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09A -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09A
KR20190122009A KR1020180045616A KR20180045616A KR20190122009A KR 20190122009 A KR20190122009 A KR 20190122009A KR 1020180045616 A KR1020180045616 A KR 1020180045616A KR 20180045616 A KR20180045616 A KR 20180045616A KR 20190122009 A KR20190122009 A KR 2019012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cover
carry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447B1 (ko
Inventor
권태준
장예환
박태준
최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4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4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미리 정해진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에서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하고,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Laddle)은 철강 또는 비철금속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용강을 담는 용기이다. 정련공정에서 처리된 용강은 래들에 받아져 다음 공정으로 운반된다. 래들의 외부는 철피로 구성되고, 고온의 용강과 접촉되는 래들의 내부에는 정형 또는 부정형의 내화물이 시공된다.
용강의 온도 하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래들의 내부를 가열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래들에 용강을 받기 전에 래들을 가열하여, 래들의 내부 온도를 적절한 온도(대략, 1000~1300℃)로 상승시킨 후 유지시켜야 한다.
내화물을 건조하거나 래들의 내부를 가열하는 작업은 화염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열작업은 커버를 래들 위에 덮고, 커버에 설치된 버너를 이용하여 래들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므로 수행된다. 이에, 래들 내부의 온도가 화염에 의해 상승한다.
내부가 가열된 래들은 용강을 받기 전까지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다. 종래에는 래들이 대기하는 동안, 래들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래들 위를 커버로 덮었다. 즉,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은 작업장 바닥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버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커버로 래들의 개방된 상부를 덮었다.
그러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을 안착시키는 작업을 할 때, 크레인 운전자가 작업장 바닥을 확인하기 어렵고, 크레인의 작동으로 래들이 흔들릴 수 있다. 이에, 커버가 래들의 상부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벗어난 곳에 래들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가 래들의 상부를 정확하게 덮어주지 못해, 커버와 래들 사이 틈새가 발생하여 래들 내부의 보온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크레인 운전자를 도와주는 신호수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크레인 운전자가 래들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이 크레인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래들 내부의 온도가 쉽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KR 2017-0119046 A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미리 정해진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에서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버부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운반부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도르래; 및 일단이 상기 운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용기가 지지될 수 있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구동휠; 및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 드럼;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구동휠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동부재; 및 상기 운반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기 운반경로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용기와 접촉 가능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용기와 접촉 가능한 자석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가 가열된 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가 용이하게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가 용기의 개구부를 정확하게 덮어줄 수 있는 위치로 용기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가 용기의 개구부를 정확하게 덮어주어 용기와 커버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가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인 경우, 크레인으로 래들을 운반부에 안착시켜 래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신호수가 없더라도 래들의 개구부를 커버부로 덮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래들이 크레인에 지지되어 대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가 운반부에 연동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개폐장치(100)는 운반부(110), 지지부(120), 및 커버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10)는 내부에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다. 용기(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의 외부는 철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에 내화물이 축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에 고온의 용강이 수용될 수 있다.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용기(10) 내부에 용강을 담기 전에 용기(10) 내부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10)의 측면에는 안착부재(12)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재(12)는 용기(10)의 철피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재(12)는 한 쌍이 구비되어 용기(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재(12)에는 걸림부재(11)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11)는 안착부재(12)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재(11)는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안착부재(12)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크레인에 구비되는 후크가 걸림부재(11)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는 크레인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크레인에 의해 운반부(11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10)의 종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운반부(110)는 미리 정해진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운반부(1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50) 상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운반부(110)에 용기(10)가 안착될 수 있고, 운반부(110)는 용기(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용기(10)를 운반할 수 있다. 운반부(110)는 몸체부재(111), 구동휠(112), 및 와이어 드럼(미도시)을 포함한다.
몸체부재(111)는 용기(1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1)는 사각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111)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평면 면적은 용기(10)의 평면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가 몸체부재(111)의 구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11)에는 지지대(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11a)는 용기(10)에 구비되는 안착부재(12)들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2)가 지지대(111a)와 접촉하여 안착되면, 용기(10)의 하부는 몸체부재(111)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111a)는 안착부재(12)가 구비되는 개수만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지지대(111a)는 몸체부재(111)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재(111)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휠(112)은 몸체부재(111)에 설치된다. 구동휠(112)은 몸체부재(111)를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휠(112)은 몸체부재(111)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동휠(112)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레일(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재(111)가 구동휠(112)에 의해 레일(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와이어 드럼은 원통형을 형성된다. 와이어 드럼에는 커버부(13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32)의 와이어(132c)가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드럼에 회전에 의해 와이어(132c)가 와이어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은 구동휠(112)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드럼의 중심축과 구동휠(112)의 회전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드럼은 구동휠(112)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부(1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서,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132c)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때, 운반부(110)에는 구동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는 모터일 수 있고, 복수개의 구동휠(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휠(112)이 회전하면, 구동휠(112)이 레일(50) 상에서 구름 이동할 수 있고, 운반부(110)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에 의해 구동휠(1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운반부(110)가 지지부(12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구동휠(1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운반부(110)가 지지부(120)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휠(112)을 회전시켜 운반부(110)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a)와 같이 운반부(110)는 제동부재(113), 및 제어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운반부(1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제동부재(113)는 구동휠(11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부재(113)는 브레이크일 수 있다. 제동부재(113)는 구동휠(112)의 회전축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제동부재(113)가 구동휠(112)의 회전축과 접촉하면 마찰력이 발생하여 구동휠(112)의 회전이 중단된다. 따라서, 운반부(110)가 정지할 수 있다. 제동부재(113)와 구동휠(112)의 회전축이 접촉하지 않으면 구동휠(112)이 자유롭게 회전하여 운반부(110)가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동부재(113)의 구조 및 구동휠(112)을 정지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재(114)는 제동부재(113)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재(114)는 운반부(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재(114)는 운반부(110)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운반부(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제동부재(1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가 배치된 위치에 운반부(110)가 도달하면, 제어부재(114)는 제동부재(113)를 작동시켜 운반부(11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정확한 위치에 운반부(110)가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운반부(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도 2의 (b)와 같이 운반부(1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1)가 운반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50)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토퍼(5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휠(112)이 스토퍼(51)에 걸려 운반부(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1)는 지지부(120)가 배치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용기(10)를 실은 운반부(110)가 스토퍼(51)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그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5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지지부(120)는 운반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지부(120)는 커버부(130)를 지지해준다. 이에, 지지부(120)에 지지되는 커버부(130)가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지지부재(121), 및 안내부재(12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21)는 안내부재(122)를 지지하는 지지대일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작업장 바닥에 설치될 수 있고, 운반부(110)와 이격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운반부(110)가 지지부재(121)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운반부(110)와 지지부재(121)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와 안내부재(122)의 연결부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상부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사이에 레일(50)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레일(50)을 따라 이동하는 운반부(110)가 지지부재(121)의 하부를 통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1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안내부재(122)는 지지부재(121)에 의해 지지된다. 안내부재(122)는 지지부재(12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안내부재(122)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안내부재(122)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122)는 커버부(13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131)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이동부재(131)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부재(12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바, 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는 제1 바들의 후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들은 제2 바의 길이만큼 일방향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들과 제2 바에 의해 안내부재(122)가 전단부가 개방된 사각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31)가 안내부재(122)의 개방된 전단부를 통해 안내부재(122)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에는 이동부재(131)에 구비되는 바퀴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홈은 제1 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동홈은 제2 바의 내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파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홈은 이동부재(131)에 구비되는 바퀴(131b)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바퀴(131b)는 이동홈의 연장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31)가 제1 바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재(122)는 지지부재(121) 상에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안내부재(122)에서 운반부(110)를 향하는 부분이, 운반부(110)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재(122)가 형성하는 이동부재(131)의 이동경로는,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를 향하는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13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동부재(131)의 위치가 하측으로 내려가고, 이동부재(13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동부재(131)의 위치가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동부재(131)는 자중에 의해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안내부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가 운반부에 연동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130)는 지지부(120)에 설치된다. 커버부(130)는 운반부(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부(120)에서 용기(10)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는 운반부(1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운반부(110)가 지지부(120)를 향하여 전진하면 커버부(1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고, 운반부(110)가 지지부(120)의 외측을 향하여 후진하면 커버부(1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이동부재(131), 연결부재(132), 및 커버부재(133)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31)는 적어도 일부가 안내부재(1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동부재(131)의 적어도 일부는 안내부재(122) 내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31)는 커버부재(133)를 지지해줄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에 연결되어, 이동부재(1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33)가 이동부재(131)에 의해 이동하면서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동부재(131)는 프레임(131a), 및 바퀴(131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1a)은 안내부재(122)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131a)은 안내부재(122)에 형성된 내부공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31a)은 안내부재(122)가 형성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제1 프레임, 및 제1 프레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안내부재(12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레임은 안내부재(122)가 가지는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상단은 제1 프레임의 전단부와 연결되고, 하단은 커버부재(133)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가 용기(1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2 프레임이 커버부재(133)를 지지해줄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3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바퀴(131b)는 프레임(131a)의 측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바퀴(131b)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프레임(131a)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퀴(131b)는 안내부재(122)에 형성된 이동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바퀴(131b)가 안내부재(122) 내에서 구름 이동할 수 있고, 바퀴(131b)에 의해 프레임(131a)이 안내부재(122)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바퀴(131b)는 프레임(131a)의 중심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바퀴(131b)가 안내부재(122)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면서, 프레임(131a)의 전단부를 안내부재(122)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31a)의 전단부가 안내부재(122)의 연장방향으로 안내부재(122) 내외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132)는 운반부(110)와 이동부재(131)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이동부재(131)가 운반부(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연결부재(132)는 도르래, 및 와이어(132c)를 포함한다.
도르래는 지지부재(121)에 설치될 수 있다. 도르래는 지지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르래는 와이어(132c)의 연장방향을 변경해줄 수 있다. 이에, 도르래와 와이어(132c)에 의해 운반부(110)와 이동부재(131)가 연동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르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르래(132a)와 제2 도르래(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도르래(132a)는 지지부재(121)의 상부영역에 설치되고, 제2 도르래(132b)는 지지부재(121)의 하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도르래(132a)와 제2 도르래(132b)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운반부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전후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와이어(132c)가 제1 도르래(132a)와 제2 도르래(132b)를 감싸면서 상하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게 되다. 와이어(132c)는 제1 도르래(132a)를 감싸면서 이동부재(131)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전후로 연장되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영역별로 와이어(132c)가 연장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도르래가 배치되는 구조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와이어(132c)는 도르래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와이어(132c)는 일단이 운반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부재(13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132c)의 일단은 운반부(110)에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에 감겨질 수 있고, 운반부(110)에 구비되는 제1 시브(111b)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 제1 시브(111b)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운반부(110)의 구동휠(112)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 드럼이 회전하면, 와이어(132c)가 와이어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와이어(132c)의 타단은 이동부재(131)에 설치되는 제2 시브(131c)에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와이어(132c)는 운반부(110)와 이동부재(131) 사이에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132c)의 일단은 운반부(110)에 의해 당겨지고, 와이어(132c)의 타단은 이동부재(131)의 자중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이에, 운반부(110)와 이동부재(131)가 서로 와이어(132c)를 당기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 와이어(132c)가 늘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부(110)와 이동부재(131)가 당기는 힘이 같을 때는 와이어(132c)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운반부(110)나 이동부재(131) 중 어느 하나가 당기는 힘이 강해지면 와이어(132c)가 당기는 힘이 강한 쪽으로 당겨져 당겨지는 방향으로 운반부(110)나 이동부재(131)를 당길 수 있다.
이때, 와이어(132c)는 와이어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기 때문에, 운반부(110)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132c)가 감기면 와이어(132c)의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감소하고,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132c)가 풀리면 와이어(132c)의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운반부(110)가 지지부재(121) 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132c)의 길이가 감소하고, 운반부(110)가 지지부재(121) 외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132c)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의 하부에 연결된다. 이에,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33)는 용기(10)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33)는 용기(10)의 개구부의 형상을 따라 원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용기(10)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의 하부면은 용기(1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33)가 용기(10)의 개구부를 덮으면, 개구부가 차단되어 용기(1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33)의 하부면은 내화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커버부재(133)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커버부재(133)에 실링부재(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다. 실링부재(133b)는 용기(10)와 접촉 가능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실링부재(133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133b)는 용기(10)의 상부면 형상을 따라 O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의 자중에 의해 실링부재(133b)가 눌릴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33) 본체와 용기(10) 사이에서 실링부재(133a)가 압축될 수 있고, 커버부재(133) 본체와 용기(1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실링부재(133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커버부재(133)에 자석부재(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133)에 용기(10)와 접촉 가능한 자석부재(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석부재(133b)는 용기(10)의 상부면 형상을 따라 O링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재(133) 본체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부재(133b)는 전자석일 수 있다. 이에, 자석부재(133b)에 전원을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자석부재(133b)가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 전원공급부재(133c)가 자석부재(133b)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석부재(133b)가 자성을 가지면 자기력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용기(10)에 자석부재(133b)가 부착되어 용기(10)의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용기(10)의 개구부를 개방할 때 전원공급부재(133c)가 자석부재(133b)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자석부재(133b)가 가지는 자성을 없애면, 자석부재(133b)가 용기(10)와 분리되면서 용기(10)의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개폐장치로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용기는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건조 버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용기(1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용기(10) 내부에 용강을 받기 전까지 용기(10)는 일정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대기 중 용기(10)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용기(10)를 운반부(110) 상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운반부(110)를 지지부재(121) 측으로 이동시킨다. 운반부(110)가 이동할 때, 운반부(110)에 구비되는 구동휠(112)의 회전으로 와이어 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와이어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132c)가 풀릴 수 있고, 운반부(110) 외측으로 노출되는 와이어(132c)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부(11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에 있던 이동부재(131)가, 와이어 드럼에서 풀리는 와이어(132c)에 의해 안내부재(122)가 형성하는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와이어(132c)가 이동부재(131)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이동부재(131)와 커버부재(133)의 자중에 의해 이동부재(131)가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보다 작아진다. 이동부재(131)는 와이어(132c)가 팽팽한 상태가 될 때까지 자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운반부(110)는 용기(10)의 상부면과 커버부재(133)의 하부가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용기(10)를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다. 즉, 구동휠(112)을 회전을 멈출 수 있는 제동부재(113)나, 레일(50)에 설치된 스토퍼(51)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운반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31)가 함께 이동하는 커버부재(133)가 이동하는 위치에 맞춰, 운반부(110)가 용기(10)를 운반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33)로 용기(10)의 개구부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운반부(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면, 이동부재(131)와 함께 이동하던 커버부재(133)가 용기(10)의 상부와 접촉한다. 운반부(110)는 지지부재(121)를 향하여 이동하고,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에 의해 운반부(110)를 향하여 이동한다. 즉, 운반부(110)와 커버부재(133)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커버부재(133)가 운반부(110)에 안착된 용기(1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33)의 이동이 중단되면서 이동부재(131)도 멈출 수 있고, 커버부재(133)가 용기(10)의 개구부를 덮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내부가 가열된 용기(10) 내부가 밀폐되어 보온이 될 수 있다.
용기(10)의 대기시간이 종료되어 용기(10) 내부에 용강을 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운반부(110)를 지지부재(121)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운반부(110)에 구비되는 구동휠(112)이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 드럼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와이어 드럼에 와이어(132c)가 감길 수 있고, 와이어(132c)가 이동부재(131)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동부재(131)는 안내부재(122)의 연장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33)는 이동부재(131)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용기(10)와 분리될 수 있다. 즉, 운반부(110)가 이동하면서 와이어(132c)를 당길 수 있고, 와이어(132c)가 이동부재(131)를 끌어올려 커버부(130)가 운반부(11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크레인으로 용기(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0)가 다른 작업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용기(10)에 용강을 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용기(10) 내부가 보온되었기 때문에, 용기(10) 내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용기(10) 내부에 수강되는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운반부(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1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운반부(110)를 이용하여 용기(10)를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정확하게 덮어줄 수 있는 위치로 용기(10)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정확하게 덮어주어 용기(10)와 커버부(13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1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다.
특히, 용기(10)가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인 경우, 크레인으로 래들을 운반부(110)에 안착시켜 래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신호수가 없더라도 래들의 개구부를 커버부(130)로 덮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래들이 크레인에 지지되어 대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용기 100: 개폐장치
110: 운반부 120: 지지부
121: 지지부재 122: 안내부재
130: 커버부 131: 이동부재
132: 연결부재 133: 커버부재

Claims (10)

  1.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서,
    미리 정해진 운반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운반부;
    상기 운반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에서 용기의 개구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버부가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운반부와 상기 이동부재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도르래; 및
    일단이 상기 운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용기가 지지될 수 있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는 구동휠; 및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는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구동휠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동부재; 및
    상기 운반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개폐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상기 운반경로에 설치되는 개폐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용기와 접촉 가능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개폐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적어도 일부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용기와 접촉 가능한 자석부재가 구비되는 개폐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가 가열된 래들을 포함하는 개폐장치.
KR1020180045616A 2018-04-19 2018-04-19 개폐장치 KR10208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16A KR102088447B1 (ko) 2018-04-19 2018-04-19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16A KR102088447B1 (ko) 2018-04-19 2018-04-19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09A true KR20190122009A (ko) 2019-10-29
KR102088447B1 KR102088447B1 (ko) 2020-03-12

Family

ID=6842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16A KR102088447B1 (ko) 2018-04-19 2018-04-19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4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863U (ko) * 1985-09-11 1987-03-30
JPH10166111A (ja) * 1996-12-11 1998-06-23 Nippon Steel Corp 溶湯の誘導加熱方法及び装置
KR19990039149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수강래들의 커버링장치
JP2000258067A (ja) * 1999-03-09 2000-09-22 Fuji Electric Co Ltd 浮揚溶解装置とその鋳造方法
KR20150080420A (ko) * 2013-12-30 2015-07-09 주식회사 우진 제철소 분진 방지용 분진커버 장착 및 분리장치
KR20170119046A (ko)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863U (ko) * 1985-09-11 1987-03-30
JPH10166111A (ja) * 1996-12-11 1998-06-23 Nippon Steel Corp 溶湯の誘導加熱方法及び装置
KR19990039149U (ko) * 1998-04-06 1999-11-05 이구택 수강래들의 커버링장치
JP2000258067A (ja) * 1999-03-09 2000-09-22 Fuji Electric Co Ltd 浮揚溶解装置とその鋳造方法
KR20150080420A (ko) * 2013-12-30 2015-07-09 주식회사 우진 제철소 분진 방지용 분진커버 장착 및 분리장치
KR20170119046A (ko)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447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4035C2 (ru) Опорная головк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трубы ковша для разлив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JP6467410B2 (ja) ロープホイスト
KR101251275B1 (ko) 반응고 슬러리 제조용 전자 교반 장치
KR20140053720A (ko) 도금조 탕면의 이물 제거장치
KR20190122009A (ko) 개폐장치
KR101644840B1 (ko) 금속용해로 덮개장치
JPS61104810A (ja) 冷蔵庫キヤビネツト用の回転自在なプラグホルダ−ドラムを備える発泡装置
WO2017056848A1 (ja) 溶解材料供給装置
TW201639770A (zh) 鋼索吊車
KR102139633B1 (ko)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KR101694438B1 (ko) 가열로 장입 도어 자동 제어 장치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JP2017124896A (ja) 電動ホイスト
CN210795565U (zh) 一种盘卷钢筋起吊装置
JPH08174196A (ja) 溶湯搬送装置
KR101851258B1 (ko) 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40888B1 (ko) 주물 운반 장치
KR101583092B1 (ko) 종형 열처리로의 셔터 장치
KR101926254B1 (ko) 용해로용 도어 개폐장치
JP3785631B2 (ja) 溶解炉の炉蓋昇降装置
KR20140010628A (ko) 중량물 회전장치
JP6536428B2 (ja) 結晶育成装置
JP5283534B2 (ja) 防護管袋保持具、及び防護管袋保持方法
JP4279709B2 (ja) 昇降式照明装置
KR20230053303A (ko) 장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