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008A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008A
KR20190128008A KR1020197033063A KR20197033063A KR20190128008A KR 20190128008 A KR20190128008 A KR 20190128008A KR 1020197033063 A KR1020197033063 A KR 1020197033063A KR 20197033063 A KR20197033063 A KR 20197033063A KR 20190128008 A KR20190128008 A KR 2019012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gas
intake
guide plate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 마츠이
구니히코 하부치
다케시 반도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6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lubricant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18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with variable cross-sections of intake ducts along their length; Venturis;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24Ducts with special cross-sections, e.g. non-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8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3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flection device, e.g. scr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한랭지, 특히 -20℃ 이하의 극한지의 사용에 있어서도, 연소실로부터 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와 흡기(외기)와의 합류 부분의 관로가 착빙으로 막히는 일이 없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엔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환원 호스에 흐르는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관으로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는, 흡기 통로의 흡기 방향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가지고 있으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상류 끝을 폐색하고,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하류 끝을 상기 흡기 통로에 개방하고 있다.

Description

엔진 장치 {ENGINE DEVICE}
본 개시는, 작업 차량, 농업기계, 발전기 및 냉동기 등의 각종 동력 기기에서의 동력원으로서 탑재되는 디젤 엔진 등의 엔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로우바이 가스(blow-by gas)를 흡기계로 환원하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를 갖춘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내연기관인 엔진 장치에 대한 배출 가스 규제는 해마다 엄격해지고 있고,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대책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부터의 디젤 엔진 등에서의 배기가스 대책으로서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측으로 환원시키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치하여 연소 온도를 낮게 억제해, 배기가스 중의 NOx(질소산화물)의 양을 저감시키는 대책이 실시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디젤 엔진에 이용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개선한 구성(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이나,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장치의 부품 점수(點數)를 삭감해, 보수 점검 작업을 간략화한 구성(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블로우바이 가스로부터 윤활유를 분리하고, 윤활유가 분리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 계통으로 되돌려 재순환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3-1337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13-148010호 공보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 계통으로 되돌리는 구성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는 윤활유인 기름 성분과 더불어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한랭지(寒冷地, 춥고 차가운 지역), 특히 -20℃ 이하의 극한지(極寒地)의 사용에 있어서는 큰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랭지, 특히 -20℃ 이하의 극한지에 있어서는, 흡기(외부 공기)와 블로우바이 가스와의 합류 부분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급격하게 차게 되어,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관로에 착빙한다고 하는 현상이 생긴다. 그 결과, 블로우바이 가스의 관로가 얼음으로 막혀 버려, 엔진 장치의 크랭크 케이스 내의 압력이 상승해, 내부의 윤활유가 누출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더욱이, 윤활유가 누출한 결과, 윤활유가 부족해, 기기(예를 들어, 과급기)가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한랭지, 특히 -20℃ 이하의 극한지의 사용에 있어서도, 연소실로부터 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의 관로, 특히 흡기(외부 공기: 새로운 공기)와 블로우바이 가스와의 합류 부분의 관로에 있어 착빙으로 막히는 일이 없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태양(態樣)의 엔진 장치는,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가 흐르는 흡기관으로 환류시키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를 가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환원 호스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환원 호스에 흐르는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커플링)를 구비하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는, 상기 흡기관상에 배설되는 흡기 통로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있어서 안내하고, 상기 흡기 통로의 흡기 방향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갖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상류 끝을 폐색하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하류 끝을 상기 흡기 통로에 개방하며,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흐르는 흡기와 분리해 상기 흡기와 병행하여 흐르도록 소정 거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한랭지, 특히 외기 온도가 -20℃ 이하의 극한지에 있어서도, 연소실로부터 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의 관로, 특히 흡기와 블로우바이 가스와의 합류 부분이 얼음으로 막히는 일이 없어,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엔진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실린더 헤드의 상면 부분을 덮는 헤드 커버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헤드 커버를 포함한 일부를 윗쪽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에서의 흡기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흡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의 도입 방향을 변경한 각종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3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흡기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4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흡기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5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평탄 부분의 하류측 끝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본 개시에 따른 제1의 태양은,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가 흐르는 흡기관으로 환류시키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를 가지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환원 호스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환원 호스에 흐르는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구비하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는, 상기 흡기관상에 배설되는 흡기 통로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있어서 안내하고, 상기 흡기 통로의 흡기 방향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갖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상류 끝을 폐색하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하류 끝을 상기 흡기 통로에 개방하며,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흐르는 흡기와 분리해 상기 흡기와 병행하여 흐르도록 소정 거리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1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한랭지, 특히 -20℃ 이하의 극한지의 사용에 있어서도, 연소실로부터 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와 흡기(외기)와의 합류 부분의 관로 등에 있어서 착빙으로 막히는 일을 방지하여, 신뢰성 및 안전성이 높은 엔진 장치로 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제2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제1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도입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2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되는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름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큰 넓은 도입 공간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블로우바이 가스와 흡기와의 합류 부분에서의 관로에 착빙해 폐색되는 일이 방지되고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3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상기의 제2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포함한 흡기 통로에 있어, 당해 흡기 통로의 내경에 대해서 10% 이상 40% 이하의 영역이 당해 도입 공간에 점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3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예를 들어 극한지의 사용에 있어서도,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되는 블로우바이 가스가, 일단 큰 용량을 가지는 도입 공간으로 인도되어 흡기와 병행하여 흐르기 때문에, 흡기에 의해 급격하게 차게 되는 것이 방지되고 있어, 블로우바이 가스와 흡기와의 합류 부분에서의 관로가 착빙해 폐색되는 일이 방지되고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4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제2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는,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평탄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4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흡기 통로로 도입되는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 공간을 매개로 해서 스무드하게 흡기 통로 내로 인도되어, 흡기의 흐름에 따라 병행하여 흐른다.
본 개시에 따른 제5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제2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는,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평탄면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5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흡기 통로의 도입 공간에서의 평탄면까지의 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가 있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 통로를 흐르는 흡기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6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제1의 태양으로부터 제5의 태양 중 몇 개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단열 구조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6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 공간에 있어서 흡기에 의해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제7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제1의 태양으로부터 제5의 태양 중 몇 개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단열재를 가지고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7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 공간에 있어서 흡기에 의해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제8의 태양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의 제1의 태양으로부터 제5의 태양 중 몇 개의 태양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2중벽의 단열 구조를 가지고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8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 공간에 있어서 흡기에 의해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제9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상기의 제1의 태양으로부터 제5의 태양 중 몇 개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의 위치에 복수의 개구를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개시에 따른 제9의 태양의 엔진 장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 공간에 있어서 흡기와 서서히 혼합되어 급격한 냉각이 억제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실시의 형태의 기재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디젤 엔진을 예시로 해서 설명하지만, 실시의 형태의 디젤 엔진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기술적 사상과 동등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해서 구성되는 엔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1)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1의 엔진 장치로서 디젤 엔진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UP의 방향을 윗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서의 실린더 헤드의 상면 부분을 덮는 헤드 커버의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1)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갖추고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1)에는,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계(흡기관)로 환류시키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3)(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디젤 엔진의 실린더 헤드의 표면 부분에 설치된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등을 덮는 헤드 커버(10)에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3)가 설치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3)는, 헤드 커버(10)의 표면의 일부가 윗쪽으로 팽출(膨出)해 형성된 가스 조압부(4)를 가진다. 가스 조압부(4)의 내부에는 디젤 엔진(1)의 연소실 등으로부터 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가 취입되는 블로우바이 가스 취입실(5)과, 블로우바이 가스 취입실(5)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가스 조절 압력 밸브를 매개로 해서 공급되는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이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저면에는 당해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에 윤활유 성분이 모였을 때, 그 윤활유 성분의 중량에 의해 회동해 윤활유 성분을 실린더 헤드의 표면 측으로 낙하시키는 체크 밸브, 예를 들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에 모인 윤활유 성분은, 실린더 헤드의 표면 측으로 낙하해, 디젤 엔진(1) 내로 회수되는 구성이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저면에 판 스프링인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의 표면측으로부터 체크 밸브를 향해 윤활유가 비산(飛散)해도, 비산한 윤활유가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에 혼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사절판(仕切板, 간막이판)을 설치하여 복수의 미로모양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블로우바이 가스가 복수의 미로모양 통로에 있어서 팽출함으로써, 블로우바이 가스 중의 윤활유 성분이 제거되는 구성이다. 제거된 윤활유 성분은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저면에 모여, 그 자중(自重)에 의해 판 스프링이 구부러져 실린더 헤드의 상면 측으로 낙하해, 디젤 엔진 내로 회수된다.
한편,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 내에 있어서 윤활유 성분이 제거된 블로우바이 가스는,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배기구(11)에 접속된 환원 호스(12)(도 2 참조)의 관로를 매개로 해서, 흡기관(13)(후술하는 도 3 참조)의 관로 내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배기구(11)는, 헤드 커버(10)에 일체 성형되어 있고, 헤드 커버(10)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헤드 커버(10)를 포함한 디젤 엔진(1)의 일부를 윗쪽으로부터 본 평면도로서, 헤드 커버(10)에 형성된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배기구(11)와 흡기관(13)의 사이를 환원 호스(12)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흡기관(13)은, 흡기(외부 공기: 새로운 공기)가 에어 크리너(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해서 과급기(터보 차저)(7)로 흐르는 흡기관로로서, 도 3에 나타낸 흡기관(13)에 있어서 흡기가 위로부터 밑으로 흐르고 있다. 흡기관(13)의 관로상에는, 헤드 커버(10)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로부터의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관(13) 내로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관(13)에 접속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와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6)의 배기구(11)를 접속하는 환원 호스(12)는,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가지는 가요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구성)
도 4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서의 흡기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단면이 원형의 환원 호스(12)가 접합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후술)의 중심을 포함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를 흡기의 흐름 방향(흡기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는 삼방향 이음매 구조를 가지고 있고, 흡기관(13)의 관로에 연결되는 흡기 통로(20a)에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가 설치된 구성이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부에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이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20a)의 내부에 있어서 흡기 방향에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는 온도 센서(14)(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흡기 통로(20a)에서의 흡기 온도를 검출하고 있다. 온도 센서(14)는, 흡기 통로(20a)의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고, 흡기 통로(20a)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도출하는 센서 보호 유지부(20c)(도 4 참조)에 의해 보호 유지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14)가 장착된 보호 유지판(도시하지 않음)이 센서 보호 유지부(20c)에 나사로 고정되어, 온도 센서(14)가 센서 보호 유지부(20c)에 상기 보호 유지판을 매개로 해서 확실히 보호 유지되는 구성이다.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14)의 온도 검출 영역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포함한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면을 포함하고 있다. 즉, 온도 센서(14)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온도 센서(14)를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근방에 설치한 예로 설명하지만, 온도 센서(14)를 흡기 방향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위치로부터 상류측 및/또는 하류측으로 오프셋(offset)한 위치에 배치하여,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되기 전, 및/또는 도입된 후의 흡기 온도를 검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과 온도 센서(14)의 배설 방향(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로의 삽입 방향: 도 5에서의 상하 방향)이 직교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 구성에 대해서도, 디젤 엔진에서의 부품 배치 구성에 따라 적당히 변경된다.
도 5의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부에 설치한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의 안내면(평탄면(18a))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도 5에서의 좌향(左向)의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도 5에 있어서 부호 R)를 가지고 사행(斜行, 비스듬하게 진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에 대해서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의 평탄면(18a)이 60°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은, 도 6의 흡기 방향에 따른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벽으로부터 사행하여 서서히 내측으로 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벽으로부터 거의 흡기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도출한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도 6 참조)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예를 들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흡기 통로(20a)의 내경(도 5의 부호 Y 참조)의 30% 이상의 길이(도 5의 부호 X 참조)에 도달한 후에는 흡기 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하류측에 있어서는, 에어 크리너로부터의 흡기(외부 공기)와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에 의해 분리된 상태에서 같은 흡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흐르는 구성이다. 즉,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부에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에 의해 사절된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공간(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 공간(A)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에 있는 제1의 도입 공간(A1)과, 하류측의 제2의 도입 공간(A2)으로 나뉘어진다. 제1의 도입 공간(A1)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에 있어서,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소정의 크기로 될 때까지 서서히 커지는 공간 영역이다.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하류측으로 되는 제2의 도입 공간(A2)에 있어서는,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소정의 크기로 유지되어 있고,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와는 분리되어, 흡기와 병행하여 흐르는 공간 영역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소정의 도입 공간(A; A1, A2)이 확보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의 도입 공간(A1)은, 상류 끝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의 블로우바이 가스의 대부분은 하류측인 제2의 도입 공간(A2)으로 흐른다. 그 결과, 제1의 도입 공간(A1)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다소 체류한 상태이며, 흡기의 온도인 흡기 온도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을 매개로 해서 도입 공간(A)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에 전열되는 구성이다.
엔진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서 갖춘 기기가 극한지(예를 들어, 외기 온도가 -20℃)에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 흡기 온도(새로운 공기 온도)는, 예를 들어 -20℃로 된다. 이러한 흡기 온도의 흡기에 대해서,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를 단순하게 혼합한 경우에는,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순시(瞬時)적으로 얼어, 흡기와 블로우바이 가스와의 혼합 영역의 관로에 있어서 착빙이 생겨, 관로를 폐색시켜 버린다고 하는 큰 문제를 가진다.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 1의 엔진 장치인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가 극한지에 이용된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예를 들어, 외기 온도가 -20℃)에 대해서,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에 의해 안내되어 서서히 냉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 공간(A)으로 흘러든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에 의해 흡기 통로(20a)를 흐르는 흡기와 같은 방향으로 병행하여 흐르도록 안내되어 있고,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에 대해서 급격하게 혼합되는 일이 없이 서서히 혼합되는 구성이다. 또, 흡기 통로(20a)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흡기관(13)에는 과급기(7)가 접속되어 있고, 흡기 통로(20a)에 흐르는 흡기 및 블로우바이 가스는 상류측으로부터 흡인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상류측에 제1의 도입 공간(A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의 도입 공간(A1)에는 체류한 블로우바이 가스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체류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의 도입 직후의 블로우바이 가스에 대한 전열에 관한 완충재(緩衝材)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즉, 제1의 도입 공간(A1)에 체류하고 있는 블로우바이 가스가 단열재(斷熱材)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에 있어서, 흡기 통로(20a)의 내부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이, 그 상류측 끝부분이 흡기 통로(20a)의 내벽으로부터 사행하여 서서히 일어서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흡기 통로(20a)의 내부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의 벽면이 흡기의 흡기 방향으로의 유통을 스무드하게 안내함과 더불어,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의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서서히 냉각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흡기 통로(20a)의 내부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을 사이로 해서 흡기와 병행하여 소정 거리 흘러 서서히 열교환을 시행한 후,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와 혼합된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 1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를 극한지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순시적으로 얼어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일이 방지되고 있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거의 수평 방향(도 5 참조)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디젤 엔진에서의 부품 배치 구성에 따라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은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수평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가지는 방향, 예를 들어 수평 방향에 대해서 90°의 각도를 가지는 연직 방향이나, 45°의 각도 또는 30°의 각도를 가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도 7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을 변경한 각종 예를 나타내고 있는바,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서 0°, 즉 연직 윗쪽으로부터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내부로 도입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서 24° 기울어진 예이고, 도 7의 (c)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서 45° 기울어진 예이며, 도 7의 (d)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연직선에 대해서 90° 기울어진 예이다.
또, 제2의 도입 공간(A2)을 가지는 흡기 통로(20a)의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면(도 5 참조)에 있어서, 흡기 통로(20a)의 중심선(도 5의 부호 P의 중심선)에서의 흡기 통로(20a)의 내벽과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평탄면(18a))과의 거리(도 5의 부호 X 참조)는, 흡기 통로(20a)의 내경(도 5의 부호 Y 참조)의 30% 이상의 길이로 하는 구성으로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거리 X는 흡기 통로(20a)의 내경(거리 Y)에 대해서, 10∼40%의 범위 내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에 의해 형성되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제2의 도입 공간(A2)을 포함한 흡기 통로(20a)에 있어서, 당해 흡기 통로(20a)의 내경에 대해서 10% 이상 40% 이하의 영역이 제2의 도입 공간(A2)에 점유되도록 구성하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흡기 통로(20a)의 내부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을 사이로 해서 흡기와 병행하여 소정 거리 흘러 서서히 열교환이 시행된 후,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와 혼합된다.
또, 제2의 도입 공간(A2)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방향인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방향인 도입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블로우바이 가스가 제2의 도입 공간(A2) 내를 스무드하게 흘러,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일이 방지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2의 엔진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다른 점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구성이며,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2의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기능, 구성, 작용을 가지는 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 같은 참조부호를 붙인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의 흡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이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구성과 다르다.
실시의 형태 2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는 실시의 형태 1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와 마찬가지로, 흡기 통로(20a)에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가 설치된 삼방향 이음매 구조이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의 내부에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이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은,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 통로(20a)의 내부에 있어서 흡기 방향에 따라 흐르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에는 온도 센서(14)(도 3 참조)가 센서 보호 유지부(20c)에 설치되어 있고, 흡기 통로(20a)에서의 흡기 온도를 검출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도 8에 있어서는, 오른쪽 위쪽으로부터 왼쪽 아래쪽으로의 경사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의 평탄면(18a)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의 평탄면(18a)이 사행하고 있고, 수평면에 대해서, 예를 들어 30°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은, 연직 방향에 대해서 30° 기울어져 있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는, 센서 보호 유지부(20c)에 보호 유지되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거의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는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가, 예를 들어 극한지에 이용된 경우에 있어서도,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 공간(A)으로 흘러든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에 의해 흡기 통로(20a)를 흐르는 흡기와 같은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되는 구성이다.
또,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블로우바이 가스가 도입되는 도입 공간(A; A1, A2)은, 소정의 용량이 확보되어 있다. 더욱이,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의 평탄면(18a)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 때문에,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출 끝부분으로부터, 흡기가 접촉하고 있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A)의 평탄면(18a)까지의 거리를 균등한 길이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비교해서,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의 구성에 있어서는,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의 전체가 흡기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똑같이 길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실시의 형태 2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를 극한지에 이용한 경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A)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젤 엔진에서의 부품 배치 구성에 따라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의 도입 방향에 대해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3의 엔진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3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다른 점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구성이며, 특히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구성이다. 실시의 형태 3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3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기능, 구성, 작용을 가지는 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 같은 참조부호를 붙인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3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의 흡기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B)의 구성이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구성과 다르다.
실시의 형태 3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B)에 있어서는, 단열재가 흡기와 접촉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다. 단열재로서는, 내한용의 단열재이며,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이 이용된다.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는 수지 성형으로 일체 가공되어 있고,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B)의 흡기측의 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3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를 극한지에 이용한 경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B)에 접촉하여 안내될 때, 흡기의 온도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B)에 의해 단열되는 구성이다. 그 결과,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B)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되는 구성으로 된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4의 엔진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4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다른 점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구성이며, 특히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구성이다. 실시의 형태 4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4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기능, 구성, 작용을 가지는 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 같은 참조부호를 붙인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4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의 흡기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C)의 구성이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구성과 다르다.
실시의 형태 4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C)은 2중 구조를 가지는 단열 구조이다.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C)의 2중 구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구조이다. 실시의 형태 4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는, 수지 성형으로 일체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공 정밀도가 높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4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를 극한지에 이용한 경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단열 구조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C)에 접촉하여 안내될 때, 흡기의 온도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C)에 의해 단열되는 구성이다. 그 결과,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20C)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얼어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것이 한층 더 방지되는 구성이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에,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5의 엔진 장치로서의 디젤 엔진에 대해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의 형태 5의 디젤 엔진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의 구성과 다른 점은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구성이며, 특히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구성이다. 실시의 형태 5에서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5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기능, 구성, 작용을 가지는 요소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 같은 참조부호를 붙인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의 형태 5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에 형성되어 있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의 평탄 부분의 하류측 끝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의 디젤 엔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은, 그 평탄 부분의 하류측 끝부분 근방의 위치에 복수의 개구(관통구멍)(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의 하류측 끝부분 근방에 복수의 개구(18b)를 형성함으로써,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에 접촉하여 흡기 방향으로 안내됨과 더불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에서의 하류측 끝부분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18b)를 통과한 일부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와 서서히 혼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의 형태 5의 디젤 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기기를 극한지에 이용한 경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20b)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가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18D)에 접촉하여 안내되어 흡기와 블로우바이 가스가 서서히 혼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내부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가 흡기에 서서히 혼합되기 때문에,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순시적으로 얼어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것이 한층 더 방지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크랭크 케이스 내의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계로 환류시키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그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에 있어서 흡기관에 블로우바이 가스를 환류시키기 위해 특수한 구성을 가지는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에 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한랭지, 또는 극한지에 있어서 본 개시의 엔진 장치를 동력원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에 있어서 블로우바이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순시적으로 얼어 관로에 착빙해, 당해 관로를 폐색시키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덧붙여,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중 임의의 구성을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이 가지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는 것이 당연하다.
본 개시는, 작업 차량, 농업기계, 발전기 및 냉동기 등의 각종 동력 기기에서의 동력원으로서 탑재되는 디젤 엔진 등의 엔진 장치에 이용되고, 특히 한랭지, 극한지에 있어서 이용되는 엔진 장치에 유용하다.
1 디젤 엔진
2 배기가스 정화 장치
3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
4 가스 조압부
5 블로우바이 가스 취입실
6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
7 과급기[터보 차저(turbo charger)]
10 헤드 커버
11 블로우바이 가스 팽창실의 배기구
12 환원 호스
13 흡기관
14 온도 센서
18, 18A, 18B, 18C, 18D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
18a 평탄면
18b 개구
20, 20A, 20B, 20C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
20a 흡기 통로
20b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
20c 센서 보호 유지부
A 도입 공간
A1 제1의 도입 공간
A2 제2의 도입 공간

Claims (9)

  1. 연소실로부터 누출되는 블로우바이 가스를 흡기가 흐르는 흡기관으로 환류시키는 블로우바이 가스 환원 기구를 가지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환원 호스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환원 호스에 흐르는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를 구비하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는, 상기 흡기관상에 배설되는 흡기 통로와,
    상기 흡기관으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있어서 안내하고, 상기 흡기 통로의 흡기 방향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형성하는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을 갖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혼합 이음매의 내벽으로부터 사행하여 서서히 내측으로 도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상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상류 끝을 폐색하고,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의 하류 끝을 상기 흡기 통로에 개방하며,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블로우바이 가스를, 상기 흡기 통로에 흐르는 흡기와 분리해 상기 흡기와 병행하여 흐르도록 소정 거리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은,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에서의 블로우바이 가스가 흐르는 도입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으로 확장되는 도입 공간을 포함한 흡기 통로에 있어, 당해 흡기 통로의 내경에 대해서 10% 이상 40% 이하의 영역이 당해 도입 공간에 점유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는,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평탄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는, 블로우바이 가스의 도입 방향이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의 평탄면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이 단열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이 단열재를 가지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이 2중벽의 단열 구조를 가지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안내판에서의 상기 블로우바이 가스 도입구로부터 하류측의 위치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KR1020197033063A 2015-04-27 2016-04-14 엔진 장치 KR20190128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0657A JP6522410B2 (ja) 2015-04-27 2015-04-27 エンジン装置
JPJP-P-2015-090657 2015-04-27
PCT/JP2016/062033 WO2016175039A1 (ja) 2015-04-27 2016-04-14 エンジン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60A Division KR20170129846A (ko) 2015-04-27 2016-04-14 엔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08A true KR20190128008A (ko) 2019-11-13

Family

ID=571996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063A KR20190128008A (ko) 2015-04-27 2016-04-14 엔진 장치
KR1020177029960A KR20170129846A (ko) 2015-04-27 2016-04-14 엔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60A KR20170129846A (ko) 2015-04-27 2016-04-14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37368B2 (ko)
EP (1) EP3290666B1 (ko)
JP (1) JP6522410B2 (ko)
KR (2) KR20190128008A (ko)
WO (1) WO2016175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5346B2 (ja) * 2017-03-24 2020-04-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N110608116A (zh) * 2018-06-14 2019-12-24 丰田纺织株式会社 用于内燃机的进气管
US10767659B2 (en) * 2018-12-12 2020-09-08 Volvo Car Corporation Exhaust gas recirculation compressor inlet thermal separation system
GB2585073A (en) * 2019-06-28 2020-12-30 Ford Global Tech Llc A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JP7136748B2 (ja) * 2019-06-28 2022-09-13 株式会社クボタ Egr装置
DE102019132079A1 (de) * 2019-11-27 2021-05-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Entlüftung des Kurbelgehäuses eines Verbrennungsmotors
JP7223679B2 (ja) * 2019-12-17 2023-02-16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7348609B2 (ja) * 2020-03-12 2023-09-21 株式会社クボタ ブローバイガス混合継手およびエンジン
JP7498387B2 (ja) * 2021-03-09 2024-06-12 株式会社クボタ ブローバイガス供給装置およびブローバイガス供給装置を備えるエンジン
CN114645748B (zh) * 2021-04-16 2023-04-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结冰装置及防结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3796A (ja) 2011-12-27 2013-07-08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JP2013148010A (ja) 2012-01-19 2013-08-01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713U (ko) * 1985-05-28 1986-12-04
JPH02146210A (ja) * 1988-11-29 1990-06-05 Fuji Heavy Ind Ltd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JP2528416Y2 (ja) * 1991-03-04 1997-03-1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ブリーザチューブの構造
JPH09317569A (ja) * 1996-05-22 1997-12-09 Nippon Soken Inc エンジンのガス還流装置
US6058917A (en) * 1999-01-14 2000-05-09 Vortex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rankcase emissions
JP2003531330A (ja) * 2000-04-12 2003-10-21 ボルテックス オートモティブ 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ランクケース排気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6782878B2 (en) * 2003-01-27 2004-08-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CV assembly and fitting
JP4595726B2 (ja) * 2005-07-21 2010-12-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吸気装置
JP2008106637A (ja) * 2006-10-24 2008-05-08 Aisan Ind Co Ltd ブローバイガス通路構造
JP2008240521A (ja) * 2007-03-23 2008-10-0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
DE102008043768A1 (de) * 2008-04-11 200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Mediumleitung
DE102008018328B4 (de) * 2008-04-11 2015-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n aufgewärmte Mediumleitung
KR101189243B1 (ko) * 2010-12-03 2012-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cv 결빙 방지 장치
DE102011110285B4 (de) * 2011-06-21 2013-05-29 Mtu Friedrichshafen Gmbh Ansaugrohrelement und Verdichteranordnung daraus
JP2013167204A (ja) * 2012-02-15 2013-08-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3796A (ja) 2011-12-27 2013-07-08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JP2013148010A (ja) 2012-01-19 2013-08-01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039A1 (ja) 2016-11-03
US10337368B2 (en) 2019-07-02
JP2016205319A (ja) 2016-12-08
EP3290666A1 (en) 2018-03-07
JP6522410B2 (ja) 2019-05-29
EP3290666B1 (en) 2020-12-16
US20180135479A1 (en) 2018-05-17
EP3290666A4 (en) 2018-10-03
KR20170129846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008A (ko) 엔진 장치
EP1893850B1 (en) Turbocharger intake air chamber provided with air inlet from crankcase blowby ventilation (ccv)
JP5891813B2 (ja) Pcv通路の凍結防止構造および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4748152B2 (ja) 内燃機関の吸気管構造
US10828590B2 (en) Gas-liquid separator
CN109306923B (zh) 吸气歧管的防结冰装置
KR101234649B1 (ko) 2기통 엔진의 pcv결빙 방지 장치
BRPI0619971A2 (pt) válvula de drenagem
JP2017044143A (ja) エンジン装置
KR101965836B1 (ko) 흡기 매니폴드 블로바이가스 결빙방지 구조
JP6127395B2 (ja) センサの保護構造
WO2017033548A1 (ja) エンジン装置
US9856764B2 (en) Crankcase assembly
JP2002106429A (ja) 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RU2734539C1 (ru) Антиобледе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ускного патрубка pcv впуск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JP6413746B2 (ja) インタークーラ
JP2021050705A (ja) 吸気装置
CN110541742B (zh) 用于车辆的油气除湿器和具有其的车辆
KR102626863B1 (ko) 차량용 egr 쿨러
KR20070034737A (ko)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의 결빙방지장치
KR102383464B1 (ko) 블로바이 가스 결빙 방지 구조
KR20120013503A (ko) 피씨브이 밸브의 결빙 방지장치
KR100870920B1 (ko) 차량의 블로우 바이 가스 리턴 구조
JP2017044144A (ja) エンジン装置
JP2022039396A (ja) Pcv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