収容箱
JPH0769222A (ja) * 1993-09-03 1995-03-14 Japan Tobacco Inc 移動車の方向転換方法及び移動車
KR20100092272A (ko) * 2009-02-12 2010-08-20 이제선 승강식 대차
KR20120025403A (ko) 2010-09-03 2012-03-1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무인 반송차 및 주행 제어 방법
KR101223292B1 (ko) * 2012-08-07 2013-0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퀴 리프팅 기능을 갖는 고추 수확 장치
KR20140031578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이동대차
KR20180081422A (ko) * 2017-01-06 2018-07-16 엘앤에스(주) 과수 작업차
KR20180109553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화인특장 방향 전환이 용이한 다기능 농업용 무인반송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684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522B2 (en) Powered hand truck
US5364114A (en) Vehicle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US20160159414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 wheeled vehicle to a tracked vehicle
US8333401B2 (en) Central multi directional transmission system
US6523844B2 (en) Suspended axle of the articulated-connection type for industrial vehicles
DE602006002816D1 (de) Fahrwerksneigemodul für Radfahrzeuge und mit einem solchen Modul ausgestattetes Radfahrzeug
US10517285B2 (en) Vehicle with chassis height adjustment
CA3029865A1 (en) Kit comprising a stilt vehicle and trailer used to transport the same
US4216869A (en) Industrial crane
EP1801065B1 (en) Working mach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id machine.
KR20220065117A (ko) 접이식 바퀴를 갖는 농작업용 리프트 전기작업차
KR20220076819A (ko) 차체 조향모듈을 갖는 농작업용 이동 로봇
US20190126701A1 (en) Loader suspension
CN111923661B (zh) 一种轮距调整机构、底盘以及田间作业车辆
ATE277505T1 (de)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mit seitenhangausgleich
JP2020001440A (ja) 作業車
JP3809675B2 (ja) クローラ式トラクタ
US20030070861A1 (en) Wheeled work machine and frame assembly having a flat radiator
CN111942258A (zh) 一种通过性良好的农业机械运输车
JP4520338B2 (ja) 軌道走行可能な作業車両
KR102199767B1 (ko) 트랙터 차체 레벨 감지장치
JP2759593B2 (ja) レール走行式茶園管理台車の移動用架台装置
KR100399429B1 (ko) 다기능 농기계 동력차량
CN205916977U (zh) 一种新型建筑用叉车
CN216443436U (zh) 小型农耕拖拉机底盘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