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497A -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497A
KR20190138497A KR1020180065031A KR20180065031A KR20190138497A KR 20190138497 A KR20190138497 A KR 20190138497A KR 1020180065031 A KR1020180065031 A KR 1020180065031A KR 20180065031 A KR20180065031 A KR 20180065031A KR 20190138497 A KR20190138497 A KR 20190138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ice center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691B1 (ko
Inventor
김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Priority to KR102018006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6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센터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작업 완료 후 서비스 센터의 출구를 통해 진출하는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진출입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와, 작업 전후 대기 중인 차량의 대기구역 정보와 차량 대기구역 간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대기를 관리하는 차량 대기 관리장치와, 차량 작업을 위한 워크베이에서의 차량 작업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작업을 관리하는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와, 각 관리장치와 연결되어 서비스 센터 내 차량을 통합 관리하면서 차량 동선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Integrated vehicle management system in service center}
본 발명은 주차관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수리를 위해 서비스 센터에 맡겨야 한다. 그런데 서비스 센터에서 관리 소홀로 인해 서비스가 지연되거나 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리를 위해 입고된 차량이 서비스 센터의 옥외 옥상에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기간 연장 외엔 별도의 보상 방안이 없어 고객의 불만이 가중된다.
서비스 센터 내 차량 관리 전산화 및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센터의 미케닉, 어드바이저 등은 고객 차량의 위치 및 동선 파악이 어려워짐에 따라 서비스 품질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센터에서 차량 관리 전산화 및 자동화를 위한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센터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작업 완료 후 서비스 센터의 출구를 통해 진출하는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진출입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와, 작업 전후 대기 중인 차량의 대기구역 정보와 차량 대기구역 간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대기를 관리하는 차량 대기 관리장치와, 차량 작업을 위한 워크베이에서의 차량 작업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작업을 관리하는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와, 각 관리장치와 연결되어 서비스 센터 내 차량을 통합 관리하면서 차량 동선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는, 서비스 센터에 진입하는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입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센터 예약 고객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예약 내역을 제공하며 작업 완료 후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출정보를 제공하는 차량번호 인식기와, 서비스 센터에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자동 차단기와, 서비스 센터에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감시하고 외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워크베이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통해 인식된 차량을 추적하여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로부터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차량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며, 차량 인식정보와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워크베이에서의 작업정보 현황을 제공하는 작업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중앙 서버와 연결되어 차량 별 차량 위치정보, 차량번호, 워크베이 진입시간, 워크베이 진출시간, 워크베이 작업시간, 서비스 센터 입고시간,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 센터 출고시간, 대기시간 비율 및 촬영 이미지를 포함한 차량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그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와 동일한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을 보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였으나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작업 차량이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기 이전까지 워크베이에서 작업한 것으로 작업시간을 보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차량번호를 검출한 것과 동일한 로직을 수동으로 적용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기 관리장치는, 대기층에 위치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센서와, 대기층에서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차량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대기층 간을 이동할 때 차량의 목표 층을 확인하여 차량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기는 차량 엘리베이터의 인터페이스 부재로 목표 층의 확인이 불가하면 차량 엘리베이터의 접점으로부터 목표 층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목표 층 정보를, 차량 인식 센서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와 매칭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센터의 각 층 및 층 내 구역 별로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주차 유무 및 주차시간에 따라 식별 가능하게 차량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한다.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각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개별 서비스 센터의 고객정보를 수집하고 고객 차량을 통합 관리하며 개별 서비스 센터의 차량 진출입 통계정보 및 워크베이 작업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작업 통계정보는 차량 별 작업량, 워크베이 별 작업량 및 서비스 센터 별 작업량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센터 통합 관리서버를 더 포함한다.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작업자 전용 차량조회 페이지를 제공하고, 작업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자 단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차량 점검, 수리, 정비, 수리차량 검수 등 일련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동선을 전산화 및 자동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센터 내 차량의 작업량, 작업시간, 작업자 등 작업정보를 전산화 및 자동화할 수 있다.
서비스 센터의 미케닉, 어드바이저와 같은 작업자 입장에서는 고객 차량 위치를 조회할 수 있어서 차량 조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기시간을 조회함으로써 입고 후 작업 이전에 대기가 지체되고 있는 차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전산으로 작업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업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차량 별 작업량, 워크베이 별 작업량, 서비스 센터 별 작업량 등 작업 관련 통계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고객 입장에서는 자신의 차량에 대한 작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어느 단계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투명성을 보장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를 고객이 이용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기 관리장치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층간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가 워크베이에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통합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을 통한 차량 조회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화면 중 전체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화면 중 각 층 별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층별 모니터링 화면에서 관리자가 소정의 차량을 선택하였을 때 보이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화면 중 차량 동선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통계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를 고객이 이용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센터는 입구, 출구, 작업을 위한 워크베이 및 작업 전후 대기를 위한 대기구역으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센터는 이러한 공간들로 모여진 다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객은 차량 서비스를 받기 위해 차량 서비스 센터에 진입한다. 고객은 사전에 예약한 후 차량 서비스 센터를 방문할 수 있다. 서비스는 차량 점검, 수리, 정비, 수리차량 검수(범퍼 교체 등) 등 차량에 대한 모든 AS 서비스를 포함한다. 고객 차량이 차량 서비스 센터에 진입하면, 바로 수리가 가능한 경우 워크베이로 이동하고, 작업을 위해 대기가 필요한 경우 대기 구역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작업을 하기 위해 차량을 대기구역에서 워크베이로 이동시킨다. 워크베이에 진입하면 작업을 시작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대기구역의 출고 대기영역으로 이동한다. 이후, 출고 대기영역에서 서비스센터 출구로 진출하여 나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1)은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2), 차량 대기 관리장치(3),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 및 중앙 서버(5)를 포함한다.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1)은 차량번호 인식을 기반으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서비스 센터 내의 차량의 동선을 파악한다. 그리고 워크베이에서의 작업시간, 작업량, 작업자 등을 포함한 작업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예를 들어, 어드바이저 및 미케닉) 입장에서는 고객 차량의 동선을 실시간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고객입장에서는 대기시간 단축으로 고객의 만족도가 상승하게 된다.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2)는 서비스 센터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작업 완료 후 서비스 센터의 출구를 통해 진출하는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의 진출입을 관리한다. 차량 대기 관리장치(3)는 작업 전후 대기 중인 차량의 대기구역 정보와 차량 대기구역 간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대기를 관리한다.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는 차량 작업을 위한 워크베이에서의 차량 작업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작업을 관리한다. 그리고 중앙 서버(5)와 연계되어 작업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는 차량 별 차량 위치정보, 차량번호, 워크베이 진입시간, 워크베이 진출시간, 워크베이 작업시간, 서비스 센터 입고시간,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 센터 출고시간, 대기시간 비율 및 촬영 이미지를 제공한다. 중앙 서버(5)는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2), 차량 대기 관리장치(3) 및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와 각각 연결되어, 서비스 센터 내 차량을 통합 관리하면서 차량 동선을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2)는 서비스 센터 입구 및 서비스 센터 출구에 각각 차량번호 인식기(20-1,20-2), 자동 차단기(22-1,22-2), 로비 폰(24-1,24-2) 및 감시 카메라(26-1,26-2)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기(20-1,20-2)는 서비스 센터에 진입하는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입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센터 예약 고객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내역을 제공하며 작업 완료 후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출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기(20-1,20-2)는 전광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진출입 정보와 서비스 내역 등을 함께 화면에 출력한다. 로비 폰(24-1,24-2)은 입구 및 출구로의 진입 시에 카드나 비밀번호 등으로 고객을 인증한다. 이때, 중앙 서버(5)로의 호출 및 통화도 가능하다. 자동 차단기(22-1,22-2)는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한다. 감시 카메라(26-1, 26-2)는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감시하고 외관을 촬영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기 관리장치(3-1, 3-2)는 차량번호 인식기(30-1, 30-2) 및 차량 인식 센서(32-1, 32-2)를 포함한다. 차량 인식 센서(32-1, 32-2)는 대기층에 위치하는 차량을 인식한다. 차량번호 인식기(30-1, 30-2)는 대기층에서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차량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대기층 간을 이동할 때, 차량의 목표 층을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번호 인식기(30-1, 30-2)는 차량 엘리베이터의 인터페이스 부재로 목표 층의 확인이 불가하면 차량 엘리베이터의 접점으로부터 목표 층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목표 층 정보를 인식된 차량번호와 매칭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1, 4-2)는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 초음파 센서(42-1, 42-2) 및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포함한다.
초음파 센서(42-1, 42-2)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워크베이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을 인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42-1, 42-2)는 워크베이 천장에 설치된다.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는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인식된 차량을 추적하여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한다.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초음파 센서(42-1, 42-2)로부터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차량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며, 차량 인식정보와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워크베이에서의 작업현황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중앙 서버(5)와 연결되어 차량 별 차량 위치정보, 차량번호, 워크베이 진입시간, 워크베이 진출시간, 워크베이 작업시간, 서비스 센터 입고시간,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 센터 출고시간, 대기시간 비율 및 촬영 이미지를 포함한 차량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초음파 센서(42-1, 42-2) 또는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작업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초음파 센서(42-1, 42-2)는 미세한 음파를 증폭하는 과정에서 노이즈의 증가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차량 지붕 표면의 특징(예를 들어, 썬 루프)에 따라 초음파 센서(42-1, 42-2)가 오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그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와 동일한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을 보정한다.
다른 예로,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였으나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워크베이 작업시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차량번호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로, 최초 차량 인식 후 발생한다. 차량 인식 이후 수리를 위해 트렁크를 제거하는 등의 행위로 차량번호판을 탈거하는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 예를 들어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2) 또는 차량 대기 관리장치(3)에서 검출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작업 차량이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기 이전까지 워크베이에서 작업한 것으로 작업시간을 보정한다.
또 다른 예로,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도 검출하지 못한 경우 보정을 수행한다. 차량이 파손되거나, 워크베이의 특성상 초음파 센서(42-1, 42-2)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도색 룸이나 세차 룸 등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때,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차량번호를 검출한 것과 동일한 로직을 수동으로 적용한다. 즉, 자동 처리가 어려우므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작업정보를 직접 기록하게 된다.
중앙 서버(5)는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센터의 각 층 및 층 내 구역 별로 차량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차량 별로 차량 위치정보, 차량번호, 진입시간, 진출시간, 작업시간, 입고시간, 대기시간 및 촬영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주차 유무 및 주차시간에 따라 식별 가능하게 차량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기 층에서의 차량주차 면을, 빈 주차면, 주차된 면, 장기주차면 및 통제된 면 등으로 구분하고 각 차량주차 면을 색을 다르게 표시한다. 중앙 서버(5)는 영상 저장장치, 차량위치서버, 진출입서버, DB 서버, VoIP 폰, 운영 PC, 시스템 랙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이 서비스 센터에 진입하면, 입구의 로비 폰(24-1)을 통해 고객을 인증하고 차량번호 인식기(20-1)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증 및 인식에 성공하면 해당 차량이 서비스 센터 내부로 들어가도록 자동 차단기(22-1)를 해제한다. 전광판을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기(20-1)는 일반 고객 및 예약 고객의 차량 진입정보(예를 들어 차량번호)와 서비스 예약 내역 등을 전광판에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26-1)는 진입 차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외관을 촬영한다. 작업이 종료된 차량이 서비스 센터에서 나가고자 하면, 출구의 로비 폰(24-2)을 통해 고객을 인증하고 차량번호 인식기(20-2)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증 및 인식에 성공하면 해당 차량이 서비스 센터에서 나가도록 자동 차단기(22-2)를 해제한다. 차량번호 인식기(20-2)는 고객의 차량 진출정보(예를 들어 차량번호)와 서비스 내역 등을 전광판에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26-2)는 진출 차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외관을 촬영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기 관리장치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층간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센터에 진입한 차량은 작업을 위해 대기하게 되는데, 층 간 이동을 위해 차량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대기 관리장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차량 층간 이동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차량 엘리베이터 내에서 눌러진 목표 층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차량의 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가 워크베이에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1, 4-2)는 천장에 위치하는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차량의 워크베이 진입 여부를 확인하여 차량을 인식한다. 차량을 인식하면,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를 회전시켜 초음파 센서(42-1, 42-2)를 통해 인식된 차량을 추적하여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한다. 작업정보 처리장치(44-1, 44-2)는 초음파 센서(42-1, 42-2)로부터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40-1, 40-2)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차량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며, 차량 인식정보와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중앙 서버(5)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중앙 서버(5)는 워크베이에서 작업중인 고객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1, 4-2)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정보를 중앙 서버(5)에 제공한다. 작업정보는 작업량, 작업시간 및 작업자 등을 포함한다. 작업이 완료되어 다른 작업을 위해 다른 워크베이로 이동하거나, 전체 작업이 완료되어 출차를 위한 대기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 완료로 판단하여 작업 완료시간과 작업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통합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센터 통합 관리서버(6)는 다수의 서비스 센터(7-1,7-2,…,7-n)와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다. 서비스센터 통합 관리서버(6)는 각 서비스 센터(7-1,7-2,…,7-n)로부터 해당 서비스 센터의 고객정보를 수집하고 고객차량을 통합 관리한다. 또한, 각 서비스 센터(7-1,7-2,…,7-n)의 차량 진출입 통계정보 및 워크베이 작업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작업 통계정보는 차량 별 작업량, 워크베이 별 작업량 및 서비스 센터 별 작업량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러한 정보를 조회하면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을 통한 차량 조회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 단말(8)은 작업자 전용 차량조회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작업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작업정보를 제공한다. 작업정보는 도 2 및 도 3의 중앙 서버(5)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8)을 통해 고객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번호 4자리 조회로 손쉬운 차량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작업자 단말(8)은 작업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작업자에게 웹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작업자가 자신이 소지한 작업자 단말(8)을 가지고 고객 차량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작업자는 미케닉, 어드바이져 등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화면 중 전체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각 층 별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화면은 도 2의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4)나 중앙 서버(5) 또는 도 7의 서비스센터 통합 관리서버(6)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의 관리화면에는 전체 층 및 각 층에 대한 주차정보가 제공된다. 이때, 빈 주차면, 주차된 면, 장기주차면, 통제된 면 등을 색상이나 무늬 등으로 구별되게 표시하고, 각 면에는 차량정보, 예를 들어 차량번호를 표시한다. 장기주차된 차량이 있는 경우, 이를 경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어느 차량이 작업을 오래 대기 중인지, 작업을 놓친 차량은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층별 모니터링 화면에서 관리자가 소정의 차량을 선택하였을 때 보이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리자가 도 9의 층별 모니터링 화면에서 관리자가 소정의 차량을 선택을 선택하면 실시간으로 작업 내역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주차위치, 차량번호, 입차 시각, 출차 시각, 주차 시간, 카메라 정보 등이 출력된다.
도 12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관리화면 중 차량 동선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서비스 센터 내에서 차량 이미지, 차량위치, 차량번호, 진입시각, 진출시각, 작업시간, 입고시각, 대기/주차시간을 차량 별로 조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정비 통계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입출정보를 통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날을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입고정보, 출고정보 및 작업정보(WB)를 확인할 수 있다. 입고정보에는 입고시간 별 차량 개수를 보여주고, 출고정보에는 평균출고시간, 평균대기시간, 대기시간비율을 보여준다. 평균출고시간은 입차부터 출차까지의 소요시간이고, 평균대기시간은 차량이 작업을 위해 대기한 시간이다. 대기시간비율은 평균출고시간 중 평균대기시간의 비율이다.
작업자 입장에서는 현재 고객 차량 위치를 조회할 수 있어서 차량 조회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차량 대기시간을 조회함으로써 입고 후 작업 이전에 대기가 지체되고 있는 차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전산으로 작업자 단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업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자신의 차량에 대한 작업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어느 단계인지를 알 수 있으므로 투명성을 보장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서비스 센터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 및 작업 완료 후 서비스 센터의 출구를 통해 진출하는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진출입을 관리하는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
    작업 전후 대기 중인 차량의 대기구역 정보와 차량 대기구역 간 이동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대기를 관리하는 차량 대기 관리장치;
    차량 작업을 위한 워크베이에서의 차량 작업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작업을 관리하는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 및
    각 관리장치와 연결되어 서비스 센터 내 차량을 통합 관리하면서 차량 동선을 모니터링하는 중앙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진출입 관리장치는
    서비스 센터에 진입하는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입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센터 예약 고객인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예약 내역을 제공하며 작업 완료 후 고객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진출정보를 제공하는 차량번호 인식기;
    서비스 센터에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하는 자동 차단기; 및
    서비스 센터에 진입 또는 진출하고자 하는 고객 차량을 감시하고 외관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베이 작업 관리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차량의 워크베이 진입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
    초음파 센서를 통해 인식된 차량을 추적하여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로부터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로부터 차량 번호판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차량 번호판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검출하며, 차량 인식정보와 차량번호를 매칭하여 워크베이에서의 작업정보 현황을 제공하는 작업정보 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중앙 서버와 연결되어 차량 별 차량 위치정보, 차량번호, 워크베이 진입시간, 워크베이 진출시간, 워크베이 작업시간, 서비스 센터 입고시간, 작업 대기시간, 서비스 센터 출고시간, 대기시간 비율 및 촬영 이미지를 포함한 차량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한 후 그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와 동일한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워크베이 작업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였으나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이전에 검출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작업 차량이 다른 위치에서 인식되기 이전까지 워크베이에서 작업한 것으로 작업시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 처리장치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차량 인식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고 차량 위치 확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차량번호를 검출한 것과 동일한 로직을 수동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대기 관리장치는
    대기층에 위치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 인식 센서; 및
    대기층에서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차량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대기층 간을 이동할 때 차량의 목표 층을 확인하여 차량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는
    차량 엘리베이터의 인터페이스 부재로 목표 층의 확인이 불가하면 차량 엘리베이터의 접점으로부터 목표 층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목표 층 정보를, 차량 인식 센서를 통해 인식된 차량번호와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차량 위치정보와 차량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센터의 각 층 및 층 내 구역 별로 차량정보를 제공하고, 주차 유무 및 주차시간에 따라 식별 가능하게 차량정보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각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어 개별 서비스 센터의 고객정보를 수집하고 고객 차량을 통합 관리하며 개별 서비스 센터의 차량 진출입 통계정보 및 워크베이 작업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작업 통계정보는 차량 별 작업량, 워크베이 별 작업량 및 서비스 센터 별 작업량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센터 통합 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은
    작업자 전용 차량조회 페이지를 제공하고, 작업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차량번호와 매칭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작업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80065031A 2018-06-05 2018-06-05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7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31A KR102072691B1 (ko) 2018-06-05 2018-06-05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31A KR102072691B1 (ko) 2018-06-05 2018-06-05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97A true KR20190138497A (ko) 2019-12-13
KR102072691B1 KR102072691B1 (ko) 2020-02-03

Family

ID=6884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31A KR102072691B1 (ko) 2018-06-05 2018-06-05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3081A (zh) * 2022-04-18 2022-07-08 南京天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车辆维护管理系统
KR102518517B1 (ko) * 2022-02-23 2023-04-10 주식회사 온유산업 셀프세차장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999A (ja) * 1996-08-27 1998-03-06 Space Atsupu:Kk 駐車管理方法及び装置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445860B1 (ko) * 2014-02-28 2014-10-06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스마트 검사 시스템
KR20160136762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코리아오토시스템 표준작업시간 산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999A (ja) * 1996-08-27 1998-03-06 Space Atsupu:Kk 駐車管理方法及び装置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1445860B1 (ko) * 2014-02-28 2014-10-06 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스마트 검사 시스템
KR20160136762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코리아오토시스템 표준작업시간 산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517B1 (ko) * 2022-02-23 2023-04-10 주식회사 온유산업 셀프세차장 관리시스템
CN114723081A (zh) * 2022-04-18 2022-07-08 南京天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车辆维护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691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499B1 (ko) 이미지 기반의 차량 손상 판정 방법과 장치, 및 전자기기
US9111145B2 (en) Parking lot information system using image technology for identifying available parking spaces
US10586457B2 (en) Dynamic space definition
US104102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image capture for vehicles to track damage
KR20190139938A (ko) 픽쳐 기반의 차량 손해 평가 방법 및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KR100887341B1 (ko)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9275547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CN105678524A (zh) 一种4s店综合服务管理方法及装置
KR20160148460A (ko) 원격으로 로케이팅된 전문가를 수반하는 비파괴 검사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72691B1 (ko) 서비스 센터 차량 통합관리 시스템
EP30862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line replaceable unit removal data
KR101249301B1 (ko)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N106296409A (zh) 车辆事故现场勘察方法和系统
CN115146799A (zh) 一种汽车服务接待系统
JP2016009401A (ja) 業者派遣システム
CN115063746A (zh) 一种车辆入库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529687A (zh) 一种应用于汽车维修的车顶灯、管理系统和方法
CN110462653A (zh) 用于控制车身车间处理的方法和系统
JP5778074B2 (ja) エレベータの技術支援システム
JP6842121B2 (ja) 予約システム及びデータベース構築システム
CN112687044A (zh) 滞留人员的管理方法、系统、介质及设备
CN109902566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智能泊车记录方法及系统
CN113988327A (zh) 返修车辆定位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669105A (zh) 转租检测方法、设备及介质
CN114445466A (zh) 车辆信息识别模型的处理方法、装置以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