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57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574A
KR20190139574A KR1020180066203A KR20180066203A KR20190139574A KR 20190139574 A KR20190139574 A KR 20190139574A KR 1020180066203 A KR1020180066203 A KR 1020180066203A KR 20180066203 A KR20180066203 A KR 20180066203A KR 20190139574 A KR20190139574 A KR 2019013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light
unit
camera module
sha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554B1 (ko
Inventor
김지성
정수민
손창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54B1/ko
Priority to CN201980039054.XA priority patent/CN112272793B/zh
Priority to EP19814364.6A priority patent/EP3816722B1/en
Priority to US16/972,768 priority patent/US11347077B2/en
Priority to PCT/KR2019/006898 priority patent/WO2019235888A1/ko
Publication of KR2019013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6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with a variable apex prism
    • H04N5/2253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a prism with variable angle or the li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입사광을 광축 방향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프리즘부, 상기 평행광을 투과시키되, 상기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틸팅부, 상기 광경로가 변경된 평행광을 집광하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렌즈부가 집광한 평행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는 상기 프리즘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과 모바일용 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소형 카메라에 대해 고 품질 영상 촬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노출 시간이 긴 촬영에서 손떨림 현상에 의한 이미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흔들림 방지 장치(image stabilization, IS)의 채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영상 흔들림 방지 기술은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파지에 기인한 기기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방지 혹은 보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크게 렌즈를 이용한 광학적인 방법(Optical Image Stabilizer, OIS)과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뉜다. 그리고 OIS는 통상 X, Y축으로 이동시키는 대상에 따라 렌즈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시프트, 이미지 센서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센서 시프트, AF 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모듈 틸트 등의 방식으로 구분된다.
OIS를 통해 손떨림에 따른 영상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흔들림에 대응하는 OIS 보상 각도를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즉, OIS 구현을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 내에 렌즈, 이미지 센서, AF 모듈 등이 상, 하,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카메라 모듈에 허용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이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렌즈 등 카메라 구성 요소의 이동이 발생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정렬이나 내구성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는 OIS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입사광을 광축 방향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프리즘부, 상기 평행광을 투과시키되, 상기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틸팅부, 상기 광경로가 변경된 평행광을 집광하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렌즈부가 집광한 평행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는 상기 프리즘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제1 평판 글래스, 상기 제1 평판 글래스의 홈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유동성을 가진 광학 액체로 구성되는 광학 액체층,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광학 액체층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제2 평판 글래스, 그리고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2 평판 글래스의 일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평판 글래스와 결합된 부분에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셰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부를 움직여 상기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 변화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셰이퍼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마그넷,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코일은 각각 2개일 수 있다.
상기 셰이퍼의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셰이퍼의 장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셰이퍼의 단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부분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셰이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평판 글래스가 소정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제2 평판 글래스가 소정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상기 광학 액체층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평행광의 광경로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평행광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각도만큼 쉬프트되도록 상기 셰이퍼를 움직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의 이동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OIS 기능을 탑재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를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카메라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와 같은 광학 요소의 이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설계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프리즘부, 틸팅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프리즘부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전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틸팅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에 의한 틸팅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1 구동 예를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2 구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3 구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프리즘부(110), 틸팅부(120), 렌즈부(130), 이미지 센서부(140) 및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입사된 빛(1)은 프리즘부(110)를 통과한 후, 틸팅부(120) 및 렌즈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부(140)에 입사된다.
우선, 프리즘부(110)는 입사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프리즘부(110)는 입사광의 광경로를 Y축 방향에서 렌즈부(130)의 중심축(광축)에 평행한 Z축 방향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경우, Y축 방향은 모바일 단말의 두께 방향일 수 있으며, Z축 방향은 모바일 단말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일 수 있다. 즉, 프리즘부(110)는 카메라 모듈의 두께 방향으로 입사된 입사광을 이미지 센서부(140)에 수직한 방향의 평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리즘부(110)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구현된 광학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부(110)는 반사판는 반사경과 같은 광학 부재로 구현될 수 도 있다.
그러면, 틸팅부(120)는 평행광을 투과시키되,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틸팅부(120)는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변화시켜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한다. 이때, 투과되는 면의 각도는 구동부(150)에 의해 변할 수 있다. 틸팅부(120)는 프리즘부(110)와 렌즈부(130)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구동부(150)는 틸팅부(120)를 움직여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 변화를 제어한다. 구동부(150)는 VCM(Voice Coil Motor)로 구현 될 수 있으며, 모터(motor)나 피에조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렌즈부(130)는 광경로가 변경된 평행광을 집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130)는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130)는 하나 이상의 렌즈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렌즈군은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3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된 렌즈부(13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부(130)를 구성하는 렌즈, 렌즈군의 개수, 랜즈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개수는 카메라 모듈의 기능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zoom) 기능을 가지는 고배율 카메라 모듈에서 줌을 구현하기 위해, 렌즈부(130)는 2개 이상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렌즈군은 카메라 모듈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1개 이상의 렌즈군과 광축에 따라 움직이는 1개 이상의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 센서부(140)는 렌즈부(130)가 집광한 평행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부(140)는 렌즈부(130)의 광축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4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4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 구동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2의 (b)는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 있고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 구동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3의 (c)는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 있고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한 경우 구동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 없는 경우, 평행광의 광경로는 렌즈부(130)의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되어 이미지 센서부(140)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축에 나란한 평행광이 이미지 센서부(140)에 입사되면, 카메라 모듈은 안정적으로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의 (b)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이 있는 경우, 평행광의 광경로는 렌즈부(130)의 광축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틀어진다. 이 경우, 도 2의 (a)와 달리, 평행광은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부분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은 흔들린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도 2의 (c)에서와 같이, 틸팅부(120)가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만큼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하여 보정하는 경우, 평행광은 렌즈부(130)의 광축을 따라 입사하게 이미지 센서부(140)에 입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피사체를 촬상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프리즘부, 틸팅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프리즘부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즘부(110), 틸팅부(120) 및 구동부(150)는 케이스(10)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프리즘부(110) 장착될 수 있는 프리즘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프리즘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카메라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hook)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부(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단면을 통해 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리즘부(110)는 케이스(10) 상단면 방향으로 입사된 입사광을 렌즈부(130)의 광축에 평행한 평행광으로 변경하여 틸팅부(120)에 전달한다. 프리즘부(110)와 케이스(10)는 후크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틸팅부(120)는 케이스(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면은 평행광의 진행 경로에 위치하는 케이스(10)의 일면을 의미한다. 틸팅부(120)는 렌즈부(130)의 광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케이스(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120)에는 구동부(150)의 일부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50)가 마그넷과 코일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으로 구현된 경우, 틸팅부(120)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마그넷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케이스(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50)는 케이스(10)의 양 측면에 대칭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측면도이다.
틸팅부(120)는 제1 평판 글래스(121), 광학 액체층(122), 제2 평판 글래스(124) 및 셰이퍼(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틸팅부(120)를 통과하는 평행광은 제1 평판 글래스(121), 광학 액체층(122) 및 제2 평판 글래스(1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제1 평판 글래스(121)는 광학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컨테이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평판 글래스(121)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붕규산염(borosilicate)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액체층(122)은 두 개의 평판 글래스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성을 가지며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광학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액체층(122)은 제1 평판 글래스(121)에 광학 액체가 담김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광학 액체의 굴절률 1 내지 1.5일 수 있다. 광학 액체는 불소화유(perfluoro polyether, PFPE)일 수 있다.
광학 액체층(122)은 제1 평판 글래스(121)에 담긴 상태에서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멤브레인과 같은 탄성막 부재(123)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광학 액체층(122)은 탄성막 부재(123)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광학 액체에 이물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탄성막 부재(123)는 광학 액체가 담긴 제1 평판 글래스(121)의 모서리에 부착되어 광학 액체층(122)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탄성막 부재(123)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탄성막 부재(123)는 신축이 가능하다. 탄성막 부재(123)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 siloxane, PDM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평판 글래스(124)는 탄성막 부재(123)에 부착되어 광학 액체층(122)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평판 글래스(124)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광학 액체층(122)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평판 글래스(121)의 홈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판 글래스(124)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평판 글래스(124)는 붕규산염(borosilicat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셰이퍼(125)는 제2 평판 글래스(124)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셰이퍼(125)는 탄성막 부재(123)가 부착된 제2 평판 글래스(124)의 일면과 마주보는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셰이퍼(125)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셰이퍼(125)는 각 모서리 부분에 구동부(150)와 연결될 수 있는 결합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셰이퍼(125)는 평행광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셰이퍼(125)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120)는 셰이퍼(125)의 움직임에 따라 셰이퍼(125)에 결합된 제2 평판 글래스(124)가 소정 각도로 틸팅된다. 그리고 제2 평판 글래스(124)가 소정의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광학 액체층(122)의 형상이 변화한다. 이에 따라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변하여 평행광의 광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전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셰이퍼의 후면도이다.
도 6a 내지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셰이퍼(125)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셰이퍼(125)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고배율의 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L-Type의 카메라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DSLR 등과 같은 카메라 장치와 달리 두께를 늘릴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빛의 이동 경로 방향(즉, 평행광의 이동 경로 방향인 Z축 방향)에 비해, 모바일 단말기의 두께 방향 방향(즉, 입사광의 이동 경로 방향인 Y축 방향)의 경우 공간의 제약이 존재하게 된다. Y축 방향으로 공간을 더 늘릴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틸팅부(120)에 포함된 셰이퍼(125)를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다시,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면, 직사각형 형상의 셰이퍼(125)는 구동부(150)와 결합하는 4개의 결합홈(125-1 내지 125-4)이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셰이퍼(125)는 각 모서리에 결합된 구동부(15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셰이퍼(125)는 평행광이 통과할 수 있는 홀(12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의 직경은 제2 평판 글래스(124)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평판 글래스(124)는 홀이 형성된 부분에 결합되며, 홀의 중심과 제2 평판 글래스(124)의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그리고 셰이퍼(12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결합하기 위한 홈(125-6)이 더 형성되거나 전면과 후면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틸팅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에 의한 틸팅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구동부(150)가 VCM으로 구현될 경우를 도시한다. VCM으로 구현될 경우, 구동부(150)는 복수의 코일과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마그넷은 셰이퍼(125)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25-1 내지 125-4)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셰이퍼(125)는 각 모서리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125-1 내지 125-4)을 가질 수 있으며, 최대 4개의 마그넷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마그넷이 셰이퍼(125)의 단축 방향에 배치된 2개의 결합에 걸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마그넷은 복수의 결합홈(125-1 내지 125-4)과 결합되는 부분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복수의 마그넷은 셰이퍼(125)와 결합되는 부분의 극성이 N극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와 달리, 복수의 마그넷은 셰이퍼(125)와 결합되는 부분의 극성이 S극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코일은 복수의 마그넷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셰이퍼(125)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복수의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전류는 평행광의 광경로가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에 따라 평행광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만큼 쉬프트되도록 셰이퍼(125)를 틸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구동부(150)가 모터나 피에조 엑추에이터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다. 모터나 피에조 엑추에이터는 VCM과 달리 마그넷과 코일을 통해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셰이퍼(125)는 모터나 피에조 액추에이터에 연결부재를 통해 직접 연결된다. 즉, 셰이퍼(125)의 각 결합홈과 모터나 피에조 액추에이터를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1 구동 예를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2 구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제3 구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0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셰이퍼(125)의 장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틸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장축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2 결합홈(125-1, 125-2)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장축 방향에 위치한 제3 및 제4 결합홈(125-3, 125-4)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셰이퍼(125)의 단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틸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단축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3 결합홈(125-1, 125-3)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장축 방향에 위치한 제2 및 제4 결합홈(125-2, 125-4)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셰이퍼(125)의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틸팅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4 결합홈(125-1, 125-4)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대각 방향에 위치한 제2 및 제3 결합홈(125-2, 125-3)에 결합된 구동부(150)를 통해 z축 방향에 따라 움직여 틸팅부(120)의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과 달리, 프리즘부(110)가 없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다. L-Type 형태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같이 두께에 제약이 있는 장치에 고배율 줌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고배율 줌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 L-Type 형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1에서와 같이 프리즘부(110)를 포함하지 않고서, 틸팅부(120), 렌즈부(130), 이미지 센서부(140) 및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입사광을 광축 방향의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프리즘부,
    상기 평행광을 투과시키되, 상기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를 변화시켜 상기 평행광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틸팅부,
    상기 광경로가 변경된 평행광을 집광하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렌즈부가 집광한 평행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부는 상기 프리즘부와 상기 렌즈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액체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제1 평판 글래스,
    상기 제1 평판 글래스의 홈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유동성을 가진 광학 액체로 구성되는 광학 액체층,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광학 액체층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제2 평판 글래스, 그리고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2 평판 글래스의 일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평판 글래스와 결합된 부분에 평행광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셰이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를 움직여 상기 평행광이 투과되는 면의 각도 변화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퍼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마그넷,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 및 상기 복수의 코일은 각각 2개인 카메라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퍼의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퍼의 장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퍼의 단축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결합홈에 결합된 구동부를 통해 상기 틸팅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상기 복수의 결합홈과 결합되는 부분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셰이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평판 글래스가 소정 각도로 틸팅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판 글래스가 소정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상기 광학 액체층의 형상이 변화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평행광의 광경로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평행광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각도만큼 쉬프트되도록 상기 셰이퍼를 움직이는 카메라 모듈.
KR1020180066203A 2018-06-08 2018-06-08 카메라 모듈 KR10255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03A KR102553554B1 (ko) 2018-06-08 2018-06-08 카메라 모듈
CN201980039054.XA CN112272793B (zh) 2018-06-08 2019-06-07 相机模块
EP19814364.6A EP3816722B1 (en) 2018-06-08 2019-06-07 Camera module
US16/972,768 US11347077B2 (en) 2018-06-08 2019-06-07 Camera module with tilting part
PCT/KR2019/006898 WO2019235888A1 (ko) 2018-06-08 2019-06-0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203A KR102553554B1 (ko) 2018-06-08 2018-06-0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574A true KR20190139574A (ko) 2019-12-18
KR102553554B1 KR102553554B1 (ko) 2023-07-10

Family

ID=6876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203A KR102553554B1 (ko) 2018-06-08 2018-06-0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47077B2 (ko)
EP (1) EP3816722B1 (ko)
KR (1) KR102553554B1 (ko)
CN (1) CN112272793B (ko)
WO (1) WO201923588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410A1 (ko) * 2020-04-28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2045702A1 (ko) * 2020-08-28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43106A1 (ko) * 2021-09-17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74443A (ko) * 2021-01-07 2023-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4102295A4 (en) * 2020-02-06 2024-04-03 Lg Innotek Co Ltd CAMERA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4041B2 (en) * 2019-06-13 2024-04-30 Lg Innotek Co., Ltd. Shaper unit and image stabiliz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03A (ja) * 2006-02-21 2007-09-06 Sumida Corporation ミラー駆動機構およびこのミラー駆動機構を具備する撮像装置
JP2008015489A (ja) * 2006-06-06 2008-01-24 Konica Minolta Opto Inc 可変形状光学素子、光学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60040603A (ko) * 2013-07-26 2016-04-14 노우레스 일렉트로닉스, 엘엘시 광학 장치 및 방법
KR101634299B1 (ko) * 2015-03-17 2016-06-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손떨림 방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액체 주머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224A (ko) * 2004-12-21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화상 안정장치
JP2007199208A (ja) 2006-01-24 2007-08-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JP5000428B2 (ja) * 2007-08-22 2012-08-15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506479B1 (ko) 2007-09-12 2015-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굴절면으로 구성된 굴곡 프리즘의 구동을 통한 광경로 보정시스템 및 방법
KR100916471B1 (ko) * 2008-01-23 2009-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 모듈
KR20100043333A (ko) * 2008-10-20 2010-04-29 (주)캠톤 광학식 상보정 장치
US9172856B2 (en) * 2011-03-29 2015-10-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ed imaging path camera
EP2693932A4 (en) * 2011-04-08 2014-08-27 Carestream Health Inc INTRAORAL CAMERA HAVING A LIQUID-BASED LENS FOR IMAGE STABILIZATION
KR101506482B1 (ko) * 2014-06-20 2015-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굴절면으로 구성된 굴곡 프리즘의 구동을 통한 광경로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406209B1 (ko) * 2015-11-09 2022-06-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CN111670389A (zh) * 2017-12-04 2020-09-15 奥普托图尼康苏默尔股份公司 具有可调焦透镜芯的光学变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203A (ja) * 2006-02-21 2007-09-06 Sumida Corporation ミラー駆動機構およびこのミラー駆動機構を具備する撮像装置
JP2008015489A (ja) * 2006-06-06 2008-01-24 Konica Minolta Opto Inc 可変形状光学素子、光学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60040603A (ko) * 2013-07-26 2016-04-14 노우레스 일렉트로닉스, 엘엘시 광학 장치 및 방법
KR101634299B1 (ko) * 2015-03-17 2016-06-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손떨림 방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액체 주머니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2295A4 (en) * 2020-02-06 2024-04-03 Lg Innotek Co Ltd CAMERA DEVICE
WO2021221410A1 (ko) * 2020-04-28 2021-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2045702A1 (ko) * 2020-08-28 2022-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74443A (ko) * 2021-01-07 2023-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043106A1 (ko) * 2021-09-17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6722A4 (en) 2022-03-16
EP3816722A1 (en) 2021-05-05
KR102553554B1 (ko) 2023-07-10
CN112272793A (zh) 2021-01-26
EP3816722B1 (en) 2023-12-06
US11347077B2 (en) 2022-05-31
CN112272793B (zh) 2022-06-07
WO2019235888A1 (ko) 2019-12-12
US20210239999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554B1 (ko) 카메라 모듈
CN101266392B (zh) 成像装置及光学装置
US8213783B2 (en)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940478B1 (ko) 카메라 모듈
KR100935312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CN104423118A (zh) 透镜驱动装置和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
US11627253B2 (en) Camera actuato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20210296A1 (en) Camera module
CN114747201B (zh) 相机致动器及包括其的相机模组
KR20200072256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748566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210397017A1 (en) A camera actuato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080205868A1 (en) Driv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unit,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0980794B1 (ko) 손떨림 보정과 자동초점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촬영장치
CN114174885A (zh) 相机致动器以及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KR102537561B1 (ko) 프리즘을 포함하는 영상 흔들림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090092665A (ko) 손떨림 보정과 자동초점 기능을 일체화한 영상촬영장치
KR19990015579U (ko) 떨림 보정 장치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
CN116157733A (zh)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
KR20140117029A (ko) 카메라 모듈
JP2005249814A (ja) 光学装置及び該光学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並びにファイ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