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483A -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483A
KR20190134483A KR1020190058722A KR20190058722A KR20190134483A KR 20190134483 A KR20190134483 A KR 20190134483A KR 1020190058722 A KR1020190058722 A KR 1020190058722A KR 20190058722 A KR20190058722 A KR 20190058722A KR 20190134483 A KR20190134483 A KR 2019013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omer
film layer
resin
resin film
modified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756B1 (ko
Inventor
마사노리 타케우치
타카시 나가오카
마코토 카라츠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2Receptacles, i.e. rigid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53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72Skirt

Abstract

금속박층 및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외관이 양호한 것을 염가로 제공한다.
성형 용기용 적층체(2)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12B)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12A)을 적어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또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인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이다.

Description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LAMINATE FOR MOLDING CONTAINER, MOLDING CONTAINER AND PACKAGE}
본 발명은, 식품 등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성형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적층체,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 및 내용물이 충전된 동 성형 용기에 덮개를 덮어서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외관이 양호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물양갱, 젤리, 이유식, 간호용 식품 등을 장기 보존 가능하게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실런트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가 알려져 있다(하기한 특허 문헌 1 등 참조).
외측 수지 필름층은, 용기의 표면에 상처나 자국(型)이 생기거나 금속박층이 부식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적층체에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복수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식품 등의 내용물이 충전된 성형 용기의 플랜지에 최내층에 열융착성 수지층을 갖는 덮개를 히트 실 함에 의해 포장체가 얻어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6-345123호 공보
상기한 성형 용기에 있어서 그 외관의 의장성을 높이거나, 수지 조성에 적당한 유연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냉동 상태에서의 용기의 외측 층의 내충격성을 개선하거나 하기 위해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에 일래스토머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적층체에 의해 성형 용기를 성형한 경우, 얻어진 성형 용기의 표면에 백화가 생기는 일이 있고, 그에 의해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박층 및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 및 동 성형 용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밀봉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외관이 양호한 것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양태로 이루어진다.
1)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성형 용기용 적층체.
2)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이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성형 용기용 적층체.
3)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이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성형 용기용 적층체.
4)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1∼50질량%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5)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49∼99질량%인 상기 1)∼4)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6)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일래스토머 성분이, 각각,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에틸렌-1-부텐 일래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일래스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7)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은, 상기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층에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및 슬립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1)∼6)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8)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 그래프에서 2개 이상의 결정화 피크를 갖는 것인 상기 1)∼7)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9)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은, 상기 제2 수지 필름층과, 상기 제2 수지 필름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수지 필름층과,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의 상기 금속박층과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제3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3층 이상의 복층 구조인 상기 1)∼8)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10) 상기 금속박층과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는 상기 1)∼9)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
11) 상기 1)∼10)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 주연에 플랜지를 갖고 있는 성형 용기.
12) 내용물이 충전된 상기 11)의 성형 용기의 플랜지에 성형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체.
또한,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융점」은,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된 융해 피크 온도(Tmp)이다.
마찬가지로, 「결정 융해 에너지」는 JIS K7122-1987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된 융해열(결정 융해 에너지, △H)이다. 또한, 결정 융해 피크 곡선이 2개 이상 존재하고 있고, 결정 융해 에너지가 2개(△H1, △H2) 또는 3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결정 융해 에너지의 값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1)∼3)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서는 복수층의 외측 수지 필름층 중 제2 수지 필름층이,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와,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조합시킨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1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에서의 일래스토머 성분과 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고, 일래스토머 성분의 분산성도 양호한 것으로 되어, 올레핀계 수지상(相)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의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1)∼3)의 적층체의 성형시에 응력에 의해 올레핀계 수지상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이 박리하고 보이드라고 불리는 공극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수지와 보이드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한 투명성의 악화, 즉, 백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1)∼3)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외관이 양호한 외표면을 갖는 성형 용기가 염가로 얻어진다.
또한, 상기 1)∼3)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제2 수지 필름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이 155℃ 이상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의 플랜지에 덮개를 히트 실 할 때에 외측 수지 필름층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충분한 형상 유지성이 확보된다.
상기 4)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3)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한 여러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예를 들면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의 플랜지에 덮개를 히트 실 할 때에 외측 수지 필름층이 보다 한층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보다 확실하게 백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5)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3)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한 여러 효과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6)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3)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한 여러 효과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7)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적층체의 외표면에 우수한 미끄럼성이 부여되고, 성형 깊이가 보다 깊은 성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성형시의 백화도 충분히 억제된다.
상기 8)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3)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한 여러 효과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9)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1)∼3)의 적층체에 관해 상술한 여러 효과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10)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에 의하면, 금속박층과 외측 수지 필름층의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동 적층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가 보다 우수한 외관의 것으로 된다.
상기 11)의 성형 용기에 의하면, 양호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12)의 포장체에 의하면, 생산성이 양호하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성형시의 백화가 억제되어 외관이 양호한 용기에 의해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2개의 양태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로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장체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적층체(10)는 금속박층(11)과, 금속박층(11)의 양면 중 용기(2)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적층체(10)는 금속박층(11)의 양면 중 용기(2)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내측 수지층(13)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도 1(a)에 도시하는 적층체(10)에서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이, 적층체(1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제2 수지 필름층(12A)과, 제2 수지 필름층(12A)과 금속박층(11)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수지 필름층(12B)에 의해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이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적층체(10)에서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이, 제2 수지 필름층(12A)과, 제2 수지 필름층(12A)과 금속박층(11)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수지 필름층(12B)과, 제2 수지 필름층(12A)에서의 금속박층(11)과 반대측의 면에 적층되고 적층체(1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제3 수지 필름층(12C)에 의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이다.
금속박층(11)은,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에 대해 산소나 수분의 침입을 저지하는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금속박층(11)을 구성하는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알루미늄박인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철의 함유량이 0.3∼1.5질량%인 JIS H4160로 분류되는 A8000계(특히, A8079H나 A8021H)의 소둔 처리 완료의 연질재(O재)라면, 성형성이 우구하기 때문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금속박층(11)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화성처리 등의 하지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
1)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2)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3)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
상기 1)∼3) 중의 어느 한 수용액을 도공(塗工)한 후, 건조함에 의해 화성처리를 시행하여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화성처리에 의해 금속박층(11)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크롬 부착량(편면당)로서 0.1㎎/㎡∼50㎎/㎡가 바람직하고, 특히 2㎎/㎡∼20㎎/㎡가 바람직하다. 금속박층(11)의 두께는 3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15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충분한 배리어성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은, 성형 용기(2)의 외표면에 의장성을 갖게 함과 함께, 성형 용기(2)의 표면에 상처나 자국(型)이 생기거나 금속박층(11)이 부식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에 디프드로잉 성형성이나 장출(張出) 성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제2 수지 필름층(12A)은, 융점(Tmp)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와, 융점(Tmp)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랜덤 폴리프로필렌)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이다. 프로필렌 이외의 공중합 성분(모노머)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 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 성분 외에 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일래스토머 성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 에틸렌-1-부텐 일래스토머(EBR),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일래스토머(EPB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지 필름층(12A)을 융점(Tmp)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와, 융점(Tmp)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이 155℃ 미만에서는 적층체(10)를 성형한 때에 성형 용기(2)의 바닥의 R부에 넓은 면적에 걸처서 백화가 현저하게 생긴다(비교례 4 참조).
또한,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이 135℃ 미만에서는 적층체(10)의 성형시에 성형 용기(2)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의 백화가 생긴다(비교례 5 참조).
또한,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융해 에너지(△H)가 50J/g 미만에서는 상기 히트 실 시에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찌부러짐이 어느 정도 생긴다(비교례 6 참조).
또한,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융해 에너지(△H)가 30J/g를 초과하면, 적층체(10)의 성형시에 성형 용기(2)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의 백화가 생긴다(비교례 7 참조).
또한, 융점(Tmp)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비함유로 하면, 적층체(10)의 성형시에 성형 용기(2)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의 백화가 생기면서 외측 수지 필름층(12)이 찌부러지기 쉽고, 형상 유지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비교례 2 참조).
또한, 융점(Tmp)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H)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비함유로 하면, 적층체(10)의 성형시에 성형 용기(2)의 바닥의 R부의 넓은 면적에 걸처서 백화가 현저하게 생긴다(비교례 1 참조).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은, 155℃ 이상이면서 1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융해 에너지는 50J/g 이상이면서 75J/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3J/g 이상이면서 70J/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은, 135℃ 이상이면서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융해 에너지는 5J/g 이상이면서 30J/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10J/g 이상이면서 25J/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J/g 이상이면서 20J/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에 관해 일래스토머 변성 양태로서는 그라프트 중합을 들 수 있는데, 기타의 변성 양태라도 좋다.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리액터메이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제1 리액터에 지글러 나타 촉매, 조촉매, 프로필렌 및 수소를 공급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한다.
뒤이어, 얻어진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미반응의 프로필렌과 지글러 나타 촉매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2 리액터에 이동시킨다. 제2 리액터에서 다시 프로필렌과 수소를 가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한다.
그리고, 얻어진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미반응의 프로필렌과 지글러 나타 촉매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3 리액터에 이동시킨다. 제3 리액터에서 다시 에틸렌, 프로필렌 및 수소를 가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시킨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를 중합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또는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가 생성된다.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용매를 첨가하여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서 기상에서 반응을 행하게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단, 상기는 제법의 한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이와 같은 제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체(10)의 제2 수지 필름층(12A)에서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은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5∼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2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1질량% 미만이면, 적층체(10)를 성형한 때에 백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50질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2 수지 필름층(12A)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은 49∼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70∼9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9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99질량%를 초과하면, 적층체(10)를 성형한 때에 백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49질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2 수지 필름층(12A)은, 해도(海島) 구조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해도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제2 수지 필름층(12A)에 내열성과 유연성의 상반되는 성질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해도 구조에서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일래스토머 성분이 미세한 섬(島)을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시사 주사 열량(DSC) 측정 그래프에서 2개 이상의 결정화 피크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결정화 피크를 갖는 것인 경우에는 고온측의 결정화 피크(결정화 온도)가 90℃ 이상이고, 저온측의 결정화 피크(결정화 온도)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개 이상의 결정화 피크를 갖는 것인 경우에는 가장 고온측의 결정화 피크(결정화 온도)가 90℃ 이상이고, 가장 저온측의 결정화 피크(결정화 온도)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 도시하는 적층체(10)에서 적층체(1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제2 수지 필름층(12A)은,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에 더하여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및 슬립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지 필름층(12A)에 무기계 미립자나 유기계 미립자, 슬립제를 첨가함으로써, 적층체(10)의 외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성형시에 금형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미끄럼성이 향상하고, 성형 깊이가 보다 깊은 성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성형시의 백화도 충분히 억제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비즈, 폴리스티렌 수지 비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슬립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루카산아마이드, 스테아린산아마이드, 올레인산아마이드 등의 지방산아마이드, 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왁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슬립제의 첨가에 대신하여 또는 그에 덧하여 형시에 적층체(10)의 표면에 실리콘 오일, 채종유 등의 윤활 오일을 도포하여도 좋다.
도 1(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층 또는 3층 구조의 외측 수지 필름층(12)을 갖는 적층체(10)에서 금속박층(11)측에 배치되는 제1 수지 필름층(12B)은,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單體)의 중합체(호모 폴리프로필렌)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이외의 공중합 성분(모노머)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센, 1-펜텐, 4 메틸-1-펜텐 등의 올레핀 성분 외에 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랜덤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임으로써, 적층체(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히트 실 할 때에(도 2 참조) 제1 수지 필름층(12B)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충분한 용기(2)의 형상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충분한 내(耐)레토르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지 필름층(12B)에서의 상기 랜덤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함유율은, 70질량% 이상로 설정된다. 또한,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융점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융점의 랜덤 공중합체 성분에 의해 금속박층(11)과의 접착 강도를 보다 한층 증대시켜, 접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융점의 랜덤 공중합체 성분에 의해 적층체(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히트 실 할 때(도 2 참조)에 제1 수지 필름층(12B)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보다 충분한 용기(2)의 형상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 필름층(12B)은, 해도 구조의 형태가 되지 않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적층체(10)를 디프드로잉 성형하여 성형 용기(2)를 형성할 때에 제1 수지 필름층(12B)에서 올레핀 수지상과 일래스토머 상과의 계면에 보이드(공간)가 생기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제1 수지 필름층(12B)이, 금속박층(11)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된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층 구조의 외측 수지 필름층(12)을 갖고 있는 적층체(10)에서 적층체(1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제3 수지 필름층(12C)은, 제1 수지 필름층(12B)과 동일한 구성, 즉,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호모 폴리프로필렌)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제3 수지 필름층(12C)을 적층체(10)의 외표면에 배치함에 의해 보다 광택감이 높은 외관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덤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임으로써, 적층체(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히트 실 할 때(도 2 참조)에 제3 수지 필름층(12C)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충분한 용기(2)의 형상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충분한 내레토르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3 수지 필름층(12C)에서의 상기 랜덤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함유율은, 70질량% 이상로 설정된다. 또한,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융점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융점의 랜덤 공중합체 성분에 의해 적층체(10)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히트 실 할 때(도 2 참조)에 제3 수지 필름층(12C)이 찌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보다 충분한 용기(2)의 형상 유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수지 필름층(12C)도, 적층체(10)의 외표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및 슬립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적층체(10)의 외표면에 우수한 미끄럼성이 부여되고, 성형 깊이가 보다 깊은 성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성형시의 백화도 충분히 억제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을 구성하는 필름은, 다층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T다이캐스트 필름 성형 등의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전체 두께는 20∼8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핀 홀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두께를 8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수지 사용량이 저감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전체 두께는 30∼50㎛로 설정된다.
외측 수지 필름층이, 제2 수지 필름층(12A) 및 제1 수지 필름층(12B)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인 경우(도 1(a) 참조)에서 제2 수지 필름층(12A)의 두께와 제1 수지 필름층(12B)의 두께와의 비는 9 : 1∼4 : 6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지 필름층(12A)의 두께의 비가 9를 초과하면, 양층(12A, 12B)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저하되어 박리가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제2 수지 필름층(12A)의 두께의 비가 4 미만이면, 히트 실 시에 외측 수지 필름층이 찌부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측 수지 필름층이, 제2 수지 필름층(12A), 제1 수지 필름층(12B)및 제3 수지 필름층(12C)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인 경우(도 1(b) 참조)에서 제2 수지 필름층(12A)의 두께와 제1 수지 필름층(12B)의 두께와 제3 수지 필름층(12C)의 두께와의 비는 0.5 : 9 : 0.5∼3 : 4 : 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b)의 제1 수지 필름층(12B)을 구성하는 필름을 금속박층(11)을 구성하는 금속박에 적층하는 수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샌드위치 라미네이트법(산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 필름을 압출하고, 이것을 금속박과 상기 필름과의 사이에 샌드 라미네이트한 후, 열(熱)롤로 히트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인 경우,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14)을 통하여 행하여진다(도 1 참조). 접착제층(14)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의 박막화나 경량화의 관점에서 1∼3㎛로 설정된다.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내표면에는 그라비어 인쇄 등에 의해 인쇄층(15)이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쇄층(15)에 의해 성형 용기(2)의 외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난다. 인쇄층(15)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급감을 갖게 하는 의미에서는 바탕색을 노랑(금(金)) 등의 담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금속 광택이 있는 색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쇄층(15)에 대신하여 외측 수지 필름층(12)에 안료 등의 착색 성분을 첨가하여도 좋다.
내측 수지층(13)은, 성형 용기(2)의 내면(플랜지부(23)의 상면을 포함한다)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을 접합한 복합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그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과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을 접합한 복합 시트로 내측 수지층(13)을 구성에 함에 의해 포장체의 덮개를 개봉할 때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과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과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박리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개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측 수지층(13)을 구성하는 필름 또는 복합 시트의 두께는 100∼5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400㎛가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박층(11)을 구성하는 금속박과, 내측 수지층(13)을 구성하는 필름 또는 복합 시트와의 적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16)을 통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접착제층(16)으로는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층(16)의 두께는 1∼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10)의 박막화나 경량화의 관점에서 1∼3㎛로 설정된다. 또한, 내측 수지층(13)은, 상기 필름 또는 복합 시트에 대신하여 에폭시 수지나 셀락 수지 등의 코트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상기 적층체(10)로 성형된 성형 용기(2)와, 덮개(3)를 사용하여 식품 등의 내용물(C)을 밀봉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4)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서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한 적층체(10)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에 컷트하여 이것을 컵형상으로 성형한다. 적층체(10)의 성형은,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 성형 등의 냉간 성형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렇게 하여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성형 용기(2)가 얻어진다.
성형 용기(2)는 저벽(21)과, 저벽(21)의 주연부터 세워진 주벽(22)과, 주벽(22)의 상단연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늘어난 수평 환형상의 플랜지(23)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 용기(2)의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장원형, 개략 정방형, 개략 장방형 등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로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통형상의 것이나, 수직 통형상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성형 용기(2)의 깊이는 통상 15∼50㎜가 된다.
상기한 적층체(10)로부터 형성된 성형 용기(2)의 외표면부, 즉 외측 수지 필름층(12)에는 백화는 거의 보여지지 않는다. 이것은, 적층체(10)의 제2 수지 필름층(12A)의 수지 조성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성형시의 응력에 의해 올레핀계 수지상과 일래스토머 성분과의 계면이 박리하여 보이드(공극)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이다.
뒤이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 용기(2)에 식품 등의 내용물(C)을 충전한 후,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의 상면에 덮개(3)의 하면의 주연부를 히트 실(열융착)한다.
여기서 덮개(3)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층과,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수지(PE)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금속박층의 하면에 적층되어 있는 열융착성 수지 필름층과, 폴리에스테르 수지(PEs) 필름이나 폴리아미드 수지(PA)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금속박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덮개(3)에는 그 외주연의 일부에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보다도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개봉용 탭(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성형 용기(2)의 플랜지(23)에 덮개(3)를 히트 실(열융착)하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플랜지(23)의 상면에 덮개(3)의 하면 주연부를 맞겹치고, 이들 맞겹침 부분을 소정 온도(예를 들면 180℃ 정도)로 가열된 열판에 의해 소정 압력을 가하면서 소정 시간 가열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뒤이어, 상기 공정으로 얻어진 포장체(4)를 레토르트 살균 장치(5) 내에 도입하고, 레토르트 살균 처리를 행한다.
이 레토르트 살균 처리 공정은, 성형 용기(2)의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일부에 생긴 백화를 소실시키기 위한 가열 처리 공정을 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적층체(10)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제2 수지 필름층(12A)의 특유한 수지 조성에 의해 외측 수지 필름층(12)에 백화가 생기는 것이 억제되어 있지만, 만일, 외측 수지 필름층(12)의 일부, 특히, 성형에 의한 변형의 정도가 큰 저벽(21)과 주벽(22)과의 경계의 코너 부분 등에서 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와 올레핀계 일래스토머와의 계면에 생성된 보이드(공극)에 의해 약간의 백화가 생긴 경우라도, 이 가열 처리를 행함에 의해 백화를 완전히 소실시킬 수 있다.
이 공정에서의 포장체(4)의 가열 온도는 적층체(10)의 제2 수지 필름층(12A)의 수지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온도는 상기 수지의 연화점 이상이면서 융해점 미만의 온도로 한다. 가열 온도를 상기 수지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함으로써, 성형에 의한 적층체(10)의 변형이 완화되고, 보이드가 파묻히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온도를 상기 수지의 융해점 미만의 온도로 함으로써, 가열후도 성형 용기(2)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0∼180℃가 된다. 가열시간은, 5분∼3시간 정도가 된다.
또한, 가열 처리 공정은, 레토르트 살균 처리에 의하는 것 이외라도 물론 좋고, 예를 들면, 오븐에 의한 가열 처리나, 온수에의 침지 처리 등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 이외의 가열 처리인 경우, 포장체(4)가 되기 전의 공정에서 성형 용기(2)만를 가열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은, 레토르트 살균 처리 후의 포장체(4)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시한 포장체(4)는 성형에 의한 백화가 보여지지 않고, 전체의 외관이 양호한 성형 용기(2)를 구비한 것이고, 수요자에 대해 고급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실시례]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금속박층으로서 JIS H4160로 분류된 A8021H-O로 이루어지고, 양면에 폴리아크릴산, 3가크롬 화합물, 물 및 알코올으로 이루어지는 화성처리액을 도포하고, 180℃에서 건조를 행하여 편면당 크롬 부착량이 5㎎/㎡의 화성처리 피막을 형성하였다, 두께 120㎛의 알루미늄박을 준비하였다.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두께 30㎛의 3층 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준비하였다. 동 필름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R-PP, 융점 152℃, 144℃, 결정 융해 에너지 57J/g)로 이루어지는 두께 4㎛의 제1 수지 필름층과,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한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9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한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질량%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2㎛의 제2 수지 필름층과,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R-PP, 융점 152℃, 144℃, 결정 융해 에너지 57J/g)로 이루어지는 두께 4㎛의 제3 수지 필름층이이순서로 형성되도록, T다이성형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2 수지 필름층에는 에루카산아미드 2000ppm, 제1 수지 필름층 및 제3 수지 필름층에는 에루카산아미드 1000ppm 및 실리카 5000ppm을 각각 첨가하였다.
여기서 상기 각 수지의 융점(Tmp) 및 결정 융해 에너지(△H)는 하기한 측정 조건으로 측정된 것이다.
·승강온 스피드 : 23℃부터 210℃까지의 사이를 10℃/분의 승강온 속도
·샘플료(料) : 5㎎을 조량(調量)
·용기 : 알루미늄팬을 사용
·장치 : 시마즈제작소제 「DSC-60A」
다음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의 양면 중 금속박층측의 면의 전체에 그라비어 인쇄기를 이용하여 황색 잉크에 의한 무지(無地)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내측 수지층으로서 두께 300㎛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HDPE)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PP)의 복합 시트(층비 : 50㎛/250㎛)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인쇄층이 내측이 되도록,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함과 함께, 알루미늄박 외면에 상기 복합 시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측이 내측이 되도록,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양생함에 의해 실시례 1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례 2>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2로 하였다.
<실시례 3>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55℃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1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3으로 하였다.
<실시례 4>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36℃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4로 하였다.
<실시례 5>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8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2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5로 하였다.
<실시례 6>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7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3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6으로 하였다.
<실시례 7>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6℃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6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8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2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7로 하였다.
<실시례 8>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6℃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6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7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3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8로 하였다.
<실시례 9>
외측 수지 필름층으로서 두께 26㎛의 2층 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사용하였다. 동 필름은,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R-PP, 융점 152℃, 144℃, 결정 융해 에너지 57J/g)로 이루어지는 두께 4㎛의 제1 수지 필름층과,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한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2㎛의 제2 수지 필름층이 이 순서로 형성되도록, T다이 성형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9로 하였다.
<실시례 10>
제1 수지 필름층 및 제3 수지 필름층을 각각 호모 폴리프로필렌(H-PP, 융점 : 165℃, 결정 융해 에너지 63J/g)로 이루어지는 두께 4㎛의 것으로 하였다. 또한, 제1 수지 필름층 및 제3 수지 필름층에는 에루카산아미드 1000ppm 및 실리카 5000ppm을 각각 첨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외는 실시례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10으로 하였다.
<비교례 1>
제1 수지 필름층, 제2 수지 필름층 및 제3 수지 필름층으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B-PP1)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30㎛의 3층 구조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로 하였다.
<비교례 2>
제2 수지 필름층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 수지(B-PP1)를 첨가하지 않고,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0질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2로 하였다.
<비교례 3>
제2 수지 필름층을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 수지(B-PP2)를 첨가하지 않고,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질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3으로 하였다.
<비교례 4>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45℃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4로 하였다.
<비교례 5>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30℃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4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5로 하였다.
<비교례 6>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55℃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4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44℃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9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6으로 하였다.
<비교례 7>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2)로서 융점이 158℃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44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7로 하였다.
<비교례 8>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9질량%,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로서 융점이 40∼70℃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 1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8로 하였다.
<비교례 9>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90질량%,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로서 융점이 40∼70℃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 1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9로 하였다.
<비교례 10>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80질량%,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로서 융점이 40∼70℃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 2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0으로 하였다.
<비교례 11>
제2 수지 필름층의 수지 조성을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B-PP1)로서 융점이 163℃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8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70질량%, 올레핀계 일래스토머로서 융점이 40∼70℃이면서 결정 융해 에너지가 15J/g인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EPR) 30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례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1로 하였다.
[용기의 제작]
다음에 실시례 1∼10 및 비교례 1∼11의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각각 소정의 형상 및 사이즈로 컷트하여 블랭크를 제작하고, 각 블랭크의 양면에 미량의 실록산을 도포하여 두고 나서 웅형 및 암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주식회사 아마다제)을 이용하여 디프드로잉 가공함에 의해 플랜지를 갖는 환형 컵형상의 용기(낮은 지름 52㎜φ, 개구경 65㎜φ, 높이 30㎜, 플랜지폭 8㎜)를 제작하였다.
[덮개의 제작]
한편, JIS H4160로 분류된 A1N30H-O로 이루어지는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외측 수지층으로서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필름을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함과 함께, 알루미늄박 외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으로서 두께 3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필름을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양생함에 의해 덮개용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플랜지에 맞추어서 소요되는 형상 및 사이즈로 컷트함에 의해 개봉용 탭 부착의 덮개를 제작하였다.
[포장체의 제작]
상기한 각 용기에 70㎖의 물을 넣고 나서 용기의 플랜지 상면에 상기 덮개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CPP)면이 접하도록 겹치고, 이들의 중합면에 200℃로 가열한 도너츠형상의 열판(외경 90㎜φ, 내경 74㎜φ)을 150㎏f의 가압력으로 3초간 꽉누름에 의해 히트 실(열융착)을 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포장체를 얻었다.
[포장체의 외관의 검증]
얻어진 각 포장체의 용기를 육안으로 관찰함에 의해 그 외측 수지 필름층에 백화가 생기고 있는의 여부 및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찌부러짐이 생기고 있는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각 용기의 성형 재료인 적층체의 제2 수지 필름층의 조성과 함께, 이하의 표 1, 2에 표시한다.
또한, 표 1, 2의 「성형시의 백화」의 난에서 용기의 외측 수지 필름층에 백화가 인정되지 않든지 또는 백화가 거의 없었던 것을 「◎」, 백화가 적었던 것을 「○」, 백화가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에 생기고 있던 것을 「△」, 백화가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넓은 면적에 걸처서 현저하게 생기고 있던 것을 「×」로 하였다. 또한, 표 1, 2의 「플랜지의 찌부러짐」의 난에서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에 덮개의 히트 실에 수반하여 찌부러짐의 발생이 인정되지 않는 것을 「◎」, 찌부러짐이 거의 없었던 것을 「○」, 찌부러짐이 어느 정도 생기고 있던 것을 「△」, 찌부러짐이 현저하게 생기고 있던 것을 「×」로 하였다. 또한, 표 1, 2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R-PP」,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H-PP」,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B-PP1」,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B-PP2」,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를 「EPR」로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1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례 1∼10의 적층체는 성형시의 백화 현상이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례 1∼10인 경우, 덮개를 히트 실 한 후의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찌부러짐이 생기지 않았다.
한편,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례 1, 3 및 8∼11의 적층체는 성형 후의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넓은 면적에 걸처서 강한 백화 현상이 인정되었다.
비교례 2의 적층체는 덮개를 히트 실 한 후의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이 찌부러져 있고, 형상 유지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비교례 2의 적층체에서는 성형 후의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의 백화가 생기고 있다.
비교례 4의 적층체는 성형 후의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넓은 면적에 걸처서 강한 백화 현상이 인정되고, 또한, 덮개를 히트 실 한 후의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이 어느 정도 찌부러져 있다.
비교례 5, 7의 적층체에서는 덮개를 히트 실 한 후의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찌부러짐이 생기지 않았지만, 성형 후의 용기의 바닥의 R부에 둘레방향에 따라 줄무늬형상의 백화가 생기고 있다.
비교례 6의 적층체인 경우, 성형에 의한 백화는 개략 억제되어 있지만, 덮개를 히트 실 한 후의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이 어느 정도 찌부러져 있다.
이상의 검증 결과로 보아, 용기의 플랜지의 외측 수지 필름층의 찌부러짐에 관해서는 수지 성분의 융점 및 결정 융해 에너지의 쌍방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되고, 융점(B-PP1 및 B-PP2를 함유하는 경우는 높은 쪽의 융점)이 155℃ 이상이고,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B-PP1 및 B-PP2를 함유하는 경우는 양자의 결정 융해 에너지를 함유량비로 가중평균한 값)가 40J/g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0J/g 이상)인 경우에 찌부러짐이 생기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식품 등을 밀봉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외관이 양호한 성형 용기 및 그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해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2) : 성형 용기 (23) : 플랜지
(3) : 덮개 (4) : 포장체
(5) : 레토르트 살균 장치 (10) : 성형 용기용 적층체
(11) : 금속박층 (12) : 외측 수지 필름층
(12A) : 제2 수지 필름층 (12B) : 제1 수지 필름층
(12C) : 제3 수지 필름층 (15) : 인쇄층
(C) : 내용물

Claims (12)

  1.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2.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이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3. 금속박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양면 중 용기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되어 있는 외측 수지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로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이,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제1 수지 필름층과, 융점이 15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융점이 135℃ 이상이면서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가 30J/g 이하인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제2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각각 일래스토머 변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토머 변성 랜덤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일래스토머 변성체이고,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의 합계치가 5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1∼5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함유율이 49∼99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의 일래스토머 성분이, 각각, 에틸렌-프로필렌 일래스토머, 에틸렌-1-부텐 일래스토머,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일래스토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은, 상기 성형 용기용 적층체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층에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및 슬립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래스토머 변성 올레핀계 수지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 그래프에서 2개 이상의 결정화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은, 상기 제2 수지 필름층과, 상기 제2 수지 필름층과 상기 금속박층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수지 필름층과, 공중합 성분의 하나로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단체의 중합체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층에서의 상기 금속박층과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제3 수지 필름층을 적어도 갖고 있는 3층 이상의 복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층과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사이에 인쇄층이 형성되든지, 또는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에 착색 성분이 첨가됨에 의해 상기 외측 수지 필름층의 표면에 소정의 표시 또는 장식이 나타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용 적층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 용기용 적층체를 컵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개구 주연에 플랜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12. 내용물이 충전된 제11항에 기재된 성형 용기의 플랜지에 성형 용기의 개구를 덮도록 덮개가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190058722A 2018-05-25 2019-05-20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KR102519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0203 2018-05-25
JPJP-P-2018-100203 2018-05-25
JPJP-P-2019-085256 2019-04-26
JP2019085256A JP7324611B2 (ja) 2018-05-25 2019-04-26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483A true KR20190134483A (ko) 2019-12-04
KR102519756B1 KR102519756B1 (ko) 2023-04-10

Family

ID=6876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722A KR102519756B1 (ko) 2018-05-25 2019-05-20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324611B2 (ko)
KR (1) KR102519756B1 (ko)
CN (1) CN114683634A (ko)
TW (1) TWI81270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123A (ja) 1993-06-11 1994-12-20 Showa Alum Corp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JP2017068955A (ja) * 2015-09-29 2017-04-06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2017076509A (ja) * 2015-10-14 2017-04-2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外装材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277B2 (ja) * 1989-05-12 1994-06-22 チッソ株式会社 金属蒸着積層体
JP3842926B2 (ja) * 1998-07-21 2006-11-08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シート及び樹脂被覆金属板
TWI511351B (zh) * 2010-10-14 2015-12-01 Toppan Printing Co Ltd 鋰離子電池用外裝材料
KR101947841B1 (ko) * 2011-03-29 2019-02-13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포장재 및 전지용 케이스
TWI706030B (zh) * 2015-09-29 2020-10-01 日商昭和電工包裝股份有限公司 蓄電裝置之外裝材用密封薄膜、蓄電裝置用外裝材及蓄電裝置
JP6738171B2 (ja) * 2016-03-17 2020-08-12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6902021B2 (ja) * 2016-03-22 2021-07-14 株式会社クラレ 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969892B2 (ja) * 2016-08-17 2021-11-2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US10173813B2 (en) * 2016-09-29 2019-01-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pop-up spo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123A (ja) 1993-06-11 1994-12-20 Showa Alum Corp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JP2017068955A (ja) * 2015-09-29 2017-04-06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2017076509A (ja) * 2015-10-14 2017-04-2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外装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外装材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3349A (zh) 2020-01-16
TWI812707B (zh) 2023-08-21
JP2019206175A (ja) 2019-12-05
JP2023089041A (ja) 2023-06-27
KR102519756B1 (ko) 2023-04-10
CN114683634A (zh) 2022-07-01
JP7324611B2 (ja)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3645C (en) Composite material
MX2010009484A (es) Tapa de papel metalico recubierta por extrusion para empaquetado vesicular a presion.
JP4923590B2 (ja) イ−ジ−ピ−ルシ−ラント
JP6726525B2 (ja) 容器用積層シートおよび容器
JP7291494B2 (ja)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KR102519756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KR102500877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CN110524976B (zh) 成型容器用层叠体、成型容器及包装体
JP7250482B2 (ja)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ならびに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KR102547436B1 (ko) 성형 용기용 적층체, 성형 용기 및 포장체
JP2983715B2 (ja) 密封容器
WO2023127621A1 (ja) 成形容器
JP6388192B2 (ja) 深絞り成形用積層体および深絞り成形容器
JPS6149113B2 (ko)
JP2023090705A (ja) 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EP3960446A1 (en) A heat-sealable packaging sheet
TW202304782A (zh) 用於成形容器的積層體、成形容器及包裝體
WO2022043370A1 (en) A heat-sealable packaging sheet
JP2021102490A (ja) コップ状容器およびコップ状容器用積層体
JP2020104877A (ja) 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H0219277A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S59163146A (ja) 耐水性に優れた易開封性ヒ−トシ−ル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