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009A -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 Google Patents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009A
KR20190133009A KR1020197028603A KR20197028603A KR20190133009A KR 20190133009 A KR20190133009 A KR 20190133009A KR 1020197028603 A KR1020197028603 A KR 1020197028603A KR 20197028603 A KR20197028603 A KR 20197028603A KR 20190133009 A KR20190133009 A KR 2019013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element
diameter
less
film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키 요시다
이쿠오 무카이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감광성 엘리먼트는, 지지 필름과,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설치된 감광성 수지층을 구비한다. 지지 필름의 다른쪽면에 있어서, 파포흔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파포흔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Description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에 관한 것이다.
PC 및 텔레비전 등의 대형 전자 기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휴대 전화,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및 전자 사전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및 OA·FA기기 등의 표시 기기에는, 터치 패널(터치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기기 상에 배치되어, 표시 기기와 함께 사용된다.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면(센싱 영역)에 배치되어,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극은, 표시 기기에 의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ITO(Indium-Tin-Oxide) 등의 투명 도전 전극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위치의 검출 신호를 구동용 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금속 배선을 구비하고 있다. 금속 배선은, 센싱 영역의 주위 영역(액자 영역)에 배치되어, 일반적으로, 도전성이 높은 구리 등의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에서는, 터치 패널에 접촉하는 손가락 끝으로부터 수분 및 염분 등의 부식 성분이 터치 패널의 내부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금속 배선이 부식되어, 센싱 영역의 전극과 구동용 회로와의 사이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거나, 금속 배선이 단선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이 개시되어 있다. 이 보호막은, 감광성 수지층을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필요한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3~5에는, 지지 필름과, 지지 필름 상에 형성된 감광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감광성 엘리먼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감광성 엘리먼트에 의하면, 열압착에 의하여 감광성 수지층을 소정의 기재 상에 배치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0-2703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1-23258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7-253666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5-99647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11-133617호 공보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은, 액자 영역뿐만 아니라 센싱 영역에도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은, 센싱 영역에 배치된 전극과 동일하게, 표시 기기에 의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터치 패널의 용도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 단말 등으로 넓어지고 있다. 스마트 폰 및 태블릿 단말 등에 탑재되는 터치 패널에는, 종래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을 구성하는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제조 공정 등에서 결함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결함의 존재로 인한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는, 지지 필름과,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설치된 감광성 수지층과,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지지 필름의 반대면에 설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지지 필름의 다른쪽면에 있어서, 파포흔(破泡痕)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파포흔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지지 필름의 다른쪽면에 있어서의 파포흔은, 감광성 엘리먼트를 감광성 엘리먼트 롤의 형태로 보존했을 경우,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보호 필름이 설치된 면에 압흔(壓痕)을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압흔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한 보호막을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 적용하면, 보호막에 압흔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오목부가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파포흔이, 압흔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시인성에 영향을 주는 오목부를 보호막에 형성하는 확률은, 경험칙으로부터 1/5 정도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파포흔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의 수를 1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또한, 파포흔의 지름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오목부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적어도 지지 필름의 한쪽면의 결함에서 유래하는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포흔의 지름은, 파포흔의 장경(長徑)이어도 되고, 파포흔의 외접원의 직경이어도 된다.
또한, 파포흔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은, 수지를 포함하고, 파포흔은, 수지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수지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파포흔의 밀도 및 지름을 규정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전사흔의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은, 코어층과, 코어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가지고, 파포흔은, 스킨층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스킨층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파포흔의 밀도 및 지름을 규정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오목부의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엘리먼트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의 형성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있어서, 파포흔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또한, 파포흔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여도 된다.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있어서의 파포흔은, 해당 한쪽면 측에 설치된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전사흔의 요인이 된다. 그리고, 전사흔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를 사용한 보호막을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 적용하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전사흔이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한쪽면에 있어서의 파포흔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만일 한쪽면에 있어서의 파포흔의 전부가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전사흔을 형성했다 하더라도,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전사흔의 수를 1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즉, 이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 및 전사흔의 수를 모두 1개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또한, 한쪽면에 있어서의 파포흔의 지름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전사흔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오목부 및 전사흔의 시인성에 대한 영향을 모두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지지 필름의 한쪽면 및 다른쪽면의 양쪽 모두의 결함에서 유래하는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은, 상기 감광성 엘리먼트의 권회체(卷回體)를 구비하고,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지지 필름의 반대면에 있어서, 파포흔의 압압(押壓)에 의한 압흔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압흔의 지름은, 100μm 이상 1200μm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에서는, 상기 감광성 엘리먼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의 수가 1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 롤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흔의 지름은, 압흔의 장경이어도 되고, 압흔의 외접원의 직경이어도 된다.
또한, 압흔의 밀도는, 6개/0.25m2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에 의하면,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지지 필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4] 파포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파포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6] 도 5에 나타내는 파포흔의 단면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전사흔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9] 압흔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용어는,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그 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단정짓지 않는 이상,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해당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1)(도 2 참조)를 사용하여 형성된 보호막(200)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전극 구조체)(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100)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 끝(도전체)이 접촉했을 때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100)은, 투명 기판(기판)(101)을 구비하고 있다. 투명 기판(101)으로는,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용으로 사용되는, 유리판, 플라스틱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세라믹판 등의 기판을 들 수 있다. 투명 기판(101)은, 이들 기판과, 이들 기판의 표면에 설치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절연층 또는 광학 조정층(인덱스 매칭층)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광학 조정층은, 예를 들면, ZrO2, TiO2, SiO2 등의 금속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경화막이고, 투명 전극(103, 104)의 유무에 의한 광학 특성의 차이를 억제한다. 따라서, 광학 조정층에 의하면,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0)은, 센싱 영역(터치 입력면)(102)과, 복수의 투명 전극(103)과, 복수의 투명 전극(104)을 구비하고 있다. 센싱 영역(102)은, 정전 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영역이며, 투명 기판(101)의 한쪽면(101a) 측에 설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103, 104)은, 투명 기판(10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103)은, 센싱 영역(102)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103)은, 정전 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X위치 좌표로 하는 X전극이다. 투명 전극(104)은, 투명 전극(103)과 직교 하도록 센싱 영역(102)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104)은, 정전 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Y위치 좌표로 하는 Y전극이다. 투명 전극(103, 104)은, 예를 들면, ITO(Indium-Tin-Oxide) 등의 투명 도전 전극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쪽면(101a)에 절연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투명 전극(103, 104)은, 절연층 상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투명 전극(103, 104)을 터치 패널용 전극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100)은, 액자 영역(105)과, 복수의 금속 배선(106)과, 복수의 접속 전극(107)과, 복수의 접속 단자(108)를 구비하고 있다. 액자 영역(105)은, 투명 기판(101)의 한쪽면(101a) 측에 설치되어, 센싱 영역(102)의 주위를 둘러싸는 영역이다. 금속 배선(106)은, 액자 영역(105)에 배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으로부터의 터치 위치의 검출 신호를 외부의 구동용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 접속 전극(107)은, 투명 전극(103, 104)의 일단부 상에 설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과 금속 배선(106)을 접속하고 있다. 접속 단자(108)는, 액자 영역(105)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108)는, 금속 배선(106)의 접속 전극(107)과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구동용 회로에 접속된다. 금속 배선(106), 접속 전극(107) 및 접속 단자(108)는, 예를 들면, 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00)은, 터치 패널용 전극을 보호하는 보호막(200)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막(200)은, 후술하는 감광성 엘리먼트(1)의 감광성 수지층(20)(도 2 참조)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경화물막이다. 보호막(200)은, 적어도 센싱 영역(102)에 설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을 덮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막(200)은, 센싱 영역(102)의 전면에 설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 전체를 덮고 있다. 즉, 보호막(200)은, 투명 전극(103, 104) 상에 설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을 전체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보호막(200)은, 센싱 영역(102)의 일부에 설치되어, 투명 전극(103, 104)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어도 된다. 즉, 보호막(200)은, 투명 전극(103, 104)을 부분적으로 보호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호막(200)은, 센싱 영역(102)에 더하여, 액자 영역(105)에도 설치되어, 금속 배선(106), 접속 전극(107), 및 접속 단자(108)의 금속 배선(106) 측의 부분을 덮어, 이들을 보호하고 있다. 보호막(200)은, 투습성이 낮기 때문에, 금속 배선(106), 접속 전극(107), 및 접속 단자(108)를 구성하는 금속의 방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감광성 엘리먼트(1)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도 1 참조)의 형성에 사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성 엘리먼트(1)는, 지지 필름(10)과, 감광성 수지층(20)과, 보호 필름(3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필름(10)은, 감광성 엘리먼트(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쪽면(10a) 및 다른쪽면(10b)을 가지고 있다. 감광성 수지층(20)은, 감광성 엘리먼트(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쪽면(20a) 및 다른쪽면(20b)을 가지고 있다. 한쪽면(20a)은, 지지 필름(10)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반대면이다. 다른쪽면(20b)은, 한쪽면(10a)과 대향하는 대향면이다. 감광성 수지층(20)은, 다른쪽면(20b)을 한쪽면(10a)과 대향시킨 상태로, 한쪽면(10a)에 설치되어 있다.
보호 필름(30)은, 감광성 엘리먼트(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한쪽면(30a) 및 다른쪽면(30b)를 가지고 있다. 한쪽면(30a)은, 지지 필름(10)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쪽면(30b)은, 한쪽면(20a)과 대향하고 있다. 보호 필름(30)은, 다른쪽면(30b)을 한쪽면(20a)과 대향시킨 상태로, 한쪽면(20a)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필름>
지지 필름(10)으로는, 중합체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지지 필름(10)의 두께는, 피복성의 확보와, 지지 필름(10)을 통하여 후술하는 활성 광선을 조사할 때의 해상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5~1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40μ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35μ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 필름(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16μm로 할 수 있다.
도 3은, 지지 필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지지 필름(10)은, 코어층(11)과, 한 쌍의 스킨층(12, 12)을 가지고 있다. 코어층(11)은, 예를 들면,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코어층(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5~100μm이다. 스킨층(12)은, 코어층(11)의 표면을 덮도록, 코어층(11) 상에 설치되어, 지지 필름(10)의 최외층을 구성하고 있다. 스킨층(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3μm이다.
스킨층(12)은, 활재로 기능하는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면, 0.1~1.0μm이다.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예를 들면 0.5μm이다. 입자는, 스킨층(12) 중에 0.01~50질량% 함유되어 있다. 입자로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입자(응집 실리카 등), 탄산칼슘 입자, 알루미나 입자, 산화티탄 입자, 황산바륨 입자 등의 무기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아크릴 입자, 이미드 입자 등의 유기 입자, 각종 핵제로 중합시에 생성된 입자, 응집체, 및 이들 혼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스킨층(12)의 베이스가 되는 수지는, 예를 들면, 코어층(11)과 동일하다.
지지 필름(10)은, 예를 들면, 코어층(11), 및 한 쌍의 스킨층(12)을 동시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지지 필름(10)은, 4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코어층(11)과 스킨층(12)과의 사이에 다른 층을 가져도 되고, 2층으로 구성되어, 코어층(11)의 편면(片面)이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단층으로 구성되어, 코어층(11)의 양면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코어층(11)이 입자를 함유 해도 되지만,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점에서는, 입자를 함유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지지 필름(10)에서는, 형성(성막) 시에 있어서, 수지를 용해하여 압출하는 공정 중에서 수지의 유로에 미세한 기포가 생길 수 있다. 이 기포가, 성막 공정에 있어서 수지가 수열(受熱)했을 때에 열팽창하여, 필름 표면에 있어서 파열등에 의해,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 및 다른쪽면(10b)에 파포흔(13)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수지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파포흔(13)은, 특히, 스킨층(12)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이다.
도 4는, 파포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포흔(13)은, 예를 들면, 크레이터 형태를 보이고, 돌출부(14) 및 원형부(15)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4)는,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으로부터 원환상(円環狀)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돌출부(14)는, 연속하는 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도중에 끊어진 불연속 원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원형부(15)는, 돌출부(14)에 둘러싸인 원형상의 부분이다. 원형부(15)는 타원 형상, 또는 약원(略円)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원형부(15)는,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과 동일 평면이어도 되고,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으로부터 지지 필름(10)의 안쪽으로 패여 있어도 되고,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으로부터 지지 필름(1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파포흔(13)의 원형부(15)에, 하나 또는 복수의 파포흔(13)이 더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서로 겹쳐져 형성된 복수의 파포흔(13)을 모아서 하나의 파포흔(13)으로 취급한다. 한쪽면(10a) 및 다른쪽면(10b)에 있어서, 파포흔(13)의 지름은, 예를 들면,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파포흔(13)의 지름은, 예를 들면, 파포흔(13)의 장경(長徑) 또는 파포흔(13)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파포흔(13)의 장경은, 돌출부(14)의 정부(頂部)(14a)부터 정부(14a)까지의 최대 길이로 정의된다. 돌출부(14)가 연속하지 않는 경우, 파포흔(13)의 장경은, 연속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돌출부(14)의 정부(14a)부터 정부(14a)까지의 최대 길이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져 형성된 복수의 파포흔(13)을 모아서 하나의 파포흔(13)으로 취급하고 있는 경우, 복수의 파포흔(13) 중 가장 외측에 돌출부(14)를 가지는 파포흔(13)의 장경이 해당 하나의 파포흔(13)의 장경으로 취급된다. 파포흔(13)이 원형상인 경우, 파포흔(13)의 장경은 파포흔(13)의 직경이다. 파포흔(13)의 외접원은, 파포흔(13)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최소의 원(최소 포괄원)으로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져 형성된 복수의 파포흔(13)을 모아서 하나의 파포흔(13)으로 취급하고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파포흔(13) 모두를 완전하게 포함하는 최소의 원이 해당 하나의 파포흔(13)의 외접원으로서 취급된다.
도 5는, 파포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파포흔의 단면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포흔(13)으로, 예를 들면 지름 70μm, 돌출부(14)의 높이(파포흔(13)이 형성된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으로부터의 최대 높이)가 0.14μm, 원형부(15)의 패임의 깊이(파포흔(13)이 형성된 한쪽면(10a) 또는 다른쪽면(10b)으로부터의 최대 깊이)가 0.45μm인 것이 관측되었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은, 형상 측정 레이저 현미경(VK-X200, KEYENCE 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관찰되었다.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 파포흔(13)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0.25m2 이하이다. 다른쪽면(10b)에 있어서, 파포흔(13)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0.25m2 이하이다.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는,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보다도 적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는,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보다도 적지만,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는,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보다도 많아도 된다.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 및 지름은, 예를 들면, 광학 현미경 또는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한쪽면(10a)에 핀트를 맞추어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 및 지름은, 예를 들면, 광학 현미경 또는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다른쪽면(10b)에 핀트를 맞추어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지지 필름(10)의 형성시에 있어서, 수지를 용해하는 실린더 내의 진공도와 파포흔(13)의 밀도의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 이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실린더 내의 진공도(압력)를 제어함으로써 파포흔(13)의 밀도를 제어할 수 있다. 지지 필름(10)의 형성시에 있어서, 실린더 내를 감압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파포흔(13)의 밀도를 저감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를 6개/0.25m2 이하로 하는 경우, 실린더 내의 압력을, 예를 들면, 460mmHg 이하로 한 상태에서 수지의 용해를 실시하면 된다. 실린더 내의 압력은, 260mm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mmHg 이하이다. 실린더 내의 압력(진공도)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파포흔(13)의 밀도는,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쪽면(10b)에 있어서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개/0.25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개/0.25m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지지 필름(10)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쪽면(10a) 및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가 상이한 이유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지지 필름(10)은 실린더로부터 압출된 후, 회전하는 냉각 드럼에 밀착시켜 냉각 고화 된다. 이 때, 냉각 드럼에 당접하는 한쪽면(10a)에서는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어, 다른쪽면(10b)에 비해 파포흔(13)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고 추측된다.
<감광성 수지층>
감광성 수지층(20)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된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바인더 폴리머(이하, (A)성분이라고도 한다)와, 광중합성 화합물(이하, (B)성분이라고도 한다)와, 광중합 개시제(이하, (C)성분이라고도 한다)를 함유 한다.
(바인더 폴리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A)성분은, (a)(메타)아크릴산, 및 (b)(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부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및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실에틸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A)성분 및/또는 (B)성분과 공중합 할 수 있는 그 밖의 모노머를 구성 단위에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a)성분 및/또는 (b)성분과 공중합 할 수 있는 그 밖의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디에틸아미노에틸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벤질에스테르, 2, 2, 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2, 3, 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을 들 수 있다. (A)성분인 바인더 폴리머를 합성할 때, 상기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A)성분인 바인더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측정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산했을 경우)은, 보호막(200)을 형성했을 때의 해상도 및 방청성의 관점에서, 10,000~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1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00~15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0~10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000~100,000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A)성분인 바인더 폴리머의 산가는, 패턴성이 뛰어나는 점에서는, 75~200 mg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75~150 mg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120 mgKOH/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화합물)
(B)성분인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1 관능 비닐 모노머, 2 관능 비닐 모노머, 적어도 3개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다관능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분자 내에 하나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1 관능 비닐 모노머, 분자 내에 두 개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2 관능 비닐 모노머, 또는 분자 내에 적어도 세 개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다관능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하나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1 관능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A)성분의 적합한 예인 공중합체의 합성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예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두 개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2 관능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 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폴리프로폭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적어도 세 개의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다관능 비닐 모노머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배선(106)및 투명 전극(103, 104)의 부식 억제 및 현상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메틸올메탄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펜타에리트리톨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펜타에리트리톨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디글리세린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펜타에리트리톨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펜타에리트리톨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관하여,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유래의 골격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란, 디트리메틸올프로판과, (메타)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물을 의미하고, 해당 에스테르화물에는, 알킬렌옥시기로 변성된 화합물도 포함된다.
(A)성분 및 (B)성분의 함유량은,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A)성분이 35~8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40~8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7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65 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패턴 형성성 및 경화막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점에서는,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A)성분이, 3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5 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
본 실시 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C)성분인 광중합 개시제로,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또는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또는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필름(10) 상에, 두께가 10μm 이하인 박막이어도 충분한 해상도로 감광성 수지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도 뛰어난 감광성 수지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옥심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 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상품명:IRGACURE-OXE-01, BASF 사제),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바졸-3-일]에타논1-(O-아세틸옥심)(상품명:IRGACURE-OXE-02, BASF 사제),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상품명:Quantacure-PDO, 니폰카야쿠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서는, 형성되는 보호막의 투명성, 및 두께를 10μm 이하로 했을 때의 패턴 형성능에서,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LUCIRIN TPO, BASF사제)가 바람직하다.
(C)성분은,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타논-1,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파논-1 등의 방향족 케톤;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벤조인, 메틸벤조인, 에틸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질 유도체; 9-페닐아크리딘, 1, 7-비스(9, 9'-아크리딘일) 헵탄 등의 아크리딘 유도체; N-페닐글리신, N-페닐글리신 유도체; 쿠마린계 화합물; 옥사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C)성분인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의 함유량은, 광감도 및 해상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는,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400~700nm에 있어서의 투과율(가시광선 투과율)이 뛰어나다는 점에서는,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본 실시 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방청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커플링제 등의 밀착성 부여제, 레벨링제, 가소제, 충전제, 소포제, 난연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향료, 열가교제, 중합 금지제 등을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20질량부 정도 함유 시킬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광성 엘리먼트(1)의 감광성 수지층(20)과 같이, 필름 형태로 제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롤 투 롤 프로세스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고, 용제 건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등, 제조 공정의 단축 및 코스트 저감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의 감광성 수지층(20)은, 본 실시 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조제하여, 이것을 지지 필름(10) 상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포액은,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용매로서는, 각 성분의 용해성, 도막 형성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알코올, 글리콜에테르, 글리콜알킬에테르, 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용매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 코팅법, 메이어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스피너 코팅법, 잉크젯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딥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커텐 코팅법, 다이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건조 조건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건조 온도는, 60~1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은, 0.5~30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성 수지층(20)의 두께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으로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보호막(200)이 투명 전극(103, 104)을 부분적으로 보호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터치 패널(100)의 표면에 있어서의 단차(보호막(200)의 표면과 투명 기판(101)의 한쪽면(101a)과의 사이의 단차)를 극력 작게 하는 관점에서, 건조 후의 두께로 1μm 이상 9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μm 이상 8μm 이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감광성 수지층(20)이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경화막인 보호막(200)의 두께는,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20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액자 영역(105)에 배치된 금속 배선(106)의 방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 다른 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층으로서, 예를 들면, 굴절률 조정층, 쿠션층, 산소 차폐층, 박리층, 또는 접착층 등을 들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다른 층을 한층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감광성 엘리먼트(1)가 2층 이상의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해당 2층 이상의 다른 층의 종류는, 한종류여도 되고, 두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층(20)의 한쪽면(20a)(감광성 수지층(20)에 있어서의 지지 필름(10)과는 반대의 면) 상에, 산화티탄, 산화 지르코늄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굴절률 조정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시한 구성을 가질 때,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이 시인되는 현상(이른바 패턴시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의 적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예를 들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으로 할 수 있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30)의 두께는, 5~100μm정도가 바람직하지만, 롤 형상으로 감아 보관하는 관점에서, 7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μ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30)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μm로 할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 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은, 권심(301)과, 권심(301)에 감긴 감광성 엘리먼트(1)의 권회체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어떤 형태로 보존(저장)해도 되지만, 감광성 엘리먼트(1)가 롤 형상으로 권취(卷取) 되어 이루어지는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의 형태로 보존할 수 있다.
권심(301)은, 예를 들면 원통형을 나타내고 있다. 권심(301)의 재질로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지지 필름(10)이 가장 외측이 되도록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및 도 9를 참조하여, 전사흔(21) 및 압흔(25)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사흔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9는, 압흔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파포흔(13)이 형성된 경우, 감광성 수지층(20)의 다른쪽면(20b)(한쪽면(10a)의 대향면)에는,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이 전사된 전사흔(21)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층(20)에 전사흔(21)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1)를 사용하고, 감광성 수지층(20)의 한쪽면(20a)으로부터 보호 필름(30)(도 8(a) 참조)을 제거한 후, 한쪽면(20a)이 투명 기판(101)과 접하도록, 투명 기판(101)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을 설치한다. 이 때, 감광성 수지층(20)의 다른쪽면(20b)에는, 지지 필름(10)이 설치된 상태이다. 지지 필름(10)은, 투명 기판(101)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이 설치된 후, 제거된다. 감광성 수지층(20)으로부터 얻어지는 보호막(200)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101)과는 반대의 면에는, 전사흔(21) 또는 전사흔(21)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이 형성된다. 전사흔(21)은, 파포흔(13)이 반전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전사흔(21)은, 다른쪽면(20b)으로부터 투명 기판(101) 측으로 패인 원환상의 오목부(凹部)(22)와, 오목부(22)에 둘러싸인 원형상의 원형부(23)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22)는, 연속한 원환상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도중에 끊어진 불연속한 원환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오목부(22)는 약원 환상, 또는 타원 환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원형부(23)는, 다른쪽면(20b)과 동일 평면이어도 된다. 원형부(23)는, 다른쪽면(20b)으로부터 투명 기판(101)의 반대 측에 돌출되고, 원형상의 볼록부(凸部)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원형부(23)는, 다른쪽면(20b)으로부터 투명 기판(101) 측에 패여, 원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원형부(23)는 약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b)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를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의 형태로 보존한 경우,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층(20)의 한쪽면(20a)에 있어서, 지지 필름(10)의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이, 보호 필름(30)을 통하여 압압됨으로써, 한쪽면(20a)으로부터 원형상으로 패인 압흔(25)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압흔(25)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감광성 수지층(2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때문에, 압흔(25)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1)를 사용하고, 감광성 수지층(20)의 한쪽면(20a)으로부터 보호 필름(30)을 제거한 후, 한쪽면(20a)이 투명 기판(101)과 접하도록, 투명 기판(101)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을 설치한다. 이 때, 감광성 수지층(20)의 다른쪽면(20b)에는, 지지 필름(10)이 설치된 상태이다. 지지 필름(10)은, 투명 기판(101)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이 설치된 후, 제거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성 수지층(20)에 있어서 압흔(25)이 형성된 부분에, 압흔(25)에 대응하여 다른쪽면(20b)으로부터 투명 기판(101) 측에 패인 원형상의 오목부(26)가 형성된다. 오목부(26)는 약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여, 감광성 수지층(20)으로부터 얻어지는 보호막(200)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101)과는 반대의 면에는, 오목부(26) 혹은 오목부(26)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이 형성된다. 또한, 도 9(b)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전사흔(21)의 수는,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감광성 수지층(20)의 다른쪽면(20b)에 있어서의 전사흔(21)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0.25m2 이하이다. 또한, 전사흔(21)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필름(10)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 감광성 엘리먼트(1)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수지층(20)을 지지 필름(10) 상에 설치할 때의 조건(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의 점도 등)에 따라서는, 전사흔(21)의 수는,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보다도 적게 된다. 오목부(22)의 수는, 전사흔(21)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보호막(200)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101)과는 반대의 면에 있어서, 오목부(22)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0.25m2 이하이다. 또한, 오목부(22)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필름(10)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 감광성 엘리먼트(1)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흔(25)의 수는,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 이하이다. 압흔(25)의 수는, 예를 들면, 보호 필름(30)이 두꺼워질수록 적어지고,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위치가 권심(301)에 가까워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생각할 수 있다. 한쪽면(20a)에 있어서, 파포흔(13)의 압압에 의한 압흔(25)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0.25m2 이하이다. 또한, 압흔(25)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개/0.25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개/0.25m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필름(10)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 감광성 엘리먼트(1)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파포흔(13)의 돌출부(14)의 높이에는, 편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파포흔(13)의 압압(押壓)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흔(25)의 깊이(한쪽면(20a)으로부터의 깊이)에도 편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돌출부(14)가 낮은 파포흔(13)의 경우, 형성되는 압흔(25)이 얕아진다. 감광성 엘리먼트(1)의 감광성 수지층(20)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면(101a)에 전사 되는 경우, 얕은 압흔(25)은, 전사시의 압력으로 주위의 감광성 수지층(20)이 유동함으로써 묻히고, 축소화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오목부(26)는, 얕은 압흔(25)에서는 형성되기 어렵다. 즉, 얕은 압흔(25)의 경우, 오목부(26)가 보호막(200)에 형성되기 어려워지므로,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파포흔(13)이, 압흔(25)을 지나, 최종적으로 시인성에 영향을 주는 오목부(26)를 보호막(200)에 형성할 확률은, 경험칙으로부터 1/5 정도이다. 즉,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수에 대한 보호막(200)에 있어서의 오목부(26)의 수의 비율은, 경험칙으로부터 1/5 정도이다. 따라서, 보호막(200)에 있어서의 투명 기판(101)과는 반대의 면에 있어서, 오목부(26)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4개/0.25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0.25m2 이하이다. 또한, 오목부(26)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필름(10)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 감광성 엘리먼트(1)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는, 다른쪽면(10b)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보다도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전사흔(21)의 밀도는, 압흔(25)의 밀도보다도 적다. 전사흔(21)의 수 및 지름은, 파포흔(13)의 수 및 지름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레이저 현미경 관찰 또는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압흔(25)의 수 및 지름은, 파포흔(13)의 수 및 지름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레이저 현미경 관찰 또는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전사흔(21)의 지름은, 예를 들면,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전사흔(21)의 지름은, 예를 들면, 전사흔(21)의 장경 또는 전사흔(21)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전사흔(21)의 장경은, 오목부(22)의 저부에서 저부까지의 최대 길이로 정의된다. 전사흔(21)의 외접원은, 전사흔(21)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최소의 원(최소 포괄원)으로서 정의된다. 오목부(22)의 장경은, 전사흔(21)의 장경과 동일하다. 즉, 오목부(22)의 장경은, 오목부(22)의 저부에서 저부까지의 최대 길이로서 정의되고, 예를 들면,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압흔(25)의 지름은, 예를 들면, 100μm 이상 1200μm 이하이다. 압흔(25)의 지름은, 예를 들면, 압흔(25)의 장경 또는 압흔(25)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압흔(25)의 장경은, 원형상의 패인 곳의 가장자리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최대 길이로 정의된다. 압흔(25)의 외접원은, 압흔(25)을 완전하게 포함하는 최소의 원(최소 포괄원)으로 정의된다. 오목부(26)의 지름은, 예를 들면, 100μm 이상 1200μm 이하이다. 오목부(26)의 지름은, 예를 들면, 오목부(26)의 장경 또는 오목부(26)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오목부(26)의 장경은, 원형상의 패인 곳의 가장자리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최대 길이로 정의된다. 오목부(26)의 외접원은, 오목부(26)를 완전하게 포함하는 최소의 원(최소 포괄원)으로 정의된다.
국제 공개 제2012/050072호에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필름 표면의 산처리에 의하여 필름 표면 부근의 활재 입자가 용해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크레이터를 가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크레이터는 활재 입자에 기인함으로써, 직경 10~500nm이다. 따라서, 만일 이 폴리이미드 필름을 지지 필름으로 하는 감광성 엘리먼트가, 터치 패널의 보호막의 형성에 사용되었다고 해도, 크레이터에 기인하는 보호막의 표면 결함은, 화상의 시인성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파포흔(13)은 지름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며, 파포흔에 기인하는 보호막의 표면 결함은, 화상의 시인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터치 패널의 보호막의 형성 방법]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감광성 엘리먼트(1)를 사용하여, 보호막(200)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호막(200)의 형성 방법은, 예를 들면, 투명 기판(101)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을 설치하는 제1 공정과,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감광성 수지층(20)을 노광하는 제2 공정과, 노광 후의 감광성 수지층(20)을 현상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막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200)을 형성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우선, 투명 기판(101)의 한쪽면(101a) 상에, 투명 전극(103, 104)을 순서대로 형성한다. 투명 전극(103) 및 투명 전극(104)은, 예를 들면, 한쪽면(101a) 상에 형성된 투명 전극 층을 에칭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 기판(101)의 한쪽면(101a)에, 금속 배선(106), 접속 전극(107) 및 접속 단자(108)를 형성한다. 금속 배선(106), 접속 전극(107) 및 접속 단자(108)는, 투명 전극(103, 104)의 형성 후에 형성해도 되고, 투명 전극(103, 104)의 형성시에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금속 배선(106)은, 예를 들면, 플레이크상의 은을 함유하는 도전 페이스트 재료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접속 전극(107)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감광성 엘리먼트(1)를 준비한다. 감광성 엘리먼트(1)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감광성 수지층(20)을 구비한다.
이어서, 감광성 엘리먼트(1)의 보호 필름(30)을 제거한 후, 지지 필름(10) 및 감광성 수지층(20)을 가열하면서, 한쪽면(101a) 상에 설치된 터치 패널용 전극을 덮도록, 감광성 수지층(20)을 압착하여, 한쪽면(101a) 및 터치 패널용 전극 상에 감광성 수지층(20)을 적층한다.
압착 수단으로서는, 압착 롤을 들 수 있다. 압착 롤은, 가열 압착할 수 있도록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가열 압착하는 경우의 가열 온도는, 감광성 수지층(20)과 투명 기판(101)과의 밀착성, 및, 감광성 수지층(20)과 터치 패널용 전극과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감광성 수지층(20)의 구성 성분이 열경화 혹은 열분해 되기 어렵도록, 10~1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16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15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압착시의 압착 압력은, 감광성 수지층(20)과 투명 기판(101)과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투명 기판(101)의 변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선압으로 50~1×105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102~5×104N/m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2~4×104N/m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지 필름(10) 및 감광성 수지층(20)을 상기와 같이 가열하면, 투명 기판(101)을 예열 처리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지만, 감광성 수지층(20)과 투명 기판(101)과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점에서, 투명 기판(101)을 예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예열 온도는, 30~1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공정에서는, 감광성 수지층(20)의 소정 부분에,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을 포함하는 활성 광선을 패턴 형태로 조사한다.
활성 광선을 조사할 때, 감광성 수지층(20) 상의 지지 필름(10)으로 투명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광성 수지층(20) 상에 지지 필름(10)을 잔존시킨 채로, 지지 필름(10)을 통하여 활성 광선을 조사한 후, 지지 필름(10)을 감광성 수지층(20)으로부터 박리한다. 감광성 수지층(20)을 보호하는 점에서는, 지지 필름(10)으로 투명한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필름(10)으로 불투명한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 필름(10)을 감광성 수지층(20)으로부터 박리한 후, 감광성 수지층(20)에 활성 광선을 조사한다. 지지 필름(10)의 박리는, 손으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어떤 지그(Jig),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활성 광선의 광원으로는, 공지의 활성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아크등,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을 유효하게 방사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활성 광선의 조사량은, 통상, 1×102~1×104J/m2이며, 조사 시에, 가열을 수반할 수도 있다. 활성 광선의 조사량이, 1×102J/m2미만에서는, 광경화의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1×104J/m2를 넘으면, 감광성 수지층(20)이 변색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제3 공정에서는, 활성 광선의 조사 후의 감광성 수지층(20)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활성 광선이 조사되어 있지 않은 부분(즉, 감광성 수지층(20)의 소정 부분 이외)을 제거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막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0μm 이하의 보호막(200)을 형성한다. 보호막(200)은 소정의 패턴을 가지고, 터치 패널용 전극을 피복한다. 이에 의하여, 보호막(200)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100)을 얻을 수 있다.
현상 방법으로서는, 알칼리 수용액, 수계 현상액, 유기용제 등 공지의 현상액을 사용하고, 스프레이, 샤워, 요동 침지, 브러싱, 스크랩핑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현상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 안전성의 관점에서 알칼리 수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보호막(200)의 형성 방법은, 현상 후의 감광성 수지층(20)에 활성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막 패턴을 더욱 경화하여 보호막(200)으로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감광성 엘리먼트(1)에서는,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가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파포흔(13)의 지름이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은, 감광성 엘리먼트(1)를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의 형태로 보존했을 경우, 감광성 수지층(20)에 있어서의 압흔(25)을 형성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압흔(25)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1)를 사용한 보호막을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에 적용하면, 보호막(200)에 압흔(25)에 대응하는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오목부(26)가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포흔(13)이, 압흔(25)을 거쳐, 최종적으로 시인성에 영향을 주는 오목부(26)를 보호막(200)에 형성할 확률은, 경험칙으로부터 1/5 정도이다. 따라서, 감광성 엘리먼트(1)에서는, 파포흔(13)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26)의 수를 1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또한, 파포흔(13)의 지름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오목부(26)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1)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에의 적용시에, 적어도 지지 필름(10)의 다른쪽면(10b)의 결함에서 유래하는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파포흔(13)은, 스킨층(12)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이다. 따라서, 스킨층(12)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파포흔(13)의 밀도 및 지름을 규정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오목부(26)의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엘리먼트(1)는, 보호 필름(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호 필름(30)에 의하여 감광성 수지층(20)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감광성 수지층(20)에 흠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한층 확실하게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또한, 파포흔(13)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은, 감광성 수지층(20)에 있어서의 전사흔(21)의 요인이 된다. 그리고, 전사흔(21)이 형성된 감광성 엘리먼트(1)를 사용한 보호막을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에 적용하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전사흔(21)이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감광성 엘리먼트(1)에서는,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만일 모든 파포흔(13)이 감광성 수지층(20)에 있어서의 전사흔(21)을 형성했다 하더라도,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전사흔(21)의 수를 1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즉, 이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에서는,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26) 및 전사흔(21)의 수를 모두 1개 미만으로 억제하기 용이하다. 또한, 한쪽면(10a)에 있어서의 파포흔(13)의 지름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시인성에 대한 전사흔(21)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에서는, 오목부(26) 및 전사흔(21)의 시인성에 대한 영향을 모두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에의 적용시에, 지지 필름(10)의 한쪽면(10a) 및 다른쪽면(10b)의 양쪽 모두의 결함에서 유래하는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은, 감광성 엘리먼트(1)의 권회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존하는 대표적인 사이즈의 표시 장치당 오목부(26)의 수가 1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감광성 엘리먼트 롤(300)에서는,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200)에의 적용시에, 화상의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인더 폴리머 용액(A1)의 제작]
교반기, 환류 냉각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온도계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표 1에 나타내는 (1)을 넣고,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80℃로 승온하여, 반응 온도를 80℃±2℃로 유지하면서, 표 1에 나타내는 (2)를 4시간 걸쳐 균일하게 적하했다. (2)의 적하 후, 80℃±2℃에서 6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65,000, 산가가 78mgKOH/g인 바인더 폴리머 용액(고형분 45질량%)(A1)를 얻었다.
배합량(질량부)
(A1)
(1)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62
톨루엔 62
(2) 메타크릴산 12
메타크릴산메틸 58
아크릴산에틸 30
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5
중량평균분자량 65,000
수산기가(mgKOH/g) 2
산가(mgKOH/g) 78
Tg(℃) 60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하여 측정된 값을,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이용하여 환산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도출했다. GPC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GPC 조건>
펌프:L-6000(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제, 제품명)
컬럼:Gelpack GL-R420, Gelpack GL-R430, Gelpack GL-R440(이상, 히타치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용리액:테트라히드로푸란
측정 온도:40℃
유량:2.05mL/분
검출기:L-3300(RI검출기,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제, 제품명)
[산가의 측정 방법]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JIS K0070에 근거한 중화 적정법에 의하여, 산가를 측정했다. 우선, 바인더 폴리머 용액을 130℃에서 1시간 가열하여, 휘발분을 제거함으로써 고형분을 얻었다. 다음으로, 상기 고형분의 바인더 폴리머 1g을 정칭(精秤)한 후, 이 바인더 폴리머에 아세톤을 30g첨가하여, 이것을 균일하게 용해함으로써, 수지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지시약인 페놀프탈레인을 그 수지 용액에 적량 첨가하고, 0.1mol/L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 적정을 실시했다. 그리고, 다음식에 의하여 산가를 산출했다.
산가=0.1×VХf1×56.1/(Wp×I/100)
상기 식 중, V는 적정에 사용한 0.1mol/L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의 적정량(mL), f1는 0.1mol/L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의 팩터(농도 환산 계수), Wp는 측정한 수지 용액의 질량(g), I는 측정한 상기 수지 용액 중의 불휘발 분의 비율(질량%)을 나타낸다.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의 제작]
표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교반기에 의하여 15분간 혼합하여,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제했다. 표 2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부이다.
성분 배합량
(질량부)
(A)성분 A1 60
(B)성분 T-1420(T) 40
(C)성분 IRGACURE OXE 01 1.7
그 밖의 HAT 0.4
PM-21 0.5
Antage W-500 0.1
SH-30 0.07
용제 메틸에틸케톤 50
표 2 중의 성분 기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A)성분
A1:모노머 배합비(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틸/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12/58/30/1.5(질량비))인 공중합체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톨루엔 용액, 중량 평균 분자량 65,000, 산가 78mgKOH/g, 수산기가 2mgKOH/g, 유리 전이 온도 60℃
·(B)성분
T-1420(T):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니폰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C)성분
IRGACURE OXE 01:1, 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 2-(O-벤조일옥심)](BASF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그 밖의 성분
HAT:5-아미노-1H-테트라졸(토요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PM-21:에틸렌성 불포화기를 포함한 인산에스테르(니폰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Antage W-500(AW-500):2, 2'-메틸렌비스(4-에틸-6-tert-부틸페놀)(카와구치카야쿠 가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SH-30: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토레·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감광성 엘리먼트의 제작]
(실시예 1)
두께 16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지지 필름으로서 형성한 후, 상기에서 제작한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지지 필름 상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했다. 이어서, 100℃의 열풍 대류식 건조기로 3분간 건조해 용제를 제거하여, 두께 8μm인 감광성 수지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감광성 수지층 위에, 더욱, 두께 30μm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오지에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E-201 F)을, 보호 필름으로 맞붙여, 감광성 엘리먼트를 제작했다. 그 후, 지지 필름이 가장 외측에 배치되도록, 감광성 엘리먼트를 원통형의 권심(폭 500mm, 외경 84mm, 내경76mm)에 롤 형상으로 90n/m의 장력으로 권취하여, 감광성 엘리먼트 롤을 제작했다.
(실시예 2~4)
지지 필름을 형성할 때의 진공도를 변경하여, 파포흔의 밀도가 상이한 지지 필름을 형성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성 엘리먼트를 제작한 후, 감광성 엘리먼트 롤을 제작했다.
<감광성 엘리먼트의 평가>
제작한 각 실시 예의 감광성 엘리먼트 롤로부터, 사방 0.5m인 감광성 엘리먼트의 시료편을 잘라 냈다. 이어서, 시료편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 한 후, 지지 필름이 아래쪽을 향함과 동시에, 감광성 수지층이 윗쪽을 향하도록, 시료편을 시료대에 배치했다. 다음으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지지 필름의 한쪽면, 및 다른쪽면에 핀트를 맞추어, 각각의 면에 있어서의 지름이 40μm 이상 100μm 이하인 파포흔의 수를 측정하여, 밀도(개/0.25m2)로 환산했다. 한쪽면 및 다른쪽면에 있어서의 지름 40μm 이상 100μm 이하의 파포흔의 밀도(개/0.25m2)를 표 3에 나타낸다.
한쪽면 다른쪽면
실시예1 0 14
실시예2 1 17
실시예3 3 24
실시예4 5 3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있어서의 지름 40μm 이상 100μm 이하의 파포흔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지지 필름의 다른쪽면에 있어서의 지름 40μm 이상 100μm 이하의 파포흔의 밀도는, 30/0.25m2 이하이다. 따라서, 각 실시 예의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에 의하면,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에의 적용시에,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감광성 엘리먼트, 10…지지 필름, 10a…한쪽면, 10b…다른쪽면, 11…코어층, 12…스킨층, 13…파포흔, 14…돌출부, 15…원형부, 20…감광성 수지층, 20a…한쪽면, 20b…다른쪽면, 21…전사흔, 22…오목부, 23…원형부, 25…압흔, 26…오목부, 30…보호 필름, 100…터치 패널(전극 구조체), 101…투명 기판(기판), 103, 104…투명 전극(터치 패널용 전극), 200…보호막, 300…감광성 엘리먼트 롤.

Claims (12)

  1. 지지 필름과,
    상기 지지 필름의 한쪽면에 설치된 감광성 수지층과,
    상기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필름의 반대면에 설치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필름의 다른쪽 면에 있어서, 파포흔(破泡痕)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파포흔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인, 감광성 엘리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포흔의 지름은, 상기 파포흔의 장경인, 감광성 엘리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포흔의 지름은, 상기 파포흔의 외접원의 직경인, 감광성 엘리먼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흔의 밀도는, 1개/0.25m2 이상인, 감광성 엘리먼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파포흔은, 상기 수지 중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인, 감광성 엘리먼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은,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가지고,
    상기 파포흔은, 상기 스킨층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흔적인, 감광성 엘리먼트.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용 전극의 보호막의 형성에 사용되는, 감광성 엘리먼트.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면에 있어서, 상기 수지 중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파포흔의 밀도는, 6개/0.25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파포흔의 지름은, 40μm 이상 100μm 이하인, 감광성 엘리먼트.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광성 엘리먼트의 권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성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필름의 반대면에 있어서, 상기 파포흔의 압압에 의한 압흔의 밀도는, 30개/0.25m2 이하이며, 또한, 상기 압흔의 지름은, 100μm 이상 1200μm 이하인, 감광성 엘리먼트 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흔의 지름은, 상기 압흔의 장경인, 감광성 엘리먼트 롤.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흔의 지름은, 상기 압흔의 외접원의 직경인, 감광성 엘리먼트 롤.
  12. 청구항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흔의 밀도는, 6개/0.25m2 이상인, 감광성 엘리먼트 롤.

KR1020197028603A 2017-03-31 2018-03-26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KR20190133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698 WO2018179370A1 (ja) 2017-03-31 2017-03-31 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ロール
JPPCT/JP2017/013698 2017-03-31
PCT/JP2018/012196 WO2018181209A1 (ja) 2017-03-31 2018-03-26 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ロ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009A true KR20190133009A (ko) 2019-11-29

Family

ID=6175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03A KR20190133009A (ko) 2017-03-31 2018-03-26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99940B1 (ko)
KR (1) KR20190133009A (ko)
CN (1) CN110462518A (ko)
WO (2) WO2018179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2651A1 (ja) * 2018-07-13 2020-01-16 日立化成株式会社 センシングデバイス用感光性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センシングデバイス用感光性フィルムロ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666A (ja) 1994-03-16 1995-10-03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H11133617A (ja) 1997-10-28 1999-05-21 Hitachi Chem Co Ltd ケミカルミーリング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2005099647A (ja) 2003-08-25 2005-04-14 Hitachi Chem Co Ltd 永久レジス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永久レジスト用感光性フィルム、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0027033A (ja) 2008-06-19 2010-02-04 Jsr Corp タッチパネルの保護膜形成用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とその形成方法
JP2011232584A (ja) 2010-04-28 2011-11-1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絶縁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4716A (ja) * 1986-06-04 1987-12-10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の成形方法
JPH11147246A (ja) * 1997-11-17 1999-06-02 Sekisui Chem Co Ltd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3788429B2 (ja) * 1999-03-18 2006-06-2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法、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法
JP3406544B2 (ja) * 1999-03-18 2003-05-1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これを用いた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法、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法及び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法
JP4178506B2 (ja) * 2002-09-30 2008-11-1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反射下地感光性エレメント
JP2004191877A (ja) * 2002-12-13 2004-07-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フレキソ印刷用感光性構成体
JP4323185B2 (ja) * 2003-02-27 2009-09-02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印刷版用円筒状クッション構成体
JP2006106287A (ja) * 2004-10-04 2006-04-20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2006154622A (ja) * 2004-12-01 2006-06-15 Fuji Photo Film Co Ltd パターン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EP2867019B1 (en) * 2012-06-29 2023-01-1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Pampus GmbH Slide bearing comprising a primer system as adhesion promoter
KR20160002887A (ko) * 2013-04-24 2016-01-08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감광성 엘리먼트, 감광성 엘리먼트 롤, 레지스트 패턴의 제조방법 및 전자부품
JP2015172674A (ja) * 2014-03-12 2015-10-01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硬化膜付き透明基板の製造方法及び硬化膜付き透明基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666A (ja) 1994-03-16 1995-10-03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H11133617A (ja) 1997-10-28 1999-05-21 Hitachi Chem Co Ltd ケミカルミーリング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フィルム
JP2005099647A (ja) 2003-08-25 2005-04-14 Hitachi Chem Co Ltd 永久レジス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永久レジスト用感光性フィルム、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0027033A (ja) 2008-06-19 2010-02-04 Jsr Corp タッチパネルの保護膜形成用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とその形成方法
JP2011232584A (ja) 2010-04-28 2011-11-17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絶縁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9940B1 (ja) 2018-03-28
JPWO2018179370A1 (ja) 2019-04-04
WO2018181209A1 (ja) 2018-10-04
CN110462518A (zh) 2019-11-15
WO2018179370A1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6094B2 (ja) タッチパネル
JP6504015B2 (ja) 金属繊維の劣化抑制方法、膜、及び膜の製造方法
JP2013200577A (ja) 樹脂硬化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樹脂硬化膜
JP2015108881A (ja) 硬化膜付きタッチパネル用基材の製造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5014783A (ja) 硬化膜付き透明基材の製造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電子部品
JP6551277B2 (ja) 硬化膜付きタッチパネル用基材の製造方法、それに用いる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90133009A (ko) 감광성 엘리먼트 및 감광성 엘리먼트 롤
KR20190133008A (ko) 감광성 엘리먼트
US10717893B2 (en) Photosensitive film, photosensitive element, cured product and touch panel
JP2015146038A (ja) 樹脂硬化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樹脂硬化膜
WO2019207648A1 (ja) 感光性樹脂組成物、転写型感光性フィルム、硬化膜付き基材及びセンシングデバイス
JP2019194709A (ja) 硬化膜付きタッチパネル用基材の製造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8173774A (ja) 電極構造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8173773A (ja) 電極構造体及びタッチパネル
WO2021065288A1 (ja)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
WO2021065322A1 (ja) 転写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タッチパネル
JP5790783B2 (ja) 樹脂硬化膜パターンの形成方法、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樹脂硬化膜
WO2018138879A1 (ja) 感光性導電フィルム、導電パターンの形成方法、導電パターン基材の製造方法、導電パターン基材、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2019046499A (ja) 硬化膜付きタッチパネル用基材の製造方法、それに用いる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8169716A (ja) タッチパネル電極の保護膜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9191491A (ja) 感光性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用電極の保護膜形成用感光性フィルムロ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