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847A - 전원 회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847A
KR20190140847A KR1020190068494A KR20190068494A KR20190140847A KR 20190140847 A KR20190140847 A KR 20190140847A KR 1020190068494 A KR1020190068494 A KR 1020190068494A KR 20190068494 A KR20190068494 A KR 20190068494A KR 20190140847 A KR20190140847 A KR 2019014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sub
lock
state
temporar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604B1 (ko
Inventor
유우이치 모토시게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4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 H01H9/085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contact separation effected by removing contact carry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9/104Adaptation for built-in fuses with interlocking mechanism between switch and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제1 커넥터 하우징, 제2 커넥터 하우징,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지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는 주요 로크 유닛,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가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지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는 서브-로크 유닛,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 및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된 주요 스위치 유닛, 및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된 서브-스위치 유닛을 포함한다. 서브-로크 유닛은 제1 커넥터 하우징에서 형성된 서브-로크 클로우,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클로우와 계합된 계합 판부를 가지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회로 차단 장치{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DEVICE}
본 발명은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차량에는, 그 전기적 시스템의 유지보수에서의 조작 안전성을 보장할 목적을 위하여 전원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electrification)을 접속해제(disconnect)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플러그(service plug)로 칭해진 전원 회로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서는, 전원 회로 스위치와 신호 회로 스위치의 온(on) 및 오프(off) 사이에 시간 래그(time lag)를 제공하고 신호 회로 스위치가 스위치 오프(switch off) 된 후에 잔여 전기의 양으로부터 기인하는 스파크(spark)들, 아크(arc)들 등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유닛이 있다(특허 문헌들 1 및 2 참조).
특허 문헌 1: JP-A-2012-243559 특허 문헌 2: JP-A-2005-142107
위에서 설명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서는, 주요 회로 스위치 및 신호 회로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사이에 시간 래그를 보장하기 위하여, 로크부(lock portion) 및 로크 해제 조작부(lock release operation portioin)가 하우징들을 장착하고 탈착하도록 구성된 레버(lever) 상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레버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서 길어져서, 전체 장치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로 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들을 고려하여 행해지고, 그 목적은 조작 시에 스파크들 및 아크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크기축소될 수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다음의 (1) 내지 (5)의 측면에서 특징된다.
(1) 전원 회로 차단 장치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지고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하우징;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지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lock)하도록 구성된 주요 로크 유닛(main lock unit);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되고 그 일부가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지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sub-lock unit);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 및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switch on) 되도록 구성된 주요 스위치 유닛(main switch unit); 및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되도록 구성된 서브-스위치 유닛(sub-switch unit)을 포함하고,
서브-로크 유닛은,
제1 커넥터 하우징에서 형성된 클로우부(claw portion);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클로우부와 계합(engage)하는 계합 판부를 가지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2) (1)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계합 판부는 제2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스윙가능하게(swingably) 제공되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은 계합 판부의 스윙(swing)을 한정하기 위하여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서 배치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계합 판부를 스윙시키기 위하여, 공간이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계합 판부가 클로우부와 계합되는 계합 상태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계합 판부를 스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3) (2)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서브-로크 유닛의 계합 판부의 스윙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스윙 범위 한정 유닛을 포함한다.
(4)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를 포함하고, 그리고
끼움력(fitting force) 및 분리력(separation force)은 레버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부여된다.
(5) (4)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레버는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일 단에서 회전되고, 그리고
서브-로크 유닛은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단에서 제공된다.
(1)로서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따르면, 주요 로그 유닛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고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될 때,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유닛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로크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스위치될 때, 서브-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오프 되는 반면, 주요 스위치 유닛은 온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서브-스위치 유닛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서브-로크 유닛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고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 주요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오프 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서브-스위치 유닛이 스위치 오프 된 직후에 스위치 오프 되는 주요 스위치 유닛에 의해 발생된 잔여 전류로부터 기인하는 아크들, 스파크들 등의 발생은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을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은 제1 커넥터 하우징 상에 형성된 클로우부, 및 제2 커넥터 하우징 상에서 제공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클로우부와 계합하는 계합 판부를 가지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는 끼움력 및 분리력을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에 부여하도록 구성된 레버에서 서브-로크 유닛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즉, 조작 시의 스파크들, 아크들 등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고,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2)로서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따르면, 클로우부와의 그 로크가 스윙됨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서브-로크 유닛의 계합 판부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측 상에 배치된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스윙하는 것이 한정되고, 스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공간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측 상에 형성된다. 즉, 서브-로크 유닛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로크 해제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능하게 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금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로크 유닛에서의 오조작인 로크 해제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3)으로서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따르면, 계합 판부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유닛에 의해 로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윙될 때, 계합 판부의 스윙 범위는 스윙 범위 한정 유닛에 의해 한정되어, 계합 판부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스윙되는 것으로 인한 조작부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4)로서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따르면,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끼움 및 분리는 작은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되어, 서브-로크 유닛이 레버 상에서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레버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한 장치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5)로서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따르면, 서브-로크 유닛은 레버의 회전 측에 반대인 측 상에 제공되어, 서브-로크 유닛의 조작은 레버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일시적으로 끼워진 후에, 서브-로크 유닛은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하여 원활하게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시에 스파크들 및 아크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크기축소될 수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위에서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세부사항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이하, "실시형태"로서 지칭됨)를 판독함으로써 추가로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서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상부-하부 방향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단면에서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로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된 서브-로크 유닛을 구성하는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단면에서의 내부 측으로부터 관측된 바와 같은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조작부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로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상부-하부 방향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1)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지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레버(30)를 포함한다.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10) 사이에 끼움력 및 분리력을 부여한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1)는 예를 들어, 전기 차량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차량에서 전기적 시스템의 유지보수에서의 조작 안전성을 보장할 목적을 위하여 전원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을 접속해제하도록 구성된 소위 서비스 플러그이다. 구체적으로, 전원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질 때에 가능하게 되고, 전원 유닛과 부하 사이의 통전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접속해제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는 절연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외주연부(outer periphery)로 돌출하는 플래지부(flange portion)(10a)를 가지고, 플랜지부(10a)를 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전원 장치 등의 상에 장착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는, 그 양측 표면들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캠 핀(cam pin)들(11)이 제공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개방된 상부 표면을 가지는 수용 관부(accommodation tubular portion)(12)를 포함한다. 수용 관부(12)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버스 바(bus bar)들로 형성된 한 쌍의 주요 단자들(13)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에서 제공된다. 주요 단자(13)의 일 단부에는 암 단자부(female terminal portion)들(14)이 제공된다. 주요 단자(13)의 다른 단부는 전원 장치 등으로부터 전원 라인(2)에 접속된다. 또한, 암 단자들로 형성된 한 쌍의 서브 단자들(16)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에서 제공된다. 서브 단자들(16)은 신호 라인들(3)에 접속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절연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외주연 관부(21) 및 끼움 관부(22)를 포함한다. 외주연 관부(21)에는, 그 양측 표면들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 샤프트들(23)이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주요 로크 클로우들(28)은 외주연 관부(21)의 양측 표면들 상의 일 단 근처에 형성된다. 끼움 관부(22)는 그 하부 측이 개방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의 외부 형상보다 약간 더 작은 평면도에서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팩킹(packing)(29)은 끼움 관부(22)의 외주연 측의 기저부에서 제공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끼움 관부(22)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에 끼워지도록, 수용 관부(12)의 상부 측으로부터 끼워진다. 그 다음으로, 수용 관부(12)는 끼움 관부(22)를 수용 관부(12) 내로 끼움으로써, 끼움 관부(22)와 외주연 관부(21) 사이에 진입한다. 또한, 끼움 관부(22)가 수용 관부(12)에 끼워진 후에, 수용 관부(12)의 상단의 내주연 표면은 팩킹(29)과 밀착하고, 수용 관부(12)와 끼움 관부(22) 사이의 공간은 방수된다.
전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주요 버스 바(24)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서 제공된다. 주요 버스 바(24)는 그 양 단부들에서 한 쌍의 수 단자부(male terminal portion)들(25)를 포함한다. 수 단자부들(25)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주요 단자들(13)의 암 단자부들(14)에 접속될 수 있다. 일단 주요 버스 바(24)의 수 단자부들(25)이 주요 단자들(13)의 암 단자부들(14)에 접속되면, 주요 단자들(13)에 접속된 전원 라인들(2)은 주요 버스 바(24)를 통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서브-버스 바(sub-bus bar)(26)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관부(22) 내부에서 제공된다. 서브-버스 바(26)는 한 쌍의 수 단자부들(27)을 포함한다. 서브-버스 바(26)의 수 단자부들(27)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서브 단자들(16)에 접속될 수 있다. 일단 서브-버스 바(26)의 수 단자부들(27)이 서브 단자들(16)에 접속되면, 서브 단자들(16)에 접속된 신호 라인들(3)은 서브-버스 바(26)를 통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 회로 차단 장치(1)는 주요 단자(13) 및 주요 버스 바(24)의 수 단자부(25)에 의해 구성된 주요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 단자(16) 및 서브-버스 바(26)의 수 단자부(27)에 의해 구성된 서브-스위치 유닛(SSw)을 포함한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1)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에서, 전원 회로는 주요 스위치 유닛(MSw)이 스위치 온 되고 전원 라인들(2)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에 형성되고, 신호 회로는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스위치 온 되고 신호 라인들(3)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에 형성된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1)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에서는, 주요 스위치 유닛(MSw)이 스위치 온 되고 전원 회로가 형성되더라도,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스위치 온 되고 신호 회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전원 회로는 접속된 상태로 되지 않는다. 즉, 양자의 주요 스위치 유닛(MSw) 및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스위치 온 될 때에만, 전원 회로가 접속된 상태로 된다.
레버(30)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한 쌍의 아암부(arm portion)들(31) 및 접속부(32)를 포함한다. 아암부들(31)의 일 단들은 접속부(32)에 의해 접속되고, 아암부들(31)의 각각은 다른 단 상에서 샤프트 수납 구멍(34)을 포함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한 쌍의 지지 샤프트들(23)은 아암부들(31)의 샤프트 수납 구멍들(34) 내로 삽입되어,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캠 홈(cam groove)들(35)은 각각 레버(30)의 한 쌍의 아암부들(31) 상에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캠 핀들(11)은 캠 홈들(35) 내로 삽입된다. 캠 홈들(35)은 캠 핀(11)이 그 내로 또는 그로부터 삽입될 수 있거나 제거될 수 있는 삽입부(35a), 삽입부(35a)와 연통하는 만곡부(curved portion)(35b), 및 만곡부(35b)와 연통하는 절곡부(bent portion)(35c)를 포함한다. 만곡부(35b)는 삽입부(35a)로부터 샤프트 수납 구멍(34)의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절곡부(35c)는 샤프트 수납 구멍(34)의 중심을 향해 만곡부(35b)으로부터 절곡된다.
레버(30)는 캠 핀(11)이 캠 홈(35)에서 이동할 때에 제1 조작 위치(도 4에서 도시된 위치)와 제2 조작 위치(도 6에서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캠 핀(11)은 제1 조작 위치에서 삽입부(35a) 내로 삽입된다. 캠 핀(11)은 제2 조작 위치에서 절곡부(35c)의 가장 깊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서는, 끼움 방향을 향하는 끼움력이 레버(30)가 제1 조작 위치로부터 제2 조작 위치로 회전될 때에 부여되고, 분리 방향을 향하는 분리력은 레버(30)가 제2 조작 위치로부터 제1 조작 위치로 회전될 때에 부여된다.
레버(30)의 아암부들(31) 상에서는, 주요 로크 구멍들(36)이 접속부(32) 근처에 형성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연 관부(31) 상에 형성되는 주요 로크 클로우들(28)은 주요 로크 구멍들(36)과 계합된다. 또한, 주요 로크 유닛(MR)은 주요 로크 클로우(28) 및 주요 로크 구멍(36)에 의해 구성된다. 주요 로크 유닛(MR)에서, 주요 로크 클로우(28)는 레버(30)가 제2 조작 위치에서 배치되는 상태에서 주요 로크 구멍(36)과 계합되어, 레버(30)가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로크되고, 레버(30)가 회전하는 것이 한정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로크된다. 또한,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완전히 끼워지고 로크되는 상태가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로서 지칭된다.
도 7은 단면에서의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커넥터 하우징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있을 때의 서브-로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는, 다른 단 상에서 서브-로크 유닛(SR)이 제공된다. 서브-로크 유닛(SR)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외부 표면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 서브-로크 클로우(4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서 제공된 조작부(42)에 의해 구성된다.
도 9는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된 서브-로크 유닛을 구성하는 조작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단면에서의 내부 측으로부터 관측된 바와 같은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의 조작부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2)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연 관부(21) 상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조작부(4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조작부(4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1 커넥터 하우징(20)의 제거 방향 측인 상부 측 상에서 가압부(pressing portion)(43)를 가지고, 가압부(43)는 외주연 관부(3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하는 가압 볼록부(pressing convex portion)(44)를 가진다. 접속부들(45)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 방향 측인 하부 측 상에서 가압부(43)의 양 단들에서 제공된다. 가압부(43)는 접속부(45)에 의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연 관부(21)에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계합 판부(47)는 가압부(43)의 하부 측 상에서 일체적으로 제공된다. 계합 판부(47)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거 방향을 따라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계합 판부(47)에서,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세장형 구멍(elongated hole)인 계합 구멍(48)은 폭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된다. 서브-로크 클로우(41)는 계합 구멍(48)과 계합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진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풀 아웃(pull out)될 때, 서브-로크 클로우(41)는 계합 판부(47)에서 형성된 계합 구멍(48)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로크 구멍(48)의 하부 에지(lower edge)와 계합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하여 로크된다. 또한,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일부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지고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해 로크되는 상태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로서 채원진다.
조작부(42)에서는, 가압부(43)의 가압 볼록부(44)를 가압함으로써, 접속부(45)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가압부(43)는 외주연 관부(21)의 내부로 변위된다. 그 다음으로, 조작부(42)의 계합 판부(47)는 스윙되고, 가압부(43)의 변위와 함께 지점(fulcrum)으로서 접속부(45)와 경사지고, 그 하단부는 외주연 관부(21)의 외부로 변위된다. 그 결과, 서브-로크 클로우(41)는 계합 판부(47)의 계합 구멍(48)으로부터 계합해제되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로크가 해제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3)의 내부 표면 상에서,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한 쌍의 변위 한정 리브(displacement restricting rib)들(46)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삽입-제거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압부(43)의 변위 한정 리브들(46)은 가압부(43)의 가압 볼록부(44)가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가압될 때에 수용 관부(12)의 상단에서 외주연 표면에 대하여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외주연 관부(21)의 내부로의 가압부(43)의 변위는 한정되고, 접속부(45)의 탄성적 변형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가압부(43)가 부주의하게 가압되는 것으로 인한 접속부(45)의 침체가 방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 주요 스위치 유닛(MSw)은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로크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상태) 뿐만 아니라,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해 로크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서브-스위치 유닛(SSw)은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로크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해 로크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된다.
다음으로, 주요 로크 유닛(MR) 및 서브-로크 유닛(SR)을 포함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지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들이 설명될 것이다.
(끼우는 경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우기 위하여, 레버(30)가 제1 조작 위치에서 배치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근접하게 된다. 또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관부(2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 내로 끼워진다.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관부(22)가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 내로 끼워질 때, 캠 핀(11)은 삽입부(35a)로부터 레버(30)의 캠 홈(35) 내로 삽입된다. 또한, 서브-로크 유닛(SR)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서브-로크 클로우(41)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조작부(42)의 계합 판부(47)에서 형성된 계합 구멍(48) 내로 진입한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일시적으로 끼워진다(도 4 및 도 5 참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조작 위치에서의 레버(30)는 제2 조작 위치로 회전된다. 그 다음으로, 캠 핀(11)은 만곡부(35b) 및 절곡부(35c)를 따라 이동하고, 끼움력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부여되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내로 견인되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관부(2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에 완전히 끼워지고, 수용 관부(12)는 끼움 관부(22)와 외주연 관부(21) 사이에 진입한다. 또한, 수용 관부(12)의 상단의 내주연 표면은 팩킹(29)과 밀착하고, 수용 관부(12)와 끼움 관부(22) 사이의 공간은 방수된다.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주요 버스 바(24)의 수 단자부(25)는 주요 단자(13)의 암 단자부(14)에 접속된다. 즉, 주요 스위치 유닛(MSw)은 스위치 온 되고, 주요 단자들(13)에 접속된 전원 라인들(2)은 주요 버스 바(24)를 통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서브-버스 바(26)의 수 단자부(27)는 서브 단자(16)에 접속된다. 즉, 서브-스위치 유닛(SSw)은 스위치 온 되고, 서브 단자들(16)에 접속된 신호 라인들(3)은 서브-버스 바(26)를 통해 서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외주연 관부(21) 상에서 형성된 주요 로크 클로우(28)는 주요 로크 유닛(MR)에서 레버(30)의 주요 로크 구멍(36)과 계합된다. 따라서, 레버(30)는 제2 조작 위치에서 로크되고, 레버(30)의 회전은 한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주요 로크 유닛(MR)에서의 레버(30)의 회전은 한정되어,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되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는 서브-로크 유닛(SR)에서 계합 판부(47)의 후방 측 상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서브-로크 유닛(SR)의 조작부(42)의 가압 볼록부(44)가 가압되더라도, 계합 판부(47)는 경사지지 않고, 서브-로크 유닛(SR)에서의 로크는 해제되는 것이 금지된다.
(분리시키는 경우)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 조작 위치에서 배치된 레버(30)는 파지(grasp)되고 풀 업(pull up)된다. 그 다음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주요 로크 클로우(28)는 레버(30)의 주요 로크 구멍(36)으로부터 계합해제되고, 레버(30)의 로크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해제되고, 레버(30)는 회전가능하게 된다.
회전가능한 레버(30)는 제1 조작 위치를 향해 회전된다. 그 다음으로, 레버(30)의 회전과 동반하여, 캠 핀(11)은 절곡부(35c) 및 만곡부(35b)를 따라 이동하고, 분리력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부여되어,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의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의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버스 바(26)의 수 단자부(27)는 서브 단자(16)로부터 풀 아웃된다. 즉, 서브-스위치 유닛(SSw)은 스위치 오프 되고, 신호 라인들(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해제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조작부(42)가 서브-로크 유닛(SR)에서 서브-로크 클로우(41)에 대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로크 클로우(410는 로크 구멍(48)의 하부 에지에서 계합하고 로크하기 위하여 계합 판부(47)의 계합 구멍(48)에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로크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된다.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주요 버스 바(24)의 수 단자부(25)는 주요 단자(13)의 암 단부(14)에 접속되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즉, 주요 스위치 유닛(MSw)은 스위치 온 되도록 유지되고, 전원 라인들(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된다.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로부터, 서브-로크 유닛(SR)의 조작부(42)의 가압부(43) 상에서 형성된 가압 볼록부(44)가 가압된다.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 판부(47)의 후방 측 상의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는 하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공간(S)이 조작부(42)의 가압부(43)의 후방 측 상에서 형성되어, 가압부(43)가 가압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가압부(43)의 가압 볼록부(44)가 가압될 때, 접속부(45)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가압부(430는 조작부(42(에서 외주연 관부(21)의 내부로 변위된다(도 11에서의 2-점 쇄선 참조). 그 다음으로, 조작부(42)의 계합 판부(47)는 스윙되고, 접속부(45)로 인해 지점으로서 외주연 원통부(21)를 갖는 접속점과 경사지고, 그 하단부는 외주연 관부(21)의 외부로 변위된다. 계합 구멍(48)에서 배치되고 계합 구멍(48)의 하부 에지와 계합하는 서브-로크 클로우(41)는 계합 구멍(48)으로부터 나오고, 서브-로크 클로우(41)에 의한 계합 판부(47)의 하부 에지의 로크는 해제된다. 그러므로,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한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로크는 해제된다.
계합 판부(47)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해 로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윙될 때, 가압부(43)는 후방 측 상에서 팩킹(29)과 접촉하게 되어, 계합 판부(47)의 스윙 범위가 한정된다. 그러므로, 조작부(42)는 계합 판부(47)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스윙되는 것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팩킹(29)은 조작부(42)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합 판부(47)의 스윙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스윙 범위 한정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일단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면,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으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관부(22)는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로부터 풀 아웃되고, 주요 버스 바(24)의 수 단자부들(25)은 주요 단자(13)의 암 단자부들(14)로부터 풀 아웃된다. 따라서, 주요 스위치 유닛들(MSw)는 스위치 오프 되고, 전원 라인들(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해제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는, 주요 스위치 유닛(MSw)이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로크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 뿐만 아니라,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해 로크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 스위치 온 되고; 서브-스위치 유닛(SSw)은 주요 로크 유닛(MR)에 의해 로크된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된다. 그러므로,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서는, 서브-스위치 유닛(SSw)이 스위치 오프 되고 신호 라인들(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 후에,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지 않을 경우, 주요 스위치 유닛(MSw)이 스위치 오프 되고, 전원 라인들(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해제될 수 없다. 따라서, 신호 라인들(3) 사이의 접속을 해제한 직후에 전원 라인들(2) 사이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생성된 잔여 전류로부터 기인하는 아크들, 스파크들 등의 발생은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SR)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상에 형성된 서브-로크 클로우(4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 상에서 제공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클로우(41)와 계합하는 계합 판부(47)를 가지는 조작부(4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는 끼움력 및 분리력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부여하도록 구성된 레버(30)에서 서브-로크 유닛(SR)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즉, 조작 시의 스파크들, 아크들 등의 발생은 방지될 수 있고, 소형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로크 클로우(41)와의 그 로크가 스윙됨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서브-로크 유닛(SR)의 계합 판부(47)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측 상에 배치된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의해 스윙하는 것이 한정되고, 스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공간(S)이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측 상에 형성된다. 즉, 서브-로크 유닛(SR)의 조작부(4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로크 해제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가능하게 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금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로크 유닛(SR)에서의 오조작인 로크 해제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합 판부(47)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윙될 때, 계합 판부(47)의 스윙 범위는 계합 판부(47)를, 스윙 범위 한정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패킹(29)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한정되어, 계합 판부(47)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스윙되는 것으로 인한 조작부(42)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1)에 따르면, 레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끼움 및 분리는 작은 조작력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레버(30)를 제공하는 구조에서도,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SR)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서 제공되어, 서브-로크 유닛(SR)이 레버(30) 상에서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레버(30)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한 장치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서브-로크 유닛(SR)은 레버(30)의 회전 측에 반대인 측 상에 제공되어, 서브-로크 유닛(SR)의 조작은 레버(30)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레버(30)의 조작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일시적으로 끼워진 후에, 서브-로크 유닛(SR)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을 해제하기 위하여 원활하게 조작될 수 있다.
발명은 위의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수정될 수도 있거나, 개선될 수도 있는 등과 같다. 추가적으로, 위의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들의 재료들, 형상들, 크기들, 수치들, 배열 위치들 등은 본 발명의 객체가 달성될 수 있기만 하면 임의적이고, 본 발명은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됨으로써 제2 커넥터 하우징(20)과 제1 커넥터 하우징(10) 사이에 끼움력 및 분리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레버(30)가 제공되지만, 레버(30)는 반드시 제공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레버(30)가 제공되지 않을 때, 주요 로크 유닛(MR)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과 제2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 제공된다.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팩킹(29)이 계합 판부(47)의 스윙 범위를 한정하는 스윙 범위 한정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예시되지만, 스윙 범위 한정 유닛은 패킹(29)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 하우징(10)의 수용 관부(12)의 에지부는 스윙 범위 한정 유닛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스윙 계합 판부(47)는 그 스윙 범위가 한정되도록, 수용 관부(12)의 에지부와 접촉한다.
계합 판부(47)가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브-로크 유닛(SR)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윙될 때, 스윙 범위는 계합 판부(47)를, 스윙 범위 한정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패킹(29)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한정되어, 계합 판부(47)가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스윙되는 것으로 인한 조작부(42)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실시형태의 특성들은 각각 다음의 [1] 내지 [5}에서 간략하게 요약된다.
[1] 전원 회로 차단 장치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지고 제1 커넥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완전히 끼워지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도록 구성된 주요 로크 유닛(MR);
제2 커넥터 하우징(20)이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되고 그 일부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 끼워지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도록 구성된 서브-로크 유닛(SR);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 및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도록 구성되는 주요 스위치 유닛(MSw); 및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되도록 구성되는 서브-스위치 유닛(SSw)을 포함하고,
서브-로크 유닛(SR)은,
제1 커넥터 하우징(10)에서 형성된 클로우부(서브-로크 클로우(4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서 제공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클로우부(서브-로크 클로우(41))와 계합된 계합 판부(47)를 포함한다.
[2] [1]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계합 판부(47)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대하여 스윙가능하게 제공되고,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10)은 계합 판부의 스윙을 한정하기 위하여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서 배치되고,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계합 판부를 스윙시키기 위하여, 공간이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계합 판부가 클로우부(서브-로크 클로우(41))와 계합되는 계합 상태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계합 판부(47)를 스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3] [2]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서브-로크 유닛(SR)의 계합 판부(47)의 스윙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범위 한정 유닛(팩킹(29))을 포함한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30)를 포함하고, 그리고
끼움력 및 분리력은 레버(30)의 회전에 의해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부여된다.
[5] [4]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제2 커넥터 하우징(20)에 의해 지지된 레버(30)는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일 단에서 회전되고, 그리고
서브-로크 유닛(SR)은 제2 커넥터 하우징(20)의 다른 단에서 제공된다.

Claims (5)

  1. 전원 회로 차단 장치로서,
    제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 하우징;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지는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도록 구성되는 주요 로크 유닛;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 방향을 향해 변위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지는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하도록 구성되는 서브-로크 유닛;
    상기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 및 상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도록 구성되는 주요 스위치 유닛; 및
    상기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온 되고 상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되도록 구성되는 서브-스위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로크 유닛은,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서 형성된 클로우부(claw portion); 및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서 제공되고, 상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클로우부와 계합(engage)된 계합 판부(engaging plate portion)를 가지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판부는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스윙가능하게(swingably) 제공되고,
    상기 최종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계합 판부의 스윙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서 배치되고,
    상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계합 판부를 스윙시키기 위하여, 공간이 상기 계합 판부의 후방 측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계합 판부가 상기 클로우부와 계합되는 계합판은 상기 일시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계합 판부를 스윙시킴으로써 해제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서브-로크 유닛의 상기 계합 판부의 스윙 범위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 스윙 범위 한정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를 포함하고, 그리고
    끼움력(fitting force) 및 분리력(separation force)은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에 부여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일 단에서 회전되고, 그리고
    상기 서브-로크 유닛은 상기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단에서 제공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KR1020190068494A 2018-06-12 2019-06-11 전원 회로 차단 장치 KR102189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2041A JP6762340B2 (ja) 2018-06-12 2018-06-12 電源回路遮断装置
JPJP-P-2018-112041 201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47A true KR20190140847A (ko) 2019-12-20
KR102189604B1 KR102189604B1 (ko) 2020-12-11

Family

ID=6682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494A KR102189604B1 (ko) 2018-06-12 2019-06-11 전원 회로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7627B2 (ko)
EP (1) EP3582339B1 (ko)
JP (1) JP6762340B2 (ko)
KR (1) KR102189604B1 (ko)
CN (1) CN110600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7576B (zh) * 2018-08-27 2022-04-29 莫列斯有限公司 铰接汇流排组件
US20230029463A1 (en) * 2021-07-27 2023-02-02 Dell Products L.P. Battery connector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393A (en) * 1993-01-19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2003036928A (ja) * 2001-07-19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42107A (ja) 2003-11-10 2005-06-02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90073041A (ko) * 2007-12-28 2009-07-0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레버 타입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접속 방법
JP2012119292A (ja) * 2010-11-09 2012-06-21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2243559A (ja) 2011-05-19 2012-12-10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3033606A (ja) * 2011-08-01 2013-02-1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3109944A (ja) * 2011-11-21 2013-06-06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5095403A (ja) * 2013-11-13 2015-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537778A (ja) * 2013-08-01 2016-12-01 メア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エルティーディー. 双対移動嵌合補助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586A (en) * 1996-09-06 2000-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Lever type connector
JP3278048B2 (ja) * 1997-10-01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250638A (ja) * 2000-03-08 2001-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8071576A (ja) * 2006-09-13 2008-03-27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80073145A (ko) * 2007-02-05 2008-08-0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레버가 구비된 커넥터
JP6130113B2 (ja) * 2012-09-14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393A (en) * 1993-01-19 1995-08-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2003036928A (ja) * 2001-07-19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42107A (ja) 2003-11-10 2005-06-02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90073041A (ko) * 2007-12-28 2009-07-0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레버 타입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접속 방법
JP2012119292A (ja) * 2010-11-09 2012-06-21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US20130237078A1 (en) * 2010-11-09 2013-09-12 Yazaki Corporation Power supply circuit disconnection device
JP2012243559A (ja) 2011-05-19 2012-12-10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3033606A (ja) * 2011-08-01 2013-02-1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3109944A (ja) * 2011-11-21 2013-06-06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16537778A (ja) * 2013-08-01 2016-12-01 メア テクノロジーズ ピーティーイー. エルティーディー. 双対移動嵌合補助式コネクタ
JP2015095403A (ja) * 2013-11-13 2015-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9162A1 (en) 2019-12-12
US10727627B2 (en) 2020-07-28
CN110600939B (zh) 2021-01-29
KR102189604B1 (ko) 2020-12-11
EP3582339A1 (en) 2019-12-18
JP2019216007A (ja) 2019-12-19
JP6762340B2 (ja) 2020-09-30
EP3582339B1 (en) 2021-08-25
CN110600939A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0459B (zh) 电源电路断路器
CN102612726B (zh) 供电电路断开装置
US10637193B2 (en) Power supply circuit disconnection device
KR101632715B1 (ko) 전기결합장치
JP3820355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EP3748779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power supply circuit cut-off device
JP4690843B2 (ja) ブレーカ装置
KR20190140847A (ko) 전원 회로 차단 장치
US7670158B2 (en) Connector engaging structure
JP2013016426A (ja) 回路遮断装置
JP5723181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70288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10819068B2 (en) Lever connector
JP6940540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613559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JP7311294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CN112053865A (zh) 电源电路切断装置
KR1015858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40170876A1 (en)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and breaking a connection between a plug and a mating plug
JP2023156650A (ja) サービスプラグ
KR20200004323A (ko) 서비스 플러그
JP2017016922A (ja) 回路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