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756A -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 Google Patents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756A
KR20190134756A KR1020197033009A KR20197033009A KR20190134756A KR 20190134756 A KR20190134756 A KR 20190134756A KR 1020197033009 A KR1020197033009 A KR 1020197033009A KR 20197033009 A KR20197033009 A KR 20197033009A KR 20190134756 A KR20190134756 A KR 2019013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bracket
ha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데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과제) 수작업에 의해서도 간편하며 또한 단시간에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축전지 모듈(1)은, 적층된 복수의 축전지 셀(21)을 구비하는 적층부(2)와, 적층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부(3)를 구비하는 축전지 본체(4)와, 축전지 본체(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부에 부착되며, 적층부(2)와 전기 접속부(3)를 일괄해서 고정하는 브래킷 부재(5)를 가지고 있다. 각 브래킷 부재(5)는, 핸들(6)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구성하는 긴 구멍(513) 및 소구멍(51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본 발명은,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 유닛은, 복수의 축전지 모듈을 하우징(수납 상자)에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축전지 유닛의 전지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축전지 모듈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축전지 모듈의 설치 수도 증대하고 있다. 축전지 모듈의 대형화는, 축전지 모듈의 중량의 증대도 초래한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옥외의 비교적 넓은 장소에서, 축전지 유닛의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것은, 축전지 모듈이 대형화하거나, 축전지 모듈의 설치 수가 증대해도, 중기 등을 이용함으로써 대응 가능하다. 그러나, 근년, 축전지 유닛을 옥내에 설치하는 일도 행해지게 되어 있어, 이 경우, 협소 스페이스에서의 축전지 유닛의 설치 작업은, 다대한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7-502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수작업에 의해서도 간편하며 단시간에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하기 (1)~(11)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적층된 복수의 축전지 셀을 구비하는 적층부와, 당해 적층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는 축전지 본체와,
당해 축전지 본체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 사용 가능한 핸들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모듈.
(2) 상기 축전지 본체의 측부에 부착하고,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전기 접속부를 일괄해서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3)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적층부의 측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4) 상기 브래킷은, 상기 축전지 본체를 개재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그 일단부가 한쪽의 상기 브래킷 부재에, 그 타단부가 다른 쪽의 상기 브래킷 부재에 부착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5) 상기 축전지 본체는, 장척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는, 상기 축전지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상기 (4)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6) 상기 전기 접속부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들의 사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당해 축전지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와 겹치도록 설치된 판편(板片)을 구비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7) 상기 핸들은, 그 단부에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후크부를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과, 당해 제1 관통 구멍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의 선단을 삽입하여 걸림 가능한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과,
당해 축전지 모듈을 수납 가능한 하우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유닛.
(9)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축전지 모듈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 가능한 상기 (8)에 기재된 축전지 유닛.
(10) 각 상기 축전지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축전지 모듈에 있어서 공용되는 핸들을 더 가지는 상기 (9)에 기재된 축전지 유닛.
(11) 상기 하우징은, 상부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상부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그 내면에 상기 핸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0)에 기재된 축전지 유닛.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을 부착 가능한 것에 의해, 전지 모듈의 중량이 증대했을 경우에도, 그 설치 작업을 수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협소 스페이스여도, 이러한 설치 작업을 간편하며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축전지 모듈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전면도(c)이다.
도 3은, 축전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을 부착한 상태의 축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축전지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핸들을 고정한 상태의 덮개부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축전지 모듈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전면도(c), 도 3은, 축전지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브래킷의 사시도, 도 5는, 핸들을 부착한 상태의 축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축전지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핸들을 고정한 상태의 덮개부의 저면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그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어,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은,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 이하에 예시되는 재료, 치수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하에서는, 설명의 형편상, 도 1~도 8 중의 우측을 「전방측」 또는 「전방」, 좌측을 「후방측」또는 「후방」이라고 하고, 상측을 「상측」 또는 「상방」, 하측을 「하측」 또는 「하방」이라고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축전지 모듈(1)은, 적층부(2)와 전기 접속부(3)를 구비하는 축전지 본체(4)와, 축전지 본체(4)의 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 부재(5)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핸들(6)이 한 쌍의 브래킷 부재(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부(2)는, 복수의 시트형상의 축전지 셀(21)을 구비하고, 2개의 축전지 셀(21)이 1개의 틀형상의 지지틀(22) 내에 수납되어 있다. 각 축전지 셀(21)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2차 전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적층부(2)는, 그 최상부에 배치된 천판(23)과, 최하부에 배치된 저판(24)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적층부(2)는, 저판(24), 2개의 축전지 셀(21)을 수납한 복수의 지지틀(22) 및 천판(2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지지틀(22), 천판(23) 및 저판(24)은, 각각 비교적 경질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ABS 등을 들 수 있다.
또, 적층부(2)를 구성하는 각 부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적층부(2) 및 축전지 본체(4)는, 직방체형상(장척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축전지 셀(2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단자용 탭(211)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부(2)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용 탭(211)은, 적층부(2)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적층부(2)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는, 복수의 단자용 탭(2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기 접속부(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방의 전기 접속부(3)의 전면(前面)에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커넥터(31, 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축전지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브래킷 부재(5)는, 축전지 본체(4)를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 커넥터(31, 32)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5)끼리의 사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브래킷 부재(5)는, 축전지 본체(4)의 측면, 상면 가장자리부, 하면 가장자리부, 전면 가장자리부 및 후면 가장자리부를 덮는 틀형상의 본체부(51)와, 본체부(51)의 전단 상하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판편(52)과, 본체부(51)의 후단 상하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판편(53)을 구비하고 있다.
각 판편(52, 53)은, 본체부(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그 소정의 개소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521, 53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 부재(5)를 축전지 본체(4)의 양측부에 부착하고, 나사를 관통 구멍(521, 531)에 삽입 통과하여, 축전지 본체(4)(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접속부(3))의 소정의 개소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이들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한 쌍의 브래킷 부재(5)에 의해, 축전지 본체(4)가 분해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적층부(2)와 적층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부(3)가 서로 분리하는 것이나, 축전지 셀(21), 지지틀(22), 천판(23) 및 저판(24)이 서로 분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 본체(4)를 구성하는 각 부를,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접착, 나사 고정 등 해도 되지만, 한 쌍의 브래킷 부재(5)에 의해, 축전지 본체(4)의 각 부(적층부(2) 및 전기 접속부(3))를 일괄해서 고정하면, 축전지 모듈(1)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함과 더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축전지 모듈(1)의 메인터넌스 시에, 축전지 본체(4)를 분해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이러한 브래킷 부재(5)는,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한 장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브래킷 부재(5)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브래킷 부재(5)를 구성함으로써, 브래킷 부재(5)를 통한 방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래킷 부재(5) 중 지면(紙面) 앞쪽의 브래킷 부재(5)의 전단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판편(5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판편(511)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지 모듈(1)(축전지 본체(4))의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커넥터(31, 32)와 겹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축전지 모듈(1)의 이동 작업이나 설치 작업 시에, 다른 부재가 접촉하여, 커넥터(31, 32)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브래킷 부재(5)의 축전지 본체(4)의 측면을 덮는 부분에는, 2개의 장척의 대개구(5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브래킷 부재(5)를 축전지 본체(4)의 양측부에 부착한 상태로, 적층부(2)의 측면이 대개구(512)로부터 외부로 노출한다. 이에 의해, 축전지 본체(4)(축전지 셀(21))가 발열해도, 그 열을 축전지 모듈(1) 밖으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 각 브래킷 부재(5)의 축전지 본체(4)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덮는 부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구멍(제1 관통 구멍)(513)과, 이 긴 구멍(513)의 근방에 소구멍(5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브래킷 부재(5)에서는, 긴 구멍(513)과 소구멍(514)의 세트가 전후 2세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의 세트와 후방측의 세트는, 긴 구멍(513)과 소구멍(514)의 위치 관계가 역전하고 있다.
이들의 긴 구멍(513) 및 소구멍(514)이, 브래킷 부재(5)에 핸들(6)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핸들(6)은, 축전지 본체(4)(축전지 모듈(1))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 사용 가능한 부재이다.
각 핸들(6)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을 거는 띠상의 파지부(61)와, 파지부(61)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62)와, 각 다리부(62)의 하단부(파지부(61)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U자형상을 이루는 후크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파지부(61)의 전단 및 후단에는, 파지부(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파지부(6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척의 판편(611 및 612)이 설치되어 있다. 판편(611 및 612)을 설치함으로써, 파지부(61)(핸들(6))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판편(611)의 소정의 위치에는, 2개의 관통 구멍(6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6)은,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한 장의 판재를 절곡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핸들(6)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철 등을 들 수 있다.
브래킷 부재(5)의 긴 구멍(513)은, 핸들(6)의 후크부(63)를 통과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소구멍(514)은, 후크부(63)의 선단을 삽입하여 걸림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핸들(6)의 각 후크부(63)를 한 쌍의 브래킷 부재(5)의 대응하는 긴 구멍(513)에 삽입 통과시키고, 핸들(6)을 축전지 모듈(1)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킨 후, 각 후크부(63)의 선단이 소구멍(514)에 삽입되도록, 핸들(6)을 축전지 모듈(1)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핸들(6)의 일단부가 한쪽의 브래킷 부재(5)에, 그 타단부가 다른 쪽의 브래킷 부재(5)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지 모듈(1)은, 핸들(6)을 부착한 부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핸들(6)을 축전지 모듈(1)에 부착함으로써, 축전지 모듈(1)의 이동 작업이나 설치 작업을, 특히 협소 스페이스여도, 수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핸들(6)은, 축전지 모듈(1)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축전지 모듈(1)을 겹쳐 쌓아 설치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크기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부착부는, 예를 들면, 각 브래킷 부재(5)의 상면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핸들(6)의 각 후크부(63)를 걸림 가능한 걸림편(예를 들면, 핀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부착부는, 축전지 본체(4)(적층부(2) 및/또는 전기 접속부(3))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브래킷 부재(5)로의 부착부의 형성을 생략해도 되고, 각 브래킷 부재(5) 자체를 생략해도 된다.
축전지 모듈(1)의 장변(길이 방향의 길이)은, 바람직하게는 200~800mm 정도이며, 단변(폭 방향의 길이)은, 바람직하게는 150~300mm 정도이다. 또, 축전지 모듈(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50~200mm 정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축전지 모듈(1)을, 하우징에 수납함으로써, 축전지 유닛이 구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축전지 유닛(100)은, 복수의 축전지 모듈(1)과, 복수의 축전지 모듈(1)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0)과, 이들을 수납하는 하우징(20)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상부 개구(201a)를 구비하는 본체부(201)와, 상부 개구(201a)를 막도록 하여 본체부(20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덮개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부(201)는, 틀체와, 이 틀체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 복수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20)에서는, 복수의 축전지 모듈(1)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전지 모듈(1)의 설치 수를 변경함으로써, 축전지 유닛(100)의 전지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구성에서는, 하우징(20)의 지면 앞쪽에만, 축전지 모듈(1)을 겹쳐 쌓아 배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지면 안쪽에도 복수의 축전지 모듈(1)을 겹쳐 쌓아 배치할 수도 있다.
겹쳐 쌓인 복수의 축전지 모듈(1) 위에는, 고정 플레이트(30)가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30)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나사에 의해, 본체부(201)의 틀체에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축전지 모듈(1)도 본체부(201)의 틀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축전지 모듈(1)끼리를 나사 고정하는 일 없이, 일괄해서 본체부(201)(하우징(2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축전지 유닛(100)의 설치 작업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다.
또, 고정 플레이트(30)는, 본체부(201)의 틀체를 구성하고, 서로 대향 배치된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보로 해도 기능하기 때문에, 본체부(201)(하우징(2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고정 플레이트(30)는, 하우징(20)을 보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 고정 플레이트(30) 위에는, 제어 모듈(10)이 배치되며,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나사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30)에 나사 고정된다.
제어 모듈(10)은, 예를 들면,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전력 변환을 행하는 기능, 축전지 모듈의 이상의 유무를 모니터링하는 기능, 축전지 모듈(1)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는 기능, 이상 시에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 외부 기기와의 통신 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201) 내에, 복수의 축전지 모듈(1) 및 제어 모듈(10)을 수납한 상태로, 본체부(201)의 상부 개구(201a)를 막도록, 본체부(201)에 덮개부(202)가 장착된다.
덮개부(202)는, 장방형상(상부 개구(201a)에 대응한 형상)의 평판으로 구성되며,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관통 구멍(202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나사를 관통 구멍(2021)에 삽입 통과시키고, 본체부(201)의 틀체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덮개부(202)가 본체부(201)에 고정된다.
또, 덮개부(202)의 저면(내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4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202)의 저면에 2개의 핸들(6)을 배치하여, 판편(611)에 형성된 관통 구멍(611a)에 나사를 삽입 통과시키고, 덮개부(202)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핸들(6)을 덮개부(20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덮개부(202)를 본체부(201)에 고정함으로써, 2개의 핸들(6)도 하우징(20)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들(6)이 방해가 되지 않고, 또 데드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핸들(6)의 덮개부(202)의 저면으로의 고정은, 나사 고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립과 같은 협지 부재에 의한 고정, 핸들(6)에 감합하는 감합 부재에 의한 고정 등이어도 된다.
하우징(20) 및 고정 플레이트(30)의 구성 재료로서는, 각각,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하우징(20) 및 고정 플레이트(30)를 구성함으로써, 이들을 통한 방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축전지 유닛(100)에 의하면, 각 축전지 모듈(1)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2개의 핸들(6)을 복수의 축전지 모듈(1)에 있어서 공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다.
또한, 본체부(201)의 내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가이드에 브래킷(5)의 판편(511)을 따르게 해서, 축전지 모듈(1)을 본체부(201) 내로 유도함으로써, 본체부(201)에 대한 축전지 모듈(1)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은, 각각 다른 임의의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임의의 구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1 축전지 모듈 2 적층부
21 축전지 셀 211 단자용 탭
22 지지틀 23 천판
24 저판 3 전기 접속부
31, 32 커넥터 4 축전지 본체
5 브래킷 부재 51 본체부
511 판편 512 대개구
513 긴 구멍 514 소구멍
52 판편 521 관통 구멍
53 판편 531 관통 구멍
6 핸들 61 파지부
611 판편 611a 관통 구멍
612 판편 62 다리부
63 후크부 100 축전지 유닛
10 제어 모듈 20 하우징
201 본체부 201a 상부 개구
202 덮개부 2021 관통 구멍
30 고정 플레이트

Claims (11)

  1. 적층된 복수의 축전지 셀을 구비하는 적층부와, 당해 적층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접속부를 구비하는 축전지 본체와,
    당해 축전지 본체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 사용 가능한 핸들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본체의 측부에 부착하고,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전기 접속부를 일괄해서 고정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적층부의 측면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는 축전지 모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축전지 본체를 개재하여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브래킷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그 일단부가 한쪽의 상기 브래킷 부재에, 그 타단부가 다른 쪽의 상기 브래킷 부재에 부착되는, 축전지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본체는, 장척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는, 상기 축전지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모듈.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들의 사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브래킷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당해 축전지 모듈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커넥터와 겹치도록 설치된 판편(板片)을 구비하는 축전지 모듈.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그 단부에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후크부를 통과 가능한 제1 관통 구멍과, 당해 제1 관통 구멍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의 선단을 삽입하여 걸림 가능한 제2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축전지 모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지 모듈과,
    당해 축전지 모듈을 수납 가능한 하우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축전지 모듈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 가능한, 축전지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각 상기 축전지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축전지 모듈에 있어서 공용되는 핸들을 더 가지는, 축전지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상부 개구를 막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그 내면에 상기 핸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축전지 유닛.
KR1020197033009A 2017-04-14 2018-04-13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KR20190134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0730 2017-04-14
JPJP-P-2017-080730 2017-04-14
PCT/JP2018/015619 WO2018190435A1 (ja) 2017-04-14 2018-04-13 蓄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池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756A true KR20190134756A (ko) 2019-12-04

Family

ID=6379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009A KR20190134756A (ko) 2017-04-14 2018-04-13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36801B2 (ko)
KR (1) KR20190134756A (ko)
CN (1) CN110506346A (ko)
WO (1) WO20181904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420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0370B2 (en) 2009-05-29 2017-09-05 Keurig Green Mountain, Inc. Cartridge with filter guard
JP7335100B2 (ja) * 2019-06-21 2023-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7031784B1 (ja) * 2021-08-30 2022-03-08 Tdk株式会社 蓄電池システム、並びに、その設置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5027A (ja) 2015-06-05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箱及び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6060U (ko) * 1988-12-22 1990-07-06
JPH0550656U (ja) * 1991-12-09 1993-07-0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端子付携帯電気機器
JP3426445B2 (ja) * 1996-09-13 2003-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バッテリ吊り下げ治具、それらの組合せ
JP2013222538A (ja) * 2012-04-13 2013-10-28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吊り下げシステム、バッテリ構造体及びバッテリの搬送方法
JP2015088243A (ja) *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パックの製造方法
CN205264772U (zh) * 2015-12-21 2016-05-25 东莞市力腾辉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电源装置
CN205452397U (zh) * 2016-03-04 2016-08-10 中聚(杭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壳体及含其的电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5027A (ja) 2015-06-05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収納箱及び蓄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420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06346A (zh) 2019-11-26
WO2018190435A1 (ja) 2018-10-18
JPWO2018190435A1 (ja) 2020-05-21
JP7036801B2 (ja)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4756A (ko) 축전지 모듈 및 축전지 유닛
US10593913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for suppressing adverse effects exerted on circuit boards
CN110521018B (zh) 电池模块以及蓄电单元
JP5924041B2 (ja) 電動工具セット
CN110088935B (zh) 机架型电源装置
JP6287496B2 (ja) 鉛蓄電池及びこれに設けられた着脱部材
JP6832220B2 (ja) 化粧カバーおよび蓄電池ユニット
EP2750218A1 (en) Electrode constituent for battery module
JP2018181640A (ja) 蓄電池ユニット
US20200251700A1 (en) Storage battery unit
KR20200014347A (ko) 전지 팩
JP5738714B2 (ja) 組電池
US10170736B2 (en) Battery case
JP2018063798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22002221A (ja) 蓄電池ユニット
JP6107325B2 (ja) 蓄電装置
JP7358433B2 (ja) 蓄電池ユニット
JP2014175170A (ja) 蓄電池装置
JP6977782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組電池
CN107851751B (zh) 蓄电装置
JP2011034730A (ja) 電池パック
KR20190136101A (ko) 축전지 유닛
JP6331088B2 (ja) 蓄電モジュール
KR20150106735A (ko) 전지팩
JP6977783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