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85A -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85A
KR20190136985A KR1020190063484A KR20190063484A KR20190136985A KR 20190136985 A KR20190136985 A KR 20190136985A KR 1020190063484 A KR1020190063484 A KR 1020190063484A KR 20190063484 A KR20190063484 A KR 20190063484A KR 20190136985 A KR20190136985 A KR 2019013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polymer
dispersoid
porous body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733B1 (ko
Inventor
아키오 미나쿠치
도모유키 우에조노
히로시 우야마
치아키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3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08J9/283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a discontinuous liquid phase emulsified in a continuous macromolecular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polymer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08J2201/0502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the liquid phase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 C08J2201/0504Elimination by evaporation or heat degradation of a liquid phase the liquid phase being aqu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0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J2300/104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14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polymers, e.g. aqueous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수용성 고분자와 물과 분산질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또한 상기 분산질이 분산된 에멀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에멀전으로부터, 물 및 상기 분산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질의 비점은 물의 비점보다 높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Description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ROUS MATERIAL OF WATER-SOLUBLE POLYMER}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경량성, 완충성, 단열성, 흡음성, 분리성, 흡착성 등의 여러 가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곤포(梱包) 재료, 건축 자재, 흡음 재료, 청소용품, 화장용품, 분리막, 흡착재, 정제용 담체, 촉매 담체, 배양 담체 등의 다방면에 걸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간편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알콜의 다공질체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열하면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물과 혼화성의 제 1 용매를 첨가하여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얻고, 상기 폴리비닐알콜 용액을 냉각하여 석출한 성형체를 얻고, 상기 성형체를 제 2 용매에 침지시켜, 상기 성형체 중에 포함되는 물 및/또는 제 1 용매를 상기 제 2 용매와 치환시켜,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다공질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물과 제 1 용매의 체적 비율(제 1 용매/물)이 0.5∼1.1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12-251057호 공보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에는, 간편하게 다공질체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찾아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수용성 고분자와 물과 분산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또한 상기 분산질이 분산된 에멀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에멀전으로부터, 물 및 상기 분산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질의 비점은 물의 비점보다 높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에멀전의 조제와, 물 및 분산질의 기화라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편성이 우수한,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수용성 고분자와 물과 분산질을 포함하고, 당해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또한 당해 분산질이 분산된 에멀전을 조제하는 공정(이하, 「에멀전 조제 공정」이라고도 함)과, 당해 에멀전으로부터, 물 및 상기 분산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이하, 「분산질 제거 공정」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여기서, 당해 분산질의 비점은 물의 비점보다 높다. 당해 수용성 고분자의 당해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먼저, 에멀전 조제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물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이온 교환수, 한외(限外) 여과수, 역(逆)침투수, 증류수, 또는 초순수가 바람직하고, 이온 교환수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은, 통상, 수용성 고분자를 완전히 용해 가능하고, 또한 분산질을 분산 가능한 양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란, 25℃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질량% 이상인 고분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25℃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등의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린(예, 폴리(2-메틸-2-옥사졸린), 폴리(2-에틸-2-옥사졸린), 폴리(2-프로필-2-옥사졸린)), 수용성 폴리아미드, 수용성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결합을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폴리알릴아민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풀루란, 아밀로오스, 전분, 전분 유도체, 셀룰로오스에테르(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잔탄검, 키토산, 알긴산, 히알루론산 등의 수용성 다당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및 히알루론산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기도 하다. 키토산은, 아미노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기도 하다. 수용성 고분자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에테르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란, 비닐알코올 단위를 전체 모노머 단위 중 50 몰%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는, 비닐알코올 단위 이외의 모노머 단위(이하, 「기타의 모노머 단위」라고도 함)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의 모노머 단위의 예 로서는, 제조시의 비닐에스테르 등에 유래하는, 아세트산 비닐 단위 등의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들 수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는, 비누화도가 100 몰%인 폴리비닐알콜 이외에도,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콜이어도 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로서는 6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몰%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는, 예를 들면, JIS K6726:1944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타의 모노머 단위의 다른 예로서는, 에틸렌 단위, 프로필렌 단위 등의 α-올레핀 단위; (메타)아크릴산 단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위; 말레산 단위, 이타콘산 단위, 푸마르산 단위 등의 불포화 디카르본산 단위; 메틸비닐에테르 단위, 에틸비닐에테르 단위 등의 비닐에테르 단위; 아크릴로니트릴 단위, 메타크릴로니트릴 단위 등의 니트릴 단위; 염화 비닐 단위, 불화 비닐 단위 등의 할로겐화 비닐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30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20000 이하이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NMR 측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의 사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고분자 1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대한 수용성 고분자의 양(즉, 수용성 고분자의 물 중의 농도)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구멍의 상태(예, 공공률(空孔率), 공공(空孔) 직경 등)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물에 대한 수용성 고분자의 양을 증가시키면, 공공 직경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멀전은 O/W형 에멀전이다. 따라서, 분산질은, 수용성 고분자 수용액 중에 액체(특히 액적)의 상태로 분산된다. 그 때문에, 분산질로서는, 적어도 특정 온도(예를 들면, 25℃)에서 물과 상용(相溶)하지 않는 액체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분산질의 비점은, 물의 비점(100℃)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물의 비점보다 100℃ 이상 높다(즉, 분산질의 비점은,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수용성 고분자의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는,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다. 25℃에 있어서의 수용성 고분자의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는, 1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분산질의 용해도 파라미터(SP값)의 값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에멀전이 보다 안정화되고, 다공화가 보다 균일하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물의 SP값(즉, 23.4(cal/㎤)1/2)보다 5(cal/㎤)1/2 이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산질의 SP값은 18.4(cal/㎤)1/2 이하가 바람직하고, 5(cal/㎤)1/2 이상 15(cal/㎤)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산질의 종류는, 물보다 비점이 높고, 물보다 수용성 고분자를 용해하지 않고, 수용성 고분자 수용액 중에 액체의 상태로 분산될 수 있는 것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분산질의 적합한 예로서는,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등의 알칸 화합물, 탄산 프로필렌(특히, 2-옥소-4-메틸-1,3-디옥솔란), 탄산 부틸렌(특히, 4-에틸-1,3-디옥솔란-2-온)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특히,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균일한 공공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카보네이트 화합물(특히,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분산질의 사용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분산질 10 질량부 이상 400 질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에 대한 분산질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구멍의 상태(예, 공공률, 공공 직경 등)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물에 대한 분산질의 양을 증가시키면, 공공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에멀전 조제시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따라서, 에멀전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양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구멍의 상태(예, 공공률, 공공 직경 등)를 제어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렌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고급 지방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디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 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 올레산 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르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르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데실이소노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등의 아니온성 기를 갖는 폴리머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염, 알킬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인산염, 술포호박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리놀레산 나트륨, 올레산 나트륨, 도데실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나트륨, 에틸헥실술포호박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카르복시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도데실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도데실디메틸카르복시베타인, 도데실디메틸아미드프로필카르복시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 분산질,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예를 들면,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다.
또, 에멀전의 추가적인 안정화, 얻어지는 다공질체의 특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물, 분산질, 및 계면활성제 이외의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에멀전의 조제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적합하게는,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먼저 조제한다. 이어서,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에 분산질 및 계면활성제 등의 임의 성분을 첨가한 후, 분산질을 당해 수용액 중에 분산시킨다.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은, 수용성 고분자를 물에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때, 가열을 행해도 된다. 가열 온도로서는, 예를 들면, 40℃ 이상 100℃ 이하이다. 분산질의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에의 분산은, 공지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온에서, 분산질과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방법이나, 분산질과 수용성 고분자의 수용액을 가열 하에서 혼합하고, 냉각하여 에멀전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분산질 제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분산질 제거 공정에 있어서는, 물 및 분산질을 기화(특히, 휘발)시켜 제거한다. 분산질은, 물보다 비점이 높기 때문에, 당해 공정에서는 분산질보다 물이 우선적으로 기화한다. 물이 감소되어 가면, 수용성 고분자가 석출된다. 이 때, 에멀전 중에 분산되어 있던 물보다 고비점의 분산질이 많이 잔존하지만, 수용성 고분자 중에 분산되어 잔존한다. 이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상(狀)의 골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비점의 분산질이 기화에 의해 제거되어 공극(空隙)이 생성되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가 얻어진다.
물 및 분산질을 기화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한 방법, 감압하에 두는 방법, 감압하에서 가열하는 방법, 바람건조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은 공지의 건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조작의 실시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가열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에멀전이 비등하지 않고, 또한 수용성 고분자 및 분산질이 분해되지 않는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50℃ 이하이다. 물 및 분산질을 기화시키는 동안은, 에멀전을 정치(靜置)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는 형상의 다공질체를 얻는 경우, 당해 원하는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용기에 에멀전을 넣고, 이것을 가열하는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막 형상의 다공질체를 얻는 경우, 평판 상에 에멀전을 박막 형상으로 도포하고, 이것을 가열하는 방법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지는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는, 수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용도의 예로서는, 곤포 재료, 건축 자재, 흡음 재료, 청소용품, 화장용품, 분리막, 흡착재, 정제용 담체, 촉매 담체, 배양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멀전의 조제와, 물 및 분산질의 기화라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냉각하여 성형체를 석출시키는 조작 및 용매를 치환하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은, 간편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샘플 병에,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 및 물 10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샘플 병을 80℃∼90℃로 가열하고, 폴리비닐알콜이 물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얻었다. 교반하면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테트라데칸 5 질량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1.5 질량부를 첨가하고, 25℃까지 냉각하였다. 이에 의해 에멀전을 얻었다. 얻어진 에멀전을, 알루미늄판 상에 캐스팅에 의해 도포하였다. 이것을 120℃로 설정한 건조기에 넣어 가열하고, 물 및 테트라데칸을 기화시켜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알루미늄판 상에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 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분산질의 테트라데칸의 양을 5 질량부로부터 1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분산질의 테트라데칸을 도데칸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분산질의 테트라데칸 5 질량부를 도 데칸 1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샘플 병에,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 및 물 10 질량부를 첨가하였다. 샘플 병을 80℃∼90℃로 가열하고, 폴리비닐알콜이 물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얻었다. 교반하면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탄산 프로필렌(2-옥소-4-메틸-1,3-디옥솔란) 10 질량부를 첨가하고, 25℃까지 냉각하였다. 이에 의해 에멀전을 얻었다. 얻어진 에멀전을, 알루미늄판 상에 캐스팅에 의해 도포하였다. 이것을 75℃로 설정한 건조기에 넣어 가열하고, 물 및 탄산 프로필렌을 기화시켜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알루미늄판 상에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서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박막의 단면 SEM 사진을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아니온성 계면활성제(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암모늄염) 0.25 질량부를 첨가하고, 건조기의 온도를 6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폴리비닐알콜 2 질량부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 질량부로 변경하고, 탄산 프로필렌의 양을 10 질량부로부터 2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폴리비닐알콜의 양을 2.5 질량부로 변경하고, 탄산 프로필렌 10 질량부를 탄산 부틸렌(4-에틸-1,3-디옥솔란-2-온) 2.5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
폴리비닐알콜의 양을 2.5 질량부로 변경하고, 탄산 프로필렌 10 질량부를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7.5 질량부로 변경하고,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 2.5 질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박막을 얻었다. 얻어진 박막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박막이 다공질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또한, 표 중의 「다공질화」 란의 「○」는, 다공화된 것을 나타냄).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1

Claims (6)

  1. 수용성 고분자와, 물과, 분산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또한 상기 분산질이 분산된 에멀전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에멀전으로부터, 물 및 상기 분산질을 기화시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분산질의 비점이 물의 비점보다 높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상기 분산질에 대한 용해도가, 물에 대한 용해도보다 낮은,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이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질의 비점과 물의 비점과의 차가 100℃ 이상인,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질이 알칸 화합물, 탄산 알킬렌 화합물, 또는 실리콘 화합물인,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수산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인,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인, 제조 방법.
KR1020190063484A 2018-05-30 2019-05-29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KR102203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03453 2018-05-30
JP2018103453A JP7064701B2 (ja) 2018-05-30 2018-05-30 水溶性高分子の多孔質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85A true KR20190136985A (ko) 2019-12-10
KR102203733B1 KR102203733B1 (ko) 2021-01-15

Family

ID=6857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84A KR102203733B1 (ko) 2018-05-30 2019-05-29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01397B2 (ko)
JP (1) JP7064701B2 (ko)
KR (1) KR102203733B1 (ko)
CN (1) CN110551316B (ko)
DE (1) DE10201911423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057A (ja) 2011-06-01 2012-12-20 Osaka Univ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50387A (ko) * 2013-10-29 2015-05-0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실리콘 고무 입자의 수분산액, 실리콘 고무 입자 및 화장료
JP6078460B2 (ja) * 2013-11-20 2017-02-08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グフィル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4530A (ko) * 1957-06-04
US3399060A (en) 1963-04-16 1968-08-27 Little Inc A Electrophotographic product and method for achieving electrophotographic copying
US3347702A (en) * 1963-04-16 1967-10-17 Little Inc A Method of forming an electrostatic printing base
CA998488A (en) * 1972-03-30 1976-10-12 Robert W. Kreider High opacity resin coatings
US3819542A (en) * 1972-03-30 1974-06-25 Desoto Inc Method of making high opacity resin porous films and aqueous latex for producing said films
JPS5582621A (en) * 1978-12-20 1980-06-21 Lion Corp Production of sponge
JPH0678460B2 (ja) 1985-05-01 1994-10-05 株式会社バイオマテリアル・ユニバース 多孔質透明ポリビニルアルユールゲル
JPH11319402A (ja) * 1998-05-11 1999-11-24 Shin Etsu Chem Co Ltd 生分解性吸油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16472A (ja) 2001-04-19 2002-10-29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GB2399084B (en) 2002-07-30 2007-01-31 Univ Liverpool Porous bead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GB0401950D0 (en) * 2004-01-28 2004-03-03 Unilever Plc Porous bodie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993786B (zh) 2004-08-05 2010-06-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容器用铝电极箔的制造方法以及蚀刻用铝箔
JP2014132057A (ja) 2013-01-07 2014-07-17 Unitika Ltd ポリイミド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14198835A (ja) 2013-03-12 2014-10-23 特種東海製紙株式会社 セルロース微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素子
WO2016089309A1 (en) 2014-12-02 2016-06-0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hollow microparticles and hollow microparticles prepared thereof
DE102016214304A1 (de) 2015-08-05 2017-02-09 Tesa Se Mikrozelluläre Emulsionsschäume
JP6840532B2 (ja) 2016-12-26 2021-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7142255A (zh) 2017-05-31 2017-09-08 桂林理工大学 一种以高内相pickering乳液为模板合成固定化酶材料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057A (ja) 2011-06-01 2012-12-20 Osaka Univ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多孔質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50387A (ko) * 2013-10-29 2015-05-0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실리콘 고무 입자의 수분산액, 실리콘 고무 입자 및 화장료
JP6078460B2 (ja) * 2013-11-20 2017-02-08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グフィル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7700A1 (en) 2019-12-05
JP2019206666A (ja) 2019-12-05
US11401397B2 (en) 2022-08-02
CN110551316B (zh) 2022-07-12
JP7064701B2 (ja) 2022-05-11
CN110551316A (zh) 2019-12-10
KR102203733B1 (ko) 2021-01-15
DE102019114231A1 (de)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785B1 (ko)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JP5345847B2 (ja) ポリアミド系ゴム弾性体の水性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24971A1 (ja)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
JP2007091716A (ja) 水中薬剤徐放性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30666A (ja) 非水溶性高分子の多孔質体の製造方法
CN112442209B (zh) 乙烯-乙烯醇共聚物的多孔质体的制造方法
KR20190136985A (ko) 수용성 고분자의 다공질체의 제조 방법
JPWO2019189254A1 (ja) 炭化ケイ素焼結体用分散体、これを用いた炭化ケイ素焼結体用グリーンシートおよび炭化ケイ素焼結体用プリプレグ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03169331A (ja) エマルシヨンの調製方法
JP4422550B2 (ja) 親水性フッ素樹脂粒子の製造方法
Ibili et al. Formation, Characterization and Multifunctional Activity of Chitosan Nanoparticle Coating
JPH0586240A (ja) 水性分散液
JPH01278541A (ja) 多孔質均一ポリマー粒子の製法
JP5952165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多孔質粒子で構成された反応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前記反応基材を用いたグラフト共重合体粒子
KR20140133736A (ko) 기능성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자
JP2017101103A (ja) 水内包型ポリマー粒子懸濁液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ポリマー粒子の製造方法
JPH09100382A (ja) 消臭性フィルム
JP2005076165A (ja) 紙用サイジング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