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546B1 -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546B1
KR101821546B1 KR1020160043615A KR20160043615A KR101821546B1 KR 101821546 B1 KR101821546 B1 KR 101821546B1 KR 1020160043615 A KR1020160043615 A KR 1020160043615A KR 20160043615 A KR20160043615 A KR 20160043615A KR 101821546 B1 KR101821546 B1 KR 10182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rame
swivel
variable
fram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861A (ko
Inventor
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자
Priority to KR10201600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5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6Semi-trailers
    • B62D53/061Semi-trailers of flat bed or low loader type or fitted with swan necks
    • B62D53/062Semi-trailers of flat bed or low loader type or fitted with swan necks having inclinable, lowerable platforms; Lift bed trailers; Straddle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프레임의 양측에 회전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도 가변 프레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의 끝단이 지면에 밀착시켜 피 견인차량 또는 기타 운송용품 등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는 견인차량에 연결 고정되는 가변 프레임(100);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을 외력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00); 및 상기 회전유닛(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견인차량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2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바퀴(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대(210);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삽입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220); 상기 회전대(22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삽입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2고정축(232)이 형성된 링크부(230); 및 상기 회전대(220) 및 링크부(230)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VARIABLE TRAILER FOR VEHICLE TRACTIO}
본 발명은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 프레임의 양측에 회전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도 가변 프레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의 끝단이 지면에 밀착시켜 피 견인차량 또는 기타 운송용품 등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는 구난 및 차량 견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이와 같이 구난 및 견인용으로 활용되는 견인차는 적재함으로 견인 장비가 탑재되어 있고, 유효공간이 넓지 않은 관계로 적재함에 피 견인용 차량을 적재하지 못하고 단지 적재함의 후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단수대의 차량을 견인 고리를 이용하여 견인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견인차는 피 견인차량의 사이를 토바대로 연결하여 견인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며, 또 다르게는 견인차의 적재함으로 탑재된 크레인 붐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받침대를 활용하여 부분적인 보조적재의 기능을 수행토록 구성된 형태도 일부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받침대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제대로 보조적인 적재장치로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견인차는 토바대 등의 견인 연결수단을 피 견인차량에 설치해야 함에 따라 견인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차량정체의 요인이 되고 견인시 피견인차량의 차축에 토바대를 걸어서 견인함에 따라 차축이 변형되거나 차량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0723644호(2007년 05월 23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341666호(2013년 12월 06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441416호(2014년 09월 11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특허 제10-1530698호(2015년 06월 16일 등록)
본 발명은 가변 프레임의 양측에 회전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도 가변 프레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의 끝단이 지면에 밀착시켜 피 견인차량 또는 기타 운송용품 등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는 견인차량에 연결 고정되는 가변 프레임(100);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을 외력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00); 및 상기 회전유닛(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견인차량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2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바퀴(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대(210);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삽입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220); 상기 회전대(22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삽입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2고정축(232)이 형성된 링크부(230); 및 상기 회전대(220) 및 링크부(230)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프레임(100)은 복수의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대(220)는, 상기 제1삽입공(221)과 이격되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축(2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240)는, 상기 제1고정축(222) 및 상기 고정대(21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241); 상기 고정부(24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2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242); 및 상기 판 스프링(242)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축(232)에 결합되어 상기 판 스프링(242)이 상기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242)은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가 각각 다른 철판이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41) 사이에 하측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잇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는 가변 프레임의 양측에 회전유닛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도 가변 프레임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의 끝단이 지면에 밀착시켜 피 견인차량 또는 기타 운송용품 등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는 가변 프레임(100), 회전유닛(200) 및 바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프레임(100)은 일측이 견인차량에 연결되고, 견인차량이 이동하게 되면 바퀴(30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에는 피 견인차량 또는 운송용품 등이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변 프레임(100) 복수의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로 이루어진 각파이프가 서로 체결되도록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종래의 프레임은 무거운 철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각파이프를 용접으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는데, 종래의 프레임에 피 견인차량 적재 시, 피 견인차량의 하중과 프레임의 자체 무게로 인해 견인차량의 연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가변 프레임(100)이 경량화되도록 복수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재질의 각파이프가 서로 고정되게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한다.
회전유닛(200)은 가변 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100)을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유닛(200)은 고정대(210), 회전대(220), 링크부(230) 및 탄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2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변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바퀴(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210)는 가변 프레임(100)의 폭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고, 가변 프레임(100)의 폭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대(2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삽입공(221)이 형성되어 가변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된 고정대(210)의 양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며, 고정대(2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가변 프레임(100)과 수평되게 위치한 회전대(220)를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대(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가변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100)의 후방 끝단이 지면에 닿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 프레임(100) 상에 피 견인차량 또는 운송용품 등을 적재한 다음 회전대(220)를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대(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가변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가변 프레임(100)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데, 이때, 회전대(220)는 가변 프레임(100)과 수평이 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대(220)는 제1삽입공(221)와 이격되게 중간 부분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부(24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제1고정축(222)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230)는 회전대(22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삽입공(23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제2고정축(2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230)에 형성된 제2삽입공(231)을 통해 고정대(2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230)는 제2고정축(232)에 결합된 탄성부(240)가 회전대(220)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작업자가 회전대(220)를 회전시키면, 링크부(230)는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탄성부(240)도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탄성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링크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부(230)가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탄성부(240)는 링크부(230)에 결합되고, 회전대(220)에 의해 회전된 링크부(2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견인차량 이동 시 가변 프레임(100) 상에 적재된 피 견인차량 또는 운송용품 등의 하중에 의해 가변 프레임(100)이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피 견인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작업도중 가변 프레임(100)이 움직이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부(230)가 고정되게 한다.
또한, 탄성부(240)는 제1고정축(222) 및 고정대(210)에 결합되는 고정부(241)와, 고정부(241) 사이에 연결된 판 스프링(242)과, 판 스프링(242) 하단에 고정된 체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41)는 제1고정축(222) 및 고정대(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링 형태로 형성되고, 판 스프링(242)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대(220)에 의해 판 스프링(242)이 변형되어 탄성력이 생기도록 한다.
판 스프링(242)은 길이가 각각 다른 철판이 겹쳐져 형성되고, 고정부(241) 사이에 하측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고정되며,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된 링크부(2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작업자가 회전대(220)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판 스프링(242)에 일정 힘이 가해져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판 스프링(242)에 일정 탄성력이 발생되면서 회전하고, 회전이 끝난 판 스프링(242)에 탄성력이 제거되면 가변 프레임(100)이 기울어져 가변 프레임(100)에 피 견인차량 또는 운송용품 등이 적재되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또한, 가변 프레임(100)에 적재가 끝난 후 작업자가 회전대(220)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판 스프링(242)에 일정 힘이 가해져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100)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체결부(243)는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이 판 스프링(242) 하단에 체결 고정되며, 제2고정축(232)에 결합되어 판 스프링(242)이 상기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바퀴(300)는 제2고정축(232)에 삽입되어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견인 차량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가변 프레임(100)을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의 작동방법에 대한설명을 한다.
먼저, 피 견인차량을 적재하기 위해 견인차량에 연결된 가변 프레임을 분리시킨다. 분리된 가변 프레임(100)은 판 스프링(242)에 의해 수평이 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변 프레임(100)의 후방 끝단이 지면에 닿도록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회전대(22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판 스프링(242)에 일정 힘이 가해져 탄성력이 발생하면서 제2고정축(2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링크부(230)가 회전되어 가변 프레임(100)이 고정대(2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판 스프링(242)이 회전된 상태가 되면, 판 스프링(242)에 탄성력이 제거되어 판 스프링(242)에 의해 가변 프레임(100)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피 견인차량을 적재한 다음 작업자가 회전대(220)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판 스프링(242)에 일정 힘이 가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탄성력에 의해 링크부(230)가 제2고정축(2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가변 프레임(100)이 수평되게 한다.
한편,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피 견인차량을 적재하게 되면, 피 견인차량에 의해 가변 프레임(100)이 수평이 될 수 있는데, 이때, 가변 프레임(100)을 견인차량에 연결한 후 회전대(220)를 당겨 가변 프레임(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가변 프레임 200; 회전유닛
210; 고정대 220; 회전대
221; 제1삽입공 222; 제1고정축
230; 링크부 231; 제2삽입공
232; 제2고정축 240; 탄성부
241; 고정부 242; 판 스프링
243; 체결부 300; 바퀴

Claims (4)

  1. 견인차량에 연결 고정되는 가변 프레임(100);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양측에 체결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을 외력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00); 및
    상기 회전유닛(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견인차량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이동되도록 하는 바퀴(30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2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바퀴(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대(210);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제1삽입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대(220);
    상기 회전대(220)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일측에 제2삽입공(2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대(210)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2고정축(232)이 형성된 링크부(230); 및
    상기 회전대(220) 및 링크부(230)에 결합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부(240);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회전대(220)를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대(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변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의 후방 끝단이 지면에 닿도록 하고,
    상기 가변 프레임(100) 상에 피 견인차량 또는 운송용품 등을 적재한 다음,
    작업자가 상기 회전대(220)를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대(2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변 프레임(100)을 회전시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이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100)은 복수의 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220)는,
    상기 제1삽입공(221)과 이격되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축(2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240)는,
    상기 제1고정축(222) 및 상기 고정대(21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241);
    상기 고정부(24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2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242); 및
    상기 판 스프링(242)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축(232)에 결합되어 상기 판 스프링(242)이 상기 제2고정축(2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242)은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가 각각 다른 철판이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41) 사이에 하측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KR1020160043615A 2016-04-08 2016-04-08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KR10182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15A KR101821546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15A KR101821546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61A KR20170115861A (ko) 2017-10-18
KR101821546B1 true KR101821546B1 (ko) 2018-01-25

Family

ID=6029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615A KR101821546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22B1 (ko) 2020-09-11 2022-01-19 유성글로벌 주식회사 트레일러 하부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23A (ja) 2001-03-26 2002-10-03 Hino Motors Ltd 前二軸車の駆動軸重増加装置
KR200371807Y1 (ko) 2004-10-11 2005-01-06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의 역캐스터구조
US8336639B2 (en) 2010-11-04 2012-12-25 Agco Corporation Implement tongue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23A (ja) 2001-03-26 2002-10-03 Hino Motors Ltd 前二軸車の駆動軸重増加装置
KR200371807Y1 (ko) 2004-10-11 2005-01-06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대형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의 역캐스터구조
US8336639B2 (en) 2010-11-04 2012-12-25 Agco Corporation Implement tongue locking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22B1 (ko) 2020-09-11 2022-01-19 유성글로벌 주식회사 트레일러 하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61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632B2 (en) Camera crane mobile base
US7275753B1 (en) Towing dolly cradle assembly
US20070075511A1 (en) Wheel-dolly for vehicle towing and recovery
US9403469B2 (en) Lift for attachment to vehicles
JPS63503055A (ja) コンテナ等の送入・取出処理機械
AU2011200659B2 (en)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8820767B1 (en) Trailer with height-adjusting mechanism
WO2005009764A2 (en) Motorcycle towing dolly for tow trucks
US20170299470A1 (en) Restraint Device
US9738205B2 (en) Lift system with removable cart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KR101821546B1 (ko)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JP2021533054A (ja) 取り付け部品、特に車両クレーンのメインジブを輸送するための車両クレーンシステム
US9039029B2 (en) Transport trailer with adjustable-width swing arms
US889955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ing skid plates to vehicles
US91392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trailer
JP6853128B2 (ja) 車輪式カウンターウエイト
US20150042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Sliding Plates on a Trailer
US9688176B2 (en) Self-loading dolly
US9022408B2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 over-sized load
US9695020B2 (en) Wheel lifting device
CN207683659U (zh) 单轴拖车
CN220180491U (zh) 一种牵引车的多功能牵引臂结构
US9889895B1 (en) Movable crane dolly
CN109823445A (zh) 单轴拖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