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029A -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029A
KR20190128029A KR1020180052090A KR20180052090A KR20190128029A KR 20190128029 A KR20190128029 A KR 20190128029A KR 1020180052090 A KR1020180052090 A KR 1020180052090A KR 20180052090 A KR20180052090 A KR 20180052090A KR 20190128029 A KR20190128029 A KR 20190128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flange
forming ring
flange forming
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석
Original Assignee
조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석 filed Critical 조경석
Priority to KR102018005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029A/ko
Publication of KR2019012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솥바디(10)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상기 냉각된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솥바디(10)는 상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는 삽입링부(22)에 걸림턱(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링부(22)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 플랜지(24)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24)에 상기 걸림턱(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Cooking receptacle manufactuing method of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밥솥에서 몸체부인 솥바디에 걸림 플랜지 부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력 밥솥은 식품을 밀폐해서 식품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내압을 높여서 비등점을 상승시켜서 가열시간을 단축하는 조리기로서, 식품, 예컨대 밥의 취반시 용기를 가열하면서 용기 내부의 압력 및 온도를 상승시켜 용기 내부에 채워진 밥을 익히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열의 공급을 줄이거나 차단하여 뜸들이는 과정을 거쳐서 취사를 완료한다 이러한 압력 밥솥은 취사 목적뿐만이 아니라 찜 요리와 같은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종래 압력밥솥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99477호의 "압력 쿠커의 압력해제 밸브를 위한 안전캡과 이를 사용하는 압력 쿠커"로서, 뚜껑 내측에 형성된 링 형상의 리지에 통기가 가능한 구조의 안전캡을 고정시킴으로써 하부에 압력흡입홀을 가지는 압력해제밸브를 커버한다.
이때, 압력밥솥에서 조리할 음식물을 담는 용기는 외주면에 뚜껑 안전록킹장치를 걸어주기 위한 걸림 플랜지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용기 외주면의 걸림 플랜지에 뚜껑 안전록킹장치가 걸려서 압력 취사시 뚜껑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압력밥솥의 용기에 걸림 플랜지를 만드는 공정이 매우 어렵다는데에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용기를 구성하기 위한 솥바디의 외주면에 걸림 플랜지를 만들기 위한 포밍링체를 끼우고 나서 솥바디를 확경시키는 작업을 포밍 몰드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거나 주물로 솥바디와 걸림 플랜지를 만들어야 하는 관계로 용기에 걸림턱을 만드는 공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6639호(2005년12월07일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6332호(2013년04월03일 등록)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뚜껑 안전장치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을 용기에 형성하기 어렵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에 걸림턱 부분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솥바디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솥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포밍링체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플랜지 포밍링체를 상기 냉각된 솥바디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솥바디는 상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는 삽입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링부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 플랜지의 저면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 플랜지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걸림 플랜지의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솥바디의 내주면에는 뚜껑 지지단턱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솥바디의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서 압력 조리시에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는 늘어나고 상기 솥바디도 늘어나서 상기 므로 꽉 껴져 있는 상태 유지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를 눌러서 상기 솥바디와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 사이에 결합 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지지부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홈부는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와 상기 솥바디의 서로 접촉되는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홈부의 맞걸림 결합에 의해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를 솥바디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서는 걸림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는 플랜지 포밍링체를 가열하는 한편, 솥바디는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를 솥바디의 외주면에 삽입한 다음, 그냥 상온에 플랜지 포밍링체와 솥바디를 놔두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솥바디에 플랜지 포밍링체가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압력밥솥의 용기를 만드는 공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서 솥바디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서 플랜지 포밍링체를 가열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솥바디와 플랜지 포밍링체를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솥바디와 플랜지 포밍링체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솥바디와 플랜지 포밍링체가 상온에서 결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 의해 솥바디와 플랜지 포밍링체를 결합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용기와 플랜지 포밍링체를 결합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용기와 플랜지 포밍링체가 상온에서 결합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측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용기와 플랜지 포밍링체 사이의 결합 지지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은 압력밥솥의 몸체부인 솥바디(10)를 냉각시킨 상태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솥바디(10)의 외주면에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걸림턱(26)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솥바디(10)는 상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솥바디(10)는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단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솥바디(10)가 상단부가 개방된 단면 원형의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솥바디(10)는 통상의 솥모양처럼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솥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거의 동일한 원통형 솥모양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솥바디(10)는 단면 원형의 솥모양 이외에 사각형 솥모양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솥바디(10)는 코어판(12)의 양면에 스테인레스판(14)이 부착된 구성을 취한다. 코어판(12)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솥바디(10)의 외표면이 스테인레스로 구성된다. 상기 솥바디(10)의 내주면에는 뚜껑 지지단턱(16)이 더 구비된다. 솥바디(10)의 상단부에서 조금 아래쪽의 내주면을 프레싱함으로써 상기 뚜껑 지지단턱(1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솥바디(10)는 상단부에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솥바디(10) 외주연턱(18)이 구비된다. 솥바디(10) 외주연턱(18)은 솥바디(10)의 상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솥바디(10) 외주연턱(18)과 솥바디(10)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는 삽입링부(22)와 걸림 플랜지(24) 및 걸림턱(26)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링부(22)는 상하로 일정한 폭이 있는 띠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링부(22)는 원형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링부(22)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 플랜지(2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플랜지(24)는 삽입링부(22)의 하단부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삽입링부(22)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걸림 플랜지(24)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걸림 플랜지(24)에 걸림턱(26)이 형성된다. 걸림턱(26)은 걸림 플랜지(24)의 저면으로 연장된다. 이때, 걸림턱(26)은 걸림 플랜지(24)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므로, 상기 걸림 플랜지(24)의 아래에 걸림턱(26)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솥바디(10)를 플랜지 포밍링체(20)와 결합하기 위하여 냉각시킨다. 솥바디(10)를 냉각시키면 솥바디(10)가 원래 상태에서 직경이 줄어들게 된다. 솥바디(10) 냉각단계에서 솥바디(10)의 직경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솥바디(1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솥바디(10)의 줄어든 직경(10SD)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솥바디(10)의 외주면에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한다.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함으로써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직경을 늘려준다.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하여 직경을 늘려주는 단계를 플랜지 포밍링체(20) 가열단계라 할 수 있다.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플랜지 포밍링체(20)의 늘어난 직경(20ED)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플랜지 포밍링체(20)는 스테인레스로 구성되어,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가 열에 의해 변색이 되지 않은 정도의 온도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재질의 플랜지 포밍링체(20)를 4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플랜지 포밍링체(20)가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냉각된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이러한 단계를 솥바디(10)와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삽입 결합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솥바디(10)는 냉각시켜서 직경을 축소시키고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하여 직경을 확대시킨 상태에서 상기 솥바디(10)의 외주면에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솥바디(10)가 냉각된 상태에서 상온으로 되고 플랜지 포밍링체(20)는 가열 상태에서 상온으로 되면, 솥바디(10)는 직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원래대로 직경이 확대되고 플랜지 포밍링체(20)는 직경이 확대된 상태에서 원래대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솥바디(10)의 외주면에 플랜지 포밍링체(20)가 꽉 끼어서 솥바디(10)에서 플랜지 포밍링체(2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솥바디(10)의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서 압력 조리시에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는 늘어나고 솥바디(10)도 늘어나서 플랜지 포밍링체(20)와 솥바디(10)가 꽉 끼어져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삽입링부(22)의 상단부측 일부는 솥바디(10) 외주연턱(18)과 솥바디(1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들어가게 된다. 삽입링부(22)의 상단부가 솥바디(10) 외주연턱(18)의 저면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의 걸림 플랜지(24)는 일정한 조리 온도로 조리할 때에 화기가 솥바디(10)의 위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화기 차단부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에서는 걸림턱(26)를 구비하고 있는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하고 솥바디(10)는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솥바디(10)의 외주면에 삽입한 다음, 그냥 상온에 플랜지 포밍링체(20)와 솥바디(10)를 놔두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솥바디(10)에 플랜지 포밍링체(20)가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압력밥솥의 솥바디(10)를 만드는 공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압력밥솥의 솥바디(10)에 걸림턱(26)을 만드는 공정에서 특수 금형을 이용하거나 복잡한 조립 작업이 필요하여 솥바디(10) 제조 공정이 매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소하하는 등의 장점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솥바디(10) 외주면에 걸림턱(26)을 만들도록 걸림턱(26) 포밍링을 솥바디(10) 외주면에 끼우고 나서 솥바디(10)를 확경시키는 작업을 포밍 몰드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압력밥솥 솥바디(10)를 만드는 공정과 걸림턱(26)을 만드는 공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 포밍링체(20)와 솥바디(10) 사이의 결합 강도를 더 높여주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를 눌러서 솥바디(10)와 플랜지 포밍링체(20) 사이에 결합 지지부(3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삽입링부(22)를 바깥면에서 솥바디(10) 쪽으로 눌러서 솥바디(10)와 플랜지 포밍링체(20) 사이에 결합 지지부(30)를 형성한다. 이처럼 플랜지 포밍링체(20)를 눌러서 형성된 결합 지지부(30)는 결합돌부(32)와 결합홈부(34)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부(32)와 결합홈부(34)는 플랜지 포밍링체(20)와 솥바디(10)의 서로 접촉되는 양면에 형성된다.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삽입링부(22)의 안쪽면이 솥바디(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데, 상기 삽입링부(22)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돌출된 결합돌부(32)가 상기 솥바디(1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 쪽으로 오목한 결합홈부(34)에 맞걸림 결합되므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유지시킨다.
상기 솥바디(10)에 음식물을 담아서 압력 취사할 때에 상기 결합돌부(32)와 결합홈부(34)의 맞걸림 상태에 의해 솥바디(10)에서 플랜지 포밍링체(20)가 덜렁거리거나 헐렁거려서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고, 상기 솥바디(10)에 플랜지 포밍링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온에서 혹시라도 플랜지 포밍링체(20)가 솥바디(10)에서 덜렁거리는 현상(유동되는 현상)이 생기려 하여도 결합돌부(32)와 결합홈부(34)의 맞걸림 상태에 의해 이러한 플랜지 포밍링체(20)가 덜렁거리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솥바디(10)의 둘레부에 걸림턱(26)을 형성하고, 걸림턱(26)은 솥바디(10)의 외주면에서 바깥으로 확장된 걸림 플랜지(24)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솥바디(10)에 음식물을 담아서 조리할 때(특히, 가스불에 의해 조리할 때)에 조리시의 열기가 솥바디(10) 위로 올라가려 하여도 상기 걸림 플랜지(24)가 차단하기 때문에, 조리시 열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함은 물론 조리시 위로 올라오는 열에 의해 솥바디(10) 위쪽의 공간이 과열되는 현상도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형성된 솥바디(10) 주위의 걸림 플랜지(24)와 걸림턱(26) 부분은 다른 곳에 걸쳐놓을 때에 받침턱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 지지부(30)를 스폿용접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의 삽입링부(22)를 스폿용접에 의해 솥바디(10)에 접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폿용접의 경우 용접에 의해 까맣게 변색이 되는 경우 변색된 부분을 그라인딩하면 간단하게 변색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솥바디 10SD. 줄어든 직경
12. 코어판 14. 스테인레스판
16. 뚜껑 지지단턱 18. 외주연턱
20. 플랜지 포밍링체 20ED. 늘어난 직경
22. 삽입링부 24. 플랜지
26. 걸림턱 30. 결합 지지부
32. 결합돌부 34. 결합홈부

Claims (6)

  1. 솥바디(10)를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랜지 포밍링체(20)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플랜지 포밍링체(20)를 상기 냉각된 솥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솥바디(10)는 상단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 포밍링체(20)는 삽입링부(22)에 걸림턱(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링부(22)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 플랜지(24)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24)에 상기 걸림턱(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6)은 상기 걸림 플랜지(24)의 저면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6)은 상기 걸림 플랜지(24)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걸림 플랜지(24)의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솥바디(10)의 내주면에는 뚜껑 지지단턱(16)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KR1020180052090A 2018-05-04 2018-05-04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KR20190128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90A KR20190128029A (ko) 2018-05-04 2018-05-04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90A KR20190128029A (ko) 2018-05-04 2018-05-04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29A true KR20190128029A (ko) 2019-11-14

Family

ID=6857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090A KR20190128029A (ko) 2018-05-04 2018-05-04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0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639B1 (ko) 2002-12-30 2005-12-14 히로시 하세가와 톰 압력 쿠커의 압력해제 밸브를 위한 안전캡과 이를사용하는 압력 쿠커
KR200466332Y1 (ko) 2008-05-29 2013-04-10 유재형 압력 밥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639B1 (ko) 2002-12-30 2005-12-14 히로시 하세가와 톰 압력 쿠커의 압력해제 밸브를 위한 안전캡과 이를사용하는 압력 쿠커
KR200466332Y1 (ko) 2008-05-29 2013-04-10 유재형 압력 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029A (ko) 압력밥솥 용기 제조방법
CN109199125A (zh) 内锅、电饭煲和电压力锅
KR100880676B1 (ko) 냄비
KR101593035B1 (ko) 스팀 중탕기
KR101894854B1 (ko) 결합 구조를 개선한 이중 조리용기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CN212650703U (zh) 内胆手提支架、内胆组件及电炖盅
KR101953359B1 (ko) 가마솥 뚜껑
KR101650283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CN209391678U (zh) 蒸笼及烹饪器具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CN209377348U (zh) 蒸笼及烹饪器具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102159814B1 (ko)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82066A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N219813850U (zh) 烹饪器具
JP3924575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ゆで卵用システム容器
CN213248482U (zh) 烹饪器具
CN209391679U (zh) 蒸笼及烹饪器具
JPH0418507Y2 (ko)
CN210018931U (zh)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647504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원통형 조리용기
KR100948353B1 (ko) 압력밥솥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