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69B1 - 벽돌 운반용 수레 - Google Patents

벽돌 운반용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69B1
KR101439869B1 KR1020140038618A KR20140038618A KR101439869B1 KR 101439869 B1 KR101439869 B1 KR 101439869B1 KR 1020140038618 A KR1020140038618 A KR 1020140038618A KR 20140038618 A KR20140038618 A KR 20140038618A KR 101439869 B1 KR101439869 B1 KR 10143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r
lever
brick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영
Original Assignee
윤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599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398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영 filed Critical 윤기영
Priority to KR102014003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 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3면이 개방된 적재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제1 면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벽돌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를 동시에 회전 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받침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링크, 상기 한 쌍의 링크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바,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레버, 상기 작동바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작동바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돌 운반용 수레{BRICKS CARRING HANDCART}
본 발명은 벽돌 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소형 수레에 소량씩 벽돌을 옮겨 실어 운반한다. 수레에서 벽돌을 내릴 때 바닥에 쏟아 붓는 방식으로 내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공사장 바닥에 벽돌들이 무질서하게 쌓이게 되었다. 쏟아 붓는 과정에서 벽돌들이 충돌되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쏟아 붓은 벽돌들이 무질서하게 흩어져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공사장의 안전성이 저하되었다.
등록특허 제10-1225959호 (2013.01.18)
본 발명은 벽돌을 안정적으로 운반하고, 내릴 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벽돌 운반용 수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수레는 적어도 3면이 개방된 적재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제1 면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벽돌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받침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를 동시에 회전 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받침부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링크, 상기 한 쌍의 링크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바, 상기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레버, 상기 작동바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작동바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가 반듯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가이드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의 상부측은 상기 가이드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잠금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에서 상기 레버가 분리되면 상기 벽돌의 중량에 의해 상기 받침부가 축 회전하여 상기 벽돌을 내려놓고, 상기 작동바는 하강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에는 상기 작동바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레버의 회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가 지면과 수직하지 않고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돌 운반용 수레는 상기 한 쌍의 받침대 사이에는 지면에 놓이고, 상기 적재공간에 쌓이는 상기 벽돌을 임시 지지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돌 하차 시 조작부의 조작으로 받침대가 축 회전 하면서 벽돌을 쌓여 있는 상태 그대로 지면에 내려놓게 된다. 이에 따라 지면에 하차된 벽돌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공사장이 정돈될 수 있으며, 벽돌이 흐트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에 의해 본체부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벽돌을 적재공간에 쌓을 때 전방으로 쏟아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쌓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수레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수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수레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운반용 수레(1)는 본체부(10), 받침부(20a, 20b) 및 조작부(30)를 포함하며, 벽돌들을 정돈된 상태로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0)에는 벽돌들이 위치하는 적재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적재공간(11)에 벽돌을 적재하고, 내려놓을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제1, 2, 3면(12, 13, 14)은 개방되어 있다. 제1 면(12)은 본체부(10)의 하면이고, 제2 면(13)은 본체부(10)의 전면이며, 제3 면(14)은 본체부(10)의 상면이다. 본체부(10)는 상하방향(H)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다. 본체부(10)의 배면, 양측면은 적재된 벽돌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체부(10)의 배면 하부측에는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한 쌍의 바퀴(15)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측에는 손잡이(18)가 형성되어 있다. 바퀴(15)가 하부측에 위치하므로 벽돌 운반용 수레(1)는 세워진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체부(10)의 전면 하부측에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16)가 설치되어 있다. 세워진 본체부(10)는 지지대(16)의 길이에 의해 본체부(10)는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기설정된 각도(R)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기울어진 각도는 지지대(16)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10)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벽돌 적재 시 전방으로 쏟아지지 않는다.
또한, 벽돌을 운반하기 위하여 세워진 벽돌 운반용 수레(1)를 기울였을 때 쉽게 적은 힘으로 쉽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의 후면 상부측에는 본체부(10)를 눕혔을 때 지지하는 서포터(17)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가 눕혀졌을 때 벽돌 운반용 수레(1)는 간단한 짐을 운반할 수 있는 일반적인 수레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한 쌍의 받침부(20a, 20b)는 회전축(21) 및 받침 플레이트(23)를 포함하며, 벽돌을 적재공간(11)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회전축(21)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본체부(10)의 하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1)의 회전력 향상을 위하여 회전축(21)가 본체부(1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23)는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적재공간(11)의 벽돌을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23)의 일 측은 회전축(21)에 연결되어 있다. 받침부(20a, 20b)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하면 받침 플레이트(23)의 타측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그러나 지지력이 해제되면 회전축(21)의 회전으로 받침 플레이트(23)의 상면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받침 플레이트(23)는 벽돌의 하중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20a, 20b)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해제되면 벽돌의 하중이 받침 플레이트(23)에 가해지게 되면서 회전축(21)이 회전되어 받침 플레이트(23) 더 이상 벽돌을 지지할 수 없어 내려놓게 된다.
조작부(30)는 작동바(31), 가이드(32), 레버(33), 링크(34a, 34b), 제1 탄성부재(35), 제2 탄성부재(36), 그리고 스토퍼바(37)를 포함하며, 받침부(20a, 20b)가 벽돌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부(10)의 배면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가이드(32)가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32)에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부측에 잠금홀(31a)이 형성된 작동바(3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32)의 내부면과 작동바(31)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한다. 틈새에 의해 작동바(31)의 이동은 용이해진다. 작동바(31)의 상부측은 가이드(32)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이드(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레버(33)는 일측이 가이드(32)의 외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레버(33)는 회동 상태에 따라 잠금홀(31a)에 위치하거나, 잠금홀(31a)을 벗어날 수 있다. 레버(33)가 잠금홀(31a)에 위치하면 작동바(31)는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레버(33)의 회동범위를 제안하기 위하여 본체부(10)에는 디귿자 모양의 스토퍼바(37)가 결합되어 있다. 레버(33)는 스토퍼바(37)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바(37)는 생략될 수 있다.
레버(33)의 타측과 본체부(10)에는 제1 탄성부재(35)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탄성부재(35)는 레버(33)가 잠금홀(31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레버(33)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링크(34a, 34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링크(34a, 34b)의 일측은 작동바(31)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각 받침부(20a, 20b)의 회전축(21)에 결합된 브래킷(22)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링크(34a, 34b)가 받침부(20a, 20b)에 연결되면서 레버(33)가 잠금홀(31a)에서 벗어나면 받침 플레이트(23)에 가해지는 벽돌의 하중에 의해 회전축(21)이 회전되면서 링크(34a, 34b), 작동바(31)가 하강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6)는 일측이 가이드(3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작동바(31)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바(31)가 하강하면 제2 탄성부재(36)는 팽창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력은 작동바(31)가 상승하도록 한다.
한편, 적재공간(11)에 벽돌을 적재할 때 벽돌을 받칠 수 있도록 한 쌍의 받침부(20a, 20b) 사이에는 테이블(40)이 설치되며, 테이블(40)은 본체부(10)와 동일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벽돌 운반용 수레의 주요부 작동으로 벽돌을 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잠금홀(31a)에 레버(33)가 삽입되면 받침 플레이트(23)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부면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다. 적재공간(11)의 지면 부분에 벽돌의 가운데 부분을 지지하는 테이블(40)(도1 참조)을 배치한 상태에서 테이블(40)에 벽돌을 쌓는다. 이때 벽돌의 양측부분은 양측 받침 플레이트(23)에 각각 걸쳐지면서 받침 플레이트(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후 벽돌을 적재공간(11)에 순차적으로 적재한다. 적재공간(11)에 벽돌이 쌓이면 받침 플레이트(23)에는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레버(33)가 잠금홀(31a)에 결합되어 있어 조작부(30)는 받침부(20a, 20b)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 상태가 된다. 받침 플레이트(23)는 움직이지 못하고 적재공간(11)의 내부면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여 쌓인 벽도를 지지한다.
지지대(16)에 의해 본체부(10)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쌓는 벽돌은 전방으로 쏟아지지 않는다. 벽돌을 운반하기 위하여 손잡이(18)(도 2 참조)를 잡고 본체부(10)를 후방으로 기울여 벽돌 운반용 수레(1)를 이동시킨 후 벽돌을 하차한다. 벽돌의 하차는 다음과 같다.
잠금홀(31a)에 결합된 레버(33)를 작업자가 잡고 본체부(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레버(33)가 잠금홀(31a)에서 이탈하고, 제1 탄성부재(35)는 팽창된다. 레버(33)는 스토퍼바(37)에 걸려 회동범위가 제안된다. 이후, 작업자가 레버(33)를 놓게 되면 팽창된 제1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레버(33)가 잠금홀(31a)에서 벗어나면, 받침부(20a, 20b)를 고정하는 조작부(30)의 잠금이 해제되어 벽돌의 하중을 받은 받침 플레이트(23)에 의해 회전축(21)은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회전축(21)을 따라 받침 플레이트(23)가 회전되면서 본체부(10)의 내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벽돌을 내려놓게 된다.
아울러, 회전축(21)이 회전할 때 회전축(21)과 링크(34a, 34b)를 연결하는 브래킷(22)이 링크(34a, 34b)를 당기게 되면서 작동바(31)는 하강하고, 제2 탄성부재(36)는 팽창된다. 작동바(31)의 잠금홀(31a) 부분은 가이드(32) 내부로 삽입된다.
지면에 내려진 벽돌에서 벽돌 운반용 수레(1)를 빼어 본체부(10)와 벽돌이 완전하게 분리되면 팽창된 제2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31)는 상승한다. 이에 가이드(32) 내부에 위치한 잠금홀(31a) 부분은 가이드(32) 외부로 돌출된다. 그러나 레버(33)가 제1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였으므로 돌출되는 작동바(31)가 레버(33)에 걸려 상승하지 못한다. 작업자는 다시 레버(33)를 회전시켜 레버(33)가 작동바(31)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레버(33)의 회동으로 작동바(31)는 완전하게 상승하여 잠금홀(31a) 부분이 가이드(32)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후 레버(33)를 놓으면 제1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33)는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잠금홀(31a)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벽돌 운반용 수레는 벽돌 하차 시 조작부(30)의 조작으로 받침부가 축 회전 하면서 적재공간(11)의 벽돌은 그대로 지면에 내려진다. 이에 따라 지면에 하차된 벽돌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공사장이 정돈될 수 있으며, 벽돌이 흐트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벽돌 운반용 수레 10: 본체부
11: 적재공간 12, 13, 14: 제1, 2, 3 면
18: 손잡이 15: 바퀴
16: 지지대 17: 서포터
20a, 20b: 받침부 21: 회전축
22: 브래킷 23: 받침 플레이트
30: 조작부 31: 작동바
31a: 잠금홀 32: 가이드
33: 레버 34a, 34b: 링크
35: 제1 탄성부재 36: 제2 탄성부재
37: 스토퍼바 40: 테이블

Claims (6)

  1. 적어도 3면(12, 13, 14)이 개방된 적재공간(11)을 가지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개방된 제1 면(12)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벽돌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받침부(20a, 20b) 및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20a, 20b)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조작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30)는 상기 본체부(10)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31), 상기 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3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레버(33), 일 측이 상기 작동바(31)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 측이 상기 한 쌍의 받침부(20a, 20b)에 각각 힌지 연결된 링크(34a, 34b), 상기 레버(3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33)가 상기 작동바(31)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35) 그리고 상기 작동바(3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31)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36)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30)는 본체부(1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31)가 반듯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이드(32)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3)는 상기 가이드(32)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31)의 상부측은 상기 가이드(32)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레버(33)가 결합되는 잠금홀(31a)이 형성되어 있는 벽돌 운반용 수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작동바(31)에서 상기 레버(33)가 분리되면 상기 벽돌의 중량에 의해 상기 받침부(20a, 20b)가 축 회전하여 상기 벽돌을 내려놓고, 상기 작동바(31)는 하강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35)에는 상기 작동바(31)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벽돌 운반용 수레.
  5. 제1항에서,
    상기 조작부(30)는 본체부(1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레버(33)의 회동 범위를 한정하는 스토퍼바(37)를 더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수레.
  6.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10)가 지면과 수직하지 않고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받침대(20a, 20b) 사이에는 지면에 놓이고, 상기 적재공간(11)에 쌓이는 상기 벽돌을 임시 지지하는 테이블(40)을 더 포함하는 벽돌 운반용 수레.
KR1020140038618A 2014-04-01 2014-04-01 벽돌 운반용 수레 KR10143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618A KR101439869B1 (ko) 2014-04-01 2014-04-01 벽돌 운반용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618A KR101439869B1 (ko) 2014-04-01 2014-04-01 벽돌 운반용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869B1 true KR101439869B1 (ko) 2014-09-12

Family

ID=5175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618A KR101439869B1 (ko) 2014-04-01 2014-04-01 벽돌 운반용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00Y1 (ko) * 2016-04-01 2017-09-01 손길영 링크식 벽돌운반용 손수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30B1 (ko) 2011-06-07 2012-03-12 김경태 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730B1 (ko) 2011-06-07 2012-03-12 김경태 수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400Y1 (ko) * 2016-04-01 2017-09-01 손길영 링크식 벽돌운반용 손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9433B2 (ja) 手押し運搬台車
KR101307653B1 (ko)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KR101439869B1 (ko) 벽돌 운반용 수레
JP7097059B6 (ja) ハーネスボード用台車、ハーネスボード収納ラックおよびハーネスボード運用支援システム
JP2012001139A (ja) 荷台、トレーラ、及びラック
KR101787036B1 (ko) 팔레트 이송용 대차
JP2016527125A (ja) 車輪のキャンバ変更による持ち上げ効果を用いてパレットを持ち上げ移動させるための、手動操作の転動装置
JP6010805B2 (ja) 台車回転装置
JP2004306623A (ja) 運搬用6輪台車
JP2019051847A (ja) 台車
JPH0736866Y2 (ja) 車両用台車
KR20200001287U (ko) 석재 운반용 이동대차
JP2018034906A (ja) 積み降ろし台
US3048290A (en) Laundry machine cart
JP6189733B2 (ja) コンテナ運搬車
JP2014125150A (ja) タイヤ運搬装置
KR102454295B1 (ko) 벽돌운반 보조장치
CN217623594U (zh) 一种房建工程用运料车
JPH11335093A (ja) 重量物搬送台車
JP7470605B2 (ja) 運搬台車
JP3041440U (ja) 重量物運搬用台車
JP6086048B2 (ja) 台車回転装置
JP6010806B2 (ja) 台車回転装置
CN106006467B (zh) 一种能够快速承载物料的手扶叉车
JP6605189B2 (ja) 荷役車両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317

Effective date: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